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236B1 - 압출바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압출바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236B1
KR101449236B1 KR1020130002618A KR20130002618A KR101449236B1 KR 101449236 B1 KR101449236 B1 KR 101449236B1 KR 1020130002618 A KR1020130002618 A KR 1020130002618A KR 20130002618 A KR20130002618 A KR 20130002618A KR 101449236 B1 KR101449236 B1 KR 10144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pection
inspected
vacuum pad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491A (ko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3000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2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5Labels or tickets for tubes, pipes and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검사 시 피검사 부재의 정확한 정렬 및 안정된 이송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일부가 굴곡된 형태의 압출바를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 및 이송하면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피검사 부재의 로딩, 이송 및 언로딩 시스템을 개선한 압출바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압출바 검사장치는 피검사 부재를 검사 구간으로 로딩하는 로딩부와, 상기 검사 구간에 설치되는 검사부와, 상기 로딩부로부터 로딩된 피검사 부재를 고정시켜 상기 검사부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 검사 완료된 피검사 부재를 언로딩하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피검사 부재의 검사면의 반대면을 고정하는 파지 모듈과 상기 파지 모듈을 이송시키는 구동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 모듈은 피검사 부재를 이송 방향의 수직으로 세워 고정한다. 따라서, 압출바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검사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압출바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압출바의 형상이 굴곡된 형상이어도 이송 시 압출바가 유동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정밀하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바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Extrusion Bar}
본 발명은 압출바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ED TV 등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압출바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압출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의 후방에서 빛을 내는 발광 수단이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1640호(2011.03.04)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백라이트 모듈(200)과, 바텀샤시(300)와, 광 모듈(400)과, 압출바(500) 및 고정부재(60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모듈(200)은 사각 틀 형상을 이루는 전면 프레임(210)과, 전면 프레임(210)의 후방에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설치되는 광학시트(220)와, 도광판(230) 및 반사판(24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바텀샤시(300)는 백라이트 모듈(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광학시트(220)와 도광판(230) 및 반사판(240)을 전면에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 바텀샤시(300)의 전면 테두리 부위에는 백라이트 모듈(200)의 외측 단부면과 인접 위치되는 삽입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10) 내에는 광 모듈(400)과 광 모듈(400)의 인쇄회로기판(410)을 고정하기 위한 압출바(500)가 삽입된다. 광 모듈(400)은 바텀샤시(300)의 삽입홈(310)에 삽입되어 그 전면이 바텀샤시(300)의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410)과, 인쇄회로기판(410)의 길이 방향에 복수로 설치되어 백라이트 모듈(200)의 측방으로 광을 조사하는 LED 램프(420)로 이루어진다.
압출바(500)는 광 모듈(400)의 인쇄회로기판(410)의 길이방향 전면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삽입홈(3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체결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관통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410)의 전면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단턱(510)과, 단턱(310)의 전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LED 램프(420)의 광 조사부의 타측에 인접 위치되는 연장부(520)로 이루어진다. 압출바(500)는 하단이 "ㄴ"자 형상으로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또는 이의 구성품들은 제품 출고 전에 불량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70357호(2007.07.04)에는 LCD 탑샤시용 탭 검사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3은 종래의 LCD 탑샤시용 탭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LCD 탑샤시용 탭 검사장치는 화상 입력부(10)와, 신호 처리부와, 출력부로 크게 이루어진다.
화상 입력부(10)는 검사 대상인 탑샤시(100)에 형성된 탭(110)의 선명한 화상을 스캔 카메라(11)로 입력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신호 처리부는 스캔 카메라(11)에 입력된 탭(110)의 조사 상태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는 신호 처리부(30)에 의해 수행된 결과의 출력을 수행한다. 상기 화상 입력부(10)는 스캔 카메라(11)와, 조명기구(12)와, 반사경(13)으로 이루어진다.
조명기구(12)는 스캔 카메라(11)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탑샤시(100)의 탭(110)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반사경(13)은 조명기구(12)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선명하게 형성되는 탭(110)의 영상을 반사시켜 스캔 카메라(11)에 입력시킬 수 있도록 그 형상을 일정한 방향으로 수집하며,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스캔 카메라(11)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화상 입력부(10)는 탑샤시(10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등속의 컨베이어(50) 상에 설치되며, 탑샤시(100)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센서(55)의 신호에 의해 화상 입력부(10)의 스캔 카메라(11)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탑샤시(10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자동 회전되도록 하여 탑샤시(100)의 반대면을 촬영하도록 샤시회전 조절부가 컨베이어 상으로 돌출되며, 샤시회전 조절부는 돌출부재(21)를 구비한다. 돌출부재(21)는 컨베이어(50) 상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수평바(21a)와, 수평바(21a)를 양쪽에서 지지하는 지지바(21b)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재(21)가 위치한 반대측에 탑샤시(100)가 90°회전한 상태를 유지한 채 일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구(22)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의 검사장치는 판 형상의 피검사 부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함에 따라 이송 시 피검사 부재의 정렬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잘못된 검사 결과를 얻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피검사 부재를 컨베이어 측으로 로딩 및 언로딩 시 별도의 정렬 작업, 고정 작업, 이송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공정수가 늘어나 검사 시간이 지연됨과 아울러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압출바는 정확히 판 형상이 아니고 일단이 "ㄴ"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태이므로 종래의 검사장치로는 정확한 정렬 및 고정한 상태로 이송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1640호(2011.03.04)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70357호(2007.07.0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검사 시 피검사 부재의 정확한 정렬 및 안정된 이송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일부가 굴곡된 형태의 압출바를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 및 이송하면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피검사 부재의 로딩, 이송 및 언로딩 시스템을 개선한 압출바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는 피검사 부재를 검사 구간으로 로딩하는 로딩부와, 상기 검사 구간에 설치되는 검사부와, 상기 로딩부로부터 로딩된 피검사 부재를 고정시켜 상기 검사부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어 검사 완료된 피검사 부재를 언로딩하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피검사 부재의 검사면의 반대면을 고정하는 파지 모듈과 상기 파지 모듈을 이송시키는 구동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 모듈은 피검사 부재를 이송 방향의 수직으로 세워 고정한다.
상기에서, 파지 모듈은 피검사 부재의 검사면의 반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 패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진공 패드 유닛은, 피검사 부재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검사 부재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1 진공 패드 유닛과, 상기 제1 진공 패드 유닛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피검사 부재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검사 부재를 고정하는 제2 진공 패드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파지 모듈은 피검사 부재의 하부를 안착 지지하는 안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 부재는 피검사 부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직교되게 상부로 연장되어 피검사 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에 상기 진공 패드 유닛을 통과시키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착 부재를 기준으로 진공 패드 유닛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착 부재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착 부재에 안착된 피검사 부재를 가압하는 가이드 푸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로딩부는 피검사 부재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피검사 부재의 두께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피검사 부재의 두께 방향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홀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는 압출바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검사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압출바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압출바의 형상이 굴곡된 형상이어도 이송 시 압출바가 유동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정밀하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LCD 탑샤시용 탭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로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로딩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승강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안착 부재 및 진공 패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안착 부재 및 진공 패드 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6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압출바 검사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100)는 피검사 부재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피검사 부재를 광학적으로 촬상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피검사 부재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여 불량품을 선별한다. 상기 피검사 부재는 본 실시 예에서 LED TV 등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압출바(B)의 구성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본 발명이 압출바의 검사장치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출바(B)는 하단이 "ㄴ"자 형태로 굴곡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압출바 검사장치(100)를 이용해 굴곡된 압출바(B)를 견고히 파지한 상태에서 이송 및 검사가 수행되어 정밀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이후에 설명된 구성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방향은 검사 이송 방향이고, 검사부를 기준으로 좌측에 로딩부, 우측에 언로딩부가 배치되며, 도면으로부터 외부로 수직으로 돌출된 방향이 상부 방향이고 그 반대 방향이 하부 방향으로 용어를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압출바 검사장치(100)는 로딩부(110)와, 검사부(160)와, 이송부(130)와, 언로딩부(120)를 포함한다.
로딩부(110)는 압출바(B)를 검사 구간으로 로딩하는 수단으로서, 고정 부재(117)와, 승강 모듈과, 로딩 이송 모듈(111)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117)는 압출바(B)의 상부를 고정한다. 상기 고정 부재(117)는 하부 연장 프레임(117-1)과, 홀딩 부재(117-2)로 구성된다. 하부 연장 프레임(117-1)은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 부재(117)의 몸체로부터 하부로 연장된다. 한 쌍의 하부 연장 프레임(117-1)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홀딩 부재(117-2)가 설치된다. 홀딩 부재(117-2)는 하부 연장 프레임(117-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홀딩 부재(117-2)는 압출바(B)의 두께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압출바(B)의 두께 방향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로딩부(110)의 승강 모듈은 고정 부재(117)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승강 프레임(118)과, 승강용 모터(115)와, 승강용 볼 스크류와, 승강용 볼 나사(118-1)와, 승강 가이드 봉(118-2)으로 구성된다. 승강 프레임(118)에는 승강용 모터(115)가 설치되며, 승강용 볼 스크류가 승강용 모터(115)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승강 프레임(118)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하부 프레임(118-3)이 구비되고, 승강 프레임(118)과 하부 프레임(118-3)의 사이에 승강 가이드 봉(118-2)이 연결된다. 승강용 볼 나사(118-1)는 승강용 볼 스크류에 체결되어, 승강용 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 가이드 봉(118-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승강용 볼 나사(118-1)에는 고정 부재(117)가 고정 설치되어, 승강용 볼 나사(118-1)의 승강에 따라 고정 부재(117)가 함께 승강한다.
로딩 이송 모듈(111)은 로딩용 슬라이더(112)와, 로딩용 모터(113)와, 로딩용 볼 나사(114)와, 로딩용 볼 스크류(116)와, 로딩용 가이드 레일(116-1)를 포함한다. 로딩용 슬라이더(112)에는 승강 프레임(118)이 브라켓에 의해 체결된다. 로딩용 볼 나사(114)는 로딩용 슬라이더(112)에 결합되며, 로딩용 볼 스크류(116)는 로딩용 모터(11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로딩용 볼 나사(114)는 로딩용 볼 스크류(116)에 체결되며, 로딩용 가이드 레일(11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로딩용 모터(113)의 회전에 의해 로딩용 볼 스크류(116)가 회전되어, 로딩용 볼 나사(114)가 로딩용 가이드 레일(116-1)을 따라 좌우로 직선 이동된다. 로딩용 슬라이더(112) 및 승강 프레임(118)은 로딩용 볼 나사(114)와 함께 좌우로 이동된다.
검사부(160)는 압출바(B)의 검사 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베이스(101)의 상부에 배치된다. 검사부(160)는 다수의 조명(161)과 카메라(163)를 구비한다. 조명(161)은 검사하려는 압출바(B)에 빛을 조사하며, 카메라(163)는 CCD 등으로 구성되어 압출바(B)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검사부(160)는 검사 제품의 간격, 형상, 들뜸 현상 측정, 뒤틀림 측정, 높이 측정, LED 파손 여부 감지, Leg 돌출 여부 감지, 범핑(Bumping), 구리 벗겨짐 감지, CNT 실장 감지 등의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조명(161) 및 카메라(163)는 검사 항목에 따라 각기 라인 스켄(Line Scan) 방법, 구역 스켄(Area Scan) 방법에 적합한 구성을 채택하여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130)는 로딩부(110)로부터 로딩된 압출바(B)를 고정시켜, 검사부(160)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송부(130)는 베이스(101)의 상부에 배치되며, 파지 모듈 및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이송부(130)의 파지 모듈은 압출바(B)의 검사면의 반대면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압출바(B)를 이송 방향의 수직으로, 즉, 베이스(101)에 대해 상부 방향으로 세워 고정한다. 상기 파지 모듈은 진공 패드 유닛과, 안착 부재(135)와, 가이드 푸쉬 유닛(150)을 구비한다. 진공 패드 유닛은 압출바(B)의 검사면의 반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압출바(B)를 견고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검사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압출바(B)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압출바(B)의 형상이 굴곡된 형상이어도 이송 시 압출바(B)가 유동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정밀하고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공 패드 유닛은 제1 진공 패드 유닛(141)과, 제2 진공 패드 유닛(142)으로 구성된다. 제1 진공 패드 유닛(141)은 압출바(B)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출바(B)의 하부를 고정한다. 상기 제1 진공 패드 유닛(141)은 제1 흡착용 슬라이더(139)에 결합되며, 제1 흡착용 슬라이더(139)는 제1 가이드 레일(13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가이드 레일(138)은 압출바(B)의 검사면 반대 방향에서 압출바(B) 측으로 제1 흡착용 슬라이더(139)를 전진 및 후진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흡착용 슬라이더(139)의 직선 구동을 위해 별도의 구동 수단이 설치된다.
제2 진공 패드 유닛(142)은 제1 진공 패드 유닛(141)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압출바(B)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출바(B)를 고정한다. 이때, 제2 진공 패드 유닛(142)은 압출바(B)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배치되어, 압출바(B)의 상하 방향으로 중간 부위 또는 상부 부위를 흡착한다. 상기 제2 진공 패드 유닛(142)은 제2 흡착용 슬라이더(137)에 결합되며, 제2 흡착용 슬라이더(137)는 제2 가이드 레일(1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 가이드 레일(136)은 제1 가이드 레일(138)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흡착용 슬라이더(137)의 직선 구동을 위해 별도의 구동 수단이 설치된다.
안착 부재(135)는 압출바(B)의 하부를 안착 지지하여 압출바(B)의 고정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서, 수평부(135-1) 및 수직부(135-2)로 구성되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부(135-1)는 파지 모듈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압출바(B)의 하면이 안착되어 압출바(B)의 하면을 지지한다. 수직부(135-2)는 수평부(135-1)에서 직교되게 상부로 연장되어 압출바(B)의 측면을 지지한다. 상기 수직부(135-2)에는 제1 진공 패드 유닛(141)을 통과시키는 관통홀(134)이 다수개 형성된다.
가이드 푸쉬 유닛(150)은 안착 부재(135)를 기준으로 진공 패드 유닛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안착 부재(135)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 푸쉬 유닛(150)은 안착 부재(135)에 안착된 압출바(B)를 가압하여, 압출바(B)를 안착 부재(135) 측으로 견고히 밀착시킴과 아울러 압출바(B)의 정렬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이드 푸쉬 유닛(150)은 베이스(10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푸쉬 유닛 프레임(151)과, 푸쉬 유닛 프레임(151)의 상부에 결합되는 푸쉬용 가이드 레일(153)과, 푸쉬용 가이드 레일(1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용 슬라이더(155)를 구비한다. 푸쉬용 슬라이더(155)에는 압출바(B)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 부재(157)가 결합되어, 푸쉬용 슬라이더(155)와 함께 푸쉬 부재(157)가 압출바(B)를 가압 및 가압 해제한다. 상기 푸쉬 부재(157)의 접촉면에는 압출바(B)와의 밀착 시 압출바(B)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연성 재질의 고무 부재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송부(130)의 구동 모듈은 파지 모듈을 로딩부(110)에서 언로딩부(120) 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133)와, LM 모터(131)를 구비한다. 리니어 모션 가이드(133)에는 파지 모듈 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LM 모터(131)는 파지 모듈 본체를 리니어 모션 가이드(133)를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파지 모듈 본체에는 제1 가이드 레일(138), 제2 가이드 레일(136), 안착 부재(135)가 설치되어, LM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제1 진공 패드 유닛(141) 및 제2 진공 패드 유닛(142)과, 안착 부재(135)와, 안착 부재(135)에 안착된 채로 제1 진공 패드 유닛(141) 및 제2 진공 패드 유닛(142)에 의해 고정된 압출바(B) 전체가 리니어 모션 가이드(133)를 따라 직선 이동된다.
언로딩부(120)는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어 검사 완료된 압출바(B)를 언로딩하는 수단으로서, 고정 부재(127)와, 승강용 모터(125)를 갖는 승강 모듈과, 언로딩용 모터(123)를 갖는 언로딩 이송 모듈을 포함한다. 언로딩부(120)의 구성은 전술한 로딩부(11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6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압출바(B)가 안착 부재(135)의 직상부에 위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7)에 의해 고정된 압출바(B)는 함께 하부로 하강하여, 압출바(B)가 안착 부재(135)에 안착된다. 이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용 슬라이더(155)가 푸쉬용 가이드 레일(153)을 따라 압출바(B) 측으로 이동하여 푸쉬용 슬라이더(155)에 결합된 푸쉬 부재(157)가 압출바(B)를 안착 부재(135)에 밀착 및 정렬한다. 이후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레일(138)을 따라 제1 흡착용 슬라이더(139)가 압출바(B) 측으로 이동하여 제1 흡착용 슬라이더(139)에 결합된 제1 진공 패드 유닛(141)이 안착 부재(135)에 형성된 관통홀(134)로 진입하여 압출바(B)에 밀착한 후 진공을 형성하여 압출바(B)를 고정한다.
이후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레일(136)을 따라 제2 흡착용 슬라이더(137)가 압출바(B) 측으로 이동하여 제2 흡착용 슬라이더(137)에 결합된 제2 진공 패드 유닛(142)이 압출바(B)에 밀착한 후 진공을 형성하여 압출바(B)를 고정한다. 이후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7)가 압출바(B)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상부로 이동하여 이어서 검사될 다음 압출바를 향해 이동하며, 푸쉬용 슬라이더(155)가 푸쉬용 가이드 레일(153)을 따라 압출바(B) 반대 측으로 이동하여 푸쉬용 슬라이더(155)에 결합된 푸쉬 부재(157)가 압출바(B)로부터 이격된다. 이후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LM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제1 진공 패드 유닛(141) 및 제2 진공 패드 유닛(142)과, 안착 부재(135)와, 안착 부재(135)에 안착된 채로 제1 진공 패드 유닛(141) 및 제2 진공 패드 유닛(142)에 의해 고정된 압출바(B) 전체가 리니어 모션 가이드(133)를 따라 언로딩부(120) 측으로 직선 이동되어 검사부(160)에 의해서 검사가 수행된다. 검사가 완료된 압출바(B)는 언로딩부(120)에 의해 로딩부(110)의 공정 순서와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언로딩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압출바 검사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압출바 검사장치 101 : 베이스
110 : 로딩부 111 : 로딩 이송 모듈
112 : 로딩용 슬라이더 113 : 로딩용 모터
114 : 로딩용 볼 나사 116 : 로딩용 볼 스크류
117 : 고정 부재 118 : 승강 프레임
120 : 언로딩부 130 : 이송부
131 : LM 모터 133 : 리니어 모션 가이드
134 : 관통홀 135 : 안착 부재
136 : 제2 가이드 레일 137 : 제2 흡착용 슬라이더
138 : 제1 가이드 레일 139 : 제1 흡착용 슬라이더
141 : 제1 진공 패드 유닛 142 : 제2 진공 패드 유닛
150 : 가이드 푸쉬 유닛 153 : 푸쉬용 가이드 레일
155 : 푸쉬용 슬라이더 157 : 푸쉬 부재
160 : 검사부 161 : 조명
163 : 카메라

Claims (6)

  1. 피검사 부재를 검사 구간으로 로딩하는 로딩부(110)와, 상기 검사 구간에 설치되는 검사부(160)와, 상기 로딩부(110)로부터 로딩된 피검사 부재를 고정시켜 상기 검사부(160)를 통과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부(130)와,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되어 검사 완료된 피검사 부재를 언로딩하는 언로딩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130)는 피검사 부재의 검사면의 반대면을 고정하며, 구동 모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 모듈 본체를 가지는 파지 모듈과 상기 파지 모듈을 이송시키는 구동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 모듈은 피검사 부재를 이송 방향의 수직으로 세워 고정하는 것으로 진공 패드 유닛과, 안착 부재(135)와, 가이드 푸쉬 유닛(1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 부재(135)는 피검사 부재의 하면이 안착되는 수평부(135-1)와 피검사 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부(135-2)로 이루어지고, 파지 모듈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푸쉬 유닛(150)은 안착 부재(135)를 기준으로 진공 패드 유닛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안착 부재(135) 측으로 전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착 부재(135)에 안착된 피검사 부재를 가압하여 안착 부재(135)로 밀착시켜 정렬하며; 상기 진공 패드 유닛은 가이드 푸시 유닛(150)의 반대 쪽으로 위치하고, 안착 부재(135)에 정렬된 피검사 부재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드 푸쉬 유닛(150)에 의하여 안착 부재(135)로 가압되어 정렬된 피검사 부재를 흡착 고정하며, 흡착시킨 채로 안착 부재(135)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바 검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패드 유닛은 피검사 부재의 검사면의 반대면을 진공으로 흡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바 검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패드 유닛은, 피검사 부재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검사 부재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1 진공 패드 유닛(141)과, 상기 제1 진공 패드 유닛(141)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피검사 부재 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피검사 부재를 고정하는 제2 진공 패드 유닛(1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바 검사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135-2)에는 상기 진공 패드 유닛을 통과시키는 관통홀(134)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바 검사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110)는 피검사 부재의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117)와, 상기 고정 부재(117)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117)는 피검사 부재의 두께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피검사 부재의 두께 방향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홀딩 부재(11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바 검사장치.
KR1020130002618A 2013-01-09 2013-01-09 압출바 검사장치 KR10144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618A KR101449236B1 (ko) 2013-01-09 2013-01-09 압출바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618A KR101449236B1 (ko) 2013-01-09 2013-01-09 압출바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491A KR20140090491A (ko) 2014-07-17
KR101449236B1 true KR101449236B1 (ko) 2014-10-15

Family

ID=5173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618A KR101449236B1 (ko) 2013-01-09 2013-01-09 압출바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2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32B1 (ko) * 2004-12-29 2007-02-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중력 검사기
KR20070082288A (ko) * 2006-02-16 2007-08-21 (주)코미 탭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탭 검사방법
KR101132248B1 (ko) * 2012-01-31 2012-03-30 주식회사 에이에스이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리프트
KR101163698B1 (ko) * 2010-05-12 2012-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용 그리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932B1 (ko) * 2004-12-29 2007-02-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중력 검사기
KR20070082288A (ko) * 2006-02-16 2007-08-21 (주)코미 탭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탭 검사방법
KR101163698B1 (ko) * 2010-05-12 2012-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용 그리퍼
KR101132248B1 (ko) * 2012-01-31 2012-03-30 주식회사 에이에스이 컬러필터글라스 재생공정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491A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6551A (ko) 릴-투-릴 검사장치 및 릴-투-릴 검사방법
KR101496991B1 (ko) 휴대폰 부품의 전면 검사장치
KR101954416B1 (ko) 검사 장치
KR20090030503A (ko)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JP2006329714A (ja) レンズ検査装置
KR101720008B1 (ko) 제품의 분류 장치
CN112469992A (zh) 利用图像传感器的表面缺陷检查装置及检查方法
KR101032089B1 (ko) 기판검사장치
JP2009216698A (ja) 対象物の複数の側面を画像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805873B1 (ko) Lcd 패널의 자동 압흔검사장치
KR101178416B1 (ko) 피시비 기판 검사장치
KR101440310B1 (ko) 패널의 자동 압흔 검사장치
JP5542367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用の光学装置
KR101814246B1 (ko) 인라인 핸들러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20150069141A (ko) 엘이디 리드프레임 검사 장치
KR101449236B1 (ko) 압출바 검사장치
KR101496994B1 (ko) 휴대폰 부품의 후면 검사장치
KR101197709B1 (ko) 기판검사장치
KR101178409B1 (ko) 피시비 기판 검사장치
JP2015141096A (ja) 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1551351B1 (ko) 엘이디 리드프레임 검사 방법
CN211374551U (zh) 基板检测装置
KR102022471B1 (ko) 기판 검사장치
KR101557783B1 (ko) 컴팩트한 구성의 기판 비전검사장치
CN218455771U (zh) 电路板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