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445B1 - 록스티치 재봉틀 - Google Patents

록스티치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445B1
KR101395445B1 KR1020070037428A KR20070037428A KR101395445B1 KR 101395445 B1 KR101395445 B1 KR 101395445B1 KR 1020070037428 A KR1020070037428 A KR 1020070037428A KR 20070037428 A KR20070037428 A KR 20070037428A KR 101395445 B1 KR101395445 B1 KR 101395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ctual
shuttle
stop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237A (ko
Inventor
리펠 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뒬코프 아들러 악틴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10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6Loop takers, e.g. loopers for overedge-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05B57/265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for looptakers with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록스티치 재봉틀은 재봉 작업 중에 수직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24)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셔틀 실 공급부를 수용하기 위해 보빈 하우징(22)이 내부에 수용되는 셔틀 바디(20)를 포함하는 셔틀(19)을 갖는다. 실 후퇴 블레이드(29)는 셔틀 축(23)에 평행한 선회 축(30)을 중심으로 최초 위치와 실 테이크 업 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보빈 하우징(22)은 제1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37)와 상호작용하는 제1 회전 방지 멈추개(35)에 의하여 재봉 작업 중 회전 방향(24)으로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반대 방향으로는, 보빈 하우징(22)은 제2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40)와 상호작용하는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에 의해 고정된다.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는 실 후퇴 블레이드(29)에 고정된다. 고정 위치에서 위치 고정 장치(41)는 셔틀(19)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 후퇴 블레이드(29)를 최초 위치에 고정한다. 최초 위치에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는 제2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40)와 상호작용한다. 이는 보빈 하우징과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의 실 경로의 영역에서 부품의 전체 공간에 대한 결정적 요구가 한층 적어진다.
재봉틀, 바늘, 샤프트, 크랭크, 캠, 공급기, 기둥

Description

록스티치 재봉틀{LOCKSTITCH SEWING MACHINE}
도 1은 록스티치 재봉틀(lockstitch sewing machine)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 화살표에 따른 재봉틀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I 화살표에 따른 재봉틀의 내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최초 위치에 대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선회한 실 테이크 업 위치(thread take-up position)에서의 실 후퇴 블레이드(thread withdrawal blade)를 도 2와 유사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재봉틀, 특히 한편으로 최초 위치에서 실 후퇴 블레이드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 최초 위치와 실 테이크 업 위치 사이에서 실 후퇴 블레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해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와 커플링된 편향 메커니즘(deflection mechanism)의 부품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따르는 편향 매커니즘의 운동학적 도시를 나타내며 도 6은 최초 위치에서의 편향 메커니즘을 도시하며 도 7은 실 후퇴 블레이드의 실 테이크 업 위치에서의 편향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 후퇴 블레이드의 사시도; 및
도 9는 도 3에 IX-IX 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록스티치 재봉틀(lockstitch sewing machine)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재봉 작업 중에 수직 셔틀 축(shuttle axis)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셔틀 실 공급부(shuttle thread supply)를 수용하기 위해 보빈 하우징(bobbin housing)이 내부에 수용되는 셔틀 바디(shuttle body)를 구비하는 셔틀과; 상기 셔틀 축에 평행한 선회 축을 중심으로 하여 최초 위치와 실 테이크 업 위치(thread take-up position)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는 실 후퇴 블레이드(thread withdrawal blade)를 포함하며, 보빈 하우징은 셔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데, 재봉 작업 중 회전 방향으로는 제1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first bobbin housing counter stop)와 상호작용하는 제1 회전 방지 멈추개(first rotation-preventing stop)에 의하여 방지되며, 회전 반대 방향으로는 제2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와 상호작용하는 제2 회전 방지 멈추개에 의해 방지되는 2개의 실 겹박음질 재봉틀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재봉 기계는 독일 특허 공보 DE 101 17 560 C1호에 개시되어 있다. 재봉 작업 중에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빈 하우징의 하우징 돌출부는 하우징에 고정된 스프링 막대(spring bar)를 가압한다. 회전 반대 방향으로 보빈 하우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빈 하우징의 또 다른 돌출부가 외팔보 암(cantilever arm)의 캠(cam)을 가압한다. 이러한 외팔보 암은 보빈 하우징과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필요로 하며, 이것은 실 회수 플레이드를 위해 가능하지 않다. 이는 값비싼 제조비용을 요구하며, 특히 이러한 영역에 배치된 부품의 특정 경도, 부품의 크기가 극히 제한된다. 또한, 외팔보 암은 바늘 실과 셔틀 실이 안내되는 베이링 플레이트와, 셔틀 실을 공급하는 보빈 하우징 사이에 추가적인 수직 공간을 요구하며, 이는 실 경로에 또 다른 개선을 요구한다. 마침내, 회전 방지 멈추개를 구비한 외팔보 암은, 특히 실 후퇴 블레이드가 최초 위치에 대해 회전되어 실 테이크 업 위치에 있을 때 실 경로를 차단한다.
일반적인 재봉틀은 독일 특허 공보 DE 101 23 075 C1호에 또한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보빈 하우징의 양쪽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방지는 보빈 하우징 상의 지지 핑거(holding finger)에 의하여 달성되며, 상기 보빈 하우징은 수령부(receiver)에 고정되고 이어서 상기 수령부는 베어링 플레이트에 나사 체결된 웹(web) 상에서 형성된다. 독일 특허 공보 DE 101 17 560 C1호의 외팔보 암과 유사하게도, 웹은 전체 공간의 전술한 문제점을 또한 야기한다. 이에 더하여, 지지 핑거를 위한 수령부는 실 경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차단을 야기한다.
보빈 하우징을 위한 회전 방지 장치를 구비한 또 다른 재봉틀은 독일 특허 공보 DE 29 09 659 C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빈 하우징과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의 실 경로의 영역에서 전체 공간에 대한 결정적 요구가 개별 부품에 대해 보다 적게 가해지며, 추가적 으로 만일 가능하다면 특히 실 후퇴 블레이드의 실 테이크 업 위치에서 실 경로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전술한 유형의 재봉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실 후퇴 블레이드에 고정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를 구비한 재봉틀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는데, 위치 고정 장치는 셔틀이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실 후퇴 블레이드를 최초 위치에 고정하는 위치 고정 장치가 고정 위치에서 구비되고, 최초 위치에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가 제2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와 상호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 하우징이 실 후퇴 블레이드 상에서 직접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방지 멈추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인식된다. 반대 방향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외팔보 암 또는 웹이 없으므로, 전체 공간이 절약될 수 있고 이는 다른 부품을 재봉틀의 이러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제2 회전 방지 멈추개는 실 후퇴 블레이드에 고정되어 상기 실 후퇴 블레이드와 함께 강제 회전되므로, 이러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는 실 후퇴 블레이드의 실 테이크 업 위치에서 실 경로를 더 이상 차단하지 않는다. 보빈 하우징은 베어링 플레이트로부터 약간의 수직 거리만큼 떨어져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절삭 공정 이후에 재봉 가공품에 남아있는 실 단부가 짧아지게 하며 추가적으로 실 경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위치 고정 장치는 최초 위치에서의 실 후퇴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보빈 하우징의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실 후퇴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는 특히 소형이다.
실 후퇴 블레이드 상에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와 대향하며 블레이드 기부 바디와 이음매 없이 결합하는 견부(shoulder)는 상기 견부에 의해 실 경로가 차단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실 후퇴 블레이드가 최초 위치로부터 실 테이크 업 위치로의 이동을 준비하는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와 커플링된 편향 메커니즘은, 위치 고정 장치를 고정 위치로부터 실 후퇴 블레이드의 선회가 가능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며 실 후퇴 블레이드가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를 통해 실 테이크 업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실 후퇴 블레이드가 항상 최초 위치에서 해제되는 것을 보장한다.
편향 메커니즘은 회전 관점에서 실 후퇴 블레이드에 견고하게 고정된 선회 레버를 포함하고, 실 후퇴 블레이드 상에서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와 연동(連動)하는 잠금 레버는 관절 결합부를 중심으로 관절로 이어지며, 상기 잠금 레버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며, 위치 고정 장치의 고정 위치에서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한 고정된 제2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며, 제1 고정부는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가 이동하는 중에 제2 고정부에 대하여 실 테이크 업 구동 위치(thread take-up drive position)로 이동하며, 여기서 선회 레버는 관절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잠금 레버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도 한층 적은 수의 부품을 관리하는 동시에 신뢰성 있게 작동한다.
고정부들 중 하나는 폴(pawl)로서 형성되며, 2개의 고정부들 중 다른 하나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핀으로서 형성된다.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는 자유 단부를 구비한 상승 플런저(lifting plunger)를 포함하며, 활주 결합하는 잠금 레버는 적은 비용만을 필요로 한다.
전자석을 포함하는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는 실제로 바람직하다고 입증되었다.
고정 위치에서 잠금 레버와 선회 레버를 한쪽으로 기울게 하는 바이어스 스프링은 편향 메커니즘이 고정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하나의 다리가 잠금 레버를 가압하며 다른 다리가 선회 레버를 가압하는 다리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바이어스 스프링은 비용 효율적이다.
실 후퇴 블레이드는 신장된 둥근 형상을 갖는다. 그 결과, 바늘 실이 특히 루프 형성 중에 바람직하지 않게도 실 후퇴 블레이드 또는 다른 재봉틀 부품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며, 추가로 바늘 실이 실 후퇴 블레이드 주변으로 감기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신장된 둥근 자유 단부를 갖는 실 후퇴 블레이드의 이러한 설계는 보빈 하우징용 회전 방지 장치의 형상과 관계없이 실 경로와의 간섭을 바람직하게도 방지한다. 따라서, 신장된 둥근 자유 단부를 구비한 실 후퇴 블레이드는 다른 재봉틀 부품과 상관없이 본 발명의 별도의 바람직한 주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재봉틀(1)은 상향으로 연장하는 기둥(pillar)(3)을 구비한 기부 플레이트(base plate)(2)와, 모난 암(angled arm)(4)을 구비한다. 상기 암은 헤드(head)(5)에서 종결된다. 암 샤프트(arm shaft)(6)는 회전 가능하게 암(4) 내부에 장착된다. 헤드(5) 내에는, 상기 암 샤프트가 실 레버(thread lever)(8)를 구비 한 크랭크 구동부(crank drive)(7)를 구동시킨다. 크랭크 구동부(7)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헤드(5) 내에 장착된 바늘대(needle bar)(9)에 구동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바늘대는 그 하단부에서 바늘(10)을 구비한다. 바늘(10)은 수직축(11) 상에서 크랭크 구동부(7)에 의해 승강(昇降)될 수 있다. 아이(eye)에서는, 바늘(10)은 실 인장 장치와 실 레버(8)를 통해 보빈(12)에 의해 공급되는 바늘실(13)을 안내한다.
기부 플레이트(2)는 나사에 의해 결속된 베어링 플레이트(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 상에는 재봉 가공품(sewing workpiece)(15)이 안착한다. 베어링 플레이트(14)는 공급기(feeder)(17)를 통과하기 위한 홈(16)을 구비한다. 상기 공급기는 바늘(10)을 통과하기 위한 침 구멍(stitch hole)(18)을 구비한다. 공급기(17)는 기부 플레이트(2) 아래에 배치된 활주 및 상승 전동장치와의 구동 결합부에 공지된 방식으로 배치된다.
베어링 플레이트(14) 아래에는 셔틀 팁(shuttle tip)(21)을 구비한 셔틀 바디(20)를 포함하는 셔틀(19)이 배치된다. 셔틀 실 공급부를 수용하기 위한 컵형 보빈 하우징(22)이 셔틀 바디(20) 내에 장착된다.
셔틀(19)은 수직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재봉 작업 중 회전 방향(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연장한다. 셔틀 바디(20)는 샤프트(25)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기 축은 셔틀 축(23)과 공통 축으로 연장한다. 샤프트(25)는 기부 플레이트(2)에 나사 체결된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샤프트(27)는 기부 플레이 트에 장착되며, 베어링 블록(26) 내부에 배치된 치형 기어링(toothed gearing)에 결합된다. 치차 기어링은 구동 샤프트(27)가 회전될 때 샤프트(25) 상의 셔틀 바디(20)가 2번 회전되도록 1:2의 기어비를 갖는다. 구동 샤프트(27)는 구동 측면에서 벨트 구동기(28)를 통해 암 샤프트(6)에 결합된다.
실 후퇴 블레이드(29)는 셔틀 실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실 후퇴 블레이드(29)는 도 2에 도시된 최초 위치와 도 4에 도시된 실 테이크 업 위치(thread take-up position) 사이에서 셔틀 축(23)에 평행한 선회 축(3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실 후퇴 블레이드(29)는 도 2에 따른 도면의 낫(sickle)을 연상시키는 기본 형상을 가지며, 도 2에 따른 도면의 최초 위치에서의 자유 단부는 보빈 하우징(22) 주변으로 연장한다.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실 테이크 업 위치에서,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테이크 업 그루브(take-up groove)(31)는 그루브 기부측에 절삭날(32)을 구비하며 스티치 구멍(18) 인근에 위치한다. 테이크 업 그루브(31)는 수평으로 연장한 기부 바디(32a)에 대해 수직으로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모난 모서리부(32b)에서 형성된다.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신장된 자유 단부(32c)는 도 2 및 도 4에 따른 평면도에서 원형 단부를 갖는다.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자유 단부(32c)의 길이는 바늘실(13)이 루프 형성 중에 실 후퇴 블레이드 주변을 바람직하게 둘러싸지 않는 결과를 갖는다. 자유 단부(32c)의 원형 형태는 셔틀 실뿐만 아니라 바늘실(13)의 중단되지 않는 실 경로를 가져온다.
고정된 카운터 블레이드(33)는 실 후퇴 블레이드(29)가 실 테이크 업 위치로부터 최초 위치로 선회할 때 반경 방향 암 상의 기부 플레이트(2)에 체결되고 실 절단을 위해 절삭 방식으로 연동한다.
지지 핑거(34)는 보빈 하우징(22)에 일체로 형성된다. 재봉 작업 중에 회전 방향(24)에 있어서, 보빈 하우징(22)은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대하여 제1 회전 방지 멈추개(35)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멈추개는 기부 플레이트(2)에 견고하게 나사 체결되는 외팔보 암(36)의 단부에서 정면으로서 형성된다. 제1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37)는 보빈 하우징(2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회전 방지 멈추개(35)를 압박하며, 상기 제1 회전 방지 멈추개(35)를 향한 지지 핑거(34)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에 따른 도면의 재봉 작업 중에 회전 방향(24)의 반대 방향, 즉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 보빈 하우징은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에 의해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방지개는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자유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멈추개 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면은 하부 견부(39)의 단부 면을 나타내고,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 맞은편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기부 바디(32a)와 합쳐진다. 따라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는 실 후퇴 블레이드(29)에 결속된다.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최초 위치에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는 제2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40)와 상호작용한다. 상기 카운터 멈추개는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를 향하고 제1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37) 대향하는 보빈 하우징(22)의 지지 핑거(34)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셔틀(19)이 재봉 작업 중에 회전 방향(24)으로 회전한다면, 제1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37)에 대한 제1 회전 방지 멈추개(35)의 베어링은 보빈 하우징(22)이 셔틀(19)과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셔틀(19)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자마자, 완전한 바늘 절삭 공정 이후에 재봉 바늘(10)이 상단 위치로 이동되는 때에도 재봉 기계의 조절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재봉 바늘(10)과 재봉 가공품(15)을 위한 베어링 플레이트(14) 사이의 최대 자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40)에 대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의 베어링은 보빈 하우징(22)이 반대 방향으로 셔틀(19)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 핑거(34)에 의하여 멈추개(40, 38)를 통해 실 후퇴 블레이드(29) 상으로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실 후퇴 블레이드(29)가 최초 위치에 고정된다.
최초 위치 내의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이러한 고정은 도 5에서 사시도로 도시된 위치 고정 장치(41)에 의해 수행되며 그 운동 관계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편향 메커니즘(deflection mechanism)(42)이 위치 고정 장치(41) 내부에 존재한다. 상기 편향 메커니즘은 회전 관점에서 실 후퇴 블레이드(29)(도 5에 미도시)에 견고하게 결합된 선회 레버(43)를 견고하게 장착된 샤프트(44)를 통해 구비한다. 샤프트(44)는 선회 축(30)과 동축으로 연장한다. 선회 레버(43)는 선회 축(30)에 평행한 관절(46)의 축을 구비한 관절 결합부(45)를 통해 잠금 레버(47) 상에서 관절로 이어진다. 잠금 레버(47)는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49)의 상승 플런저(48)와 활주 결합한다. 이를 위해, 잠금 레버(47)는 캠(47a)을 통해 상승 플런저(48)를 압박한다. 전자석으로 형성된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49)는 한편으로 실 후퇴 블레이드(29)를 최초 위치로부터 실 테이크 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위치 고정 장치(41)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위치 고정 장치(41)로부터 도 7에 도시된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선회가 가능하다. 잠금 레버(47)는 폴(pawl)(50)로서 형성된 제1 고정부를 구비하며, 이것은 기부 플레이트(2)에 결속된 고정핀(51)으로 형성된 제1 고정부(50)에 결합하는 고정된 제2 고정부에 대해 위치 고정 장치(41)의 고정 위치에 고정된다. 도 7은 위치 고정 장치(41)의 해제의 위치에서 핀(51)으로부터 분리된 폴(pawl)(50)을 도시한다.
잠금 레버(47)와 선회 레버(43)는 위치 고정 장치(41)의 고정 위치에서 바이어스 스프링(bias spring)(52)에 의해 한쪽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은 다리 스프링(leg spring)으로 구성되며, 다리 스프링의 하나의 다리(53)는 잠금 레버(47)에 대해 가압하며 다른 다리(54)는 선회 레버(43)에 결속된 핀(55)을 가압한다. 바이어스 스프링(52)은 다리(53, 54) 사이에서 잠금 레버(47)에 고정된 저널(journal)(55a)을 중심으로 감긴다.
특히,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팔보 암(36)은 지지 핑거(34)를 구비한 보빈 하우징(22)을 상향으로 약간 넘어서 제1 회전 방지 멈추개(35)와 함께 돌출한다. 이는 실 후퇴 블레이드(29)와 보빈 하우징(22)의 상면 사이에 최소 중간 공간만이 존재하도록 보빈 하우징(22)이 배치된다. 이것은 절삭날(32)이 침 구멍(18)에 매우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하므로, 절삭 공정 이후에 재봉 가공품(15)의 하부에 존재하는 실 단부가 짧다. 추가적으로, 보빈 하우징(22)의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셔틀 실과 바늘실(13)의 실 통로가 셔틀(19)에 의하여 루프 형성 중에 향 상된다.
재봉틀(1)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정상 재봉 작업 중에 실 후퇴 블레이드(29)는 최초 위치에 있으며 위치 고정 장치(41)는 고정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보빈 하우징(22)은 회전 방지 멈추개(35, 38)에 의하여 고정되고,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37, 40)는 양 방향으로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대해 고정된다. 셔틀(19), 루프 형성 및 셔틀 실의 매듭에 의하여 공지된 방식으로 재봉 실(13)은 겹박음질로 이어진다.
실 절삭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서,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49)가 작동되므로 상승 플런저(48)가 움직인다. 상승 플런저(48)는 도 6 및 도 7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7a)을 아래로 누른다. 상승 플런저(48)의 누르는 힘은 잠금 레버(47)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관절 결합부(45)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이것은 상승 플런저(48) 대향의 잠금 레버(47)의 표면이 선회 헤버(43)를 압박할 때까지 바이어스 스프링(52)의 편력(biasing force)에 대항하여 수행된다. 이와 동시에, 폴(pawl)(50)은 편향 메커니즘(42)의 위치가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핀(51)으로부터 분리된다. 제2 고정부(51)의 분리된 위치는 실 테이크 업 구동 위치를 나타내며, 여기서 실 후퇴 블레이드(29)는 최초 위치 외부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선회 레버(43)는 도 6에 따른 위치에 대해 샤프트(44)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은 선회 레버(43)에 견고하게 결합된 롤러 레버(57)에 부착되는 롤러(56)가 축 캠(axial cam)(58)과 롤링 접촉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상기 축 캠은 회전의 관점에서 구동 샤프트(27)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위치 고정 장치(41)의 해제의 위치에서 축 캠(58) 상에서 롤러(56)를 롤링함으로써, 그로 인해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회전 운동이 도 2에 따른 최초 위치로부터 먼저 힘을 받아서 도 4에 따른 실 테이크 업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실 테이크 업 위치에서, 셔틀 실과 바늘실(13)이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테이크 업 그루브(31)로 진입한다. 이어서, 축 캠(58) 상에서의 롤러(56)의 롤링 접촉은 실 테이크 업 위치로부터 최초 위치로 실 후퇴 블레이드(29)의 복귀를 강제한다. 이러한 복귀에 있어서, 실은 카운터 블레이드(33)와 절삭날(32)의 연동에 의해 절단된다. 상승 플런저(48)의 완전한 복귀와 함께 이러한 복귀 이후에는, 바이어스 스프링(52)은 폴(50)이 핀(51)에 다시 결합할 때까지 선회 레버(43)로부터 다시 멀어지는 잠금 레버(47)의 캠(47a)을 가압한다.
실 절삭 공정 중에는, 재봉 작업 동안의 회전 방향과 반대인 보빈 하우징(22)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불필요하다.실 후퇴 블레이드(29)가 실 테이크 업 위치에 있는 한, 견부(39)가 셔틀 실과 바늘 실(13)의 실 경로를 가로막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 하우징과 베어링 플레이트 사이의 실 경로의 영역에서 전체 공간에 대한 결정적 요구가 개별 부품에 대해 보다 적게 가해지며, 특히 실 후퇴 블레이드의 실 테이크 업 위치에서 실 경로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Claims (10)

  1. - 재봉 작업 중에 수직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24)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셔틀 실 공급부를 수용하기 위해 보빈 하우징(22)이 내부에 수용되는 셔틀 바디(20)를 포함하는 셔틀(19); 및
    - 상기 셔틀 축(23)에 평행한 선회 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최초 위치(도 2)와 실 테이크 업 위치(도 4)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는 실 후퇴 블레이드(29)를 포함하며,
    - 상기 보빈 하우징(22)은 셔틀 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데, 재봉 작업 중 회전 방향(24)으로는 제1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37)와 상호작용하는 제1 회전 방지 멈추개(35)에 의하여 방지되며, 반대 방향으로는 제2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40)와 상호작용하는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에 의해 방지되는, 록스티치 재봉틀(1)에 있어서,
    -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는 실 후퇴 블레이드(29)에 고정되고,
    - 셔틀(19)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고정 위치(도 6)에서 초기 위치(도2)의 실 후퇴 블레이드(29)를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 장치(41)가 제공되며 초기 위치에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는 제2 보빈 하우징 카운터 멈추개(40)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는 실 후퇴 블레이드(29)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1항에 있어서,
    실 후퇴 블레이드(29) 상에서 제2 회전 방지 멈추개(38) 반대편 견부(39)는 블레이드 기부 바디(32a)와 이음매 없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제1항에 있어서,
    실 후퇴 블레이드(29)를 최초 위치로부터 실 테이크 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준비하기 위해 위치 고정 장치(41)를 고정 위치로부터 실 후퇴 블레이드(29)가 선회할 수 있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49)와 커플링된 편향 메커니즘(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4항에 있어서,
    편향 메커니즘(42)은 회전의 관점에서 실 후퇴 블레이드(29)에 고정되는 선회 레버(43)를 포함하고, 실 후퇴 블레이드 상에서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49)와 연동하는 잠금 레버(47)는 관절 결합부(45)를 중심으로 관절로 이어지며, 상기 잠금 레버(47)는 제1 고정부(50)를 포함하며, 위치 고정 장치(41)의 고정 위치에서 제1 고정부는 제1 고정부(50)와 결합한 고정된 제2 고정부(51)에 의해 위치가 지지되며, 제1 고정부(50)는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49)가 이동하는 중에 제2 고정부(51)에 대하여 실 테이크 업 구동 위치로 이동하며, 여기서 선회 레버(43)는 관절 결합부(45)를 중심으로 잠금 레버(47)에 대해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6. 제5항에 있어서,
    2개의 고정부(50, 51) 중 하나는 폴(pawl)(50)로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고정부(50, 51) 중 다른 하나는 핀(51)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7. 제4항에 있어서,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49)는 자유 단부를 구비한 상승 플런저(48)를 포함하며, 그 자유 단부는 잠금 레버(47)가 활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8. 제4항에 있어서,
    실 후퇴 블레이드 구동부(49)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9. 제5항에 있어서,
    바이어스 스프링(52)은 고정 위치에서 잠금 레버(47)와 선회 레버(43)를 한쪽으로 기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10. 제9항에 있어서,
    바이어스 스프링(52)은 다리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며, 하나의 다리(53)가 잠금 레버(47)를 가압하고 다른 다리(54)가 선회 레버(43)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70037428A 2006-04-21 2007-04-17 록스티치 재봉틀 KR101395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9193A DE102006019193A1 (de) 2006-04-21 2006-04-21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DE102006019193.5 2006-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237A KR20070104237A (ko) 2007-10-25
KR101395445B1 true KR101395445B1 (ko) 2014-05-14

Family

ID=3822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428A KR101395445B1 (ko) 2006-04-21 2007-04-17 록스티치 재봉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847642B1 (ko)
JP (1) JP2007289691A (ko)
KR (1) KR101395445B1 (ko)
CN (2) CN101058926B (ko)
AT (1) ATE526444T1 (ko)
DE (1) DE102006019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1227B2 (en) * 2007-11-20 2009-09-22 Alberto Landoni Systems and methods for thread handling and/or cutting
TWM365364U (en) * 2009-03-12 2009-09-21 Chee Siang Ind Co Ltd Automatic thread-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DE102015223194B3 (de) * 2015-11-24 2017-02-23 Dürkopp Adler AG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kurzem Soll-Nahtüberstand sowie Baugrupp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17201929A1 (de) 2017-02-08 2018-08-09 Dürkopp Adler AG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sowi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geringen Soll-Nahtüberstand
DE102017207627A1 (de) * 2017-05-05 2018-11-08 Dürkopp Adler AG Baugruppe zum Erzeugen eines Naht-Anfangsoberfadens mit einem Soll-Nahtüberst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7560C1 (de) * 2001-04-07 2002-07-25 Duerkopp Adler Ag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r Drehsicherung für ein Spulengehäuse
DE10123075C1 (de) * 2001-05-11 2002-10-10 Duerkopp Adler Ag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r Fadenabschneid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6738C3 (de) * 1976-04-15 1979-03-29 Due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umlaufendem Greifer
DE2909659A1 (de) * 1979-03-12 1980-09-25 Kochs Adler Ag Doppelsteppstichnaeh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m ergaenzen des unterfadenvorrates
DE3208159C2 (de) * 1982-03-06 1984-03-01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Fadenschneideeinrichtung an Doppelsteppstich-Nähmaschinen
DE3446547C1 (de) * 1984-12-20 1986-01-09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m Greifer
CN2234963Y (zh) * 1995-04-08 1996-09-11 顾飞龙 链形缝法缝纫机用的切线器
JP4199375B2 (ja) * 1999-05-07 2008-12-17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
DE10035819C1 (de) * 2000-07-22 2001-11-15 Duerkopp Adler Ag Greifer für eine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r Fadenabschneidvorrichtung
CN1097651C (zh) * 2000-09-08 2003-01-01 高林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上叉线切线装置
JP2004073239A (ja) * 2002-08-09 2004-03-11 Hashima:Kk 縫製機における下糸供給管理装置
DE102004016836B3 (de) * 2004-04-01 2005-05-25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CN2734800Y (zh) * 2004-09-22 2005-10-19 张家港伸兴机电有限公司 缝纫机的下线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7560C1 (de) * 2001-04-07 2002-07-25 Duerkopp Adler Ag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r Drehsicherung für ein Spulengehäuse
DE10123075C1 (de) * 2001-05-11 2002-10-10 Duerkopp Adler Ag Doppelsteppstichnähmaschine mit einer Fadenabschneid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89691A (ja) 2007-11-08
CN101058926A (zh) 2007-10-24
CN101058922A (zh) 2007-10-24
EP1847642B1 (de) 2011-09-28
ATE526444T1 (de) 2011-10-15
DE102006019193A1 (de) 2007-10-25
EP1847642A1 (de) 2007-10-24
KR20070104237A (ko) 2007-10-25
CN101058926B (zh) 2012-08-08
CN101058922B (zh)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651B1 (ko) 재봉틀용 실 후퇴 블레이드
KR101395445B1 (ko) 록스티치 재봉틀
EP2034074B1 (en) Thread cutt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WO2007088708A1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形成方法及びミシン
US4098208A (en) Sewing machine having a device for initiating the movement of the thread catcher of a thread cutting device
US7565873B2 (en) Sewing machine
KR101419409B1 (ko) 재봉기
KR101454028B1 (ko) 재봉틀 및 재봉틀을 위한 후크 장치
CZ21253U1 (cs) Automatické zarízení na stríhání nití šicího stroje
KR101086999B1 (ko) 재봉기
JP2009066127A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S5838595A (ja) 本縫いミシン
US5433159A (en) Horizontal rotating hook for sewing machine
JP5183414B2 (ja) ミシン及びミシン用フックシステム
JP4536508B2 (ja) 針棒駆動装置
CN100436691C (zh) 双锁式针迹缝纫机
US6182589B1 (en) Driving apparatus for an oscillating catcher of a sewing machine
JPH0719434Y2 (ja) ミシン
CN108625052B (zh) 缝纫机
JP2007020842A (ja) ミシンの垂直回転釜
US296106A (en) Sewing machine
JP2005296300A (ja) ミシンの垂直回転釜
JP2006239389A (ja) ミシンの垂直回転釜
EP0066410A1 (en) Thread cut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H043519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