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138B1 - 선재코일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선재코일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138B1
KR101449138B1 KR1020120116736A KR20120116736A KR101449138B1 KR 101449138 B1 KR101449138 B1 KR 101449138B1 KR 1020120116736 A KR1020120116736 A KR 1020120116736A KR 20120116736 A KR20120116736 A KR 20120116736A KR 101449138 B1 KR101449138 B1 KR 10144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wire coil
rotating means
support beam
supporting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383A (ko
Inventor
정원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1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1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01N2001/2873Cutting or cle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선재코일 시편을 검사하도록 선재코일 시편을 회전토록 제공되는 시편 회전수단; 및 상기 시편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선재코일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시편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 상부의 제1 지지빔상에 상기 시편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설치되는 안착블럭; 및 상기 안착블럭에 설치되고, 자력으로 선재코일 시편을 고정토록 제공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시편 회전수단은, 상기 제1 지지빔의 절곡된 상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이동블럭의 제1 결합홈을 관통하며 상기 안착블럭과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재; 및 상기 이동블럭의 제1 결합홈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손잡이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블럭의 회전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제1 베어링유닛;을 포함하는 선재코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의 선재코일 시편을 간편하게 고정하고 모든 방향에서 선재코일의 표면결함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위치 조정되며 선재코일 시편의 표면을 확대할 수 있어 정밀한 관찰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코일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wire coil}
본 발명은 선재코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선재코일의 표면결함 여부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선재코일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 압연 공정을 마치고 추출된 선재코일을 작업자가 절단기에 위치시킨 후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의 선재코일 시편을 제작한다(S1). 이후 작업자는 제작된 시편을 프레스기에 위치시킨 후 선재코일의 재질별로 규정된 기설정 압하력하에서 시편을 가압한다(S2).
작업자는 이후 가압된 시편을 내열성 장갑을 착용하여 손으로 들고 이리저리 돌려가며 육안을 통해 가압 단계 이후의 시편 표면에 발생될 수 있는 결함유무를 검사한다(S3).
그런데 작업자가 내열성 장갑을 착용하였더라도, 선재 압연 공정을 마친 고온의 선재 코일 시편을 직접 손으로 잡고 검사하므로, 작업자가 화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고온으로 인해 짧은 시간안에 돌려가며 검사해야 하므로 시편의 표면 결함여부를 정확하게 볼 수 없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시력이 사람마다 제각각이고, 사람의 시각적 한계로 인해 미세한 결함은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고온의 선재코일 시편을 간편하게 고정하고 모든 방향에서 선재코일의 표면결함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위치 조정되며 선재코일 시편의 표면을 확대할 수 있어 정밀한 관찰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선재코일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장치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선재코일 시편을 검사하도록 선재코일 시편을 회전토록 제공되는 시편 회전수단; 및 상기 시편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선재코일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시편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 상부의 제1 지지빔상에 상기 시편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설치되는 안착블럭; 및 상기 안착블럭에 설치되고, 자력으로 선재코일 시편을 고정토록 제공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시편 회전수단은, 상기 제1 지지빔의 절곡된 상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이동블럭의 제1 결합홈을 관통하며 상기 안착블럭과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재; 및 상기 이동블럭의 제1 결합홈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손잡이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블럭의 회전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제1 베어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선재코일 시편의 상하위치를 조정토록, 상기 제1 지지빔상에 설치되는 시편 위치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시편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이동블럭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지지빔의 상부에 연결되는 조정볼트와 상기 조정볼트와 상기 제1 지지빔간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블럭의 위치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프레임 상부의 제2 지지빔상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검사경; 및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경을 회전토록, 상기 제2 지지빔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검사경 회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사경 회전수단은, 상기 제2 지지빔의 제2 결합홈을 관통하며 상기 검사경와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빔의 제2 결합홈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재에 의한 상기 검사경의 회전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제2 베어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인 선재코일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자력을 이용하여 고온의 선재코일 시편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종래 작업자의 화상 등의 안전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재코일 시편을 회전시킬 수 있어 선재코일의 표면결함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검사경을 회전시키고, 검사경을 이용하여 선재코일의 표면을 확대 관찰함에 의해 보다 정밀한 표면상태의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선재코일 시편을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검사경 회전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시편 회전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재코일 시편을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선재코일 검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고온의 선재코일 시편을 간편하게 고정하고 모든 방향에서 선재코일의 표면결함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위치 조정되며 선재코일 시편의 표면을 확대할 수 있어 정밀한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a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검사경 회전수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시편 회전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선재코일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장치프레임(20)과 상기 장치프레임(20)상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선재코일 시편을 검사하도록 선재코일 시편을 회전토록 제공되는 시편 회전수단(30) 및 상기 시편 회전수단(30)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선재코일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수단(4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장치프레임(20)은 하부 베이스(27)와 제1,2 지지빔 및 이동블럭(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부 베이스(27)는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선재코일 시편을 검사하는 설비상에 볼트체결(27a)되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지지빔은 상기 하부 베이스(27)의 상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볼트체결(21b,25b)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빔(21)은 하부와 상부가 절곡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이동블럭(23)은 상기 제1 지지빔(21)의 절곡된 상부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편 고정수단(40)은 안착블럭(43) 및 자력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블럭(43)은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자력부재(41)와 결합 가능토록 상기 자력부재(4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안착부(43a)가 구비될 수 있고, 타측에는 상기 시편 회전수단(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선이 형성된 연결부(43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블럭(43)은 상기 장치프레임(20)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지지빔(21)상에서 상기 시편 회전수단(30)과 연결되며 설치되게 된다.
상기 자력부재(41)는 영구자석 또는 전류 흐름을 통해 자력이 제어되는 전자석일 수 있으며, 상기 안착블럭(43)의 안착부(43a)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자력부재(41)를 상기 안착부(43a)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안착블럭(43)의 측면과 상기 자력부재(41)를 관통하는 고정핀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력부재(41)는 자력을 발생시켜 선재코일 시편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편 회전수단(30)은 제1 손잡이부재(31) 및 제1 베어링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손잡이부재(31)는 일측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손잡이몸체(31a) 및 상기 손잡이몸체(31a)와 상기 안착블럭(43)의 연결부(43b)간에 연결되도록 양측에 수나사선이 형성된 연결바(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1b)는 상기 이동블럭(23)의 제1 결합홈(23a)을 관통하며 상기 손잡이몸체(31a)와 상기 안착블럭(43)을 연결하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몸체(31a)를 돌림에 따라 상기 안착블럭(43)이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31b)의 회전을 지지토록 상기 연결바(31b)의 외면 둘레와 상기 제1 결합홈(23a)의 내면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베어링유닛(3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유닛(33)은 상기 제1 결합홈(23a)에 안착되고 제1 고정커버(35)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23)의 내부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선재코일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선재코일 시편의 상하위치를 조정토록, 상기 제1 지지빔(21)상에 설치되는 시편 위치조정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편 위치조정수단(50)은 가이드홈(51), 조정볼트(53) 및 너트부재(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이드홈(51)은 상기 이동블럭(23)상에서 상기 제1 결합홈(23a)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블럭(2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볼트(53)는 상기 가이드홈(51)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지지빔(21)상의 상부 절곡부에 제공되는 관통홀(58)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반대측에서는 너트부재(55)가 배치되고 상기 조정볼트(53)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럭(23)과 상기 제1 지지빔(21)의 상부 절곡부를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와셔(57)가 쓰일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조정볼트(53)와 상기 너트부재(55)를 풀고 상기 이동블럭(23)의 상하위치를 변경한 후, 다시 상기 너트부재(55) 및 조정볼트(53)를 체결하여 선재코일 시편의 상하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선재코일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이 시편을 고정하고 시편의 회전 및 상하위치를 조정하는 것이외에 시편을 보다 정밀하게 검사토록 상기 장치프레임(20) 상부의 제2 지지빔(25)상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돋보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검사경(70) 및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경(70)을 회전토록, 상기 제2 지지빔(25)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검사경 회전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경 회전수단(60)은 제2 손잡이부재(61) 및 제2 베어링유닛(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 손잡이부재(61)는 일측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손잡이몸체(61a) 및 상기 손잡이몸체(61a)와 상기 검사경(70)의 수나사선이 형성된 연결부(70a)간에 연결되도록, 일측에는 수나사선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된 연결바(6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61b)는 상기 제2 지지빔(25)의 제2 결합홈(25a)을 관통하며 상기 손잡이몸체(61a)와 상기 검사경(70)을 연결하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몸체(61a)를 돌림에 따라 상기 검사경(70)을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61b)의 회전을 지지토록 상기 연결바(61b)의 외면 둘레와 상기 제2 결합홈(25a)의 내면 둘레를 따라 볼베어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상기 제2 베어링유닛(6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어링유닛(63)은 상기 제2 결합홈(25a)에 안착되고 제2 고정커버(65)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빔(25)의 상부 내부에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재코일 시편을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작업자는 우선 선재 압연 공정을 마치고 추출된 선재코일을 절단기에 위치시킨 후 절단하여 원하는 크기의 선재코일 시편을 제작한다(S1). 이후 제작된 시편을 프레스기에 위치시킨 후 선재코일의 재질별로 규정된 기설정된 압하력하에서 시편을 가압한다(S2). 작업자는 이후 가압된 시편을 본 발명인 선재코일 검사장치(10)에 위치시킨 후 표면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우선 작업자는 제작된 시편을 상기 자력부재(41)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자력부재(41)가 영구자석인 경우에는 그 자력의 세기는 시편을 고정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시편을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범위일 것이다. 만약 상기 자력부재(41)가 전자석인 경우에는 전류 제어를 통해 자력의 크기를 결정하므로 그 자력의 세기는 자유로울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시편 회전수단(30)의 제2 손잡이부재(61)를 돌려 시편을 회전시키면서 가압 단계 이후에 시편의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시편 회전수단(30)에 의해 시편은 36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모든 표면의 결함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시편 표면을 보다 정밀하게 검사하기 위해 상기 검사경 회전수단(60)의 제2 손잡이부재(61)를 돌려 상기 검사경(70)을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조정한다. 이 경우 시편의 표면은 상기 검사경(70)에 의해 보다 확대되어 보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상태를 통해 고온의 선재코일 시편을 간편하게 고정하고 모든 방향에서 선재코일의 표면결함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위치 조정되며 선재코일 시편의 표면을 확대할 수 있어 정밀한 관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선재코일 검사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장치프레임 21...제1 지지빔
23...이동블럭 25...제2 지지빔
25b...제2 결합홈 30...시편 회전수단
31...제1 손잡이부재 33...제1 베어링유닛
40...시편 고정수단 41...자력부재
43...안착블럭 50...시편 위치조정수단
51...가이드홈 53....조정볼트
60...검사경 회전수단 70...검사경

Claims (6)

  1.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상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선재코일 시편을 검사하도록 선재코일 시편을 회전토록 제공되는 시편 회전수단; 및
    상기 시편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설치되고, 선재코일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시편 고정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 상부의 제1 지지빔상에 상기 시편 회전수단과 연결되어 설치되는 안착블럭; 및
    상기 안착블럭에 설치되고, 자력으로 선재코일 시편을 고정토록 제공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 회전수단은,
    상기 제1 지지빔의 절곡된 상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이동블럭의 제1 결합홈을 관통하며 상기 안착블럭과 연결되는 제1 손잡이부재; 및
    상기 이동블럭의 제1 결합홈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손잡이부재에 의한 상기 안착블럭의 회전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제1 베어링유닛;
    을 포함하는 선재코일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선재코일 시편의 상하위치를 조정토록, 상기 제1 지지빔상에 설치되는 시편 위치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시편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이동블럭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지지빔의 상부에 연결되는 조정볼트와 상기 조정볼트와 상기 제1 지지빔간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블럭의 위치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너트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검사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레임 상부의 제2 지지빔상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검사경; 및
    작업자의 시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검사경을 회전토록, 상기 제2 지지빔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검사경 회전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경 회전수단은,
    상기 제2 지지빔의 제2 결합홈을 관통하며 상기 검사경와 연결되는 제2 손잡이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빔의 제2 결합홈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재에 의한 상기 검사경의 회전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제2 베어링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코일 검사장치.
KR1020120116736A 2012-10-19 2012-10-19 선재코일 검사장치 KR10144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36A KR101449138B1 (ko) 2012-10-19 2012-10-19 선재코일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736A KR101449138B1 (ko) 2012-10-19 2012-10-19 선재코일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383A KR20140050383A (ko) 2014-04-29
KR101449138B1 true KR101449138B1 (ko) 2014-10-08

Family

ID=5065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736A KR101449138B1 (ko) 2012-10-19 2012-10-19 선재코일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134A (ko)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포스코 파노라마 이미지를 이용한 압착된 선재 시편의 업-셋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3152273B (zh) * 2021-04-28 2022-07-29 重庆交通大学 一种吊杆病害的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20230092496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의 마그나 자동 검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125U (ko) * 1998-06-20 2000-01-25 이구택 영구자석을 이용한 로터리 인코더와 회전체의커플링장치
KR20020051266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코일제품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KR20040022610A (ko) * 2002-09-09 2004-03-1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시편 인출장치
KR20060033250A (ko) * 2004-10-14 2006-04-1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표면 결함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125U (ko) * 1998-06-20 2000-01-25 이구택 영구자석을 이용한 로터리 인코더와 회전체의커플링장치
KR20020051266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코일제품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KR20040022610A (ko) * 2002-09-09 2004-03-1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시편 인출장치
KR20060033250A (ko) * 2004-10-14 2006-04-19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표면 결함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383A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138B1 (ko) 선재코일 검사장치
KR101490921B1 (ko) 자동차 부품의 품질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088655A1 (en) Material testing machine and radiation ct device
JP6430532B2 (ja) ステント状物体を光学的に検査・分析する装置および方法
DE112014002603T5 (de) Oberflächeneigenschaftenprüfeinrichtung, Oberflächeneigenschaftenprüfsystem und Oberflächeneigenschaftenprüfverfahren
CN105572152B (zh) 一种复合材料x射线成像灵敏度的替代性测定方法
US6668231B2 (en) Sheet parameter measurement
KR100998114B1 (ko) 홀 검사장치
CN106152908B (zh) 一种用于轴瓦的检具
JP2017032325A (ja) X線観察用の曲げ試験機
KR101725203B1 (ko) 부품 검사장치
JP5781314B2 (ja) 原子力設備の施工用準備ユニット、原子力設備の施工システム
JPS5910231A (ja) パタ−ン欠陥解析装置
KR101807628B1 (ko) 너트 검사장치
KR101852931B1 (ko) 볼트 검사 장치
US7349083B2 (en) Rotary borescopic optical dimensional mapping tool
CN105021657A (zh) 金属零件电导率和硬度检验结果的评定方法
KR101602905B1 (ko) 비파괴검사용 벨트 스캐너
RU24020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упруго - пластичных свойств материала при одноосном растяжении дугообразных образцов
DE4134689C1 (en) Optically measuring contour of toroidal opaque object - registering shadows cast by light source using line or matrix camera taking into account distance from object and imaging scale
KR20190081974A (ko) 배관용 용접부 스캐너
EP2042878A2 (de) Verfahren zur automatischen Ausrichtung einer Vielzahl von Messnadelspitzen
KR102188936B1 (ko) 스터드 볼트 검사 장치
CN218566914U (zh) 轮胎检测用传动装置
CN106248701A (zh) 一种工业ct对脱粘间隙的检测能力的测试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