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494B1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494B1
KR101455494B1 KR1020127033100A KR20127033100A KR101455494B1 KR 101455494 B1 KR101455494 B1 KR 101455494B1 KR 1020127033100 A KR1020127033100 A KR 1020127033100A KR 20127033100 A KR20127033100 A KR 20127033100A KR 101455494 B1 KR101455494 B1 KR 10145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wire
tubular member
catheter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818A (ko
Inventor
겐지 모리
다쿠야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카테터 (2) 는, 복수의 루멘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요성의 관상 부재 (4) 와, 복수의 루멘 중 제 1 루멘에 삽입 통과된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와, 복수의 루멘 중 제 2 루멘에 삽입 통과된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를 구비한다. 관상 부재 (4) 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에 제 1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에 제 2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 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만곡 영역 (N) 및 제 2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만곡 영역 (M) 은, 적어도 일부가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제 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로부터의 소정 범위에 직선 영역 (O) 이 형성되고, 당해 직선 영역 (O) 보다 근위측에 만곡 영역 (N) 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카테터 {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체외에 배치되는 근위단측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체강 내에 삽입된 원위단 근방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혈관을 통해서 심장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전극 카테터 등의 카테터에서는,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원위단 (선단) 의 방향이, 체외에 배치되는 카테터의 근위단 (기단 또는 가까운측) 에 장착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편향된다. 카테터를 심장의 내부 등의 원하는 부위에 순조롭게 삽입하기 위해, 카테터의 원위단 근방은 소정의 커브 형상으로 만곡 가능한 것이 요구된다.
복수의 루멘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른바 멀티 루멘 카테터에서는, 종래, 카테터의 중심축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 루멘 내에 조작용 와이어를 삽입 통과시켰다. 그리고, 조작부에 있어서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김으로써, 루멘의 편심 방향, 즉 관상 부재의 중심축에서 어긋난 측에 카테터의 원위단 근방을 만곡시켜, 원위단의 방향을 편향시켰다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88095호
보다 고도의 카테터술에 대응하기 위해, 카테터의 조작성을 높이고자 하는 요구는 항상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심장의 치료 또는 검사로서, 카테터를 대퇴정맥으로부터 삽입하고, 하대정맥으로부터 관상정맥동에 어프로치시키고, 관상정맥동의 내벽을 따라 만곡된 카테터의 선단을 대심장 정맥에 도달시키는 카테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테터술에서는, 카테터를 복잡한 경로에 간단히 통과시킬 수 있도록, 카테터 선단의 만곡 형상의 베리에이션을 늘리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카테터 선단의 만곡 형상의 베리에이션을 늘릴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어느 양태는 카테터이다. 당해 카테터는, 복수의 루멘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요성의 관상 부재와, 복수의 루멘 중 제 1 루멘에 삽입 통과된 제 1 조작용 와이어와, 복수의 루멘 중 제 2 루멘에 삽입 통과된 제 2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하고, 관상 부재는, 제 1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에 제 1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 2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에 제 2 방향으로 만곡되고, 제 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 1 만곡 영역 및 제 2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 2 만곡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관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제 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관상 부재의 원위단부로부터의 소정 범위에 직선 영역이 형성되고, 당해 직선 영역보다 근위측에 상기 제 1 만곡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카테터 선단의 만곡 형상의 베리에이션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양태의 카테터에 있어서, 제 1 만곡 영역과 제 2 만곡 영역은, 최소 곡률 반경이 상이해도 된다. 또한, 직선 영역은, 그 길이가 3∼15 ㎜ 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의 카테터에 있어서, 제 1 조작용 와이어는, 그 원위단부가 관상 부재의 원위단부와 근위단부 사이에서 고정되고, 제 2 조작용 와이어는, 그 원위단부가 관상 부재의 원위단부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양태의 카테터에 있어서, 제 1 조작용 와이어 및 제 2 조작용 와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과 근위단 사이에 형성되고, 당해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가 삽입 통과된 루멘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중공 부분이 당해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제지 (制止) 부재와, 제지 부재보다 원위측의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의 소정 지점에 형성되고, 중공 부분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이동 정지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의 이동 정지부보다 원위측의 부분이, 관상 부재의 제지 부재보다 원위측의 영역에 제지되어도 된다.
상기 양태의 카테터에 있어서, 제지 부재에 의해 이동 정지부가 제지되었을 때, 제지 부재보다 근위측의 관상 부재의 곡률 반경이 제지 부재보다 원위측의 관상 부재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테터 선단의 만곡 형상의 베리에이션을 늘릴 수 있다.
도 1(A)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1(B)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2 는 도 1(A), 도 1(B) 의 A-A 선 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A) 의 B-B 선 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의 와이어 고정 부재 근방의 개략 단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및 제 2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카테터의 제지 부재 근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8 은 제 2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는, 선단 편향 조작이 가능한 전극 카테터로서, 예를 들어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진단 또는 치료, 특히 부정맥의 원인이 되는 이상 전도계를 심강 내로부터 고주파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소작 (燒灼) 하는 카테터 어블레이션 (심근 소작술) 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1(A)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1(B)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 (2) 는,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에 선단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a, 12b) (이하, 적절히 링상 전극 (12a, 12b) 을 총칭하여 「링상 전극 (12)」이라고 한다) 을 갖는다. 선단칩 전극 (10) 은, 예를 들어 접착제나 용융 접합 등에 의해 관상 부재 (4)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링상 전극 (12a, 12b) 은, 예를 들어 관상 부재 (4) 의 외경보다 직경이 큰 금속제의 링이 코킹되어 관상 부재 (4) 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링상 전극 (12) 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관상 부재 (4) 에 삽입 통과 가능한 도선의 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관상 부재 (4) 의 근위단부에는, 조작용 핸들 (6) 이 장착되어 있다. 핸들 (6) 로부터, 선단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a, 12b)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선의 인출선이 인출되어 있다. 또한, 핸들 (6) 에는, 관상 부재 (4) 의 선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 (방향 이동 조작) 을 실시하기 위한 손잡이 (7) 가 장착되어 있다.
관상 부재 (4)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루멘을 갖는 중공 구조를 갖고, 또한, 내통 부재와 외통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 참조). 관상 부재 (4) 는, 원위측이 상대적으로 가요성 (유연성) 이 높고, 근위측이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통 부재는, 원위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재 (I∼III) 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부재 (I∼III) 는, 이 순서로 유연성이 높다. 예를 들어, 부재 (I) 의 쇼어 D 경도의 범위는 20∼63 이고, 부재 (II) 의 쇼어 D 경도의 범위는 45∼72 이고, 부재 (III) 의 쇼어 D 경도의 범위는 55∼80 이다. 이것에 의해, 원위측의 가요성이 높고 근위측의 가요성이 낮아지도록 관상 부재 (4) 를 구성할 수 있다. 또, 관상 부재 (4) 는, 내통 부재와 외통 부재가 일체가 된 구조이어도 된다. 또, 관상 부재 (4) 는, 내통 부재 및/또는 외통 부재가 다층 구조이어도 된다.
관상 부재 (4) 의 주요부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관상 부재 (4) 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0.6∼3 ㎜ 정도이고, 길이는 약 500∼1200 ㎜ 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에 형성된 루멘에는, 선단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a, 12b) 에 각각 접속되는 도선이 절연된 상태로 통하고 있다.
선단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 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금, 백금 등, 전기 전도성 및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또, X 선에 대한 조영성을 양호하게 갖게 하기 위해서는, 선단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 은, 백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칩 전극 (10) 및 링상 전극 (12) 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관상 부재 (4) 의 외경과 동일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0.5∼3 ㎜ 정도이다.
도 2 는, 도 1(A), 도 1(B) 의 A-A 선 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A) 의 B-B 선 상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카테터의 와이어 고정 부재 근방의 개략 단면 사시도이다. 또, 도 4 에서는, 외통 부재 (4b) 와,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의 내통 부재 (4a) 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서는, 내통 부재 (4a) 가 도 1(B) 에 나타내는 X1 방향으로 만곡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상 부재 (4) 는, 복수의 루멘이 형성된 내통 부재 (4a) 와, 내통 부재 (4a) 를 덮는 외통 부재 (4b) 로 이루어진다. 내통 부재 (4a) 는, 외통 부재 (4b) 의 원위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도 5(A), 도 5(B) 참조). 예를 들어, 내통 부재 (4a) 의 길이는 20∼1200 ㎜ 이고, 외통 부재 (4b) 의 길이는 500∼1200 ㎜ 이다. 내통 부재 (4a) 의 외주면과 외통 부재 (4b) 의 내주면은, 서로 밀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내통 부재 (4a) 와 외통 부재 (4b) 의 고정에는, 접착, 용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관상 부재 (4) 에는, 내통 부재 (4a) 의 근위단보다 근위측의 영역에, 관상 부재 (4) 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보강 부재로서 블레이드 (도 5(A), 도 5(B)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및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가 잡아당겨 조작되었을 때에 관상 부재 (4) 의 내통 부재 (4a) 보다 근위측이 만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예를 들어 외통 부재 (4b) 내에 매립되어 있다. 블레이드는, 스테인리스강, 텅스텐, 금, 티탄, 은, 구리, 백금, 또는 이리듐 등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는, 비금속 재료, 예를 들어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 액정 폴리머 섬유 또는 유리 섬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 66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내통 부재 (4a) 에는, 축 방향을 따라, 제 1 루멘 (21), 제 2 루멘 (22), 제 3 루멘 (23), 제 4 루멘 (24), 제 5 루멘 (25), 제 6 루멘 (26)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통 부재 (4a) 에는, 그 중심축을 지나는 위치에 판스프링 (30) 이 매립되어 있다. 판스프링 (30) 은,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탄성을 갖는 판상체이고, 그 원위단이 내통 부재 (4a) 의 원위단부까지 연장되고, 근위단이 내통 부재 (4a) 의 근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판스프링 (30) 에 의해, 관상 부재 (4) 의 만곡 영역에서의 평면성을 높일 수 있다.
제 1 루멘 (21) 은, 판스프링 (30) 을 개재시켜, 바꿔 말하면 관상 부재 (4) 의 중심축을 개재시켜 제 2 루멘 (22) 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루멘 (21) 및 제 2 루멘 (22) 은, 관상 부재 (4) 의 중심축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루멘 (23) 은, 관상 부재 (4) 의 중심축을 개재시켜 제 5 루멘 (25) 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 4 루멘 (24) 은, 관상 부재 (4) 의 중심축을 개재시켜 제 6 루멘 (26) 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루멘 (21) 의 중심축과 제 2 루멘 (22) 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선, 제 3 루멘 (23) 의 중심축과 제 5 루멘 (25) 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선, 및 제 4 루멘 (24) 의 중심축과 제 6 루멘 (26) 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선이, 관상 부재 (4) 의 중심축 위치에서 서로 교차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제 1 루멘 (21) 및 제 2 루멘 (22) 의 직경은, 관상 부재 (4) 의 직경을 R 로 했을 때, 예를 들어 약 0.1 R∼0.60 R 이다. 또한, 제 3 루멘 (23)∼제 6 루멘 (26) 의 직경은, 관상 부재 (4) 의 직경을 R 로 했을 때, 예를 들어 약 0.1 R∼0.60 R 이다.
관상 부재 (4) 의 소정 위치에는, 중간 부재로서 와이어 고정 부재 (100)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통 부재 (4a) 가 소정 위치에서 2 개로 분할되어 있고, 2 개의 내통 부재 (4a) 사이에 와이어 고정 부재 (100) 가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는,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근위측의 내통 부재 (4a) 의 원위단과,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의 내통 부재 (4a) 의 근위단에 맞닿아 있다.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 스테인리스를 들 수 있다.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는, 내통 부재 (4a) 와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갖고,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의 외측은 외통 부재 (4b) 로 피복되어 있다.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에는, 제 1 루멘 (21) 에 대응하여, 제 1 루멘 (21) 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중공 부분 (101) 이 카테터 (2)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중공 부분 (101) 의 내경은, 원위측이 근위측보다 크게 되어 있고, 근위측의 내경이 후술하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고, 원위측의 내경이 후술하는 계지 부재 (110) 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중공 부분 (101) 의 근위측의 개구는,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근위측의 내통 부재 (4a) 에 형성된 제 1 루멘 (21) 의 원위측의 개구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에는, 제 2 루멘 (22) 에 대응하여, 제 2 루멘 (22) 의 내경과 동등한 내경을 갖는 중공 부분 (102) 이 카테터 (2)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중공 부분 (102) 의 근위측의 개구는,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근위측의 내통 부재 (4a) 에 형성된 제 2 루멘 (22) 의 원위측의 개구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중공 부분 (102) 의 원위측의 개구는,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의 내통 부재 (4a) 에 형성된 제 2 루멘 (22) 의 근위측의 개구와 대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의 양측에 배치된 2 개의 내통 부재 (4a) 의 제 2 루멘 (22) 이 중공 부분 (102) 을 개재시켜 연통하고, 2 개의 제 2 루멘 (22) 및 중공 부분 (102) 에 후술하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에는, 제 3 루멘 (23), 제 6 루멘 (26) 의 각각에 대응하여, 중공 부분 (103), 중공 부분 (106) 이 카테터 (2)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중공 부분 (103), 중공 부분 (106) 의 내경은, 각각 제 3 루멘 (23), 제 6 루멘 (26) 의 내경과 동등하다. 중공 부분 (103), 중공 부분 (106) 의 근위측 및 원위측의 개구는,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의 양측에 배치된 2 개의 내통 부재 (4a) 의 제 3 루멘 (23), 제 6 루멘 (26) 과 위치가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2 개의 제 3 루멘 (23) 및 중공 부분 (103) 에 후술하는 도선 (74)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고, 2 개의 제 6 루멘 (26) 및 중공 부분 (106) 에 후술하는 도선 (72)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에는, 제 4 루멘 (24), 제 5 루멘 (25) 의 각각에 대응하여, 중공 부분 (도시하지 않음) 이 카테터 (2)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각 중공 부분의 내경은, 각각 제 4 루멘 (24), 제 5 루멘 (25) 의 내경과 동등하다. 각 중공 부분의 근위측 및 원위측의 개구는,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의 양측에 배치된 2 개의 내통 부재 (4a) 의 제 4 루멘 (24), 제 5 루멘 (25) 과 위치가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2 개의 제 4 루멘 (24) 및 대응하는 중공 부분에 임의의 도선 등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고, 2 개의 제 5 루멘 (25) 및 대응하는 중공 부분에 후술하는 도선 (70) 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제 1 루멘 (21) 에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고, 제 2 루멘 (22) 에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는, 관상 부재 (4) 의 근위단부로부터 와이어 고정 부재 (100) 까지 연장되고,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는, 관상 부재 (4) 의 근위단부로부터 원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길이는 약 490∼1190 ㎜ 이고,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길이는 약 500∼1200 ㎜ 이다.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원위단부에는, 계지 부재 (110) 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부재 (110) 의 외경은, 중공 부분 (101) 의 원위측의 내경과 동등하고, 중공 부분 (101) 의 근위측의 내경보다 크다. 계지 부재 (110) 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와 동일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주위에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주위에 계지 부재 (110) 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땜납 접합, 코킹에 의한 압착 방법, 융착 등을 들 수 있다. 또, 계지 부재 (110) 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와 동일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는, 계지 부재 (110) 의 외주면이 중공 부분 (101) 의 내주면에 접착제로 고정됨으로써, 그 원위단부가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는, 그 원위단부가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와 근위단부 사이에서, 계지 부재 (110) 를 개재하여 관상 부재 (4)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근위단부는,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내는 손잡이 (7) 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2) 는, 손잡이 (7) 를 조작하여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를 잡아당기고, 그 원위단부를 도 1(B) 의 화살표 X1 방향 (제 1 방향) 으로 방향 이동 편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원위단부를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계지 부재 (110) 의 외주면과 중공 부분 (101) 의 내주면의 접착에 한정되지 않고, 계지 부재 (110) 의 외경을 중공 부분 (101) 의 원위측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계지 부재 (110) 를 중공 부분 (101) 에 압입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원위단부에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본체보다 직경이 큰 앵커 (4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칩 전극 (10) 의 내측에는, 오목부 (50)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50) 에 땜납 (60) 이 충전되어 있다.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는, 그 원위단부가 땜납 (60) 에 매립되고, 땜납 (60) 및 선단칩 전극 (10) 에 대하여 고정됨으로써,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 근방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는, 그 원위단부가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에 있어서, 땜납 (60) 및 선단칩 전극 (10) 을 개재하여 관상 부재 (4)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근위단부는 손잡이 (7) 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2) 는, 손잡이 (7) 를 조작하여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를 잡아당기고, 그 원위단부를 도 1(B) 의 화살표 X2 방향 (제 2 방향) 으로 방향 이동 편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원위단부에 앵커 (42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원위단부가 땜납 (60) 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2) 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루멘 (25) 에는, 도선 (70)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도선 (70) 의 원위단부는, 땜납 (60) 에 매립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음). 이것에 의해, 땜납 (60) 을 개재하여 도선 (70) 과 선단칩 전극 (10)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6 루멘 (26) 에 도선 (72)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도선 (72) 의 원위단부는, 관상 부재 (4) 에 형성된 개구부 (도시하지 않음) 를 통과하여 링상 전극 (12a) 에 고정되어 있다. 도선 (72) 의 원위단부는, 예를 들어 용접이나 땜납 등을 사용하여 링상 전극 (12a) 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도선 (72) 과 링상 전극 (12a)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제 3 루멘 (23) 에 도선 (74)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도선 (74) 의 원위단부는, 관상 부재 (4) 에 형성된 개구부 (도시하지 않음) 를 통과하여 링상 전극 (12b) 에 고정되어 있다. 도선 (74) 의 원위단부는, 예를 들어 용접이나 땜납 등을 사용하여 링상 전극 (12b) 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도선 (74) 과 링상 전극 (12b) 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5(A) 및 도 5(B) 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및 제 2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5(A) 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를 잡아당겨 조작하여 카테터 (2) 의 선단을 도 1(B) 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편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 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를 잡아당겨 조작하여 카테터 (2) 의 선단을 도 1(B) 의 화살표 X1 방향으로 편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A) 및 도 5(B) 에서는, 제 1 루멘 (21), 제 2 루멘 (22), 및 내통 부재 (4a) 와 외통 부재 (4b) 의 경계선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가 잡아당겨 조작되면, 관상 부재 (4) 는 도 1(B) 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만곡된다. 여기서,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원위단부는 선단칩 전극 (10) 에 고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원위단부는,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관상 부재 (4) 에는 블레이드 (80)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가 잡아당겨 조작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관상 부재 (4) 의 만곡 영역 (M) (제 2 만곡 영역) 은, 내통 부재 (4a) 의 근위단부로부터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까지가 된다. 즉, 관상 부재 (4) 는, 도 1(B) 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는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로부터의 소정 범위가 만곡된다.
한편,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가 잡아당겨 조작되면, 관상 부재 (4) 는 도 1(B) 의 화살표 X1 방향으로 만곡된다. 여기서,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원위단부는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에 고정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원위단부는,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와 근위단부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즉,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원위단부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원위단부에 대하여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또한, 관상 부재 (4) 에는 블레이드 (80)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가 잡아당겨 조작되었을 때의 관상 부재 (4) 의 만곡 영역 (N) (제 1 만곡 영역) 은, 내통 부재 (4a) 의 근위단부로부터 와이어 고정 부재 (100) 까지가 되고, 만곡 영역 (N) 과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 사이에는 직선 영역 (O) 이 형성된다. 즉, 도 1(B) 의 화살표 X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는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로부터의 소정 범위에 직선 영역 (O) 이 형성되고, 직선 영역 (O) 보다 근위측에 만곡 영역 (N) 이 형성된다. 따라서, 관상 부재 (4) 는, 도 1(B) 의 화살표 X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와 화살표 X2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만곡 영역의 일부가 축 방향으로 어긋난다. 직선 영역 (O) 의 길이는, 예를 들어 5∼15 ㎜ 이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에서는, 도 1(B) 의 화살표 X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만곡 영역 (N) 과, 도 1(B) 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만곡 영역 (M) 은, 적어도 일부가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만곡 영역 (N) 의 원위단 위치와 만곡 영역 (M) 의 원위단 위치가 상이하다. 그리고, 만곡 영역 (N) 의 최소 곡률 반경과 만곡 영역 (M) 의 최소 곡률 반경이 상이하다. 여기서, 「최소 곡률 반경」이란, 관상 부재 (4) 를 최대한 만곡시켰을 때의 각 만곡 영역의 곡률 반경이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선단의 만곡 형상의 베리에이션을 늘릴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카테터 (2) 의 조작성이 향상되어, 카테터 (2) 를 보다 복잡한 경로에 삽입 통과시키는 카테터술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와 같이, 관상 부재 (4) 가 좌우 비대칭인 커브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예를 들어 혈관 내의 병변 부위에 카테터 선단을 어프로치시킬 때, 혈관 내벽에 대한 카테터의 접촉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카테터 (2) 의 자세를 혈관 내에서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병변 부위를 선상 소작하는 경우, 소작 위치가 카테터 선단으로부터 보아 혈관의 안쪽, 즉 원위에 있는 경우에는 커브의 곡률이 작은 측으로 관상 부재 (4) 를 만곡시키고, 소작 위치가 카테터 선단으로부터 보아 근위에 있는 경우에는 커브의 곡률이 큰 측으로 관상 부재 (4) 를 만곡시킴으로써, 카테터를 만곡시켰을 때의 카테터 선단의 이동 거리를 소작 위치에 맞춰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병변 부위가 복수 있는 경우에도, 1 개의 카테터 (2) 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 (2) 에서는, 도 1(B) 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만곡된 경우, 만곡 영역 (N) 의 원위측에 직선 영역 (O) 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는, 도 1(B) 의 화살표 X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 관상 부재 (4) 의 원위단부로부터의 소정 범위에 직선 영역 (O) 이 형성되고, 당해 직선 영역 (O) 보다 근위측에 만곡 영역 (N) 이 형성되고, 도 1(B) 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 만곡 영역 (N) 에 대하여 관상 부재 (4) 의 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어긋난 만곡 영역 (M) 이 형성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예를 들어 심방조동 (AFL) 증례에 대한 어블레이션 수기 (手技) 에서는, 심장 내부의 하대정맥과 삼첨판 사이의 영역인 Isthmus (이스머스) 를 선상으로 소작하는 것이 빈번히 실시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는 카테터가 하대정맥으로부터 심장 내에 삽입 통과되어, 카테터 선단이 삼첨판의 앞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소작이 개시되고, 카테터가 되돌아오면서 소작이 실시됨으로써 삼첨판으로부터 하대정맥을 향하여 Isthmus 에 소작 라인이 형성된다. 이 어블레이션 수기에 있어서, Isthmus 를 선상 소작할 때에는, 선상 소작의 용이성 면에서 카테터는 선단에 직선 영역을 갖는 커브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테터 선단을 삼첨판 부근 (심실측) 에 컨택트시킬 때에는, 컨택트의 용이성 면에서 카테터는 선단까지 만곡된 커브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에서는, 카테터 선단에 직선 영역 (O) 을 갖고, 이 직선 영역 (O) 보다 근위측이 만곡된 형상과, 카테터 선단까지 만곡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선상 소작의 용이성과 컨택트의 용이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는, 선단에 직선 영역을 갖는 커브 형상과 선단까지 만곡된 커브 형상을 전환함으로써, 병변 부위에 대한 컨택트 방법을 전환할 수 있다. 즉, 카테터 선단을 세워 병변 부위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촉시키는 세로 접촉과, 카테터 선단을 눕혀 병변 부위에 대하여 평행하게 접촉시키는 가로 접촉을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카테터 (2) 는, 조작용 와이어에 이동 정지부가 형성되고, 관상 부재에 제지 부재가 형성되어, 조작용 와이어의 잡아당기는 조작에 따라 이동한 이동 정지부가 제지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조작용 와이어의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구조를 구비한 것이다. 이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카테터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카테터에 관해서,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 및 도시는 적절히 생략한다.
도 6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카테터의 제지 부재 근방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제 2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의 카테터의 선단 부분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카테터 (2) 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원위단과 근위단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가 삽입 통과된 제 2 루멘 (22) 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소경 중공 부분이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제지 부재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 고정 부재 (100) 가 제지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의 중공 부분 (102) 은, 그 내경이 제 2 루멘 (22) 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 부분 (102) 이 상기 서술한 소경 중공 부분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에는, 제지 부재로서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의 소정 지점에 이동 정지부 (112) 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 정지부 (112) 의 외경은, 소경 중공 부분으로서의 중공 부분 (102) 의 내경보다 크다. 또한, 이동 정지부 (112) 의 외형은, 제 2 루멘 (22) 의 내경보다 작다. 이동 정지부 (112) 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와 동일 재료 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주위에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주위에 이동 정지부 (112) 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땜납 접합, 코킹에 의한 압착 방법, 융착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동 정지부 (112) 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와 동일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가 잡아당겨 조작되면, 관상 부재 (4) 는 도 1(B) 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만곡된다. 이 때, 이동 정지부 (112) 가 근위측, 즉 제지 부재로서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쪽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동 정지부 (112) 가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쪽으로 이동하는 도중의 단계에서는, 형성되는 만곡 영역 (M) 에서의 관상 부재 (4) 의 곡률 반경은 대략 일정하고, 관상 부재 (4) 의 만곡 부분의 형상은, 소정 반경의 원호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만곡 영역 (M) 은, 전체가 상대적으로 곡률 반경이 큰 만곡 영역 (M1) 이 된다. 또, 이동 정지부 (112) 가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곡률 반경은 서서히 작아진다. 바꿔 말하면, 만곡 영역 (M) 의 형상을 근사하는 원호의 반경이 서서히 작아진다.
또한,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잡아당기는 조작이 진행되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정지부 (112) 가 제지 부재로서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와 접촉하고, 이동 정지부 (112) 의 움직임이 제지된다. 이것에 의해, 이동 정지부 (112) 는,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이동 정지부 (112) 보다 원위측의 부분이, 관상 부재 (4) 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의 영역에 제지된다. 이 상태에서, 추가로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가 잡아당겨 조작되면, 이동 정지부 (112) 가 앵커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근위측의 부분에 있어서 관상 부재 (4) 의 만곡의 정도가 커진다. 바꿔 말하면, 제지 부재로서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근위측의 관상 부재 (4) 의 영역은,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의 관상 부재 (4) 의 영역에 비해 작은 곡률 반경으로 만곡된다. 따라서, 만곡 영역 (M) 은,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이 상대적으로 곡률 반경이 큰 만곡 영역 (M1) 이 되고,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근위측이 상대적으로 곡률 반경이 작은 만곡 영역 (M2) 이 된다. 즉, 카테터 (2) 의 커브 형상이 2 단계가 된다.
또, 카테터 (2) 가 직선상의 상태에 있어서, 카테터 (2) 의 원위단으로부터 제지 부재로서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까지의 거리를 200 ㎜ 로 했을 때,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와 이동 정지부 (112) 의 거리는, 예를 들어 30 ㎜ 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카테터 (2) 에서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 이동 정지부 (112) 가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원위단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앵커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만곡된 카테터 (2) 의 곡률 반경이 제지 부재로서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과 근위측에서 상이하고,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근위측의 카테터 (2) 의 곡률 반경이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원위측의 카테터 (2) 의 곡률 반경보다 작아진다. 그 때문에, 카테터 선단의 만곡 형상의 베리에이션을 더욱 늘릴 수 있고, 그 결과, 카테터 (2) 의 조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형이 가해진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이하의 변형예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새로운 실시형태는, 조합되는 실시형태 및 변형예 각각의 효과를 함께 갖는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2 의 카테터 (2) 에서는, 제지 부재로서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와 이동 정지부 (112) 가 1 세트 형성되어 있지만, 제지 부재와 이동 정지부 (112) 가 2 세트 이상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형성된 정지 부재 및 이동 정지부 (112) 의 세트수에 따라 카테터 (2) 의 커브 형상을 다단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2 의 카테터 (2) 에서는,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에 이동 정지부 (112) 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동 정지부 (112) 가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와이어 고정 부재 (100) 보다 근위측에 제지 부재가 형성되고,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의 와이어 고정 부재 (100) 와 제지 부재 사이의 영역에 이동 정지부 (112) 가 형성된다. 또는, 제 1 조작용 와이어 (40) 및 제 2 조작용 와이어 (42) 의 양방에 이동 정지부 (112) 가 형성되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카테터에 이용할 수 있다.
2 : 카테터,
4 : 관상 부재,
21 : 제 1 루멘,
22 : 제 2 루멘,
40 : 제 1 조작용 와이어,
42 : 제 2 조작용 와이어,
100 : 와이어 고정 부재,
101, 102, 103, 106 : 중공 부분,
110 : 계지 부재,
M, N : 만곡 영역,
O : 직선 영역,
112 : 이동 정지부.

Claims (6)

  1. 복수의 루멘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요성의 관상 부재와,
    상기 복수의 루멘 중 제 1 루멘에 삽입 통과된 제 1 조작용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루멘 중 제 2 루멘에 삽입 통과된 제 2 조작용 와이어와,
    상기 제 1 조작용 와이어 및 상기 제 2 조작용 와이어의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과 근위단 사이에 형성되고, 당해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가 삽입 통과된 루멘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중공 부분이 당해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를 삽입 통과 가능하게 형성된 제지 부재와,
    상기 제지 부재보다 원위측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의 소정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 부분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이동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상 부재는, 상기 제 1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에 제 1 방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제 2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에 제 2 방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를 잡아당겨 조작했을 때, 상기 적어도 일방의 조작용 와이어의 상기 이동 정지부보다 원위측의 부분이, 상기 관상 부재의 상기 제지 부재보다 원위측의 영역에 제지되고,
    제 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 1 만곡 영역 및 제 2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제 2 만곡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관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고,
    제 1 방향으로 만곡되었을 때에 관상 부재의 원위단부로부터의 소정 범위에 직선 영역이 형성되고, 당해 직선 영역보다 근위측에 상기 제 1 만곡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만곡 영역과 상기 제 2 만곡 영역은, 최소 곡률 반경이 상이한 카테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영역은, 그 길이가 3∼15 ㎜ 인 카테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작용 와이어는, 그 원위단부가 상기 관상 부재의 원위단부와 근위단부의 사이에서 고정되고,
    상기 제 2 조작용 와이어는, 그 원위단부가 상기 관상 부재의 원위단부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는 카테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 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정지부가 제지되었을 때, 상기 제지 부재보다 근위측의 상기 관상 부재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지 부재보다 원위측의 상기 관상 부재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카테터.
KR1020127033100A 2010-09-28 2011-06-21 카테터 KR101455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7377 2010-09-28
JP2010217377A JP4897077B1 (ja) 2010-09-28 2010-09-28 カテーテル
PCT/JP2011/003520 WO2012042709A1 (ja) 2010-09-28 2011-06-21 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818A KR20130041818A (ko) 2013-04-25
KR101455494B1 true KR101455494B1 (ko) 2014-10-27

Family

ID=4589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100A KR101455494B1 (ko) 2010-09-28 2011-06-21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897077B1 (ko)
KR (1) KR101455494B1 (ko)
CN (1) CN103124577B (ko)
HK (1) HK1184401A1 (ko)
WO (1) WO2012042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958B1 (ko) * 2014-04-03 2016-06-02 주식회사 원메드텍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KR101652989B1 (ko) * 2014-04-03 2016-09-01 주식회사 원메드텍 영상촬영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JP6653698B2 (ja) * 2014-11-04 2020-02-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操縦可能医療装置及びその中のプルワイヤリング
JP6600468B2 (ja) * 2015-02-24 2019-10-30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CN105258724B (zh) * 2015-09-30 2018-07-13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复合铠装传感器的制作方法
KR101828289B1 (ko) * 2016-11-18 2018-02-13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AU2018320405A1 (en) * 2017-08-24 2020-02-20 Tricares SAS Double steerable sheath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a medical device
WO2021117220A1 (ja) * 2019-12-13 2021-06-17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CN113491816B (zh) * 2021-07-06 2023-06-27 上海康德莱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定位可控弯导丝
CN113893438B (zh) * 2021-10-29 2024-02-20 上海以心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调弯装置、可调弯鞘管及医疗系统
JP2023095379A (ja) * 2021-12-24 2023-07-06 Sbカワスミ株式会社 医療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325B2 (ja) * 1991-11-08 2003-09-2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非対称形状に変化する電極チップを備えたカテーテル
JP3162588U (ja) * 2010-06-25 2010-09-0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先端可動カテーテ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2536B2 (ja) * 2008-04-11 2009-11-11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325B2 (ja) * 1991-11-08 2003-09-22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非対称形状に変化する電極チップを備えたカテーテル
JP3162588U (ja) * 2010-06-25 2010-09-0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先端可動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84401A1 (en) 2014-01-24
CN103124577A (zh) 2013-05-29
JP2012070882A (ja) 2012-04-12
WO2012042709A1 (ja) 2012-04-05
CN103124577B (zh) 2014-09-10
JP4897077B1 (ja) 2012-03-14
KR20130041818A (ko)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494B1 (ko) 카테터
KR101310471B1 (ko) 카테터
JP4362536B2 (ja) カテーテル
JP5784506B2 (ja) 中間部の剛性を備えた移行領域を有する操作可能なカテーテル
WO2011132409A1 (ja) カテーテル
JP4526585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US20190001143A1 (en) Intracardiac defibrillation catheter
KR101246970B1 (ko) 카테터
WO2019156059A1 (ja) 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57393B2 (ja) 先端偏向操作可能カテーテル
JP6456315B2 (ja) 電極カテーテル
US10064679B2 (en) Endoscopic shank instrument
JP5174542B2 (ja) カテーテル
KR101953486B1 (ko) 카테터
JP6200140B2 (ja) 電極カテーテル
WO2021220847A1 (ja) 心臓電位測定用カテーテル
JP5174487B2 (ja) カテーテル
CN116350910A (zh) 医疗介入导管及其加工方法
JP5432932B2 (ja) 電極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