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096B1 -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096B1
KR101447096B1 KR1020130057351A KR20130057351A KR101447096B1 KR 101447096 B1 KR101447096 B1 KR 101447096B1 KR 1020130057351 A KR1020130057351 A KR 1020130057351A KR 20130057351 A KR20130057351 A KR 20130057351A KR 101447096 B1 KR101447096 B1 KR 101447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electrode
rolling
workpiece
contac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진
김철희
김동철
안영남
이근안
최석우
송정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6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with alternatively operative rolls, e.g. revolver stands, turret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1/00Special rolling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의 냉간 압연시 전류를 인가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링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하는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압연 성형하는 제 1 압연기;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 및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1 전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Electric 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압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plate)의 냉간 압연시 피가공재에 전류를 인가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재 압연 장치는, 이동하는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면서 판재 형태의 피가공물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연롤을 갖는 장치로서, 두껍고 거친 판재를 얇고 매끈한 판재로 제작하는 경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금속에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 밀도로 전기를 공급하면 저항열에 의한 변형과는 달리 고온이 아니더라도 금속의 유동응력이 일시적으로 매우 낮아짐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고 연신율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피가공물에 전류를 공급하면서 성형하는 방법을 통전성형이라 하며, 이러한 통전 성형방법에 의할 시 피가공물인 금속소재가 인장력이나 압축력 등의 외력에 대한 성형성이 향상되며, 성형 과정 중에 원형상으로 돌아가려는 스프링백 현상이 줄어드는 경향을 갖는다.
본 발명은 판재의 냉간 압연시 전류를 인가하는 전방 롤전극과 후방 롤전극을 이용하여 장치의 성형성능을 좋게 하고, 난성형성 소재의 초고강도 강판이나 알루미늄 등 비철합금 판재 등의 피가공물을 성형할 수 있게 하며, 가공을 마친 제품의 스프링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별도의 어닐링 공정이 필요 없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는, 이동하는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압연 성형하는 제 1 압연기;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 및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1 전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압연기는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재결정 온도 이하로 냉간 압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 압연롤을 포함하고, 상기 피가공물은 판재이고, 상기 제 1 압연롤은,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가로질러 형성되는 압연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적어도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전방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전방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좌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우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좌측면에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외경면을 갖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기둥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외경면에 줄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전축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재질부; 및 상기 제 1 재질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외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재질부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재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형상의 베어링 전극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압연기는,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어 1차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 압연롤; 및 상기 제 1 압연롤과 이격되어 연달아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어 N차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N 압연롤(N은 2 이상의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는, 이동하는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M차 압연 성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M 압연롤을 갖는 제 M 압연기(M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제 M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 상기 제 M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 및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M 전기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는,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을 상기 피가공물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피가공물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는,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의 표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커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는,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에 전도성 오일을 공급하는 전도성 오일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방법은, 피가공물의 재결정 온도 이하로 냉간 압연하는 제 1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과,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피가공물을 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공이 어려운 피가공물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작은 힘으로도 성형이 가능하고 어닐링이 불필요하여 장치 용량 및 장비 설치 비용은 줄이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백 현상을 줄여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방 롤전극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방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방 롤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전방 롤전극 또는 후방 롤전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방 롤전극 또는 후방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전방 롤전극 또는 후방 롤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전방 롤전극 또는 후방 롤전극의 베어링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전방 롤전극 또는 후방 롤전극의 브러쉬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제 1 압연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가 피가공물에 복수개로 나란히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전방 롤전극 또는 후방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전방 롤전극 또는 후방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전방 롤전극 또는 후방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전방 우측 롤전극과 전방 좌측 롤전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1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100)는, 크게 제 1 압연기(11)와, 전방 롤전극(FR)과, 후방 롤전극(RR) 및 제 1 전기 공급부(C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물(1)은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판재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소재, 마그네슘 소재, 티타늄 소재, 스틸 소재, 구리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압연기(11)는, 이동하는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의 재결정 온도 이하의 상기 피가공물(1)을 냉간 압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압연기(11)은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상기 피가공물(1)의 상면(1-1) 및 하면(1-2)을 가압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피가공물(1)의 상면(1-1) 및 하면(1-2)을 각각 가로질러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 압연롤(11-1)을 포함할 수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압연기(11)는, 상기 피가공물(1)의 두께를 얇게 하는 압연 성형기를 예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이동하는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상기 피가공물(1)을 압연 성형하는 모든 종류의 성형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롤전극(FR)은 상기 제 1 압연기(11)을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롤전극(RR)은 상기 제 1 압연기(11)을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롤전극(FR) 및 상기 후방 롤전극(RR)은 전부 또는 일부가 전류가 인가되지 않고, 단지 아이들링하면서 상기 피가공물(1)을 회전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는, 상기 전방 롤전극(FR)과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FR)과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는, 적어도 교류, 직류, 펄스파 및 이들을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공급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는 피가공물(1)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대략 20 내지 100 A/mm2를 갖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밀도는 상기 피가공물(1)의 내부조직을 변화시켜 강도가 감소하면서 연신율이 향상되도록 하여 통전성형이 가능하게 하는 전류 밀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가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통전성형이 가능한 전류 밀도의 전류를 연속적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낮은 성형력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가공물(1)은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를 통과하면서 높은 전류 밀도로 인해 금속 내부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어닐링 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는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마찰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전류를 공급하더라도 전기 공급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상기 피가공물(1)에 상처를 주지 않는 등 상기 피가공물(1)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방 롤전극(FR)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방 롤전극(F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방 롤전극(FR)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롤전극(FR)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RR)는, 상기 피가공물(1)의 상면(1-1)에 접촉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에 접촉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1-3) 및 우측면(1-4)에 접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2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롤전극(FR)가 상기 피가공물(1)의 상면(1-1)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RR)는 상기 피가공물(1)의 하면(1-2)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전류가 골고루 흐를 수 있도록 전류의 방향은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부로 대각선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역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방 롤전극(FR)가 상기 피가공물(1)의 하면(1-2)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RR)는 상기 피가공물(1)의 상면(1-1)에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3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롤전극(FR)가 상기 피가공물(1)의 좌측면(1-3)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RR)는 상기 피가공물(1)의 우측면(1-4)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의 폭이 넓을 경우,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전류가 골고루 흐를 수 있도록 전류의 방향은 전방 좌측에서 후방 우측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역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방 롤전극(FR)가 상기 피가공물(1)의 우측면(1-4)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RR)는 상기 피가공물(1)의 좌측면(1-3)에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4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5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방향이 X자 형태로 교차될 수 있도록 전방 롤전극(FR1)와 후방 롤전극(RR1)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 1-1 전기 공급부(C1-1) 및 전방 롤전극(FR2)와 후방 롤전극(RR2)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 1-2 전기 공급부(C1-2)를 이용하여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전류가 골고루 흐를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은 전류의 방향이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부 및 전방 하부에서 후방 상부로 X자 형태로 교차할 수 있고, 도 8은 전방 좌측에서 후방 우측 및 전방 우측에서 후방 좌측으로 X자 형태로 교차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전방 롤전극(FR) 또는 후방 롤전극(RR)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롤전극(FR)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RR)는, 상기 피가공물(1)과 접촉되는 외경면(20a)을 갖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기둥형상의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20)의 좌측면(20b) 및 우측면(20c)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회전축(21a)을 이루는 회전축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회전축부(21)를 기준으로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전방 롤전극(FR) 또는 후방 롤전극(R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외경면(20a)에 줄홈(22)이 형성되어 줄홈(22) 사이로 이물질들을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20)를 경량화하거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홈 등을 이용하여 줄홈(22)의 간격을 조정하여 다양한 피가공물(1)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도 9의 전방 롤전극(FR) 또는 후방 롤전극(RR)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 및 상기 회전축부(21)는, 경제성이나 전도도 등을 고려하여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재질부(20-1) 및 상기 제 1 재질부(20-1)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외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재질부(20-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재질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재질부(20-1)는 마찰에 대한 저항성이 높거나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탄소 코팅 소재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재질부(20-2)는 강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어, 각종 강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전방 롤전극(FR) 또는 후방 롤전극(RR)의 베어링 전극(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21)는, 안정적인 통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형상의 베어링 전극(30)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전방 롤전극(FR) 또는 후방 롤전극(RR)의 브러쉬 전극(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21)는, 안정적인 통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의 제 1 압연기(11)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압연기(11)는,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어 1차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 압연롤(11-1)과, 상기 제 1 압연롤(11-1)과 이격되어 연달아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2차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2 압연롤(11-2) 및 상기 제 2 압연롤(11-2)과 이격되어 연달아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3차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3 압연롤(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압연롤(11-1)과 이격되어 연달아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N차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N 압연롤(N은 2 이상의 정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제 1 전기 공급부(C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압연롤(11-1), 제 2 압연롤(11-2) 및 제 3 압연롤(11-3)을 지나는 상기 피가공물(1)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100)가 피가공물에 복수개로 나란히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는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을 2차 압연 성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2 압연롤(12-1)을 갖는 제 2 압연기(12)와, 상기 제 2 압연기(12)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제 2 압연기(12)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RR) 및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2 전기 공급부(C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하는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을 3차 압연 성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3 압연롤(13-1)을 갖는 제 3 압연기(13)와, 상기 제 3 압연기(13)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제 3 압연기(13)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RR) 및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3 전기 공급부(C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기 공급부(C1), 제 2 전기 공급부(C2) 및 제 3 전기 공급부(C3)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압연롤(11-1), 제 2 압연롤(12-1) 및 제 3 압연롤(13-1)을 지나는 상기 피가공물(1)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하는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을 2차 압연 성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2 압연롤(11-2)을 갖는 제 2 압연기(12)(M은 2 이상의 정수)와, 상기 제 M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제 M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RR) 및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FR)와 상기 후방 롤전극(RR)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M 전기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의 전방 롤전극(FR) 또는 후방 롤전극(R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는, 상기 전방 롤전극(FR)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RR)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FR)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RR)을 상기 피가공물(1)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피가공물(1)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 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에 요철이 있거나 다양한 표면이 존재하거나 이물질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5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단자 접촉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7은 도 1의 전방 롤전극(FR) 또는 후방 롤전극(R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는, 상기 전방 롤전극(FR)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RR)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FR)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RR)의 표면과 접촉되어 이물질(2)을 분리하는 스커트 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2)을 비롯하여 단자 표면의 녹 찌꺼기를 제거하여 전기 접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은 도 1의 전방 롤전극(FR) 또는 후방 롤전극(R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는, 상기 전방 롤전극(FR)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RR)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FR)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RR)에 전도성 오일(3)을 공급하는 전도성 오일 공급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오일(3)을 이용하여 전기 접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6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전방 우측 롤전극(FR-R)와 전방 좌측 롤전극(FR-L)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1)의 전방 우측에 접촉되는 전방 우측 롤전극(FR-R1)(FR-R2) 및 상기 피가공물(1)의 전방 좌측에 접촉되는 전방 좌측 롤전극(FR-L1)(FR-L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1)의 후방 우측에 접촉되는 후방 우측 롤전극(RR-R1)(RR-R2) 및 상기 피가공물(1)의 후방 좌측에 접촉되는 후방 좌측 롤전극(RR-L1)(RR-L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기 공급부는, 상기 전방 우측 롤전극(FR-R1)(FR-R2)와, 상기 후방 우측 롤전극(RR-R1)(RR-R2)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우측 전기 공급부(C-R1)(C-R2) 및 상기 전방 좌측 롤전극(FR-L1)(FR-L2)와, 상기 후방 좌측 롤전극(RR-L1)(RR-L2)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좌측 전기 공급부(C-L1)(C-L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우측 전기 공급부(C-R1)(C-R2)는, 상기 전방 우측 롤전극(FR-R1)(FR-R2)와, 상기 후방 우측 롤전극(RR-R1)(RR-R2)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피가공물(1)의 우측에서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좌측 전기 공급부(C-L1)(C-L2)는, 상기 전방 좌측 롤전극(FR-L1)(FR-L2)와, 상기 후방 좌측 롤전극(RR-L1)(RR-L2)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피가공물(1)의 좌측에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우측 롤전극(FR-R1) 또는 상기 전방 좌측 롤전극(FR-L1)는, 상기 피가공물(1)의 테두리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기 용이한 상기 피가공물(1)의 테두리부분에 충분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상기 전방 우측 롤전극(FR-R1)(FR-R2) 및 상기 전방 좌측 롤전극(FR-L1)(FR-L2)을 포함한 상기 전방 롤전극(FR-R1)(FR-R2)(FR-L1)(FR-L2)는 총 4개이고, 상기 후방 우측 롤전극(RR-R1)(RR-R2) 및 상기 후방 좌측 롤전극(RR-L1)(RR-L2)을 포함한 상기 후방 롤전극(RR-R1)(RR-R2)(RR-L1)(RR-L2)는 총 4개인 것이 예시되었으나, 이외에도 상기 전방 롤전극 및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1)의 폭이나 가공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개의 롤전극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를 이용한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방법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피가공물(1)의 재결정 온도 이하의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상기 피가공물(1)을 압연 성형하는 압연기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과,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피가공물을 성형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피가공물
1-1: 상면
1-2: 하면
1-3: 좌측면
1-4: 우측면
2: 이물질
3: 전도성 오일
11: 제 1 압연기
11-1: 제 1 압연롤
11-2: 제 2 압연롤
11-3: 제 3 압연롤
12: 제 2 압연기
12-1: 제 2 압연롤
13: 제 3 압연기
13-1: 제 3 압연롤
FR, FR1, FR2: 전방 롤전극
RR, RR2, RR2: 후방 롤전극
C1: 제 1 전기 공급부
C1-1: 제 1-1 전기 공급부
C1-2: 제 1-2 전기 공급부
C2: 제 2 전기 공급부
C3: 제 3 전기 공급부
100, 200, 300, 400, 500, 600: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20: 몸체부
20a: 외경면
20b: 좌측면
20c: 우측면
21: 회전축부
21a: 회전축
22: 줄홈
20-1: 제 1 재질부
20-2: 제 2 재질부
30: 베어링 전극
40: 브러쉬 전극
50: 탄성 부재
60: 스커트 부재
70: 전도성 오일 공급관
FR-R1, FR-R2: 전방 우측 롤전극
FR-L1, FR-L2: 전방 좌측 롤전극
RR-R1, RR-R2: 후방 우측 롤전극
RR-L1, RR-L1: 후방 좌측 롤전극
E: 모서리 접촉 경사면
C-R1, C-R2: 우측 전기 공급부
C-L1, C-L2: 좌측 전기 공급부

Claims (17)

  1. 이동하는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압연 성형하는 제 1 압연기;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 및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1 전기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외경면을 갖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기둥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전축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재질부; 및
    상기 제 1 재질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외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재질부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재질부;
    를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연기는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재결정 온도 이하로 냉간 압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 압연롤을 포함하고,
    상기 피가공물은 판재이고, 상기 제 1 압연롤은,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 및 하면을 가압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가로질러 형성되는 압연롤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적어도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접촉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좌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우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좌측면에 접촉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6. 삭제
  7. 이동하는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압연 성형하는 제 1 압연기;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 및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1 전기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외경면을 갖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기둥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외경면에 줄홈이 형성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형상의 베어링 전극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연기는,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어 1차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 압연롤; 및
    상기 제 1 압연롤과 이격되어 연달아 배치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어 N차 가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N 압연롤(N은 2 이상의 정수);
    을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12. 이동하는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압연 성형하는 제 1 압연기;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
    상기 제 1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 및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1 전기 공급부;
    를 포함하고,
    이동하는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을 M차 압연 성형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제 M 압연롤을 갖는 제 M 압연기(M은 2 이상의 정수);
    상기 제 M 압연기를 지나기 이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방 롤전극;
    상기 제 M 압연기를 지난 이후의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후방 롤전극; 및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전방 롤전극과 상기 후방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M 전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을 상기 피가공물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피가공물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의 표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커트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롤전극 또는 상기 후방 롤전극에 전도성 오일을 공급하는 전도성 오일 공급관;
    를 더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전방 우측에 접촉되는 전방 우측 롤전극; 및 상기 피가공물의 전방 좌측에 접촉되는 전방 좌측 롤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후방 우측에 접촉되는 후방 우측 롤전극; 및 상기 피가공물의 후방 좌측에 접촉되는 후방 좌측 롤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는, 상기 전방 우측 롤전극과, 상기 후방 우측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우측 전기 공급부; 및 상기 전방 좌측 롤전극과, 상기 후방 좌측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좌측 전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17. 삭제
KR1020130057351A 2013-05-21 2013-05-21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KR10144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351A KR101447096B1 (ko) 2013-05-21 2013-05-21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351A KR101447096B1 (ko) 2013-05-21 2013-05-21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096B1 true KR101447096B1 (ko) 2014-10-07

Family

ID=5199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351A KR101447096B1 (ko) 2013-05-21 2013-05-21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0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712A (ja) * 1996-01-11 1997-07-29 Sumitomo Metal Ind Ltd 高硬度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H09253729A (ja) * 1996-03-21 1997-09-30 Matsumoto Seiki Kk 棒材・線材の直接通電加熱圧延法
JP2003290810A (ja) * 2002-03-29 2003-10-14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Industrial Science 通電加熱装置及び通電加熱方法
CN202169276U (zh) 2011-02-09 2012-03-21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电致塑性与温塑性结合轧制金属材料的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712A (ja) * 1996-01-11 1997-07-29 Sumitomo Metal Ind Ltd 高硬度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H09253729A (ja) * 1996-03-21 1997-09-30 Matsumoto Seiki Kk 棒材・線材の直接通電加熱圧延法
JP2003290810A (ja) * 2002-03-29 2003-10-14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Industrial Science 通電加熱装置及び通電加熱方法
CN202169276U (zh) 2011-02-09 2012-03-21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电致塑性与温塑性结合轧制金属材料的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02008B (zh) 一种多辊轧机轧制三层复合极薄带的方法
KR101487469B1 (ko) 전기 통전 방식의 롤성형 장치 및 방법
WO2013081180A1 (en) Direct resistance heating apparatus and direct resistance heating method
US5418073A (en) Method of forming noise-damping composite with externally galvanized surfaces and composite formed thereby
KR20160139572A (ko) 전기 통전 방식의 지그 장치 및 자동차용 판재 성형 방법
CN110944763B (zh) 低压轧制的微纹理化表面
US20140356548A1 (en) Electromagnetic wiping device, steel sheet wiping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sheet
KR101447096B1 (ko)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CN103563026A (zh) 蛇腹管以及用于制造蛇腹管的方法
KR20150016217A (ko) 작업편 상에 성막 금속을 전해 성막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0041210A (ja) 高耐久性銀めっきフープ材
KR20140137064A (ko) 전기 통전 방식의 마찰교반접합 장치 및 방법
EP0181755B1 (en) Method for holding a moving film
KR20140136815A (ko) 전기 통전 방식의 선재 인발 장치 및 방법
CN102373497A (zh) 电镀装置及电镀方法
KR20140137066A (ko)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
KR20140137063A (ko) 전기 통전 방식의 관재 인발 장치 및 방법
JP3154267U (ja) めっき処理物保持具
US20130280553A1 (en) Workpiece having glossy coating layer
JP2014080652A (ja) めっき装置
KR20060013211A (ko) 반복겹침접합압연공정에 의한 고강도 구리판재 제조방법
JP7392520B2 (ja) 除電装置及び除電方法
KR102140183B1 (ko) 전기도금설비의 에지마스크 장치
JPH08264261A (ja) リバース式圧延装置
US3734384A (en) Apparatus for roll pressure bo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