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127B1 -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127B1
KR101447127B1 KR1020130168429A KR20130168429A KR101447127B1 KR 101447127 B1 KR101447127 B1 KR 101447127B1 KR 1020130168429 A KR1020130168429 A KR 1020130168429A KR 20130168429 A KR20130168429 A KR 20130168429A KR 101447127 B1 KR101447127 B1 KR 10144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traight line
center point
circl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심승완
Original Assignee
엠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6Wiring by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단위기판의 경계를 따라 복수의 관통홀들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에서 상기 브릿지를 커팅하기 위한 비트의 이동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은, 상기 브릿지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단위기판의 경계인 제 1 경계라인에 접하는 제 1 원을 형성하고, 상기 브릿지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단위기판의 경계인 제 2 경계라인에 접하는 제 2 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경계라인과 상기 제 1 원이 접하는 제 1 접점에서 상기 제 1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제 1 직선 및 상기 제 2 경계라인과 상기 제 2 원이 접하는 제 2 접점에서 상기 제 2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제 2 직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1 비트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2 비트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과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을 연결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moving route of bit automatically}
본 발명은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에서 단위기판을 분리하기 위하여 비트(bit)를 이용하여 브릿지(bridge)를 커팅함에 있어 단위기판의 경계를 따라 정밀하게 커팅하기 위한 비트의 이동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우팅 장치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장치로서,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동일한 패턴을 절단하여 각각의 스트립으로 분리하는 장치이다. 즉, 기판은 다수 개의 단위기판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위기판은 브릿지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이때의 브릿지를 절삭하여 필요한 단위기판으로 제작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가 라우팅 장치이다.
이러한 라우팅 장치에는 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테이블, 기판으로부터 단위기판을 분리하기 위한 비트, 비트의 고속 회전을 위한 스핀들 모터 등이 갖추어져 있으며, 지그테이블에 기판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비트를 이용하여 기판을 적절히 절단하는 방식으로 라우팅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비트를 이용하여 브릿지를 커팅함으로써 기판으로부터 단위기판을 분리하는 기술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132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비트의 이동경로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워 단위기판의 내부까지 포함하여 브릿지가 커팅되거나 단위기판의 외부로 브릿지의 일부분이 부착된 채로 브릿지가 커팅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판에서 단위기판을 분리하기 위하여 비트(bit)를 이용하여 브릿지(bridge)를 커팅함에 있어 단위기판의 경계를 따라 정밀하게 커팅하기 위한 비트의 이동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기판의 경계를 따라 복수의 관통홀들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에서 상기 브릿지를 커팅하기 위한 비트의 이동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브릿지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단위기판의 경계인 제 1 경계라인에 접하는 제 1 원을 형성하고, 상기 브릿지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단위기판의 경계인 제 2 경계라인에 접하는 제 2 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경계라인과 상기 제 1 원이 접하는 제 1 접점에서 상기 제 1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제 1 직선 및 상기 제 2 경계라인과 상기 제 2 원이 접하는 제 2 접점에서 상기 제 2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제 2 직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1 비트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2 비트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과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을 연결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경우,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과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을 연결한 직선을 따라 상기 비트의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경계라인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와 상기 제 2 경계라인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직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제 1 직선과 상기 제 2 직선 사이의 각도가 상기 직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경우, 상기 제 1 직선과 상기 제 2 직선을 연장하여 만나는 교점에서 상기 제 1 비트중심점 및 상기 제 2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경계라인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와 상기 제 2 경계라인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곡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제 1 직선과 상기 제 2 직선 사이의 각도가 상기 곡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점에서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교점에서 상기 제 2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경우, 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점에서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교점에서 상기 제 2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 타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비트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직선을 따라 상기 제 1 접점에서 상기 비트의 반지름만큼 이동한 지점을 상기 제 1 비트중심점으로 설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직선을 따라 상기 제 2 접점에서 상기 비트의 반지름만큼 이동한 지점을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으로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원과 상기 제 2 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의 일단의 곡면을 따라 상기 제 1 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릿지의 타단의 곡면을 따라 상기 제 2 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은,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홀들 중 일부 및 상기 브릿지가 포함되도록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의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은 기판에서 단위기판을 분리하기 위하여 비트(bit)를 이용하여 브릿지(bridge)를 커팅함에 있어, 단위기판의 경계를 따라 직선형상 뿐 아니라 곡선형상에 대하여도 정밀하게 브릿지를 커팅할 수 있어 기판으로부터 정확한 형상의 단위기판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단위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경우의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경우의 비트 이동경로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은 도 8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단위기판(120)을 포함하는 기판(1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10)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기판(120)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판(110)에서 단위기판(120)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가 라우팅장치이다. 즉, 기판(110)에는 단위기판(120)의 경계를 따라 복수의 관통홀(H)들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BR)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라우팅장치를 이용하여 단위기판(120)과 기판(110)을 연결하고 있는 브릿지(BR)들을 제거함으로써 단위기판(120)을 기판(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브릿지(BR)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라우팅장치는 비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비트가 브릿지(BR)를 커팅하여 기판(110)으로부터 단위기판(120)들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기판(110)에 하나의 단위기판(120)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110)에 복수의 단위기판(120)들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함으로써 단위기판(120)을 기판(110)으로부터 정밀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단위기판(12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비트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단위기판(120)의 형상을 의도한 상태의 형상과 정확하게 일치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를 커팅하는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비트의 이동경로는 경로설정부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경로설정부는 상기 라우팅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상기 경로설정부에서 설정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라우팅장치의 비트가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하나의 브릿지(BR)와 관련된 비트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복수의 비트가 각각 대응하는 브릿지(BR)를 동시에 커팅하도록 복수의 브릿지들과 관련된 비트의 이동경로를 아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동시에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브릿지(BR)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H)(예를 들어, 브릿지(BR)의 좌측에 형성된 관통홀)과 단위기판(120)의 경계인 제 1 경계라인에 접하는 제 1 원을 형성하고, 브릿지(BR)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H)(예를 들어, 브릿지(BR)의 우측에 형성된 관통홀)과 단위기판(120)의 경계인 제 2 경계라인에 접하는 제 2 원을 형성할 수 있다(S210). 그리고 상기 제 1 경계라인과 상기 제 1 원이 접하는 제 1 접점에서 상기 제 1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제 1 직선 및 상기 제 2 경계라인과 상기 제 2 원이 접하는 제 2 접점에서 상기 제 2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제 2 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S220). 다음으로, 상기 제 1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1 비트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2 비트중심점을 설정할 수 있으며(S230),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과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을 연결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S240).
이상과 같은 단계들은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형성되는 관통홀들 중 일부 및 상기 브릿지가 포함되도록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단계는 상기 이미지상의 좌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설정된 상기 이동경로도 좌표로 표현되어 상기 좌표에 매칭되는 실제 위치에 상기 비트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경우와 곡선인 경우를 나누어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경우의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도 3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경우의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거할 브릿지(BR)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같은 이미지는 촬영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실시간 전달되는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좌표에 해당하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도 4는 브릿지(BR)의 양단에 관통홀들(H1, H2)이 형성되어 있고 위쪽 방향이 단위기판(120)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브릿지(BR)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릿지(BR)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H1)과 단위기판(120)의 경계인 제 1 경계라인(CL1)을 설정하고, 브릿지(BR)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홀(H2)과 단위기판(120)의 경계인 제 2 경계라인(CL2)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 1 경계라인(CL1)과 접하는 제 1 원(510_1) 및 제 2 경계라인(CL2)과 접하는 제 2 원(510_2)을 형성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제 1 원(510_1)은 임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1 경계라인(CL1)과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고, 제 1 관통홀(H1)의 경계에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으며, 브릿지(BR)의 일단의 곡면을 따라 제 1 경계라인(CL1)과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제 2 원(510_2)은 임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2 경계라인(CL2)과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고, 제 2 관통홀(H2)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으며, 브릿지(BR)의 타단의 곡면을 따라 제 2 경계라인(CL2)과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다. 다만 제 1 원(510_1) 및 제 2 원(510_2)은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원(510_1) 및 제 2 원(510_2)이 각각 제 1 경계라인(CL1) 및 제 2 경계라인(CL2)에 접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제 1 원(510_1) 및 제 2 원(510_2)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원(510_1) 및 제 2 원(510_2)을 형성한 이후, 제 1 접점(P1)에서 제 1 원(510_1)의 중심점(C1)을 연결한 제 1 직선(L1) 및 제 2 접점(P2)에서 제 2 원(510_2)의 중심점(C2)을 연결한 제 2 직선(L2)을 형성할 수 있다(S320). 제 1 접점(P1)은 제 1 경계라인(CL1)과 제 1 원(510_1)이 접하는 점이고, 제 2 접점(P2)은 제 2 경계라인(CL2)과 제 2 원(510_2)이 접하는 점이다. 제 1 접점(P1), 제 2 접점(P2), 제 1 원(510_1)의 중심점(C1) 및 제 2 원(510_2)의 중심점(C2)은 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이 형성된 경우, 제 1 직선(L1)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1 비트중심점(BC1)을 설정하고, 제 2 직선(L2)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2 비트중심점(BC2)을 설정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S330 단계는 제 1 직선(L1)을 따라 상기 제 1 접점(P1)에서 상기 비트의 반지름만큼 이동한 지점을 제 1 비트중심점(BC1)으로 설정하고, 제 2 직선(L2)을 따라 제 2 접점(P2)에서 상기 비트의 반지름만큼 이동한 지점을 제 2 비트중심점(BC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하여 제 1 경계라인(CL1) 및 제 2 경계라인(CL2)에 상기 비트가 정확하게 접하도록 상기 비트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제 1 비트중심점(BC1) 및 제 2 비트중심점(BC2)을 설정한 이후, 제 1 비트중심점(BC1)과 제 2 비트중심점(BC2)을 연결한 직선을 따라 상기 비트의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610)를 설정할 수 있다(S340). 즉, S330 단계에서 제 1 경계라인(CL1) 및 제 2 경계라인(CL2)에 상기 비트가 정확하게 접하도록 상기 비트의 위치가 설정되었고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는 직선이므로, 제 1 비트중심점(BC1)과 제 2 비트중심점(BC2)을 연결한 직선을 따라 상기 비트의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610)를 설정하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트(710)가 단위기판(120)의 경계를 따라 정확하게 브릿지(BR)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지 여부는 외부입력을 통하여 설정하여 줄 수도 있으며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중간에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경계라인(CL1)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 및 제 2 경계라인(CL2)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직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직선임계범위는 제 1 경계라인(CL1)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 및 제 2 경계라인(CL2)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거의 0도에 가깝거나 180도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직선임계범위를 0도 ~ 10도 및 170도 ~ 180도로 설정한 경우, 제 1 경계라인(CL1)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 및 제 2 경계라인(CL2)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이 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직선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직선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기준선을 제 1 경계라인(CL1)과 수직인 선 또는 제 1 경계라인(CL1)과 특정 지점에서 만나는 임의의 직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각도가 상기 직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직선임계범위는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각도가 거의 0도에 가깝거나 180도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직선임계범위를 0도 ~ 5도 및 175도 ~ 180도로 설정한 경우,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각도가 이 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직선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상기 직선임계범위는 브릿지 커팅의 정밀도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지 판단하는 방법이 이상의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경우의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 내지 도 12은 도 8의 각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경우의 비트 이동경로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거할 브릿지(BR)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같은 이미지는 촬영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실시간 전달되는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좌표에 해당하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도 9는 브릿지(BR)의 양단에는 관통홀들(H1, H2)이 형성되어 있고 아래쪽 방향이 단위기판(120)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브릿지(BR)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릿지(BR)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H1)과 단위기판(120)의 경계인 제 1 경계라인(CL1)을 설정하고, 브릿지(BR)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홀(H2)과 단위기판(120)의 경계인 제 2 경계라인(CL2)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 1 경계라인(CL1)과 접하는 제 1 원(1010_1) 및 제 2 경계라인(CL2)과 접하는 제 2 원(1010_2)을 형성할 수 있다(S810). 예를 들어, 제 1 원(1010_1)은 임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1 경계라인(CL1)과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고, 제 1 관통홀(H1)의 경계에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으며, 브릿지(BR)의 일단의 곡면을 따라 제 1 경계라인(CL1)과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제 2 원(1010_2)은 임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 2 경계라인(CL2)과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고, 제 2 관통홀(H2)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으며, 브릿지(BR)의 타단의 곡면을 따라 제 2 경계라인(CL2)과 접하도록 형성된 원일 수도 있다. 다만 제 1 원(1010_1) 및 제 2 원(1010_2)은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원(1010_1) 및 제 2 원(1010_2)이 각각 제 1 경계라인(CL1) 및 제 2 경계라인(CL2)에 접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제 1 원(1010_1) 및 제 2 원(1010_2)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원(1010_1) 및 제 2 원(1010_2)을 형성한 이후, 제 1 접점(P1)에서 제 1 원(1010_1)의 중심점(C1)을 연결한 제 1 직선(L1) 및 제 2 접점(P2)에서 제 2 원(1010_2)의 중심점(C2)을 연결한 제 2 직선(L2)을 형성할 수 있다(S820). 제 1 접점(P1)은 제 1 경계라인(CL1)과 제 1 원(1010_1)이 접하는 점이고, 제 2 접점(P2)은 제 2 경계라인(CL2)과 제 2 원(1010_2)이 접하는 점이다. 제 1 접점(P1), 제 2 접점(P2), 제 1 원(1010_1)의 중심점(C1) 및 제 2 원(1010_2)의 중심점(C2)은 좌표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이 형성된 경우, 제 1 직선(L1)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1 비트중심점(BC1)을 설정하고, 제 2 직선(L2)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2 비트중심점(BC2)을 설정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S830 단계는 제 1 직선(L1)을 따라 상기 제 1 접점(P1)에서 상기 비트의 반지름만큼 이동한 지점을 제 1 비트중심점(BC1)으로 설정하고, 제 2 직선(L2)을 따라 제 2 접점(P2)에서 상기 비트의 반지름만큼 이동한 지점을 제 2 비트중심점(BC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에 의하여 제 1 경계라인(CL1) 및 제 2 경계라인(CL2)에 상기 비트가 정확하게 접하도록 상기 비트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제 1 비트중심점(BC1) 및 제 2 비트중심점(BC2)을 설정한 이후,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을 연장하여 만나는 교점(PC)에서 제 1 비트중심점(BC1) 및 제 2 비트중심점(BC2)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S840).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을 연장하여 만나는 교점(PC)에서 제 1 비트중심점(BC1)까지의 거리를 R1이라고 하고,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을 연장하여 만나는 교점(PC)에서 제 2 비트중심점(BC2)까지의 거리를 R2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R1과 R2가 동일하면 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고, R1과 R2가 상이하면 타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S830 단계에서 제 1 경계라인(CL1) 및 제 2 경계라인(CL2)에 상기 비트가 정확하게 접하도록 상기 비트의 위치가 설정되었고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는 상기 원의 방정식 또는 상기 타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설정되었으므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트(1210)가 단위기판(120)의 경계를 따라 정확하게 브릿지(BR)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지 여부는 외부입력을 통하여 설정하여 줄 수도 있으며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중간에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경계라인(CL1)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 및 제 2 경계라인(CL2)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곡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곡선임계범위는 제 1 경계라인(CL1)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 및 제 2 경계라인(CL2)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거의 0도나 180도에 가깝지 않다고 볼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곡선임계범위를 10도 ~ 170도로 설정한 경우, 제 1 경계라인(CL1)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 및 제 2 경계라인(CL2)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이 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곡선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직선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기준선을 제 1 경계라인(CL1)과 수직인 선 또는 제 1 경계라인(CL1)과 특정 지점에서 만나는 임의의 직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각도가 상기 곡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곡선임계범위는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각도가 0도나 180도에 가깝지 않다고 볼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곡선임계범위를 5도 ~ 175도로 설정한 경우, 제 1 직선(L1)과 제 2 직선(L2) 사이의 각도가 이 범위에 들어오면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곡선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곡선임계범위는 앞서 설명한 상기 직선임계범위와 중복되지 않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의 상기 곡선임계범위는 브릿지 커팅의 정밀도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지 판단하는 방법이 이상의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브릿지(BR)로 인하여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단위기판(120)의 경계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어 단위기판(120)의 경계를 따라 정확하게 비트가 브릿지를 커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단위기판의 경계를 따라 복수의 관통홀들 및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에서 상기 브릿지를 커팅하기 위한 비트의 이동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단위기판의 경계인 제 1 경계라인에 접하는 제 1 원을 형성하고, 상기 브릿지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단위기판의 경계인 제 2 경계라인에 접하는 제 2 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경계라인과 상기 제 1 원이 접하는 제 1 접점에서 상기 제 1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제 1 직선 및 상기 제 2 경계라인과 상기 제 2 원이 접하는 제 2 접점에서 상기 제 2 원의 중심점을 연결한 제 2 직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1 비트중심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위치할 제 2 비트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과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을 연결하여 상기 비트의 중심이 이동하는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경우,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과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을 연결한 직선을 따라 상기 비트의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경계라인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와 상기 제 2 경계라인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직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제 1 직선과 상기 제 2 직선 사이의 각도가 상기 직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직선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경우, 상기 제 1 직선과 상기 제 2 직선을 연장하여 만나는 교점에서 상기 제 1 비트중심점 및 상기 제 2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경계라인과 기준선 사이의 각도와 상기 제 2 경계라인과 상기 기준선 사이의 각도의 차이가 곡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또는 상기 제 1 직선과 상기 제 2 직선 사이의 각도가 상기 곡선임계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가 곡선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점에서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교점에서 상기 제 2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경우, 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점에서 상기 제 1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교점에서 상기 제 2 비트중심점까지의 거리가 상이한 경우, 타원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트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직선을 따라 상기 제 1 접점에서 상기 비트의 반지름만큼 이동한 지점을 상기 제 1 비트중심점으로 설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직선을 따라 상기 제 2 접점에서 상기 비트의 반지름만큼 이동한 지점을 상기 제 2 비트중심점으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과 상기 제 2 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의 일단의 곡면을 따라 상기 제 1 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릿지의 타단의 곡면을 따라 상기 제 2 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은,
    상기 브릿지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홀들 중 일부 및 상기 브릿지가 포함되도록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비트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의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KR1020130168429A 2013-12-31 2013-12-31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KR10144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29A KR101447127B1 (ko) 2013-12-31 2013-12-31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29A KR101447127B1 (ko) 2013-12-31 2013-12-31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127B1 true KR101447127B1 (ko) 2014-10-07

Family

ID=51996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429A KR101447127B1 (ko) 2013-12-31 2013-12-31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1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0549A (ja) * 1991-12-11 1993-06-25 Hitachi Ltd 印刷配線板の回路パタ−ン切除方法および装置
KR200253189Y1 (ko) 2001-06-23 2001-11-17 플렌티 아이슬랜드(타이완) 코포레이션 Pcb 절단기의 통제 시스템 좌표응용 구조
KR20040096765A (ko) * 2003-05-09 2004-11-17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기판 절단 방법 및 기판 절단 장치
KR100607822B1 (ko) 2005-02-23 2006-08-07 삼성전기주식회사 Pcb 가공용 드릴의 위치와 pcb 설계값을 결정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0549A (ja) * 1991-12-11 1993-06-25 Hitachi Ltd 印刷配線板の回路パタ−ン切除方法および装置
KR200253189Y1 (ko) 2001-06-23 2001-11-17 플렌티 아이슬랜드(타이완) 코포레이션 Pcb 절단기의 통제 시스템 좌표응용 구조
KR20040096765A (ko) * 2003-05-09 2004-11-17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기판 절단 방법 및 기판 절단 장치
KR100607822B1 (ko) 2005-02-23 2006-08-07 삼성전기주식회사 Pcb 가공용 드릴의 위치와 pcb 설계값을 결정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170B1 (ko) 웨이퍼 타공 장치
KR100242503B1 (ko)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패턴의 오정렬 검출 마크
CN104703397A (zh) 一种柔性线路板盲孔加工的方法
KR101447127B1 (ko)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KR101474752B1 (ko) 비트 이동경로 자동설정 방법 및 장치
TWI805633B (zh) 電路板加工方法、其加工裝置及用於其的電路板保持器
JP2008065246A (ja) レイアウトパターン補正装置、レイアウトパターン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14616B1 (ko) 세 개 층의 오버레이를 측정하는 방법
KR100998999B1 (ko) 납땜 페이스트 프린팅 시 기판 및 프린팅 스크린을정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278234B (zh) 增强opc模型在图形偏移上精度的方法
JP2010117851A (ja) レイアウト検証装置、レイアウト装置、レイアウト検証方法、レイアウト検証プログラム、及び配線形成方法
JP6988187B2 (ja) 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4536416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プリント配線基板への部品取付方法
JP2005030793A (ja) 基板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H1041593A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穴明け方法
CN107908873B (zh) 一种高速线跨参考平面的检查方法及装置
KR102177329B1 (ko) 피듀셜 마크 인식 방법
JP7136537B2 (ja) レーザ加工におけるアライメントマーク検出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US8365130B2 (en)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generating wire routing pattern
KR20140017328A (ko) 인쇄회로기판의 장공 가공 방법
CN109668534B (zh) 检测开孔钢板的定位方法
JP6534583B2 (ja) 判定装置、基板検査装置および判定方法
KR20050113255A (ko) 기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킹 소자를 결정하는 방법
JP2014060303A (ja) 電子部品実装基板
JP2009170586A (ja) 電子部品認識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