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696B1 - 직물 보호 조성물 - Google Patents

직물 보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696B1
KR101451696B1 KR1020097004966A KR20097004966A KR101451696B1 KR 101451696 B1 KR101451696 B1 KR 101451696B1 KR 1020097004966 A KR1020097004966 A KR 1020097004966A KR 20097004966 A KR20097004966 A KR 20097004966A KR 101451696 B1 KR101451696 B1 KR 10145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fabric
prepolymer
composition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074A (ko
Inventor
홍 리우
제임스 마이클 램버트
소냐 메노
페데리까 마리아 로베르따 스토빠
Original Assignee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filed Critical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090050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06M15/568Reaction products of isocyanates with 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2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04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 C08G18/0819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 C08G18/0823Manufacture of polymers containing ionic or ionogenic groups containing anionic or anionogenic groups containing carboxylate salt groups or groups form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95Manufacture of polymers by continuous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08G18/12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using two or more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the first polymeris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54Polyethers containing oxyalkylene groups having four carbon atoms in the alkyle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92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9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n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2Polyurethanes from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active hydrogen,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n isocyanat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C11D3/502Protected perfumes
    • C11D3/505Protected perfumes encapsulated or adsorbed on a carrier, e.g. zeolite or cla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4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ethers, acetals, hemiacetals, ketones or aldehy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2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incorporated in micr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0Treatment influencing the crease behaviour, the wrinkle resistance, the crease recovery or the ironing e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질 용이성, 다리미의 보다 나은 미끄러짐, 향상된 형태 보형성, 잔향 및 얼룩 관리 특성을 비롯한, 세척한 직물에 대해 향상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말 및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우레탄우레아, 세탁, 직물 보호

Description

직물 보호 조성물 {FABRIC CARE COMPOSITION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06년 8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837,011호의 이익 및 2006년 11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865,091호의 이익을 청구하며, 본 출원은 2006년 2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1/351,967호의 일부 계속 출원으로, 이것은 2005년 12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1/300,229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이것은 2005년 10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1/253,927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이것은 2005년 2월 11일자로 출원된 현재 미국 특허 제7,240,371호인 미국 출원 제11/056,067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본 출원은 또한 2006년 1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60/759,853호의 이익을 청구하는 2007년 1월 18일자로 출원된 동 제11/654,753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직물 보호 특성을 갖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제 및 직물 유연제를 비롯한 직물 보호 조성물을 제공한다.
직물 유연제는 세탁가능한 직물에 유연성 및/또는 보플성(fluffiness)을 부여하기 위하여 종종 세제에 더해서 사용된다. 직물 유연제는 또한 직물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며, 정전기에 의한 부착을 감소시키고, 기분좋은 향을 부여하며, 건조 시간을 줄이고, 주름발생을 줄이고, 다림질을 보다 쉽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익한 특성들은 일반적으로 세탁 후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된다.
가장 일반적인 활성 성분은 본질적으로 양이온인, 4급 암모늄 화합물로 불리는 긴 사슬 지방형 분자에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음이온일 수 있는 세제와의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직물 세정 또는 건조시에 일반적으로 직물 유연제를 넣는다.
직물 세탁 시간 및 비용 절감을 위해, 세제와 동시에 첨가할 수 있는 직물 보호 조성물이 필요하다. 또한, 직물을 유연하게 하는 조성물과 함께 유익한 잔향의 지속시간 및 보관의 용이성을 연장시키는 직물 보호 조성물이 필요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세제 또는 직물 유연제 조성물과 함께 직물 보호 특성을 제공하는, 분말 또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를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직물 보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 및 물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막형성 분산액의 형태이다. 상기 중합체는 예비중합체와 사슬 연장제로서의 물의 반응 생성물로, 여기서 예비중합체는 글리콜 또는 글리콜 혼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직물 보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 및 물을 포함하는 이온성 막형성 분산액의 형태이다. 분산액의 이온 속성은 비이온성 중합체 분산액을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첨가제와 조합한 결과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분산액이 음이온성인 경우, 이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에 이온기가 혼입된 결과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는 물 및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비-막형성 분산액이다. 상기 중합체는 예비중합체와 사슬 연장제, 예컨대 디아민 사슬 연장제, 물 및 그의 조합의 반응 생성물로, 여기서 예비중합체는 글리콜 (폴리올) 또는 글리콜 혼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상기 중합체는 여과된 후 분쇄되거나 분무 건조되어 분말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양태는 직물 또는 가먼트(garment)에 향 또는 잔향을 연장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직물 또는 가먼트를 향료 및 분말 또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접촉은 직물을 세탁하고/거나 건조하기 전에 세제 또는 직물 유연제에 향료 및 폴리우레탄우레아를 첨가하거나, 이들을 세척수에 직접 첨가하거나, 또는 이들을 세정 주기 동안 직접 또는 직물 유연제 조성물과 합하여 넣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의 실시양태는 직물 또는 가먼트에 목적으로 하는 특성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직물을 분말 또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직물에 부여할 수 있는 목적으로 하는 특성에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형태 보형성, 형상 복원성, 보관 용이성 (즉, 다림질의 용이성, 주름방지), 및 오염방지 특성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말"은 최대 치수가 1 mm보다 작고, 평균 입자 크기가 100 ㎛ 미만인 미분 고체 입자의 느슨한 집합체로 이루어진 미립자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막형성"은 본원에서 개시하는 합성 조건하에서 다른 시약의 부재하에 물질이 연속 막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막형성"은 본원에서 개시하는 합성 조건하에서 다른 시약의 부재하에 물질이 연속 막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직물"은 임의의 제직물, 부직물, 편직물, 터프트, 펠트, 조물, 또는 가먼트 (의류), 시트, 타월, 및 커튼에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섬유 및/또는 실이 조합된 결합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직물 보호 조성물"이란, 특히 직물의 세탁 또는 건조 동안에 직물에 가하여 유익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임의의 조성물을 말한다. 그러한 특성에는 클리닝, 유성 및 기름 자국의 제거, 직물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는 것, 정전기에 의한 부착의 감소, 기분좋은 향의 부여, 건조 시간의 단축, 주름발생의 감소 및 다림질을 보다 쉽게 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제공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근래 시판하는 직물 보호 조성물에 비해 놀라우리만큼 향상된 형태 보형성을 직물에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직물에 보관의 용이성 또는 손질 용이성(easy care property)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로 처리한 직물은 세탁 후에도 주름이 잘 생기지 않고, 다림질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일부 실시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또한, 특히 직물에 가했을때 놀라우리만큼 양호한 물 및 오일 흡수능을 갖는다. 이것은 특히 오염방지 특성을 위해 중요하다. 직물을 일부 실시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과 접촉시킬 경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얼룩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부터 수분 및 오일을 흡수할 것이고, 이로 인해 직물이 흡수하는 것은 제한될 것이다.
이러한 흡수 특성으로 인해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또한 본 조성물과 접촉된 직물 내에 잔향을 지속시키는데 일조한다. 이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에 의한 흡수에 이어 향료의 점진적인 방출로 인한 것이다.
폴리우레아우레탄우레아 조성물에 잘 침적되거나 보유되는 향료 물질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그러한 물질에는 이하에서 언급하는 두 개의 카테고리, 카테고리 A 및 카테고리 B가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테고리 A: 옥타놀/물 분배 계수 (P)의 상용 로그값 (log10 P)이 2.5 이상이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코바츠(Kovats) 지표 (비극성 고정상으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에 대해 판단한 것)가 적어도 1050인, 알코올, 페놀 또는 살리실레이트인 히드록시 물질.
옥타놀-물 분배 계수 (또는 그의 상용 로그값 "logP")는 소수성 및 수용성의 지표로서 문헌에 널리 알려져 있다 (문헌 [Hansch and Leo, Chemical Reviews, 71, 526-616, (1971)]; [Hansch, Quinlan and Lawrence, J.Organic Chemistry, 33, 347-350 (1968)] 참고). 문헌에서 그 값을 얻을 수 없다면, 직접 측정하거나 수학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한 추정을 위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가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어드밴스드 케미스트리 디자인 인크.(Advanced Chemistry Design Inc.) 사의 "LogP"가 있다.
log10 P가 2.5 이상인 물질은 어느 정도 소수성이다.
코바츠 지표는 알칸의 체류 시간을 참조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치 중 체류 시간으로부터 계산한다 (문헌 [Kovats, Helv. Chim. Acta 41, 1915 (1958)] 참조). 비극성 고정상의 사용을 기준으로 한 상기 지표는 성분의 분자 크기 및 끓는점에 관한 설명어로서 수 년간 향수 업계에서 사용되어 왔다. 향수 업계에서의 코바츠 지표에 대한 개관이 시바모토(T Shibamoto)의 문헌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in Essential Oil Analysis], 및 산드라(P Sandra)와 비치(C Bicchi (편집자))의 문헌 [Huethig (1987), pages 259-274]에 제시되어 있다. 적합한 일반적인 비극성 상은, 예를 들면 RP-1 (휴렛-패커드(Hewlett-Packard)), CP Sil 5 CB (크롬팩(Chrompack)), OV-1 (오하이오 밸리(Ohio Valley)) 및 Rtx-1 (레스텍(Restek))와 같은 다양한 상표명으로 공급되는 100% 디메틸 폴리실록산이다.
코바츠 지표가 낮은 물질은 휘발성인 경향이 있고, 많은 섬유 중에 잘 보유되지 못한다.
카테고리 A에는 일반식이 ROH인 알코올이 포함되고, 여기서 히드록실기는 1차, 2차 또는 3차일 수 있으며, R기는 ROH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분배 계수 및 코바츠 특성을 갖도록 임의로 분지형이거나 치환된 시클릭 또는 비시클릭인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다. 코바츠 지표가 1050 내지 1600인 알코올은 전형적으로 분자량 범위가 150 내지 230 이내인 단일관능성 알킬 또는 아릴알킬 알코올이다.
카테고리 A에는 또한 일반식이 ArOH인 페놀이 포함되고, 여기서 Ar기는 1 이상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 또는 기 -CO2A (식 중 A는 탄화수소 라디칼로, 이 경우의 화합물은 살리실레이트임)의 에스테르로 치환될 수 있는 벤젠 고리를 나타낸다. ArOH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분배 계수 및 코바츠 지표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코바츠 지표가 1050 내지 1600인 페놀은 분자량 범위가 150 내지 210 이내인 단일히드록실 페놀이다.
카테고리 A에 속하는 향료 물질의 예에는 1-(2'-tert-부틸시클로헥실옥시)-부탄-2-올, 3-메틸-5-(2',2',3'-트리메틸시클로펜트-3-에닐)-펜탄-2-올, 4-메틸-3-데센-5-올, 아밀 살리실레이트, 2-에틸-4(2',2',3-트리메틸시클로펜트-3'-에닐)부트-2-에놀, 보르네올, 카르바크롤, 시트로넬롤, 9-데세놀, 디히드로유게놀, 디히드로리날롤, 디히드로미르세놀, 디히드로테르피네올, 유게놀, 게라니올, 히드록시시트로넬랄, 이소아밀 살리실레이트, 이소부틸 살리실레이트, 이소유게놀, 리날로올, 멘톨, 네롤리돌, 네롤, 파라 tert-부틸 시클로헥사놀, 페녹사놀, 테르피네올, 테트라히드로게라니올, 테트라히드롤리날롤, 테트라히드로미르세놀, 티몰, 2-메톡시-4-메틸페놀, (4-이소프로필시클로헥실)-메타놀, 벤질 살리실레이트,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헥실 살리실레이트, 파초울리 알코올, 및 파르네솔이 있다.
카테고리 B: 옥타놀/물 분배 계수 (P)의 상용 로그값 (log10 P)이 2.5 이상이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코바츠 지표 (비극성 고정상으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에 대해 판단한 것)가 적어도 1300인, 에스테르, 에테르, 니트릴, 케톤 또는 알데히드.
카테고리 B의 향료는 일반식이 RX이고, 여기서 X의 위치는 1차, 2차 또는 3차일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기들 중 하나이다: -CO2A, -COA, -OA, -CN 또는 -CHO. 기 R 및 A는 시클릭 또는 비시클릭인 탄화수소 잔기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코바츠 지표가 1600을 초과하지 않는 카테고리 B의 물질은 분자량 범위가 160 내지 230인 단일관능성 화합물이다.
카테고리 B에 속하는 향료 물질의 예에는 1-메틸-4-(4-메틸-3-펜테닐)-3-시클로헥센-1-카르브알데히드, 1-(5',5'-디메틸시클로헥세닐)-펜트-엔-1-온, 2-헵틸 시클로펜탄온, 2-메틸-3-(4'-tert-부틸페닐)프로파날, 2-메틸운데카날, 2-운데세날, 2,2-디메틸-3-(4'-에틸페닐)-프로파날, 3-(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파날, 4-메틸-4-페닐펜트-2-일 아세테이트, 알릴 시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알릴 시클로헥실옥시아세테이트, 아밀 벤조에이트, 메틸 에틸 케톤 삼량체, 벤조페논, 3-(4'-tert-부틸페닐)-프로파날, 카리오필렌, 시스-자스몬, 시트랄 디에틸 아세탈, 시트로넬랄 디에틸 아세탈,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부틸 에테르, 알파-다마스콘, 베타-다마스콘, 델타-다마스콘, 감마-데카락톤, 디히드로 이소자스모네이트, 디히드로자스몬, 디히드로테르피닐 아세테이트, 디메틸 안트라닐레이트, 디페닐 옥사이드, 디페닐메탄, 도데카날, 도데센-2-알, 도데칸 니트릴, 1-에톡시-1-페녹시에탄, 3-(1'-에톡시에톡시)-3,7-디메틸옥타-1,6-디엔, 4-(4'-메틸펜트-3'-에닐)-시클로헥스-3-에날, 에틸 트리시클로[5.2.1.0-2,6-]데칸-2-카르복실레이트, 1-(7-이소프로필-5-메틸바이시클로[2.2.2]옥트-5-엔-2-일)-1-에타논, 알릴 트리시클로데세닐 에테르, 트리시클로데세닐 프로파노에이트, 감마-운데카락톤, n-메틸-n-페닐-2-메틸부탄아미드, 트리시클로데세닐 이소부티레이트, 게라닐 아세테이트, 헥실 벤조에이트, 이오논 알파, 이오논 베타, 이소부틸 신나메이트, 이소부틸 퀴놀린, 이소유게닐 아세테이트, 2,2,7,7-테트라메틸트리시클로운데칸-5-온, 트리시클로데세닐 아세테이트, 2-헥실시클로펜탄온, 4-아세톡시-3-펜틸테트라히드로피란, 에틸 2-헥실아세토아세테이트, 8-이소프로필-6-메틸바이시클로[2.2.2]옥트-5-엔-2-카르브알데히드, 메틸 4-이소프로필-1-메틸바이시클로[2.2.2]옥트-5-엔-2-카르복실레이트, 메틸 신나메이트, 알파 이소 메틸 이오논, 메틸 나프틸 케톤, 네롤린, 노나락톤 감마, 노필 아세테이트, 파라 tert-부틸 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4-이소프로필-1-메틸-2-[1'-프로페닐]-벤젠,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페닐에틸 이소아밀 에테르, 페닐에틸 이소부티레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 피발레이트, 페닐에틸 피발레이트,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헥실렌 글리콜 아세탈, 2,4-디메틸-4-페닐테트라히드로푸란, 로즈 아세톤,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4-이소프로필-1-메틸-2-[1'-프로페닐]-벤젠, 야라, (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사디에닐)에틸 포르메이트, 아밀 신나메이트, 아밀 신남 알데히드, 아밀 신남 알데히드 디메틸 아세탈, 신나밀 신나메이트, 1,2,3,5,6,7,8,8a-옥타타이로-1,2,8,8-테트라메틸-2-아세틸 나프탈렌, 시클로-1,13-에틸렌디옥시트리데칸-1,13-디온,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헥실 신남 알데히드, 1,3,4,6,7,8-헥사히드로-4,6,6,7,8,8-헥사메틸시클로펜타[g]-2-벤조피란, 게라닐 페닐 아세테이트, 6-아세틸-1-이소프로필-2,3,3,5-테트라메틸인단, 및 1,1,2,4,4,7-헥사메틸-6-아세틸-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이 있다.
이들은 특히 스판덱스 조성물과 함께 사용하기 좋은 광범위한 향료 및 방향 물질 리스트이지만, 그 밖의 다른 다양한 향료도 일부 실시양태에서 유용함이 인정되었다. 향료에는 천연 (즉, 화초, 허브, 잎, 뿌리, 나무껍질, 목질, 꽃 또는 식물을 추출하여 얻은 것), 인공 (즉, 상이한 천연 오일 또는 오일 성분의 혼합물) 및 합성 (즉, 합성하여 생산한 것)의 향기나는 재료를 비롯한 재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유용한 향료의 비제한적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헥실 신남 알데히드; 아밀 신남 알데히드; 아밀 살리실레이트; 헥실 살리실레이트; 테르피네올; 3,7-디메틸-시스-2,6-옥타디엔-1-올; 2,6-디메틸-2-옥타놀; 2,6-디메틸-7-옥텐-2-올; 3,7-디메틸-3-옥타놀; 3,7-디메틸-트랜스-2,6-옥타디엔-1-올; 3,7-디메틸-6-옥텐-1-올; 3,7-디메틸-1-옥타놀; 2-메틸-3-(파라-tert-부틸페닐)-프로피온알데히드; 4-(4-히드록시-4-메틸펜틸)-3-시클로헥센-1-카르복스알데히드; 트리시클로데세닐 프로피오네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 아세테이트; 아니스알데히드; 2-메틸-2-(파라-이소-프로필페닐)-프로피온알데히드; 에틸-3-메틸-3-페닐 글리시데이트; 4-(파라-히드록시페닐)-부탄-2-온; 1-(2,6,6-트리메틸-2-시클로헥센-1-일)-2-부텐-1-온; 파라-메톡시아세토페논; 파라-메톡시-알파-페닐프로펜; 메틸-2-n-헥실-3-옥소-시클로펜탄 카르복실레이트; 운데카락톤 감마, 오렌지 오일; 레몬 오일; 자몽 오일; 베르가못 오일; 클로브 오일; 도데카락톤 감마; 메틸-2-(2-펜틸-3-옥소-시클로펜틸) 아세테이트; 베타-나프톨 메틸에테르; 메틸-베타-나프틸케톤; 쿠마린; 데실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4-ter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알파,알파-디메틸페네틸 아세테이트; 메틸페닐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트리데칸이산의 시클릭 에틸렌글리콜 디에스테르; 3,7-디메틸-2,6-옥타디엔-1-니트릴; 이오논 감마 메틸; 이오논 알파; 이오논 베타; 페티트그래인; 메틸 세드릴론(cedrylone); 7-아세틸-1,2,3,4,5,6,7,8-옥타히드로-1,1,6,7-테트라메틸-나프탈렌; 이오논 메틸; 메틸-1,6,10-트리메틸-2,5,9-시클로도데카트리엔-1-일 케톤; 7-아세틸-1,1,3,4,4,6-헥사메틸 테트랄린; 4-아세틸-6-tert-부틸-1,1-디메틸 인단; 벤조페논; 6-아세틸-1,1,2,3,3,5-헥사메틸 인단; 5-아세틸-3-이소프로필-1,1,2,6-테트라메틸 인단; 1-도데카날; 7-히드록시-3,7-디메틸 옥타날; 10-운데센-1-알; 이소-헥세닐 시클로헥실 카르복스알데히드; 포르밀 트리시클로데칸;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16-히드록시-9-헥사데센산 락톤; 1,3,4,6,7,8-헥사히드로-4,6,6,7,8,8-헥사메틸시클로펜타-감마-2-벤조피란; 암브록산; 도데카히드로-3a,6,6,9a-테트라메틸나프토-[2,1b]푸란; 세드롤; 5-(2,2,3-트리메틸시클로펜트-3-에닐)-3-메틸펜탄-2-올; 2-에틸-4-(2,2,3-트리메틸-3-시클로펜텐-1-일)-2-부텐-1-올; 카리오필렌 알코올; 세드릴 아세테이트; 파라-ter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파초울리; 올리바늄 레시노이드(olibanum resinoid); 랍다눔(labdanum); 베티버트; 코파이버 발삼; 퍼 발삼;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및 인돌; 페닐 아세트알데히드 및 인돌; 게라니올; 게라닐 아세테이트; 리날로올; 리날릴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리날로올; 시트로넬롤;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 디히드로미르세놀; 디히드로미르세닐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미르세놀;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노폴; 노필 아세테이트; 2-페닐 에타놀; 2-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놀; 트리클로로메틸페닐 카르비닐 메틸페닐카르비닐 아세테이트; 이소노닐 아세테이트; 베티베릴 아세테이트; 베티베롤; 2-메틸-3-(p-tert-부틸페닐)-프로파날; 2-메틸-3-(p-이소프로필페닐)-프로파날; 3-(p-tert-부틸페닐)-프로파날; 4-(4-메틸-3-펜테닐)-3-시클로헥센카르브알데히드; 4-아세톡시-3-펜틸테트라히드로피란; 메틸 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2-n-헵틸시클로펜탄온; 3-메틸-2-펜틸-시클로펜탄온; n-데카날; n-도데카날; 9-데세놀-1;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디에틸아세탈; 게라노니트릴; 시트로넬로니트릴; 세드릴 아세탈; 3-이소캄필시클로헥사놀; 세드릴 메틸에테르; 이소론기폴라논; 오베핀 니트릴; 오베핀; 헬리오트로핀; 유게놀; 바닐린; 디페닐 옥사이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이오논; 메틸 이오논; 이소메틸 이오놈; 이론(irone); 시스-3-헥세놀 및 그의 에스테르; 인단 머스크 향료; 테트랄린 머스크 향료; 이소크로만 머스크 향료; 매크로시클릭 케톤; 매크로락톤 머스크 향료;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및 그의 조합.
일부 실시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수성 분산액 또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분말형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분산액의 분무 건조에 의해 또는 여과, 건조 및 분쇄에 의해 수성 분산액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막형성 또는 비-막형성 분산액에 대해 분산액의 고체 함량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함량은 분산액의 약 2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및 분산액의 약 32 중량% 내지 약 37 중량%를 비롯한,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일 수 있다.
분산액의 점도도 또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적합한 점도의 예로 약 8 cps 내지 약 20 cps를 비롯해서 약 4 cps 내지 약 36 cps가 있다. 분산액을 세제나 직물 유연제와 같은 직물 보호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에는 직물 보호 조성물과 유사한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분산액의 pH도 그들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분산액이 첨가될 직물 보호 조성물이 산성인 경우 분산액의 pH는 pH 7 이하, 예를 들어 pH 2 내지 4를 비롯한 중성 내지 산성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직물 보호 조성물과 유사한 pH이어야 한다.
일부 실시양태의 음이온성 막형성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 캡핑된 글리콜인 예비중합체를 제조한다. 적합한 예비중합체의 예는:
수 평균 분자량이 약 600 내지 약 3,500인 폴리에테르 (코폴리에테르 포함),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성분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종결된 중합체, 예를 들어 수 평균 분자량이 약 1,400 내지 약 2,4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4,4'- 및 2,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MDI) 이성질체의 혼합물로 4,4'-MDI 대 2,4'-MDI 이성질체의 비율이 약 65:35 내지 약 35:65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i)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MDI 이성질체 혼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히드록시기 및 (ii) 중화시에 염을 형성할 수 있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MDI 이성질체 혼합물과 반응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디올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이다.
이어서, 예비중합체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의 포섭에 의해 중화되어 염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디아민 사슬 연장제 및 물에 의해 사슬이 연장되어 수성 분산액을 형성한다. 계면활성제, 거품방지/제거제, 항산화제, 증점제, 및 그의 조합과 같은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음이온성 분산액에 유용한 MDI 이성질체 혼합물은 용매의 첨가없이 예비중합체의 점도를 감소시킨다. MDI 이성질체 혼합물은 또한 반응 속도를 늦춘다. 예비중합체는 배치 공정 또는 연속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 포함되는 경우,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디올을 산성 디올이라 할 수 있다. 유용한 산성 디올의 예에는 2,2-디메틸롤아세트산, 2,2-디메틸롤프로피온산 (DMPA), 2,2-디메틸롤부탄산, 2,2-디메틸롤펜탄산, 및 그의 조합이 있다.
일부 실시양태의 비이온성 막형성 분산액은 이소시아네이트-종결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인 예비중합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예비중합체의 예는 히드록실-종결된 중합체, 예컨대 폴리올, 예컨대 폴리(테트라메틸렌-코-에틸렌 에테르)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과 에톡실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이 예비중합체는 이어서 물에 의해 사슬 연장되고 수중에 분산되거나, 또는 수중에 분산된 후 물에 의해 사슬 연장된다.
일부 실시양태의 비이온성 비-막형성 분산액은 이소시아네이트-종결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인 예비중합체를 포함한다. 이 예비중합체도 또한 폴리부타디엔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과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이 예비중합체는 물, 및 에틸렌 디아민과 같은 디아민 사슬 연장제 또는 폴리비닐아민과 같은 아민 관능성 가교제의 조합에 의해 사슬 연장될 수 있다. 친수성 또는 소수성 글리콜을 선택하여 상이한 물/오일 흡수능을 갖는 중합체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희석용 용매를 사용하여 예비중합체의 점도를 조정함으로써 분말 입자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의 분산액은 사슬 연장을 위해 물에 분산되는 캡핑된 글리콜인 예비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액을 제조하는 경우 사슬 연장 반응을 시작하기 이전에 보다 완전한 분산액이 되도록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7℃ 이하를 비롯해서 약 10℃ 이하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증류수, 탈이온수 또는 초순수와 같은 다양한 출처의 물이 일부 실시양태의 분산액에 유용하다.
분산액 중의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비-막형성 분산액에 있어서나 막형성 분산액에 있어서 다양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자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인자는 예비중합체의 점도이다. 또다른 인자는 예를 들어 7,000 rpm을 비롯하여 약 5,000 rpm 내지 약 10,000 rpm일 수 있는 분산 속도이다. 일부 실시양태의 분산액 및 분말의 입자 크기 범위에는 약 400 ㎛ 이하, 예컨대 약 0.01 ㎛ 내지 약 0.5 ㎛, 0.1 ㎛ 내지 약 1.0 ㎛, 약 0.1 ㎛ 내지 약 5.0 ㎛, 약 0.15 ㎛ 내지 약 0.65 ㎛가 포함되며, 약 10 ㎛ 내지 약 150 ㎛와 같이 보다 큰 입자가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우레탄우레아 분말은 분산제 및 사슬 연장 시약 또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용매가 있거나 없는 물 매질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종결된 예비중합체의 분산액에 고전단력을 가하여 제조한다. 고전단력은 입자를 500 ㎛ 이하로 만드는데 충분한 힘으로 정의된다. 예비중합체는 폴리올 또는 폴리올 공중합체 또는 폴리올 혼합물, 예컨대 폴리에테르 글리콜, 폴리에스테르 글리콜, 폴리카르보네이트 글리콜, 폴리부타디엔 글리콜 또는 이들의 수소화 유도체 및 히드록시-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메틸렌 비스(4-페닐이소시아네이트) (MDI)와 반응시켜 NCO-종결된 예비중합체 또는 "캡핑된 글리콜"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 중에서, NCO/OH의 몰비는 1.2 내지 5.0의 범위이다. 사슬 연장 시약의 예에는 지방족 디아민, 예컨대 에틸렌 디아민 (EDA)이 있다.
분말을 가교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슬 가교제는 NCO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1급 아민 또는 2급 아민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수용성 또는 수불용성인 유기 용매, 예컨대 1-메틸 2-피롤리디논 (NMP) 또는 크실렌을 분산 이전에 예비중합체를 희석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형성된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 미세 입자를 수중에 분산된 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여과 및 건조하여 고체 분말로 단리할 수 있다. 별법으로, 입자 크기를 보다 더 조절가능케 하는 분무 코팅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유용한 방법은 원심분리 건조법이다.
일부 실시양태의 분말의 입자 크기는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입자 크기는 100 ㎛ 미만인 것을 비롯해서 1 mm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탄성 중합체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분절 폴리우레탄우레아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a) 폴리에테르 글리콜, 폴리에스테르 글리콜, 폴리카르보네이트 글리콜, 폴리부타디엔 글리콜 또는 이들의 수소화 유도체, 및 히드록시-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닌, 수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5000인 폴리올 또는 폴리올 공중합체 또는 폴리올 혼합물; b)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비롯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c) 지방족 디아민 (즉, 디아민 사슬 연장제), 또는 각각 2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아민 및 지환족 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디아민, 또는 아미노-종결된 중합체, 또는 적어도 3개의 1급 또는 2급 아민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또는 중합체와의 혼합물; 및 임의로 사슬 종결제로서 1급 또는 2급 모노아민.
일부 실시양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예에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메틸렌 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3-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의 개환 중합반응 및/또는 공중합반응으로부터, 또는 다가 알코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도데칸디올과 같은 탄소 원자수가 12 이하인 디올 또는 디올 혼합물의 축합 중합반응으로부터의 히드록실기를 2 이상 갖는 글리콜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선형의 2관능성 폴리에테르 폴리올, 구체적으로는 관능가가 2인 테라탄(Terathane, 등록상표) 1800 (미국 캔자스주 위치타 및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인비스타 에스.에이.알.엘 사제)과 같은 분자량이 약 1,700 내지 약 2,1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유용한 시판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예로 어클레임(Acclaim, 등록상표) 4220N (미국 펜실베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의 바이엘 사제) 및 플루라콜(PLURACOL, 등록상표) 1062P (미국 미시건주 와이언도트 소재의 바스프 사제)이 판매된다. 기타 유용한 폴리올에는 그 중에서도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에틸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1 유형 이상의 폴리올을 조합하여 일부 실시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상이한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을 약 40:60 내지 약 60:40 및 약 50:50를 비롯한 약 25:75 내지 약 75:25의 비로 조합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예에는 각 분자 당 탄소 원자가 12개 이하인 저분자량의 지방족 폴리카르복실산과 폴리올 또는 그의 혼합물의 축합 중합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히드록시기가 2 이상인 에스테르 글리콜이 포함된다. 적합한 폴리카르복실산의 예에는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운데칸디카르복실산 및 도데칸디카르복실산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폴리올의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도데칸디올이 있다. 예를 들어, 용융 온도가 약 5℃ 내지 약 50℃인 선형의 2관능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의 예에는 각 분자당 탄소 원자가 12개 이하인 저분자량의 포스겐,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 디알킬 카르보네이트 또는 디알릴 카르보네이트와 지방족 폴리올 또는 그의 혼합물의 축합 중합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히드록시기가 2 이상인 카르보네이트 글리콜이 포함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폴리올의 예에는 디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도데칸디올이 있다. 예를 들어, 용융 온도가 약 5℃ 내지 약 50℃인 선형의 2관능성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이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예에는 1,6-디이소시아나토헥산, 1,12-디이소시아나토도데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디이소시아나토-2-메틸펜탄, 디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산,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 시클로헥산,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비스(4-페닐 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 있다.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4,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조합을 포함), 및 1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조합일 수 있다.
적합한 디아민 성분 (디아민 사슬 연장제)의 예에는 에틸렌디아민, 1,2-프로판디아민, 1,3-프로판디아민, 2,2-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1,4-부탄디아민, 1,5-펜탄디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1,7-헵탄디아민, 1,8-옥탄디아민, 1,9-노난디아민, 1,10-데칸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시클로헥산디아민, 시클로헥산비스(메틸아민), 이소포론 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및 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아민)이 있다. 또한, 2 이상의 디아민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 또한 사슬 연장제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아민-종결된 중합체의 예에는 비스(3-아미노프로필) 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 아민 종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코-부타디엔), 비스(3-아미노프로필) 종결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비스(2-아미노프로필) 종결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비스(3-아미노프로필) 종결된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이 있다.
적어도 3개의 1급 또는 2급 아민기를 갖는 적합한 유기 화합물 또는 중합체의 예에는 트리스-2-아미노에틸 아민, 폴리(아미도 아민) 덴드리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아민), 및 폴리(알릴아민)이 있다.
적합한 모노아민 성분의 예에는 1급 알킬아민, 예컨대 에틸아민, 부틸아민, 헥실아민, 시클로헥실아민, 에타놀아민 및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급 디알킬아민, 예컨대 N,N-디에틸아민, N-에틸-N-프로필아민, N,N-디이소프로필아민, N-tert-부틸-N-메틸아민, N-tert-부틸-N-벤질아민, N,N-디시클로헥실아민, N-에틸-N-이소프로필아민, N-tert-부틸-N-이소프로필아민, N-이소프로필-N-시클로헥실아민, N-에틸-N-시클로헥실아민, N,N-디에타놀아민, 및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이 있다.
일부 실시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분말의 제조시, 글리콜은 임의로 촉매의 존재하에 먼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NCO-종결된 예비중합체 또는 "캡핑된 글리콜"을 형성한다. 이 반응은 전형적으로 45 내지 98℃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 균일하게 블렌딩된 혼합물의 용융 형태로 일어난다. 각 반응 성분의 양, 글리콜의 중량 (Wgl)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 (Wdi)은 하기와 같이 디이소시아네이트 대 글리콜의 몰비로 정의되는 캡핑비(CR)로 조절한다:
CR = (Wdi/MWdi) / (Wgl/MWgl)
상기 식에서 MWdi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분자량이고, MWgl은 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핑비는 1.2 내지 5.0, 특히 1.5 내지 3.0의 범위이다.
글리콜 분자의 히드록시 (-OH)기가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 (-NCO)기에 의해 모두 소모되어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는 캡핑 반응이 완료된 후에, 말단이 NCO기인 점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형성된다. 이어서, 이 예비중합체를 분산제 및 거품방지/제거제와 같은 표면 활성 시약 및 임의로 디아민과 같은 사슬 연장제가 함유된 수용액 중에 첨가 및 분산시킨다. 별법으로, 예비중합체를 물 매질에 분산시키기 이전에 수용성 N-메틸 피롤리돈 (NMP) 또는 수불용성 크실렌과 같은 유기 용매로 희석시킬 수 있다. 분산 동안, 그리고 물 및/또는 디아민 연장제에 의한 사슬 연장시 고전단력하에서 고체 중합체 입자가 형성된다. 이 폴리우레탄우레아 입자를 이어서 여과 및 건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재한 방법으로 제조한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특히 직물에 가할 경우 놀랍게도 양호한 물 및 오일 흡수능을 갖는다. 이는 특히 오염방지 특성을 위해 중요하다. 직물을 일부 실시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과 접촉시켰을 때,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얼룩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부터 수분 및 오일을 흡수할 것이고, 이로 인해 직물이 흡수하는 것은 제한될 것이다.
이러한 흡수 특성으로 인해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또한 본 조성물과 접촉된 직물 내에 잔향을 지속시키는데 일조한다. 이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에 의한 흡수에 이어 향료의 점진적인 방출로 인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의 직물 보호 조성물은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직물 유연제 또는 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또한 분산액 또는 분말과 같은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을 직물, 세탁기, 세척수 (손세탁용) 또는 자동 건조기에 직접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가정 세탁을 통해 가먼트에 오염방지 특성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분말 또는 분산액을 직물 유연제의 대체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직물 유연제는 직물에 향 또는 향료를 전달하고 2차적으로 직물 유연성을 전달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회전 건조 이용시에는 직물을 유연하게 하는 측면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데, 이는 회전 건조된 직물이 이미 매우 유연하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양태의 세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또는 양성(ampholytic) 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혼합물을 함유하고, 추가로 유기 또는 무기 빌더(builder)를 종종 함유한다.
직물 유연제는 일반적으로 4급 암모늄 염과 같은 활성 성분을 포함할 것이다. 비시클릭 4급 암모늄 염의 예에는 탤로(tallow)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탤로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탤로 디메틸 암모늄 메틸 술페이트; 디헥사데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수소화 탤로)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옥타데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에이코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도코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수소화 탤로) 디메틸 암모늄 메틸 술페이트; 디헥사데실 디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헥사데실 디메틸 암모늄 아세테이트; 디탤로 디프로필 암모늄 포스페이트; 디탤로 디메틸 암모늄 니트레이트; 및 디(코코넛-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있다.
일부 실시양태의 직물 보호 조성물의 기타 임의적인 성분은 본질적으로 통상적이며, 일반적으로 약 0.05 내지 약 5%, 및 약 2% 내지 약 4%를 비롯해서 조성물 또는 분산액의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로 존재한다. 그러한 임의적인 성분에는 착색제, 방향 물질, 박테리아 억제제, 형광 증백제, 유백제, 점도 조절제, 점토와 같은 고체 형상의 직물 컨디셔닝제, 직물 흡수성 증강제, 유화제, 안정화제, 수축 조절제, 인화 수정제, 살균제, 진균 제거제, 부식방지제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첨가제의 예에는 보존제, 예컨대 젖산, 항산화제, 안료, 착색제, 향료, (은과 같은) 항미생물제, 활성 성분 (보습제, UV-차단제), 계면활성제, 거품방지/제거제, 용매 및 예비중합체의 분산 이전, 도중, 또는 이후에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과 블렌딩할 수 있는 것이 포함된다. 임의의 활성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유사 또는 비유사한 유형의 다른 첨가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계면활성제에는 미국 일리노이주 노스필드 소재의 스테판(Stepan) 사로부터 상표명 바이오-소프트(BIO-SOFT, 등록상표) 및 스테판텍스(Stepantex, 등록상표)로 시판되는 것 및 카오(KAO) 사가 시판하는 테트라닐(Tetranyl)이 포함된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50/50 블렌드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양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 보호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균질화작업은 불필요하다. 편리하면서 만족스러운 방법은 유연제의 프리믹스를 약 150℉의 수중에서 제조한 후 이것을 기타 성분의 뜨거운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이다. 온도에 민감한 성분들은 직물 컨디셔닝 조성물을 약 실온으로 냉각시킨 이후에 첨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의 직물 보호 조성물은 통상적인 가정 세탁 작업 중 세정 주기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직물 보호 조성물을 세척 주기 이전에 세제에 첨가하여 직물에 직접 첨가하거나, 또는 손세탁시 세제나 직물 유연제 조성물의 일부로서 또는 세척수에 직접 첨가할 수 있다.
직물 보호 조성물은 분말, 액체, 고체 타블렛, 캡슐화된 액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로 캡슐화된 조성물)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형태로 가할 수 있고, 자동 건조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부직 시트로 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의 직물 보호 조성물은 목적으로 하는 직물 특성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 보호 조성물은 수성 세정 욕조 또는 세척수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예를 들어 약 0.2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수성 분산액으로 존재하는 경우, 일부 실시양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직물 보호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예를 들어 약 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및 약 0.5 내지 3 중량%로 직물 보호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분말로서 존재하는 경우에,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은 직물 보호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예를 들어 약 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또는 약 1 중량% 내지 약 5 중량%로 직물 보호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폴리우레탄우레아 분말 또는 분산액을 직물 보호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대신하여 직물 보호 조성물의 대체재로서 첨가할 수 있고,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을 100%로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우레탄우레아 조성물을 세정수 또는 세척수의 약 0.05 중량% 내지 약 1.5 중량%, 특히 약 0.2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양으로 세척수 또는 세정수에 직접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충분하게 나타내며, 이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어떤 방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테라탄? E2538 글리콜 (인비스타 에스.에이.알.엘 사제) 및 이소네이트(Isonate, 등록상표) 125MDR로 형성되고 캡핑비가 1.696인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를 생성중인 라이크라(LYCRA, 등록상표) 스판덱스 생산 라인에서 수득하였다. 라이크라?는 스판덱스에 대한 인비스타의 등록 상표명이다. 이 예비중합체 300 g을 플라스틱 병 안에서 NMP 용매 150 g과 10분 동안 혼합하여 점도를 감소시켰다. 희석된 혼합물을 분산용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에 주입되도록 스틸 튜브에 부었다. 용기에는 미리 혼합되어 5℃로 냉각된 탈이온수 2000 g, T DET N14 계면활성제 (미국 캔사스주 캔사스 시티 소재의 할크로스(Harcros) 사제) 30 g 및 에틸렌디아민 사슬 연장제 4.5 g이 담겨 있었다. 희석된 예비중합체를 내부 직경이 1/8 인치인 배관을 통해 공기압 약 40 psi에서 주입하고, 고속 실험실용 분산기 (모델 번호 HSM-100LC, 미국 뉴욕주 하포그 소재의 찰스 로즈 앤드 선 컴퍼니(Charles Ross & Son Company) 사제)를 5000 rpm으로 작동시켰다. 희석된 예비중합체의 첨가를 15분 이내에 완료하고, 형성된 유백색 분산액을 추가로 5분 더 연속 분산시켰다. 용기의 중량을 다시 측정한 결과 분산액에 첨가된 희석된 캡핑된 글리콜의 총량은 328 g으로 분산액에 첨가된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의 218.7 g에 상당하였다. 첨가제 65 거품조절제 3 g (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Dow Corning) 사제)을 상기 분산액에 첨가하고, 이 분산액을 플라스틱 병에 붓기 전에 5000 rpm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혼합되게 하였다.
마이크로트랙(Microtrac) X100 입자 크기 분석기 (리즈(Leeds), 노스롭(Northrup))에 의해 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가 52.83 ㎛이며, 입자의 95%가 202.6 ㎛ 미만임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성분 및 분산 과정을 이용하되, 희석된 예비중합체를 물 혼합물에 분산시킨 후에 에틸렌디아민 사슬 연장제 4.5 g을 첨가하였다. 용기의 중량을 다시 측정한 결과 분산액에 첨가된 희석된 캡핑된 글리콜의 총량은 329 g으로 분산액에 첨가된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의 219 g에 상당하였다. 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는 33.45 ㎛이며, 입자의 95%가 64.91 ㎛ 미만임이 측정되었다. 고체 중합체 입자는 단리되었을때 막을 형성하지 않았다.
실시예 3
가열 맨틀(heating mantle)과 기계식 교반장치가 장착된 2000 ml의 반응 캐틀 내에서 크라솔(Krasol, 등록상표) HLB 2000 글리콜 (미국 펜실베니아주 엑스톤 소재의 사토머 컴퍼니, 인크(Sartomer Company, Inc.) 사제) 500 g과 이소네이트? 125MDR 105.86 g을 120분 동안 90℃에서 반응시켜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반응은 질소가 충전된 건조 박스 내에서 수행하였다. 적정법에 의해 판단된 것으로, 반응 이후의 예비 중합체는 2.98 중량%의 NCO기를 가졌다. 이 예비중합체를 분산용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에 주입되도록 스틸 튜브에 부었다. 탈이온수 (2000 g)를 T DET N14 계면활성제 (미국 캔사스주 캔사스 시티 소재의 할크로스 사제) 30 g 및 첨가제 65 거품조절제 (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사제) 3 g이 담긴 용기내에서 실온에서 혼합하였다. 예비중합체를 내부 직경이 1/8 인치인 배관을 통해 공기압 약 80 psi에서 주입하고, 고속 실험실용 분산기 (모델 번호 HSM-100LC, 미국 뉴욕주 하포그 소재의 찰스 로즈 앤드 선 컴퍼니 사제)를 5000 rpm으로 작동시켰다. 희석된 예비중합체의 첨가를 15분 이내에 완료하고, 형성된 유백색 분산액을 추가로 5분 더 연속 분산시켰다. 용기의 중량을 다시 측정한 결과 분산액에 첨가된 희석된 캡핑된 글리콜의 총량은 422 g이었다. 에틸렌디아민 사슬 연장제 4.5 g을 분산액에 첨가하고, 이 분산액을 5000 rpm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혼합되게 하였다. 형성된 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는 49.81 ㎛이며, 입자의 95%가 309.7 ㎛ 미만임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4
과정은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하되, 예비중합체를 형성하는데 테라탄? 1800 글리콜 250 g과 크라솔? HLB 2000 글리콜 250 g의 글리콜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예비중합체 총 465 g을 분산시켰다. 형성된 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는 13.67 ㎛이며, 입자의 95%가 38.26 ㎛ 미만임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5
질소 분위기의 글러브(glove) 박스 내에서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공기압력 구동 교반기, 가열 맨틀, 및 열전대 온도 측정기가 장착된 2000 ml 파이렉스(Pyrex, 등록상표) 유리 반응 캐틀에 테라탄? 1800 글리콜 (미국 캔자스주 위치타 소재의 인비스타 에스.에이.알.엘 사제) 약 382.5 g 및 2,2-디메틸로프로피온산 (DMPA) 약 12.5 g을 채웠다.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약 50℃로 가열한 후, 루프라네이트(Lupranate, 등록상표) MI 디이소시아네이트 (미국 미시건주 와이언도트 소재의 바스프 사제)를 약 105 g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연속 교반하면서 약 90℃로 가열하고, 약 120분 동안 약 90℃로 유지시킨 후, 혼합물의 %NCO가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예비중합체의 계산치 (목표치 1.914 %NCO)와 일치하는 안정된 값으로 하락되었을때 반응을 완료시켰다. 예비중합체의 점도는 모델 DV-8 폴링 볼(Falling Ball) 점도계 (미국 버지니아주 웨인즈보로 소재의 듀라테크(Duratech) 사제)를 약 40℃에서 작동시켜 ASTM D1343-69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판단하였다. NCO기의 중량%의 관점에서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의 전체 이소시아네이트 잔기의 함량은 시기아(S. Siggia)의 문헌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 3rd Edition, Wiley & Sons, New York, pp. 559-561 (196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상기 문헌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고 로 포함된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기재한 과정 및 조성에 따라 제조한 용매가 없는 예비중합체를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2,000 ml 스테인레스 스틸 비커에 탈이온수 약 700 g, 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SDBS) 약 15 g, 및 트리에틸아민 (TEA) 약 10 g을 채웠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얼음/물을 이용하여 약 5℃로 냉각시키고, 회전자/고정자 혼합 헤드가 장착된 고전단 실험실용 혼합기 (로즈, 모델 100LC)를 이용하여 약 5,000 rpm에서 약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하고 금속 관형 실린더에 담긴 점성 예비중합체를 공기압이 가해진 가요성 배관을 통해 수용액 중의 혼합 헤드 바닥에 첨가하였다. 예비중합체의 온도를 약 50℃ 내지 약 70℃로 유지시켰다. 압출된 예비중합체 유출물을 약 5,000 rpm의 연속 혼합하에 수중에 분산시켜 사슬 연장되게 하였다. 약 50분 동안 예비중합체의 총량인 약 540 g을 수중에 도입하여 분산시켰다. 예비중합체를 첨가 및 분산시킨 직후에, 분산된 혼합물에 첨가제 65 (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사제) 약 2 g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약 30분 동안 혼합한 후, 디에틸아민 (DEA)를 약 6 g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생성된 용매가 없는 수성 분산액은 유백색을 띠었고 안정하였다.
실시예 7
테라탄? 1800 글리콜 및 이소네이트? 125MDR (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 재의 다우 사제)로 형성되고 캡핑비가 1.688인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를 시판하는 라이크라? 스판덱스 생산 라인에서 수득하였다. 라이크라?는 스판덱스에 대한 인비스타의 등록 상표명이다. 이 예비중합체 300 g을 플라스틱 병 안에서 NMP 용매 150 g과 10분 동안 혼합하여 점도를 감소시켰다. 희석된 혼합물을 분산용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에 주입되도록 스틸 튜브에 부었다. 용기에는 미리 혼합되어 5℃로 냉각된 탈이온수 2000 g, T DET N14 계면활성제 (미국 캔사스주 캔사스 시티 소재의 할크로스 사제) 30 g 및 에틸렌디아민 사슬 연장제 3 g이 담겨 있었다. 희석된 예비중합체를 내부 직경이 1/8 인치인 배관을 통해 공기압 약 40 psi에서 주입하고, 고속 실험실용 분산기 (모델 번호 HSM-100LC, 미국 뉴욕주 하포그 소재의 찰스 로즈 앤드 선 컴퍼니 사제)를 5000 rpm으로 작동시켰다. 희석된 예비중합체의 첨가를 15분 이내에 완료하고, 형성된 유백색 분산액을 추가로 5분 더 연속 분산시켰다. 용기의 중량을 다시 측정한 결과 분산액에 첨가된 희석된 캡핑된 글리콜의 총량은 347 g으로 분산액에 첨가된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의 231 g에 상당하였다. 첨가제 65 거품조절제 3 g (미국 미시건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사제)을 상기 분산액에 첨가하고, 이 분산액을 플라스틱 병에 붓기 전에 5000 rpm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혼합되게 하였다.
마이크로트랙 X100 입자 크기 분석기 (리즈, 노스롭)에 의해 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가 32.59 ㎛이며, 입자의 95%가 65.98 ㎛ 미만임이 측정되었다. 감압하에 왓맨(Whatman, 등록상표) 여과지가 있는 뷰흐너 깔대기를 이용하여 고체 중합체 입자를 여과하고, 여과 케익을 물로 3회 세정하고, 60 내지 65℃에서 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입자들은 여과 또는 건조하는 동안 막을 형성하지 않았다. 건조된 여과 케익은 실험실용 워링(Waring, 등록상표) 블렌더 (블렌더 700 모델 33BL79, 미국 코넥티커트주 뉴 하트포드 소재의 다이나믹스 인크.(Dynamics Inc.) 사제)에 의해 미세 분말로 쉽게 분쇄되었다. 상업적인 실무상, 분무 건조와 같은 공지된 건조 공정에 의해 고체 입자가 분산액으로부터 직접 단리될 것이다. GPC로 측정했을때 건조된 분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52,550였고, 수 평균 분자량이 85,200였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성분 및 분산 과정을 이용하되,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를 희석시키기 위해 사용된 용매를 크실렌으로 바꾸고, 에틸렌디아민 사슬 연장제의 양을 4.5 g으로 늘렸다. 용기의 중량을 다시 측정한 결과 분산액에 첨가된 희석된 캡핑된 글리콜의 총량은 339 g으로 분산액에 첨가된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의 226 g에 상당하였다.
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는 22.88 ㎛이며, 입자의 95%가 46.97 ㎛ 미만임이 측정되었다. 고체 중합체 입자는 단리되었을때 막을 형성하지 않았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서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성분 및 분산 과정을 이용하되, 에틸렌디아민 사슬 연장제를 동일한 양의 분지형 폴리에틸렌이민 (알드리치(Aldrich) 사의 GPC에 의한 Mn 약 600)으로 대체하였다. 용기의 중량을 다시 측정한 결과 분산액에 첨가된 희석된 캡핑된 글리콜의 총량은 340 g으로 분산액에 첨가된 캡핑된 글리콜 예비중합체의 227 g에 상당하였다.
분산액의 평균 입자 크기는 58.12 ㎛이며, 입자의 95%가 258.5 ㎛ 미만임이 측정되었다. 고체 중합체 입자는 단리되었을때 막을 형성하지 않았다.
실시예 10
건조 질소 분위기의 글러브 박스를 이용하여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공기압력 구동 교반기, 가열 맨틀, 및 열전대 온도 측정기가 장착된 2개의 별개의 2000 ml 파이렉스? 유리 반응 캐틀에 테라탄? 1800 글리콜 (인비스타 사제) 220.0 g 및 플루라콜(Pluracol, 등록상표) HP 4000D 글리콜 (바스프 사제) 220.0 g을 각각 채웠다. 이 글리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50℃로 가열한 후, 이소네이트? 125MDR (다우 케미칼 사제)를 75.03 g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연속 교반하면서 90℃로 가열하고, 120분 동안 90℃로 유지시켰다. 샘플을 반응기에서 꺼내어 시기아의 문헌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 3rd Edition, Wiley & Sons, New York, pp. 559-561 (196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NCO가 각각 2.170 및 2.169이었다.
3,000 ml 스테인레스 스틸 비커에 탈이온수 1600 g, T DET N14 계면활성제 (미국 캔사스주 캔사스 시티 소재의 할크로스 사제) 15 g 및 첨가제 65 (다우 코닝 사제) 5 g을 채웠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얼음/물을 이용하여 10℃로 냉각시키고, 회전자/고정자 혼합 헤드가 장착된 고전단 실험실용 혼합기 (로즈, 모델 100LC)를 이용하여 5,000 rpm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바와 같은 두 반응기 내의 점성 예비중합체를 금속 관형 실린더에 붓고, 공기압이 가해 진 가요성 배관을 통해 수용액 중의 혼합 헤드 바닥에 첨가하였다. 예비중합체의 온도를 50℃ 내지 70℃로 유지시켰다. 압출된 예비중합체 유출물을 5,000 rpm의 연속 혼합하에 수중에 분산시켜 사슬 연장되게 하였다. 약 5분 동안 예비중합체의 총량인 616 g을 수중에 도입하여 분산시켰다. 예비중합체를 첨가 및 분산시킨 후에, 분산된 혼합물을 추가로 40분 동안 혼합하였다. 생성된 용매가 없는 수성 분산액은 유백색 내지는 옅은 파랑색을 띠었고, 고체 함량이 28.84 중량% 및 점도가 44 센트푸아즈였다. 분산액을 폴리에틸렌 시트에 뿌리고, 주위 조건하에서 밤새 흄 후드(fume hood) 내에서 건조시켜, 탄성있는 연속막을 형성하였다. GPC 측정 결과, 이 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7,900였고, 수 평균 분자량이 41,000이었다.
실시예 11
과정 및 조건을 상기 실시예 10에서 언급한 바와 본질적으로 같이 하되, 계면활성제를 바이오-소프트? N1-9 (미국 일리노이주 노스필드 소재의 스테판(Stepan) 사제)로 바꾸었다. 두 반응기에서 %NCO가 2.156 및 2.136인, 총량이 640 g인 예비중합체를 수중에 분산시켰다. 형성된 용매가 없는 분산액은 고체 함량이 26.12%였고, 점도가 51 센티푸아즈였다. 뿌려서 건조시킨 탄성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3,900였고, 수 평균 분자량이 44,400였다.
실시예 12
건조 질소 분위기의 글러브 박스를 이용하여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공기압력 구동 교반기, 가열 맨틀, 및 열전대 온도 측정기가 장착된 2개의 별개의 2000 ml 파이렉스? 유리 반응 캐틀에 테라탄? 1800 글리콜 (인비스타 사제) 440.0 g 및 플루라콜? 1062 글리콜 (바스프 사제) 440.0 g을 각각 채웠다. 이 글리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50℃로 가열한 후, 이소네이트? 125MDR (다우 케미칼 사제)를 150.0 g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연속 교반하면서 90℃로 가열하고, 120분 동안 90℃로 유지시켰다. 샘플을 반응기에서 꺼내어 시기아의 문헌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 3rd Edition, Wiley & Sons, New York, pp. 559-561 (196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NCO가 각각 대략 2이었다.
3,000 ml 스테인레스 스틸 비커에 대략 10℃로 냉각시킨 초순수 1500 g, 바이오-소프트? N25-9 25.9 g 및 스테판텍스? VT-90 (둘 다 스테판 사제) 25.9 g 및 첨가제 65 (다우 코닝 사제) 10 g을 채웠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회전자/고정자 혼합 헤드가 장착된 고전단 실험실용 혼합기 (로즈, 모델 100LC)를 이용하여 7,000 rpm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바와 같은 두 반응기 내의 점성 예비중합체를 금속 관형 실린더에 붓고, 공기압이 가해진 가요성 배관을 통해 수용액 중의 혼합 헤드 바닥에 첨가하였다. 예비중합체의 온도를 50℃ 내지 70℃로 유지시켰다. 압출된 예비중합체 유출물을 추가로 2분 동안 7,000 rpm의 연속 혼합하에 수중에 분산시켜 사슬 연장되게 하였다. 이에 이어 푸락(PURAC, 등록상표) 젖산 보존제 2.33 g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매가 없는 수성 분산액은 유백색 내지는 옅은 파랑색을 띠었고, 고체 함량이 35 중량%였다.
실시예 13
건조 질소 분위기의 글러브 박스를 이용하여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공 기압력 구동 교반기, 가열 맨틀, 및 열전대 온도 측정기가 장착된 2개의 별개의 2000 ml 파이렉스? 유리 반응 캐틀에 테라탄? 1800 글리콜 (인비스타 사제) 440.0 g 및 플루라콜? 1062 글리콜 (바스프 사제) 440.0 g을 각각 채웠다. 이 글리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50℃로 가열한 후, 이소네이트? 125MDR (다우 케미칼 사제)를 150.0 g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연속 교반하면서 90℃로 가열하고, 120분 동안 90℃로 유지시켰다. 샘플을 반응기에서 꺼내어 시기아의 문헌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 3rd Edition, Wiley & Sons, New York, pp. 559-561 (196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NCO가 각각 대략 2이었다.
3,000 ml 스테인레스 스틸 비커에 대략 10℃로 냉각시킨 초순수 1500 g, 바이오-소프트? N25-9 (스테판 사제) 25.9 g, 테트라닐? L1/90L (카오 사제) 25.9 g, 및 첨가제 65 (다우 코닝 사제) 10 g을 채웠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회전자/고정자 혼합 헤드가 장착된 고전단 실험실용 혼합기 (로즈, 모델 100LC)를 이용하여 7,000 rpm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바와 같은 두 반응기 내의 점성 예비중합체를 금속 관형 실린더에 붓고, 공기압이 가해진 가요성 배관을 통해 수용액 중의 혼합 헤드 바닥에 첨가하였다. 예비중합체의 온도를 50℃ 내지 70℃로 유지시켰다. 압출된 예비중합체 유출물을 추가로 2분 동안 7,000 rpm의 연속 혼합하에 수중에 분산시켜 사슬 연장되게 하였다. 이에 이어 푸락? 젖산 보존제 2.33 g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매가 없는 수성 분산액은 유백색 내지는 옅은 파랑색을 띠었고, 고체 함량이 35 중량%였다.
건조 질소 분위기의 글러브 박스를 이용하여 예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공기압력 구동 교반기, 가열 맨틀, 및 열전대 온도 측정기가 장착된 2개의 별개의 2000 ml 파이렉스? 유리 반응 캐틀에 테라탄? 1800 글리콜 (인비스타 사제) 440.0 g 및 어클레임(Acclaim, 등록상표) 4220N (바이엘(Bayer) 사제) 440.0 g을 각각 채웠다. 이 글리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50℃로 가열한 후, 이소네이트? 125MDR (다우 케미칼 사제)를 150.0 g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연속 교반하면서 90℃로 가열하고, 120분 동안 90℃로 유지시켰다. 샘플을 반응기에서 꺼내어 시기아의 문헌 ["Quantitative Organic Analysis via Functional Group", 3rd Edition, Wiley & Sons, New York, pp. 559-561 (196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NCO가 각각 대략 2이었다.
3,000 ml 스테인레스 스틸 비커에 대략 10℃로 냉각시킨 초순수 1500 g, 바이오-소프트? N25-9 25.9 g, 스테판텍스? VT-90 25.9 g (둘다 스테판 사제) 및 첨가제 65 (다우 코닝 사제) 10 g을 채웠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회전자/고정자 혼합 헤드가 장착된 고전단 실험실용 혼합기 (로즈, 모델 100LC)를 이용하여 7,000 rpm에서 30초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바와 같은 두 반응기 내의 점성 예비중합체를 금속 관형 실린더에 붓고, 공기압이 가해진 가요성 배관을 통해 수용액 중의 혼합 헤드 바닥에 첨가하였다. 예비중합체의 온도를 50℃ 내지 70℃로 유지시켰다. 압출된 예비중합체 유출물을 추가로 2분 동안 7,000 rpm의 연속 혼합하에 수중에 분산시켜 사슬 연장되게 하였다. 이에 이어 푸락? 젖산 보존제 2.33 g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매가 없는 수성 분산액은 유백색 내지는 옅은 파랑색을 띠었고, 고체 함량이 35 중량%였다.
실시예 15 - 면/라이크라? 스판덱스 제직물 시험
본 발명의 조성물을 면/라이크라? 스판덱스 제직물 (97% 면/3% 라이크라? 스판덱스)과 함께 시험하였다. 본 실시예의 대조군은 유니레버(Unilever) 사의 비농축 콘포트(Confort, 상표명) 직물 유연제로 세척한 직물이었다. 2.5 kg에 이르는 표준 직물 적재를 이용하여 슈트레스(Schutless, 등록상표) 프로그램화 자동 세탁기로 40℃에서 프로그램 4로 아리엘(Ariel, 상표명) 액체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직물 유연제 조성물 30 ml로 세정하는 것으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조성물을 면/라이크라? 스판덱스 제직물에 사용하였다. (온화한 온도에서) 회전 건조한 후, 직물에 대해 표면 상의 임의의 침적을 평가하였다. 어떤 직물에서도 분말 또는 막이 침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직물 유연제 (대조군)
직물 유연제, 막형성 음이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및 물인 실시예 6의 분산액 1 중량%, 및 유니머(Unimer) 2 중량% (분산을 개선시키는 합성 왁스)
직물 유연제, 실시예 5의 폴리우레탄우레아 분말 1 중량%, 및 유니머 2 중량% (분산을 개선시키는 합성 왁스).
직물 유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b) 및 (c)를 혼합한 것을 균질한 분산액 (침강이나 응집이 없는 것)으로 하였다.
각 직물에 대해 손질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다림질 이전 및 이후의 형태고 정 가공률("DP률")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 시험 방법 AATCC TM 124/ISO 15487를 이용하였다. "DP률"은 직물의 3차원적 평활도의 판단 기준치이다. 다리미의 미끄러짐 또는 다림질의 용이성은 다림판을 대략 20°의 각도로 기울여 주어진 직물 길이에 걸쳐 다리미가 미끄러지는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손질 용이성에 대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손질 용이성
직물 다림질 이전의 DP률 다림질 이후의 DP률 다림질의 용이성 (s)
(a) 1 1.5 5
(b) 1.5 2.5 3.5
(c) 1.5 2.5 3
표 1의 결과로부터, 분말 또는 분산액으로 처리한 직물은 모두 대조군 (다림질 이후 0.5점 획득)에 비해 DP률이 보다 향상되는 것 (다림질 이후 1점 획득)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직물 (b) 및 (c)는 직물 표면에서 다리미가 보다 빠르게 미끄러짐을 보여주었다.
조성물 (a), (b) 및 (c)에 대해 향/잔향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3 명의 사람에게 각각의 직물의 냄새를 별도로 맡게 하였다.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처리 후의 직물 (b) 및 (c)에서 보다 강한 향이 나는 것으로 진술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직물을 비롯한 직물에 대해 흡수 특성 (수분 조절능)을 또한 평가하였다. 이 특성은 본 발명의 분말 또는 분산액을 처리한 후의 직물과 처리하지 않은 직물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은 각각의 직물 (a), (b), 및 (c)에 대해, 아마인유와 물을 각각 한 방울 (대략 30 ㎕)씩 직물 표면에 가하였다. 각 소적이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표 2에서 초 (s)로 표시하였다. 또한, 직물에 의해 완전히 흡수된 후 60초의 시점에 적하 표면의 면적을 측정하여 표 2에 제곱 센티미터 (㎠)로 표시하였다.
수분 조절능
흡수 시간 (s) 가로×세로 (㎠)
오일 오일
(a) 138 434 7.28 7.56
(b) 105 382 4.64 6.75
(c) 81 320 4.50 6.41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산액 (b) 및 분말 (c)은 흡수의 면에서 대조군 (a)에 비해 향상되었다. 분말 형태 (c)를 사용하는 것이 현저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 100% 면 제직물 시험
또한, 100% 면 제직물을 일부 실시양태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시험하였다. 본 실시예의 대조군은 콜게이트 팔몰리브(Colgate Palmolive) 사의 농축 직물 유연제 소프트란(Softlan, 상표명) 울트라이었다. 2.5 kg 적재에 이르는 표준 직물 적재를 이용하여 슈트레스? 프로그램화 자동 세탁기로 40℃에서 프로그램 4로 아리엘™ 액체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직물 유연제 조성물 30 ml로 세정하는 것으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조성물을 100% 면 직물에 사용하였다. (온화한 온도에서) 회전 건조한 후, 직물에 대해 표면 상의 임의의 침적을 평가하였다. 어떤 직물에서도 분말 또는 막이 침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e) 직물 유연제 (대조군)
(f) 직물 유연제, 및 비이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분산액인 실시예 10의 분산액 10 중량%
직물 유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f)를 혼합한 것을 균질한 분산액 (침강이나 응집이 없는 것)으로 하였다.
직물의 신장을 시험하기 위해, 먼저 유효 신축성 또는 최대 신축성을 계산하였다. 유효 신축성은 먼저 직물 견본을 컨디셔닝한 후, 정속 인장 시험기에서 0 내지 30 N로 3회 순환시켜 측정하였다. 최대 신축성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최대 신축성 % = (ML-GL) x 100/GL
상기 식에서, ML은 30 N에서의 길이 mm이고;
GL은 표점 거리 250 mm이다.
각 직물의 별개의 견본을 "유효 신축성"의 80%까지 늘이고 약 30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어서 직물 견본을 약 60분 동안 이완시키고, 신장을 아래에 따라 측정 및 계산하였다:
신장 % = L2/L * 100
상기 식에서, 신장은 이완 이후의 퍼센트로 기록하고;
L2 = 이완 이후의 늘어난 길이 (cm); 및
L = 원래 길이 (cm)이다.
각 직물 (e) 및 (f)에 대해 직물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직물 신장 (위사 방향)
직물 신장 %
(e) 7.4
(f) 5.8
직물 신장은 형태 보형성 또는 형상 복원성의 판단 기준치이다. 신장치는 착복 동안의 회복되지 않는 연신율을 나타낸다. 신장치가 낮을수록 직물이 초기 형상으로 더 잘 회복되는 능력을 갖는다.
직물 (e) 및 (f)에 대해 세척 및 세정 주기 이후 향 방출에 있어서의 차이를 시험하였다. 각 직물 샘플의 1 내지 2 g을 밀봉된 기체 샘플링 관에 넣었다. 스틸 볼 베어링을 이용하여 흔들어서 직물을 압박시켰다. 샘플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화합물을 분당 50 cc로 작동하는 기체 샘플링 펌프를 20분 동안 이용하여 테넥스(Tenex, 상표명) 샘플링 튜브를 통해 기체 샘플링 관의 상부공간으로 뽑아내었다. 테넥스™ 튜브는 분석을 위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포집하였다. 이어서, 테넥스™ 튜브에서 휘발성 유기물을 열적으로 제거하여 GC/MS 분석하였다. 표 3a의 VOC 측정치 결과는 비이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분산액인 실시예 10의 분산액을 함유하는 직물 유연제로 세정한 직물에서 보다 많은 향이 방출됨을 보여주었다.
VOC 시험
직물 휘발성 물질의 농도 ng/L/g
(e) 7
(f) 48
실시예 17 - 스판덱스/면 혼방 직물 시험
또한, 스판덱스/면 혼방 제직물을 일부 실시양태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시험하였다. 본 실시예의 대조군은 콜게이트 팔몰리브 사의 농축 직물 유연제 소프트란™ 울트라이었다. 2.5 kg 적재에 이르는 표준 직물 적재를 이용하여 슈트레스? 프로그램화 자동 세탁기로 40℃에서 프로그램 4로 아리엘™ 액체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직물 유연제 조성물 18 g으로 세정하는 것으로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조성물을 면/스판덱스 혼방 직물에 사용하였다. (온화한 온도에서) 회전 건조한 후, 직물에 대해 표면 상의 임의의 침적을 평가하였다. 어떤 직물에서도 분말 또는 막이 침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4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g) 직물 유연제 단독으로 처리한 직물 (대조군)
(h) 직물 유연제, 및 비이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분산액인 실시예 10의 분산액 10 중량%로 처리한 직물
직물 유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h)를 혼합한 것을 균질한 분산액 (침강이나 응집이 없는 것)으로 하였다. 각각의 직물 (g) 및 (h)에 대해 직물 신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직물 신장 (위사 방향)
직물 신장 (%)
(g) 4.8
(h) 3.8
직물 신장은 형태 보형성의 판단 기준치이다. 신장치는 착복 동안의 회복되지 않는 연신율을 나타낸다. 신장치가 낮을수록 직물이 초기 형상으로 더 잘 회복되는 능력을 갖는다.
또한, 두 개의 라이크라? 스판덱스/면 혼방 직물을 일부 실시양태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시험하였다. 본 실시예의 대조군은 콜게이트 팔몰리브 사의 농축 직물 유연제 수플린(Soupline, 상표명) 울트라이었다. 2.5 kg 적재에 이르는 표준 직물 적재를 이용하여 상업용 세정장치 밀레(Miele, 상표명)로 표준 프로그램하에 40℃에서 헨켈 사(Henkel Corporation)에서 판매하는 딕산(Dixan, 등록상표) 겔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직물 유연제 조성물 30 ml로 세정하는 것으로 표 4a 및 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조성물을 면 및 라이크라? 스판덱스 혼방 직물에 사용하였다. (온화한 온도에서) 회전 건조한 후, 직물에 대해 표면 상의 임의의 침적을 평가하였다. 어떤 직물에서도 분말 또는 막이 침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의 직물에서, CK는 95% 면 - 5% 라이크라? 스판덱스의 환편직물이고, WOV는 97% 면 - 3% 라이크라? 스판덱스의 회색 위사 신축성 제직물이다.
표 4a 및 4b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i) 직물 유연제 단독으로 처리한 직물 (대조군 - CK)
(j) 직물 유연제, 및 비이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분산액인 실시예 10의 분산액 10 중량% (활성 성분 3%)로 처리한 직물 (처리군 - CK)
(k) 직물 유연제 단독으로 처리한 직물 (대조군 - WOV)
(l) 직물 유연제, 및 비이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분산액인 실시예 10의 분산액 10 중량% (활성 성분 3%)로 처리한 직물 (처리군 - WOV)
직물 신장 CK
직물 신장 (%)
(i) 길이 방향 7.5
(j) 길이 방향 7.2
(i) 너비 방향 6.9
(j) 너비 방향 6.4
직물 신장 WOV
직물 신장 (%)
(k) 위사 방향 7.29
(l) 위사 방향 6.97
실시예 18 - 면 편직물 시험
또한, 100% 면 환편직물을 일부 실시양태의 조성물로 처리한 후 시험하였다. 본 실시예의 대조군은 콜게이트 팔몰리브 사의 농축 직물 유연제 소프트란™ 울트라로 세척하였다. 2.5 kg 적재에 이르는 표준 직물 적재를 이용하여 슈트레스? 프로그램화 자동 세탁기로 40℃에서 프로그램 4로 아리엘™ 액체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직물 유연제 조성물 30 ml로 세정하는 것으로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각의 조성물을 면 직물에 사용하였다. (온화한 온도에서) 회전 건조한 후, 직물에 대해 표면 상의 임의의 침적을 평가하였다. 어떤 직물에서도 분말 또는 막이 침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5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
(m) 직물 유연제 단독으로 처리한 직물 (대조군)
(n) 직물 유연제 및 실시예 12의 분산액 (고체 3 중량%)으로 처리한 직물 (상기 분산액 및 직물 유연제의 조합은 양이온성 폴리우레탄우레아 분산액을 제공함)
직물 유연제를 포함하는 (n)에 사용된 조성물을 혼합한 것을 균질한 분산액 (침강이나 응집이 없는 것)으로 하였다. 이하에서 기재하는 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직물 (m) 및 (n)에 대해 직물 신장을 측정하였다.
환편직물에 대한 신장 및 복원성 시험 방법
정의
"신장 %" - 특정 시간 간격 동안 지정된 연신율로 유지시킨 후 (본 발명의 경우에는 순환 연신) 또다른 특정 시간 간격 동안 이완시킨 견본의 회복되지 않는 길이. 신장은 원래 길이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복원력" - 지정된 연신율로 유지시킨 (본 발명의 경우에는 순환 연신) 견본의 특정 연신율에서 잔존하는 힘.
본 방법에 따라, 환편직물(CK)과 같은 직물 견본을 아래에 기재한 프로그램화된 주기에 따라 연장시킨다. 주기의 말미에 상이한 연신율에서의 "복원력"을 측정한다. 이어서 견본을 이완시킨다. "신장"은 이완 후의 상이한 시점에서 측정하고 계산한다.
직물 견본은 대략 38 cm x 5 cm로 7개의 직사각형으로 잘라 준비하였다. 각 직물 조각이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지도록 견본을 선택하는 셀비지(selvedge)로부터 적어도 10 cm 떨어져 동일한 실을 함유하지 않는 방식으로 견본을 취하였다. 이어서, 직물 견본을 20℃±2℃ 및 65%±2% R.H에서 적어도 16시간 동안 컨디셔닝하였다. 상기 견본을 편평한 표면에 놓고, 각 직물마다 28 cm 떨어진 2개의 라인을 중앙에 표기하였다.
인스트론(INSTRON) 동력계, 테이블 모델 No. 5500R를 켜고 적어도 15분 동안 하중계가 안정화되도록 기다렸다. 견본 집게를 30 cm 위치에 실장 및 고정시켰다. 직물에 장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직물 견본을 집게 상에 실장하였다. 직물 견본을 0에서 30%로 늘인 후 (속도: 900 mm/분), 이 연장 상태에서 1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어서, 견본을 30%에서 45%로 4회 늘였다. 5회 주기의 말미에, 집게를 원래 위치 (30 cm)로 두었다. 마지막 단계 동안, 45%, 40%, 35%, 30%, 25% 및 20% 연신율에 대한 힘을 측정하였다 (이것이 복원력임).
직물 견본을 즉시 집게에서 빼내어 편평한 표면 상에서 이완시켰다. 1분 째에, 직물의 라인 사이의 길이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측정을 10분, 20분, 30분, 60분 및 22시간 째에 반복하였다. 이 과정을 나머지 직물 견본 각각에 대해 반복하였다.
신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신장 (%) = (L2-L)/L x 100
상기 식에서, "신장"은 이완 이후의 %로
L2 = 이완 이후에 표기한 라인 사이의 길이 cm이고,
L = 원래 길이 cm (28cm)이다.
"복원력"은 비적재 곡선 상에서 45%, 40%, 35%, 30%, 25% 및 20% 연신율에서의 힘 = f(연신율)로 직접 판단하였다.
60분 및 22시간 이완 이후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60분 후의 직물 신장 (너비 방향)
직물 60분 후의 신장 (%) 22시간 후의 신장 (%)
(m) 6.5561 6.1735
(n) 5.2551 5.0000
직물 신장은 형태 보형성의 판단 기준치이다. 신장치는 착복 동안의 회복되지 않는 연신율을 나타낸다. 신장치가 낮을수록 직물이 초기 형상으로 더 잘 회복되는 능력을 가짐을 나타낸다.
현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라고 여겨지는 것에 대해 기재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남이 없이 여기에 변화 및 개조를 가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며, 그러한 모든 변화 및 개조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24)

  1. (a) 세제 또는 직물 유연제 조성물; 및
    (b) 분말 또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
    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종결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사슬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중합체는 폴리에테르 또는 코폴리에테르 글리콜 중합체;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임의로 산성 디올의 반응 생성물이고, 1.5 내지 3.0의 캡핑비를 가지고,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직물 보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또는 직물 유연제 조성물이 세탁기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또는 직물 유연제 조성물이 손세탁에 적합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또는 직물 유연제 조성물이 분말, 액체, 고체 타블렛(tablet), 캡슐화된 액체, 및 부직 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태인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 연장제가 디아민 사슬 연장제, 물,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가 분말 형태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가 수성 분산액 형태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분산액이 음이온성 분산액 및 비이온성 분산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디올이 2,2-디메틸롤아세트산, 2,2-디메틸롤프로피온산, 2,2-디메틸롤부탄산, 2,2-디메틸롤펜탄산,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 중합체가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이고,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가 4,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와 2,4'-메틸렌 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고, 상기 산성 디올이 2,2-디메틸롤프로피온산이거나 존재하지 않는 것인 조성물.
  12. 비이온성 막형성 분산액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액은 물 및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예비중합체와 사슬 연장제로서의 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중합체는 글리콜 또는 글리콜 혼합물과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예비중합체가 1.5 내지 3.0의 캡핑비를 가지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이 폴리(테트라메틸렌-코-에틸렌 에테르)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과 에톡실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거품제거제, 안료, 용매,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5. 비이온성 비-막형성 분산액을 포함하고,
    상기 분산액은 물 및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예비중합체와 디아민 사슬 연장제 및 물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중합체는 글리콜과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예비중합체가 1.5 내지 3.0의 캡핑비를 가지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거품제거제, 안료, 용매,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17. 비이온성 비-막형성 분산액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유래되고,
    상기 분산액은 물 및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합체는 예비중합체와 디아민 사슬 연장제 및 물을 포함하는 사슬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중합체는 글리콜과 4,4'-메틸렌비스(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예비중합체가 1.5 내지 3.0의 캡핑비를 가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 분말.
  18. 직물을 향료 및 분말 또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종결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사슬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중합체는 폴리에테르 또는 코폴리에테르 글리콜 중합체;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임의로 산성 디올의 반응 생성물이고, 1.5 내지 3.0의 캡핑비를 가지고,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직물에 잔향을 연장시키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가먼트가 포함되는 것인 방법.
  20. 가먼트를 분말 또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가 이소시아네이트-종결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사슬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중합체가 폴리에테르 또는 코폴리에테르 글리콜 중합체;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임의로 산성 디올의 반응 생성물이고, 1.5 내지 3.0의 캡핑비를 가지고,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가먼트의 형태 보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21. 직물을 분말 또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가 이소시아네이트-종결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사슬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중합체가 폴리에테르 또는 코폴리에테르 글리콜 중합체;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임의로 산성 디올의 반응 생성물이고, 1.5 내지 3.0의 캡핑비를 가지고,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직물의 보호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가먼트가 포함되는 것인 방법.
  23. 직물을 분말 또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폴리우레탄우레아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가 이소시아네이트-종결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사슬 연장제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예비중합체가 폴리에테르 또는 코폴리에테르 글리콜 중합체;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임의로 산성 디올의 반응 생성물이고, 1.5 내지 3.0의 캡핑비를 가지고,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인, 직물에 오염방지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가먼트가 포함되는 것인 방법.
KR1020097004966A 2006-08-11 2007-08-13 직물 보호 조성물 KR101451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701106P 2006-08-11 2006-08-11
US60/837,011 2006-08-11
US86509106P 2006-11-09 2006-11-09
US60/865,091 2006-11-09
US11/654,753 US20070185003A1 (en) 2006-01-18 2007-01-18 Non-textil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US11/654,753 2007-01-18
PCT/US2007/075785 WO2008022066A2 (en) 2006-08-11 2007-08-13 Fabric care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074A KR20090050074A (ko) 2009-05-19
KR101451696B1 true KR101451696B1 (ko) 2014-10-21

Family

ID=3875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966A KR101451696B1 (ko) 2006-08-11 2007-08-13 직물 보호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70185003A1 (ko)
EP (1) EP2049729A2 (ko)
JP (1) JP5580588B2 (ko)
KR (1) KR101451696B1 (ko)
CN (1) CN102899902A (ko)
BR (1) BRPI0714480A2 (ko)
MX (1) MX2009001497A (ko)
WO (1) WO20080220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6476B2 (en) * 2005-02-11 2011-03-15 Invista North America S.A.R.L. Fabric care compositions
KR101453110B1 (ko) * 2006-04-04 2014-10-28 바스프 에스이 중합체 층으로 피복된 표백 시스템
US8470762B2 (en) * 2007-05-31 2013-06-25 Colgate-Palmolive Company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WO2009023765A1 (en) * 2007-08-15 2009-02-19 Invista Technologies S.A.R.L. Non-textil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MX2010003758A (es) 2007-10-09 2010-04-21 Du Pont Composiciones desodorantes.
WO2010039452A2 (en) * 2008-09-23 2010-04-08 Invista Technologies S.A. R.L. Polyurethaneurea foam and articles
BRPI0914431A2 (pt) * 2008-10-17 2015-10-27 Invista Technologies Srl composição, película vazada e seca produzida a partir de uma composição e método para a redução do amarelamento em uma pelicula
CA2757247A1 (en) * 2009-04-17 2010-10-21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Micronized polymer powder and cosmetic composition thereof
WO2011104526A1 (en) * 2010-02-26 2011-09-01 Fujifilm Imaging Colorants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encapsulated solid particles
CN102817208B (zh) * 2011-06-09 2017-03-01 塞罗斯有限公司 洗涤用固体颗粒及其洗涤方法
AU2012244167B2 (en) * 2012-10-24 2014-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elable flexible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CN109518471A (zh) * 2017-09-20 2019-03-26 科德宝·宝翎无纺布(苏州)有限公司 无纺布及其表面处理方法、汽车内饰
TWI723914B (zh) * 2020-07-13 2021-04-01 財團法人紡織產業綜合研究所 抗污樹脂、抗污織物及其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9010A2 (en) * 1990-01-12 1991-07-31 Ngk Spark Plug Co., Ltd Poisoning-preventive layer-possessing support, poisoning-resistant catalyst, exhaust gas converter device, and poisoning-preventive gasoline composition
WO2002083301A2 (en) * 2001-04-13 2002-10-24 Engelhard Corporation Sox tolerant nox trap catalys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06044974A1 (en) 2004-10-20 2006-04-27 Engelhard Corporation Layered sox tolerant nox trap catalys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95745C3 (de) * 1963-09-19 1978-06-01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wäßriger, emulgatorfreier Polyurethan-Latices
DE1729201C3 (de) * 1967-06-16 1978-09-28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pulvern
CH1896868D (ko) * 1967-12-21
DE1794221A1 (de) * 1968-09-25 1972-01-13 Bayer Ag Verfahren zum Veredeln von Fasermaterialien
FR2028928A7 (ko) * 1969-01-23 1970-10-16 Basf Ag
US3763054A (en) * 1970-12-07 1973-10-02 Bay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icroporous polyurethane (urea) sheet structures permeable to water vapor
DE2311712B2 (de) * 1973-03-09 1978-08-10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ilung von Mikrokapseln
DE2906159C2 (de) * 1979-02-17 1981-12-0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indispersen Polyurethanharnstoffen
FR2514639B1 (fr) * 1981-10-15 1986-08-01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le maquillage contenant en tant que pigments colores un sel d'un colorant acide et d'un polymere porteur de fonctions amines salifiees ou quaternisees
JPS59159175A (ja) * 1983-03-02 1984-09-0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圧力定着性マイクロカプセル型トナ−
JPS61167087A (ja) * 1985-01-11 1986-07-28 花王株式会社 柔軟剤組成物
GB8524579D0 (en) * 1985-10-04 1985-11-06 Polyvinyl Chemicals Inc Coating compositions
JPH0739552B2 (ja) * 1986-06-10 1995-05-01 株式会社コーセー 高彩度顔料
ES2042794T3 (es) * 1987-03-06 1993-12-16 Ciba Geigy Ag Composiciones herbicidas.
DE3708904A1 (de) * 1987-03-19 1988-09-29 Bayer Ag Pigmentpraeparationen
FR2619385B1 (fr) * 1987-08-11 1992-01-17 Atochem Poudre de polyamide constituee de particules a structure " rose des sables ". procede d'obtention de la poudre de polyamide
ES2099119T3 (es) * 1990-12-05 1997-05-16 Ppg Industries Inc Material fibroso termoplastico formado humedo y dispersion acuosa para su preparacion.
US5094914A (en) * 1990-12-20 1992-03-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icroporous elastic segmented polyurethane shaped structure
US5126181A (en) * 1991-09-23 1992-06-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icroporous discs of elastic segmented polyurethane
ES2110100T3 (es) * 1992-06-26 1998-02-01 Minnesota Mining & Mfg Elastomeros de poliuretano/poliurea.
DE4234990C2 (de) * 1992-10-16 1995-02-16 Ethicon Gmbh Trokarhülse
US5770673A (en) * 1996-04-10 1998-06-23 Bayer Corporation Non-sagging, light stable polyurethane compositions, a process for producing them, and their use as seam sealants
GB9721586D0 (en) * 1997-10-10 1997-12-10 Unilever Plc Textile treatment
DE19824484A1 (de) * 1998-06-02 1999-12-09 Bayer Ag Festkörperreiche Polyurethandispersionen mit hoher Applikationssicherheit
JPH11350363A (ja) * 1998-06-03 1999-12-21 Toray Ind Inc 吸音材用不織布シート
US6017998A (en) * 1998-06-17 2000-01-25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Inc. Stable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NO20001903L (no) * 1999-04-14 2000-10-16 Dow Chemical Co Polyuretan-filmer fremstilt fra polyuretan-dispersjoner
GB9923280D0 (en) * 1999-10-01 1999-12-08 Unilever Plc Fabric care composition
AU2001251161A1 (en) * 2000-03-31 2001-10-1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eave-in hair cosmetic compositions for enhancing volume containing fluid-encapsulated, flexible microspheres
US6245853B1 (en) * 2000-05-16 2001-06-12 Neste Resins Canada Method of preparing co-polymer particles
US6576702B2 (en) * 2000-07-20 2003-06-10 Noveon Ip Holdings Corp. Plasticized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s and manufacturing process
US6433073B1 (en) * 2000-07-27 2002-08-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urethane dispersion in alcohol-water system
US6475412B1 (en) * 2000-09-22 2002-11-05 E. I. Du Pont De Nme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aking polyurethaneurea powder
FR2815850B1 (fr) * 2000-10-27 2003-02-1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US7700082B2 (en) * 2001-01-26 2010-04-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lylated polyurethane-urea compositions for use in cosmetic applications
US20040138348A1 (en) * 2001-05-14 2004-07-15 Fridolin Babler Pigmentary compositions
US6365312B1 (en) * 2001-05-24 2002-04-02 Xerox Corporation Marking particles
JP4688351B2 (ja) * 2001-06-27 2011-05-25 アクゾノーベル株式会社 両性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その製造方法で得られる両性ウレタン樹脂及び樹脂組成物
US6766817B2 (en) * 2001-07-25 2004-07-27 Tubarc Technologies, Llc Fluid conduction utilizing a reversible unsaturated siphon with tubarc porosity action
JP2003201657A (ja) * 2001-12-27 2003-07-18 Nissan Motor Co Ltd 吸音材
WO2003064534A1 (fr) * 2002-01-25 2003-08-07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Dispersion aqueuse de resine synthetique
US7582698B2 (en) * 2003-07-02 2009-09-01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Water dispersions of non-uniform polyurethane particles
DE10351523A1 (de) * 2003-11-03 2005-06-16 Basf Ag Wäßrige Dispersionen mit Duftstoffen
GB0414595D0 (en) * 2004-06-30 2004-08-04 Avecia Bv Aqueous composition II
US20060183849A1 (en) * 2005-02-11 2006-08-17 Invista North America S.A R.L. Solvent free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and adhesive films therefrom for stretch fabrics
CA2610962C (en) * 2005-06-07 2012-08-28 S. C. Johnson & Son, Inc. Method of applying a design to a surface
BRPI0706934A2 (pt) * 2006-01-18 2011-04-19 Invista Technologies S A R L Empr Luxemburguesa composição de cuidado do tecido, composições , pó de poliuretanouréia, método para a extensão da concretização do perfume em um tecido, método de aumento da retenção do formato da vestimenta, método para aumentar a facilidade das propriedades de cuidado de um tecido, método para proporcionar propriedade anti-manchas a um tecido, métodos para a preparação do pó de poliuretanouréia, método para o tingimento de uma composição em pó e método para prolongar a concretização do perfume em uma composiçã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9010A2 (en) * 1990-01-12 1991-07-31 Ngk Spark Plug Co., Ltd Poisoning-preventive layer-possessing support, poisoning-resistant catalyst, exhaust gas converter device, and poisoning-preventive gasoline composition
EP0439010A3 (en) 1990-01-12 1991-12-11 Ngk Spark Plug Co., Ltd Poisoning-preventive layer-possessing support, poisoning-resistant catalyst, exhaust gas converter device, and poisoning-preventive gasoline composition
WO2002083301A2 (en) * 2001-04-13 2002-10-24 Engelhard Corporation Sox tolerant nox trap catalys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02083301A3 (en) 2001-04-13 2003-11-27 Engelhard Corp Sox tolerant nox trap catalys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06044974A1 (en) 2004-10-20 2006-04-27 Engelhard Corporation Layered sox tolerant nox trap catalys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2066A3 (en) 2008-05-29
WO2008022066A2 (en) 2008-02-21
JP5580588B2 (ja) 2014-08-27
KR20090050074A (ko) 2009-05-19
BRPI0714480A2 (pt) 2013-04-24
US20070185003A1 (en) 2007-08-09
US20140357730A1 (en) 2014-12-04
EP2049729A2 (en) 2009-04-22
MX2009001497A (es) 2009-02-18
JP2010500484A (ja) 2010-01-07
CN102899902A (zh)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696B1 (ko) 직물 보호 조성물
JP6173944B2 (ja) 織物以外の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方法
JP5453521B2 (ja) オルガノシロキサンポリマーを含む布地ケア組成物
US8048843B2 (en) Fabric care compositions
WO2003085020A1 (de) Kationisch modifizierte anionische polyurethandispersionen
JP2004513261A (ja) セルロース系繊維製品のしわを防止するための親水性変性ポリイソシアネートおよびポリウレタン
WO2009023765A1 (en) Non-textil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4684950A (zh) 聚氨酯树脂水分散液、采用该水分散液的阻燃性聚酯类纤维、及该纤维的制造方法
TWI491780B (zh) 包含安定劑或黏結劑之高膨鬆度非織物
KR102437958B1 (ko) 불소-무함유 소수화
TWI420008B (zh) 織物護理組合物
WO2010039452A2 (en) Polyurethaneurea foam and articles
EP2160445B1 (en) Method for preparing non-textile polymer article
US9328190B2 (en) Non-textil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2812075A (zh) 可辐射固化的搅打泡沫
WO2008049528A1 (en) Polymer compositions
US20220112442A1 (en) Cationically modified polyurethane dispersions as textile softe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