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590B1 - 대전방지성 필름, 표면 보호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광학 부재 표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 필름, 표면 보호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광학 부재 표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590B1
KR101448590B1 KR1020097019055A KR20097019055A KR101448590B1 KR 101448590 B1 KR101448590 B1 KR 101448590B1 KR 1020097019055 A KR1020097019055 A KR 1020097019055A KR 20097019055 A KR20097019055 A KR 20097019055A KR 101448590 B1 KR101448590 B1 KR 101448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ntistatic
coating
coating layer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984A (ko
Inventor
도시히로 코다
마사토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971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3767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973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376770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대전방지성,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갖는 대전방지성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는 하기 화학식(1) 및 (2)로 나타내지는 구성요소를 반복단위로서 갖는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필름에 의해 해결된다.
Figure 112009056067636-pct00012
상기 식에서, Rl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X-은 1가 음이온이다.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광학부재 표면보호 필름

Description

대전방지성 필름, 표면 보호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광학 부재 표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Antistatic Film, Polyester Film For Surface-Protecting Film, And Polyester Film For Protecting Surface Of Optical Member}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우수한 대전방지 성능을 갖고, 또 대전방지 성능의 내수성이 우수한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판, 위상차판 또는 시야각 확대 필름의 표면 보호 필름에 적합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 마찰이나 박리했을 때의 대전이 적고 외관이 우수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강도, 치수 안정성, 평탄성, 내열성, 내약품성, 광학 특성 등이 우수하고, 비용대비 성능(cost performance)도 우수하기기 때문에, 제판용 필름, 포장용 필름, 광학용 필름을 비롯하여 각종의 용도에 있어서 기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필름의 공통 문제로서, 정전기가 발생하여 대전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그 때문에 필름 가공시 혹은 가공제품의 주행성 불량이나, 주위의 먼지 등을 끌어들이는 문제를 일으킨다.
편광판(또는 위상차판 등)이나 그에 준한 적층체 등의 광학부재의 표면에는, 상처, 오염으로부터 표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에 점착제를 도포한 보호 필름이 붙여져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마찰이나 부재로부터 박리 등의 때에 대전되기 쉽고, 광학부재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각 공정이나 광학 부재의 조립이 완료된 후 이들의 보호 필름을 박리에 의해 제거하는 경우에, 마찰 대전 혹은 박리 대전이 발생하고, 이물질이나 먼지의 부착, 정전기 방전 장해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대전방지 방법으로서는, 기재가 되는 필름의 표면에 대전방지성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이나, 여러 가지 대전방지성 화합물을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도포에 관하여는, 도포 조성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필름 제조 공정 중에 도포하는 방법(소위, 인라인 코팅)이 경제성 및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널리 행해지고 있다. 전형적인 예로서는, 종연신 후에 도포를 하고, 그 후 횡연신 및 열고정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대전방지성 화합물로서는, 고분자량의 양이온성 화합물이 비교적 특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2,특허 문헌3).
그러나 특허 문헌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분자 측쇄에 붙은 4급 암모늄 염기는, 일반적으로 내열성이 약하고, 상기와 같은 인라인 코팅에 적용한 경우에는, 그 때에 온도가 매우 고온이 되기 때문에, 분해를 일으키기 쉽고 대전방지 성능을 악화시킨다.
한편, 특허 문헌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합물은, 그의 4급 암모늄 염기가 고분자 골격 내에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하고, 매우 양호한 대전방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화합물은, 그 자체가 매우 높은 친수성이 되기 때문에, 얻어지는 도포층은 내수성이 부족하기도 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세 등의 공정을 거치면, 대전방지 성능이 악화된다. 또 고습도 하에 놓여지면 표면이 백화 되기도 한다. 광학 부재 용도의 경우, 광학 부재의 검사는, 표면보호 필름을 붙인 상태에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 검사를 저해하지 않는 외관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도 과제가 남는다.
또한 광학부재의 가공 공정에서, 가공 기계나 반송 롤 등과의 접촉에서 보호 필름 표면층에 상처가 나면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내구성도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대전방지성 수지에서는, 그러한 내구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많았다.
더우기, 부착한 보호 필름에 대해서는, 재박리 작업공정, 검사 공정 등의 수작업 공정에 있어서, 보호 필름 표면이 유지, 스며나오거나 혹은 전착한 점착제 등으로 오염되기 쉽고, 내오염성의 표면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 7-26223 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04-123932 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 1-146931 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 과제는 우수한 대전방지성, 내수성 및 내구성을 갖는 대전방지성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우수한 대전방지성과 광학 부재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도포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 종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층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하기 화학식(1) 및 (2)로 나타내지는 구성 요소를 반복 단위로 갖는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1
상기 식에서, Rl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 킬기이고, X-은 1가 음이온이다.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2
상기 식에서,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R4는 -○- 또는 -NH-이고, R5는 탄소수 1∼6의 알킬렌기이다.
본 발명의 제2 요지는 제1 요지의 대전방지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표면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요지는 제1 요지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층의 반대쪽 면에 미점착층(微粘着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표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대전방지성과 내구성을 갖고, 예를 들면, 광학부 재 보호 필름, 특히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때에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도포 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그 공업적 가치는 높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시산, 1,4-시클로헥실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과 같은 글리콜을 용융 중축합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러한 산 성분과 글리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란 통상 행해지고 있는 방법을 임의로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와 글리콜과의 사이에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하든지, 혹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글리콜을 직접 에스테르화 하든지 하여, 실질적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의 비스글리콜에스테르, 또는 그 저중합체를 형성시키고, 그 다음 이것을 감압 하에 가열하여 중축합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 목적에 따라,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공중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외에 상기 산 성분이나 글리콜 성분을 공중합 한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이나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필름의 주행성을 확보하고, 상처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입자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탄산 칼슘, 탄산마그네슘, 인산 칼슘, 카올린, 탈크, 산화 알루미늄, 산화티탄, 알루미나, 황산바륨, 불화칼슘, 불화리튬, 제올라이트, 황화몰리브덴 등의 무기 입자, 가교 고분자 입자, 옥살산 칼슘 등의 유기 입자, 또한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 시의 석출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입자의 입경이나 함유량은 필름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 선택되지만, 평균 입경은 통상 0.01∼5.0 ㎛의 범위이다. 평균 입경이 5.0 ㎛를 초과하는 필름의 표면 조도가 너무 거칠어지기도 하고, 입자가 필름 표면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지는 일이 있다. 평균입경이 0.01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 조도가 너무 낮아서, 충분한 이활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입자 함유량에 대해서는,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통상 0.0003∼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0.5 중량%의 범위이다. 입자 함유량이 0.000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이활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한편, 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투명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또한 각종 안정제, 윤활제, 대전방지제 등을 필름 중에 적절히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통상 알려져 있는 제조법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우선 용융 압출에 의해 얻어진 시트를, 롤 연신법에 의해 70∼145 ℃에서 2∼6배로 연신하여 일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고, 그 다음 텐터 내에서 앞의 연신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80∼160℃에서 2∼6배로 연신하고, 또 150∼250℃에서 1∼600초 동안 열처리 함으로써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이 때, 열처리 영역 및/또는 열처리 출구의 냉각 영역에 있어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0.1∼20% 이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이다. 다층 구조의 경우는, 표면층과 내층, 혹은 양 표층이나 각 층을 목적에 따라 다른 폴리에스테르 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대전방지성의 도포층을, 필름의 편면에 제공하고 있어도, 양면에 제공하고 있어도 혹은 한쪽 면에 다른 도포층을 제공하고 있어도, 본 발명의 개념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필름을 광학부재 표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편면에 대전방지성의 도포층을 갖고, 또한 그 반대 면에 미점착층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대전방지성 도포층'이란 구체적으로는, 도포층의 표면 고유저항이 낮고, 전하를 누설하는 기구를 갖는 도포층을 의미한다. 도포층의 표면 고유저항이 낮을수록, 대전방지성이 양호하다고 말할 수 있다. 표면 고유 저항이 1×1013 Ω 이하이면 대전방지성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고, 1×1011 Ω 이하이면, 양호한 대전방지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전방지성 도포층에, 하기 화학식(1) 및 (2)로 나타낸 구성 요소를 반복해 단위로서 갖는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할 필요가 있다.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3
상기 식에서, Rl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 킬기이고, X-은 1가 음이온이다.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4
상기 식에서,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R4는 -O- 또는 -NH-이고,
R5는 탄소수 1∼6의 알킬렌기이다.
여기서 X-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공업적으로 입수 및 제조가 용이한 양태로서, 할로겐 이온, 질산 이온, 알킬설폰산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고분자 화합물 중에서, 화학식(1) 및 화학식(2)로 나타내지는 구성 요소의 비율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학식(2)의 구성 요소는 고분자 화합물 중의 중량 비율로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화학식(2)의 구성 요소가 이 범위보다 적은 경우, 도포층의 내구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화학식(1)의 구성 요소가 고분자 화합물 중에 차지하는 비율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비율이 적을수록, 도포 필름의 대전방지 성능이 악화되지만, 도 포층의 두께를 증가시켜 대전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공업적으로 가능한 도포층의 두께에는 한계가 있고, 또 도포층이 너무 두꺼워지면, 블록킹이나 외관의 악화, 코스트 상승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중량비로 70∼99%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1) 및 (2) 이외의 성분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로서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닐 화합물과 같은, 비닐기 또는 기타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중합의 용이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화합물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산, 시트라콘산과 같은 각종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류, 및 그들의 염;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실푸마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이타코네이트와 같은 각종 수산기 함유 단량체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각종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질소 함유 비닐계 단량체류. 또 이들과 병용해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중합성 단량체를 공중합할 수 있다. 즉,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 톨루엔과 같은 각종 스티렌 유도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과 같은 각종 비닐에스테르류; γ-메타크릴 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칫소(주)제「사이라프렌 FM-07」(메타크릴로일실리콘 마크로마)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규소 함유 중합성 단량체류; 인 함유 비닐계 단량체류: 염화 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 비닐, 불화 비닐리덴, 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같은 각종 할로겐화 비닐류; 부타디엔과 같은 각종 공역 디엔류 등을 들 수 있다.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수평균 분자량 5,000∼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100,000의 범위이다. 수평균 분자량 5,000 미만인 것은, 얻어지는 도포 필름의 대전방지 성능이 부족하기 쉽고, 또 500,000을 초과하면, 도포액의 점도가 너무 상승하여 균일한 도포층을 도포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쉽다.
이와 같은 구성 요소를 반복 단위로 하는 고분자 화합물은, 상기와 같은 화학식(1), 화학식(2)의 단량체를 라디칼 공중합하여 얻어진다. 이와 같은 라디칼 공중합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구성 요소의 단량체를 수용액으로 하고, 농도 합계 10∼50 중량%가 되도록 혼합 조정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서, 라디칼 개시제 수용액과 동시에 반응기에 적하하면서, 반응기 내를 교반함과 동시에 50℃∼80℃에서, 가열 내지는 반응열에 의한 온도 상승에 대해 냉각을 하면서, 3∼8시간 중합시키면 좋다. 또한 다른 성분을 가하는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라면 동시에 혼합 수용액을 조정하여 라디칼 공중합할 수 있어 용이하다. 더우기, 얻어진 공중합 고분자 중의 각 단량체 성 분의 비율이나 분자량은, 반응물을 정제하고, 1H-NMR이나 GPC(겔침투 크로마토그라피) 등으로 분석하여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에는,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화학식(2)로 나타내지는 화합물과 반응성을 갖는 수지이라면, 도포층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수지로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것이 적당히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옥사졸린계, 에폭시계, 글리옥사졸계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중합체 골격에 반응성 기를 갖게 한, 중합체형 가교 반응성 화합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아미노 수지계의 가교제를 예시할 수 있다. 아미노 수지계의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올화 한 멜라민계, 벤조구안아민계, 요소계 등이 있다. 특히, 아미노기를 메틸올화 하고, 또한 그 메틸올기의 일부를 메틸화 한 것이, 수용성이어서 취급이 좋고, 반응성도 높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교 촉매를 병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미노 수지계의 가교제와, 전술한 구성의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을 조합하면, 얻어지는 도포층의 대전방지성, 내구성 등이 극히 우수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에는, 알킬계 화합물, 불소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함유함에 따라, 본 발명의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표면의 오염 제거성이 향상된다.
알킬계 화합물이란,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왁스, 알킬 그라프트 중합체 등의, 하기 일반식으로 나타내지는 올레핀의 반복 단위를 갖는 화합물이다:
- (CH2 - CH2)n - (CH2 - CHR)m -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고, m은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불소 화합물이란, 특히 극성이 낮은 불소 함유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플루오로 올레핀 혹은 퍼플루오로 알킬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퍼플루오로 알킬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반응시킨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친화성이나 도포층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퍼플루오로 알킬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3)으로 나타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5
상기 식에서,
Rl은 H 또는 CH3이고,
R2는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 또는 CON(R3)-R4-, S02N(R3)-R4-이고,
Rf는 탄소 원자수 4∼20의 퍼플루오로 알킬기이다. R3은 탄소 원자수 1∼4의 알킬기이고, R4는 탄소 원자수 1∼10의 알킬렌기이다.
본 발명의 실리콘계 화합물로서는, 특히, 극성이 낮은 실리콘 고리를 갖는 화합물을 나타내고, 구체 예로서는 (변성)실리콘 오일, 경화형 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 (변성)실리콘 오일로서는, 메타크릴, 에폭시, 카르비놀 등의 반응성 유기기를 갖는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경화형 실리콘 수지의 구체 예로서는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타입이어도 좋고,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의 유기 수지와의 그라프트 중합 등에 의한 변성 실리콘 타입 등을 사용해도 좋다. 특히, 유기 수지와의 그라프트 중합 등에 의한 변성 실리콘 타입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친화성이나 도포층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도포 필름은, 도포층 중에 차지하는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의 중량이, 도포 필름의 면적당 5 mg/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mg/m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의 분량이 이보다 적으면, 대전방지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도포층 중에 차지하는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의 비율은 한정되지 않지만, 상한은 통상, 중량 비율 90%, 바람직하기로는 8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60% 이다.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의 비율이 이보다 높으면, 도포층의 투명성이 불충분해지기도 하고, 도포층의 내구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 하한은 통상 10%이고, 바람직하게는 20%이다.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의 비율이 이보다 낮으면, 대전방지 성능이 불충분해지고, 충분한 대전방지 성능을 갖기 위한 도막이 매우 두꺼워지는 경우가 있다. 도막이 두꺼워지면, 외관ㆍ투명성의 악화나, 필름의 블록킹, 비용 상승을 초래하기 쉬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포층 중에서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과 열경화성 수지의 비율은, 중량비로 통상 5/1∼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1/2의 범위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대전방지 성능이나 도포층의 내구성, 외관이 악화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도포층 중에 포함되는 알킬계 화합물, 불소 화합물, 실리콘계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의 비율은, 최종적으로는 다른 특성과의 밸런스로 결정되어야 하지만, 예시하면 도막 전체의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이 비율보다 많으면, 외관의 악화나 도막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 또한 도막 전체의 1%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의 1% 미만의 함유량에서는, 표면의 오염 제거성이, 미함유 경우와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 의한 대전방지성 도포층은, 특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필름에 도포함으로써 제공되고,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포를 필름 제막 중에 행하는 인라인 코팅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의 도포액 중에는, 필요에 따라 상술한 성분 이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바인더, 소포제, 도포성 개량제, 증점제, 유기계 윤활제, 이형제, 유기 입자, 무기 입자,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발포제, 염료, 안료 등이다. 이러한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 2 종 이상을 병용 해도 좋다.
또한, 이 때의 도포액은, 취급상, 작업 환경상, 또 도포액 조성물의 안정성 면에서,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물을 주로 한 매체로 하고 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이면,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인라인 코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공정 내에서 코팅하는 방법이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를 용융 압출한 후 2축 연신후 열고정하여 권취할 때까지 임의의 단계에서 코팅을 행하는 방법이다. 통상은, 용융·급냉하여 얻어지는 실질적으로 비정 상태의 미연신 시트, 그 후에 길이 방향(종방향)으로 연신된 1축 연신 필름, 열고정 전의 2축 연신 필름의 어느 것에 코팅한다. 이들 중에서는, 1축 연신 필름에 코팅한 후에 텐터에서 건조 및 횡방향으로 연신하고, 다시 기재 필름과 함께 열처리하는 방법이 우수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제막과 도포층 도설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상의 메리트가 있고, 코팅 후에 연신을 하기 때문에 박막 코팅이 용이하고, 코팅 후에 실시되는 열처리가, 다른 코팅방법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울 만큼의 고온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포층의 조막성이 향상하고, 또 도포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강고하게 밀착한다. 또한 도포 층에 가교 반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인라인 코팅의 고온 열처리에 의해 반응 잔기가 남기 어려워지는 메리트가 있다. 도포층 중에 반응 잔기가 있다는 것은, 필름을 롤 상으로 권취할 때 블록킹 등을 일으키는 일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 인라인 코팅의 고온에 의해 가교 반응이 진행하고, 도포층의 내구성이 매우 향상된다.
또한 내열성이 나쁜 대전방지성 화합물이라면, 이 방법에 의한 고온 처리에 의해 분해를 일으키고, 대전방지 성능이 부족한 일이 있지만, 본 발명의 대전방지 성 고분자 화합물은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일어나기 어렵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라사키유우지(原岐勇次)저, 진서점, 1979년 발행, 「코팅방식」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포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코터, 블레이드 코터, 로드코터, 나이프 코터, 스퀴즈 코터, 함침 코터, 리버스롤 코터, 트랜스퍼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키스롤 코터, 캐스트 코터, 스프레이 코터, 커튼 코터, 카렌다 코터, 압출 코터, 바코터 등과 같은 기술을 들 수 있다.
더우기, 도포제의 필름에 대한 도포성, 접착성을 개량하기 위해, 도포 전에 필름에 화학 처리나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실시해도 좋다.
대전방지성 도포층의 도공량은, 최종적인 도막으로서 보았을 때, 통상 0.005∼1.5 g/m2, 바람직하게는 0.01∼1.O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0.5 g/m2이다. 도공량이 0.005 g/m2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1.5 g/m2를 초과하는 도포층은 외관 및 투명성의 악화나, 필름의 블록킹, 비용 증가를 가져오기 쉽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 필름을 광학 부재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대전방지성 도포층의 반대 면에는 미점착층을 제공한다.
이 경우 미점착이란, 한번 접합한 보호 필름을, 광학 부재를 상처내지 않고, 또한 점착제가 광학 부재 상에 남지 않고 박리 가능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층을 스테인레스판(SUS304)에 접합하고, 23℃에서 6시간 이상 경과한 후에 300 mm/분의 속도로 180도의 각도로 박리할 때의 박리력이 2∼60 g/25 mm인 것을 말한다.
점착제의 타입으로서는, 열경화 타입, UV 경화 타입, EB 경화 타입, 고온용융 타입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내구성이나 점착제의 이행을 억제하기 위해서, 이소시아네이트계나 에폭시계의 가교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미점착층으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나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혹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여러 가지 단량체를 공중합한 것이 많이 이용되고, 이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등을 가하여 경화 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점착층의 두께는 3∼100 ㎛, 바람직하게는 5∼50 ㎛이다. 두께가 3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미접착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반대로 100 ㎛를 초과하는 층은, 과잉 품질이 되어 비경제적이라고 말할 수 있고, 보호 필름의 투명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미점착층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이형제로 처리한 박리(이형) 필름을 접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우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평가 방법이나 샘플의 처리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표면 고유 저항(Ω):
일본 휴렛패커드 사제 고저항 측정기: HP4339B 및 측정 전극: HP16008B를 사용하고, 23℃, 50% RH의 측정 분위기에서 샘플을 30분간 조습한 후, 표면 고유저항값을 측정하였다.
(2) 내찰상성:
태평이화공업사 러빙테스터와 전용 펠트에서, 대전방지성 도포층의 표면을 3회 왕복하였다. 그 후, 문지른 개소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문지른 개소에 외관의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다
△: 겨우 문지른 흔적이 보인다
×: 대전방지성 도포층이 깎여 가루로 된다
(3) 내습성:
필름을 40℃, 90% RH의 항온조 내에서 3일간 보관하고, 대전방지성 도포층의 외관의 변화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 외관에 변화가 없다
△: 백화 등의 외관 변화가 겨우 보인다
×: 백화 등의 외관 변화가 보인다
(4) 대전방지 성능의 내수성:
40℃의 온수에 24 시간 샘플 필름을 침지한 후, 정성 여과지(TOYO 아드반텍제「No2」)에 가볍게 끼워 부착한 수분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1주야 건조한 후, 상기 (1)에 나타낸 방법으로 표면 고유저항을 측정하였다. 온수 침지 후의 측정값을, 온수 침지 전의 측정값으로 나누고, 몇 배의 값이 되었는지를 구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온수 침지 후의 악화가 적을수록(온수 침지 전후에 값의 변화가 적다), 내수성이 양호하다고 말할 수 있다.
○: 매우 양호. 온수 침지 전의 값으로부터의 악화가 10 배 이내
△: 양호. 온수 침지 전의 값으로부터의 악화가 10 배∼20 배
×: 불량. 온수 침지 전의 값으로부터의 악화가 20 배 이상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 중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는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 1): 실질적으로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극한점도 0.66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2): 평균 입경 2.5 ㎛의 비정질 실리카를 0.6 중량부 함유하는, 극한점도 0.66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한 도포 조성물로서는 이하를 사용하였다.
(Al): 하기 화학식(4)의 구성 단위와, 하기 화학식(5)의 구성 단위를 중량 비율 95/5의 비율로 공중합한, 수평균 분자량 20,000의 고분자 화합물: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6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7
(A2): 상기 화학식(4)의 구성 단위, 상기 화학식(5)의 구성 단위, 하기 화학식(6)의 구성 단위를 중량 비율 90/8/2의 비율로 공중합한, 수평균 분자량 33,000의 고분자 화합물
(A3): 상기 화학식(4)의 구성 단위, 상기 화학식(5)의 구성 단위, 상기 화학식(6)의 구성 단위를 중량 비율 80/10/10의 비율로 공중합한, 수평균 분자량 21,000의 고분자 화합물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8
(A4): 상기 화학식(4)의 구성 단위, 상기 화학식(5)의 구성 단위, 상기 화학식(6)의 구성 단위를 중량 비율 98/1/1의 비율로 공중합한, 수평균 분자량 12,000의 고분자 화합물
(A5): 상기 화학식(4)의 구성 단위, 상기 화학식(5)의 구성 단위, 하기 화학식(7)의 구성 단위를 중량 비율 85/10/5의 비율로 공중합한, 수평균 분자량 18,000의 고분자 화합물:
Figure 112009056067636-pct00009
(Bl): 상기 화학식(4)의 구성 단위로 이루어진, 수평균 분자량 30,000의 고분자 화합물
(B2): 상기 화학식(4)의 구성 단위와 상기 화학식(6)의 구성 단위를 중량 비율 95/5의 비율로 공중합한, 수평균 분자량 23,000의 고분자 화합물
(Cl): 메틸화헥사메틸올멜라민의 가교성 수지인, 다이니뽄잉키가가쿠고교제 벡카민J-101
(C2): 메톡시화헥사메틸올멜라민/요소 공중합의 가교성 수지인, 다이니뽄잉키가가쿠고교제 벡카민 MA-S
(Dl): 산화 폴리에틸렌왁스 수분산체인, 도호가가쿠고교제 하이테크 E-8000
(D2): 유리 반응 용기 중에, 퍼플루오로 알킬기 함유 아크릴레이트인 CF3(CF2)n CH2CH20COCH=CH2 (n = 5∼11, n의 평균 = 9) 80.Og, 아세트아세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0.0g, 도데실머캅탄 0.8g, 탈산소화 한 순수 354.7g, 아세톤 40.Og, C16H33N(CH3)3Cl 1.0g 및 C8H17C6H40(CH2CH20)nH(n=8) 3.Og을 넣고, 아조비스이소부틸아미딘 2염산염 0.5g을 가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하면서 60℃에서 10 시간 공중합반응시켜 얻어진 불소 함유 수지 에멀전
(El): 아미노 수지계 가교제의 가교 촉매인, 다이니뽄잉키가가쿠고교제 캐터리스토 ○
(Fl):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계면활성제: 단, 옥시에틸렌의 평균 중합도가 4인 것)
실시예1
폴리에스테르(1)과 폴리에스테르(2)를 중량비 80/20로 혼련하고, 충분히 건조한 후, 280∼300℃에서 가열용융 하고, T자 형 노즐로부터 시트 형으로 압출하고, 정전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 40∼50 ℃의 경면 냉각 드럼에 밀착시키면서 냉각 고화하고, 미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을 85℃의 가열롤 군을 통과시키면서 길이 방향으로 3.7배 연신하고, 1축 배향 필름으 로 하였다. 이 1축 배향 필름의 편면에,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포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이 필름을 텐터 연신기로 보내어, 그 열을 이용하여 도포 조성물을 건조하면서, 100℃에서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고, 다시 230℃에서 열처리하고, 필름 두께 38 ㎛의 2축 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0.03 g/m2의 양으로 대전방지성 도포층을 제공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2에 나타낸다.
실시예2∼6
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에서, 도포액을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 필름 두께 38 ㎛의 기재 필름 상에 표1에 나타낸 양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을 적층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2에 나타낸다.
비교예1∼3
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에서, 도포액을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 필름 두께 38 ㎛의 기재 필름 상에 표1에 나타낸 양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을 적층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2에 나타낸다.
도포층 조성 고형분 중량비 도포량(g/m 2 )
실시예 1 Al/C1/El/Fl 60/40/2/5 0.03
실시예 2 A3/Cl/El/Fl 60/40/2/5 0.03
실시예 3 A3/Cl/El/Fl 40/50/2/5 0.05
실시예 4 A3/C2/El/Fl 40/30/2/5 0.03
실시예 5 A4/C2/El/Fl 40/30/2/5 0.03
실시예 6 A5/C2/El/Fl 40/30/2/5 0.03
비교예 1 Bl/Cl/El/Fl 60/40/2/5 0.03
비교예 2 B2/Cl/El/Fl 60/40/2/5 0.03
비교예 3 B2/C2/El/Fl 40/30/2/5 0.03
상기 표1 중의 도포량은, 최종적으로 얻어진 도포 필름의 면적당 도포층 조성물의 고형분 중량을 의미한다.
표면고유 저항(Ω) 내수성 평가
실시예 1 2 ×1010
실시예 2 5 ×1010
실시예 3 5 ×1010
실시예 4 4 ×1010
실시예 5 2 ×1010
실시예 6 3 ×1010
비교예 1 1 ×1010 ×
비교예 2 1 ×1010 ×
비교예 3 3 ×1010 ×
실시예7
폴리에스테르(1)과 폴리에스테르(2)를 중량비 80/20로 혼련하고, 충분히 건조한 후, 280∼300℃에서 가열용융 하고, T자 형 노즐로부터 시트 형으로 압출하고, 정전밀착법을 이용해 표면온도 40∼50℃의 경면 냉각 드럼에 밀착시키면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을 85℃의 가열 롤 군을 통과시키면서 길이 방향으로 3.7배 연신하여 1축 배향 필름으로 하였다. 이 1축 배향 필름의 편면에, 하기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포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그 다음 이 필름을 텐터 연신기에 도입하고, 그 열을 이용하여 도포 조성물을 건조하면서, 100℃에서 폭 방향으로 4.0배 연신하고, 다시 230℃에서 열처리하여, 필름 두께 38 ㎛의 2축 배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0.03 g/m2의 양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을 제공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4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이 필름의 도포층 반대 면에, 미점착층으로서 아크릴계 점착제(제국 화학주식회사 제, SG-800) 100부(고형분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일본 폴리우레탄 주식회사제, 코로네이트 HL) 10부(고형분 중량부)를 가한 도공액을, 바코터를 사용해 도포하고, 100℃에서 2분간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켜 두께 20 ㎛의 미점착층을 얻었다. 그 위부터는, 실리콘을 코팅한 이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피복하고,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은,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실제로 광학 부재에 붙여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작업성, 검사에서의 시인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실시예8∼16
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에서, 도포액을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 필름 두께 38 ㎛의 기재 필름 상에 표3에 나타낸 양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을 적층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4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7과 동일하게 하고, 도포층과 반대 면에 미점착층을 제공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 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수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실제로 광학 부재에 붙여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작업성, 검사에서의 시인성이 양호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비교예4
실시예7과 동일한 공정에서, 도포액을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 필름 두께 38 ㎛의 기재 필름 상에 0.03 g/m2의 양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을 적층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2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7과 동일하게 하고, 도포층과 반대 면에 미점착층을 제공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 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대찰상성이 나쁘기 때문에, 실제로 광학 부재에 붙여 보호 필름으로 사용했을 때, 부착 공정 혹은 반송 공정 등에서 생겼다고 생각되는 상처가 표면에 있고,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또한 내습성이 나쁘기 때문에, 고습도 하에 놓여진 후의 검사에도 지장을 초래하였다.
비교예5
실시예7과 동일한 공정에서, 도포액을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 필름 두께 38 ㎛의 기재 필름 위에 0.05 g/m2의 양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을 적층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4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7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층과 반대 면에 미점착층을 제공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 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내습성이 나쁘기 때문에, 실제로 광학 부재에 붙여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고습도 하에 놓여진 후에 전체 면이 희게 흐려져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비교예6
실시예1과 동일한 공정에서, 도포액을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 필름 두께 38 ㎛의 기재 필름 위에 0.05 g/m2의 양의 대전방지성 도포층을 적층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4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7과 동일하게 하고, 도포층과 반대 면에 미점착층을 제공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 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내습성이 나쁘기 때문에 실제로 광학 부재에 붙여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고습도 하에 놓여진 후에 전체 면이 희게 흐려져 검사에 지장을 초래하였다.
비교예7
실시예7과 동일한 공정에서, 도포를 하지 않는 이외는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 두께 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4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7과 동일하게 하여 편면에 미점착층을 제공한 표면보호 필름으로 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표면 고유저항이 높고 대전방지 성능이 나쁘기 때문에, 실제 광학 부재에 붙여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했을 때, 박리시에 손에 감겨 붙거나, 주위의 오물을 끌어당기기도 하여, 작업성을 크게 악화시켰다.
도포층 조성 고형분 중량비 도포량(g/m 2 )
실시예 7 Al/Cl/El/F1 40/30/2/5 0.03
실시예 8 Al/C2/Dl/E1 40/10/10/2 0.03
실시예 9 A2/C2/Dl/E1 40/50/7/2 0.05
실시예 10 A2/C2/Dl/E1 40/30/7/2 0.03
실시예 11 A2/C2/D2/E1 40/30/5/2 0.03
실시예 12 A3/C2/El/F1 60/15/2/5 0.03
실시예 13 A3/Cl/Dl/E1 60/15/10/2 0.03
실시예 14 A3/Cl/Dl/E1 40/50/10/2 0.05
실시예 15 A4/Cl/Dl/E1 40/30/10/2 0.03
실시예 16 A5/Cl/Dl/E1 40/30/10/2 0.03
비교예 4 Bl/Cl/El/F1 40/30/2/5 0.03
비교예 5 Bl/Cl/Dl/El/F1 40/50/10/2/5 0.05
비교예 6 B2/Cl/Dl/El/F1 40/50/10/2/5 0.05
비교예 7 도포층을 제공하지 않음
표3의 도포량은 최종적으로 얻어진 도포 필름의 면적당, 도포층 조성물의 고형분 중량을 의미한다.
표면 고유 저항(Ω) 내찰상성 내습성 보호 필름으로서의 사용 상황
실시예 7 3×1010 양호
실시예 8 9×109 양호
실시예 9 4×1010 양호
실시예 10 4×1010 양호
실시예 11 4×1010 양호
실시예 12 2×1010 양호
실시예 13 2×1010 양호
실시예 14 5×1010 양호
실시예 15 2×1010 양호
실시예 16 3×1010 양호
비교예 4 9×109 × × 지장있음
비교예 5 3×1010 × 지장있음
비교예 6 3×1010 × 지장있음
비교예 7 6×1014 지장있음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수치 범위의 규정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임의의 실시예의 수치를 임계치로서 사용한 모든 범위 규정도, 당연한 것이지만 포함되는 것이고,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대전방지 성능이 요구되는 여러 가지 용도에 있어서, 양호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하기 화학식(1) 및 (2)로 나타내지는 구성 요소를 반복 단위로 갖는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필름으로서,
    Figure 112014043679075-pct00010
    Figure 112014043679075-pct00011
    상기 식에서,
    Rl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X-은 1가 음이온이고,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R4는 -○- 또는 -NH-이고,
    R5는 탄소수 1∼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대전방지성 고분자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500,000이고,
    상기 화학식(1)의 중량비가 70∼99%이고,
    상기 화학식(2)의 중량비가 1% 이상이고,
    단, 중량비의 합계는 100중량%인 대전방지성 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대전방지성 필름이 표면보호 필름용인 대전방지성 필름.
  3. 삭제
KR1020097019055A 2007-04-03 2008-03-25 대전방지성 필름, 표면 보호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광학 부재 표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448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97182 2007-04-03
JP2007097182A JP5376769B2 (ja) 2007-04-03 2007-04-03 帯電防止性フィルム
JPJP-P-2007-097361 2007-04-03
JP2007097361A JP5376770B2 (ja) 2007-04-03 2007-04-03 表面保護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表面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CT/JP2008/000708 WO2008120465A1 (ja) 2007-04-03 2008-03-25 帯電防止性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表面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984A KR20100014984A (ko) 2010-02-11
KR101448590B1 true KR101448590B1 (ko) 2014-10-08

Family

ID=3980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055A KR101448590B1 (ko) 2007-04-03 2008-03-25 대전방지성 필름, 표면 보호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광학 부재 표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8590B1 (ko)
WO (1) WO2008120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0846B2 (ja) * 2009-03-19 2014-05-21 三菱樹脂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US11028299B2 (en) 2013-11-19 2021-06-08 Mitsubishi Polyester Film, Inc Anti-powdering and anti-static polymer film for digital print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98A (ja) * 1995-07-24 1997-02-04 Teijin Ltd 易接着性水性塗剤及びこれを塗布した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23932A (ja) 2002-10-03 2004-04-22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49653A (ja) 2002-10-30 2004-05-2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996A (en) * 1980-05-05 1981-12-22 Calgon Corporation Electro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JPH0725914B2 (ja) * 1987-12-04 1995-03-22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帯電防止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1174539A (ja) * 1987-12-28 1989-07-11 Diafoil Co Ltd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法
JPH06160327A (ja) * 1992-11-24 1994-06-07 Tdk Corp 湿度センサ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6223A (ja) * 1993-07-08 1995-0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帯電防止性を有する微粘着高透明保護フィルム
JP2003292654A (ja) * 2002-04-04 2003-10-1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0420633A (en) * 2003-03-25 2004-10-16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Antistatic layered polyester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98A (ja) * 1995-07-24 1997-02-04 Teijin Ltd 易接着性水性塗剤及びこれを塗布した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23932A (ja) 2002-10-03 2004-04-22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149653A (ja) 2002-10-30 2004-05-2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帯電防止性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984A (ko) 2010-02-11
WO2008120465A1 (ja)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5502B2 (ja) 帯電防止性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13456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3154616A (ja) 積層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US20160222178A1 (en) Coated film
JP2003080639A (ja) フィルム
JP2012000993A (ja) 帯電防止性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500821B2 (ja) 積層フィルム
JP6428679B2 (ja) 積層フィルム
JP2008081551A (ja) 拡散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6565799B2 (ja) 感光性樹脂基材用フィルム
KR101448590B1 (ko) 대전방지성 필름, 표면 보호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광학 부재 표면 보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13001735A (ja)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KR101769297B1 (ko) 도포 필름
JPH09109346A (ja) 積層フイルム
WO2017013891A1 (ja) 離型フィルム
KR101768461B1 (ko) 도포 필름
JP537677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光学部材表面保護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725032B2 (ja) 感光性樹脂基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290035B2 (ja)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基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201940565A (zh) 乾式膜抗蝕劑基材用聚酯膜
KR101294603B1 (ko)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 그를 이용한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1230516A (ja) 帯電防止性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290033B2 (ja)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基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290036B2 (ja)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基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290034B2 (ja) ドライフィルムレジスト基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