KR20150120007A -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 Google Patents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007A
KR20150120007A KR1020140045340A KR20140045340A KR20150120007A KR 20150120007 A KR20150120007 A KR 20150120007A KR 1020140045340 A KR1020140045340 A KR 1020140045340A KR 20140045340 A KR20140045340 A KR 20140045340A KR 20150120007 A KR20150120007 A KR 20150120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elt
plates
guider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242B1 (ko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4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242B1/ko
Publication of KR20150120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hutes (AREA)

Abstract

슈트 하단 양측면에 구비되며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 및 자중에 의해 승하강함으로써 원료와 스커트의 충돌 및 마모를 최소화하고, 벨트가 마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 상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공급통로가 형성된 슈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스커트 장치로서, 상기 슈트의 하단부 양측에 복수 개의 제1링크플레이트를 매개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벨트에 적재된 원료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와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1가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SKIRT APPARATUS FOR AUTO ASCENT AND DESCENT}
본 발명은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슈트 하단 양측면에 구비되며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 및 자중에 의해 승하강함으로써 원료와의 충돌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광석, 석탄 등의 원료를 연속하여 이송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한다.
벨트 상면에 원료를 투입하거나 서로 높이가 다른 복수 개의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원료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원료의 균일한 적재 및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슈트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50)는 그 내부에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공급통로(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급통로(70)를 통해 원료(60)가 낙하하게 된다. 슈트(5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통로(70)에는 낙하하는 원료(60)와 접촉되어 원료(60)의 낙하방향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완충역할을 하는 댐퍼(30)가 구비되며, 슈트(50)의 하단 양측면에는 벨트(20)의 양단부와 접촉되는 한 쌍의 스커트(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스커트(40)는, 벨트(20)의 찢어짐,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슈트(50)를 통해 낙하하는 원료(60)가 벨트(20)와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벨트의 이동시 벨트(20)에 적재된 원료(60)가 벨트(20)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일직선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면 및 끝단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슈트(50)는, 그 위치만 다를뿐 실질적으로는 모두 동일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벨트(20)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이동해오는 원료(60) 및 슈트(50)의 상면 및 공급통로(70)를 통해 낙하하는 원료(60)에 의해 스커트(4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벨트(20)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끝단에 위치한 첫 번째 슈트(51)의 상면 및 공급통로(70)를 통해 공급된 원료(60)는 벨트(20)로 낙하하여 적재됨과 동시에 벨트(20)의 이동방향을 따라 흘러가게 되며, 두 번째 슈트(52)의 하단부를 통과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 첫 번째 슈트(51)를 통과하여 이동하던 원료(60)가 두 번째 슈트(52)의 스커트(40)와 부딪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스커트(40)에 충격 및 마모가 발생되며 반복적인 마모에 따라 결국 파손된다.
또한, 첫 번째 슈트(51)를 통과하여 이동하던 원료(60)가 두 번째 슈트(52)의 스커트(40)와 벨트(20) 사이에 끼인채로 벨트(20)가 이동하여 벨트(20)가 찢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슈트(50)의 상면 및 공급통로(70)를 통해 낙하하는 원료(60)가 벨트(20)와 밀착된 스커트(40)의 내측면과 지속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스커트(40)가 파손되어 낙하하는 원료(60)가 벨트(20) 외부로 낙광되는 문제점도 있다.
벨트 컨베이어(10)를 통해 원료(60)를 이송하던 중 벨트(20) 또는 스커트(40)가 파손되면, 원료(60)가 외부로 유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파손된 부분을 수리하기 위해 오랜 시간동안 이송작업을 진행할 수 없기에 생산성이 감소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유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종래의 "슈트의 스커트 장치(등록특허 10-1322041)"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슈트의 스커트 장치(등록특허 10-1322041)"에서는 운송설비 사이에 연계되는 슈트 하부에 탄성 운동토록 제공된 장치 바디부와, 장치바디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수송벨트를 통한 운송물 이탈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스커트부재와 힌지부재에 장착되어 스커트부재와 수송벨트의 밀착력을 유지토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및 스커트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낙광에 직접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가드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원료이송 장치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슈트의 스커트 장치'는 스틸 재질의 가이드플레이트와 벨트가 항상 접촉되어 있기에 벨트가 빠르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원료가 벨트와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끼었을 때 원료가 즉시 빠지지 않고 끼인채로 이동되기 때문에 벨트가 마모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22041 (2013. 10. 1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슈트 하단 양측면에 구비되며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 및 자중에 의해 승하강함으로써 원료와 스커트의 충돌 및 마모를 최소화하고, 벨트가 마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 상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공급통로가 형성된 슈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스커트 장치로서, 상기 슈트의 하단부 양측에 복수 개의 제1링크플레이트를 매개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벨트에 적재된 원료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와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1가이더를 포함한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는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공급통로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는 'U'자 형으로 굴곡지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폭 및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플레이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완충플레이트의 하단부는 상기 벨트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그 길이는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간격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플레이트의 일단은 제1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슈트의 측면에 구비되고, 그 타단은 제2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슈트의 하단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후단부에는 한 쌍의 제2링크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더의 양 끝단은 상기 한 쌍의 제2링크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에 양 끝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슈트를 통과한 원료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더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의 외주면은 상기 벨트의 굴곡진 형상과 대응되도록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링크플레이트는, 상기 벨트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벨트와 스커트 사이에 원료가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벨트 및 스커트가 마모 및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없이 원료와 접촉되는 힘에 구동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다.
셋째, 본 발명은 평평한 벨트 뿐만 아니라 'U'자 형상의 벨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은 원료가 벨트 외부로 낙광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슈트 및 벨트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커트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커트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커트 장치 및 벨트 컨베이어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 및 이미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10) 상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공급통로(70)가 형성된 슈트(5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스커트 장치로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 및 제1가이더(3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는, 슈트(50)의 하단부 양측에 벨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1링크플레이트(200)를 매개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술하는 제1가이더(300)에 가해지는 힘을 전달받아 회동함으로써 후술하는 제1가이더(300)를 벨트(20)로부터 승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링크플레이트(200)는 지지플레이트(500)가 슈트(50)와 별개로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일단은 제1회전축(210)을 매개로 슈트(50)의 측면에 구비되고 그 타단은 제2회전축(220)을 매개로 지지플레이트(500)에 구비된다.
이렇게 슈트(50)와 지지플레이트(500)가 제1링크플레이트(200) 및 제1회전축(210), 제2회전축(22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500)가 슈트(50)의 선단부 및 후단부 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가 슈트(50)의 하단부에서 슈트(50)의 선단부 및 후단부 측으로 회동할 때 슈트(50)와 지지플레이트(500)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동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는 슈트(50)의 하단부에서 벨트(20) 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는, 벨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에 각각 구비되어 벨트(20)에 적재된 원료(60)를 가이드하며, 지지플레이트(500)와 반대측에 위치한 가이드플레이트(100)의 끝단은 벨트(20)와 접촉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100)는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벨트(20)와 접촉된 상태로 있으며, 벨트(20)에 적재된 원료(60)가 후술하는 제1가이더(300)와 접촉되면 지지플레이트(500)의 회동에 의해 벨트(20)로부터 승강되어 벨트(20)와 비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가이더(300)는, 벨트(20)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60)와 접촉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를 벨트(20)의 이동방향 측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 끝단부에 구비된다.
벨트(20)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60)와 제1가이더(300)가 접촉되면 제1가이더(300)에는 벨트(20)의 이동방향 측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가해지며, 이러한 외력에 의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가 제1회전축(210) 및 제2회전축(220)을 중심으로하여 회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500)에 구비된 가이드플레이트(100) 또한 지지플레이트(500)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결국 벨트(20)와 이격된 상태, 즉 승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1가이더(300)는 벨트(20)의 상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60)와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벨트(20)의 폭 방향을 따라 구기되되 그 길이는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 사이의 간격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더(300)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 양단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제2가이더(400)를 구비하기 위해 제1가이더(300)는 벨트(2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플레이트(500) 후단부 측에 구비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600), 한 쌍의 제2링크플레이트(700),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800) 및 제2가이더(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600)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가 공급통로(70)를 통해 낙하하는 원료(60)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 사이에 고정 구비되되, 공급통로(70)로부터 낙하된 원료(60)가 가이드플레이트(10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100)와 공급통로(70)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600)는 원료(60)로부터 가이드플레이트(100)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가이드플레이트(100)와 동일한 폭 및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벨트(20)의 형상이 일자형이 아닌 'U'자 형으로 굴곡지게 구비된 경우에는,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600)의 폭 및 길이를 가이드플레이트(100)의 폭 및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600)가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벨트(20)가 'U'자 형상이라면 완충플레이트(600)의 폭 및 길이가 가이드플레이트(100)의 폭 및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더라도 벨트(20) 측에 위치한 끝단이 벨트(20)와 접촉하여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가이드플레이트(100)를 원료(60)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100)는 공급통로(70)로부터 낙하하는 원료(60)가 벨트(20) 외부로 낙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20)와 직접 접촉되므로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완충플레이트(600)는 낙하하는 원료(60)로부터 가이드플레이트(100)를 효과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금속재질의 완충플레이트(600)가 벨트(20)와 접촉되면 벨트(20)가 마모되거나 찢어질 수 있으므로 완충플레이트(600)의 하단부가 벨트(2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 쌍의 제2링크플레이트(700)는 상술한 제1가이더(300)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를 연결하는 것으로, 벨트(2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 후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제1가이더(300)의 양 끝단은 한 쌍의 제2링크플레이트(7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가이더(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료(60)와 접촉될 때 가해지는 힘을 지지플레이트(500)에 전달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500)가 제1회전축(210) 및 제2회전축(220)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하는 것인데, 이때 제1가이더(300)가 벨트(20)에 적재된 원료(60)를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벨트(20)에는 제1가이더(300)가 원료(60)를 누르는 압력이 가해져 마모 및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이더(300)와 원료(60)가 접촉되었을 때 제1가이더(300)가 벨트(2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원료(6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벨트(20)에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벨트(20) 상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60)와 제1가이더(300)의 접촉시 지지플레이트(500)가 벨트(20)의 이동방향으로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제2링크플레이트(700)는 벨트(2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플레이트(700)의 일단부를 지지플레이트(500) 후단부에 고정시키되 그 타단부는 지지플레이트(500)와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도록 한다.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800)는 후술하는 제2가이더(400)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를 연결하는 것으로, 벨트(2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제2가이더(400)의 양 끝단은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8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2가이더(400)는 슈트(50)를 통과한 원료(60)가 벨트(20)의 진동으로 인해 진행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술한 제1가이더(300)와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벨트(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원료(60)가 제1가이더(300)를 통과해서 이송되는 것이 아닌, 슈트(50)의 상면 및 공급통로(70)를 통해 투입된다면 벨트(20)에 적재된 원료(60)는 제1가이더(300)를 거치지 않고 제2가이더(4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제2가이더(400)에 의해 지지플레이트(500)가 벨트(20)의 이동방향으로 회동된다면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 또한 벨트(20)로부터 승강된 상태가 되어 공급통로(70)를 통해 낙하하는 원료(60)가 벨트(20) 외부로 낙광되는 현상이 발생될 것이다.
따라서, 제3링크플레이트(800)를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제2가이더(400)가 원료(60)를 타고 올라갈 때 제3링크플레이트(800)가 회동하여 지지플레이트(500)는 회동하지 않고 그자리에 있을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제3링크플레이트(800)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600)에 의해 원료(60)가 낙광되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10)의 벨트(20) 형상이 'U'자 형으로 굴곡지게 구비된다면, 벨트(20)에 적재된 원료(60)는 벨트(20)의 중심부에 대부분이 밀집되고 소량은 벨트(20)의 양 끝단 쪽으로 분산된 상태로 이송되는데, 이때 벨트(20)의 중심부에 밀집된 원료(60)와 제1가이더(300) 및 제2가이더(400)가 접촉하게 되면 원료(60)가 벨트(20)의 폭 방향으로 분산되면서 벨트(20)의 외부로 낙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이더(300) 및 제2가이더(400)의 외주면을 벨트(20)의 굴곡진 형상과 대응되도록 제1가이더(300) 및 제2가이더(400)의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하여 벨트(20)의 중심부에 밀집된 원료(60)가 벨트(20)의 폭 방향을 따라 넓게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더(300)와 원료(60)의 접촉시 지지플레이트(500)의 회동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가 벨트(20)로부터 승강된 상태가 되므로 가이드플레이트(100)가 원료(60)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이 불가능해 지는데, 이때 외주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1가이더(300)의 양 끝단이 원료(60)가 벨트(20) 외부로 낙광되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원료(6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1가이더(300) 및 제2가이더(400)는 벨트(20)와 지속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벨트(20)가 마모될 수 있으므로 벨트(20)와 접촉되지 않도록 벨트(20)의 상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0)의 상면에 원료(60)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 및 가이드플레이트(100)의 자중에 의해 벨트(20)와 가이드플레이트(100)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0)의 상면에 원료(60)가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기 시작하면 제1가이더(300)와 원료(60)가 접촉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500)가 제1회전축(210) 및 제2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가 회동 및 승강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가이더(300) 후측에서 이동해오던 원료(60)가 제1가이더(300)와 접촉되면 제1가이더(300)에는 벨트(20)의 이동방향 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며, 제1가이더(300)는 벨트(2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가이더(300)는 벨트(20)의 이동방향으로 진행하려는 원료(60)에 의해 벨트(20)의 이동방향 측으로 회전하면서 밀림과 동시에 원료(60)의 표면을 타고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가 제1회전축(210) 및 제2회전축(220)을 중심으로 벨트(2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500)에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지지플레이트(500)가 회동함에 따라 벨트(20)와 접촉되어 있던 가이드플레이트(100)가 벨트(20)로부터 승강되면서 벨트(20)와 비접촉 상태가 된다.
즉, 가이드플레이트(100)가 벨트(2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벨트(20)의 상면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60)와 가이드플레이트(100)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플레이트(100)는 벨트(2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지만,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600)는 지지플레이트(500)와 별개로 슈트(50)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하지 않는다. 다만, 완충플레이트(600)는 가이드플레이트(1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기 때문에 금속성 재질로 형성한 경우 벨트(20)와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구비되되 어느 한 방향으로 회동하지는 않는다.
즉, 가이드플레이트(100)가 벨트(2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슈트(50) 상면 및 공급통로(70)를 통해 원료(60)가 투입되면, 벨트(20)와 충돌된 원료(60)가 벨트(20)와 가이드플레이트(100) 사이에 형성된 빈 틈을 통해 벨트(20) 외부로 낙광될 수 있는데,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600)가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공급통로(70)를 통해 낙하하는 원료(60)가 벨트(20)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슈트(50)의 하단부를 통과한 원료(60)는 제2가이더(400)를 만나게 되며, 제2가이더(400)는 벨트(2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원료(60)를 타고 올라가게 된다. 이때, 제3링크플레이트(800)는 제2링크플레이트(700)와 다르게 지지플레이트(500) 상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 제2가이더(400)가 원료(60)와 접촉된다 하여도 지지플레이트(500)가 회동하지는 않는다.
이는 제1가이더(300) 측에서 이동해오는 원료(60)가 아닌 슈트(50)의 상면 및 공급통로(70)를 통해 투입되는 원료(60)만 있는 경우에, 제2가이더(400)와 원료(60)가 접촉됨에 따라 가이드플레이트(100)가 승강되면 벨트(20)와 가이드플레이트(10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원료(60)가 낙광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트의 형상이 'U'자 형상으로 굴곡져 있다면 벨트(20)에 적재된 원료(60)가 벨트(20)의 중심부로 밀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오목하게 형성된 제1가이더(300) 및 제2가이더(400)의 외주면에 의해 벨트(20)의 중심부에 밀집된 원료(60)가 벨트(20)의 폭 방향으로 넓게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00)가 벨트(20)와 이격됨에 따라 원료(60)의 진행방향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빈 자리를 제1가이더(300) 및 제2가이더(400)의 양 끝단이 대신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벨트 컨베이어 20 : 벨트
50 : 슈트 60 : 원료
70 : 공급통로 100 : 가이드플레이트
200 : 제1링크플레이트 300 : 제1가이더
400 : 제2가이더 500 : 지지플레이트
600 : 완충플레이트 700 : 제2링크플레이트
800 : 제3링크플레이트

Claims (11)

  1. 벨트 컨베이어 상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공급통로가 형성된 슈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스커트 장치로서,
    상기 슈트의 하단부 양측에 복수 개의 제1링크플레이트를 매개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벨트에 적재된 원료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원료와 접촉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승강시키는 제1가이더를 포함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는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가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공급통로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완충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폭 및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플레이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완충플레이트의 하단부는 상기 벨트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그 길이는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간격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플레이트의 일단은 제1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슈트의 측면에 구비되고, 그 타단은 제2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슈트의 하단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후단부에는 한 쌍의 제2링크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더의 양 끝단은 상기 한 쌍의 제2링크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선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에 양 끝단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슈트를 통과한 원료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링크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의 외주면은 상기 벨트의 굴곡진 'U'자 형상과 대응되도록 중심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플레이트는, 상기 벨트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KR1020140045340A 2014-04-16 2014-04-16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KR101605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340A KR101605242B1 (ko) 2014-04-16 2014-04-16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340A KR101605242B1 (ko) 2014-04-16 2014-04-16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007A true KR20150120007A (ko) 2015-10-27
KR101605242B1 KR101605242B1 (ko) 2016-03-22

Family

ID=5442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340A KR101605242B1 (ko) 2014-04-16 2014-04-16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5012A (zh) * 2020-12-12 2021-04-13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裙边皮带输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500B1 (ko) * 2016-08-08 2023-04-27 케미라 오와이제이 중합체의 연속 생산을 위한 배열체
CN110525920A (zh) * 2019-09-17 2019-12-03 方黛珠 一种建筑工程送料用自动化送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9787B2 (ja) 1996-08-27 2003-03-2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5012A (zh) * 2020-12-12 2021-04-13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裙边皮带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242B1 (ko)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2427A (zh) 连续式的输送机式喷丸硬化装置和喷丸硬化方法
KR101605242B1 (ko) 승하강 기능을 갖는 스커트 장치
KR101330534B1 (ko) 이송물 공급량 조절장치
US20150122616A1 (en) Vertical conveyor
US2622720A (en) Roller conveyer
KR101121563B1 (ko) 트리퍼카 밀림 방지 장치
KR20100076419A (ko) 리턴 벨트가 턴오버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421830B1 (ko) 컨베이어 벨트용 낙광방지 장치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KR20160036428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20160036429A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987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00110019A (ko) 컨베이어벨트의 보호 및 뒤집힘 방지장치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KR100516463B1 (ko) 원료불출설비의 트리퍼부 더블컨베이어
KR101543955B1 (ko) 이송물 중앙유도장치
KR200221979Y1 (ko) 원료 불출설비의 가이드 벨트컨베이어
KR102133117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CN205397546U (zh) 带式卸料车
KR102133098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20140074012A (ko) 원료 이송장치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424469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