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130B1 -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130B1
KR101457130B1 KR1020130126890A KR20130126890A KR101457130B1 KR 101457130 B1 KR101457130 B1 KR 101457130B1 KR 1020130126890 A KR1020130126890 A KR 1020130126890A KR 20130126890 A KR20130126890 A KR 20130126890A KR 101457130 B1 KR101457130 B1 KR 101457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fibers
carbon
carbon nanofiber
acid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박성열
김재민
김진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27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thermal decomposition of hydrocarbon gases or vapours or other carbon-containing compounds in the form of gas or vapour, e.g. carbon monoxide,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8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85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88Molybdenum
    • B01J23/881Molybdenum and 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400 내지 850℃의 온도 및 고압하에서, 합성가스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를 산 처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정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된 탄소나노섬유를 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공정이 단축되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연속 공정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of Carbon Nanofiber}
본 발명은 메탈 더스팅 현상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섬유는 조직 및 구조상의 특성을 제어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고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이 우수하며 전기 전도도가 큰 장점으로 인하여, 항공 우주, 자동차, 산업/건축용 구조 재료 및 레저 스포츠 분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어 최근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탄소소재이다.
탄소나노섬유를 생산하는 기술로는 아크방전, 레이저 증착,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열 화학 기상증착, 기상합성 및 전기분해 등이 있다.
이중 기상 합성법은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반응로 안에 반응가스(탄소 소스 가스)와 촉매금속을 직접 공급하여 반응가스를 열분해함으로써 기상으로 합성하는 방법이다. 이는 탄소나노섬유를 대량으로 합성하기에 유리한 방법이다(미국특허 4,578,813호).
그러나, 상기 기상 합성법은 아직 대량생산이 가능한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운전 중에 촉매를 반응로 내부로 연속투입하기 어려운 문제 등으로 인하여 공정의 연속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메탈 더스팅 현상을 이용하여 850℃ 이하의 저온에서 탄소나노섬유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공정이 단축되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연속 공정이 가능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00 내지 850℃의 온도 및 고압하에서, 합성가스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를 산 처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정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된 탄소나노섬유를 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는 5 내지 200기압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섬유제조는 0.5시간 이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는 Ni계 금속 또는 Ni계 합금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합성가스는 CO 및 H2가 0.1:0.9 내지 0.9:0.1부피비일 수 있다.
상기 합성가스는 반응기 면적 1 m2당 3 Nm3/min 이하(표준상태 기준)의 유량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섬유 정제는 염산, 초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강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섬유 중화는 물을 이용하여 pH가 7 이상이 되도록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종래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고, 공정이 단순하여 운전비용이 낮아 경제적이면서 동시에 연속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탄소나노섬유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a)는 탄소나노섬유 끝부분에 금속나노입자가 포함된 것이고, (b)는 탄소나노섬유에 금속나노입자가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은 메탈 더스팅 현상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400 내지 850℃의 온도 및 고압하에서, 합성가스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를 산 처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정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된 탄소나노섬유를 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온 및 고압하에서, 합성가스를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금속의 고온 부식 현상인 메탈 더스팅을 이용하는 것으로, 특히 고압에서의 메탈 더스팅을 이용한다. 상기 메탈 더스팅 과정 중에 플랜트 벽면으로부터 촉매 역할을 하는 금속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연속적으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때, 금속은 플랜트의 재료로 반응 시 벽면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메탈 더스팅(metal dusting)은 탄소 활성도(carbon activity)가 높은 기체가 400 내지 850℃의 온도범위에서 침탄(carburization) 현상에 의해 금속이 분말로 분해되어 금속 분말과 탄소물질의 혼합 분말이 생성되는 현상이다.
메탈 더스팅은 기체가 합성가스인 경우 하기 반응식 1 및 2와 같이 생성되며, 압력이 증가하면 더 낮은 온도에서 메탈 더스팅이 일어난다.
[반응식 1]
CO + H2 → H2O + C
[반응식 2]
2CO → CO2 + C
본 발명은 고압에서의 메탈 더스팅을 이용하여 종래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촉매인 금속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연속적인 탄소나노섬유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즉, 고압하에서, 메탈 더스팅 현상에 의해 지속적으로 금속 분말로 분해되므로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합성가스로부터 탄소나노섬유 분말이 생성된다.
이때,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는 Ni계 금속 또는 Ni계 합금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Ni계 금속 또는 Ni계 합금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니켈 합금은 니켈과, 구리, 철, 코발트, 아연, 칼슘, 망간, 칼륨, 티타늄, 지르코늄, 몰리브데늄, 루테늄, 로듐, 팔라듐, 이리듐, 백금, 세슘, 인듐, 크로늄, 바나듐, 이트륨, 은, 금 및 마그네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금속이 함유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Ni계 금속 또는 Ni계 합금은 관형 물체의 내벽 또는 외벽, 판 및 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형상에 함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Ni계 금속 또는 Ni계 합금은 이들 자체가 관형 물체, 판 및 핀의 형상을 나타내거나,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관형 물체, 판 및 핀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함침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는 메탈 더스팅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조건인 고온 및 고압하에서 수행되며, 상기 온도는 400 내지 850℃이고, 압력은 5 내지 200기압이 바람직하다. 이때, 압력이 높은 경우 낮은 온도에서도 메탈 더스팅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시간은 0.5시간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시간 내지 10 시간이 좋다.
상기 합성가스는 CO 및 H2가 0.1:0.9 내지 0.9:0.1부피비를 유지하며, Ni계 금속 또는 Ni계 합금의 면적 1 m2당 3 Nm3/min 이하(표준상태 기준)의 유량으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이 3 Nm3/mi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생성된 탄소나노섬유가 합성가스에 의하여 운반되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가스는 질량 유량계(mass flow meter)를 이용하여 Ni계 금속 또는 Ni계 합금과 접촉하도록 연속적으로 흘려보내준다.
상기 반응은 역 압력 조절기(back pressure regulator)를 이용하여 반응기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고, 반응기 외부에서 온도 조절기(예, 히터 등)를 이용하여 온도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및 금속 분말을 산 처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정제한다.
상기 산은 금속 분말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염산, 초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강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은 금속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9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처리시간이 길어져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고, 9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기가 급속히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제된 탄소나노섬유를 중화한다. 상기 중화는 정제 과정 시 사용된 산을 제거하는 것으로 물을 이용하여 정제된 탄소나노섬유의 pH가 7 이상이 되도록 세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내경 8 mm 인코넬 600 튜브로 제작된 관형 반응기를 수직으로 설치하였다. 반응기 중간부분에 수정사 1cc로 구성된 고정층을 설치하고 윗부분을 실리카 섬유로 덮었으며 반응기 하단에도 실리카 섬유로 만들어진 플러그를 설치하여 반응기 벽면에서 생성되는 탄소나노섬유가 반응기 벽면으로부터 떨어져 반응기 하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반응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온도를 400℃로 유지하며 3시간동안 99.9% H2를 흘려보낸 후, 400℃에서 CO 50.0%, H2 50.0%인 80cc/분의 합성가스를 투입하여 GHSV 4,800 hr-1을 10.9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기 출구 가스농도는 CH4 3.7%, H2 46.4%, CO 46.1%, CO2 3.1%, C2H4 0.09%, C2H6 0.35%, C3H8 0.17%였다. 수정사 고정층 상단 및 하단에서 탄소나노섬유가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에 질산을 사용하여 금속 분말을 제거한 후, 수세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경 8 mm 인코넬 600 튜브로 제작된 관형 반응기를 수직으로 설치하였다. 반응기 중간부분에 수정사 1cc로 구성된 고정층을 설치하고 윗부분을 실리카 섬유로 덮었으며 반응기 하단에도 실리카 섬유로 만들어진 플러그를 설치하여 반응기 벽면에서 생성되는 탄소나노섬유가 반응기 벽면으로부터 떨어져 반응기 하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반응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온도를 400℃로 유지하며 3시간동안 99.9% H2를 흘려보낸 후, 600℃에서 CO 50.0%, H2 50.0%인 80cc/분의 합성가스를 투입하여 GHSV 4,800 hr-1을 20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기 출구 가스농도는 CH4 36.7%, H2 13.1%, CO 11.4%, CO2 38.9%였다. 수정사 고정층 상단에서 0.15g의 탄소나노섬유가 발견되었으나 고정층 하단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에 질산을 사용하여 금속 분말을 제거한 후, 수세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경 8 mm 인코넬 600 튜브로 제작된 관형 반응기를 수직으로 설치하였다. 반응기 중간부분에 수정사 1cc로 구성된 고정층을 설치하고 윗부분을 실리카 섬유로 덮었으며 반응기 하단에도 실리카 섬유로 만들어진 플러그를 설치하여 반응기 벽면에서 생성되는 탄소나노섬유가 반응기 벽면으로부터 떨어져 반응기 하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반응기 주변에 설치된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온도를 400℃로 유지하며 3시간동안 99.9% H2를 흘려보낸 후, 600℃에서 CO 50.0%, H2 50.0%인 80cc/분의 합성가스를 투입하여 GHSV 4,800 hr-1을 12.3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기 출구 가스농도는 CH4 37.0%, H2 12.6%, CO 11.9%, CO2 38.5%였다. 수정사 고정층 상단에서 0.06g의 탄소나노섬유가 발견되었으나 고정층 하단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 반응으로 얻어진 생성물에 질산을 사용하여 금속 분말을 제거한 후, 수세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도 1은 회수된 탄소나노섬유의 TEM 사진이다.

Claims (8)

  1. 400 내지 850℃의 온도 및 고압하에서, 합성가스 반응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탄소나노섬유를 산 처리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정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된 탄소나노섬유를 중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는 5 내지 200기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는 0.5시간 이상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제조는 Ni계 금속 또는 Ni계 합금이 추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는 CO 및 H2가 0.1:0.9 내지 0.9:0.1부피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는 반응기 면적 1 m2당 3 Nm3/min 이하(표준상태 기준)의 유량으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정제는 염산, 초산 및 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강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중화는 물을 이용하여 pH가 7 이상이 되도록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30126890A 2013-10-24 2013-10-24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45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890A KR101457130B1 (ko) 2013-10-24 2013-10-24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890A KR101457130B1 (ko) 2013-10-24 2013-10-24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130B1 true KR101457130B1 (ko) 2014-10-31

Family

ID=5199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890A KR101457130B1 (ko) 2013-10-24 2013-10-24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1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45B1 (ko) * 2002-03-06 2005-03-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20110131715A (ko) * 2010-05-31 2011-1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섬유의 합성 방법
KR101315486B1 (ko) * 2012-04-03 2013-10-07 (주)썬텔 고전기전도성 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234B1 (ko) * 2012-05-30 2014-03-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전구체로 보강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45B1 (ko) * 2002-03-06 2005-03-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20110131715A (ko) * 2010-05-31 2011-1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섬유의 합성 방법
KR101315486B1 (ko) * 2012-04-03 2013-10-07 (주)썬텔 고전기전도성 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234B1 (ko) * 2012-05-30 2014-03-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전구체로 보강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734B1 (ko) 요오드 화합물 제조시스템 및 제조 방법
JP6673413B2 (ja) フルオロ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
JPH0424320B2 (ko)
EP3033304B1 (en) Processes utilising selectively permeable membranes
KR101804659B1 (ko) 과산화수소 제조용 나노입자 촉매 및 상기 촉매를 이용한 과산화수소 제조 방법
CN107108222A (zh) 利用流化床反应器的cnt纯化方法
Alharthi et al. Cobalt ferrite for direct cracking of methane to produce hydrogen and carbon nanostructure: effect of temperature and methane flow rate
KR101457130B1 (ko)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03318860B (zh) 利用亚磷酸热解生产磷化氢的方法
RU239795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родных нанотруб
JP3628290B2 (ja) 炭化水素の分解による接触的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触媒
CN102001930B (zh) 一氯乙酸生产中催化氢解提纯一氯乙酸的方法及其用途
JP4181297B2 (ja) 有機化合物の電解製造方法及び電解製造用電極
WO2022045327A1 (ja) メタノールの製造方法
KR20140117853A (ko) 고정상 촉매 반응기 형태의 디실란 제조장치
Ando et al. Hydrogen production from ethanol steam reforming over noble metal catalysts supported on SiO2: mechanism of methane production and reaction conditions for suppression of methane production
RU2480405C1 (ru) Углеродный наноструктур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CN107235479B (zh) 磷酸氢根四氨合铂的合成方法
KR101602696B1 (ko) 크기가 제어된 큐브형태의 팔라듐 나노 입자 담지 촉매 및 이를 이용한 과산화수소 직접 생산방법
Kamiguchi et al. Catalytic hydrogenation and dehydrogenation over solid-state rhenium sulfide clusters with an octahedral metal framework
KR20200081387A (ko) 2,3-부탄디올의 연속 제조 방법
CN110078771B (zh) 一种铱催化剂的制备方法
KR20060113628A (ko) 팔라듐 함유 수소화 촉매의 제조 방법
JP5842540B2 (ja) Co2及び/又はcoからのメタンの製造方法及び装置
Zhang et al. Progresses on high-entropy nano-catalysts for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re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