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908B1 -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908B1
KR101442908B1 KR1020120079146A KR20120079146A KR101442908B1 KR 101442908 B1 KR101442908 B1 KR 101442908B1 KR 1020120079146 A KR1020120079146 A KR 1020120079146A KR 20120079146 A KR20120079146 A KR 20120079146A KR 101442908 B1 KR101442908 B1 KR 101442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pplication
display
usable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965A (ko
Inventor
히로아키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의 대응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G를 기억하는 기억부(24)와, 복수의 데이터 D를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0)와,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데이터 D에 대해,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G 중, 해당 데이터 D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를 검지하는 CPU(25)를 구비한다. CPU(25)는 검지 결과에 따라,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데이터 D에 관련지어, 해당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를 표시시킨다.

Description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DATA DISPLAY APPARATUS, DATA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DATA DISPLAY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함수 전자 계산기 등에서는 수식을 입력·편집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그래프를 묘화하는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어, 각 애플리케이션을 개별의 표시 에리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함수 전자 계산기 등에서는 수식 등의 데이터를 복수 표시하기 위한 교재 데이터 표시 에리어와, 그래프 묘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프 에리어를 아울러 표시시킨 상태로부터, 유저가 교재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있어서의 함수식의 교재 데이터를 그래프 에리어에 드래그 드롭하면, 해당 함수식의 그래프가 그래프 에리어에 묘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교재 데이터 표시 에리어내의 교재 데이터를, 해당 교재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에리어에 드래그 드롭함으로써, 교재 데이터를 학습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의 함수 전자 계산기 등에서는 점점 학습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되고 있고, 이것에 수반해서, 다양한 교재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교재 데이터를 어느 학습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기 어려워 사용상 불편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교재 등의 데이터와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대응을 이해하기 쉽게 할 수 있는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의하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과,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관련지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표시시키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의하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 어느 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과,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상태로 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수단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수단에 의해 실행 상태로 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식별 표시시키는 사용 가능 데이터 식별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의하면, 표시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표시장치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과, 텍스트 데이터와, 1개 이상의 데이터를 갖는 학습 대상 파일을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의 표시 내용을, 적어도 1개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범위 지정하는 데이터 지정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텍스트 표시 에리어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데이터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 범위내의 텍스트 데이터를 해당 텍스트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텍스트 에리어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 범위내의 각 데이터에 대해, 상기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텍스트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각 데이터와의 대응 위치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는 실행 버튼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재 등의 데이터와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대응을 이해하기 쉽게 할 수 있는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데이터 표시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정보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정보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데이터 인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식·도형·표 데이터 처리 기능 판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설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클립 아이콘 탭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클립 버튼 탭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식·도형·표 데이터 위치 탭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식·도형·표 데이터 페이스트 처리 및 드래그·드롭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터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a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b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a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b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a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b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b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a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b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c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d는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일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표시장치(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표시장치(1)는 표시부(21)와, 입력부(22)와, 기억부(24)와, CPU(25)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21)는 디스플레이(210)를 구비하고 있으며, CPU(25)로부터 입력되는 표시 신호에 의거하여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210)는 소위 터치 패널(22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저에 의한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입력부(22)는 키 군(220)이나 상술한 터치 패널(221)을 구비하고 있으며, 눌러진 키의 종류나 터치 패널(2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CPU(25)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기억부(24)는 데이터 표시장치(1)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동시에, CPU(25)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메모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억부(24)는 본 발명에 관한 정보 표시 프로그램(240)과, 교재 데이터베이스(242)와, 학습 애플리케이션군(241) 등을 기억하고 있다.
정보 표시 프로그램(240)은 후술하는 정보 표시 처리(도 2, 도 3 참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설정 처리(도 7 참조), 클립 아이콘 탭 처리(도 8 참조), 클립 버튼 탭 처리(도 9 참조), 식·도형·표 데이터 위치 탭 처리(도 10 참조), 식·도형·표 데이터 페이스트 처리(도 11 참조), 드래그·드롭 처리(도 11 참조) 및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터치 처리(도 12 참조)를 CPU(25)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교재 데이터베이스(242)는 복수의 학습 교재 파일 F를 기억하고 있다. 이들 학습 교재 파일 F는 수업에서 사용되는 교과서나 서적에 대한 전자 데이터로 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1개의 교재 데이터 D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교재 데이터 D는 학습 애플리케이션군(241)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학습용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라 함)에 대해 입력 가능한 데이터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식 데이터, 기하 도형 데이터, 표 데이터 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식 데이터는 수학용 마크업 언어(Mathematical Markup Language)로 나타나 있어도 좋고, 문자 데이터나 비트 맵 데이터로 나타나 있어도 좋다.
학습 애플리케이션군(241)은 복수 종류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갖고 있다. 이들 학습 애플리케이션 G는 CPU(25)에서 실행되는 것에 의해서 고유의 기능을 개별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도 13b 참조)내에서 실현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의해서 실현되는 기능으로서는 수식 등의 문자열을 입력·편집하는 기능(이하, Main 기능이라 함)이나, 수식의 그래프를 묘화하는 기능(이하, 그래프 기능이라 함), 평면적인 기하 도형을 묘화하는 기능(이하, 도형 기능이라 함), 입체적인 기하 도형(사시도 등)을 묘화하는 기능(이하, 3D 도형 기능이라 함), 표(테이블)를 전개하는 기능(이하, 표 기능이라 함), e-ACTIVITY 기능 등이 있다. 이 중, e-ACTIVITY 기능은 학습 교재 파일 F내의 임의의 교재 데이터 D의 위치에 Main 기능이나 그래프 기능, 도형 기능, 3D 도형 기능, 표 기능 등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스트립 St(도 18의 (c) 참조)를 배치하고, 이 스트립 St에 대해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트립 St에 대응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실행하여, 스트립 St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를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입력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스트립 St는 띠 형상의 표시 영역이며, 스프레드 버튼 Sb를 포함해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립 St내의 스프레드 버튼 Sb가 조작되면, 해당 스프레드 버튼 Sb를 포함하는 스트립 St에 대응지어진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실행되는 동시에, 이 스트립 St에 대응지어진 교재 데이터 D가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대해 입력되고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
CPU(25)는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거한 처리를 실행하고, 각 기능부에의 지시나 데이터의 전송 등을 실행하며, 데이터 표시장치(1)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CPU(25)는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 등에 따라 기억부(24)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25)는 처리 결과를 표시부(21)에 적절히 출력시킨다.
[동작]
<정보 표시 처리>
계속해서, 데이터 표시장치(1)에 의해서 실행되는 정보 표시 처리에 대해, 도 2,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정보 표시 처리에 있어서는 우선, CPU(25)는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학습 교재 파일 F와 페이지 번호의 지정을 받는다(스텝 S1).
다음에, CPU(25)는 디스플레이(210)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도 13a, 도 13b 참조)를 형성하는 동시에, 지정된 학습 교재 파일 F(이하, 학습 대상 파일 FS라 함)를 기억부(24)로부터 읽어내어, 해당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지정된 페이지 번호의 데이터를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시킨다(스텝 S2). 이것에 의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는 복수의 교재 데이터 D가 표시된다.
다음에, CPU(25)는 데이터 표시장치(1)의 모드가 학습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S3), 학습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3;No)에는 다른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저 조작에 따라 학습 모드의 ON/OFF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스텝 S3에 있어서 데이터 표시장치(1)의 모드가 학습 모드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3;Yes)에는 CPU(25)는 학습 대상 파일 FS에 대한 데이터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데이터 인식 처리에 있어서 우선, CPU(25)는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 중, 선두의 데이터 부분을 인식 대상으로서 설정한 후(스텝 T0),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수학용 마크업 언어(Mathematical Markup Language)의 교재 데이터 D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T1).
이 스텝 T1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수학용 마크업 언어의 교재 데이터 D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1;Yes)에는 CPU(25)는 그 교재 데이터 D로 나타나는 수식의 좌측상부 위치 및 우측하부 위치와, 우변 및 좌변의 내용을 검출한다(스텝 T2).
다음에, CPU(25)는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말미의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T3), 말미의 데이터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3;Yes)에는 데이터 인식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T3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말미의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3;No)에는 CPU(25)는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다음의 데이터를 인식 대상으로서 설정한 후(스텝 T4), 스텝 T1로 이행한다.
또, 스텝 T1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수학용 마크업 언어의 교재 데이터 D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1;No)에는 CPU(25)는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수식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T5).
이 스텝 T5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수식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5;Yes)에는 CPU(25)는 상술한 스텝 T2로 이행한다.
또, 스텝 T5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수식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5;No)에는 CPU(25)는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비트맵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T6).
이 스텝 T6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비트맵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6;No)에는 CPU(25)는 스텝 T3으로 이행한다.
또, 스텝 T6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비트맵 데이터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6;Yes)에는 CPU(25)는 해당 비트맵 데이터에 대해 문자 인식을 실행하여 문자열의 해석을 실행한다(스텝 T7).
다음에, CPU(25)는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수식을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T8), 수식을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8;Yes)에는 상술한 스텝 T2로 이행한다.
또, 스텝 T8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수식을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8;No)에는 CPU(25)는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도표를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T9).
이 스텝 T9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도표를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9;No)에는 CPU(25)는 상술한 스텝 T3으로 이행한다.
또, 스텝 T9에 있어서 인식 대상의 데이터가 도표를 나타내는 비트맵 데이터의 교재 데이터 D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T9;Yes)에는 CPU(25)는 그 교재 데이터 D로 나타나는 도표의 좌측상부 위치 및 우측하부 위치와, 도표의 내용을 검출한 후(스텝 T10), 상술한 스텝 T3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도형의 내용으로서는 도면 중의 직선, 곡선의 위치나, 선끼리의 교차각 등이 이용된다.
이상의 데이터 인식 처리가 종료하면, 다음에 CPU(2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 처리에 있어서 우선, CPU(25)는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포함되는 각 교재 데이터 D를 판독한 후(스텝 V1), 각 교재 데이터 D를 사용할 수 있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이하,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라 함)의 종류를 판정하기 위한 식·도형·표 데이터 처리 기능 판정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V2).
이 식·도형·표 데이터 처리 기능 판정 처리에 있어서 우선, CPU(2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두의 교재 데이터 D를 판정 대상으로 설정한 후(스텝 W0),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수식을 나타내는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W1).
이 스텝 W1에 있어서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수식을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W1;Yes)에는 CPU(25)는 그 수식이 「Y=」를 포함하는 수식이면, Main 기능 및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하고, 「Y>」를 포함하는 수식이면,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하며, 「Y=」및 「Y>」를 포함하지 않는 수식이면, Main 기능 및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한다(스텝 W2).
다음에, CPU(25)는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말미의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W3), 말미의 데이터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W3;Yes)에는 식·도형·표 데이터 처리 기능 판정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W3에 있어서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말미의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W3;No)에는 CPU(25)는 다음의 교재 데이터 D를 판정 대상으로서 설정한 후(스텝 W4), 스텝 W1로 이행한다.
또, 스텝 W1에 있어서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수식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W1;No)에는 CPU(25)는 그 교재 데이터 D가 평면적인 기하 도형의 데이터이면 도형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하고, 입체적인 기하 도형의 데이터이면 3D 도형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하며, 표의 데이터이면 표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하고, 그래프 도형의 데이터이면 Main 기능 및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하고(스텝 W5), 상술한 스텝 W3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상의 식·도형·표 데이터 처리 기능 판정 처리가 종료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에 CPU(25)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학습 대상 파일 FS 중, 교재 데이터 D의 부분을 각각 하이라이트 표시시킨다(스텝 V3).
다음에, CPU(25)는 후술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설정 처리(도 7 참조)에 의해서 데이터 표시장치(1)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도 15의 (b) 참조)의 표시 ON 모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V4),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V4;No)에는 후술하는 스텝 V6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는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또, 스텝 V4에 있어서 데이터 표시장치(1)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표시 ON 모드로 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V4;Yes)에는 CPU(25)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응지어, 해당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를 표시시킨다(스텝 V5).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는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의 근방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CPU(25)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의 하단부에 클립 버튼 B(도 13a, 도 13b 참조)를 표시시키고(스텝 V6),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단, 이 때, CPU(25)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내의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응지어 클립 아이콘 Ib(도 15의 (b) 참조)를 또한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여기서, 클립 버튼 B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내의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탭 조작시의 처리 내용을 전환하는 버튼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탭 대상의 교재 데이터 D를 기억부(24)의 클립보드(도시하지 않음)에 일시 기억시킬지, 탭 대상의 교재 데이터 D를 선택된 상태로 할지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 클립 아이콘 Ib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내에서 해당 클립 아이콘 Ib에 대응지어 표시되어 있는 교재 데이터 D를 복사해서 클립보드에 일시 기억시키는 경우에 조작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클립 아이콘 Ib는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의 근방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 처리가 종료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에 CPU(25)는 학습 대상 파일 FS의 표시 페이지를 변경하는 취지의 조작이 실행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S6), 실행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6;Yes)에는 상술한 스텝 S2로 이행한다.
또, 스텝 S6에 있어서 학습 대상 파일 FS의 표시 페이지를 변경하는 취지의 조작이 실행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6;No)에는 CPU(25)는 e-ACTIVITY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액티브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7).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텝 S7의 시점에서 어느 하나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기동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을 실행한다. 여기서, 기억부(24)에 기억된 어느 1개 이상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유저 조작에 따라 기동되면, 그 각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도 13a, 도 13b 참조)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동시에,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실행 화면이 해당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1개만 기동된 경우에는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액티브하게 설정되고,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복수 기동된 경우에는 유저 조작에 의해 지정된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액티브하게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텝 S7에 있어서 e-ACTIVITY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액티브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7;No)에는 CPU(25)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교재 데이터 D 중, 현시점에서 액티브 상태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교재 데이터 D를 청색, 사용 불가능한 교재 데이터 D를 적색으로 마커 표시시킨 후(스텝 S8),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액티브 상태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을 갱신한다(스텝 S9). 또한, 스텝 S8의 처리에 있어서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교재 데이터 D 중, 현시점에서 액티브 상태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서 사용 가능한 교재 데이터 D를, 사용 불가능한 교재 데이터 D와 구별하여 식별 표시시키는 한, 다른 양태로 양자를 식별 표시해도 좋고, 예를 들면 포인터의 표시 형태를, 사용 가능한 교재 데이터 D상에 위치할 때와, 사용 불가능한 교재 데이터 D상에 위치할 때로 다르게 해서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스텝 S9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또, 상술한 스텝 S7에 있어서 e-ACTIVITY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액티브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7;Yes)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25)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내에서의 유저에 의한 범위 지정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 범위에 포함되는 각 교재 데이터 D를 e-ACTIVITY 기능의 학습 대상으로 지정하는 동시에, 지정 범위에 포함되는 텍스트 데이터(단, 여기서는 수식을 포함하지 않음)를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복사해서 표시시킨다(스텝 S11).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때 지정 범위에는 적어도 1개의 교재 데이터 D가 포함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다음에, CPU(25)는 학습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복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S12), 복수 없는 즉 1개뿐이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12;No)에는 해당 교재 데이터 D를 처리 대상으로 지정한 후(스텝 S13), 후술하는 스텝 S21로 이행한다.
또, 스텝 S12에 있어서 학습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복수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2;Yes)에는 CPU(25)는 선두의 교재 데이터 D를 처리 대상으로 지정한다(스텝 S15).
다음에, CPU(25)는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수식의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S21), 수식의 데이터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21;Yes)에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내에서의 해당 교재 데이터 D의 대응 위치(학습 대상 파일 FS내에서의 해당 교재 데이터 D의 위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서의 위치)에, 이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스트립 St(도 18의 (c) 참조)를 표시시키는 동시에(스텝 S22), 이 스트립 St에 대해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를 대응짓는다(스텝 S23).
다음에, CPU(25)는 학습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아직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S24),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4;No)에는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종래부터 공지의 e-ACTIVITY 기능을 실행한다. 단, 이 때 스트립 St내의 스프레드 버튼 Sb가 조작되면, CPU(25)는 해당 스프레드 버튼 Sb를 포함하는 스트립 St에 대응지어진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e-ACTIVITY 기능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서 실행하는 동시에, 이 스트립 St에 대응지어진 교재 데이터 D를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대해 입력한다.
또, 스텝 S24에 있어서 학습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아직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4;Yes)에는 CPU(25)는 다음의 교재 데이터를 처리 대상으로 지정한 후(스텝 S25), 상술한 스텝 S21로 이행한다.
또, 스텝 S21에 있어서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수식의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21;No)에는 CPU(25)는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도표의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스텝 S41), 도표의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41;No)에는 다른 처리로 이행한다.
또, 스텝 S41에 있어서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도표의 데이터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41;Yes)에는 CPU(25)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내에서의 해당 교재 데이터 D의 대응 위치(학습 대상 파일 FS내에서의 해당 교재 데이터 D의 위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서의 위치)에, 이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스트립 St를 표시시키는 동시에(스텝 S42), 이 스트립 St에 대해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를 대응짓고(스텝 S43), 상술한 스텝 S24로 이행한다.
<학습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실행 처리>
계속해서, 상술한 스텝 S9에 있어서 실행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설정 처리(도 7 참조), 클립 아이콘 탭 처리(도 8 참조)나 클립 버튼 탭 처리(도 9 참조), 식·도형·표 데이터 위치 탭 처리(도 10 참조), 식·도형·표 데이터 페이스트 처리(도 11 참조), 드래그·드롭 처리(도 11 참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터치 처리(도 12 참조) 등이 유저 조작에 따라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들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설정 처리)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설정 처리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 있어서 유저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설정 전환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설정 조작에 있어서 CPU(25)는 유저 조작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표시 모드를 ON/OFF로 전환한 후(스텝 U61),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U62).
(클립 아이콘 탭 처리)
클립 아이콘 탭 처리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 있어서 유저가 클립 아이콘 Ib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클립 아이콘 탭 처리에 있어서 CPU(25)는 터치 조작이 실행된 클립 아이콘 Ib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를 클립보드(도시하지 않음)에 복사하여 일시 기억시킨 후(스텝 U1), 클립 아이콘 탭 처리를 종료한다.
(클립 버튼 탭 처리)
클립 버튼 탭 처리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 있어서 유저가 클립 버튼 B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클립 버튼 탭 처리에 있어서 CPU(25)는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를 ON/OFF로 전환한 후(스텝 U11), 클립 버튼 탭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의 ON/OFF는 기억부(24)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식·도형·표 데이터 위치 탭 처리)
식·도형·표 데이터 탭 처리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 있어서 유저가 교재 데이터 D의 위치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식·도형·표 데이터 위치 탭 처리에 있어서 우선, CPU(25)는 상술한 클립 버튼 탭 처리에 의해서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가 ON/OFF의 어느 것으로 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U21).
이 스텝 U21에 있어서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U21;ON)에는 CPU(25)는 탭된 교재 데이터 D를 클립보드에 복사하여 일시 기억시킨 후(스텝 U22), 식·도형·표 데이터 탭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U21에 있어서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가 OFF로 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U21;OFF)에는 CPU(25)는 탭 조작이 이루어진 교재 데이터 D를 선택받은 상태로 한 후(스텝 U23), 식·도형·표 데이터 탭 처리를 종료한다.
(식·도형·표 데이터 페이스트 처리)
식·도형·표 데이터 페이스트 처리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 있어서 유저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 교재 데이터 D의 페이스트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식·도형·표 데이터 페이스트 처리에 있어서 우선, CPU(25)는 페이스트지(paste destination)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페이스트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종류를 검지한 후(스텝 U31), 클립보드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U32).
이 스텝 U32에 있어서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U32;No)에는 CPU(25)는 그 취지의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시킨 후(스텝 U33), 식·도형·표 데이터 페이스트 처리를 종료한다.
또, 스텝 U32에 있어서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U32;Yes)에는 CPU(25)는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를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있어서의 지정 위치에 페이스트하여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을 갱신시킨 후(스텝 U34), 식·도형·표 데이터 페이스트 처리를 종료한다.
(드래그·드롭 처리)
드래그·드롭 처리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 있어서 유저가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 교재 데이터 D의 드래그·드롭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드래그·드롭 처리에 있어서 우선, CPU(25)는 드래그된 교재 데이터 D를 클립보드에 일시 기억시키고(스텝 U41), 드롭지(drop destination)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드롭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종류를 검지한 후(스텝 U42), 상술한 스텝 U32로 이행한다.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터치 처리)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터치 처리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에 있어서 유저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해 터치 조작이 실행되면, 그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가 지정되거나, 혹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 및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각각 지정되게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터치 조작에 있어서 우선, CPU(25)는 터치 조작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종류를 검출하고(스텝 U51), 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이미 기동되어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U52).
이 스텝 U52에 있어서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이미 기동되어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U52;Yes)에는 CPU(25)는 후술하는 스텝 U54로 이행한다.
또, 스텝 U52에 있어서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기동되어 액티브 상태로 되어 있지는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U52;No)에는 CPU(25)는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액티브 상태로 하고,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을 갱신한다(스텝 U53).
그리고, CPU(25)는 터치 조작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 즉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교재 데이터 D를, 액티브 상태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을 갱신한 후(스텝 U54),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터치 처리를 종료한다.
[동작예]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정보 표시 처리,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기능 실행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동작예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내의 교재 데이터 D를 파선으로 둘러싸서 도시하고 있고,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하이라이트를 생략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 도면 중, 교재 데이터 D의 부호 「D」에 대한 첨자 「B」는 해당 교재 데이터 D가 청색(Blue)으로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교재 데이터 D의 부호 「D」에 대한 첨자 「R」은 해당 교재 데이터 D가 적색(Red)으로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동작예 1)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유저가 수학 교과서의 학습 교재 파일 F와, 페이지 번호의 지정 조작을 실행하면(스텝 S1), 디스플레이(210)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가 형성되는 동시에, 지정된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지정된 페이지 번호의 데이터가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다(스텝 S2). 이것에 의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는 복수의 교재 데이터 D가 표시된다.
다음에, 데이터 표시장치(1)의 모드가 학습 모드라고 판정되고(스텝 S3;Yes),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각 교재 데이터 D의 위치나 내용이 검출된다(스텝 S4).
다음에,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포함되는 각 교재 데이터 D가 판독된 후(스텝 V1), 선두의 교재 데이터 D가 판정 대상으로 설정되어(스텝 W0),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수식 「y=-x」를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되고(스텝 W1;Yes), Main 기능 및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된다(스텝 W2).
다음에,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말미의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후(스텝 W3;No), 다음의 교재 데이터 D가 판정 대상으로서 설정되어(스텝 W4),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수식 「y=5/2·x」를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되고(스텝 W1;Yes), Main 기능 및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된다(스텝 W2).
이후, 마찬가지로 해서,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말미의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후(스텝 W3;No), 다음의 교재 데이터 D가 판정 대상으로서 설정되어(스텝 W4),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해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가 판정된다.
다음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학습 대상 파일 FS 중, 교재 데이터 D의 부분이 각각 하이라이트 표시된다(스텝 V3).
다음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의 하단부에 클립 버튼 B가 표시된다(스텝 V6). 또한, 본 동작예에서는 이 때 데이터 표시장치(1)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표시 ON 모드로 되어 있지는 않다.
다음에,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기동하면, 그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고,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교재 데이터 D 중, 액티브 상태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교재 데이터 D(여기서는 수식 및 그래프 도형의 교재 데이터 D)가 청색, 사용 불가능한 교재 데이터 D(여기서는 표의 교재 데이터 D)가 적색으로 마커 표시된다(스텝 S8). 또한, 본 동작예에 있어서의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는 그래프 도형을 표시시킬지, 그래프식을 표시시킬지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탭 Ta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도 13b에서는 그래프 도형의 표시가 선택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유저가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 표의 교재 데이터 D의 드래그·드롭 조작을 실행하면, 드래그된 교재 데이터 D가 클립보드에 일시 기억되고(스텝 U41), 드롭지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종류(그래프 기능)가 검지된 후(스텝 U42),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는다고 판정되고(스텝 U32;No), 그 취지의 에러 메시지(여기서는 포인터상의 ×마크)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다(스텝 U33).
한편, 유저가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 수식 「y=1/2·x」의 교재 데이터 D의 드래그·드롭 조작을 실행하면, 드래그된 교재 데이터 D가 클립보드에 일시 기억되고(스텝 U41), 드롭지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종류(그래프 기능)가 검지된 후(스텝 U42),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되고(스텝 U32;Yes),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있어서의 지정 위치에 페이스트되어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스텝 U34).
다음에, 유저가 전환 탭 Ta를 조작하여 그래프식의 표시를 선택하면,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 수식 「y=1/2·x」가 표시된다.
다음에,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클립 버튼 B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하면,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가 ON으로 전환된다(스텝 U11). 그리고, 유저가 수식 「y=2x-4」의 교재 데이터 D의 위치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하면,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정되고(스텝 U21;ON), 탭된 교재 데이터 D가 클립보드에 복사되어 일시 기억된다. 또한, 본 동작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우측 하부 부분에 클립보드의 내용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유저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 페이스트 조작을 실행하면, 페이스트지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종류가 검지된 후(스텝 U31), 클립보드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수식 「y=2x-4」의 교재 데이터)가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되고(스텝 U32;Yes),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있어서의 지정 위치에 페이스트되어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스텝 U34).
다음에, 유저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설정 전환 조작을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표시 모드가 ON으로 전환되고(스텝 U61),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포함되는 각 교재 데이터 D가 판독되고(스텝 V1),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가 판정된다(스텝 V2).
다음에,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학습 대상 파일 FS 중, 교재 데이터 D의 부분이 각각 하이라이트 표시된 후(스텝 V3), 데이터 표시장치(1)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표시 ON 모드로 되어 있다고 판정되고(스텝 V4;Yes),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응지어, 해당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가 표시된다(스텝 V5). 또한, 도면 중,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부호 「Ia」에 대한 첨자 「(M)」은 해당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가 Main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부호 「Ia」에 대한 첨자 「(G)」, 「(2Z)」, 「(3Z), 「(H)」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가 그래프 기능, 도형 기능, 3D 도형 기능, 표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의 하단부에 클립 버튼 B가 표시되는 동시에(스텝 V6),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내의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응지어 클립 아이콘 Ib가 표시된다.
다음에,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수식 「y=1/2·x」의 교재 데이터에 대한 Main 기능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하면, 터치 조작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종류가 검출되고(스텝 U51), 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액티브 상태로 되고,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스텝 U53).
그리고, 터치 조작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수식 「y=1/2·x」의 교재 데이터 D)가 액티브 상태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스텝 U54).
다음에,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수식 「y=1/2·x」의 교재 데이터 D의 위치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하면,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정되고(스텝 U21;ON), 탭된 교재 데이터 D가 클립보드에 복사되어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유저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 페이스트 조작을 실행하면, 페이스트지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Main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종류가 검지된 후(스텝 U31), 클립보드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수식 「y=1/2·x」의 교재 데이터)가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되고(스텝 U32;Yes),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있어서의 지정 위치에 페이스트되어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스텝 U34).
마찬가지로, 유저가 수식 「y=2x-4」의 교재 데이터 D의 위치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하면, 클립 버튼 B의 누름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다고 판정되고(스텝 U21;ON), 탭된 교재 데이터 D가 클립보드에 복사되어 일시 기억된다. 그리고, 유저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 페이스트 조작을 실행하면, 페이스트지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Main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종류가 검지된 후(스텝 U31), 클립보드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수식 「y=2x-4」의 교재 데이터)가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되고(스텝 U32;Yes), 페이스트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있어서의 지정 위치에 페이스트되어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스텝 U34). 또한, 본 동작예에 있어서는 수식 「y=1/2·x」, 「y=2x-4」는 연립 방정식으로서 Main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입력되어 있다.
(동작예 2)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유저가 수학의 교과서의 학습 교재 파일 F와, 페이지 번호의 지정 조작을 실행하면(스텝 S1), 디스플레이(210)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가 형성되는 동시에, 지정된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지정된 페이지 번호의 데이터가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다(스텝 S2). 이것에 의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는 복수의 교재 데이터 D가 표시된다.
다음에, 데이터 표시장치(1)의 모드가 학습 모드라고 판정되고(스텝 S3;Yes),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각 교재 데이터 D의 위치나 내용이 검출된다(스텝 S4).
다음에,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포함되는 각 교재 데이터 D가 판독된 후(스텝 V1), 선두의 교재 데이터 D가 판정 대상으로 설정되어(스텝 W0),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평면적 도형을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되고, 도형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된다(스텝 W2).
이후, 마찬가지로 해서,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말미의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후(스텝 W3;No), 다음의 교재 데이터 D가 판정 대상으로서 설정되어(스텝 W4),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해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가 판정된다.
다음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학습 대상 파일 FS 중, 교재 데이터 D의 부분이 각각 하이라이트 표시된다(스텝 V3).
다음에, 데이터 표시장치(1)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표시 ON 모드로 되어 있다고 판정되고(스텝 V4;Yes),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응지어, 해당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가 표시되는 동시에(스텝 V5),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의 하단부에 클립 버튼 B가 표시된다(스텝 V6).
다음에, 유저가 직각삼각형의 교재 데이터에 대한 도형 기능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해 터치 조작을 실행하면, 터치 조작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종류가 검출되고(스텝 U51), 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도형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액티브 상태로 되고,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스텝 U53).
그리고, 터치 조작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직각삼각형의 교재 데이터 D)가 액티브 상태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도형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210)의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스텝 U54).
(동작예 3)
도 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유저가 수학 교과서의 학습 교재 파일 F와, 페이지 번호 「95」의 지정 조작을 실행하면(스텝 S1), 디스플레이(210)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가 형성되는 동시에, 지정된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지정된 페이지 번호의 데이터가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다(스텝 S2). 이것에 의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는 복수의 교재 데이터 D가 표시된다.
다음에, 데이터 표시장치(1)의 모드가 학습 모드라고 판정되고(스텝 S3;Yes),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있어서의 각 교재 데이터 D의 위치나 내용이 검출된다(스텝 S4).
다음에, 표시 범위내의 학습 대상 파일 FS에 포함되는 각 교재 데이터 D가 판독된 후(스텝 V1), 선두의 교재 데이터 D가 판정 대상으로 설정되고(스텝 W0),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표를 나타내는 데이터라고 판정되고(스텝 W1;Yes), 표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로 된다(스텝 W2).
이후, 마찬가지로 해서, 판정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말미의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후(스텝 W3;No), 다음의 교재 데이터 D가 판정 대상으로서 설정되어(스텝 W4),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해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가 판정된다.
다음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학습 대상 파일 FS 중, 교재 데이터 D의 부분이 각각 하이라이트 표시된다(스텝 V3).
다음에,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의 하단부에 클립 버튼 B가 표시된다(스텝 V6). 또한, 본 동작예에서는 이 때 데이터 표시장치(1)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의 표시 ON모드로 되어 있지는 않다.
다음에, 유저가 그래프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를 기동하면, 그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e-ACTIVITY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액티브 상태라고 판정된다(스텝 S7;Yes).
다음에, 도 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내에서의 유저가 범위 지정을 실행하면, 지정 범위에 포함되는 각 교재 데이터 D가 e-ACTIVITY 기능의 학습 대상으로 지정되는 동시에, 지정 범위에 포함되는 텍스트 데이터(단, 여기서는 수식을 포함하지 않음)가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복사되어 표시된다(스텝 S11).
다음에, 학습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복수 있다고 판정되고(스텝 S12;Yes), 선두의 교재 데이터 D(표의 교재 데이터 D)가 처리 대상으로 지정된다(스텝 S15).
다음에,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도표의 데이터라고 판정된 후(스텝 S41;Yes), 도 1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내에서의 해당 교재 데이터 D의 대응 위치에, 이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표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스트립 St가 표시되는 동시에(스텝 S42), 이 스트립 St에 대해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표의 교재 데이터 D)가 대응지어진다(스텝 S43).
이후, 마찬가지로 해서, 다음의 교재 데이터 D가 처리 대상으로 지정된 후, 해당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스트립 St가 표시되어, 이 스트립 St에 대해 처리 대상의 교재 데이터 D가 대응지어진다. 단, 도 18의 (c)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선두의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스트립 St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립 St내의 스프레드 버튼 Sb를 유저가 조작하면, 도 18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스프레드 버튼 Sb를 포함하는 스트립 St에 대응지어진 학습 애플리케이션 G(표 기능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e-ACTIVITY 기능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내에서 실행되는 동시에, 이 스트립 St에 대응지어진 교재 데이터 D(표의 교재 데이터 D)가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대해 입력되어 표시 내용이 갱신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데이터 표시장치(1)에 의하면, 도 5의 스텝 V1∼V5나 도 6의 스텝 W0∼W5, 도 15의 (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해, 복수 종류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 중, 해당 교재 데이터 D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가 검지되고,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각 교재 데이터 D에 관련지어, 해당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가 표시되므로, 어느 교재 데이터 D를 어느 학습 애플리케이션 G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기 쉽게 표시된다. 따라서, 교재 데이터 D와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대응을 이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도 12의 스텝 U51∼U54나 도 16의 (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Ia에의 터치 조작에 의거하여,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교재 데이터 D와, 해당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가 지정되면, 지정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가 실행되어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동시에, 지정된 교재 데이터 D가 해당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에 입력되므로, 표시된 교재 데이터 D를 해당 교재 데이터 D의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에 대해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 도 2의 스텝 S8이나 도 13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되는 학습 애플리케이션 G가 실행되면, 그 실행 화면이 표시되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교재 데이터 D 중, 해당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서 사용 가능한 교재 데이터 D가 식별 표시되므로, 어느 교재 데이터 D를 어느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기 쉽게 표시된다. 따라서, 교재 데이터 D와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대응을 이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도 11의 스텝 U34나 도 13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교재 데이터 D가 지정되면, 지정된 교재 데이터 D가 유저 지정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입력되므로, 표시된 교재 데이터 D를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 도 11의 스텝 U33이나 도 13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정된 교재 데이터 D가 유저 지정의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서 사용 가능한 교재 데이터 D가 아닌 경우에, 그 취지가 표시되므로, 사용 불가능한 교재 데이터 D가 학습 애플리케이션 G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3의 스텝 S22, S42나 도 18의 (c)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적어도 1개의 교재 데이터 D를 포함하여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a의 표시 내용이 범위 지정되면, 지정 범위내의 텍스트 데이터가 e-ACTIVITY 기능의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표시되고, 지정 범위내의 각 교재 데이터 D에 대해, 해당 지정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종류가 검지되어,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Wb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지정된 각 교재 데이터 D와의 대응 위치에, 해당 교재 데이터 D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의 스프레드 버튼 Sb(실행 버튼)가 표시되므로, 어느 교재 데이터 D를 어느 학습 애플리케이션 G로 사용할 수 있는지가 알기 쉽게 표시된다. 따라서, 교재 데이터 D와 학습 애플리케이션 G의 대응을 이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도 18의 (d)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레드 버튼 Sb(실행 버튼)가 조작되면, 해당 스프레드 버튼 Sb에 대응하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가 실행되어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동시에, 해당 스프레드 버튼 Sb의 스트립 St에 대응하는 교재 데이터 D가 해당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에 입력되고 표시 내용이 갱신되므로, 표시된 교재 데이터 D를 해당 교재 데이터 D의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GC에 대해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표시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세부 구성 및 세부 동작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와 그 균등의 범위를 포함한다.
21; 표시부 22; 입력부
24; 기억부 25; CPU
210; 디스플레이 220; 키 군
221; 터치 패널 240; 정보 표시 프로그램
241; 학습 애플리케이션군 242; 교재 데이터베이스
F; 학습 교재 파일 G; 학습 애플리케이션
Wa; 교재 데이터 표시 윈도우
Wb; 애플리케이션 표시 윈도우

Claims (17)

  1. 표시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표시장치로서,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과,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관련지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1 또는 복수 표시시키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표시 제어 수단은 각 데이터에 관련지어,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지정 수단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실행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해당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입력하여 표시 내용을 갱신하는 데이터 입력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4. 표시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표시장치로서,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과,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대해 ,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과,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상태로 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수단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에 의한 각 데이터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것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수단에 의해 실행 상태로 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식별 표시시키는 사용 가능 데이터 식별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데이터 지정 수단과,
    상기 데이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상기 지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수단에 의해 실행 상태로 된 애플리케이션 중, 유저 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지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그 취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에러 표시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7. 표시부를 구비하는 데이터 표시장치로서,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과,
    텍스트 데이터와, 1개 이상의 데이터를 갖는 학습 대상 파일을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의 표시 내용을, 적어도 1개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범위 지정하는 데이터 지정 수단과,
    상기 표시부에 텍스트 표시 에리어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데이터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 범위내의 텍스트 데이터를 해당 텍스트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텍스트 에리어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 범위내의 각 데이터에 대해, 상기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1 또는 복수 검지하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 검지 수단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텍스트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각 데이터와의 대응 위치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1 또는 복수 종류의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실행 버튼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버튼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해당 실행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실행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해당 실행 버튼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해당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입력하여 표시 내용을 갱신하는 지정 데이터 입력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장치.
  9.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의 데이터 표시 방법으로서,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스템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스텝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관련지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1 또는 복수 표시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
  10.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의 데이터 표시 방법으로서,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대해 ,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스텝과,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상태로 되게 하는 스텝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를 검지하는 스텝에 의한 각 데이터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것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스텝에 의해 실행 상태로 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식별 표시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
  11.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의 데이터 표시 방법으로서,
    텍스트 데이터와, 1개 이상의 데이터를 갖는 학습 대상 파일을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의 표시 내용을, 적어도 1개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범위 지정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부에 텍스트 표시 에리어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데이터 지정 스텝에 의한 지정 범위내의 텍스트 데이터를 해당 텍스트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데이터 지정 스텝에 의한 지정 범위내의 각 데이터에 대해, 상기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1 또는 복수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를 검지하는 스텝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텍스트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지정 스텝에 의해 지정된 각 데이터와의 대응 위치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1 또는 복수 종류의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표시 방법.
  12.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기능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를 검지하는 기능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관련지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1 또는 복수 표시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3.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기능과,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에 대해 , 상기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기능과,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상태로 되게 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를 검지하는 기능에 의한 각 데이터에 대한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검지하는 것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각 데이터 중,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에 의해 실행 상태로 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를 식별 표시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4. 표시부와,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텍스트 데이터와, 1개 이상의 데이터를 갖는 학습 대상 파일을 상기 표시부의 데이터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기능과,
    유저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 에리어의 표시 내용을, 적어도 1개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범위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표시부에 텍스트 표시 에리어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상기 데이터 지정 기능에 의한 지정 범위내의 텍스트 데이터를 해당 텍스트 표시 에리어에 표시시키는 기능과,
    상기 데이터 지정 기능에 의한 지정 범위내의 각 데이터에 대해, 상기 복수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해당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1 또는 복수 검지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 종류를 검지하는 기능에 의한 검지 결과에 따라, 상기 텍스트 표시 에리어에 표시된 텍스트 데이터 중, 상기 데이터 지정 기능에 의해 지정된 각 데이터와의 대응 위치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상기 1 또는 복수 종류의 사용 가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버튼을 표시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20079146A 2011-07-20 2012-07-20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442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8516 2011-07-20
JP2011158516A JP5772331B2 (ja) 2011-07-20 2011-07-20 学習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965A KR20130011965A (ko) 2013-01-30
KR101442908B1 true KR101442908B1 (ko) 2014-09-19

Family

ID=4671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146A KR101442908B1 (ko) 2011-07-20 2012-07-20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24817A1 (ko)
EP (1) EP2557554A1 (ko)
JP (1) JP5772331B2 (ko)
KR (1) KR101442908B1 (ko)
CN (1) CN103176763B (ko)
AU (1) AU201220517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3919B2 (ja) * 2013-09-20 2018-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036792B2 (ja) * 2014-11-26 2016-11-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計算機、計算サーバ、プログラム、データ出力方法、および計算機システム
CN106202003B (zh) * 2016-06-23 2019-04-2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试题内容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562A (ja) * 2005-03-31 2006-10-19 Casio Comput Co Ltd 電子式計算機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81681A (ko) * 2010-01-08 2011-07-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e북 단말기에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8625A (en) * 1985-05-30 1987-10-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Graphic highlight adjacent a pointing cursor
EP1126389A4 (en) * 1998-03-20 2006-12-06 Sharp Kk DATA DISPLA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DEVICE FOR PRESENTING ELECTRONIC BOOKS, AND DATA RECORDING MEDIUM
US6771252B2 (en) * 2000-12-20 2004-08-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hading of inequalities on a graphing calculator
EP2466482B8 (en) * 2002-09-30 2014-12-17 Casio Computer Co., Ltd. Graphic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JP3785537B2 (ja) * 2002-09-30 2006-06-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図形表示制御装置及び図形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7409405B1 (en) * 2002-12-06 2008-08-05 Adobe Systems Incorporated File dispatcher for multiple application targets
JP2004258184A (ja) * 2003-02-25 2004-09-16 Kosuke Nishimura 教育支援システム
US7577938B2 (en) * 2004-02-20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Data association
US20060112408A1 (en) * 2004-11-01 2006-05-2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ing data associated with a data item
US8250518B2 (en) * 2006-03-30 2012-08-21 Microsoft Corporation Per user file associations
US8589869B2 (en) * 2006-09-07 2013-11-19 Wolfram Alph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formula
KR100787975B1 (ko) * 2006-11-28 2007-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획득한데이터 처리 방법
JP4349431B2 (ja) * 2006-12-12 2009-10-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グラフ関数計算機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968864B1 (ko) * 2007-06-01 2010-07-09 엔에이치엔(주) 전자메일에 대한 부가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8078953B2 (en) * 2007-07-12 2011-12-13 Microsoft Corporation Math calculation in word processors
JPWO2009050941A1 (ja) * 2007-10-18 2011-02-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操作部表示方法
KR101466027B1 (ko) * 2008-04-30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통화내용 관리 방법
JP2009294926A (ja) * 2008-06-05 2009-12-17 Casio Comput Co Ltd 電子式計算機
US8121412B2 (en) * 2008-06-06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Recognition of tabular structures
US20100107116A1 (en) * 2008-10-27 2010-04-29 Nokia Corporation Input on touch user interfaces
US9384195B2 (en) * 2008-11-18 2016-07-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media file drop in a wireless device
US8504931B2 (en) * 2008-12-19 2013-08-06 Yahoo! Inc. Conversion service for data dragged on web-sites
US9418150B2 (en) * 2011-01-11 2016-08-16 Intelligent Medical Objects, Inc. System and process for concept tagging and content retrieval
US9645986B2 (en) * 2011-02-24 2017-05-09 Google Inc.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creating an electronic book with an umbrella policy
US9519726B2 (en) * 2011-06-16 2016-12-13 Amit Kumar Surfacing applications based on browsing activity
EP2592548B1 (en) * 2011-11-14 2017-06-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12409B1 (ko) * 2012-01-06 2018-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5803861B2 (ja) * 2012-03-19 2015-11-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学習装置及び学習プログラム
JP6163704B2 (ja) * 2012-03-19 2017-07-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図形表示装置及び図形表示プログラム
KR101899817B1 (ko) * 2012-08-01 201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5562A (ja) * 2005-03-31 2006-10-19 Casio Comput Co Ltd 電子式計算機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81681A (ko) * 2010-01-08 2011-07-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e북 단말기에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4817A1 (en) 2013-01-24
AU2012205174B2 (en) 2014-09-04
CN103176763B (zh) 2016-06-29
CN103176763A (zh) 2013-06-26
JP5772331B2 (ja) 2015-09-02
KR20130011965A (ko) 2013-01-30
AU2012205174C1 (en) 2015-08-27
EP2557554A1 (en) 2013-02-13
JP2013025002A (ja) 2013-02-04
AU2012205174A1 (en)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337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paper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S20070061755A1 (en) Reading mode for electronic documents
JP2007213587A (ja) データ客体の併合方法及び装置
KR20100130671A (ko)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영역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JP2009015388A (ja) 電子式計算機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442908B1 (ko) 데이터 표시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데이터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04281360A (zh) 编辑处理装置以及编辑处理程序
JPH09325879A (ja) 画面スクロール操作支援方法及び装置
JP6271125B2 (ja) 電子機器、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67541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H0619669A (ja) 画像データ編集操作方法
KR2010000869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전자문서의 페이지선택방법
KR101355846B1 (ko) 전자책의 데이터 처리방법
JP2009058772A (ja) 学習装置及び学習方法
JP2014127159A (ja)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KR101544527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446075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객체 서식 복사 방법 및 장치
JP5749245B2 (ja) 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EP272274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604585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15015006A2 (en) User interface for printing labels
KR101522200B1 (ko) 일 이상의 연산 결과 영역에 연산 결과를 표시하는 전자 문서에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100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ed program
JP4226307B2 (ja) 情報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027735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