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066A -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066A
KR20140137066A KR1020130057363A KR20130057363A KR20140137066A KR 20140137066 A KR20140137066 A KR 20140137066A KR 1020130057363 A KR1020130057363 A KR 1020130057363A KR 20130057363 A KR20130057363 A KR 20130057363A KR 20140137066 A KR20140137066 A KR 2014013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electrode
workpiece
electrode
contac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236B1 (ko
Inventor
김철희
강문진
김동철
유희수
안영남
박태순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2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링시 전류를 인가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링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 상기 밀링 커터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에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 롤전극; 상기 밀링 커터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에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2 롤전극; 및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Electric milling apparatus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밀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링시 피가공재에 전류를 인가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링 장치는, 피가공물과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밀링 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표면을 절삭하는 장치이다.
한편, 금속에 일정 수준 이상의 전류 밀도로 전기를 공급하면 저항열에 의한 변형과는 달리 고온이 아니더라도 금속의 유동응력이 일시적으로 매우 낮아짐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고 연신율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피가공물에 전류를 공급하면서 성형하는 방법을 통전성형이라 하며, 이러한 통전 성형방법에 의할 시 피가공물인 금속소재가 인장력이나 압축력 등의 외력에 대한 성형성이 향상되며, 성형 과정 중에 원형상으로 돌아가려는 스프링백 현상이 줄어드는 경향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밀링시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롤전극과 제 2 롤전극을 이용하여 장치의 성형성능을 좋게 하고, 난성형성을 가지는 고강도 재질의 피가공물을 성형할 수 있게 하며, 가공을 마친 제품의 스프링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별도의 어닐링 공정이 필요 없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는,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 상기 밀링 커터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에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 롤전극; 상기 밀링 커터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에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2 롤전극; 및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밀링 커터는 상기 피가공물의 표면을 회전 절삭하는 커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적어도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좌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우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좌측면에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외경면을 갖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기둥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외경면에 줄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전축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재질부; 및 상기 제 1 재질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외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재질부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재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형상의 베어링 전극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는,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을 상기 피가공물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피가공물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는,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의 표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커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는,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에 전도성 오일을 공급하는 전도성 오일 공급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전방 우측에 접촉되는 전방 우측 롤전극; 및 상기 피가공물의 전방 좌측에 접촉되는 전방 좌측 롤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후방 우측에 접촉되는 후방 우측 롤전극; 및 상기 피가공물의 후방 좌측에 접촉되는 후방 좌측 롤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전방 우측 롤전극과, 상기 후방 좌측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1 전기 공급부; 및 상기 전방 좌측 롤전극과, 상기 후방 우측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2 전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는,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 상기 밀링 커터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 단자; 상기 밀링 커터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롤전극; 및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방법은,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제 1 롤전극과, 상기 밀링 커터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제 2 롤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피가공물을 절삭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공이 어려운 피가공물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작은 힘으로도 성형이 가능하고 어닐링이 불필요하여 장치 용량 및 장비 설치 비용은 줄이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백 현상을 줄여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롤전극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 1 롤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제 1 롤전극 또는 제 2 롤전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 1 롤전극 또는 제 2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제 1 롤전극 또는 제 2 롤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제 1 롤전극 또는 제 2 롤전극의 베어링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제 1 롤전극 또는 제 2 롤전극의 브러쉬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제 1 롤전극 또는 제 2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제 1 롤전극 또는 제 2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제 1 롤전극 또는 제 2 롤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1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100)는, 크게 밀링 커터(11)와, 제 1 롤전극(RR)과, 제 2 롤전극(LR) 및 제 1 전기 공급부(C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가공물(1)은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소재, 마그네슘 소재, 티타늄 소재, 스틸 소재, 구리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링 커터(11)는, 이동하는 피가공물(1)의 표면과 회전 접촉되면서 상기 피가공물(1)의 표면을 절삭하는 것으로서, 상기 밀링 커터(11)는 회전축을 따라 고속으로 회전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등 모든 종류의 커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롤전극(RR)는 상기 밀링 커터(11)의 우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롤전극(LR)는 상기 밀링 커터(11)의 좌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롤전극(RR) 및 상기 제 2 롤전극(LR)은, 전부 또는 일부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고, 단지 아이들링되면서, 상기 피가공물(1)을 회전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는, 상기 제 1 롤전극(RR)와 상기 제 2 롤전극(L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전극(RR)와 상기 제 2 롤전극(LR)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는, 적어도 교류, 직류, 펄스파 및 이들을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공급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는 피가공물(1)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롤전극(RR)와 상기 제 2 롤전극(L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흐르는 전류의 밀도가 대략 20 내지 100 A/mm2를 갖도록 상기 제 1 롤전극(RR)와 상기 제 2 롤전극(LR)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밀도는 상기 피가공물(1)의 내부조직을 변화시켜 강도가 감소하면서 연신율이 향상되도록 하여 통전성형이 가능하게 하는 전류 밀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가 상기 제 1 롤전극(RR)과 상기 제 2 롤전극(LR)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롤전극(RR)와 상기 제 2 롤전극(L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통전성형이 가능한 전류 밀도의 전류를 연속적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낮은 성형력을 이용하여 피가공물(1)을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가공물(1)은 상기 제 1 롤전극(RR)와 상기 제 2 롤전극(LR) 사이를 통과하면서 높은 전류 밀도로 인해 금속 내부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어닐링 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롤전극(RR)와 상기 제 2 롤전극(LR)는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마찰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전류를 공급하더라도 전기 공급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상기 피가공물(1)에 상처를 주지 않는 등 상기 피가공물(1)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 1 롤전극(RR)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 1 롤전극(R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 1 롤전극(RR)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롤전극(RR)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LR)는, 상기 피가공물(1)의 상면(1-1)에 접촉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1-2)에 접촉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1-3) 및 우측면(1-4)에 접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2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롤전극(RR)가 상기 피가공물(1)의 상면(1-1)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LR)는 상기 피가공물(1)의 하면(1-2)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전류가 골고루 흐를 수 있도록 전류의 방향은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부로 대각선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역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롤전극(RR)가 상기 피가공물(1)의 하면(1-2)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LR)는 상기 피가공물(1)의 상면(1-1)에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3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롤전극(RR)가 상기 피가공물(1)의 좌측면(1-3)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LR)는 상기 피가공물(1)의 우측면(1-4)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의 폭이 넓을 경우,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전류가 골고루 흐를 수 있도록 전류의 방향은 전방 좌측에서 후방 우측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역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롤전극(RR)가 상기 피가공물(1)의 우측면(1-4)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LR)는 상기 피가공물(1)의 좌측면(1-3)에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4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5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방향이 X자 형태로 교차될 수 있도록 제 1 롤전극(RR1)와 제 2 롤전극(LR1)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 1-1 전기 공급부(C1-1) 및 제 1 롤전극(RR2)와 제 2 롤전극(LR2)에 전기를 공급하는 제 1-2 전기 공급부(C1-2)를 이용하여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전류가 골고루 흐를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은 전류의 방향이 상기 밀링 커터(11)를 기준으로 서로 교차각(A2)을 이루면서 경사각(A1)을 이루는 배치선(K2) 및 배치선(K3) 상에 상기 제 1 롤전극(RR1)와 제 2 롤전극(LR1) 및 제 1 롤전극(RR2)와 제 2 롤전극(LR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각(A2)는 직각일 수 있고, 경사각(A1)은 45도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의 형태가 전방 우측에서 후방 좌측 및 전방 좌측에서 후방 우측으로 X자 형태로 교차할 수 있고, 도 8은 이러한 교차 전류를 위해서, 상기 제 1 롤전극(RR1)와 제 2 롤전극(LR1) 및 제 1 롤전극(RR2)와 제 2 롤전극(LR2)가 상기 피가공물(1)의 좌측면(1-3) 및 우측면(1-4)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제 1 롤전극(RR) 또는 제 2 롤전극(LR)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롤전극(RR)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LR)는, 상기 피가공물(1)과 접촉되는 외경면(20a)을 갖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기둥형상의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20)의 좌측면(20b) 및 우측면(20c)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회전축(21a)을 이루는 회전축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회전축부(21)를 기준으로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제 1 롤전극(RR) 또는 제 2 롤전극(L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외경면(20a)에 줄홈(22)이 형성되어 줄홈(22) 사이로 이물질들을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몸체부(20)를 경량화하거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나사홈 등을 이용하여 줄홈(22)의 간격을 조정하여 다양한 피가공물(1)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도 9의 제 1 롤전극(RR) 또는 제 2 롤전극(LR)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 및 상기 회전축부(21)는, 경제성이나 전도도 등을 고려하여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재질부(20-1) 및 상기 제 1 재질부(20-1)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외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재질부(20-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재질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재질부(20-1)는 마찰에 대한 저항성이 높거나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탄소 코팅 소재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재질부(20-2)는 강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어, 각종 강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의 제 1 롤전극(RR) 또는 제 2 롤전극(LR)의 베어링 전극(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21)는, 안정적인 통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형상의 베어링 전극(30)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제 1 롤전극(RR) 또는 제 2 롤전극(LR)의 브러쉬 전극(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부(21)는, 안정적인 통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C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은 도 1의 제 1 롤전극(RR) 또는 제 2 롤전극(L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는, 상기 제 1 롤전극(RR)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LR)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RR)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LR)을 상기 피가공물(1)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피가공물(1)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 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가공물(1)에 요철이 있거나 다양한 표면이 존재하거나 이물질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5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단자 접촉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5은 도 1의 제 1 롤전극(RR) 또는 제 2 롤전극(L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는, 상기 제 1 롤전극(RR)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LR)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RR)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LR)의 표면과 접촉되어 이물질(2)을 분리하는 스커트 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2)을 비롯하여 단자 표면의 녹 찌꺼기를 제거하여 전기 접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의 제 1 롤전극(RR) 또는 제 2 롤전극(LR)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는, 상기 제 1 롤전극(RR)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LR)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RR)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LR)에 전도성 오일(3)을 공급하는 전도성 오일 공급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오일(3)을 이용하여 전기 접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6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600)는, 피가공물(1)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11)와, 상기 밀링 커터(11)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 단자(80)와, 상기 밀링 커터(11)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1)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롤전극(LR) 및 상기 제 1 단자(80)와 상기 롤전극(LR)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1)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단자(80)와 상기 롤전극(LR)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기 공급부(C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자(80)는, 클램프나, 용접부나 커넥터 등 상기 피가공물(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모든 형태의 단자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자(80)는 상기 피가공물(1)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롤전극(LR)는 상기 피가공물(1)의 타측에 구름 접촉되면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를 이용한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방법은,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제 1 롤전극과, 상기 밀링 커터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제 2 롤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피가공물
1-1: 상면
1-2: 하면
1-3: 좌측면
1-4: 우측면
2: 이물질
3: 전도성 오일
11: 밀링 커터
RR, RR1, RR2: 제 1 롤전극
LR, LR1, LR2: 제 2 롤전극
C1: 제 1 전기 공급부
C1-1: 제 1-1 전기 공급부
C1-2: 제 1-2 전기 공급부
100, 200, 300, 400, 500, 600: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20: 몸체부
20a: 외경면
20b: 좌측면
20c: 우측면
21: 회전축부
21a: 회전축
22: 줄홈
20-1: 제 1 재질부
20-2: 제 2 재질부
30: 베어링 전극
40: 브러쉬 전극
50: 탄성 부재
60: 스커트 부재
70: 전도성 오일 공급관
80: 제 1 단자

Claims (16)

  1.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
    상기 밀링 커터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에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 롤전극;
    상기 밀링 커터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에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2 롤전극; 및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링 커터는 상기 피가공물의 표면을 회전 절삭하는 커터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적어도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접촉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하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좌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우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1 롤전극이 상기 피가공물의 우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좌측면에 접촉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외경면을 갖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기둥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회전축을 이루는 회전축부;
    를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외경면에 줄홈이 형성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회전축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재질부; 및
    상기 제 1 재질부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외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재질부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재질부;
    를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링형상의 베어링 전극을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브러쉬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을 상기 피가공물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피가공물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의 표면과 접촉되어 이물질을 분리하는 스커트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전극 또는 상기 제 2 롤전극에 전도성 오일을 공급하는 전도성 오일 공급관;
    를 더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전방 우측에 접촉되는 전방 우측 롤전극; 및 상기 피가공물의 전방 좌측에 접촉되는 전방 좌측 롤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롤전극은, 상기 피가공물의 후방 우측에 접촉되는 후방 우측 롤전극; 및 상기 피가공물의 후방 좌측에 접촉되는 후방 좌측 롤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공급부는, 상기 전방 우측 롤전극과, 상기 후방 좌측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1 전기 공급부; 및 상기 전방 좌측 롤전극과, 상기 후방 우측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제 2 전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15.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
    상기 밀링 커터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 단자;
    상기 밀링 커터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고, 상기 피가공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롤전극; 및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16.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의 일측 방향에 설치되어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제 1 롤전극과, 상기 밀링 커터의 타측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피가공물과 구름 접촉되는 제 2 롤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의 상기 피가공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롤전극과 상기 제 2 롤전극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상기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방법.
KR1020130057363A 2013-05-21 2013-05-21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 KR10152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363A KR101529236B1 (ko) 2013-05-21 2013-05-21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363A KR101529236B1 (ko) 2013-05-21 2013-05-21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066A true KR20140137066A (ko) 2014-12-02
KR101529236B1 KR101529236B1 (ko) 2015-06-17

Family

ID=5245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363A KR101529236B1 (ko) 2013-05-21 2013-05-21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292B1 (ko) 2020-04-07 2021-08-2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전 밀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826Y2 (ja) * 1991-09-10 1997-04-1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通電加熱装置
JP2005281801A (ja) * 2004-03-30 2005-10-1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薄板金属の通電加熱装置および通電加熱方法
JP2006231346A (ja) * 2005-02-22 2006-09-07 Nissan Motor Co Ltd 線材の溶接装置
KR101184311B1 (ko) * 2009-06-26 2012-09-21 한국기계연구원 예열선삭공정이 적용된 밀링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236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6813B2 (en) Accumula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welding technique for a cell connector element
KR101529236B1 (ko) 전기 통전 방식의 밀링 장치 및 방법
KR20140137064A (ko) 전기 통전 방식의 마찰교반접합 장치 및 방법
US8138442B2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method, semiconductor wafer manufacturing method, and solar battery cell manufacturing method
US20150204370A1 (en) Earth bolt
US20160344127A1 (en) Electroconductive material with an undulating surface, an electrical terminal formed of said material, and a method of producing said material
JP3450333B2 (ja) 連続的にむらなく電解金属化乃至エッチ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50255632A1 (en) Solar cell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 and method
CN106402101A (zh) 用于扩宽电缆编织屏蔽的电缆夹持装置
KR101487469B1 (ko) 전기 통전 방식의 롤성형 장치 및 방법
JP2016513752A (ja) エッジの過メッキを防止するための電気メッキ装置
KR101447096B1 (ko) 전기 통전 방식의 압연 장치
US20080128289A1 (en) Coating for making electrical contact
CN104704140A (zh) 在线式涂敷装置、在线式涂敷方法以及隔板
JP3154267U (ja) めっき処理物保持具
KR20140136815A (ko) 전기 통전 방식의 선재 인발 장치 및 방법
CA2341218A1 (en) Contact element
KR20140137063A (ko) 전기 통전 방식의 관재 인발 장치 및 방법
JP2014080652A (ja) めっき装置
CN106695035B (zh) 一种具有修复工具电极的铣削放电加工装置及方法
US20170097212A1 (en) Electric reactive armour
KR20160077864A (ko) 에지 영역 과도금 방지를 위한 전기 도금 장치
CN112030219B (zh) 一种分段式导电辊
CN212540655U (zh) 过大电流导电pcb板
US20030201871A1 (en) Process for producing new metal strip resistors and thei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