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26B1 -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626B1
KR101459626B1 KR1020130068368A KR20130068368A KR101459626B1 KR 101459626 B1 KR101459626 B1 KR 101459626B1 KR 1020130068368 A KR1020130068368 A KR 1020130068368A KR 20130068368 A KR20130068368 A KR 20130068368A KR 101459626 B1 KR101459626 B1 KR 101459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lange
formwork
pipe
integrally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훈
이기하
홍기남
박재규
이한솔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합자회사 대청 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합자회사 대청 씨앤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8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0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 B28B21/1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using compacting means
    • B28B21/2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using compacting means using rotatable mould or c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23Lining the inner wall of hollow objects, e.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765Top or bottom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78Mould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e.g. steam j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5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provided with a l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원통형의 내부거푸집; 상기 내부거푸집의 외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외부거푸집; 및 상기 외부거푸집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유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거푸집은 원통형의 제 1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몸체부는 그 내부가 중공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APPARATUS AND MEHTOD FOR FORMING VIBRATED AND ROLLED CONCRETE SEWE PIPE AND LINING PIP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황을 혼화재료로 활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진동·전압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하수관거 거푸집은 대부분이 일반 콘크리트를 일체타설하여 하수관거를 제작하고 이를 탈형하여 야적장에서 기건 양생을 실시한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하수관거 제작은 각각의 기업체마다 보유하고 있는 하수관거의 거푸집 규격에 따라 특정 크기의 하수관거를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제작된 하수관거의 거푸집 사용시 길이방향으로 하수관거를 제작하다 보니 하수관거를 제작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미흡하거나 콘크리트를 탈형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겨울철에 경우 증기양생의 경우 콘크리트 양생에 있어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일반 양생으로 제작할 때 거푸집이 기후적 영향으로 진동전압 콘크리트 하수관거를 제작하는데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하수관거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내구성이 우수한 PE 및 폴리머 계열에 재료를 사용하며, 이러한 재료들은 콘크리트 관 주변으로 라이닝을 사용하여 하수관거를 제작한다. 이러한 라이닝을 둔 하수관거들은 본래의 하수관거 크기보다 작은 PE관을 삽입하여 제작하거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라이닝으로 보강하여 제작하게 된다. 또한, 라이닝 재료들의 단점은 이질 재료를 사용하다 보니 이질 재료끼리 부착강도가 나오지 않아 라이닝 부분이 박리되거나 이탈하게 된다.
또한,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거는 부실시공 혹은 반복하중에 의한 응력 증가로 균열, 탈락, 함몰, 이음부 이완, 연결부 파손 등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파손된 부분을 통해 침투/유입수가 증가하여 하수를 수송하는데 있어 장애를 발생시킨다.
또한, 미생물의 산화환원 작용에 의해 생성된 생화학적 부식, 강산이나 강알카리를 함유한 폐수 유입에 의한 직접적 부식, 비산물질에 의한 콘크리트 자체의 중성화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기존 콘크리트 하수관거는 경제성이 우수하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PVC관, PE관, 닥타일 주철관 등을 사용하고 있지만, 반대로 내구성은 우수하나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425호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1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황이 가지는 강도 및 내화학성의 장점 등을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하수관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전압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는,
원통형의 내부거푸집; 상기 내부거푸집의 외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외부거푸집; 및 상기 외부거푸집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유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거푸집은 원통형의 제 1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몸체부는 그 내부가 중공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몸체부의 상부에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의 중앙에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거푸집은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외부거푸집는 상기 제 1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플랜지,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를 결합할 때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 1몸체부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플랜지, 및 상기 제 1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거푸집의 상부플랜지에는 콘크리트의 충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패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패널은 콘크리트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개구부의 직경이 하부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거푸집의 하부에 헤드거푸집이 더 장착되고,
상기 헤드거푸집은 상부에 제 2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오목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의 결합 시에 상기 측면플랜지들 사이에는 각각 제 1패킹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 2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제 2패킹부재를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는, 내부거푸집; 상기 내부거푸집을 안착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 및 콘크리트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거푸집은 원통형의 제 1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내부거푸집을 안착시킬 수 있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은 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하부쪽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구비하면, 상기 회전축은 풀리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전압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황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와 같이 일체로 타설하는 방법과 유황을 사용해 5~15mm의 라이닝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2 중으로 관을 타설하는 방법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황이 가지는 강도 및 내화학성의 장점 등을 이용하여 하수관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하수관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작장치에 있어서, 회전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접착강도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는, 크게 원통형의 내부거푸집(10), 상기 내부거푸집(10)의 외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외부거푸집(30) 및 상기 외부거푸집(3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유도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내부거푸집(10)은 원통형의 제 1몸체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몸체부(15)는 그 내부가 중공인 구조를 가지며, 그 상부에는 덮개(11)가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11)의 중앙에는 걸림부(13)가 설치되어 있어서, 콘크리트의 양생 후에 내부거푸집(10)을 제거할 때에 상기 걸림부(13)에 탈거장치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몸체부(15)의 외경은 상기 외부거푸집(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가 상기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30) 사이에 충진되어 양생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거푸집(30)은 결합되었을 때에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37)로 나뉘어져 있다. 상기 외부거푸집(30)는 상기 제 2몸체부(37)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플랜지(31),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37)를 결합할 때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 2몸체부(37)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플랜지(33), 및 상기 제 1몸체부(37)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플랜지(35)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37)의 결합 시에 상기 측면플랜지(33)들 사이에는 각각 제 1패킹부재(39)가 개재되는데, 이는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페이스트가 각 연결부들 사이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37)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외부거푸집(30)의 상부플랜지(31)에는 유도패널(20)이 설치된다. 상기 유도패널(20)은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콘크리트가 상기 내부거푸집(10)과 상기 외부거푸집(30) 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도패널(20)은 콘크리트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21), 및 상기 유도부(2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플랜지(2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부(21)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개구부의 직경이 하부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플랜지(23)는 상기 외부거푸집(30)의 상부플랜지(31)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콘크리트 관에 헤더부(50)를 부가하여 콘크리트와 함께 양생함으로써, 헤더부(50)가 일체로 장착된 관거(100)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장치가 헤드거푸집(40)이며, 상기 헤드거푸집(40)는 상부에 제 2플랜지(43)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오목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 2플랜지(43)는 상기 외부거푸집(30)의 하부플랜지(35)와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플랜지(43)와 하부플랜지(35) 사이에 제 2패킹부재(45)를 개재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페이스트가 각 연결부들 사이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상기 헤드거푸집(40)의 내부에 상기 헤더부(50)가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패널(20)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타설된 콘크리트가 헤드거푸집(40)까지 충진되어 양생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30)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아래쪽에 위치한 헤드거푸집(40)으로부터 상부까지 충진되게 되며, 양생을 거쳐 관거(100)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양생이 완료되면, 덮개(11)의 중앙에 설치된 걸림부(13)에 탈거장치를 걸어서 내부거푸집(10)을 탈형하게 된다.
또한, 겨울철에는 낮은 온도의 영향으로 콘크리트 하수관거를 제작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작장치를 사용하면, 덮개(11)를 내부거푸집(10)으로부터 제거한 후에 내부에 전열장비를 투입하여 온도를 높여줌으로써, 콘크리트를 양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내부거푸집(10)과 외부거푸집(30) 사이의 공간을 얼마나 이격시키는가에 따라서 콘크리트 관거(10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작장치에 있어서 회전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는, 크게 내부거푸집(10), 상기 내부거푸집(20)을 안착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60) 및 콘크리트분사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거푸집(10)은 상기에 서술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회전장치(60)는 상기 내부거푸집(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회전판(61)과 상기 회전판(6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7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61)은 지지대(63) 상에 설치되며, 하부쪽으로 연장된 회전축(65)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은 풀리(73)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70)에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하수관거 또는 라이닝 관거의 제작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내부거푸집(10)을 상기 회전장치(60)의 회전판(61) 위에 안착시키고, 구동모터(7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풀리(73)에 의해 회전축(65)가 회전하면서 회전판(61)을 회전시키게 되고, 내부거푸집(1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 분사장치(80)을 동작시켜 콘크리트를 내부거푸집(10)쪽으로 분사하면, 콘크리트가 내부거푸집(10)을 따라서 원통형으로 타설됨으로써 원통형의 유황 콘크리트 라이닝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61)은 분당 60rpm 이상의 속도가 가능하며 회전속도를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에 이동식 바퀴를 설치하여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하수관거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황을 혼화재료로 활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작함으로써, 하수관거가 가지는 열화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관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입니다.
유황을 혼화재료로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본 발명의 제작장치를 통해 하수관거를 제작할 수도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 숏크리트장치를 이용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한 유황 혼합 라이닝 콘크리트를 제작한 후에 라이닝을 상기 거푸집에 넣고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2중구조로 양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진동·전압 유황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접착강도를 테스트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수용성 유황의 종류 및 첨가율에 따른 압축강도 결과

7일 14일 28일
압축강도
(MPa)
압축강도비
(%)
압축강도
(MPa)
압축강도비
(%)
압축강도
(MPa)
압축강도비
(%)
R40-CON 23.39 100 32.70 100 35.63 100
R40-SA1 28.56 122 36.09 110 39.79 112
R40-SA3 27.25 117 32.87 101 34.15 96
R40-SA5 22.19 95 29.55 90 31.95 90
R40-SB1 27.63 118 35.52 109 41.17 116
R40-SB3 29.38 126 36.50 112 43.01 121
R40-SB5 28.44 122 37.84 116 44.15 124
표 1에 유황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R40-CON는 유황을 첨가하지 않은 일반 콘크리트로 제작한 것이고, R40-SA1, R40-SA3, R40-SA5, R40-SB1, R40-SB3, R40-SB5는 유황의 종류 및 첨가율을 달리하여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제작한 것이다. R40-SB의 경우 재령 초기부터 장기 재령으로 갈수록 강도발현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R40-SA보다 R40-SB 콘크리트의 강도 경향성이 첨가량에 따라 안정하게 나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유황을 첨가하는데 있어 강도발현에 문제는 없다고 판단된다.
수용성 유황의 종류 및 첨가율에 따른 휨강도
시험체 28일
휨강도(MPa) 휨강도 비(%)
R40-CON 3.79 100
R40-SA1 5.13 135
R40-SA3 5.35 141
R40-SA5 5.30 140
R40-SB1 4.25 112
R40-SB3 4.60 121
R40-SB5 5.17 136
R40-SA와 R40-SB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에서 R40-CON보다 압축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비추어 볼 때 휨강도 역시 증진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제 시험결과 R40-SA 콘크리트의 휨강도가 첨가량과는 상관없이 R40-CON 콘크리트에 비해 35∼41%까지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R40-SB 콘크리트의 휨강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12∼36%까지 증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R40-SA와 R40-SB 시험결과에서 압축강도에 비해 휨강도가 증가된 이유는 두 종류 유황을 XRF를 이용해 나타난 화화적 조성 결과를 비추어 볼 때 SO3함량이 다량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SO3 함량이 다량으로 존재할 경우 고황산염 수화물인 에트린자이트가 대량을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런 에트린자이트의 생성은 팽창기구로 작용되어 압축강도는 약간 떨어질 수 있지만 휨강도는 증진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진동·전압 콘크리트관의 균열하중 및 파괴하중
실험체 실험 값 KS-F 4402 규정 값 비고
균열하중
(ton/m)
파괴하중
(ton/m)
균열하중
(ton/m)
파괴하중
(ton/m)
S-1 4.7 6.9 3 4.5 만족
S-2 5.2 6.4 만족
SL2 3.1 5.5 만족
SL1 3.8 6.1 만족
유황을 사용하여 일체로 타설한 하수관거와 라이닝한 하수관거로 제작하여 관거의 외압강도를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유황 콘크리트로 일체 타설한 하수관거의 균열 하중은 4.7∼5.2 ton/m이 발생하였으며, 파괴하중은 6.4∼6.9 ton/m으로 KS F 4402에서 규정하는 값을 만족하였다. 유황 콘크리트로 라이닝한 시험체의 경우 역시 균열하중 3.1∼3.8 ton/m이 발생하였으며, 파괴하중이 5.5∼6.1 ton/m으로 KS F 규정 값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실제 하수관거로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본다.
또한, 수용성 유황의 종류 및 첨가율에 따른 접착강도의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수용성 유황을 첨가한 콘크리트의 접착강도가 크게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령 28일에 최소 36.3%에서 최대 74.8%까지 증가하였으며, 재령 56일에 최소 43.3%에서 최대 73.6% 증가하였다.
R40-SA 콘크리트의 경우 재령 28일의 접착강도는 첨가율과 상관없이 동일한 강도 증진이 나타났으며, 재령 56일에서는 3.09 MPa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시험체는 동일한 강도 증진을 나타내었다.
R40-SB 콘크리트의 경우 재령 28일에서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증진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재령 56일의 경우 첨가율과 상관없이 모두 유사한 강도 증진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유황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증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내부거푸집 11: 덮개
13: 걸림부 20: 유도패널
21: 유도부 23: 제 1플랜지
30: 외부거푸집 31: 상부플랜지
33: 측면플랜지 35: 하부플랜지
37: 제 2몸체부 40: 헤드거푸집
43: 제2플랜지 50: 헤더부
60: 회전장치 70: 구동모터
80: 콘크리트 분사노즐

Claims (9)

  1. 원통형의 내부거푸집;
    상기 내부거푸집의 외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는 외부거푸집; 및
    상기 외부거푸집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유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거푸집은 원통형의 제 1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몸체부는 그 내부가 중공인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부의 상부에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의 중앙에는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거푸집은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외부거푸집은 상기 제 2몸체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플랜지,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를 결합할 때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 2몸체부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플랜지, 및 상기 제 2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거푸집의 상부플랜지에는 콘크리트의 충진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패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패널은 콘크리트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 및 상기 유도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부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개구부의 직경이 하부개구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거푸집의 하부에 헤드거푸집이 더 장착되고,
    상기 헤드거푸집은 상부에 제 2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오목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반원형 제 2몸체부의 결합 시에 상기 측면플랜지들 사이에는 각각 제 1패킹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제 2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제 2패킹부재를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8. 내부거푸집;
    상기 내부거푸집을 안착시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 및
    콘크리트분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거푸집은 원통형의 제 1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내부거푸집을 안착시킬 수 있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지지대 상에 설치되고, 하부쪽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구비하면, 상기 회전축은 풀리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KR1020130068368A 2013-06-14 2013-06-14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KR101459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368A KR101459626B1 (ko) 2013-06-14 2013-06-14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368A KR101459626B1 (ko) 2013-06-14 2013-06-14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626B1 true KR101459626B1 (ko) 2014-11-10

Family

ID=5228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368A KR101459626B1 (ko) 2013-06-14 2013-06-14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6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263A (zh) * 2017-07-31 2018-05-22 内蒙古祥宇通信网络工程有限公司 一体成型预制检查井及其制造模具和方法
CN112123548A (zh) * 2020-10-09 2020-12-25 湖南楚怀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混凝土检查井的成型装置
KR20220149200A (ko) 2021-04-30 2022-11-08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싱크홀 예방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수지라이닝 콘크리트 하수관과 제조방법
CN115383866A (zh) * 2022-09-19 2022-11-25 中国路桥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道路自防护混凝土的制备方法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29B1 (ko) * 2001-06-14 2003-11-17 부양산업 주식회사 철관 자동 회전장치
KR200386868Y1 (ko) * 2005-03-24 2005-06-16 조용우 맨홀 거푸집
KR200433300Y1 (ko) * 2006-09-21 2006-12-08 신 오 황 원형맨홀용 거푸집
JP2012139842A (ja) * 2010-12-28 2012-07-26 Tosoh Corp セラミックス円筒形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29B1 (ko) * 2001-06-14 2003-11-17 부양산업 주식회사 철관 자동 회전장치
KR200386868Y1 (ko) * 2005-03-24 2005-06-16 조용우 맨홀 거푸집
KR200433300Y1 (ko) * 2006-09-21 2006-12-08 신 오 황 원형맨홀용 거푸집
JP2012139842A (ja) * 2010-12-28 2012-07-26 Tosoh Corp セラミックス円筒形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8263A (zh) * 2017-07-31 2018-05-22 内蒙古祥宇通信网络工程有限公司 一体成型预制检查井及其制造模具和方法
CN112123548A (zh) * 2020-10-09 2020-12-25 湖南楚怀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混凝土检查井的成型装置
KR20220149200A (ko) 2021-04-30 2022-11-08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싱크홀 예방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수지라이닝 콘크리트 하수관과 제조방법
CN115383866A (zh) * 2022-09-19 2022-11-25 中国路桥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道路自防护混凝土的制备方法及设备
CN115383866B (zh) * 2022-09-19 2023-07-21 中国路桥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道路自防护混凝土的制备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626B1 (ko)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CN101776187B (zh) 预应力混凝土玻璃钢复合管材结构及其制作工艺
CN103895098A (zh) 利用芯模振动法成型一阶段预应力混凝土管的工艺
CN1948654A (zh) 一种保温墙板制造及其墙体构筑方法
CN1354077A (zh) 一种钢筋砼用加劲肋空心薄壁管的制作方法
CN207240471U (zh) 一种可拆卸重复利用的墙板吊件装置
JPH0473369B2 (ko)
CN103615018A (zh) 高强度复合材料电缆管道联接井
CN207034429U (zh) 一种顶进施工法用低压钢筒混凝土管
KR2017010077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조방법
CN204328238U (zh) 玻璃钢混凝土复合管
CN214266076U (zh) 一种方便脱模的混凝土预制件模具
KR100750717B1 (ko) 폴리머콘크리트 맨홀의 제조방법
KR100743594B1 (ko) 맨홀블록, 이의 제조장치, 제조장치의 조립방법 및제조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
CN205386867U (zh) 用于管桩生产线的端板清洗机构
KR19990040988U (ko) 콘크리트 실린더 몰드
CN207156106U (zh) 一种混凝土复合管成型模
CN105544609A (zh) 玻璃钢复合整体检查井及其制备方法
CN206123902U (zh) 一种用于预制混凝土墙板生产的轻型侧模体系
CN101487549A (zh) 塑料型材螺旋缠绕管及其制备方法
CN216068003U (zh) 一种混凝土浇筑装置
CN205033367U (zh) 一种脱模构件
JPH08150613A (ja) 繊維補強レジンコンクリートヒューム管及びその製造方法
CN215258527U (zh) 一种排水管沙眼修补装置
CN1181249C (zh) 一种砼填充用轻质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