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394B1 -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394B1
KR101444394B1 KR1020070138740A KR20070138740A KR101444394B1 KR 101444394 B1 KR101444394 B1 KR 101444394B1 KR 1020070138740 A KR1020070138740 A KR 1020070138740A KR 20070138740 A KR20070138740 A KR 20070138740A KR 101444394 B1 KR101444394 B1 KR 10144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ductive
group
polyurethan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652A (ko
Inventor
정민기
Original Assignee
유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3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층, 폴리우레탄층 및 도전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는 충격흡수를 위하여 폴리우레탄을 재질로 사용하며, 표면 도전 코팅처리를 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내외장에 도입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대전현상에 의한 정적 및 동적 상태에서의 장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흡수, 실링, 폴리우레탄, 도전

Description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CONDUCTIVE SHEET FOR ABSORBING IMPACT AND SEALING}
본 발명은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기기의 내외장에 도입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대전현상에 의한 정적 및 동적상태에서의 장해를 방지하고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텔레비전 및 액정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기기들은 정밀한 기계부품 및 전자소자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자기기들은 외부로부터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고장을 일으키거나 파손되고,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전자기기 내의 공기흐름을 방해하여 전자소자의 과열을 유발하며,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또한 전자기기 내의 소자들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 전자파나 전자기파는 주변의 전기, 전자 소자의 기능을 혼란시키고, 성능을 저하시키며, 수명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불량제품 생성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외장의 틈새를 막을 수 있는 실링(sealing) 역할을 하는 시트를 설치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15239호는 액정표시장치의 가이드 패널에 의해 광학시트들이 손상되거나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가이드와 도광판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고, 이들 사이의 갭을 통해 열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간격유지/열차단 부재를 설치함을 언급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열차단 부재의 재질로 실리콘 재질의 패드를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58055호는 액정표시장치의 중력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 사이에 별도의 탄성층을 형성함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탄성층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1,4-부탄디올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제조 후, 기판 상에 코팅 후 경화시켜 폴리우레탄 고무 재질의 층을 형성한다.
상기 특허공개공보 제2002-0015239호 및 제2005-0058055호에서 형성되는 간격유지/열차단 부재 또는 탄성층은 각각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 고무들을 사용함으로써 가전기구 및 전자기기에 탄성 및 높은 실링 효과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개공보 제2005-0058055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탄성층을 형성하기 위해선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 후 패턴에 따라 코팅을 수행해야 하는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반면에 상기 특허공개공보 제2002-0015239호의 실리콘 패드는 시트 형태로 제작되어 각종 가전기구 및 전자기기에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리콘 패드와 같은 시트는 패드의 일측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붙여 전자기기에 부착시키거나, 패드의 일측면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코팅한 후 가전기구 또는 전자기기에 부착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시트의 경우 패드의 원료로 사용되는 실리콘 자체가 표면장력이 낮고 점착 테이프 또는 점착제에 대한 점착력이 낮기 때문에, 전자기기에 부착 후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 현상에 의한 소자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분산시키고 실링효과가 우수한 재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전자기기의 내외장에 도입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자기기 내의 각종 전자파나 전자기파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착층, 폴리우레탄층 및 도전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는 두께 0.1 내지 2.0 ㎜, 표면저항 106 내지 1011ohm/sq, 인장강도 500 kgf/㎠ 이하, 신장율 100 내지 600% 인 물성을 가진다.
추가로 상기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 시트는 폴리우레탄층과 점착층 사이에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착 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충격 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폴리우레탄층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점착층이 형성된 면과 다른 일면에 도전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하, 도 1 내지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는 종래 실링용 시트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물성을 지니며, 가격이 저렴하고, 자동화 공정에 용이하게 도입 가능함에 따라 각종 전자기기의 내외장에 도입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전자기기 내의 각 종 전자파나 전자기파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10)는 점착층(2), 폴리우레탄층(4) 및 도전 코팅층(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도전시트(10)에 포함되는 점착층(2)은 시트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전자기기의 내외장에 시트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착층(2)의 재질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 조성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아크릴계 고분자, 아세테이트계 고분자 및 스티렌계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메틸메타크릴산, 에틸아세토아크릴레이트 및 술폰화된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점착층(2)은 전자기기에 도전시트(10)가 충분한 정도의 접착력으로 부착될 수 있는 물성을 가져야 한다. 즉, 제품의 조립과정 및 사용도중 도전시트(10)가 원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해 점착층(2)의 박리강도가 적어도 150 gr/㎝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2)의 두께는 재질의 점착특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나, 최소한의 점착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전시트(10)가 너무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시트(10)의 점착층(2)은 후술할 폴리우레탄층(4) 상에 직접 형성하거나, 별도의 필름 형태로 제작 후 합지하여 이루어진다.  직접 형성하는 경우는, 접착 조성물의 점성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코팅법 등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지에 의한 형성은, 별도의 필름 상에 상기와 같은 도포 또는 분사에 의해 점착층(2)을 형성한 후, 폴리우레탄층(4)과 합지하여 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폴리우레탄층(4)은 전자기기의 내외장에 도전시트(10)를 설치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직접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켜 전자기기를 보호하고,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억제하는 실링제 역할을 한다.
폴리우레탄층(4)의 재질로는 연질 폴리우레탄,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경질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 연질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 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층(4)은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올리고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올리고머, 및 카보디이미드 변성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폴리에칠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 혼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층은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켜 전자기기를 보호하고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억제하는 실링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밀도는 0.1 gr/cm3부터 0.6 gr/cm3가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 화합물과 프리폴리머의 가교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고 가교 결합이 충분히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추가로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그 함량은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100 중량부로 사용한다.
상기 가교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티롤프로판(trimethylolpropa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톨루엔디아민(tolune diamin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글리세린(glycerine), 옥시프로필레이티드 에틸렌 디아민(oxypropylated ethylene diamine),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디에탄올아민(diethanolamine) 및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폴리우레탄층(4)은 제품에 장치하여 장시간 경과 후에 도전시트(10)가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구 압축 줄음율이 0.1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자기기에 충분히 밀착시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장율이 100 내지 6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폴리우레탄층(4)의 두께는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최소한의 충격흡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0.1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요철이 심한 전자기기의 표면에서도 실링효과를 유지하고, 전자기기를 경박 단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층(4)은 시트 형태로 제조되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출성형, 사출성형, 칼렌더링(calendering), 인플레이션(inflation), 또는 캐스팅(casting)의 가공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일례로 캐스팅 공정에 의한 폴리우레탄층(4)의 제조는 2액형 혼합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2액형 혼합 공정에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폴리에칠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 혼합물과,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및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올리고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올리고머, 및 카보디이미드 변성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주 원료로 한다.
상기 원료는 회분식(Batch) 또는 연속식의 방법으로 일정한 양이 계량되어 혼합된 후에 몰드에 주입되거나, 베이스 필름(base film) 위에 코팅되어 경화가 이 루어져 폴리우레탄층을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캐스팅 공법을 사용할 경우, 용제 또는 휘발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일정한 두께의 제품을 1회 제조에 의하여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캐스팅 공정으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수지는 3차원 망상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저경도이면서 동시에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스팅 공정을 연속식으로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전시트(10)를 롤 형태로 대량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도전시트(10)에 포함되는 도전 코팅층(6)은 상기 폴리우레탄층(4) 상에 형성되며, 도전시트(10)의 최외부에 위치하여 대전현상에 의한 정적 및 동적 상태에서의 장해를 방지하고, 전자기기 내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제 역할과 더불어, 상기 도전시트(10)의 표면을 보호하고 시트 표면에 적절한 마찰 저항을 주어 롤 및 시트 형태로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도전 코팅층(6)의 재질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재질에 도전성 충진제를 블랜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대표적인 도전성 충진제의 예로 구리(copper), 니켈(nikel), 알루미늄(aluminum), 카본블랙(carbon black), 그라파이트(graphite), 은(silver)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 충진제와 같이 사용되는 코팅 재질의 대표적인 예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릭산, 메타크릴릭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릭산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로부터 제조되는 아크릴계 고분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블랜드;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테프론을 포함하는 비닐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기기 내의 각종 전자파나 전자기파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고, 코팅층의 외관 불량 및 조립시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 충진제의 함량은 코팅재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전 코팅층(6)은 폴리우레탄층(4)과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박리강도가 적어도 50 gr/㎝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전시트(10)를 전자기기에 수작업으로 조립할 경우, 도전시트(10)의 표면에 균일하고 일정한 힘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표면 코팅층(6)은 유리를 상대면으로 하여 측정된 마찰계수가 2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코팅층(6)의 두께는 재질의 특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도전시트(10)의 외관이 불량해지는 것이 방지하고 균일한 마찰계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조립시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 코팅층(6)은 점착층(2)과 마찬가지로 상기 폴리우레탄층(4) 상에 직접 형성하거나, 별도의 필름 형태로 제작한 후 합지하여 이루어진다.  직접 형성하는 경우에는, 표면 코팅 조성물의 점성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코팅법 등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지에 의한 형성은, 별도의 이형필름 상에 상기와 같은 도포 또는 분사에 의해 표면 코팅층을 형성한 후, 폴리우레탄층(4)과 합지하여 이형필름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10)는 점착층(2), 폴리우레탄층(4) 및 도전 코팅층(6)으로 구성되어 각종 전자기기에 도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시트(10)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점착층(2)과 폴리우레탄층(4) 사이에 점착 보조층(8)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2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20)는 점착층(2), 점착 보조층(8), 폴리우레탄층(4) 및 도전 코팅층(6)을 포함한다. 이때 점착층(2), 폴리우레탄층(4) 및 도전 코팅층(6)는 전술한 바를 따른다.
추가적으로, 점착 보조층(8)은 도전 시트(20)에 보다 안정적인 점착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폴리우레탄층(4) 및 점착층(2)의 재질과 상용성이 우수한 조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점착 보조층(8)은 저분자량의 올리고 우레탄의 말단에 비닐기를 도입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 및 우레탄과 아크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보조층(8)은 0.5 내지 10 ㎛ 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우레탄층(4)에 대한 박리강도가 적어도 300 g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 시트는 두 께가 0.1 내지 2.0 mm 이고, 표면저항이 106~1011 ohm/sq, 인장강도가 500 kgf/㎠ 이하이고, 신장율 100 내지 600 % 인 물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전 시트는 적용되는 전자기기에 따라 두께를 달리 할 수 있으나, 최소한의 충격흡수 효과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요철이 심한 전자기기의 표면에서도 실링효과를 유지하고, 전자기기를 경박 단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께가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 시트는 전자기기내에 발생되는 동적 및 정적 상태에서의 대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저항이 106 내지 1011 ohm/sq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시트는 전자기기에 지나치게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충분한 충격흡수 성능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하여 인장강도가 500 kgf/㎠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kgf/㎠ 내지 500 kgf/㎠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전시트는 전자기기에 충분히 밀착시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장율 100 내지 6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는 통상의 시트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의 원료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층을 제작하고, 상기 시트 상에 표면 도전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도전 코팅층을 형성하고, 표면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우레탄층의 다른 측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제작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전시트는 폴리우레탄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시트를 자동화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에 시트를 조립하는 공정 또한 자동화할 수 있어 생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는 도전 코팅층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시트에 비해서 충격흡수 및 실링성이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며, 대전현상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3]
폴리프로필렌 글리콜(BASF사, 상품명 LUPRANOL L1100, 분자량 1,100) 100 중량부 및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TCI사) 600 중량부를 80 ℃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글리콜(BASF사, 상품명 LUPRANOL L1100, 분자량 1,100) 22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BASF사, 상품명 LUPRANOL L2030, 분자량 3,100) 620 중량부, 1,4-부탄디올(1,4-Butanediol)(Acros사) 90 중량부, 및 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ibutyl tin dilaurate)(Air product사, 상품명 T-12,) 0.3 중량부를 가 하여 감압 하에 50 ℃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폴리올 혼합물을 얻었다.
상기 폴리올 혼합물 100 중량부에 상기 프리폴리머 90중량부를 가하여 25 ℃에서 10초 동안 교반한 후, 이형지 위에 도포하고 90 ℃에서 6시간 동안 경화시켜 두께 1 ㎜의 폴리우레탄층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층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Sartome사, 상품명 CN962) 100 중량부, 및 실리카 (Fuji-Silysia사, 상품명 Silisya SY-161) 3중량부, 그래파이트 10 내지 25 중량부 (실시예 1: 10 중량부, 실시예 2: 18 중량부, 실시예 3: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도포한 후, UV 경화시켜 3 ㎛ 두께의 도전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도전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폴리우레탄층의 타측면에 박리강도가 450 gf/㎝ 이고, 두께가 120 ㎛ 인 아크릴계 양면 점착테이프 [쓰리엠(3M)사, 상품명EAD 217]를 합지하여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
폴리우레탄 시트 [상품명 esorba SEC050SD, 에스케이유티스(SK utis)사]에 두께가 120 ㎛ 인 아크릴계 양면 점착테이프[쓰리엠(3M)사, 상품명 EAD 217]를 합지하였다.
[ 실험예 ]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한 시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표면저항, 인장강도, 신장율, 박리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표면 저항
시료를 23℃, 50 %RH 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후에 ASTM D257 에 의거하여 시료의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인장강도
폭 20 ㎜, 길이 130 ㎜ 로 절단된 시료를 23 ℃, 50 %RH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후에 ASTM D 3574 에 의거하여, 인스트론(Instron)사의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500 ㎜/min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3: 신장율
시료를 23 ℃, 50 %RH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후에 ASTM D 3574에 의거하여 시편이 끊어지는 지점에서의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4: 박리강도
폭 20 ㎜, 길이 150 ㎜ 로 절단된 시료를 23 ℃, 50 %RH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후에 인스트롱(Instron)사의 만능재료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500 ㎜/min으로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값은 측정치의 평균값을 취하였다.
구  분 표면저항
(ohm/sq)
인장강도
(kgf/㎠)
신장율
(%)
박리강도
(gf/㎝)
실시예1 10^11 2.9 120 450
실시예2 10^9
실시예3 10^8
비교예 10^12 2.3 150 450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의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설명>
10 및 20: 도전시트
2: 점착층
4: 폴리우레탄층
6: 도전코팅층
8: 점착보조층

Claims (18)

  1. 점착층, 폴리우레탄층 및 도전 코팅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이며,
    상기 도전 코팅층은 그라파이트(graphite) 및 은(silv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도전성 충진제와, 아크릴계 고분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블랜드, 및 비닐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 재질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이며, 도전충진제의 함량은 코팅재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이고,
    표면 저항값이 106 내지 1011 ohm/sq 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두께가 0.1 내지 2.0 mm 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인장강도가 500 kgf/㎠ 이하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신장율이 100 내지 600 % 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아크릴계 고분자, 아세테이트계 고분자 및 스티렌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부터 형성된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박리강도가 150 gr/㎝ 이상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두께가 5 내지 120 ㎛ 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층은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MDI) 올리고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올리고머, 및 카보디이미드 변성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1종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폴리에칠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올 혼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층은 두께가 0.1 내지 2.0 ㎜ 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유리를 상대면으로 하여 마찰계수가 2 내지 20 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코팅층은 두께가 0.5 내지 10 ㎛ 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 전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층과 점착층 사이에 적층되는 점착 보조층을 더욱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보조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체, 및 우레탄과 아크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보조층은 상기 폴리우레탄층에 대하여 박리강도가 300 gr/㎝ 이상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보조층은 두께가 0.5 내지 10 ㎛인 것인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18. 폴리우레탄층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층의 점착층이 형성된 면과 다른 일면에 도전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모노머, 아크릴계 올리고머, 아크릴계 고분자, 아세테이트계 고분자 및 스티렌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형성된 것이고,
    상기 도전 코팅층은, 그라파이트(graphite) 및 은(silv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도전성 충진제와, 아크릴계 고분자,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블랜드, 및 비닐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코팅 재질을 혼합하여 형성된 것이고, 도전충진제의 함량은 코팅재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인,
    청구항 제1항의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70138740A 2007-12-27 2007-12-27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KR10144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740A KR101444394B1 (ko) 2007-12-27 2007-12-27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740A KR101444394B1 (ko) 2007-12-27 2007-12-27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652A KR20090070652A (ko) 2009-07-01
KR101444394B1 true KR101444394B1 (ko) 2014-09-29

Family

ID=41322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740A KR101444394B1 (ko) 2007-12-27 2007-12-27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046A (ko) * 2015-01-23 2016-08-02 주식회사 솔루에타 도전성 쿠션 시트 제조방법 및 도전성 쿠션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145B1 (ko) 2014-03-28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완충패드를 갖는 표시장치
KR101997106B1 (ko) * 2018-04-05 2019-10-01 유니웹스 주식회사 파일 읽기 속도 향상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KR102426963B1 (ko) * 2022-02-08 2022-07-29 (주)제이아이테크 포토 마스크 보관 케이스용 대전 방지 시트, 이의 제조 방법, 및 대전 방지 특성의 회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431A (ko) * 1996-10-16 1998-07-15 이행우 전자기파 차폐 효과 및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품
KR20070060679A (ko) * 2005-12-09 2007-06-1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431A (ko) * 1996-10-16 1998-07-15 이행우 전자기파 차폐 효과 및 대전방지 기능을 갖는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품
KR20070060679A (ko) * 2005-12-09 2007-06-13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046A (ko) * 2015-01-23 2016-08-02 주식회사 솔루에타 도전성 쿠션 시트 제조방법 및 도전성 쿠션 시트
KR101695161B1 (ko) 2015-01-23 2017-01-11 주식회사 솔루에타 도전성 쿠션 시트 제조방법 및 도전성 쿠션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652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353B1 (ko)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의 제조 방법
CN110959031B (zh) 光学透明粘着片、层叠体以及贴合结构体
TWI472429B (zh) 用於吸收衝擊與密封且具有黏性之片狀物及其製造方法
KR101186709B1 (ko) 실리콘 고무계 점착 시트
JP2009299047A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KR20130129222A (ko) 반응성 전도성 감압성 접착 테이프
JP6304518B2 (ja)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100878752B1 (ko)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
KR101961674B1 (ko)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JP2009242633A (ja) 光学用粘着剤シート、粘着剤付き光学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69266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1444394B1 (ko) 충격흡수 및 실링용 도전시트
KR20170070048A (ko) 표면 보호 시트용 기재 및 표면 보호 시트
KR101914455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TW201630734A (zh) 表面保護用膜片
KR19990023528A (ko) 가요성 회로 오버 코팅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135573B1 (ko)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터치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
JP2013142131A (ja) トリアセチルセルロース用粘着剤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体、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KR101992002B1 (ko)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70053135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KR101729168B1 (ko) 터치패널용 커버글라스의 표면 보호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2602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KR10162524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CN114106709B (zh) 一种防爆膜用光学胶粘剂及其制备方法
KR101672467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점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