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374B1 - 치과용 석고모형 - Google Patents

치과용 석고모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374B1
KR101453374B1 KR1020140021021A KR20140021021A KR101453374B1 KR 101453374 B1 KR101453374 B1 KR 101453374B1 KR 1020140021021 A KR1020140021021 A KR 1020140021021A KR 20140021021 A KR20140021021 A KR 20140021021A KR 101453374 B1 KR101453374 B1 KR 101453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support portion
lower support
fixed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두석
Original Assignee
(주) 디케이 문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케이 문교 filed Critical (주) 디케이 문교
Priority to KR102014002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374B1/ko
Priority to PCT/KR2015/001615 priority patent/WO2015126152A1/ko
Priority to CN201510085348.XA priority patent/CN104856777B/zh
Priority to US14/629,291 priority patent/US964268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93Workpiece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치과용 석고모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치과용 석고모형은 상부몸체(41)와 하부지지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몸체(41)는 말굽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곧 다음단계인 절삭공정에서 절삭시간이 짧아지게 미리 상부몸체(41)를 치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해두는 것이며, 상기 하부지지부(42)에는 상부몸체(41)가 조립 내지 분해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CAM 절삭가공기에서 치아모형을 가공시 간편하게 절삭할 수 있고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석고모형{dental gypsum model}
본발명은 치과용 석고모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모형을 가공할 수 있는 치과용 석고모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성형을 위해, 성형된 치과용 석고판을 CAM절삭기계에서 가공하여, 치아모형을 제작하는 종래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상기 CAM절삭기계에서 사용되는 석고판에 대하여,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87411호에는 칼슘계 물질에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를 배합시킨 상형성용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는 상기 칼슘계 물질과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2 중량부~8 중량부의 함량으로 배합되는 상형성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53918호에는 기능성 성분으로서 다공성 물질, 무기 섬유 및 유해물질 분해제를 포함하며, KS F 2611에 따라 시험할 때 흡습량 40 g/㎡ 이상, 방습량 30 g/㎡ 이상이며, 0.6~2 g/cm3의 부피비중을 가지며, 다공성 물질이 활성백토, 규조토, 와카나이 규조토, 플라이애쉬, 폐산성 백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고보드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석고판을 CAM으로 가공하는 것에 대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29848호에는 모형 및 구강 스캔을 이용한 캐드, 캠 치과 보철물 제작 교육방법에 있어서, 치과에서 온 인상체에 석고를 부어 양형에 형상을 만들고 그 모형을 Dental 전용 스캐너에 넣어 모형을 3차원 디지털 형상으로 변환시키는 덴탈 스캐닝 단계 교육; 덴탈 스캐닝 단계에서 변환시킨 디지털 형상을 가지고 Dental 전용 CAD Software를 이용하여 코핑 디자인을 하는 덴탈 코핑 디자인 단계 교육; 3차원 CAD 디자인 작업이 끝난 디지털 형상을 CAM 신호 변환 작업을 통해 NC코드로 변화된 자료가 Dental 전용밀링머신(Milling Machine)로 전송되고 밀링머신은 전송받은 NC코드의 명령에 맞게 절,연삭 가공을 하여 코핑을 제작하는 덴탈 코핑 제작 단계 교육; 절,연삭 가공된 코핑을 소결로에 넣어 소결하여 최종 코핑을 완성하는 덴탈 코핑 소결 단계 교육; 최종 소결과정을 거친 최종 코핑을 수작업으로 치아의 형태나 광택 등을 수정해주어 최종 보철물을 완성하는 코핑 교정 단계 교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및 구강 스캔을 이용한 캐드, 캠 치과 보철물 제작 교육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CAM 절삭가공기에서 사용하는 치과용 석고모형은 원판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치아모형을 깍기에 시간이 걸리므로 생산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발명은 CAM 절삭가공기에서 치아모형을 가공시 간편하게 절삭할 수 있고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치과용 석고모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치과용 석고모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치과용 석고모형은 상부몸체(41)와 하부지지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몸체(41)는 말굽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곧 다음단계인 절삭공정에서 절삭시간이 짧아지게 미리 상부몸체(41)를 치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해두는 것이며, 상기 하부지지부(42)에는 상부몸체(41)가 조립 내지 분해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CAM 절삭가공기에서 치아모형을 가공시 간편하게 절삭할 수 있고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치과용 석고모형 분해도
도 2는 본발명 치과용 석고모형 조립도
도 3은 본발명 다른 실시례 치과용 석고모형 분해도
도 4는 본발명 다른 실시례 치과용 석고모형 조립도
도 5는 본발명 치과용 석고모형 하부지지부 평면도
본발명은 치과용 석고모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치과용 석고모형은 상부몸체(41)와 하부지지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몸체(41)는 말굽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곧 다음단계인 절삭공정에서 절삭시간이 짧아지게 미리 상부몸체(41)를 치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해두는 것이며, 상기 하부지지부(42)에는 상부몸체(41)가 조립 내지 분해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41)는 말굽형상을 이루기 위한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치과용 석고블록 사시도, 도 1은 본발명 치과용 석고모형 분해도, 도 2는 본발명 치과용 석고모형 조립도, 도 3은 본발명 다른 실시례 치과용 석고모형 분해도, 도 4는 본발명 다른 실시례 치과용 석고모형 조립도, 도 5는 본발명 치과용 석고모형 하부지지부 평면도이다.
본발명의 치과용 석고모형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만들고자 하는 블록의 크기와 두께에 맞는 성형틀을 준비한다. 원하는 색상에 맞추어진 원자재를 혼합하되, 원료는 반수석고, 아크릴수지, 착색제를 포함한다.
상기 치과용 석고모형 원료는 반수석고 92 ~ 96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수지 3 ~ 7 중량부, 착색제 0.5 ~ 2 중량부로 혼합된다. 반수석고가 92중량부 미만일 경우, 경도나 강도가 약해지고, 96중량부를 초과하면 너무 딱딱해져 가공하기 어렵게 되며 가공시 부스러지기 쉽다. 아크릴수지는 접착제로 액체상태로 사용되며, 3중량부 미만일 경우 성형이 잘되지 않으며 7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치과용 석고블록이 경도나 강도가 약해진다. 착색제는 0.5중량부 미만이면 착색효과가 약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색상이 너무 짙어져 혼탁해지며, 상대적으로 치과용 석고블록의 경도나 강도가 약해지며, 또한 성형이 잘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혼합된 혼합원료는 물과 바이브레이터로 진공교반하여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성형틀에 주입한다.
주입된 혼합물이 40 내지 50분 정도가 지나서 경화가 완료되면 성형틀에서 탈형한다.
탈형된 블록의 수분을 제거하기 이하여 건조로에 넣고 건조시킨다. 건조온도는 60℃, 건조시간은 24시간 정도이다.
블록에 불순물이나 흠이 있는지 확인 후 포장한다.
실시례를 기재하면 아래와 같다.
만들고자 하는 모형의 크기와 두께에 맞는 성형틀을 준비한다. 원하는 색상에 맞추어 석고모형 원료는 반수석고 94중량부, 아크릴수지 5 중량부, 착색제 1 중량부를 관용의 혼합기에 투입하고 물 25중량부를 혼합한 후, 바이브레이터로 진공교반한다. 그리고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성형틀에 주입한다.
주입된 혼합물이 45분 정도가 지나서 경화가 완료되면 성형틀에서 탈형한다.
탈형된 블록의 수분을 제거하기 이하여 건조로에 넣고 건조시킨다. 건조온도는 60℃, 건조시간은 24시간이다.
모형에 불순물이나 흠이 있는지 확인 후 포장한다.
본발명 치과용 석고모형은 상부몸체(41)와 하부지지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몸체(41)는 말굽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곧 다음단계인 절삭공정에서 절삭시간이 짧아지게 미리 상부몸체(41)를 치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해두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부(42)에는 상부몸체(41)가 조립 내지 분해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지지부는 스텐레스와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하부지지부는 원판형상에 상부몸체가 안치될 수 있게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구멍에 상부몸체가 안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에는 나사구멍이 천공된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과 상기 상부몸체 전면 사이에는 고정판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턱에 나사결합되는 두 개의 나사 끝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말굽형의 양끝단의 내측에 각각 접촉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몸체는 하부지지부 내부에서 전면은 두 개의 나사와 하부지지부의 구멍 좌우측 내벽에 접촉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후면은 하부지지부 내부에 형성된 구멍 후방 내벽과 접촉하여 고정되므로 절삭시에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41)는 말굽형상을 이루기 위한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위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지지부(42)는 상부몸체(41)가 안치될 수 있게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상부몸체인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가 안치된다.
상기 하부지지부(42)에는 나사구멍이 천공된 고정턱(5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51)과 상기 상부몸체(41)인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 전면 사이에는 고정판(52)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턱(51)에 나사결합되는 두 개의 나사 끝단이 상기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의 양끝단의 내측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곧, 상기 상부몸체(41)에서 좌측 장방형 막대(43)는 하부지지부(42) 내부에서 좌측나사와 하부지지부(42)의 구멍 좌측 내벽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후면은 하부지지부(42) 내부에 형성된 구멍 내벽과 접촉하여 고정되고, 상기 상부몸체(41)에서 우측 장방형 막대(43)는 하부지지부(42) 내부에서 우측나사와 하부지지부(42)의 구멍 우측 내벽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후면은 하부지지부(42) 내부에 형성된 구멍 내벽과 접촉하여 고정되므로 절삭시에도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CAM 절삭가공기에서 치아모형을 가공시 간편하게 절삭할 수 있고 가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프레임 40 : 치과용 석고모형
41 : 상부몸체 42 : 하부지지부
51 : 고정턱 52 : 고정판
43 : 장방형 막대

Claims (2)

  1. 치과용 석고모형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석고모형은 상부몸체(41)와 하부지지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몸체(41)는 말굽형상으로 형성하여, 절삭공정에서 절삭시간이 짧아지게 미리 상부몸체(41)를 치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해두는 것이며, 상기 하부지지부(42)에는 상부몸체(41)가 조립 내지 분해되게 결합되되, 원판 형상에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상부몸체가 안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부(42)에는 나사구멍이 천공된 고정턱(5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51)과 상기 상부몸체(41) 전면 사이에는 고정판(52)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턱(51)에 나사결합되는 두 개의 나사 끝단이 상기 상부몸체(41)의 말굽형의 양끝단의 내측에 각각 접촉하므로, 상기 상부몸체(41)는 하부지지부(42) 내부에서 전면은 두 개의 나사와 하부지지부(42)의 구멍 좌우측 내벽에 접촉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후면은 하부지지부(42) 내부에 형성된 구멍 후방 내벽과 접촉하여 고정되므로 절삭시에도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석고모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41)는 말굽형상을 이루기 위한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지지부(42)는 상부몸체(41)가 안치될 수 있게 구멍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 상부몸체인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가 안치되되,
    상기 하부지지부(42)에는 나사구멍이 천공된 고정턱(5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51)과 상기 상부몸체(41)인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 전면 사이에는 고정판(52)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턱(51)에 나사결합되는 두 개의 나사 끝단이 상기 두 개의 장방형 막대(43)의 양끝단의 내측에 각각 접촉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몸체(41)에서 좌측 장방형 막대(43)는 하부지지부(42) 내부에서 좌측나사와 하부지지부(42)의 구멍 좌측 내벽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후면은 하부지지부(42) 내부에 형성된 구멍 내벽과 접촉하여 고정되고,
    상기 상부몸체(41)에서 우측 장방형 막대(43)는 하부지지부(42) 내부에서 우측나사와 하부지지부(42)의 구멍 우측 내벽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후면은 하부지지부(42) 내부에 형성된 구멍 내벽과 접촉하여 고정되므로 절삭시에도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석고모형
KR1020140021021A 2014-02-24 2014-02-24 치과용 석고모형 KR101453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21A KR101453374B1 (ko) 2014-02-24 2014-02-24 치과용 석고모형
PCT/KR2015/001615 WO2015126152A1 (ko) 2014-02-24 2015-02-17 치과용 석고모형 및 제조방법
CN201510085348.XA CN104856777B (zh) 2014-02-24 2015-02-17 用于牙科的石膏模型及制造方法
US14/629,291 US9642681B2 (en) 2014-02-24 2015-02-23 Dental plas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021A KR101453374B1 (ko) 2014-02-24 2014-02-24 치과용 석고모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374B1 true KR101453374B1 (ko) 2014-10-22

Family

ID=5199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021A KR101453374B1 (ko) 2014-02-24 2014-02-24 치과용 석고모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3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0682A1 (en) 2002-03-22 2003-09-25 Evgeny Davidov Supporting structure for a dental model and a method for forming thereof
KR200439663Y1 (ko) 2007-04-26 2008-04-24 홍창환 기공 보철물 고정 판넬핀
JP2011015829A (ja) 2009-07-09 2011-01-27 Saito Shiken Kogyosho:Kk 作業模型及びこれに用いる支持模型
KR101325478B1 (ko) * 2013-06-10 2013-11-07 문교산업 주식회사 치과용 석고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0682A1 (en) 2002-03-22 2003-09-25 Evgeny Davidov Supporting structure for a dental model and a method for forming thereof
KR200439663Y1 (ko) 2007-04-26 2008-04-24 홍창환 기공 보철물 고정 판넬핀
JP2011015829A (ja) 2009-07-09 2011-01-27 Saito Shiken Kogyosho:Kk 作業模型及びこれに用いる支持模型
KR101325478B1 (ko) * 2013-06-10 2013-11-07 문교산업 주식회사 치과용 석고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315B1 (ko) 인조석 조성물 및 인조석 제조 방법
AU2009273302B2 (en) Molded member made of form-stabilized materia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DK1954211T3 (da) Fremgangsmåde og system til tilvejebringelse af en dental protese
JPH0767891A (ja) セラミックスを基材とする歯科補綴物の製造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成形物
MY129267A (en) Low density accelerant and strength enhancing additive for cementitious produ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325478B1 (ko) 치과용 석고블록
CN104556873A (zh) 轻质高强度免烧砖的制备方法
KR20130029848A (ko) 모형 및 구강 스캔을 이용한 캐드, 캠 치과 보철물 제작 교육방법
KR101453374B1 (ko) 치과용 석고모형
KR101453376B1 (ko) 치과용 석고모형 제조방법
KR101325479B1 (ko) 치과용 석고블록 제조방법
WO2014200226A1 (ko) 치과용 석고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056708B1 (ko) 인조현무암 블럭의 제조방법
KR101817868B1 (ko) 치과용 석고모형
WO2015126152A1 (ko) 치과용 석고모형 및 제조방법
CN103896517B (zh) 一种含有海藻硅粉的硅晶凝石材及其制备方法
KR101388484B1 (ko) 알지네이트 인상재를 이용한 축소복제모형의 제조방법
CN101289295A (zh) 人造石墓碑及生产工艺
KR101940035B1 (ko) 석고를 이용한 인조 현무암 몰드 및 그를 이용한 인조 현무암 제조방법
CN115680273A (zh) 一种木模阳角倒角的成型模板
TWI266706B (en) Method for making precast surface stone washing concrete with artistic carving (sculpturing) relief
CN105082348A (zh) 一种用于软瓷模具生产的工作台
CN104086209A (zh) 蒸压加气混凝土砌块的制备方法
JP3141477U (ja) 高硬度の注型用シリコンゴム金型
Winn Digital Design and Manufacturing of Architectural Ceram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