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029B1 -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029B1
KR101454029B1 KR1020080102766A KR20080102766A KR101454029B1 KR 101454029 B1 KR101454029 B1 KR 101454029B1 KR 1020080102766 A KR1020080102766 A KR 1020080102766A KR 20080102766 A KR20080102766 A KR 20080102766A KR 101454029 B1 KR101454029 B1 KR 101454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ntrol
axis
curved surface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244A (ko
Inventor
리펠 안드레아스
헤크너 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9004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05B57/143Vertical axis typ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05B57/265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for looptakers with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6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38Shuttle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의 후크 장치는 보빈 케이스(21)가 제공되는 후크(12)를 포함한다. 케이스 리프터(33)가 제공되고, 이 케이스 리프터(33)는 보빈 케이스(21)의 리프터 캠(31)에 지지될 수 있는 리프터 레버(32)와 후크(12)의 축선(13)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한 제어 곡면(39)과 접촉하는 센서(37)을 포함한다. 케이스 리프터(33)는 후크(12)의 축선(13)에 수직한 축선(35)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어 곡면(39)은 후크(12)의 축선(13) 방향의 센서(37)의 굴절에 적응하도록 후크(12)의 축선(13)으로부터 다양한 반경방향 거리를 가진다.
재봉틀, 후크, 제어 곡면(control curve)

Description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Sewing machine and hook system for a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재봉틀은, 아암, 베이스 플레이트, 바늘 실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아암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하운동을 위해 구동될 수 있는 바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후크 구동축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 구동축에 대면하는 하측부를 포함하는 후크, 상기 후크에 대해 자유로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에 장착되는 것으로 리프터 캠 및 보빈 케이스의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정지상태인 캠과 결합하는 유지 리브를 포함하는 보빈 케이스, 상기 리프터 캠에 지지될 수 있는 리프터 레버 및 스프링에 의해 힘을 받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스 리프터 및 상기 센서가 지지될 수 있는 제어 곡면으로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한 제어 곡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재봉틀의 후크 장치는, 후크 구동축에 의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후크 구동축에 대면하는 하측부를 포함하는 후크, 상기 후크에 대해 자유로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에 장착 되는 것으로 리프터 캠 및 유지 리브를 포함하는 보빈 케이스, 상기 리프터 캠에 지지될 수 있는 리프터 레버 및 스프링에 의해 힘을 받는 센서를 포함하는 케이스 리프터 및 상기 센서가 지지될 수 있는 제어 곡면으로서, 회전 구동이 가능한 제어 곡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럽특허 EP 1 576 224 B1(미국 대응특허 US 6,923,130 B2)로부터 공지된 일반적인 형식의 재봉틀에서, 제어 곡면(control curve)은 비회전 상태의 전동축에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후크의 회전속도의 1/2의 회전속도로 직접 구동된다. 상기 제어 곡면은 축방향 캠 디스크 상에 형성되고, 센서가 가압되는 전단부의 캠표면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특허의 단점은 제어 곡면의 설계와 배치 및 제어 곡면으로부터 보빈 케이스까지의 케이스 리프터의 운동 전달의 규모가 매우 크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크 장치의 설계에 필요한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의 자유도를 높인 재봉틀 및 재봉틀의 후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형식의 재봉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곡면이 후크 구동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 상기 제어 곡면이 제어 디스크의 외주 상에 형성되는 것, 상기 케이스 리프터가 후크 구동축의 축선에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 및 상기 제어 곡면이 후크 구동축의 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센서의 굴절에 적응하기 위해 축선으로부터 다양한 반경 거리(r, r')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 전술한 일반적인 형식의 후크장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곡면이 후크 구동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 상기 제어 곡면이 제어 디스크의 외주 상에 형성되는 것, 상기 케이스 리프터가 후크 구동축의 축선에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 및 상기 제어 곡면이 후크 구동축의 축선의 방향에서 상기 센서의 굴절에 적응하기 위해 축선으로부터 다양한 반경 거리(r, r')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제어 곡면의 축방향 형상이 케이스 리프터가 반경방향으로 피봇운동되는 경우 센서의 축방향 이동에 적응되는 형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 곡면은 후크 구동축의 축선에 평행한 표면 선들(surface lines)에 의해 결정될 뿐 아니라 3차원 구성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센서와 제어 곡면 사이의 점 대 점의 접촉(point-to-point contact )이 확립될 뿐 아니라 후크 구동축의 축선의 방향에 대해 표면 대 표면의 접촉(surface-to-surface contact)이 확립된다. 상기 리프터 샤프트를 후크 드라이브 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하면, 한편으로 센서의 피봇운동이 최적화되도록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리프터 레버의 피봇운동이 최적화되도록 샤프트의 장착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이점 및 세부사항은 도면을 참조한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의 발생이 크게 감소되는 재봉틀 및 재봉틀용 후크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더블 록스티치(double lockstitch) 재봉틀은 통상 상부 아암(1), 수직 스탠드(2) 및 하부 하우징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아암(1)에는 아암 샤프트(4)가 장착되어 있고, 이 아암 샤프트(4)에 의해 바늘(6)을 포함하는 바늘 바아(5)가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구동된다. 또, 실 레버(7)도 아암 샤프트(4)에 의해 구동된다. 또, 실 장력장치(9)는 실 공급체(도시생략)로부터 실 레버(7)를 경유하여 바늘(6)에 이르는 바늘 실(8)의 경로 내에서 실 레버(7)의 전방에 제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소위 포스트(post) 재봉틀이다. 이것은 베이스 플레이트(3) 상에 소위 포스트(10)라고 부르는 수직 지지체가 장착되는 재봉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포스트는 후크 베어링 케이스의 역할을 하고, 그 상단부에는 후크 베어링(11)이 배치되어 있다. 이 후크 베어링(11)에, 수직 후크(12), 즉 더블 록스티치 후크(12)가 수직축선(1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후크 구동축(14)는 후크(12)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수직축선(13)을 중심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 후크 구동축(14)는 베이스 플레이트(3)에 장착되어 있는 통상 베벨 기어로 구성되는 사교 기어(angular gear; 15) 내에 추가로 장착되어 있다. 후크 구동축(14)는 사교 감속 기어(15), 이 사교 감속 기어(15)를 구동하는 트랜스미션 샤프트(16), 이 트랜스미션 샤프트(16)를 동기 벨트 드라이브(17)를 통 해 구동하는 아암 샤프트(4)에 의해 의해 구동된다. 동기 벨트 드라이브(17)는 1:1의 변속비(transmission ratio)를 가진다. 상기 사교 기어(15)는 1:2의 변속비를 가진다. 이것은 아암 샤프트(4) 또는 트랜스미션 샤프트(16)가 각각 1회전 하는 동안에 후크(12)는 2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티치 홀(19)을 구비하는 바늘 플레이트(18)는 후크(12)의 상측의 포스트(10)에 장착되어 있다. 컵형상의 후크(12)는 바늘(6)을 직접 경과하여 바늘 실(8)을 홀딩하는 비이크(beak; 20)를 포함한다. 후크(12) 내에는 보빈 케이스(21)가 배치되어 있고, 이 보빈 케이스(21)는 후크(12)의 회전에 관련하여 수직축선(13)을 중심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상방이 개방되어 있는 상기 보빈 케이스(21)는 유지 리브(retaining rib; 22)를 포함한다. 유지 리브(22)는 축선(1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함과 동시에 바늘 플레이트(18)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해 있다. 이 유지 리브(22)는 단지 몇 도의 회전각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늘 플레이트(18)의 하면 상에 형성되는 2개의 유지 캠(retaining cams; 23, 24)의 사이에 유지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특히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의 횡측 공간(25)이 제1의 유지 캠(23)과 유지 리브(22)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 공간(26)이 유지 리브(22) 및 바늘 플레이트(18)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의 상설 횡측 공간(permanent lateral air gap; 27)이 유지 리브(22) 및 제2의 캠(2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유지 리브(22)의 중앙 위치에서 상기 공간들(25, 26, 27)은 연속 덕트를 형성한다. 보빈 케이스(21) 내에는 보빈 실(28)을 수용함과 동시에 구속 및 구속해제가 가능 한 래치(30)에 의해 상기 보빈 케이스(21) 내에 유지되는 보빈(29)이 배치된다.
보빈 케이스(21)는 그 상연부에 리프터 캠(lifter cam; 31)을 포함한다. 이 리프터 캠은 축선(9)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리프터 레버(lifter lever; 32)와 결합한다. 리프터 레버(32)는 케이스 리프터(33)의 아암을 구성한다. 케이스 리프터(33)는 리프터 레버(32)의 지지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수직한, 즉 축선(13)에 대해 평행한 더블 아암 레버로서 설계되어 있다. 케이스 리프터(33)는 리프터 샤프트(34)를 포함한다. 이 리프터 샤프트(34)는 볼트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축선(13)에 수직한 축선(35)을 중심으로 포스트(10) 내에 장착되어 있고, 리턴 스프링(36)의 힘을 받고 있다. 상기 케이스 리프터(33)의 리프터 샤프트(34)는 베어링(34a)에 장착되고, 이 베어링(34a)은 후크 베어링 케이스로서 작용하는 포스트(11)에 형성되어 있다.
리프터 샤프트(34)의 하측에서, 레버에 의해 형성되는 센서(37)는 케이스 리프터(33)에 부착되어 있다. 후크 구동축(14)에 장착되는 것은 제어 디스크(38)로서, 이 제어 디스크(38)는 그 외주 상에 제어 곡면(39)을 포함하고, 센서(37)는 리턴 스프링(36)의 복귀력을 이용하여 제어 곡면(39)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어 곡면(39)은 제어 디스크(38)의 전체 외주에 걸쳐 폐곡면의 형태로 연장하고, 축선(13)으로부터 다양한 반경 거리를 구비한다. 따라서, 리프터 레버(32)는 후크 구동축(14) 및 후크(12)의 회전 중 왕복운동 및 피봇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 디스크(38)는 클램핑 스크류(38b)에 의해 후크 구동축(14)에 고정되는 고정링(38a)을 포함한다.
후크 구동축(14)를 포함하는 후크(12), 제어 곡면(39)을 포함하는 제어 디스크(38), 보빈 케이스(21) 및 케이스 리프터(33)는 후크 장치를 형성한다.
기본 작동 모드는 케이스 리프터(33)에 대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것과 동일하다. 리프터 레버(32)가 리프터 캠(31)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 보빈 케이스(21)가 후크(12)에 의해 회전방향(40)으로 동반되므로 보빈 케이스(21)의 유지 리브(22)는 제1의 유지 캠(23)에 지지된다. 이 경우, 제2의 횡측 공간(27)은 확장되고, 제1의 횡측 공간은 폐쇄된다. 제어 곡면(39)의 대응하는 형상에 의해, 상기 리프터 레버(32)는 피봇운동됨으로써 리프터 캠(31)과 리프터 레버(32) 사이에 1 내지 1.5 mm의 폭을 가지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후크(12) 및 보빈 케이스(21)의 결합 위치에서, 바늘 실(8)에 의해 형성되는 실 루우프(thread loop)는 비이크(20)에 의해 포획된다. 보빈 실(28)은 래치(latch; 30)를 통해 스티치 홀(stitch hole; 19)로 안내된다. 후크(12)가 회전함에 따라, 제어 곡면(39)도 후크(12)의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방향(40)으로 회전한다.
후크(12)가 회전함에 따라, 바늘 실(8)의 실 루우프는 공지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의 보빈 케이스(21)의 주위를 따라 안내된다. 실 루우프가 후크(12)에 의해 최대로 확장하기 직전, 다시 말하면 정지 상태의 보빈 케이스(21)의 주위를 따라 안내되기 직전, 케이스 리프터(33)의 회전방향(40)의 반대방향의 피봇 운동에 의해, 즉 제어 곡면(39)의 대응하는 형태에 의해 리프터 레버(32)의 피봇 운동이 촉발된다. 유지 리브(22)는 승강하여 제1의 유지 캠(23)으로부터 벗어나고, 유지 리브(22)는 2개의 유리 캠(23, 24)의 사이의 대략 중간 부분에서 이동함으로 써 제1의 횡측 공간(25), 상측 공간(26) 및 제2의 횡측 공간(27)은 연속적 개방 상태가 된다. 바늘 실 루우프는 이들 공간(25, 26, 27)에 의해 형성되는 덕트(duct)를 통해 방해받지 않고 슬라이드할 수 있다.
후크(12)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 레버(32)는 제어 곡면(39)의 연속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피봇운동한다. 리프터 레버(32) 및 리프터 캠(31)의 사이의 공간(41)은 다시 개방되고, 그 결과 실 루우프는 상기 공간(41)을 통해 방해받지 않고 슬라이드함으로써 보빈 케이스(21)로부터 낙하한 다음 보빈 실(28)과 결합하여 더블 록스티치를 형성한다.
후크(12)의 2회전 당 1개의 스티치만 형성되지만 상기 케이스 리프터(33)는 후크(12)의 각 회전 중에 완전한 작동 스트로크(stroke)를 수행한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전술한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곡면(39)은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최대부분(42) 및 최소부분(43)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 곡면(39)은 축선(13)리으로부터 최대 또는 최소의 거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진다. 센서(37)가 최대부분(42)을 경유하여 이동하면, 프터 레버(32)는 굴절되지 않는다. 도 8에 따르면 리프터 레버(32)의 굴절각은 0이 된다. 이것은 도 4 및 도 5의 리프터 레버(32)의 제1의 위치(44)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빈 케이스(21)는 회전방향(40)의 반대방향으로 최대의 가능 범위까지 피봇운동된다. 다시 말하면, 제2의 공간(27)은 최소의 폭을 가진다. 따라서, 제1의 공간(25)은 약 1.5 mm의 최대 폭을 가지고, 폭의 범위는 1.2 ≤ a ≤ 1.8 mm의 범위가 적용된다. 그러나, 센서(37)가 리턴 스프링(36)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제어 곡면(39)의 최소부분(43)을 경유하여 이동하는 경우, 리프터 레버(32)는 제3의 위치(45)에 도달되어 리프터 레버(32)가 리프터 캠(31)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공간(41)이 형성될 때까지 회전방향(40)으로 최대의 가능한 범위까지 피봇운동된다. 보빈 케이스(21)의 유지 리브(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플레이트(18)의 제1의 유지 캠(23)에 지지되어 있다. 센서(37)와 리프터 레버(32)가 축선(35)의 주위를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8에 따른 곡면은 최대부분에 도달하고, 이 때 센서(37)는 제어 곡면(39)의 최소 부분(43)에 접촉된다.
회전방향(40)에 대한 최대 부분(42)의 후방 및 최소 부분(43)의 전방에서, 제어 곡면(39)의 최대부분(42) 및 최소부분(43)의 사이에 천이영역(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영역에서 제어 곡면(39)은 후크 샤프트(14)의 축선(130과 동심을 이루는 대략 원형을 취함으로써 축선(13)으로부터 대략 일정한 거리를 가진다. 센서(37)가 제어 곡면(39)의 천이영역(46)을 경유하여 이동하는 경우, 센서(37) 및 리프터 레버(34)는 실질적으로 피봇운동을 하지 않는다. 이 천이영역(46)은 도 8에서 제2의 위치(47)에 해당한다. 이 천이영역(46)은 대략 유지 리브(22)가 제1의 유지 캠(23)으로부터 거리 b를 가지고 있을 때 개시된다. 상기 거리 b는 0.05 mm ≤ b ≤ 0.15 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b//0.1 mm이다. 이 천이영역(46)을 경유하여 이동시, 센서(37)는 더욱 극감된 속도로 회전하고, 결국 제1의 유지 캠(23)의 유지 리브(22)에 지지되어 정지한다. 이와 같은 부드러운 접촉에 의해 유지 리브(22)와 제1의 유지 캠(23) 사이의 강한 충돌이 방지되므로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다음, 보빈 케 이스(21)의 회전은 중단되지만 센서(37)와 리프터 레버(32)는 더욱 회전된다. 리프터 레버(32)와 리프터 캠(31)의 사이의 공간(41)은 폭(c)이 1.0 mm ≤ c ≤ 1.5 mm될 때까지 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37)는 후크(12)의 축선(1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뿐 아니라 축선(13)에 평행한 방향으로도 비록 작은 거리지만 이동한다. 서(37)과 제어 곡면(39) 사이의 주변 위치만의 표면 대 표면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곡면은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3차원 형상을 가진다. 시 말하면, 축선(13)에 평행한 표면 선들에 의해서만 형성되지 않는다.
센서(37)는 제어 곡면(39)과 표면 대 표면 접촉을 이루는 고내마모성 및 고내열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 센서 헤드(48)를 포함한다. 센서 표면(4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13)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어 곡면(39)의 상당 부분과 접촉한다. 센서 헤드(48)가 제어 곡면(39)의 최대부분(42)에 도달한 경우, 센서 헤드(48)를 포함하는 센서(37)는 축선(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센서 표면(49)은 축선(13)에 대한 각위치(angular position)를 변경한다. 따라서, 제어 곡면(39)은 이 영역에서 후크(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 곡면(39)의 하측연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측연부(51)에 비해 축선(13)으로부터 반경방향의 거리가 더 멀다. 반면, 최소부분(43)의 인접부에서, 센서 헤드(48) 및 센서 표면(49)을 구비하는 센서(37)는 축선(13)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짧다. 따라서, 센서 표면(49)은 축선(13)에 대해 또 하나의 각도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곡면(39)의 하측연부(50) 는 이 영역에서 상측연부(51)에 비해 축선(13)으로부터의 반경방향 거리가 더 짧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방향에서 후크(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일부의 제어 곡면(39a)은 후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반경방향으로 테이퍼를 이루고 있는 일부의 제어 곡면(39b)에 연속적으로 동화(merge)된다. 이 영역은 천이영역(46)에 해당한다.
도 9 내지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것과 동일한 부품은 전술한 것과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였다. 전술한 부품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구성이 약간 달라진 부품에는 전술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에 부호(')를 더하여 표시하였다.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후크 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더블 록스티치용 후크 장치이다. 그러나, 도 1의 것과 달리 전체 후크 장치가 베이스 플레이트(3) 내에 집적되어 있다. 이것은 재봉틀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이 후크 장치는 따라서, 소위 플렛 벳 재봉틀(flat bet sewing machine)을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 장치는 후크 베어링 케이스(52)를 포함하고, 이 후크 베어링 케이스(52)의 하부에는 베벨기어로서 구성된 사교 감속기어(angular reduction gear; 15)가 배치되어 있다. 바늘 플레이트(18)는 후크(12)의 상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 곡면(54)을 포함하는 제어 디스크(53)는 후크 구동축(14')에 대면하는 후크(12)의 하측(55)에 장착된다. 제어 디스크(53)는 평판 디스크이다. 센서 레버로서 설계된 케이스 리프터(33')의 센서(56)는 제어 디스 크(53)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어 곡면(54)에 리턴 스프링(36')의 탄력에 의해 지지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제어 디스크(53)는 후크(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 디스크(53)와 후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디스크(5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2)에 부착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디스크(53)는 후크(12)에 비회전 상태로 연결되고, 드라이버 핀(driver pin; 57)에 의해 후크(12)에 대한 상대적인 각위치에 위치된다. 제어 디스크(53)와 후크(12) 사이에 상대적 각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후크(12) 및/또는 제어 디스크(53)의 하측(55)에는 상호 소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보어(58)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어(58) 내에 드라이버 핀(57)이 삽입되어 제어 디스크(53) 및 제어 곡면(54)의 후크(12)에 대한 상대적인 각 위치가 달성된다.
제어 디스크(53) 및 제어 곡면(54)의 축선(13) 방향의 두께(d)는 2.0 mm ≤ d ≤ 5 mm의 범위로서 매우 얇다. 센서 레버로서 설계된 센서(56)의 축선(13) 방향의 연장부의 치수(e)는 상기 두께(d) 보다 약간 작은 1.5 mm ≤ e ≤ 4.0 mm의 범위이다.
이 실시예에서, 후크(12)는 후크 구동축(14'), 제어 곡면(54)을 포함하는 제어 디스크(53), 보빈 케이스(21), 및 케이스 리프터(33')를 포함하는 후크 장치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의 센서(37)는 또한 최대부분(42'), 이어서 최소부분(43') 및 이들 사이의 천이영역(46')을 경유하여 이동할 때 축선(13)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규모 이동을 수행한다. 이 극박의 평평한 제어 디스크(53)의 제어 곡면(54)은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형상을 가진다. 제어 곡면(54)의 최대부분(42')의 인접부에서, 제어 곡면(54)의 반경방향 거리는 후크(12)의 하측부(55)에 대면하는 상측연부(59)로부터 후크(12)의 하측부(5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하측연부(60)를 향해 증대한다. 최소부분(43')의 인접부에서는 그 반대가 된다.
전술한 양 실시예에서, 상측연부(51, 59)로부터 하측연부(50, 60)에 이르는 두께에 걸친 축선(13)으로부터 제어 곡면(39, 54)까지의 반경(r, r')의 변화는 도면 상에 과장하여 도시하였다. 케이스 리프터(33, 33')의 피봇운동이 비교적 작은 범위에서 이루어지므로 반경(r, r')의 변화도 작다.
도 1은 더블 록스티치 재봉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의 재봉틀의 후크 베어링을 포함하는 후크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제어 곡면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보빈 케이스의 제1의 위치에 있는 도 1의 화살표 IV의 케이스 리프터를 포함하는 후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의 위치에 있는 보빈 케이스 및 바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후크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보빈 케이스의 제2의 위치에 있는 도 4의 후크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보빈 케이스의 제3의 위치에 있는 도 4 및 도 6의 후크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케이스 리프터의 리프터 레버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2의 후크의 변경례의 후크 장치의 부분절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후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의 후크 장치의 제어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어 디스크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후크 상에 형성된 제어 곡면을 포함하는 도 9 및 도 10의 후크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후크 상에 형성된 제어 곡면을 구비하는 도 13의 관련도이다.

Claims (18)

  1. 아암(1);
    베이스 플레이트(3);
    상기 아암(1)에 지지되어 바늘 실(8)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하운동을 위해 구동될 수 있는 바늘(6);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에 장착되어 후크 구동축(14, 14')에 의해 회전방향(40)으로 축선(13)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후크 구동축(14, 14')에 대면하는 하측부(55)를 포함하는 후크(12);
    상기 후크(12)에 대해 자유로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12)에 장착되는 것으로 리프터 캠(31) 및 보빈 케이스(21)의 회전방향(40)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에 대해 정지상태인 캠(23)과 결합하는 유지 리브(22)를 포함하는 보빈 케이스(21);
    상기 리프터 캠(31)에 지지될 수 있는 리프터 레버(32, 32') 및 스프링(36, 36')에 의해 힘을 받는 센서(37, 56)를 포함하는 케이스 리프터(33, 33'); 및
    상기 센서(37, 56)가 지지될 수 있는 제어 곡면(39, 54)으로서, 축선(13)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한 제어 곡면(39, 54)을 포함하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39, 54)은 상기 후크 구동축(14, 14')의 축선(13)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어 곡면(39, 54)은 제어 디스크(38, 53)의 외주 상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리프터(33, 33')는 상기 후크 구동축(14, 14')의 축선(13)에 수직한 축선(35, 35')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어 곡면(39, 54)은 상기 후크 구동축(14, 14')의 축선(13)의 방향으로 상기 센서(37, 56)의 굴절에 적응하기 위해 상기 축선(13)으로부터 다양한 반경거리(r, r')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39, 54)은 비회전 상태로 상기 후크(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39)은 후크 구동축(1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54)은 후크(12)의 하측부(55)에 상기 후크(12)에 대해 비회전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후크 구동축(14)의 축선(13)의 방향으로 두께(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54)은 상기 후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54)을 구비하는 제어 디스크(53)는 상기 후크(12)와 별개의 부품이고, 상기 후크(12)의 하측부(55)에 비회전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54)의 두께(d)는 3.0 mm ≤ d ≤ 5.0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56)는 상기 후크 구동축(14')의 축선(13)의 방향으로 연장부(e)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e)의 길이는 1.5 mm ≤ e ≤ 4.0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56)는 상기 후크 구동축(14')의 축선(13)의 방향으로 연장부(e)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e)의 길이는 1.5 mm ≤ e ≤ 4.0 mm 범위이고, 상기 d와 e의 차이는 1.0 mm ≤ d - e ≤ 1.5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10. 후크 구동축(14)에 의해 축선(13)을 중심으로 회전방향(40)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후크 구동축(14)에 대면하는 하측부(55)를 포함하는 후크(12);
    상기 후크(12)에 대해 자유로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크(12)에 장착되는 것으로 리프터 캠(31) 및 유지 리브(22)를 포함하는 보빈 케이스(21);
    상기 리프터 캠(31)에 지지될 수 있는 리프터 레버(32, 32') 및 스프링(36, 36')에 의해 힘을 받는 센서(37, 56)를 포함하는 케이스 리프터(33, 33'); 및
    상기 센서(37, 56)가 지지될 수 있는 제어 곡면(39, 54)으로서, 회전 구동이 가능한 제어 곡면(39, 54)을 포함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39, 54)은 상기 후크 구동축(14, 14')의 축선(13)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어 곡면(39, 54)은 제어 디스크(38, 53)의 외주 상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리프터(33, 33')는 상기 후크 구동축(14, 14')의 축선(13)에 수직한 축선(35, 35')을 중심으로 피봇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어 곡면(39, 54)은 상기 후크 구동축(14, 14')의 축선(13)의 방향으로 상기 센서(37, 56)의 굴절에 적응하기 위해 상기 축선(13)으로부터 다양한 반경거리(r, r')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39, 54)은 비회전 상태로 상기 후크(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39)은 후크 구동축(1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54)은 후크(12)의 하측부(55)에 상기 후크(12)에 대해 비회전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후크 구동축(14)의 축선(13)의 방향으로 두께(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54)을 구비하는 제어 디스크(53)는 상기 후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스크(53)는 상기 후크(12)와 별개의 부품이고, 상기 후크(12)의 하측부(55)에 비회전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곡면(54)의 두께(d)는 3.0 mm ≤ d ≤ 5.0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56)는 상기 후크 구동축(14')의 축선(13)의 방향으로 연장부(e)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e)의 길이는 1.5 mm ≤ e ≤ 4.0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56)는 상기 후크 구동축(14')의 축선(13)의 방향으로 연장부(e)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e)의 길이는 1.5 mm ≤ e ≤ 4.0 mm 범위이고, 상기 d와 e의 차이는 1.0 mm ≤ d - e ≤ 1.5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후크 장치.
KR1020080102766A 2007-10-20 2008-10-20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 KR101454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0243.7 2007-10-20
DE102007050243A DE102007050243A1 (de) 2007-10-20 2007-10-20 Nähmaschine und Greifer-System für Näh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244A KR20090040244A (ko) 2009-04-23
KR101454029B1 true KR101454029B1 (ko) 2014-10-27

Family

ID=4032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766A KR101454029B1 (ko) 2007-10-20 2008-10-20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50852B1 (ko)
JP (1) JP5183414B2 (ko)
KR (1) KR101454029B1 (ko)
CN (1) CN101413188B (ko)
DE (2) DE102007050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30324A1 (it) * 2013-03-04 2014-09-05 Cm Cerliani S R L Crochet rotativo con capsula per macchina per cucire a punto annodato comprendente mezzi per ridurre i giochi tra capsula e cestello e ridurne la rumorosita'
CN109554832B (zh) * 2017-09-27 2021-07-06 温州市金凯鞋机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双线侧缝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570A (ja) * 1998-04-13 1999-10-26 Juki Corp ミシンのオープナー
JP2002000986A (ja) 2000-05-25 2002-01-08 Duerkopp Adler Ag ミシン
JP2002143588A (ja) 2000-11-14 2002-05-21 Juki Corp 水平釜のオープナー駆動機構
JP2006512121A (ja) 2002-12-28 2006-04-13 デュルコップ アードラ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2148C (de) * 1945-04-18 1953-03-30 Mefina Sa Rueckhaltevorrichtung fuer die Spulenkapsel
DE3244946C1 (de) * 1982-12-04 1984-04-26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Freiumlaufender Greifer fuer Doppelsteppstichnaehmaschinen
DE3446548C1 (de) * 1984-12-20 1986-01-09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m Greifer
DE10025852A1 (de) * 2000-05-25 2001-11-29 Gerd Papajewski Öffnungsmechanismus für das Spulengehäuse einer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570A (ja) * 1998-04-13 1999-10-26 Juki Corp ミシンのオープナー
JP2002000986A (ja) 2000-05-25 2002-01-08 Duerkopp Adler Ag ミシン
JP2002143588A (ja) 2000-11-14 2002-05-21 Juki Corp 水平釜のオープナー駆動機構
JP2006512121A (ja) 2002-12-28 2006-04-13 デュルコップ アードラー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0852A1 (de) 2009-04-22
JP2009101154A (ja) 2009-05-14
JP5183414B2 (ja) 2013-04-17
CN101413188B (zh) 2012-10-10
DE502008001928D1 (de) 2011-01-13
KR20090040244A (ko) 2009-04-23
CN101413188A (zh) 2009-04-22
EP2050852B1 (de) 2010-12-01
DE102007050243A1 (de)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28B1 (ko)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
KR101454029B1 (ko)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
JP2007289692A (ja) ミシンのための糸引出ブレード
US20080216722A1 (en) Sewing machine
KR101086999B1 (ko) 재봉기
EP1828464B1 (en) Horizontal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KR101395445B1 (ko) 록스티치 재봉틀
US20060249063A1 (en) Device for operating several functions of a sewing machine
KR20090040243A (ko) 재봉틀 및 재봉틀용 후크 장치
JP2002143588A (ja) 水平釜のオープナー駆動機構
JP3737584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KR20010107577A (ko) 재봉기
CZ2010134A3 (cs) Ústrojí pro pohon chapace šicího stroje
US4185573A (en) Sewing machine
CN100398718C (zh) 缝纫机的旋梭盖装置
JPH0350871Y2 (ko)
JP2006198163A (ja) ミシン
EP1828466B1 (en) Horizontal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JP2016032603A (ja) ミシン
US1198547A (en) Sewing-machine.
JP2011139830A (ja) ミシン
KR20070086553A (ko) 재봉기용 수평 회전식 후크
JPH1085475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2004181235A (ja) 針受け
JPS63283688A (ja) ミシンの天ビ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