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673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673B1
KR101452673B1 KR1020137014983A KR20137014983A KR101452673B1 KR 101452673 B1 KR101452673 B1 KR 101452673B1 KR 1020137014983 A KR1020137014983 A KR 1020137014983A KR 20137014983 A KR20137014983 A KR 20137014983A KR 101452673 B1 KR101452673 B1 KR 10145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entrifugal separator
opening
main body
centrifu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243A (ko
Inventor
다카유키 이치노
마사토시 다나카
기요시 에베
나오코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0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집진 장치(26)는 함진 공기 중의 큰 먼지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41)를 구비한다. 집진 장치(26)는 제1 원심 분리부(41)에 연통되어 제1 원심 분리부(41)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원심 분리부(44)를 구비한다. 제2 원심 분리부(44)는 제1 원심 분리부(41)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분리한다. 집진 장치(26)는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의 위치를 개폐 가능한 개폐 덮개부(71)를 구비한다. 개폐 덮개부(71)는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의 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제2 원심 분리부(44)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유도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AL CLEANER}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含塵)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해서 포집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집진 장치는 소위 집진 컵이며,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해서 포집한다.
이러한 집진 장치로서, 최근 함진 공기를 내부에서 선회시킴으로써 진애를 원심 분리(사이클론 분리)하는, 소위 사이클론 분리식 집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이클론 분리식 집진 장치의 경우, 분리부의 크기(선회 직경)에 따라서 분리할 수 있는 진애의 크기나 비중이 설정되기 때문에, 크기가 상이한 분리부를 각각 별개로 설치함으로써, 함진 공기 중의 크기나 비중이 상이한 진애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크기나 비중이 상이한 진애를 같은 수용부에 수용하면, 전동 송풍기를 다시 구동시켰을 때, 크기나 비중이 작은 진애, 즉 미세 먼지가 집진 장치 내에서 날아오를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미세 먼지와, 크기나 비중이 큰 진애, 즉 큰 먼지는 서로 상이한 수용부에 저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40443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큰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의 상방의 주위에 미세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복수의 제2 원심 분리부를 설치하고, 이들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미세 먼지를, 제1 원심 분리부의 중앙부에 구획된 수용부로 낙하시켜서 저류하며, 이 수용부의 주위에 큰 먼지를 저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저류된 진애는 제1 원심 분리부의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동시에 폐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인 경우, 상부에서는 제2 원심 분리부로부터 수용부로 미세 먼지를 낙하시키는 풍로와, 제1 원심 분리부와, 이 제1 원심 분리부로부터 배기된 공기를 제2 원심 분리부로 흐르게 하는 통로로 3중 구성이 되고, 하부에서는 미세 먼지의 수용부인 환상 영역과, 큰 먼지의 수용부로 2중 구조가 되기 때문에, 제1 원심 분리부 내에 저류되는 큰 먼지용 스페이스가 감소된다. 이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1 원심 분리부, 즉 집진 장치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크기가 상이한 진애를 각각 스페이스를 확보해서 효과적으로 별개로 저류할 수 있으면서, 또한 이들 진애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를 갖는다. 또한, 이 전기 청소기는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해서 포집하는 집진 장치를 갖는다. 이 집진 장치는 함진 공기 중의 진애의 일부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를 구비한다. 또한, 이 집진 장치는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되어 이 제1 원심 분리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구비한다. 이 제2 원심 분리부는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의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작은 진애를 분리한다. 또한, 이 집진 장치는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방의 위치를 개폐 가능한 개폐 덮개부를 구비한다. 이 개폐 덮개부는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방의 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제1 원심 분리부측으로 유도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집진 장치의 진애를 폐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집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집진 장치의 진애를 폐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집진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제1 실시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참조 부호‘11’은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흡입 풍로체(풍로 형성체)인 관부(12)와, 이 관부(1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청소기 본체(13)를 갖고 있다.
관부(12)는 청소기 본체(13)에 접속되는 접속 관부(15)와, 이 접속 관부(15)의 선단측에 연통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16)와, 이 호스체(16)의 선단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17)와, 이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18)과, 이 연장관(18)의 선단측 등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19)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17)에는 루프 형상의 파지부(21)가 호스체(16)측으로 돌출되고, 이 파지부(21)의 상부에는 조작용 설정 버튼(2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3)는 큰 직경의 주행륜(23)을 양측에 가지고, 도시하지 않은 선회륜을 하부에 갖는 본체 케이스(25)를 구비하며, 이 본체 케이스(25)의 상부에는 집진 컵인 집진 장치(26)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13)는 주행륜(23) 및 선회륜에 의해 피청소면인 바닥면 상을 적어도 전후 방향을 따라서 주행(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의 주행(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체 케이스(25)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집진 장치(26)의 후방에 위치하는 본체부(31)와, 이 본체부(31)의 전방부에 돌출 설치되어서 집진 장치(26)의 하부를 지지하는 집진 장치 지지부로서의 돌출 받침부(32)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5)의 내부에는 이들 본체부(31)와 돌출 받침부(32)에 걸쳐, 도시하지 않은 본체 풍로부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31)의 내부에는 전동 송풍기(35), 이 전동 송풍기(35) 등에 급전 가능한 코드 릴 장치, 혹은 이차 전지 등의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 및, 전동 송풍기(3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회로부 등이 각각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31)의 전방부의 돌출 받침부(32)의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체 케이스(25)에 장착된 집진 장치(26)의 하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되는 흡기 개구부와, 이 집진 장치(26)의 상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되는 연통 개구부가 상하에 위치해서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부(31)의 후단부에는 전동 송풍기(35)로부터의 배기를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35)는 설정 버튼(22)의 조작에 따라, 제어 회로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전동 송풍기(35)의 흡입측은 흡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있고, 하류측은 배기 구멍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부는 설정 버튼(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설정 버튼(22)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예를 들어, 강 모드, 중 모드, 약 모드, 자동 모드, 정지 모드 등)로 전동 송풍기(35)의 동작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받침부(32)의 전방면에는 관부(12)의 접속 관부(15)가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본체 흡입구(36)가 본체 풍로부의 상류단의 개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본체 흡입구(36)는 본체 풍로부를 통해서 연통 개구부와 연통되고, 이 연통 개구부를 통해서 집진 장치(26)의 상류측과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집진 장치(2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본체부로서의 하측 본체부(38)와, 이 하측 본체부(38)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본체부로서의 상측 본체부(39)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측 본체부(38)에는 제1 원심 분리부(41)와, 진애 수용부로서의 미세 먼지 저류부(42)가 설치되어 있고, 상측 본체부(39)에는 통기 풍로부(43)와,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원심 분리부(44)와 풍로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집진 장치(26)는 본체 케이스(25)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걸림 고정 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걸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측 본체부(38)는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원심 분리부(41)와, 상측에 위치하는 미세 먼지 저류부(42)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유닛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원심 분리부(41)는 전동 송풍기(35)의 구동에 의해 내부에 흡입한 함진 공기 중의 일부인 상대적으로 큰 진애, 즉 큰 먼지를 주로 원심 분리해서 저류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제1 원심 분리부(41)는 대략 원통 형상의 케이스부(47)와, 이 케이스부(47)의 하단부에 설치된 덮개로서의 하부 덮개부(48)와, 케이스부(47)의 내부에 수용된 구조체로서의 연결체인 대략 원통 형상의 쉐이드부(49)를 갖고 있다.
케이스부(47)는,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투명한) 합성 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원심 분리부(41)는 외부로부터 내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부(47)의 후부에는, 함진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도입구(51)가 개구되어 있으면서, 또한 이 도입구(51)의 하방에,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로서의 훅(hook)부(5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부(47)의 전방부에는 하부 덮개부(48)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덮개 걸림 고정 수단인 쓰레기 배출 버튼부(5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부(47)의 하단부는 하부 덮개부(48)에 의해 개폐되는 진애 폐기구(54)로 되어 있다.
도입구(51)는 후방으로 대략 수평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에 장착한 상태로 연통 개구부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이 도입구(51)는 연통 개구부를 통해서 본체 흡입구(36)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또한, 훅부(52)는 하방을 향해서 굴곡되어 있고,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에 장착할 때 본체부(31)의 전방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피삽입 개구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쓰레기 배출 버튼부(53)는 케이스부(47)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 하부 덮개부(48)의 걸림 고정을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진애 폐기구(54)는 제1 원심 분리부(41) 내 및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진애를 폐기 가능한 개구다.
또한, 하부 덮개부(48)는, 예를 들어 원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가 케이스부(47)의 하단부에 축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하부 덮개부(48)는 쓰레기 배출 버튼부(53)를 조작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진애 폐기구(54)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하부 덮개부(48)의 상측의 주연부에는 진애 폐기구(54)를 기밀하게 폐색하기 위한 패킹(5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부 덮개부(48)의 상측의 중앙부에는, 쉐이드부(49)의 하단부측이 끼워 맞추어지는 원 형상의 끼워 맞춤 지지부(57)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쉐이드부(49)는 외주와 케이스부(47)의 내주면(47a) 사이에, 함진 공기를 선회시키는 선회 풍로(58)를 형성하면서, 또한 내부를 통해서 제1 원심 분리부(41)와 각 제2 원심 분리부(44)측(통기 풍로부(43))을 접속하는 것이며,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 본체인 쉐이드부 본체(61)와, 이 쉐이드부 본체(61)의 하단부측에 설치된 피지지부(62)와, 쉐이드부 본체(61)의 상단부측에 설치된 피가이드부(63)와, 피지지부(62)의 외주에 설치된 압축부(64)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쉐이드부(49)는 제1 원심 분리부(41)의 선회 중심이 되어 있다.
쉐이드부 본체(61)는 선회 풍로(58)를 선회하는 함진 공기가 내부로 통과하는 개구(66)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개구(66) 전체가 필터(67)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이 쉐이드부 본체(61)의 상부에는 원통 형상의 접속부(68)가 동축형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부(68)는 원통 형상의 접속체(69)를 개재해서 상측 본체부(39)의 통기 풍로부(43)에 대하여 현수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체(69)는 예를 들어 고무, 혹은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의 합성 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주름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쉐이드부(49)는 이 접속체(69)의 신축에 의해, 케이스부(47) 및 상측 본체부(39)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체(69)는 신축해도 쉐이드부 본체(61)(쉐이드부(49))와 통기 풍로부(43)와의 접속 상태를 기밀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지지부(62)는 쉐이드부 본체(61)와 동축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피지지부(62)는 쉐이드부 본체(61)보다도 작은 직경이며, 하단부측이 압축부(64)에 대하여 더욱 하방으로 돌출되고, 진애 폐기구(54)를 폐색한 하부 덮개부(48)의 끼워 맞춤 지지부(57)가 하단부에 끼워 맞추어 짐으로써, 하부 덮개부(48)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가이드부(63)는 쉐이드부(49)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쉐이드부 본체(61)의 상측의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접속체(69)의 외측의 위치에서 통기 풍로부(4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피가이드부(63)의 외주에는 쉐이드부(49)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함으로써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인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개폐 가능한 개폐 덮개부(7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 덮개부(71)는 피가이드부(63)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속된 차양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개폐 덮개부(71)의 상면 전체는 외측으로 하방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71a)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개폐 덮개부(71)는 단면에서 보아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압축부(64)는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분리된 큰 먼지를 전동 송풍기(3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을 이용해서 압축하는 것이며, 피지지부(62)의 외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차양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 형상의 천장판부(73)와, 이 천장판부(73)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주판부(周板部)(74)를 일체적으로 갖고,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천장판부(73)에는 복수의 통기 개구(75)가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개구되어 있으며, 이들 통기 개구(75)는 압축 필터(76)에 의해 덮여 있다. 그리고, 이 압축부(64)는 선회 풍로(58)를 선회하는 함진 공기의 일부가 하측으로부터 통기 개구(75)로 순환하도록 통과함으로써 압축 필터(76)에 큰 먼지를 가압하고, 피지지부(62)의 주위에 큰 먼지를 압축한 상태로 저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세 먼지 저류부(42)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4)에 의해 원심 분리된 함진 공기 중의 상대적으로 작은 진애, 즉 미세 먼지를 내부에 저류함으로써 원환 형상으로 설치되고, 제1 원심 분리부(41)의 케이스부(47)의 상단부의 전체 주연부에 연속해서 케이스부(47)에 대하여 상방으로 확개(擴開)되어 있다. 즉,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부(7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는 상측이 개구되어 있고, 모든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단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는 상측 본체부(39)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44)와의 연통부를 제외한 상측 전체가 폐색되어 있다. 또한,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단부, 즉 경사면부(78)의 하방에는 제1 원심 분리부(41)측을 향해서 경사진 접촉면부(7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면부(79)는 개폐 덮개부(71)의 경사면(71a)이 접촉되는 부분이며,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하방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상측 본체부(39)는 제1 풍로체(81), 제2 풍로체(82), 도입 풍로체(83), 분리 풍로체(84), 상부 덮개부(85) 및 구조체 보유 지지부로서의 연통 풍로체(86)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유닛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풍로체(81)는 상측 본체부(39)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원형 판상의 하판부(91)와, 이 하판부(91)의 중앙부에 원 형상으로 개구되고 연통 풍로체(86)와 기밀하게 접속되는 개구부(92)와, 이 개구부(92)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하판부(91)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통기부로서의 원통 형상의 통부(93)와, 이 통부(93)의 후부에 연통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하판부(91)와 연결된 연통 통기부로서의 덕트부(94)와, 통부(93)의 외측에 이 통부(93)와 동심 형상으로 개구부(92)의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원통 형상의 도풍부(導風部)(95)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판부(91)의 하부에는 상측 본체부(39)와 하측 본체부(38)의 상부(미세 먼지 저류부(42))와의 간극을 폐색하는 시일 부재(9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순풍부(95)는 상방 쪽으로 개구부(92)의 중심측, 즉 통부(93)의 외주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제2 풍로체(82)는 하단부가 제1 풍로체(81)의 통부(93)의 상단부에 기밀하게 접속된 정류부(整流部)로서의 원통 형상의 통기통부(98)와, 이 통기통부(98)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외측으로 서서히 만곡하면서 직경 확장되는 차양 형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99)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99)의 외주가 상부 덮개부(85)의 내측 테두리부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도입 풍로체(83)는 제1 풍로체(81)의 도풍부(95)의 상단부에 기밀하게 접속되는 통기 접속부로서의 원통 형상의 연결통부(101)와, 이 연결통부(10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플랜지부(99)의 하부에 대향하도록 차양 형상으로 연장되어 분리 풍로체(84)의 상측을 덮는 원 형상의 연출(延出)부(102)와, 이 연출부(102)에 나선 덮개 형상으로 설치되어 제2 원심 분리부(44)의 상단부를 이루는 복수의 선회부(103)와, 이들 선회부(103) 각각의 중앙부에 원통 형상으로 일체로 설치된 배기부로서의 배기통부(104)와, 연출부(102) 상부를 따라 각 선회부(103)의 접선 방향을 따라서 이들 선회부(103)와 연통하여 설치되어 함진 공기를 선회부(103) 내로 도입하는 분기(分岐) 도입부(105)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통부(104)의 상단부가 제2 풍로체(82)의 플랜지부(99)에 개구된 원 형상의 접속 구멍(106)에 기밀하게 삽입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리 풍로체(84)는 연결통부(101)의 외측에서 제1 풍로체(81)의 도풍부(95)의 상단부에 접속되는 원통 형상의 접속통부(107)와, 이 접속통부(107)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차양 형상으로 연장되어 제1 풍로체(81)의 덕트부(94)의 상부에 겹치는 원 형상의 돌출부(108)와, 이 돌출부(108)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측 본체부(39)의 외주를 이루는 외벽부(109)와, 이 외벽부(109)의 내측의 위치에서 돌출부(108)에 설치되어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단부를 이루는 제2 원심 분리부 본체로서의 분리실인 복수의 선회통부(110)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선회통부(110)는 제1 원심 분리부(41)의 케이스부(47)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고 있다. 또한, 이들 선회통부(110)의 상단부에는 도입 풍로체(83)의 선회부(103)가 각각 끼워 맞추어져 있으면서, 또한 이들 선회통부(110)의 하단부는 제1 풍로체(81)의 하판부(91)에 원 형상으로 개구된 삽입 구멍(111)에 각각 삽입되어서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덮개부(85)는 도입 풍로체(83)의 상측을 덮어서 분리 풍로체(84)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통 풍로체(86)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접속체(69)의 상단부측이 고정되는 원통 형상의 접속체 고정부(113)와, 이 접속체 고정부(113)의 외측에 위치하고 피가이드부(63)가 빠짐 방지된 상태로 삽입되며, 쉐이드부(49)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통기 풍로부(43)는 제1 원심 분리부(41)와 각 제2 원심 분리부(44)를 기밀하게 접속하는 것이다. 이 통기 풍로부(43)는 연통 풍로체(86)로부터 제1 풍로체(81)의 개구부(92), 통부(93)와 덕트부(94) 사이 및, 제2 풍로체(82)의 통기통부(98) 및 플랜지부(99)와 도입 풍로체(83)의 연결통부(101), 연출부(102) 및 선회부(103)의 사이에 걸쳐서 기밀하게 구획되고, 분기 도입부(105) 및 선회부(103)를 통해서 각 제2 원심 분리부(44)(선회통부(1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 통기 풍로부(43)는 상류측(제1 원심 분리부(41)의 하류측)으로부터 하류측(제2 원심 분리부(44)의 상류측)으로, 함진 공기의 유량을 줄이면서 정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2 원심 분리부(44)는 함진 공기의 선회 반경을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의 선회 반경보다도 작게, 또한 선회 속도를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의 선회 속도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제1 원심 분리부(41)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의 이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원심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상대적으로) 작은 진애, 즉 미세 먼지를 원심 분리해서 미세 먼지 저류부(42)로 낙하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각 제2 원심 분리부(44)는 함진 공기 중의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분리할 수 없었던 진애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제2 원심 분리부(44)는 제1 원심 분리부(41)의 상방에서, 도입 풍로체(83)의 선회부(103) 및 배기통부(104)와 분리 풍로체(84)의 선회통부(110)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고, 분기 도입부(105) 및 선회부(103)로부터 통기 풍로부(43)를 통과한 함진 공기를 내부에 도입하면서, 또한 선회통부(110) 내에서 선회시켜,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하단부로부터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낙하시키면서, 또한 미세 먼지를 분리한 깨끗한 공기를 배기통부(104)로부터 풍로부(45)에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제2 원심 분리부(44)는 집진 장치(26)(제1 원심 분리부(41))의 중심축 주위의 후부(덕트부(94))를 제외한 위치에,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풍로부(45)는 각 배기통부(104)로부터 상부 덮개부(85)와 제2 풍로체(82)의 플랜지부(99) 및 통기통부(98) 사이, 제1 풍로체(81)의 통부(93), 덕트부(94) 및 하판부(91)에 의해 기밀하게 구획되어 있다. 즉, 이 풍로부(45)는 모든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류측과 연통되고, 각 제2 원심 분리부(44)의 상방으로부터, 이들 제2 원심 분리부(44)의 측방,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호 형상(대략 원 형상)으로 배열된 제2 원심 분리부(4)의 중심으로 공기의 유량을 서서히 줄이도록 연속되면서, 또한 후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이 풍로부(45)의 하류단측은 공기를 집진 장치(26)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기 개구(116)로 되어 있고, 후방측의 제2 원심 분리부(44, 4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배기 개구(116)는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에 장착한 상태로 흡기 개구부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이 배기 개구(116)는 흡기 개구부를 통해서 전동 송풍기(35)의 흡입측과 기밀하게 접속된다. 또한, 배기 개구(116)는 도입구(51)와 동측인 집진 장치(26)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에 장착한 상태로 본체 케이스(25)의 본체부(31)의 전방부에 대향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청소 동작을 설명한다.
청소를 개시할 때에는 우선,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에 장착한다.
이때, 집진 장치(26)는 하부 덮개부(48)를 폐쇄하는 동작을 하면, 하부 덮개부(48)의 끼워맞춤 지지부(57)가 쉐이드부(49)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이 쉐이드부(49)를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이로 인해, 쉐이드부(49)는 피가이드부(63)가 가이드부(114)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접속체(69)를 상방으로 수축시키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하부 덮개부(48)를 쓰레기 배출 버튼부(53)에 의해 케이스부(47)의 하단부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진애 폐기구(54)를 폐색한다. 이때, 쉐이드부(49)는 개폐 덮개부(71)의 경사면(71a)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접촉면부(79)에 압접됨으로써,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단부측이 폐색되어, 선회 풍로(58)(제1 원심 분리부(41))와 미세 먼지 저류부(42)와의 연통이 서로 차단된 상태로 된다(도 2).
이 후, 집진 장치(26)를, 훅부(52)를 본체 케이스(25)의 피삽입 개구에 삽입해서 위치 정렬하면서 본체 케이스(25)의 돌출 받침부(32)에 적재하여 지지시키고, 또한 걸림 고정 기구에 의해 본체 케이스(25)에 대하여 걸어 고정함으로써, 집진 장치(26)의 도입구(51) 및 배기 개구(116)가 본체 케이스(25)의 연통 개구부 및 흡기 개구부와 각각 기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집진 장치(26)가 전동 송풍기(35)의 흡입측과 본체 흡입구(36) 사이에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로 본체 케이스(25)에 장착된다.
또한, 집진 장치(26)가 본체 케이스(25)에 이미 장착된 상태인 경우에는, 이들의 조작은 불필요하다.
이 상태로,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의 본체 흡입구(36)에 관부(12)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관부(12)는 접속 관부(15)를 본체 흡입구(36)에 삽입 접속하면서, 또한 필요에 따라,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에 연장관(18) 및 바닥 브러시(19)를 차례로 접속한다. 이 상태로 손잡이 조작부(17)의 설정 버튼(22)이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5)) 내의 제어 회로부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관부(12)가 청소기 본체(13)에 이미 접속된 상태인 경우에는, 이들의 조작은 불필요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파지부(21)를 파지하고, 원하는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전동 송풍기(35)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제어 회로부는 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해서 전동 송풍기(35)의 입력을 제어하고, 전동 송풍기(35)를 설정된 동작 모드로 기동한다.
이 전동 송풍기(35)의 기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은 흡기 개구부, 배기 개구(116), 풍로부(45), 제2 원심 분리부(44), 통기 풍로부(43), 제1 원심 분리부(41), 도입구(51), 연통 개구부, 본체 풍로부 및 본체 흡입구(36)를 거쳐서 관부(12)로 작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 부압의 작용에 의해, 바닥 브러시(19), 연장관(18), 혹은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한다.
이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 즉 함진 공기는 관부(12)로부터 본체 흡입구(36), 본체 풍로부 및 연통 개구부를 경유해서 도입구(51)로 유도되고, 이 도입구(51)로부터 집진 장치(26) 내, 즉 제1 원심 분리부(41) 내로 흡입된다.
이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는, 함진 공기는 선회 풍로(58)를 선회함으로써, 이 함진 공기 중의 특히 미세 먼지가 원심 분리되고, 케이스부(47)의 내주면(47a)을 따라 낙하하여 하부 덮개부(48) 상에 저류된다. 또한, 이 큰 먼지는 선회 풍로(58)로부터 쉐이드부(49)의 압축부(64)로, 함진 공기의 흐름의 일부에 의해 운반되고, 압축부(64)의 통기 개구(75)를 함진 공기가 통과함으로써 압축 필터(76)에 의해 피지지부(62)의 주위에서 압축부(64) 내에서 압축된다.
큰 먼지가 분리된 함진 공기는 쉐이드부(49)의 개구(66)를 통과할 때 필터(67)에 의해 여과된다. 또한, 이 필터(67)를 통과한 함진 공기는 접속부(68), 접속체(69) 및 연통 풍로체(86)의 내부를 통과해서 통기 풍로부(43)로 운반된다. 그리고, 이 함진 공기는 이 통기 풍로부(43)에 있어서, 서서히 유량이 줄어들어서 정류되고, 각 분기 도입부(105)로부터 각 선회부(103)의 접선 방향을 따라서 각 제2 원심 분리부(44) 내(선회통부(110) 내)로 각각 분기되어서 유입된다.
이들 제2 원심 분리부(44)(선회통부(110))에 있어서, 함진 공기는 내주면(선회통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되고, 이 함진 공기 중의 미세 먼지가 원심 분리되어, 제2 원심 분리부(44)(선회통부(110)의 내주면)를 따라 낙하하고,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다. 또한,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미세 먼지는,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경사면부(78)를 따라 하방으로 유도되고, 개폐 덮개부(71)의 경사면(71a) 상 등에 위치한다.
그리고, 미세 먼지가 원심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4)의 중앙부의 배기통부(104)로부터 풍로부(45)로 배기되어서 합류하고, 이 풍로부(45)에 의해 유량이 줄어들면서 후방으로 유도되어, 배기 개구(116)로부터 집진 장치(26)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 후, 이 공기는 흡기 개구부로부터 전동 송풍기(35)로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35)의 내부를 냉각하면서 통과하여 배기풍이 되며, 전동 송풍기(35)로부터 배기 구멍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25)의 외부로 배기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소정의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제어 회로부가 전동 송풍기(35)의 입력을 저하시켜서 전동 송풍기(35)를 정지시킨다.
집진 장치(26) 내에 일정량의 진애가 저류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걸림 고정 기구를 외부 조작함으로써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쓰레기통 등의 폐기 위치로 집진 장치(26)를 옮긴 후, 쓰레기 배출 버튼부(53)를 사용자가 외부 조작하면, 하부 덮개부(48)가 자중에 의해 개방되도록 회동함으로써, 쉐이드부(49)는 하방으로부터의 지지를 상실하고, 가이드부(114)에 의해 피가이드부(63)가 가이드되면서, 쉐이드부(49)가 접속체(69)를 신장시키면서 하방으로 자중으로 인해 이동한다(도 1). 그 결과, 개폐 덮개부(71)의 경사면(71a)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접촉면부(79)로부터 이격되고,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미세 먼지가 경사면(71a)에 의해 하방(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유도되며, 하부 덮개부(48) 상에 압축된 상태로 저류된 큰 먼지와 함께 진애 폐기구(54)로부터 폐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부 덮개부(48)에 의한 제1 원심 분리부(41)의 하부의 개폐에 연동해서 개폐 덮개부(71)가 각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인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개폐함으로써, 사용자가 큰 먼지를 폐기하기 위해서 하부 덮개부(48)를 개방하는 동작을 트리거로 하여, 이 원 액션만으로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미세 먼지도 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유도해서 진애 폐기구(54)로부터 큰 먼지와 함께 용이하게 같이 폐기할 수 있다.
게다가, 하부 덮개부(48)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개폐 덮개부(71)에 의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가 항상 폐색되고,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 내에 저류된 미세 먼지가 제1 원심 분리부(41)로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큰 먼지와 미세 먼지를 항상 분리된 상태로 별개로 저류해 둘 수 있고, 진애를 폐기하기 위해서 하부 덮개부(48)를 개방했을 때에만, 이들을 일체로 폐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애를 폐기하려고 하지 않는 한, 집진 장치(26)의 내부(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큰 먼지와 미세 먼지가 서로 섞이는 경우가 없고, 전동 송풍기(35)를 구동시켰을 때 미세 먼지가 집진 장치(26) 내에서 날아올라 각 제2 원심 분리부(44)로 순환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쉐이드부(49)를 신축 가능한 접속체(69)에 의해 제2 원심 분리부(44)측에 접속함으로써, 쉐이드부(49)와 통기 풍로부(43)(연통 풍로체(86))의 사이에, 이들의 접속의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상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미끄럼 이동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쉐이드부(49)(개폐 덮개부(71))의 상하 이동의 동작성 및, 쉐이드부(49)와 각 제2 원심 분리부(44)측과의 접속의 기밀성이 양호해지면서, 또한 이 기밀성의 경시적인 열화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어서, 제2 실시형태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는, 쉐이드부(49)가 하부 덮개부(48)에 의해 지지되고 있지 않고, 상측 본체부(39)의 연통 풍로체(86)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현수되어 보유 지지되고 있는 것이다.
즉, 이 쉐이드부(49)는 피가이드부(63)를 개재해서 연통 풍로체(86)의 가이드부(114)에 대하여 빠짐 방지 보유 지지되어 있으면서, 또한 통기 풍로부(43)와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다시 말해, 쉐이드부(49)는 피가이드부(63)가 가이드부(114)에 대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통기 풍로부(43)와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쉐이드부(49)는 전동 송풍기(3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의 압력차에 의해, 미세 먼지 저류부(42)측으로 빨아당겨지도록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 덮개부(71)의 경사면(71a)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접촉면부(79)에 압접되어서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기밀하게 폐색하면서, 또한 전동 송풍기(35)의 정지에 수반하여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개폐 덮개부(71)의 경사면(71a)과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접촉면부(79)의 압접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 시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본체 케이스(25)에 장착한 집진 장치(26)에서는, 쉐이드부(49)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한 상태로 되어 있고, 전동 송풍기(35)를 기동시킴으로써 제1 원심 분리부(41)와, 이 제1 원심 분리부(41)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4)와 연통되는 미세 먼지 저류부(42)와의 부압의 압력차(미세 먼지 저류부(42)(제2 원심 분리부(44))의 진공도가 제1 원심 분리부(41)의 진공도보다도 큰 것)에 의해, 쉐이드부(49)가 상방으로 순간적으로 빨아당겨져, 개폐 덮개부(71)의 경사면(71a)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접촉면부(79)에 압접되어서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기밀하게 폐색한다.
또한, 청소가 종료되어 전동 송풍기(35)를 정지시키면, 부압이 작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쉐이드부(49)가 자동으로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개폐 덮개부(71)의 경사면(71a)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접촉면부(79)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각 제2 원심 분리부(44)에 의해 분리되어서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 내에 저류된 미세 먼지가 경사면(71a)에 의해 하방(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유도되어 하부 덮개부(48) 상(제1 원심 분리부(41) 내)에 저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걸림 고정 기구를 외부 조작함으로써 집진 장치(26)를 본체 케이스(25)로부터 제거한 후, 쓰레기통 등의 폐기 위치로 운반하고, 쓰레기 배출 버튼부(53)를 외부 조작하면, 하부 덮개부(48)가 자중에 의해 개방되도록 회동함으로써, 하부 덮개부(48) 상에 압축된 상태로 저류된 큰 먼지와 함께 미세 먼지가 진애 폐기구(54)로부터 폐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동 송풍기(3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해 쉐이드부(49)가 제2 원심 분리부(44)측으로 빨아당겨짐으로써 폐색되면서, 또한 전동 송풍기(35)의 정지에 수반하여 부압의 작용이 없어짐으로써 이격되므로, 각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인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상하 이동에 의해 개폐하는 개폐 덮개부(71)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면서, 또한 전동 송풍기(35)를 구동시키고 있는 사이, 즉 청소를 하고 있는 사이에는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미세 먼지가 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의 위치인 미세 먼지 저류부(42)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부(71)를 설치하였다. 이로 인해,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의 미세 먼지 저류부(42)를 개폐 덮개부(71)에 의해 폐쇄한 상태에서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4)에 의해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원심 분리된 큰 먼지와, 각 제2 원심 분리부(44)에서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각각 별개로 저류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집진 장치(26)를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하지 않고, 미세 먼지와 큰 먼지를 각각 스페이스를 확보해서 효과적으로 별개로 저류할 수 있다. 또한, 각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의 미세 먼지 저류부(42)를 개폐 덮개부(71)에 의해 개방한 상태에서는, 각 제2 원심 분리부(44)에서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제1 원심 분리부(41)에서 원심 분리된 큰 먼지를 폐기할 때, 각 제2 원심 분리부(44)에서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함께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의 진애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즉, 개폐 덮개부(71)에 의한 각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의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개폐만으로, 서로 크기가 상이한 큰 먼지와 미세 먼지를 별개로 저류하는 상태와, 이들을 함께 폐기 가능한 상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큰 먼지와 미세 먼지를 함께 폐기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각 제2 원심 분리부(44)에서 원심 분리된 미세 먼지를 무리하게 제1 원심 분리부(41)측의 스페이스에 저류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큰 먼지를 저류하는 스페이스와 미세 먼지를 저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면서, 폐기할 때는 함께 폐기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집진 장치(26)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원심 분리부(41)에 있어서 외측(외주)을 따라 함진 공기를 선회시키는 쉐이드부(49)에 일체적으로 개폐 덮개부(71)를 설치함으로써, 제1 원심 분리부(41)의 원심 분리에 사용하는 쉐이드부(49)의 구성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개폐 덮개부(71)를 별도 형성하지 않고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덮개부(71)의 상면 전체를, 제1 원심 분리부(41)측인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71a)으로 함으로써,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개방했을 때,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미세 먼지를 개폐 덮개부(71)의 상측에 잔류시키지 않고, 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확실하게 낙하시켜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제1 원심 분리부(41)측인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부(78)로 함으로써, 미세 먼지 저류부(42) 내에 저류되는 미세 먼지를,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부(71)측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킨 상태로 저류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덮개부(71)에 의해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개방했을 때, 이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미세 먼지를 미세 먼지 저류부(42) 내에 잔류시키지 않고, 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확실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즉, 미세 먼지 저류부(42)에 저류된 미세 먼지는, 이 미세 먼지를 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체 등을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1 원심 분리부(41)측으로 유도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증가 및, 집진 장치(26)의 중량화 등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35)(전기 청소기(11))를 구동시키고 있을 때, 각 제2 원심 분리부(44)와 연통되는 미세 먼지 저류부(42)는 제1 원심 분리부(41)보다도 진공도가 커지기 때문에, 개폐 덮개부(71)가 미세 먼지 저류부(42)측, 즉 상방으로 빨아당겨지는 방향으로 쉐이드부(49)에 힘이 작용하므로,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단부를 개폐 덮개부(71)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색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원심 분리부(44)는 복수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원심 분리부(41)의 상방에 1개만 배치해도 좋다.
또한, 개폐 덮개부(71)는 쉐이드부(49)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했지만, 쉐이드부(49)와는 별개로 하부 덮개부(48)에 의한 제1 원심 분리부(41)의 하방의 개폐와 연동되거나, 혹은 전동 송풍기(35)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 등에 의해 동작하여,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부(71)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개폐 덮개부(71)는 제2 원심 분리부(44)의 하방으로서, 미세 먼지 저류부(42)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를 들어 제2 원심 분리부(44)의 선회통부(110)의 하단부를 직접 개폐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면서, 또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含塵)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해서 포집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집진 장치는,
    함진 공기 중의 진애의 일부를 분리하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되어 상기 제1 원심 분리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의 상기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작은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와,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방의 위치를 개폐 가능하고,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방의 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진애를 상기 제1 원심 분리부 측으로 유도하는 개폐 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심 분리부는 외측을 따라서 함진 공기를 선회시키는 구조체를 중앙부에 구비하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구조체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를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측에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접속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는 상기 제1 원심 분리부의 하방의 위치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덮개부는 상기 덮개에 의한 상기 제1 원심 분리부의 하부의 개폐에 연동해서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의 하방의 위치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37014983A 2012-05-11 2013-05-09 전기 청소기 KR101452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9679A JP2013236671A (ja) 2012-05-11 2012-05-11 電気掃除機
JPJP-P-2012-109679 2012-05-11
PCT/JP2013/063003 WO2013168754A1 (ja) 2012-05-11 2013-05-09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243A KR20140009243A (ko) 2014-01-22
KR101452673B1 true KR101452673B1 (ko) 2014-10-22

Family

ID=4955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983A KR101452673B1 (ko) 2012-05-11 2013-05-09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48176B1 (ko)
JP (1) JP2013236671A (ko)
KR (1) KR101452673B1 (ko)
CN (1) CN104302220B (ko)
MY (1) MY174041A (ko)
WO (1) WO2013168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6637B2 (ja) * 2015-01-21 2018-10-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JP6647810B2 (ja) * 2015-07-03 2020-02-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716212B2 (ja) * 2015-07-13 2020-07-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7055835A (ja) * 2015-09-14 2017-03-2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US10214349B2 (en) 2016-12-28 2019-02-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44910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22873B2 (en) 2016-12-28 2019-06-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44909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64746B2 (en) 2016-12-28 2019-1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GB2563668B (en) * 2017-06-23 2020-04-15 Dyson Technology Ltd Dir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GB2563667A (en) * 2017-06-23 2018-12-26 Dyson Technology Ltd Dirt separator and vacuum cleaner
JP7126391B2 (ja) * 2018-03-08 2022-08-26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9213762A (ja) * 2018-06-14 2019-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6818808B2 (ja) * 2019-05-17 2021-01-2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集塵装置
JP7190394B2 (ja) * 2019-05-30 2022-12-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CN110250997B (zh) * 2019-06-14 2021-04-02 苏州圣佳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器尘杯
WO2021109962A1 (zh) * 2019-12-04 2021-06-10 追创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吸尘器组件、过滤网筒、尘气分离装置及吸尘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365A (ja) 2001-07-18 2003-02-26 Swatch Group Manag Services Ag Swatch Group Manag Services Sa Swatch Group Manag:The 腕時計ケースの中間部材にねじ付けられた裏蓋の12時−6時を通る垂直軸に対するアラインメントを調整する装置
KR20060072190A (ko) * 2004-12-22 2006-06-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20080000188A (ko) * 2006-06-27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JP2010104502A (ja) 2008-10-29 2010-05-13 Sharp Corp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0861U (ko) * 1979-08-20 1981-03-25
JPS5660447U (ko) * 1979-10-15 1981-05-22
JPS56114753U (ko) * 1980-01-31 1981-09-03
US6344064B1 (en) * 1999-01-29 2002-02-05 Fant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article transfer in multi-stage particle separators
US7651544B1 (en) * 2004-12-13 2010-01-26 Bissell Homecare, Inc. Vacuum cleaner with multiple cyclonic dirt separators and bottom discharge dirt cup
KR100569330B1 (ko) * 2004-12-27 200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유닛
JP2006320713A (ja) * 2005-05-16 2006-11-30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647197B1 (ko) * 2005-06-14 2006-11-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GB2453760A (en) * 2007-10-18 2009-04-22 Dyson Technology Ltd Sealing on closure member of cyclone
GB2469048B (en) 2009-03-31 2013-05-15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with steering mechanism
US8640304B2 (en) * 2010-03-12 2014-02-04 G.B.D. Corp. Cyclone construc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7365A (ja) 2001-07-18 2003-02-26 Swatch Group Manag Services Ag Swatch Group Manag Services Sa Swatch Group Manag:The 腕時計ケースの中間部材にねじ付けられた裏蓋の12時−6時を通る垂直軸に対するアラインメントを調整する装置
KR20060072190A (ko) * 2004-12-22 2006-06-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20080000188A (ko) * 2006-06-27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JP2010104502A (ja) 2008-10-29 2010-05-13 Sharp Corp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8176A1 (en) 2015-03-18
CN104302220A (zh) 2015-01-21
KR20140009243A (ko) 2014-01-22
JP2013236671A (ja) 2013-11-28
EP2848176A4 (en) 2015-12-16
WO2013168754A1 (ja) 2013-11-14
CN104302220B (zh) 2016-11-16
MY174041A (en) 2020-03-05
EP2848176B1 (en)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673B1 (ko) 전기 청소기
KR101892653B1 (ko) 전기청소기
KR101390549B1 (ko) 전기 청소기
KR101539143B1 (ko) 전기 청소기
KR20140009062A (ko) 전기 청소기
KR101981446B1 (ko) 전기청소기
JP2013233218A (ja) 電気掃除機
JP2014171669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512232B1 (ko)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KR101512559B1 (ko)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JP2014171668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894190B2 (ja) 電気掃除機
JP2014023782A (ja) 電気掃除機
JP5840809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5840811B2 (ja) 電気掃除機
JP2014033971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647810B2 (ja) 電気掃除機
JP6705864B2 (ja) 電気掃除機
JP6840456B2 (ja) 電気掃除機
KR20130076746A (ko) 전기 청소기
JP2014014452A (ja) 電気掃除機
JP6063546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100870B2 (ja) 電気掃除機
JP2020146404A (ja) 電気掃除機
JP5840810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