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836B1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836B1
KR101449836B1 KR1020130025495A KR20130025495A KR101449836B1 KR 101449836 B1 KR101449836 B1 KR 101449836B1 KR 1020130025495 A KR1020130025495 A KR 1020130025495A KR 20130025495 A KR20130025495 A KR 20130025495A KR 101449836 B1 KR101449836 B1 KR 10144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edge
edge
blad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745A (ko
Inventor
김정표
Original Assignee
김정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표 filed Critical 김정표
Priority to CN201380018887.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245252B/zh
Priority to JP2014530613A priority patent/JP5731072B2/ja
Priority to US14/344,159 priority patent/US10059012B2/en
Priority to PCT/KR2013/001926 priority patent/WO2013151245A1/ko
Priority to CN201511005941.5A priority patent/CN105459160B/zh
Publication of KR2013011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836B1/ko
Priority to JP2015076736A priority patent/JP5918413B2/ja
Priority to US16/036,386 priority patent/US2018031902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둥근 날 가위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둥근 날 가위는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컷팅날을 갖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환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제2컷팅날을 갖는 제2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절삭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2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2절삭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절삭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절삭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그로 인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절삭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 대상물의 절삭이 쉽고 편리하며, 안전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위{SCISSORS}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코털을 다듬기위한 도구로 코털 깎기, 코털 가위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도구의 컷팅날 부분은 코 내부와 바로 맞닿기 때문에 절삭이 가능하면서도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코털은 코 내부 모양을 따라 존재하기 때문에 균일하게 코털을 다듬기 위해 원형의 컷팅날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코 속으로 넣을 수 있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가위 등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사용자가 가위의 컷팅날에 상처를 입게 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털을 다듬기위한 도구로써, 자동 코털 면도기 또는 가위 컷팅날의 선단부를 원형으로 마련한 가위 등이 개발되었고, 이러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699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5136호 등에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코털 면도기의 경우 코털이 면도기에 유입되거나 배터리 및 모터에 이상이 생겨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불규칙한 코털이 면도기 컷팅날의 형태대로 절삭되기 때문에 원하는 부분에 존재하는 코털을 균형있게 절삭하는 것도 어렵다.
한편, 가위 컷팅날의 선단부를 원형으로 마련한 가위는 단지 선단부만 원형으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코 내부에 상처를 입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균일하고 편리하게 코털을 다듬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절삭하려다보니 소량의 코털을 다듬어야 하고, 거울로 자신의 비공을 관찰해야하기 때문에 시간도 많이 소모되었다.
또한, 코털을 효율적으로 절삭하기 위해서 가위를 수직으로 돌려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코털은 일상생활에서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코털 관리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편리하고 안전하며, 한번 다듬을 때 효과적으로 코털을 절삭할 수 있는 코털 관리 장치에 대한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절삭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의 가위는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컷팅날을 갖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환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제2컷팅날을 갖는 제2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절삭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2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2절삭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절삭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절삭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삭부가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컷팅날의 외주면은 상기 제2컷팅날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상기 제1절삭부 또는 제2절삭부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접촉방지단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접촉방지단은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 방향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컷팅날 및 제1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접촉방지단은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 방향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이격홈을 가지며, 상기 제2컷팅날 및 제2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절삭부는 상기 제1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컷팅날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절삭부는 상기 제2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컷팅날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컷팅날이 라운드지게 절곡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컷팅날은 상기 제1컷팅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컷팅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제1컷팅날까지의 직선 거리는 상기 제1컷팅날로부터 상기 제1지지대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컷팅날이 일 지점에서 단차지게 절곡될 경우, 상기 제2컷팅날은 상기 제1컷팅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컷팅날의 절곡된 지점에서의 내각은 상기 다각형을 형성하는 인접한 두 직선의 내각과 동일하거나 상기 내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컷팅날과 접촉하는 상기 제2컷팅날의 일면에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 둥근 날 가위는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된 제1컷팅날을 갖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갈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제2컷팅날을 갖는 제2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절삭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2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2절삭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절삭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절삭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삭부가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절삭부는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상기 제1절삭부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접촉방지단을 가지며, 상기 접촉방지단은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 방향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컷팅날 및 제1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절삭부는 상기 제1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컷팅날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절삭부는 상기 제2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컷팅날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컷팅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제2컷팅날까지의 직선거리는 상기 제2지지대로부터 상기 제2컷팅날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으로 둥근 날 가위는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된 제1컷팅날을 갖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컷팅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제2컷팅날을 갖는 제2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절삭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2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2절삭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절삭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절삭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삭부가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절삭부는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상기 제2절삭부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접촉방지단을 가지고, 상기 접촉방지단은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 방향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컷팅날 및 제2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절삭부는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상기 제1절삭부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접촉방지단을 가지고, 상기 접촉방지단은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 방향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컷팅날 및 제1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제1절삭부는 상기 제1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컷팅날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절삭부는 상기 제2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컷팅날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의 일단에는 원형의 파지수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는 상기 파지수단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파지수단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기존 가위의 컷팅날과 다른 환형의 컷팅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처를 입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손잡이의 운동방향과 수직하는 컷팅날의 운동방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가위를 수직으로 돌려 조작해야했던 사용자에게 절삭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기존 가위의 컷팅날과 다른 환형의 컷팅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균일하게 대상물을 절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기존 가위의 컷팅날과 다른 환형의 컷팅날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코털 절삭시 거울로 자신의 비공을 관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손잡이의 운동방향과 수직하는 컷팅날의 운동방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가위 날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대상물을 자를 필요가 있을 때,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내과용 수술 가위 또는 기타 생활용 가위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가 접촉할 경우에, 접촉방지단에 의해 제1절삭부 또는 제2절삭부의 일부가 이격된다. 즉, 본 발명은 콧털 또는 그 외의 절삭 대상물이 각 절삭부에 무리하게 끼어 들어가 절삭 효율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절삭면이 형성된 제1컷팅날 또는 제2컷팅날에 요철 형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콧털과 같은 미세한 절삭 대상물의 절삭시 각 요철에 위치시켜 절삭할 수 있으므로 절삭이 쉽고 신속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둥근 날 가위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둥근 날 가위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의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둥근 날 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둥근 날 가위의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의 정면도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의 정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둥근 날 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의 정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의 정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둥근 날 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둥근 날 가위(10)는 제1절삭부(100), 제2절삭부(200), 제1프레임부(300), 제2프레임부(400), 결합부(500) 및 접촉방지단(130, 131, 132, 230, 23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절삭부(100)는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 및 제1지지대(120, 121, 122, 123, 124)를 포함한다.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에는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삭면이 형성된다.
제1지지대(120, 121, 122, 123, 124)는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을 지지하도록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과 일체로 구성되며, 제1지지대(120, 121, 122, 123, 124)의 개수는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의 외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제2절삭부(200)는 제1절삭부(100)의 일면과 접촉하여 대상물을 절삭하며, 제2컷팅날 및 제2지지대를 포함한다. 제2컷팅날은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의 일면과 접촉하여 대상물을 절삭하며, 제2컷팅날의 일면에는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삭면이 형성된다.
제1프레임부(300)는 제1절삭부(100)의 제1지지대(120, 121, 122, 123, 124)와 결합하여 제1절삭부(100)를 지지하며, 제1프레임부(300)는 실시하기에 따라서 제1절삭부(1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절삭부(10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제1절삭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만일, 제1프레임부(300)가 제1절삭부(100)와 별도로 형성되어 제1절삭부(100)와 결합될 경우에는 제1프레임부(300)는 제1지지대(120, 121, 122, 123, 12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판(310, 311, 312)을 포함하고, 제1지지대(120, 121, 122, 123, 124)가 고정판(310, 311, 312)에 삽입 결합되도록 고정판(310, 311, 312)의 일면에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다.
제2프레임부(400)는 제2절삭부(200)의 제2지지대와 결합하여 제2절삭부(200)를 지지하며, 제2프레임부(400)는 제2절삭부(20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절삭부(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2절삭부(200)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제2절삭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프레임부(400)가 제2절삭부(200)와 별도로 형성되어 제2절삭부(200)와 결합될 경우, 제2프레임부(400)는 제2지지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410, 411, 412)을 포함하고, 제2지지대가 고정판(410, 411, 412)에 삽입 결합되도록 고정판(410, 411, 412)의 일면에는 고정용 홈이 형성된다.
한편,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 및 제2컷팅날의 형태에 따라, 각 컷팅날을 지지하는 지지대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이나 고정용 홈의 개수도 변경 가능하다.
제1프레임부(300) 및 제2프레임부(400)가 제1절삭부(100) 및 제2절삭부(200)와 별도로 형성될 경우에는 장시간 사용에 따라 마모된 제1컷팅날(110, 111, 112, 113, 114) 또는 제2컷팅날의 교체가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제1절삭부(100), 제2절삭부(200), 제1프레임부(300) 및 제2프레임부(400)가 하나의 결합부(500)에 의해 힌지 결합됨에 따라 둥근 날 가위(10)의 제조공정시 결합이 용이하며,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부(300) 및 제2프레임부(400)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원형의 파지수단이 각각 형성되고, 제1절삭부(100) 및 제2절삭부(200)는 파지수단의 평면을 기준으로 파지수단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결합부(500)는 제1절삭부(100)가 회동에 의해 제2절삭부(200)와 접촉되어 절삭 대상물을 절삭할 수 있도록 제1프레임부(300) 및 제2프레임부(400)를 힌지 결합시킨다. 즉, 제1절삭부(100) 및 제2절삭부(200)는 결합부(5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촉방지단(130, 131, 132, 230, 231)은 제1절삭부(100) 및 제2절삭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제1절삭부(100)가 제2절삭부(200)와 접촉할 경우에 제1절삭부(100) 또는 제2절삭부(200)의 일부를 이격시킨다. 또한, 접촉방지단(130, 131, 132, 230, 231)은 제1절삭부(100) 및 제2절삭부(200)의 형태에 따라 다수의 실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컷팅날(110)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절곡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제2컷팅날(210)은 제1컷팅날(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컷팅날(110)이 제2컷팅날(210)과 접촉할 경우에는 제1컷팅날(110)이 제2컷팅날(210)의 환형 아래에 밀착됨에 따라, 제1컷팅날(110)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0)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촉방지단(130)은 제1컷팅날(110) 및 제1지지대(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컷팅날(110)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0)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 제1절삭부(100)의 일부가 제2절삭부(200)와 이격되도록 접촉방지단(130)은 제1절삭부(10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제1실시예는 절삭면이 형성된 제1컷팅날(110) 및 제2컷팅날(210) 간에만 접촉이 이루어지며, 제1절삭부(100)에 형성된 접촉방지단(130)으로 인해 제1절삭부(100) 및 제2절삭부(200) 간에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제1컷팅날(110) 이외의 부분에 콧털이 끼어 들어가 절삭 효율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컷팅날(110)과 접촉하는 제2컷팅날(210)의 일면에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요철(2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2에서는 톱니 형태의 요철(240)이 제2컷팅날(210)에 형성된 바 있으나, 굴곡이 있는 지그재그 형태라면 어떤 형태의 변형도 가능하며,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2컷팅날(210)의 요철(240)에 접촉하는 제1컷팅날(110)에도 요철(2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컷팅날(110)은 제2컷팅날(210)의 중심점(600)을 기준으로 중심점(600)에서 제1컷팅날(110)까지의 직선 거리가 제1컷팅날(110)로부터 제1지지대(120)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컷팅날(210)의 중심점(600)이란 제2컷팅날(210)을 구성하는 환형의 원주를 형성하기 위한 지점을 말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제1컷팅날(110)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0)의 내주면에 밀착될 경우, 제1컷팅날(110)이 제2컷팅날(210)과 밀착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한 압력에 의해 절삭 효율이 향상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부(300)의 고정판(310)은 제2프레임부(400)의 두 개의 고정판(410) 사이에 위치하고, 결합부(500)를 축으로 회동하여 절삭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1컷팅날(110) 및 제2컷팅날(210)은 일 방향으로 경사진 절삭면을 형성함에 따라, 콧털이 제2컷팅날(210)의 요철에 위치할 경우, 제1컷팅날(110)이 제2컷팅날(210)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2컷팅날(210)의 경사진 절삭면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면서 콧털의 절삭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절삭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컷팅날(111)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제2컷팅날(211)은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1컷팅날(111)이 제2컷팅날(211)과 접촉할 경우에 제1컷팅날(111)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211)의 접촉방지단(230)은 제2컷팅날 (211) 및 제2지지대(221)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절삭부(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이격홈을 갖는다. 즉, 접촉방지단(230)은 제1컷팅날(111)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1)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제2절삭부(200)의 일부가 제1절삭부(100)와 이격되도록 한다.
제2실시예의 제1컷팅날(111) 또는 제2컷팅날(211)에도 제1실시예와 같은 요철(24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1컷팅날(111)은 제2컷팅날(211)의 중심점(600)을 기준으로 중심점(600)에서 제1컷팅날(111)까지의 직선 거리가 제1컷팅날(111)로부터 제1지지대(121)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1컷팅날(112)은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2컷팅날(212)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컷팅날(112)이 제2컷팅날(212)과 접촉할 경우, 제1컷팅날(112)이 제2컷팅날(212)의 갈고리 아래에 밀착됨에 따라, 제1컷팅날(112)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2)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컷팅날(212)은 제1컷팅날(112)의 중심점(600)을 기준으로 중심점(600)에서 제2컷팅날(212)까지의 직선거리가 제2지지대(222)로부터 제2컷팅날(212)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접촉방지단(131)은 제1컷팅날(112) 및 제1지지대(122)의 사이에 위치한다. 제1컷팅날(112)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2)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 제1절삭부(100)의 일부가 제2절삭부(200)와 이격되도록 접촉방지단(131)은 제1절삭부(10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접촉방지단(131)이 제2컷팅날(212) 및 제2지지대(2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컷팅날(21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이격홈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1컷팅날(113) 및 제2컷팅날(213)은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각 컷팅날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123) 및 제2지지대(223)가 복수로 구성되며, 제2컷팅날(213)의 직경은 제1컷팅날(1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방지단(231)은 제2컷팅날(213) 및 제2지지대(223)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접촉방지단(231)은 제1컷팅날(113)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3)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제1절삭부(100)의 일부가 제2절삭부(200)와 이격되도록 제2절삭부(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제4실시예에서는 제1컷팅날(113) 및 제2컷팅날(213)이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접촉방지단(231)이 제2컷팅날(213) 및 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2지지대(223)의 사이에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1컷팅날(114) 및 제2컷팅날(214)은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각 컷팅날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124) 및 제2지지대(224)가 복수로 구성되며, 제2컷팅날(214)의 직경은 제1컷팅날(1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방지단(132)은 제1컷팅날(114) 및 제1지지대(124)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컷팅날(114)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4)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제1절삭부(100)의 일부가 제2절삭부(200)와 이격되도록 제1절삭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제5실시예에서는 제1컷팅날(114) 및 제2컷팅날(214)이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접촉방지단(132)이 제1컷팅날(114) 및 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대(124)의 사이에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실시예>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1컷팅날(115)은 일 지점에서 단차지게 절곡된 “ㄱ"자 형태로 형성되며, 제2컷팅날(215)은 제1컷팅날(11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컷팅날(115)이 제2컷팅날(215)과 접촉할 경우에 제1컷팅날(115)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5)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컷팅날(115)의 절곡된 지점에서의 내각(A2)은 제2컷팅날(215)의 다각형을 형성하는 인접한 두 직선의 내각(A1)과 동일하거나 두 직선의 내각(A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1컷팅날(115)의 외주면이 제2컷팅날(215)의 내주면에 밀착될 때, 제1컷팅날의 내각(A2)이 제2컷팅날의 내각(A1)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에는 제1컷팅날(115)이 제2컷팅날(215)과 밀착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한 압력에 의해 절삭 효율이 향상되며, 동일한 내각으로 형성된 컷팅날에 비해 더 강한 힘으로 절삭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둥근 날 가위
100 : 제1절삭부
110, 111, 112, 113, 114, 115 : 제1컷팅날
120, 121, 122, 123, 124, 125 : 제1지지대
130, 131, 132 : 접촉방지단
200 : 제2절삭부
210, 211, 212, 213, 214, 215 : 제2컷팅날
220, 221, 222, 223, 224, 225 : 제2지지대
230, 231 : 접촉방지단
240 : 요철
300 : 제1프레임부
310, 311, 312 : 고정판
320, 321, 322 : 고정용 홈
330 : 파지수단
400 : 제2프레임부
410, 411, 412 : 고정판
420, 421, 422 : 고정용 홈
430 : 파지수단
500 : 결합부
510 : 결합공
600 : 중심점
A1, A2 : 내각

Claims (17)

  1.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컷팅날 및 상기 제1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컷팅날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를 갖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된 제2컷팅날 및 상기 제2 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컷팅날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대를 갖는 제2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절삭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2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2절삭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절삭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절삭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삭부가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컷팅날의 외주면은 상기 제2컷팅날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컷팅날이 라운드진 갈고리 형태이고, 상기 제2컷팅날은 상기 제1컷팅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컷팅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제1컷팅날까지의 직선 거리는 상기 제1컷팅날로부터 상기 제1지지대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부 및 제2절삭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상기 제1절삭부 또는 제2절삭부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접촉방지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지단은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 방향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컷팅날 및 제1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지단은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 방향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이격홈을 가지며, 상기 제2컷팅날 및 제2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5. 삭제
  6. 삭제
  7.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일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컷팅날 및 상기 제1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컷팅날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를 갖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다각형으로 형성된 제2컷팅날 및 상기 제2 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컷팅날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지지대를 갖는 제2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절삭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2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2절삭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절삭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절삭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삭부가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컷팅날의 외주면은 상기 제2컷팅날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컷팅날이 일 지점에서 단차지게 절곡될 경우, 상기 제2컷팅날은 상기 제1컷팅날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폐쇄된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컷팅날의 절곡된 지점에서의 내각은 상기 다각형을 형성하는 인접한 두 직선의 내각과 동일하거나 상기 내각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컷팅날과 접촉하는 상기 제2컷팅날의 일면에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9. 대상물을 절삭하기 위해 폐쇄된 환형으로 형성된 제1컷팅날 및 상기 제1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컷팅날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지지대를 갖는 제1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면을 감싸도록 갈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된 제2컷팅날 및 상기 제2컷팅날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컷팅날을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갖는 제2절삭부;
    상기 제1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절삭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2절삭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2절삭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 및
    상기 제1절삭부가 회동에 의해 상기 제2절삭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 및 제2프레임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삭부가 상기 결합부를 축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은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1컷팅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점에서 상기 제2컷팅날까지의 직선거리는 상기 제2지지대로부터 상기 제2컷팅날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삭부는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이 상기 제2절삭부의 내주면에 접촉할 경우에 상기 제1절삭부의 일부를 이격시키는 접촉방지단을 가지며,
    상기 접촉방지단은 상기 제1절삭부의 외주면 방향에서 내주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컷팅날 및 제1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025495A 2012-04-04 2013-03-11 가위 KR101449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18887.0A CN104245252B (zh) 2012-04-04 2013-03-11 圆形刀片剪刀
JP2014530613A JP5731072B2 (ja) 2012-04-04 2013-03-11 はさみ
US14/344,159 US10059012B2 (en) 2012-04-04 2013-03-11 Scissors
PCT/KR2013/001926 WO2013151245A1 (ko) 2012-04-04 2013-03-11 둥근 날 가위
CN201511005941.5A CN105459160B (zh) 2012-04-04 2013-03-11 剪刀
JP2015076736A JP5918413B2 (ja) 2012-04-04 2015-04-03 はさみ
US16/036,386 US20180319025A1 (en) 2012-04-04 2018-07-16 Scis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4696 2012-04-04
KR1020120034696 2012-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745A KR20130112745A (ko) 2013-10-14
KR101449836B1 true KR101449836B1 (ko) 2014-10-13

Family

ID=4963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495A KR101449836B1 (ko) 2012-04-04 2013-03-11 가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059012B2 (ko)
EP (1) EP2839937A4 (ko)
JP (2) JP5731072B2 (ko)
KR (1) KR101449836B1 (ko)
CN (2) CN105459160B (ko)
WO (1) WO20131512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37A1 (ko) * 2022-06-24 2023-12-28 김정표 가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3973S1 (en) * 2015-01-07 2016-04-19 Peacekorea Co., Ltd. Scissors
USD817134S1 (en) * 2016-11-04 2018-05-08 Donald Jason Milligan Spherical-oval guide tip scissors
USD817133S1 (en) * 2016-11-04 2018-05-08 Donald Jason Milligan Spherical guide tip scissors
JP6916557B1 (ja) * 2020-10-26 2021-08-11 足立工業株式会社 理美容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08A (ko) * 1999-10-27 2000-01-15 박호종 무동력식 코털깍기.
KR20060123794A (ko) * 2005-05-30 2006-12-05 문원식 톱 가위
KR100972030B1 (ko) * 2010-01-26 2010-07-22 박호종 무전동식 코털깎기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25A (en) * 1897-06-22 Oliver w
US317981A (en) * 1885-05-19 Pateick f
US166908A (en) * 1875-08-17 Improvement in animal-pokes
US483884A (en) * 1892-10-04 Pinking device
US166208A (en) * 1875-08-03 Improvement in button-hole cutters
US519626A (en) * 1894-05-08 Punching tool
US768347A (en) * 1904-05-21 1904-08-23 Robert W Slaughter Bolt-cutter.
US865551A (en) * 1906-11-30 1907-09-10 Frederick P Wells Veterinary dental instrument.
US1085793A (en) * 1911-12-21 1914-02-03 Ernst Boettger Fowl-beheading tool.
US1364137A (en) * 1919-10-08 1921-01-04 Arthur A Pannier Combination-pliers
US1482291A (en) * 1922-09-20 1924-01-29 Louis V England Self-stropping safety razor
US2078827A (en) * 1935-04-17 1937-04-27 Henry G Ketchum Means for tagging animals and particularly poultry
US2525450A (en) * 1948-08-30 1950-10-10 D Amato Celestino George Nose hair clipper
US2994321A (en) * 1958-02-26 1961-08-01 Mueller & Company V Punch
US3259981A (en) * 1963-11-19 1966-07-12 Triple A Specialty Co Method of joining together a terminal connector and an electric cable
US3284991A (en) * 1963-12-19 1966-11-15 Dow Chemical Co Ultrasonic degassing of liquids
JPS5227747Y2 (ko) * 1972-04-04 1977-06-24
US4291464A (en) * 1979-06-25 1981-09-29 Garrett Ernest R Lid piercing device
US4246698A (en) * 1979-07-20 1981-01-27 Laschal Instruments Corp. Suture remover
US4327487A (en) * 1980-07-28 1982-05-04 Brownell David A Wood cutter
JPS60165199U (ja) * 1984-04-11 1985-11-01 岩崎 公英 形切りハサミ
JPS6273803U (ko) * 1985-10-25 1987-05-12
JPH08155155A (ja) * 1994-12-09 1996-06-18 Toshiko Fujisaki 刃横長はさみ
DE29705219U1 (de) * 1997-03-13 1997-05-28 Rennsteig Werkzeuge Gmbh Ausklinkzange
JP3046909U (ja) * 1997-04-16 1998-03-24 昌司 久我 毛の切断におけるナチュラル摩擦器
KR100269856B1 (ko) * 1997-06-19 2000-10-16 박호종 무동력식 코털깍기
KR20000012316U (ko) * 1998-12-16 2000-07-05 하일 코털깎기용 가위
KR20000012316A (ko) 1999-11-24 2000-03-06 오달환 통증성 손상세포의 통증억제에 사용되는 양극처리한알루미늄합금속 조성물
KR200255136Y1 (ko) 2001-06-28 2001-12-13 조인술 유아용 손톱가위
JP2005304655A (ja) * 2004-04-20 2005-11-04 Toshikazu Washimi 鼻毛切り用鋏
KR100775198B1 (ko) 2005-08-05 2007-11-1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코털깎이
KR20100079789A (ko) * 2008-12-31 2010-07-08 김혜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코털깎이
CN201361883Y (zh) * 2009-02-27 2009-12-16 三峡大学第一临床医学院 安全双环鼻毛剪
WO2011093618A2 (ko) * 2010-01-26 2011-08-04 Park Ho Jong 무전동식 코털깎기 및 그의 제조방법
CN201950686U (zh) * 2011-03-03 2011-08-31 权赫洙 一种修剪鼻毛的剪刀
US9084606B2 (en) * 2012-06-01 2015-07-21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Electrosurgical sciss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08A (ko) * 1999-10-27 2000-01-15 박호종 무동력식 코털깍기.
KR20060123794A (ko) * 2005-05-30 2006-12-05 문원식 톱 가위
KR100972030B1 (ko) * 2010-01-26 2010-07-22 박호종 무전동식 코털깎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37A1 (ko) * 2022-06-24 2023-12-28 김정표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9937A1 (en) 2015-02-25
US10059012B2 (en) 2018-08-28
JP5918413B2 (ja) 2016-05-18
KR20130112745A (ko) 2013-10-14
CN104245252A (zh) 2014-12-24
EP2839937A4 (en) 2015-12-23
JP2014531236A (ja) 2014-11-27
CN105459160B (zh) 2017-07-14
US20150033563A1 (en) 2015-02-05
WO2013151245A1 (ko) 2013-10-10
JP5731072B2 (ja) 2015-06-10
JP2015144870A (ja) 2015-08-13
CN105459160A (zh) 2016-04-06
CN104245252B (zh) 2016-02-17
US20180319025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836B1 (ko) 가위
JP6395848B2 (ja) 髭剃り刃カートリッジ、このような髭剃り刃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シェーバ、および、このような髭剃り刃カートリッジを製造する方法
EP3099453B1 (en) Safety razor with comb and integrated blade
US9975262B2 (en) Fingertip mountable shaving device
US6272752B1 (en) Hair trimming tool
US20120234341A1 (en) Hair line grooming kit and method therefor
JP2005007149A (ja) 理容用具
US20220168912A1 (en) Grooming device
US20130087164A1 (en) Haircut Assistance Device
US6711822B1 (en) Single rotary blade grooming trimmer
JP2022515328A (ja) カミソリ
US8887400B2 (en) Protective riser guide for scissors
US20060217752A1 (en) Hair trimmer
US20120179170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Pseudofolliculitis Barbae, Pseudofolliculitis Pubis, And Pseudofolliculitis Nuchae
CN112236277B (zh) 毛发引导器和毛发切割组件
JP4034665B2 (ja) 回転式電気かみそり
KR20190079149A (ko) 니퍼 겸용 스트리퍼
CN219522183U (zh) 毛发修剪器
KR20090003767U (ko) 코털깍이
KR102002561B1 (ko) 코털 제거기
KR20240000803A (ko) 가위
JP2013212241A (ja)
US20170320220A1 (en) Nasal Razor
JP2007061236A (ja) 髪の毛切断用具
KR20110111559A (ko) 갈빗살 칼집 형성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