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181B1 -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181B1
KR101448181B1 KR1020130011394A KR20130011394A KR101448181B1 KR 101448181 B1 KR101448181 B1 KR 101448181B1 KR 1020130011394 A KR1020130011394 A KR 1020130011394A KR 20130011394 A KR20130011394 A KR 20130011394A KR 101448181 B1 KR101448181 B1 KR 101448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roots
ginseng
red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873A (ko
Inventor
이재은
조경원
이인행
김아람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농협홍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농협홍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농협홍삼
Priority to KR102013001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1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Landscapes

  • Pape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박을 한지제조시 첨가하여 홍삼향과, 홍삼의 이미지를 발현하고 인쇄성을 높이는 홍삼박한지에 관한 것이다.
홍삼박한지의 제조는 겉껍질이 박피된 닥나무 인피섬유(靭皮纖維)를 통상의 한지제조방법으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증해하여 고해하고 해리한 후, 건조된 홍삼박을 30 ~ 50mesh로 분쇄한 홍삼박분쇄물 또는 홍삼박을 증해, 고해, 해리하여 섬유길이가 0.5 ~ 3.5㎝로 된 홍삼박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를 건조중량비에 따라 닥나무섬유 70 ~ 90중량부에 대하여 10 ~ 30중량부 첨가하며, 한지를 떠서 초지하는 단계에서 수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섬유간의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제를 첨가하되, 건조중량비로 닥섬유와 홍삼박분말에 대하여 0.01 ~ 1.0중량부를 첨가하고 압착, 탈수한 후 건조한다.
또한, 사용용도에 따라 한지를 뜰 때 1회 내지 4회 겹치도록 합지하여 초지할 수 있는데, 초지횟수를 늘려 겹치게 하면 홍삼박한지로부터의 홍삼향을 감지하게 하면서 색상을 홍삼과 유사한 갈색을 띄우게 하고 홍삼박섬유가 한지에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하며 홍삼박한지의 밀도를 높여 인쇄적성을 높임으로써 홍삼디자인이나 문자를 인쇄하여 홍삼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The korean paper of red ginseng marc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종래 폐기하던 인삼박을 활용하여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한지제조에 홍삼박을 첨가하여 홍삼의 향과 함께 홍삼의 색상이 감지되게 하고 홍삼박의 입자나 섬유가 부정형 무늬로 보이게 하여 홍삼박한지를 사용한 벽지나 포장지 또는 상자 등에서 홍삼의 향과 이미지를 표출하고 인쇄성을 높여 홍삼디자인과 문자를 인쇄하기에 적합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겉껍질이 박피된 닥나무 인피섬유(靭皮纖維)를 통상의 한지제조방법으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증해하고 고해, 해리한 후, 건조중량비로 닥나무 섬유 70 ~ 90중량부에 대하여 30 ~ 50mesh로 분쇄한 홍삼박분쇄물 또는 홍삼박섬유를 10 ~ 30중량부 첨가하며, 초지할 때 수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섬유간의 점착성과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제를 첨가하여 1 ~ 4겹으로 합지한 초지를 압착, 탈수한 후 건조하여 제조하는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백삼, 홍삼, 피부백삼, 미삼, 수삼 등 모든 인삼류를 지칭하는 상위개념의 명칭이다. 대부분의 인삼제품은 인삼을 물 또는 에틸알코올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인삼추출물(ginseng extract, 인삼농축액, 인삼정(人蔘精), 인삼엑기스라고도 함)로 만들어진다. 홍삼정은 홍삼을 추출하여 얻은 홍삼추출물을 농축한 홍삼농축액이고 홍삼토닉, 홍삼젤리, 홍삼사탕, 홍삼쿠키 등은 통상의 한방토닉, 젤리, 사탕, 쿠키 등에 홍삼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홍삼을 추출하여 홍삼으로부터 사포닌 등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추출물이 빠지고 남은 것을 홍삼박이라고 한다.
그런데 인삼으로부터 추출물이 빠지고 남은 인삼박에는 추출횟수에 반비례하여 인삼의 유효성분이 일부 남아있게 된다.
그러므로 한지제조과정에서 홍삼박을 첨가하면 한지에서 홍삼의 향취와 색상을 발현하게 된다.
또한, 인삼정(엑기스)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통상 3회 내지 7, 8회 추출하지만 홍삼쿠키와 같은 과자원료용 홍삼정을 추출할 때는 2회 정도만 추출하여 추출된 홍삼추출물(홍삼정)을 사용하기 때문에 홍삼박에는 유효성분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게 되어 홍삼향의 발생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조사된 바에 의하면 홍삼박은 연간 700톤이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추출 후 남은 인삼박은 수분이 과다하여 가축사료나 비료 등으로 활용하기 위하여는 건조하고 잘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조, 보관비용이 많이 들어 재활용하지 못하고 대부분 폐기하는 실정이다.
식품은 포장을 개봉할 때 그 식품이 나타내는 향을 발산하면 그 식품에 대한 호기심과 식욕이 생기고 그 식품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되어 신뢰하게 된다.
인삼은 수삼과 수삼을 가공하여 만든 홍삼, 백삼, 피부백삼, 태극삼, 미삼 등을 총칭하지만 그 중에서도 홍삼은 효능이 뛰어나고 보관성이 좋아 인삼 중에서 가장 선호되고 있다.
또한, 천연인삼향에는 Panaxynol, Pyrazine, Terpene 등의 성분이 있어 인삼 특유의 방향(芳香, aroma)과 함께 스트레스 완화, 쾌감, 진정감 등의 인체에 유효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은 예로부터 한지로 싸 포장한 후 나무상자에 담고 다시 홍삼이 들어 있는 나무상자를 캔에 넣어 상품화하며, 근래에는 홍삼향 등 홍삼의 품질을 보존하기 위하여 캔 포장하기 전에 플라스틱 필름으로 진공포장을 추가하고 있다. 소비자가 홍삼을 구입하여 포장을 개봉할 때 홍삼 특유의 향이 풍기면 상품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캔 포장되어 상품화되는 홍삼은 홍삼제조과정에서 수삼을 고온의 수증기로 쪄서(증삼) 건조하여 홍삼으로 된 것을 다시 고온의 수증기로 습점하고 일정형상으로 압착한 후 건조하며 미삼부분을 제거한 홍삼의 몸통부분이 주로 포장되는데, 홍삼제조과정에서 고온의 가습과 건조로 인하여 수삼의 향긋하고 신선한 향기성분과 홍삼 고유의 향기성분이 일부 증기와 함께 휘산되어 날아가게 되므로 향취가 약하게 된다.
이러한 홍삼의 향기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홍삼포장용 나무상자는 전통적으로 홍송(紅松)이라고 불리우는 소나무과의 잣나무로 만들어서 잣나무의 향이 홍삼의 향기와 잘 어우러져 상승된 홍삼향을 발산하도록 한다.
특히, 잣나무의 향은 갓 벌목한 잣나무보다 벌목 후 오래된 것 가급적 수십 년 이상된 잣나무의 향이 강하고 홍삼향과 잘 조화되므로 잣나무로 지은 고옥(古屋)을 헐 때 생기는 잣나무가 홍삼 포장상자의 가장 좋은 재료로 알려져 예로부터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고옥에서 잣나무가 나오지 아니하여 풋내나는 생잣나무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홍삼의 포장을 개봉할 때 홍삼향을 부각시키는 향취(香臭)를 얻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0515647호(홍삼향기의 보강방법)에서는 열풍건조기와 같은 공기순환기 내부에 50년 정도 된 잣나무와 홍삼을 함께 넣어 잣나무 향기가 홍삼에 흡수되도록 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실시에 어려움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한지는 표면이 거칠으므로 인쇄적성이 낮아 한지에 인삼의 디자인이나 문자를 인쇄하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 추출하고 남은 인삼박에도 인삼의 유효성분이 남아 있기 때문에 종래 폐기하던 인삼박을 활용하여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홍삼의 내부포장을 주로 한지로 사용하던 것을 홍삼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홍삼박한지를 사용하여 한지에서 홍삼 고유의 천연향이 감지되고 색상도 홍삼에 가까운 연갈색을 띄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홍삼에 대한 호기심을 더욱 불러일으키도록 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한지제조에 홍삼박을 첨가하여 홍삼의 향과 함께 홍삼의 색상이 감지되게 하되 홍삼박분말의 입자가 홍삼박한지에서 보이게 하거나 또는 홍삼박의 섬유가 다소 길게 된 것을 사용하여 한지에서 홍삼박의 부정형 무늬로 보이게 함으로써 벽지나 포장지 또는 상자 등에서 홍삼의 이미지와 자연미를 한층 더하게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일반한지는 표면이 거칠어 인쇄적성이 부족하지만 홍삼박 분말을 한지에 첨가함으로써 표면평활도를 양호하게 하여 인쇄적성이 높은 한지를 제조하고 홍삼의 디자인이나 문자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홍삼박은 일반 목재펄프보다 음이온 방출량이 높고 원적외선 방사량이 높으므로 홍삼박이 함유된 한지를 사용함으로써 아토피나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하여 유용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겉껍질이 박피된 닥나무 인피섬유(靭皮纖維)를 통상의 한지제조방법으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증해하고 고해, 해리한 후, 건조된 홍삼박을 30 ~ 50mesh로 분쇄한 홍삼박분쇄물, 또는 홍삼박을 증해, 고해, 해리과정에서 섬유길이가 길게 되도록 한 홍삼박섬유를 첨가하되, 건조중량비에 따라 닥나무 섬유 70 ~ 9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박 10 ~ 30중량부 첨가하며, 초지통에서 수중에 해리된 홍삼박한지를 떠서 초지할 때 수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섬유간의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제를 첨가하며, 홍삼박한지의 사용용도에 따라 1 ~ 4겹으로 겹치게 하여 압착, 탈수한 후 건조한다.
한지에 홍삼박분쇄물 또는 비교적 길게 연결된 홍삼박섬유를 첨가하여 한지의 거칠은 표면에 형성된 공극을 메워주며 초지할 때 합지횟수를 늘려 표면평활도를 양호하게 하고 인쇄적성을 높임으로써, 홍삼포장용 한지 또는 벽지용 한지 등으로 사용할 경우 홍삼향이 감지되게 하고 홍삼의 색상과 입자 또는 섬유가 표출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홍삼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며, 홍삼박한지의 인쇄적성을 향상시켜 홍삼디자인이나 문자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하여 홍삼에 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도록 한다. 또한,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출량이 일반한지보다 높아 건강에도 방사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홍삼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홍삼향을 포집하여 홍삼박한지에 분무하거나 합성인삼향을 분무하여 강화된 홍삼향을 발산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홍삼박한지의 제조는 겉껍질이 박피된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 한국산) 인피섬유(靭皮纖維)를 통상의 한지제조방법으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증해, 고해, 해리한 후 초지통의 수중에 해리된 닥섬유를 떠서 초지하는데, 건조된 홍삼박을 입도 30 ~ 50mesh로 분쇄한 홍삼박분쇄물을 닥섬유 해리 후 초지과정에서 첨가하며, 건조중량비에 따라 닥나무섬유 70 ~ 9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홍삼박분쇄물을 10 ~ 30중량부 첨가한다.
이와 같이 수중에 해리된 닥섬유에 홍삼박을 첨가하여 초지하는 단계에서는 수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섬유간의 점착을 촉진시켜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리 조제한 점제를 사용하며, 초지용 점제로는 닥풀, PAM, PEO, 황촉규 등이 있는데, PAM(Polyacrylamide)을 사용할 경우 건조중량비로 상기 닥섬유와 홍삼박에 대하여 0.01 ~ 1.0중량부 첨가하고 물질을 반복하여 섬유의 방향을 배열하고 결합강도를 높이며, 이와 같이 초지된 것을 압착, 탈수, 건조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홍삼박은 홍삼을 물 또는 에틸에탄올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남은 것인데, 홍삼의 추출횟수를 적게 하여 홍삼박에 유효성분이 가급적 많이 잔류된 홍삼박을 하도록 한다. 홍삼을 추출하고 남은 홍삼박을 수분 4 ~ 8%로 건조하여 분쇄한 홍삼박분쇄물을 건조물대비 닥섬유 70 ~ 90중량부에 대하여 10 ~ 30중량부를 한지제조시 닥섬유 초지과정에서 첨가한다. 홍삼박분쇄물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홍삼향과 홍삼의 갈색이 반영되지만 10중량부 미만 첨가시는 향이 약하여 일반한지와 구분하기 어렵고 40중량부 이상 첨가군에서는 첨가된 홍삼박분쇄물이 한지에서 이탈되어 30중량부 첨가시보다 홍삼향의 변화가 거의 없다.
홍삼박한지는 사용용도에 따라서 홍삼박의 입도를 조정하게 되는데,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입도를 30 ~ 50mesh하고 홍삼박한지의 두께가 일반한지와 같이 얇은 것을 사용하므로 1, 2회 합지하여 초지한 홍삼박한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홍삼의 시각적 이미지 표현용 홍삼박한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홍삼박의 입도가 포장용 한지제조시와 같으나, 비교적 거칠게 분쇄하여 닥섬유 해리 후 초지하는 공정에서 첨가하며 홍삼박분쇄물의 입자가 홍삼박한지에서 보이게 한다.
한편, 홍삼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서는 홍삼박한지에서 길게 표현되는 홍삼박섬유를 얻기 위하여 일정길이의 홍삼박을 별도로 증해, 고해, 해리하여 섬유화하는 과정에서 홍삼박섬유가 길게 되도록 조절하며 일정길이의 섬유가 형성된 것이 해리과정에서 확인되면 해리를 중단하고 이를 수중에서 건져내어 통상의 한지제조방법으로 해리된 닥섬유에 첨가하고 초지함으로써 홍삼박섬유가 홍삼박한지에서 0.5 ~ 3.5㎝의 부정형 무늬로 보이게 하여 홍삼박의 자연미를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닥섬유가 해리된 후에 첨가하는 홍삼박은 상기 홍삼박분쇄물과 홍삼박섬유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한지를 뜰 때 겹치는 합지횟수를 늘려 초지하면 홍삼향을 증가시키면서 홍삼박한지의 색상을 홍삼과 유사한 갈색을 띄게 하고 홍삼박분말의 입자 또는 홍삼박의 섬유가 한지에 선명하게 표현되므로 시각적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하여는 2회 이상 합지하여 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성을 높이는 홍삼박한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홍삼박의 입도가 포장용 한지제조시와 같으나, 비교적 미세하게 분쇄된 것을 한지제조시 첨가하여 거칠은 한지섬유의 공극 사이에 홍삼박 분말이 메워지도록 함으로써 홍삼박한지의 밀도를 높이고 표면평활도를 양호하게 한다.
또한, 인쇄적성향상을 위하여 사이즈제를 사용하게 되며, AKD(Akylamide)를 사용할 경우 닥섬유와 홍삼박분말에 대하여 건조중량비로 0.01 ~ 1.0중량부 첨가하며, 닥섬유를 종이뜨기할 때 합지횟수를 증가하면 홍삼박한지의 밀도를 높이고 표면평활도를 양호하게 하므로 2 ~ 4회 합지하되 3합지 이상 초지할 때 홍삼의 이미지 표출이 잘 되지만 이 경우 종이가 두꺼워지므로 벽지 또는 홍삼제품 포장박스 제조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인삼형상 디자인이나 문자를 인쇄할 수 있게 된다.
홍삼박한지의 건조온도는 홍삼박의 향기 등 품질의 보호를 위하여 일반한지의 건조온도 80℃보다 낮은 온도인 60 ~ 65℃로 건조한다.
홍삼박한지는 118 ION/cc의 음이온을 방출하며 이는 종이의 원료인 목재펄프(100 ION/cc)보다 높은 수치이다. 또한, 홍삼박한지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데 5~20㎛ 파장에서 88% 방사율과 3.39×102W/㎡·㎛의 방사에너지를 방출한다. 5~20㎛은 인체에 잘 흡수되는 파장범위에서 최적을 나타낸 것으로, 홍삼박 한지를 벽지나 소품 등으로 활용하면 원적외선/음이온 방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홍삼박한지에는 홍삼박만을 첨가하여 한지로부터 천연홍삼향이 우러나도록 하는 것이지만, 홍삼박한지의 홍삼향을 강화하기 위하여 홍삼제조과정에서 수삼을 증삼하고 홍삼을 가습할 때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 농축하여 얻은 인삼의 향기성분농축액(본 발명에서는 홍삼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포함된 모든 향기성분을 포집 농축한 것을 홍삼향이라 한다.) 또는 홍삼향과 유사한 합성인삼향을 홍삼박한지에 일정량 분무할 수 있으며 상기 홍삼제조과정에서 포집 농축한 홍삼향과 합성홍삼향을 일정비율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합성인삼향은 인삼으로부터 추출포집, 농축과정을 거치는 천연인삼향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므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나무오일은 솔잎에서 증류추출하며 피넨(pinene)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천연인삼향에도 피넨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홍삼박한지의 홍삼향과 홍삼 포장상자의 잣나무향을 보완하도록 홍삼박한지에 홍삼향과 잘 조화되는 나무향(woody fragrance)인 소나무오일(pine oil)을 일정비율로 분무하거나 홍삼제조과정에서 포집한 홍삼향과 함께 분무할 수 있으며, 또는 인삼향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계피오일과 정향오일을 일정비율로 조합 분무하여 홍삼향을 강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홍삼박한지에 추가분무하는 상기 홍삼향, 합성인삼향, 소나무오일, 계피오일, 정향오일 등은 제조과정에서 농축되는 농도가 각각 다르고 홍삼박한지에 분무시 알코올 또는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일률적으로 분무량을 표시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반복실험으로 홍삼박한지의 홍삼향과 가장 잘 조화되어 홍삼향이 강조되는 비율로 분무한다.
실시예 1
홍삼박한지의 제조
<닥섬유 증해 및 고해>
겉껍질이 박피된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Sie, 한국산) 인피섬유(靭皮纖維)(시중에서 구입)를 100℃에서 수산화나트륨(NaOH) 5% 용액에 증해한 후 섬유를 고해한다.
<홍삼박 제조>
홍삼을 추출하고 남은 홍삼박을 수분 5%로 건조하고 40mesh로 분쇄한 홍삼박분쇄물을 닥섬유 해리 후에 첨가하여 홍삼박한지 제조의 내첨용으로 사용한다.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1>
상기 홍삼박한지의 제조방법과 같으나, 홍삼박 입도가 40mesh인 홍삼박분쇄물을 닥섬유 해리 후에 건조중량비로 닥섬유 8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를 첨가한다. 또한 초지통에서 수중에 해리된 닥섬유를 뜨는 과정에서 수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섬유간의 결합을 향상시키는 점제를 첨가하는데, 홍삼박분말의 건조중량대비 점제로서 PAM(Polyacrylamide) 0.15중량부가 첨가되도록 하고 종이뜨기할 때 1합지를 초지하여 압착, 탈수한 후 63℃로 건조한다.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2>
상기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1과 같으나, 닥섬유 해리 후에 건조중량비로 닥섬유 7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박분쇄물을 30중량부 첨가한다.
실시예 2
<홍삼이미지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1>
상기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1과 같으나, 홍삼박분쇄물을 닥섬유 해리 후 건조중량비로 20중량부 첨가하고 종이뜨기할 때 2합지를 초지한다.
<홍삼이미지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2>
상기 홍삼이미지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1과 같으나, 닥섬유 해리 후 건조중량비를 닥섬유 7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박분쇄물과 홍삼박섬유를 30중량부 첨가한다.
실시예 3
<인쇄적성 향상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상기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의 제조 1, 2와 같으나, 사이즈제 AKD(Akylamide)를 0.15중량부가 첨가되도록 하며, 종이뜨기할 때 3합지를 초지하여 홍삼박한지를 제조한 후 홍삼디자인과 홍삼관련 문자를 인쇄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 2, 3에서 제조된 홍삼박한지에 홍삼제조과정에서 포집, 농축한 홍삼향을 분무한다.
실시예 5
실시예 1, 2, 3에서 제조된 홍삼박한지에 홍삼제조과정에서 포집, 농축한 홍삼향과 소나무오일을 조합하여 홍삼박한지에 분무한다.
실시예 6
실시예 1, 2, 3에서 제조된 홍삼박한지에 홍삼제조과정에서 포집, 농축한 홍삼향과 소나무오일과 계피오일과 정향오일을 조합하여 홍삼박한지에 분무한다.
실시예 7
실시예 1, 2, 3에서 제조된 홍삼박한지에 합성인삼향을 분무한다.
《관능검사》
30세부터 60세까지의 남녀 16명을 평가요원(Panelist)으로 구성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홍삼박한지에 대하여 시각적 홍삼이미지, 홍삼향의 향취, 선호도를 평가하여 종합하였다.
< 평가 >
아주 좋다 ***
더 좋다 **ㆍ
좋다 **
약간 좋다 *ㆍ
보통이다 *
약하다 ‥
미급하다 ㆍ
관능검사표

홍삼박분쇄물 첨가량 시각적
홍삼이미지
홍삼향취 선호도
실시예 1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
: 1합지)
홍삼박: 20중량부
홍삼박: 30중량부
*
*
실시예 2
(홍삼이미지용
홍삼박한지
: 2합지)
홍삼박: 20중량부 * *ㆍ
홍삼박: 30중량부
*ㆍ * *ㆍ
실시예 3
(인쇄용
홍삼박한지
: 3합지)
홍삼박: 20중량부 ** * *ㆍ
홍삼박: 30중량부
**ㆍ *ㆍ **

실시예 4
(홍삼제조시
포집,농축한
홍삼향 분무)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1합지)
*ㆍ *
홍삼이미지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2합지)
* ** *ㆍ
인쇄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3합지)
** **ㆍ **

실시예 5
(홍삼향+
소나무오일
분무)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1합지)
** **
홍삼이미지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2합지)
* **ㆍ **ㆍ
인쇄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3합지)
** *** ***
실시예 6
(홍삼향+
소나무오일
+계피오일+
정향오일 분무)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1합지)
**ㆍ **
홍삼이미지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2합지)
* *** **ㆍ
인쇄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3합지)
** *** ***

실시예 7
(합성인삼향
분무)
홍삼포장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1합지)
* *
홍삼이미지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2합지)
* ** *ㆍ
인쇄용 홍삼박한지
(홍삼박: 20, 3합지)
** **ㆍ **
< 관능검사평가 >
1. [표 1]의 관능검사표에서와 같이 닥섬유 80중량부 대비 홍삼박 20중량부 첨가시보다 닥섬유 70중량부 대비 홍삼박 30중량부 첨가군에서 그리고 초지의 합지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시각적 홍삼이미지, 홍삼향취, 선호도 부분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2. 홍삼향의 향취에 있어서는 한지에 홍삼박만 첨가한 것보다 홍삼제조시 포집, 농축한 홍삼향을 분무한 군의 홍삼향취와 선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홍삼박한지에 홍삼제조시 포집 농축한 홍삼향에 소나무오일을 조합하여 분무한 것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삼향에 소나무오일과 계피오일과 정향오일을 조합하여 분무한 군에서 홍삼향취가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호도에서는 패널리스트에 따라 홍삼박한지에 홍삼향과 소나무오일을 조합 분무한 것과, 계피오일과 정향오일을 조합하여 추가분무한 것에 대한 평가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3. 합성인삼향을 홍삼박한지에 분무한 경우 홍삼향취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호도에서는 홍삼향 또는 소나무오일 등 천연향을 조합하여 분무한 것보다 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합성인삼향의 경우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구입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 홍삼박을 한지에 첨가하면 색상면에서도 홍삼의 시각적 이미지를 감지하게 된다. 통상 닥나무에서 유래한 섬유는 흰색이나 아이보리계열의 색을 유지하고 있는데, 홍삼박분쇄물을 첨가하게 되면 첨가량과 합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홍삼에서 유래한 고유의 황색-연갈색 색상을 유지하게 되고 또 홍삼박분쇄물의 파쇄입자들이 진하게 보이게 되어 시각적으로 홍삼의 자연미를 의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홍삼박한지에 홍삼의 이미지와 글씨를 인쇄함으로써 홍삼의 이미지를 향상시킨다. 홍삼박 첨가량이 30중량부 첨가한 군과 3합지 초지한 홍삼박한지에서 홍삼의 시각적 이미지가 가장 우수하였다.
< 홍삼박한지의 합지에 따른 물성 비교>
전통한지와 홍삼박한지의 두께 및 밀도
합지(合紙) 평량(g/㎡) 두께(㎛) 밀도(g/㎤)
전통한지
74.0 536.6 0.14
1합
40.7 147.5 0.28
2합
81.2 282.0 0.29
3합
130.6 442.8 0.29
4합
183.3 647.3 0.28
한지는 일반인쇄용 종이에 비해 인쇄성이 떨어지는데, 그것은 조직이 거칠고 표면평활도에서 편차가 심하며 표면이 매끄럽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홍삼박을 첨가한 한지를 2합 이상으로 겹쳐 초지하면 홍삼박이 섬유 사이의 공극을 메우고 그것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밀도가 높아지므로 인쇄성이 좋아진다.([표 3]에서 합지가 증가함에 따라 투기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2]는 한지의 평량, 두께, 밀도를 나타낸 것으로 홍삼박한지는 전통한지에 비해서는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2합, 3합 한지의 경우 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홍삼박한지의 합지에 따른 광학적 성질 >
홍삼박한지의 광학적 성질
종류 평량
(g/㎡)
백색도
(%)
색도 투기도
(㎖/min)
L a b
1합 40.7 53.9 83.87 1.15 9.46 8520
2합 81.2 51.0 82.56 1.41 10.40 6430
3합 130.6 47.4 80.53 1.48 10.70 3933
4합 183.3 49.3 81.91 1.52 11.14 3633
백색도는 시료의 밝음을 의미하며, 색도는 L, a, b로 나타내는데, L(100 흰색, 0 검정색)은 명도지수, a(+ 빨간색, - 초록색) 및 b(+ 노란색, - 파란색)는 지각 색도지수를 표시한다. 이에 홍삼박한지의 백색도는 홍삼박의 영향으로 합지의 수가 증가할수록 백색도도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a, b의 색도에서도 합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홍색과 황색이 증가하여 홍삼 색상에 유사하게 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홍삼박한지는 합지수에 따라 낮은 투기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합지수가 올라갈수록 밀도가 높아져 투기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5)

  1. 건조중량으로 닥섬유 70 ~ 90중량부와 홍삼박 10 ~ 30중량부로 조성된 닥섬유와 홍삼박의 혼합물로 되어 있되 홍삼박은 섬유의 길이가 0.5 ~ 3.5㎝로 된 홍삼박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2. 제 1항에 있어서, 홍삼박은 입도가 30 ~ 50mesh로 분쇄된 홍삼박분쇄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홍삼박은 홍삼박분쇄물과 홍삼박섬유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5. 제 1항에 있어서, 닥섬유와 홍삼박의 혼합물은 홍삼제조과정에서 포집한 홍삼향 또는 합성인삼향이 분무되거나 이들을 조합한 것이 분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6. 제 1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닥섬유와 홍삼박의 혼합물은 소나무오일, 계피오일, 정향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조합된 향이 분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7. 닥나무 인피섬유를 증해, 고해, 해리, 초지, 압착, 탈수, 건조단계를 거치는 한지제조방법에 있어서, 초지단계는 건조중량비로 해리된 닥섬유 70 ~ 9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박 10 ~ 30중량부를 첨가하여 닥섬유와 홍삼박의 혼합물을 제조하되 홍삼박은 홍삼박을 증해, 고해, 해리하여 섬유의 길이가 0.5 ~ 3.5㎝로 된 홍삼박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홍삼박은 입도를 30 ~ 50mesh로 분쇄한 홍삼박분쇄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홍삼박은 홍삼박을 증해, 고해, 해리하여 홍삼박섬유의 길이가 0.5 ~ 3.5㎝로 된 홍삼박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홍삼박은 홍삼박분쇄물과 홍삼박섬유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초지하는 단계는 해리된 닥섬유와 홍삼박의 혼합물을 뜰 때 1 내지 4합지를 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닥섬유와 홍삼박의 혼합물을 건조하는 온도는 60 ~ 6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초지하는 단계는 닥섬유와 홍삼박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점제를 첨가하고 홍삼박한지의 인쇄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이즈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닥섬유와 홍삼박의 혼합물은 홍삼제조시 포집한 홍삼향 또는 합성인삼향을 분무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15. 제 7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닥섬유와 홍삼박의 혼합물은 소나무오일, 계피오일, 정향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한지 제조방법.
KR1020130011394A 2013-01-31 2013-01-31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94A KR101448181B1 (ko) 2013-01-31 2013-01-31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94A KR101448181B1 (ko) 2013-01-31 2013-01-31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873A KR20140098873A (ko) 2014-08-08
KR101448181B1 true KR101448181B1 (ko) 2014-10-07

Family

ID=5174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394A KR101448181B1 (ko) 2013-01-31 2013-01-31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1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331A (ko) * 2008-05-19 2009-11-24 주식회사 크리포 숯 알갱이와 방향성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한지 제조방법
KR20100080059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삼향 종이 제조방법 및 인삼향 종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331A (ko) * 2008-05-19 2009-11-24 주식회사 크리포 숯 알갱이와 방향성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한지 제조방법
KR20100080059A (ko) * 2008-12-31 2010-07-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삼향 종이 제조방법 및 인삼향 종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873A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6671B2 (ja) 茶飲料または香草ブロスおよび野菜ブロスを作るための組成物
JP7071599B2 (ja) 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
CA2978174C (en) Low bulk density composition for making a tea beverage having reduced dust or fines
CN103222513B (zh) 一种高香型绿茶的制备方法
JP7299947B2 (ja) 非タバコ植物を用いた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
CN107072232A (zh) 使用挤出或模制工艺制造重构植物材料的方法和由此获得的产品
WO2019229850A1 (ja) 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用の巻紙、非燃焼加熱型喫煙物品及び電気加熱型喫煙システム
JP2021073982A (ja) 芳香カートリッジ
JP2022060276A (ja) 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
KR101448181B1 (ko) 홍삼박한지 및 그 제조방법
CN104770698A (zh) 一种烤鱼专用调味粉料及其制备方法
CN103719298A (zh) 一种紫苏莲子茶干及其制备方法
KR20120027078A (ko) 자색옥수수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7063B1 (ko) 홍삼찌꺼기를 이용한 종이
CN103478904A (zh) 茶树花香型的烟草辅料及烟草制品
KR20140018160A (ko) 생약제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1660B1 (ko) 칼라 엿의 제조방법
CN103734355A (zh) 一种鱼骨保健茶干及其制备方法
RU2757601C9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ар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рисовой крупы
KR20110105289A (ko) 문양이 표현된 다중 만두피 및 그 제조방법
CN104005258A (zh) 一种具有辛辣口感的水松纸及其制备方法
CN105532943A (zh) 一种单泡灵芝松压白茶的制作工艺
KR101439870B1 (ko) 다시마와 청국장을 포함한 마늘 엑기스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4026852A (ja) タバコ充填物集積体
CN105360381A (zh) 丁香花香味茶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