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347B1 - 플립업식 테이블,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 - Google Patents

플립업식 테이블,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347B1
KR101452347B1 KR1020127031736A KR20127031736A KR101452347B1 KR 101452347 B1 KR101452347 B1 KR 101452347B1 KR 1020127031736 A KR1020127031736 A KR 1020127031736A KR 20127031736 A KR20127031736 A KR 20127031736A KR 101452347 B1 KR101452347 B1 KR 10145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leg
main body
plate main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598A (ko
Inventor
아키라 요시모리
Original Assignee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도부끼 시팅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36Table tops pivo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판 본체를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부품수를 삭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은,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천판 본체에 접속되어, 지지축을 중심으로 천판 본체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한 캠과, 지지축에 접속되어, 천판 본체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와, 제 1 다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천판 본체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면을 통하여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2 다리를 구비하고, 천판 본체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지지면은 캠의 대향부와 대향하며, 천판 본체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지지면은 캠의 맞닿음부와 맞닿고, 지지축에서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는, 지지축에서 대향부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Description

플립업식 테이블,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Flip-up Table, Top Board for Flip-up Table, Leg for Flip-up Table, and Method for Storing Top Board}
본 발명은 천판을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수납할 수 있는 플립업식 테이블, 그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그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창고 등에 저장하기 위하여, 천판을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수납시킬 수 있는 플립업식 테이블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플립업식 테이블로서, 캐스터가 다리부의 하단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바닥면에 접지되고, 바닥면 위를 이동 가능하게 되는 이동 테이블이 있었다(일본공개특허공보 2008-104793호(요약,도 1 및 도 7)). 이러한 이동 테이블은, 요동 가능한 미조정 락레버, 미조정 락레버가 요동됨에 따라서 플로트 연동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링크 부재, 및 플로트 연동 파이프의 회전에 따라서 캐스터를 돌출시키는 승강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천판이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캐스터가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며, 천판이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캐스터가 바닥면에 접지된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 테이블에서는, 승강기구에 로드, 지레 및 플로트 등의 복수의 부재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이들의 로드 등을 각각 동작 가능하게 연결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부품수가 많으며 조립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동시에, 제조시간도 길어졌다.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에 접속되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천판 본체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한 캠과, 상기 지지축에 접속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와, 상기 제 1 다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2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캠의 대향부와 대향하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캠의 맞닿음부와 맞닿으며,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대향부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에 따르면, 천판 본체를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다리에 의한 지지에서 제 2 다리에 의한 지지로 쉽게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을 천판 본체에 접속된 캠과 제 2 다리의 지지면에 의하여 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플립업식 테이블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쉽게 플립업식 테이블을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저렴해지는 동시에, 제조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플립업식 테이블의 상면 및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시 및 수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천판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락레버, 락플레이트 및 락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리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 일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다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가이드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다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플립업식 테이블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1의 B는 배면도이고, 사용자측에서 플립업식 테이블을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천판(1)이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플립업식 테이블은, 천판(1)과, 천판(1)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다리(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천판(1)은 한 쌍의 다리(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1)은 사용시에 접지면(3)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는 천판 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수용시에는 천판 본체(11)는 접지면(3)에서 플립업식 테이블을 향하여 뻗은 수직선에 대하여 몇도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된다.
한 쌍의 다리(2)는 천판 본체(1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천판(1)을 지지하는 제 1 다리로서, 다리 프레임(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다리 프레임(21)끼리는, 관통재(2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리 프레임(21)의 내측에는, 천판 본체(11)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천판(1)을 지지하는 제 2 다리로서, 내부 다리(23)가 수용되어 있다(도 5).
이러한 천판 본체(11)에는 프리즈보드(12)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천판 본체(11)에는 천판 프레임(13)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천판 프레임(13)은 한 쌍의 천판 암(17)(도 2)에 용접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천판 암(17)은, 천판 프레임(1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천판 암(17)의 각각에는, 천판(1)을 잠그기 위한, 또는 천판(1)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락레버(14)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락레버(14)는, 레버축(1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쪽 락레버(14)를 레버축(15)을 중심으로 요동하게 하면, 다른 쪽 락레버(14)도 연동하여 레버축(15)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도 2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천판본체(11)가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 즉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의 B는 천판 본체(11)가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 즉 수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플립업식 테이블은 좌우대칭이기 때문에, 한쪽 측면만을 나타내며 다른 쪽 측면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천판 본체(11)에는 천판(1)과 다리(2)를 접속하는 접속부로서 천판 암(17)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 암(17)에는 락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락레버(14)를 천판(1)을 향하여 화살표(50)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게 하면, 잠금이 해제된다. 사용 위치에 있어서 천판 본체(11)는 접지면(3)에 대하여 대략 수평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천판(1)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천판(1)을 도 2의 B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즈보드(12)는 링크(18)를 통하여 다리 프레임(21)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링크를 통하여 천판(1)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천판(1)을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키면, 프리즈보드(12)도 천판(1)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이동한다.
사용시의 천판(1)은 다리 프레임(2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 프레임(21)의 베이스 프레임(213)에 설치된 베이스캡(24)과, 베이스 프레임(213)에 나사 고정된 조정장치(25)가 접지면(3)에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1)을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면, 천판(1)은 다리 프레임(21)에 수용된 내부 다리(23)를 지지대로 하여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다리 프레임(21)도 천판(1)을 따라서 이동하므로, 베이스캡(24)과 조정장치(25)도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납시의 천판(1)은 내부 다리(23)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 때문에, 내부 다리(23)에 설치된 한 쌍의 캐스터(26)만이 접지면(3)에 접지되어 있다.
다리 프레임(21)의 선단에는 가이드캡(27)이 끼워져 있다. 이 가이드캡(27)에 의하여, 천판 암(17)의 캠부 등이 외부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천판 암(17)과 다리 프레임(21)의 틈 등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손가락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캡(27)에는 물건을 걸기 위한 후크(2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물건을 걸 필요가 없다면, 이 후크(28)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도 3은 플립업식 테이블의 천판(1)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는 천판(1)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A-A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의 A에서는 프리즈보드(12) 및 락스프링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천판(1)은 좌우대칭의 구성을 구비하므로, 도 3의 A에 있어서는 천판(1)의 한쪽 측면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에 있어서 천판(1)의 천판 본체(11)의 하면, 즉 다리(2)측의 면에는, 강판으로 형성된 천판 암(17)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천판 암(17)은, 천판 본체(11)를 지지하는 지지부(171)와, 플립업식 테이블의 캠인 캠부(172)와, 지지부(171) 및 캠부(172) 사이의 중앙부(173)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コ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천판 암(17)은 중앙부(173)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삽입된 나사에 의하여 천판 본체(11)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171)에는 천판 프레임(13)이 용접되어 있다.
더욱이, 천판 암(17)에는 락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락레버(14)는 레버축(15)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고, 락레버(14)의 안쪽에는 락플레이트(1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락플레이트(141)는 천판(1)이 사용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을 때, 다리 프레임(21)의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1 계지홈(41)(도 5의 A)에 맞닿는다. 또한, 천판 암(17)의 지지부(171)와 캠부(172)는, 스톱퍼(17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스톱퍼(174)는 천판(1)이 사용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을 때,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2 계지홈(42)(도 5의 A)에 맞닿는다. 더욱이, 지지부(171) 및 캠부(172)에는 천판(1)을 지지하는 지지축이 삽입되는 구멍(17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부(172)에는 천판 본체(11)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다리(2)의 지지면에 맞닿는 맞닿음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캠부(172)에는 천판 본체(11)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다리(2)의 지지면과 대향하는 대향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축의 구멍(177)에서 맞닿음부(175)까지의 거리는, 지지축의 구멍(177)에서 대향부(176)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그 때문에, 천판 본체(11)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맞닿음부(175)가 다리(2)의 지지면에 맞닿아 올라가면, 지지축이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캠부(172)를 가지는 천판 암(17)도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천판(1)을 다리(2)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지지축(19)에서 맞닿음부(175)까지의 거리가, 지지축(19)에서 대향부(176)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진다(도 10).
도 3의 A의 A-A 단면인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레버(14)에는 락플레이트(1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락플레이트(141)는 락레버(14)의 요동에 따라서 요동한다. 또한, 락레버(14)의 스프링 수용부(143)에는 락스프링(144)이 끼워져 있다. 이 락스프링(144)의 일단은 천판 암(17)의 중앙부(173)에 맞닿고, 타단은 락레버(14)의 스톱퍼(148)(도 4)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락스프링(144)은 락레버(14)를 천판 본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있다. 그 때문에,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락스프링(144)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락레버(14)를 요동시키게 된다.
더욱이, 락레버(14) 및 락플레이트(141)에는 레버축(15)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축(15)은 천판 암(17)의 캠부(172) 및 지지부(171)의 구멍(142)에도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락레버(14)는 레버축(15)을 중심으로 요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버축(15)은 외측 고정구(145)에 의하여 캠부(172)에 설치되며, 내측 고정구(146)에 의하여 지지부(171)에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락레버(14), 락플레이트(141) 및 락스프링(144)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락레버(14)의 내부에는 락플레이트(141)를 수용하는 홈(1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147)에 락플레이트(141)가 끼워진다. 또한, 락레버(14)에는 스프링 수용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 수용부(143)에 락스프링(144)이 끼워진다. 스프링 수용부(143)에 끼워진 락스프링(144)의 일단은, 락레버(14)의 스톱퍼(148)에 맞닿는다.
락플레이트(141) 및 스프링 수용부(143)의 안쪽에는, 레버축(15)이 삽입되는 구멍(14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레버축(15)은 단면이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구멍(149)은 모두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진다. 또한, 락플레이트(141)에는 다리 프레임(21)의 관통재 프레임(219)의 계지홈과 맞닿는 계지 돌기(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A는 천판(1)이 사용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다리(2)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또한, 도 5의 B는, 도 5의 A의 B-B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한편, 한 쌍의 다리(2)는 모두 대칭인 구성을 가지므로, 도 5에 있어서는 한쪽 다리(2)만을 나타내며, 다른 쪽 다리(2)의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리(2)는 후크(28)(도 2)를 가지고 있는데,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후크(28)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다리(2)의 다리 프레임(21)은, 베이스 프레임(213)과 프레임 본체(21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 본체(212)는, 베이스 프레임(213)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용접되어 있다. 또한, 다리 프레임(21)에는 천판(1)과 다리(2)를 접속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강판으로 형성된 관통재 프레임(219)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제 1 계지홈(41) 및 제 2 계지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계지홈(41) 및 제 2 계지홈(42)에는 락레버(14)에 접속된 락플레이트(141)의 계지돌기(40)(도 4)가 계지된다. 즉, 이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1 계지홈(41) 및 제 2 계지홈(42)과, 락 플레이트(141)의 계지 돌기(40)에 의하여, 플립업식 테이블의 락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관통재(22)가 용접되어 있고, 이러한 관통재(22)를 통하여 다른 쪽 다리의 관통재 프레임(219)과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천판(1)을 지지하는 지지축(19)(도 6)의 일단이 삽입되는 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9)의 타단은 천판 암(17)의 구멍(177)(도 3)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천판(1)이 다리(2)에 접속되며 지지된다. 이와 같이 천판(1)이 다리(2)에 접속된 상태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의 천판(1) 및 다리(2)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도 2의 C-C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다리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2)에는 관통재(22)가 용접된 관통재 프레임(219)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9)이 천판 암(17)의 지지부(171) 및 캠부(172)의 구멍(177)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171) 및 캠부(172)는, 지지축(19)을 통하여 관통재 프레임(219)에 접속되어 있다. 즉, 천판(1)은 지지부(171) 및 캠부(172)를 통하여 프레임 본체(212)를 가지는 다리(2)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판(1)은 지지축(19)만에 의하여 다리(2)에 접속되며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부품수를 적게할 수 있어, 쉽게 플립업식 테이블을 조립할 수 있다. 더욱이, 지지축(19)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천판(1)과 다리(2)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립업식 테이블의 수납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쉽게 플립업식 테이블을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시에 있어서는, 캠부(172)의 대향부(176)와 다리 프레임(21) 내에 수용된 내부 다리(23)의 내부단(231)과의 사이에 틈이 존재한다. 즉, 내부 다리(23)는 천판(1)을 지지하고 있지 않다.
한편, 도 6에 있어서는, 프레임 본체(212)와 내부 다리(23) 사이에 안쪽 플레이트(21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재 프레임(219)은 안쪽 플레이트(125)와 함께 다리 프레임(21)에 대하여 나사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관통재 프레임(219)을 다리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다리 프레임(21)에 관통재(22)가 용접되는 동시에, 다리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2)의 일부가 천판(1)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락플레이트(141)의 계지 돌기(40)(도 4)는 이렇게 연장된 부분에 계지된다.
도 5로 되돌아가서, 다리 프레임(21) 내에는 캐스터(26)가 설치된 내부 다리(23)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 프레임(21)의 선단에는 내부 다리(23)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캡(27)이 끼워져 있다. 그 때문에,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의 안쪽을 천판(1)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내부 다리(23)가 가이드캡(27)의 일부에 부딪힌다. 이에 따라, 다리(2)를 조립할 때에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으로부터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캡(27)은 다리 프레임(21) 내에 끼워지는 가이드부(27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내부 다리(23)를 설치할 때에는 가이드부(271)의 안쪽에 내부 다리(23)의 내부단(231)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다리 프레임(21) 내부에서 내부 다리(23)가 움직이더라도 가이드부(271)와 내부단(231)이 맞닿아 내부 다리(23)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그 때문에, 플립업식 테이블의 이동시 등에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의 내면에 접촉하여 이상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내부 다리(23)는 캐스터(26)가 설치된 베이스부(232)와, 베이스부(232)에 연결된 내부 다리 본체(233)를 구비한다. 내부 다리 본체(233)는 내부가 빈통 형상이고, 내부 다리(23)와 다리 프레임(21) 사이에는 내부 가이드(234)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가이드(234)는 내부 다리 본체(233)의 바깥쪽이며 프레임 본체(212)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다리(23)는 내부 가이드(234)가 설치된 상태로 다리 프레임(21) 내에 수용된다.
내부 가이드(234)에 대하여, 도 5의 B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내부 가이드(234)는 계합 돌기(235)를 가지고 있고, 이 계합 돌기(235)는 내부 다리 본체(233)의 계합 구멍(236)과 계합한다. 또한, 내부 가이드(234)의 외면에는 프레임 본체(212)의 내면에 맞닿도록 복수의 돌출부(237)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리 프레임(21) 내의 내부 다리(23)에 힘이 가해져도, 복수의 돌출부(237)가 프레임 본체(212)의 내면에 맞닿아, 내부 다리(23)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내부 가이드(234)의 안쪽 크기는, 내부 다리 본체(233)의 외면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내부 가이드(234)는 내부 다리(23)의 선단으로부터 끼워져서, 내부 다리 본체(233)의 계합 구멍(236)까지 슬라이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가이드(234)의 계합 돌기(235)를 계합 구멍(236)과 계합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하게 함으로써, 내부 가이드(234)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내부 다리(23)는 다리 프레임(21)에 대하여 접지면(3) 방향 및 천판(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내부 다리(23)는 다리 프레임(21) 내를 접지면(3) 방향 및 천판(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다리 프레임(21)의 베이스 프레임(213)의 뒤쪽 높이는, 앞쪽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213)의 사용자측의 높이는, 프리즈보드(12)측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213)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다리(23)의 베이스부(232)도 뒤쪽 높이가 앞쪽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립업식 테이블의 사용자측 공간에 사용자가 출입할 때, 베이스 프레임(213)에 다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출입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다리 프레임(21)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7은 다리 프레임(21)을 플립업식 테이블의 안쪽, 즉 플립업식 테이블의 중앙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의 위쪽에는 다리 프레임(21)에 끼워지는 가이드캡(27)이 나타나 있다. 더욱이, 도 7의 오른쪽에는 다리 프레임(21)의 바깥쪽에 나사 고정되는 관통재 프레임(219)이 나타나 있다.
가이드캡(27)에는 제 1 나사 구멍(27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제 1 나사 구멍(216), 제 2 나사 구멍(217), 제 3 나사 구멍(218)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다리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2) 및 다리 프레임(21)의 안쪽에 나사 고정되어 있는 안쪽 플레이트(215)에도 제 1 나사 구멍(226), 제 2 나사 구멍(227), 제 3 나사 구멍(2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재 프레임(219)에는 천판(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19)이 삽입되는 구멍(214)도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통재 프레임(219)의 외면, 즉 프레임 본체(212)에 접하여 있지 않은 면에는 관통재(22)가 용접되어 있다.
가이드캡(27)의 제 1 나사 구멍(276),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1 나사 구멍(216), 프레임 본체(212) 및 안쪽 플레이트(215)의 제 1 나사 구멍(226)은 각각의 위치가 같은 축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나사 구멍(217, 227), 제 3 나사 구멍(218, 228)도 각각의 위치가 같은 축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나사 구멍(276, 216, 226)에 관통재 프레임(219)의 외면측으로부터 나사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관통재 프레임(219), 내측 플레이트(215) 및 가이드캡(27)이 프레임 본체(212)에 대하여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2 나사 구멍(217)과, 프레임 본체(212) 및 안쪽 플레이트(215)의 제 2 나사 구멍(227)에도 나사가 삽입되며,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3 나사 구멍(218)과, 프레임 본체(212) 및 안쪽 플레이트(215)의 제 2 나사 구멍(228)에도 나사가 삽입된다.
프레임 본체(212)에는 베이스 프레임(213)이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213)의 뒤쪽에는 조정장치(25)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이 조정장치(25)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립업식 테이블의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13)의 앞쪽에는 베이스캡(24)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베이스캡(24)은 내부에 단차부(24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241)의 위치는, 내부 다리(23)의 베이스부(232)의 단차부(238)(도 9)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다리(23)가 빠져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으로부터 빠져서 떨어지기 전에 베이스캡(24)의 단차부(241)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다리 프레임(21)으로부터 내부 다리(23)가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부(241)에 의하여, 내부 다리(23)가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가이드캡(27)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A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안쪽 방향에서 본 가이드캡(27)을 나타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D-D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의 C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앞쪽에서 본 가이드캡(27)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가이드캡(27)에는 후크(28)가 형성되어 있는데, 후크(2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더욱이, 도 8의 B에 있어서는, 가이드캡(27) 이외에 내부 다리(23), 안쪽 플레이트(215), 나사(277) 및 다리 프레임(21)을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이드캡(27)에는 내부 다리(23)가 끼워지는 제 1 오목부(27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오목부(279)의 바깥쪽에는, 다리 프레임(21)의 내면에 설치되는 안쪽 플레이트(215)가 끼워지는 제 2 오목부(278)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가이드캡(27)에는 나사 구멍(276)이 형성되어 있다. 그 나사 구멍(276)에 삽입되는 나사(277)는 다리 프레임(21) 및 안쪽 플레이트(215)의 제 1 나사 구멍(226)을 관통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캡(27)은 다리 프레임(21)에 대하여 나사 고정된다. 가이드캡(27)의 하단, 즉 다리 프레임(21)측에는 가이드부(271)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271)의 단부에는 경사면(2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80)에 의하여, 가이드부(271)의 단부가 가늘어진다. 그 때문에, 내부 다리(23)가 수용된 상태의 다리 프레임(21)으로도 쉽게 가이드캡(27)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캡의 선단 부분에는 천판(1) 암의 캠부(172)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 3 오목부(281)가 형성되어 있다. 플립업식 테이블을 조립한 상태에서는, 캠부(172)의 대향부(176) 및 맞닿음부(175)는 제 3 오목부(281)의 안쪽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사용시 및 수납시의 어느 때에도 대향부(176) 및 맞닿음부(175)가 가이드캡(27)의 머리부(282)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9를 이용하여 내부 다리(23)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내부 다리(23)의 내부 다리 본체(233) 및 베이스부(232)는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다리 본체(233)는 베이스부(232)에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232)의 일부에는 내부 다리 본체(233)를 향하여 돌출되는 용접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32)의 앞쪽에는 단차부(2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리 프레임(21)의 베이스 프레임(213)에 설치된 베이스캡(24)에는, 이 단차부(238)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단차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다리(23)가 다리 프레임(21)으로부터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232)와 내부 다리 본체(233)는, 하나의 강판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부(232)에는 캐스터(26)가 나사 고정되어 있고, 캐스터(26)는 나사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플립업식 테이블을 이동할 때에는, 캐스터(26)의 방향을 진행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한편, 캐스터(26)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은 2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3개 이상의 나사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캐스터(26)의 위치를 변하게 할 수도 있다.
내부 다리(23)의 내부 다리 본체(233)의 선단, 즉 천판(1)측의 단부에는 수지제의 내부단(231)이 끼워져 있다. 이 내부단(231)에는 캠부(172)의 대향부(176)에 대하여 기울어진 지지면(23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면(239)은 천판(1)이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천판 암(17)의 캠부(172)의 맞닿음부(175)와 맞닿는다. 이에 따라, 천판(1)이 내부단(231), 내부 다리 본체(233), 베이스부(232) 및 캐스터(26)를 통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내부 다리(23)를 구비하는 다리(2)를 조립하는 경우, 우선 내부 다리(23)의 베이스부(232)에 캐스터(26)가 나사 고정된다. 이어서, 내부 가이드(234)가 내부 다리 본체(233)에 끼워진다. 이때, 내부 가이드(234)는 계합 돌기(235)(도 5)가 내부 다리 본체(233)의 계합 구멍(236)과 계합할 때까지 슬라이드된다. 그 후, 내부단(231)이 내부 다리 본체(233)의 선단에 끼워진다.
이어서, 조립된 내부 다리(23)는 다리 프레임(21) 안에 삽입된다. 그리고, 관통재 프레임(219) 및 안쪽 플레이트(215)가 다리 프레임(21)에 나사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가이드캡(27)이 다리 프레임(21)의 선단에 끼워지고, 다리 프레임(21)에 나사 고정된다. 한편, 조립된 다리(2)의 관통재 프레임(219)은 천판(1)의 천판 암(17)과 지지축(19)에 의하여 접속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이용하여 플립업식 테이블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는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플립업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의 C은 수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잠금 기구의 동작과, 캠부(172)의 동작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설명을 위하여, 가이드캡(27) 등의 부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우선, 잠금 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에 있어서는, 락플레이트(141)의 계지 돌기(40)가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1 계지홈(41)에 맞닿아 있다. 또한, 천판 암(17)의 스톱퍼(174)가 관통재 프레임(219)의 제 2 계지홈(42)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천판(1)은 사용 위치에 있어서 다리(2)에 대하여 잠겨 고정되어 있다. 한편, 천판(1)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락레버(14)는 락스프링(144)(도 4)에 의하여 다리(2) 방향으로 밀려 있다.
천판(1)을 수납할 때에는, 사용자는 락스프링(144)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레버축(15)을 중심으로 락레버(14)를 천판(1) 방향으로 요동하게 한다. 이에 따라, 계지 돌기(40)와 제 1 계지홈(41)의 계지가 해제된다. 그리고, 잠금이 해제된 후, 사용자는 지지축(19)을 중심으로 화살표(5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천판(1)을 플립업한다. 이에 따라, 락레버(14) 및 락플레이트(141)는 도 10의 B에 나타내는 플립업 도중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스톱퍼(174)도 동시에 도 10의 B에 나타내는 플립업 도중의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스톱퍼(174)는 제 2 계지홈(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천판(1)을 도 10의 C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후, 사용자는 락레버(14)의 조작을 그만둔다. 그렇게 하면, 락레버(14)는 락스프링(144)에 의하여 다시 다리(2) 방향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락레버(14)는 레버축(15)을 중심으로 화살표(52)로 나타내는 다리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락 플레이트(141)의 계지 돌기(40)가 제 2 계지홈(42)에 맞닿아, 천판(1)이 수납 위치에 있어서 다리(2)에 대하여 잠겨 고정된다.
이어서, 캠부(172)의 동작과, 그에 따르는 플립업식 테이블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시의 플립업식 테이블에 있어서는, 천판 암(17)의 캠부(172)의 대향부(176)와 내부단(231)의 지지면(239) 사이에는 화살표 a로 나타내는 틈이 존재한다. 그리고, 천판(1)은 천판 암(17)의 지지부(171), 지지축(19), 관통재 프레임(219), 프레임 본체(212), 베이스 프레임(213), 베이스캡(24) 및 조정장치(25)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사용시에 있어서는, 베이스 프레임(213)의 베이스캡(24) 및 조정장치(25)가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면(3)과 맞닿아 있다. 즉, 사용시에 있어서는, 천판(1)이 다리 프레임(2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한편, 사용시에 있어서는, 내부 다리(23)가 자체 무게에 의하여 다리 프레임(21) 내를 접지면(3)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내부 다리(23)의 캐스터(26)도 접지면(3)과 맞닿아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천판(1)의 잠금을 해제하여 천판(1)을 플립업하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1)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캠부(172)도 요동한다. 즉, 지지축(19)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캠부(172)는, 천판 암(17)의 일부로서 천판 본체(11)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캠부(172)가 천판 본체(11)의 회전 운동을 따라서 요동한다. 그 결과,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부(172)의 맞닿음부(175)가 내부단(231)의 지지면(239)과 맞닿는다.
한편, 도 10의 A에 있어서, 천판(1)의 지지축(19)에서 캠부(172)의 맞닿음부(175)까지의 거리를 화살표 g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천판(1)의 지지축(19)에서 캠부(172)의 대향부(176)까지의 거리를 화살표 h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화살표 g로 나타내는 거리는, 화살표 h로 나타내는 거리보다 짧다. 즉, 지지축(19)에서 맞닿음부(175)까지의 거리는, 지지축(19)에서 대향부(176)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그 때문에, 천판(1)을 회전 운동시킴에 따라서, 맞닿음부(175)는 지지면(239) 위로 올라가도록 지지면(239)의 위쪽으로 이동한다. 바꿔 말하면, 맞닿음부(175)는 지지면(239) 상에 올라가서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맞닿음부(175)는 내부단(231)의 보다 선단과 맞닿게 된다. 그 결과, 천판(1)을 회전 운동시킴에 따라서, 지지축(19)에서 접지면(3)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즉, 지지축(19)이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지지축(19)은 천판 암(17)의 지지부(171)를 통하여 천판 본체(11)에 접속되는 동시에, 관통재 프레임(219)을 통하여 다리 프레임(21)의 프레임 본체(212)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축(19)이 접지면(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천판 본체(11) 및 다리 프레임(21)도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다리 프레임(21)이 접지면(3)으로부터 멀어지면, 천판(1)은 캠부(172)를 통하여 내부 다리(23)에 지지되게 된다.
도 10의 B는 천판(1)을 어느 정도 플립업하여, 천판(1)이 내부 다리(23)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장치(25) 및 베이스캡(24)이 접지면(3)에서 떠있다. 그 때문에, 천판(1)은 접지면(3)에 맞닿는 캐스터(26)를 통하여 내부 다리(2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천판(1)을 회전 운동시켜, 천판(1)을 도 10의 C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면, 맞닿음부(175)와 지지면(239)이 맞닿는 위치는 화살표 e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면(239)의 보다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지지축(19)이 접지면(3)으로부터 보다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천판 본체(11) 및 다리 프레임(21)도 접지면(3)으로부터 보다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천판(1)을 수납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키면, 화살표 f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면(3)과 조정장치(25) 및 베이스캡(24)의 간격은 최대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예의 구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관통재 프레임(219)은 다리 프레임(21)의 내측측면, 즉 천판(1) 측의 측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다리 프레임(21)과 일체로 형성된 관통재 프레임(219)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리 프레임(21)의 일부를 연장시키고, 그 연장 부분에 의하여 관통재 프레임(219)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천판 암(17)은 지지부(171)와 캠부(17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지지부(171)와 캠부(172)는, 각각 별개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지지부(171)와 캠부(172)는, 각각 천판 본체(11)에 나사 고정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의 내부 다리(23)는 가이드캡(27)에 의하여 빠져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하지만, 내부 다리(23)에 기다란 구멍을 형성하고, 관통재 프레임(219)의 나사 구멍에 삽입된 나사를 이 기다란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빠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다리 프레임(21) 내의 내부 다리(23)에 힘이 가해졌더라도 기다란 구멍의 가장자리에 나사가 맞닿기 때문에, 내부 다리(2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내부단(231)의 지지면(239)은 캐스터(26)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이면 좋다. 그 때문에, 지지면(239)의 형상은 경사진 평면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곡면 형상 또는 약간의 단차를 가지는 계단 형상의 형상이어도 좋다. 더욱이, 내부단(231)을 설치하지 않고, 내부 다리(23)의 선단에 지지면(239)을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변형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0년 5월 21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0-117735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여 본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1: 천판 2: 다리
3: 접지면 11: 천판 본체
19: 지지축 21: 제 1 다리
23: 제 2 다리 172: 캠
175: 맞닿음부 176: 대향부
239: 지지면

Claims (11)

  1.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에 접속되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천판 본체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한 캠과,
    상기 지지축에 접속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와,
    상기 제 1 다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2 다리를 구비하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캠의 대향부와 대향하며,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지지면은 상기 캠의 맞닿음부와 맞닿고,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대향부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리가 상기 제 1 다리의 안쪽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캠은 상기 지지면에 올라가도록 요동하고,
    상기 캠이 상기 지지면에 올라감에 따라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플립업식 테이블의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축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다리는 상기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경사져 있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지지면 위를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 본체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로 회전 운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사용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축을 통하여 상기 제 1 다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리의 선단에 상기 제 2 다리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캡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가이드캡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리와 상기 제 2 다리 사이에, 상기 제 1 다리와 상기 제 2 다리와의 접촉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다리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
  9.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이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를 구비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에 이용되는 천판으로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에 접속되고,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천판 본체의 이동에 따라서 요동 가능한 캠을 구비하며,
    상기 캠은, 상기 천판이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다리의 지지면과 대향하는 대향부와, 상기 천판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지지면과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맞닿음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지지축에서 상기 대향부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용의 천판.
  10.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로 요동 가능한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와 제 2 다리를 구비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에 이용되는 다리로서,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상기 제 1 다리와,
    상기 제 1 다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상기 천판 본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지지면을 통하여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상기 제 2 다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면은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용의 다리.
  11. 천판 본체와 상기 천판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 및 제 2 다리를 구비하는 플립업식 테이블에 이용되는 천판을,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수납하는 천판의 수납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 위치에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다리에 지지된 상기 천판 본체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천판 본체에 접속된 캠이,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천판 본체의 회전 운동을 따라서 요동함으로써, 상기 캠의 맞닿음부가 상기 제 2 다리의 지지면과 맞닿으며,
    상기 맞닿음부와 상기 지지면이 맞닿고 있는 상태로 상기 천판 본체가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캠이 상기 지지면으로 올라가고,
    상기 캠이 상기 지지면으로 올라감에 따라서, 상기 지지축이 상기 플립업식 테이블의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축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다리가 상기 접지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의 수납 방법.
KR1020127031736A 2010-05-21 2011-05-19 플립업식 테이블,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 KR101452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7735 2010-05-21
JP2010117735A JP5615040B2 (ja) 2010-05-21 2010-05-21 跳上げ式机、跳上げ式机用の天板、跳上げ式机用の脚及び天板の収納方法
PCT/JP2011/002788 WO2011145350A1 (ja) 2010-05-21 2011-05-19 跳上げ式机、跳上げ式机用の天板、跳上げ式机用の脚及び天板の収納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598A KR20130014598A (ko) 2013-02-07
KR101452347B1 true KR101452347B1 (ko) 2014-10-22

Family

ID=44991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736A KR101452347B1 (ko) 2010-05-21 2011-05-19 플립업식 테이블,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599404B1 (ko)
JP (1) JP5615040B2 (ko)
KR (1) KR101452347B1 (ko)
AU (1) AU2011256668B2 (ko)
TW (1) TWI463956B (ko)
WO (1) WO2011145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5864B2 (ja) * 2011-12-12 2017-03-29 エビス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折畳みテ−ブル
JP5785145B2 (ja) * 2012-10-11 2015-09-24 コトブキシーティング株式会社 跳上げ式机
FR3021852B1 (fr) * 2014-06-06 2017-04-21 Les Creations Inova Table a plateau basculant
JP6362213B2 (ja) * 2014-09-03 2018-07-25 コトブキシーティング株式会社 側板角度可変式机
WO2018081415A1 (en) 2016-10-27 2018-05-03 Steelcase Inc. Flip top ta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1609A1 (en) * 2006-05-15 2007-11-15 Aichi Co., Ltd. Locking device and furni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4408B2 (ja) * 2002-03-08 2005-01-26 愛知株式会社 移動机
JP4809187B2 (ja) * 2006-10-27 2011-11-09 愛知株式会社 テーブル
JP4737336B2 (ja) 2010-03-04 2011-07-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1609A1 (en) * 2006-05-15 2007-11-15 Aichi Co., Ltd. Locking device and furn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15040B2 (ja) 2014-10-29
TWI463956B (zh) 2014-12-11
KR20130014598A (ko) 2013-02-07
EP2599404A1 (en) 2013-06-05
EP2599404B1 (en) 2016-12-14
TW201200071A (en) 2012-01-01
JP2011244845A (ja) 2011-12-08
AU2011256668A1 (en) 2012-12-06
AU2011256668B2 (en) 2014-06-26
EP2599404A4 (en) 2014-01-22
WO2011145350A1 (ja)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347B1 (ko) 플립업식 테이블, 플립업식 테이블용 천판, 플립업식 테이블용 다리, 및 천판의 수납방법
KR100972740B1 (ko) 래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개폐장치
US7673839B2 (en) Parallel four-bar mechanism
JP6045015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2013248374A (ja) 什器における高さ調節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椅子の肘掛け装置
JP2012135398A (ja) 椅子
JP2017086866A (ja) 抽斗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及び、取付デバイス
JP6045016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5785145B2 (ja) 跳上げ式机
JP2008031805A (ja) 引戸案内具及び該引戸案内具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JP2000052704A (ja) キャスタ装置
JP4898286B2 (ja) 移動机
JP2005065815A (ja) 肘掛け装置
JP6045017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2020175010A (ja) 天板傾斜機能付きデスク
JP5232597B2 (ja) テーブル
JP6725841B2 (ja) 電子装置
JPH0629414Y2 (ja) ヒンジ
JP7390096B2 (ja) 背凭れロッキング範囲調整機構及び椅子
JP2006184856A (ja) マーチングテナードラムの支持装置、マーチングテナードラム
JP2019041920A (ja) 免震装置とそのロック装置ならびに免震装置を備えたキャスタ
JP2020109250A (ja) ドアハンドル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ドア構造
JP2005103137A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7275038A (ja) カウンター付テーブル
JP6182468B2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