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527B1 -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527B1
KR101544527B1 KR1020130148001A KR20130148001A KR101544527B1 KR 101544527 B1 KR101544527 B1 KR 101544527B1 KR 1020130148001 A KR1020130148001 A KR 1020130148001A KR 20130148001 A KR20130148001 A KR 20130148001A KR 101544527 B1 KR101544527 B1 KR 101544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ursor control
gesture
curso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2883A (ko
Inventor
신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5007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445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사이드
Priority to KR102013014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5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으로서, 텍스트창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키보드 영역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커서 컨트롤 모드가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제어 제스처를 감지하여 텍스트 창의 커서를 제어하는 커서 컨트롤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SER INTERFACE USING TOUCH INTERFACE}
본 발명은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입력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영역에서 감지되는 특정 제스처에 따라 커서를 이동할 수 있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최근의 이동 단말기들은 표시 장치가 입력 장치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탑재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는 입력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모바일 환경에서의 단말기의 이동 편이성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직접 화면 위를 터치하는 제스처로 여러 가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텍스트 입력의 경우에는 터치스크린 상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입력 장치를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특성 상 터치스크린의 크기를 일정 이상 늘리기가 어렵고, 따라서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의터치의 정확도 역시 일정 이상 향상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에서는 기존에 자판 키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경우보다 오타가 많은 이유가 그것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중 키보드 영역에서 바로 텍스트 커서를 이동하거나 블록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으로서, 텍스트창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키보드 영역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커서 컨트롤 모드가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제어 제스처를 감지하여 텍스트 창의 커서를 제어하는 커서 컨트롤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는, 상기 키보드 영역의 한 점을 사용자가 터치한 채 일정 시간 터치를 유지하는 터치 앤 홀드 제스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는, 상기 키보드 영역의 두 점을 동시에 터치하고, 상기 두 점에서 상기 키보드 영역의 바깥쪽으로 드래그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가 감지된 후 상기 가상 키보드가 두 영역으로 나눠지며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우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가 감지된 후 커서 컨트롤 패널이 상기 키보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단계는 커서 이동 모드 및 블록 설정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서 이동 모드는, 상기 키보드 영역의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텍스트창의 텍스트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 설정 모드는, 상기 키보드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앤 홀드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창에 표시된 텍스트 커서의 모양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영역에서의 드래그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텍스트창의 텍스트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커서 컨트롤 종료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키보드 영역에 상기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는 스페이스(space) 키로서 자판 변환키를 포함하고, 상기 자판 변환키를 상하좌우로 드래그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자판을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텍스트창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키보드 영역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터치 감지 모듈;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를 감지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가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제어 제스처를 감지하여 텍스트 창의 커서를 제어하는 커서 컨트롤 모듈;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텍스트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키보드 입력 모듈;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문자 입력 모드 및 커서 컨트롤 모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터치 키보드 자판을 제공할 수 있다.
커서 컨트롤 모드 시 키보드 자판의 색상을 불투명으로 처리하거나 커서 컨트롤 패널을 표시하여 현재 커서 컨트롤 상태에 있음을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커서 컨트롤 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통해 블록 설정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터치 키보드의 스페이스 키가 자판 변환 영역의 역할도 겸하여, 자판 변환 영역을 좌우로 드래그하는 경우 입력 언어가 변경되고 수직으로 드래깅하는 경우 특수 문자 자판이 변경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서 블록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판을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판이 변환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행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스처"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짓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드래그, 패닝,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다.
"탭"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매우 빠르게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 닿는 시점인 터치-인 시점과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인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 앤 홀드"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임계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터치-인 시점과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 입력이 탭인지 터치 앤 홀드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드래그"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
"패닝"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패닝은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브젝트가 페이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자체가 화면 내에서 이동하거나, 오브젝트의 그룹이 페이지 내에서 이동한다.
"드래그 앤 드롭"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명세서에서 "커서"라 함은 텍스트 커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서는 마우스의 움직임을 화면상에 나타내는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 혹은 텍스트 입력시 나타나는 I(혹은 ㅣ) 모양의 텍스트 커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텍스트 창을 '탭'하는 제스처를 입력하였을 때 텍스트 커서가 텍스트 창 내에 표시되며, 가상 키보드가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시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터치스크린(11), 제어부(13), 저장부(14)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11)에는 가상 키보드(12)가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은 일반적으로 터치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 수단이 일체로 결합된 것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입력 수단만 형성된 것도 포함한다. 그에 따라 가상 키보드(12)는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11) 상에 키보드 자판이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표시되고 그 위에서 터치를 통해 문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보드를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터치 입력 수단만 형성된 터치스크린(11) 상에 키보드 자판을 스티커로 인쇄하여 붙인 것을 포함하는 PI(Phisical interface)의 키보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가상 키보드(12)는 터치스크린(11)에 형성되는 키보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쿼티(qwerty)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키보드(12)는 터치 스크린(11)의 일 영역인 키보드 영역(11a)을 차지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혹은, 가상 키보드(12)는 사용자 단말(10)의 터치 스크린(11) 전체를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가상 키보드(12)를 중점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10)의 다른 부분들은 생략될 수 있다.
가상 키보드(12)는 터치에 의한 문자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별도의 전환 모드 키 없이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으로 제어부(13)에 의해 입력 모드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편집을 더욱 편리하도록 보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제어부(13)는 터치 감지 모듈(131), 커서 컨트롤 모듈(132), 키보드 입력 모듈(133)을 구비한다.
터치 감지 모듈(131)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11) 상에 가상 키보드(12)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 감지 모듈(131)은 터치스크린(11)에 표시된 텍스트창(11b)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키보드 영역(11a)에 가상 키보드(12)를 표현한다. 텍스트창(11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창일 수도 있고,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입력창일수도 있다. 부연하면, 텍스트 입력이 가능한 창이면 제한 없이 본 명세서에서 표현되는 텍스트창(11b)이 될 수 있다.
기존의 사용자 단말들은 가상 키보드를 표시한 후,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에 나타난 문자 자판을 탭 할 때 대응하는 문자를 텍스트창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입력되는 텍스트의 위치는 텍스트창 내에 표시된 텍스트 커서의 위치에 대응한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입력되는 텍스트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직접 텍스트창을 터치하여 텍스트 커서를 이동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자 단말의 경우에는 터치스크린(11)의 크기가 이동 단말기 크기의 제한으로 인해 일정 이상 커지지 못하며, 이로 인해 한정된 화면에서 많은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크기 및 커서의 위치까지 작아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텍스트 커서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정확한 위치를 터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도중에 텍스트 커서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터치 위치를 키보드 영역에서 텍스트창 영역으로 변경해야 하므로 손가락이 비교적 이격된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키보드 영역(11a)에 입력하는 드래그 제스처를 통해 텍스트 커서를 이동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드래그 제스처를 통해 텍스트 커서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커서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가상 키보드 영역(11a) 내에서 커서 이동 입력이 가능하므로 터치 위치를 크게 변경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의 터치 감지 모듈(131)은 텍스트창(11b)의 터치를 감지한 후 키보드 영역(11a)에 가상 키보드(12)를 표시한다. 그 후, 커서 컨트롤 모듈(132)은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를 감지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텍스트 커서를 제어하고, 키보드 입력 모듈(133)은 키보드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문자를 입력한다. 키보드 입력 모듈(133)에 의한 키보드 입력 모드는 기존의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입력 방식을 그대로 차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가상 키보드(12)가 표시되는 키보드 영역(11a) 내의 터치 시작점을 기준 시간 동안 터치하는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듈(132)은 커서 컨트롤 진입 명령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커서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점을 1초 이상 터치 앤 홀드하는 제스처를 감지하면, 키보드 입력 모드에서 커서 컨트롤 모드로 전환된다.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키보드 영역(11a)을 일정 길이 이상 드래그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앤 홀드 제스처 뿐만 아니라 키보드 영역(11a)을 드래그하는 제스처를 취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여 텍스트 커서가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서 컨트롤 모드란 사용자가 키보드 영역(11a)에 제스처를 입력하여 텍스트창(11b)에 위치하는 텍스트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텍스트 블록을 설정할 수 있는 모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커서 컨트롤 모드에서 사용자가 키보드 영역(11a)을 좌에서 우로 드래그하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현재 텍스트창(11b)에 표시된 텍스트 커서는 현재 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서 컨트롤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도 3의 (b)와 같이 가상 키보드(12)가 불투명 처리되어 사용자에게 커서 컨트롤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서 컨트롤 모드를 종료하고자 할 때 (b) 상태의 화면에서 키보드 영역(11b)을 탭하는 제스처를 취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를 종료하고 키보드 입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커서 컨트롤 모드 상태에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커서가 이동되고, 탭 제스처가 입력되면 커서 컨트롤 모드가 종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2개의 터치 시작점을 터치하면서 2개의 터치점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서 컨트롤 모드는 사용자가 키보드 영역(11a)을 통해 문자 입력이 아닌 커서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
사용자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2개의 터치점을 드래그하는 경우, 화면에는 가상 키보드(12)가 일정 부분을 기준으로 2개로 갈라져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가상 키보드(12)가 사라진 자리에는 커서 컨트롤 패드(13)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커서 컨트롤 패드(13)의 영역을 드래그하여 텍스트 커서를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커서 컨트롤 패드(13)가 표시된 상태에서 2개의 터치점을 화면 중앙으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드가 종료되고 다시 가상 키보드(12)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혹은,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커서 컨트롤 패드(13)를 탭하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드가 종료되고 키보드 입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3의 예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앤 홀드 동작을 통해 커서 컨트롤 모드로 진입하는 것과 달리, 도 4의 예와 같이 좌우 슬라이딩을 통해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가상 키보드(12)가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커서 컨트롤 모드가 실행되고 있음을 보다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도 3의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반투명 처리된 가상 키보드(12)를 통해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였다는 정보를 알리고, 도 4의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커서 컨트롤 패드(13)를 표시함으로써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였다는 정보를 알린다. 즉, 도 3 및 도 4의 실시예는 모두 사용자의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지만,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서 컨트롤 모드는 커서 이동 모드 및 블록 설정 모드를 포함한다. 커서 이동 모드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텍스트 커서가 이동되는 모드이고, 블록 설정 보드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텍스트 블록이 설정되는 모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2)가 반투명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키보드 영역(11a)을 드래그하여 텍스트창(11b)의 텍스트 커서를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커서 컨트롤 패널(13)이 표시되는 실시예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의 텍스트창(11b)에는 텍스트 커서(c1)가 표시되어 있다. 도 5의 (a)와 같이 키보드 입력 모드의 경우에는 텍스트 커서(c1)는 일반적인 I 모양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보드 입력 모드에서 키보드 영역(11a)의 한 점을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터치 앤 홀드 제스처를 입력하여 (b)와 같은 커서 컨트롤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사용자가 터치 앤 홀드 제스처를 입력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로 진입한 경우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면 가상 키보드(12)는 반투명 처리되어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듈(132)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텍스트 커서(c1)를 이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우측 하단으로 드래그하는 제스처를 취하면,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커서는 (c) 화면과 같이 우측 하단으로 이동한다.
즉,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처음 텍스트 커서(c1)의 위치는 '일생의' 뒤쪽이지만, 사용자가 드래그 제스처를 취하고 난 후의 텍스트 커서(c1)의 위치는 우측 하단 방향인 '떠나야'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드래그 제스처에 따라 커서가 이동하는 것을 텍스트창(11b)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커서의 이동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에서 블록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 화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가 적용된 상태에서 커서 이동 모드인 경우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텍스트창(11b)에는 텍스트 커서(c1)가 표시되고 있다. 커서 컨트롤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보드 영역(11a)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 앤 홀드하여 (b) 화면과 같이 블록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키보드 입력 모드에서 터치 앤 홀드 제스처를 통해 커서 컨트롤 모드의 커서 이동 모드에 진입하고, 커서 이동 모드 상태에서 다시 터치 앤 홀드 제스처를 통해 블록 설정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보드 영역(11a)을 드래그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일반 키보드 입력 모드에서 터치 앤 홀드하는 제스처를 통해 블록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는 키보드 입력 모드에서 드래그 제스처를 통해 커서 이동 모드에 진입하고, 키보드 입력 모드에서 터치 앤 홀드 제스처를 통해 블록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b) 화면과 같은 블록 설정 모드에서는, 텍스트창의 텍스트 커서는 블록 설정 커서(c2)로 바뀌며, 블록 설정 커서(c2)는 일반적인 텍스트 커서(c1)보다 굵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서 이동 모드일 때와 블록 설정 모드일 때의 가상 키보드(12)의 색상, 음영 및 투명도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설정 모드에서는 커서 이동 모드와 달리 도 6의 (b) 화면과 같이 가상 키보드(12)에 음영이 처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12)의 표시 상태를 보고 현재 커서 이동 모드인지 블록 설정 모드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의 (c) 화면과 같이 블록 설정 커서(c2)를 우측 하단으로 드래그하여 텍스트에 블록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서의 변화된 모양을 보고 블록 설정 모드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의 (c)와 같은 예에서, 사용자는 블록 설정 모드 상에서 터치를 우측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텍스트창(11b)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b의 (b) 및 (c)와 같은 실시예에서, 처음 커서 컨트롤 모드 설정시의 텍스트 커서(c1)는 텍스트 '일생의'의 뒤에 위치하였지만, 사용자가 드래그한 후 블록 설정 커서(c2)는 텍스트 '떠나야'의 뒤에 위치하며, '꿈에'부터 '떠나야'까지 블록이 설정된다.
또한, 비록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드래그 제스처로 블록을 설정할 때 드래그 제스처가 종료되는 위치에 팝업 메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팝업 메뉴는 복사, 붙여넣기, 삭제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서 컨트롤 모드에서 키보드 영역(11a) 상의 화면을 직접 조작하여 커서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블록 설정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 키보드(12)에 존재하는 자판 변환키(12a)를 사용하여 자판을 보다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자판 변환키(12a)를 사용하여 자판을 변환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키보드 영역(11a) 내에서 상하좌우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여 자판을 변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판을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키보드(12)는 자판 변환키(12a)를 구비할 수 있다. 자판 변환키(12a)란, 일반적인 키보드의 스페이스 키(space key)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키 영역 상에서 상하좌우로 드래그를 하는 경우 자판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판 변환키(12a)는 기존의 스페이스보다 상하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의 (a) 화면과 같은 가상 키보드(12)에서, 사용자는 자판 변환키(12a)의 영역 상에서 터치 시작점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여 한글 자판을 영문 자판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자판 변환키(12a) 상에 행해지는 제스처의 방향이 반대가 되면 자판 변환 역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자판이 영문 자판인 경우 사용자는 자판 변환키(12a)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왼쪽으로부터 한글 자판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예에서는 한글 자판과 영문 자판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3개 이상의 복수개의 자판 역시 도 7의 실시예와 방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자판이 한글이고 가상 키보드(12)에서 지원하는 자판이 한글/영문/일본어/중국어 자판인 경우,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으로 한번 드래그하는 경우 자판은 영문으로 바뀌고, 한번 더 드래그하는 경우 일본어로 바뀌는 식으로 자판이 변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여 도 7의 (b), (c), (d) 화면과 같이 가상 키보드(12)의 자판이 변경된다.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자판이 변환되는 인터페이스를 표현하기 위해 영문 타자가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이동하도록 표현할 수 있으며, 한글 타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사라질 수 있다. 이때, 사라지는 한글 타자는 반투명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판을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판 변환키(12a) 상에서 좌/우측 방향의 드래그 제스처를 통해 한/영 자판을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판 변환키(12a) 상에서 상하로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하여 특수 문자로 자판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시작점을 자판 변환키(12a)의 안쪽 영역으로 설정한 후,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자판은 한글 자판에서 특수 문자 자판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특수 문자 자판은 숫자 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도 도 7의 예시와 같이 변환되는 자판이 사용자의 제스처 방향과 부합하도록 아래에서 위로 슬라이딩 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라지는 자판은 도 7의 실시예에서처럼 반투명 처리되면서 사라질 수 있다. 사라지는 자판이 반투명 처리되어 사라지므로, 사용자는 현재 사라지는 자판과 적용되는 자판을 구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 문자 자판을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판 변환키(12a) 영역을 아래에서 위로 드래그하여 특수 문자 자판을 변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수 문자의 수는 하나의 자판에 모두 수용될 수 없을 만큼 많으므로, 특수 문자 자판은 여러 개가 구비되어 있다. 기존의 가상 키보드에서 사용자는 특수 문자를 선택한 후, 좌우 키를 이용하여 특수 문자 자판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 드래그 제스처를 통하여 간편하게 특수 문자 자판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12)에 특수 문자 1/특수 문자 2/특수 문자 3의 자판으로 구비된 경우라면, 사용자는 자판 변환키(12a)를 위로 드래그해서 특수 문자 1 자판을 선택하고, 한번 더 위로 드래그해서 특수 문자 2 자판을 선택하고, 다시 한번 더 위로 드래그해서 특수 문자 3 자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a)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된 특수 문자 1 자판에서 사용자가 자판 변환키(12a) 위를 위로 드래그하면, (b), (c), (d) 화면과 같이 특수 문자 1 자판이 위로 슬라이딩되면서 특수 문자 2 자판이 나타난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사라지는 특수 문자 1 자판은 반투명 처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 문자 자판에서 한글 자판으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a) 화면과 같이 사용자가 자판 변환키(12a)를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특수 문자 1 자판에서 한글 자판으로 자판이 변환된다.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라지는 특수 문자 자판은 반투명 처리되며,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사라진다. 또한, 새로 나타나는 한글 자판 역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이전 자판과 새로운 자판이 슬라이딩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하였지만, 자판이 변환되는 인터페이스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자판이 껍질 까지듯 화면 밖으로 사라지고 그 아래에 정지한 채로 있던 새로운 자판이 점차 모습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인터페이스가 본 발명에 차용될 수 있다.
이상의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를 종합하면, 사용자는 키보드 영역(11a) 혹은 자판 변환키(12a)의 영역을 상하좌우로 드래그하여 자판을 변환할 수 있다. 특히, 좌우 드래그를 통해 언어 자판을 변환하고, 상하 드래그를 통해 특수 문자 자판을 변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판이 변환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좌우로 드래그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변경되는 자판은 가로축의 언어 자판이고, 상하로 드래그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변경되는 자판은 세로축의 특수문자 자판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실시예에서 현재 자판이 한글 자판인 경우 사용자가 좌에서 우로 향하는 드래그 제스처를 취하면 일어 자판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특수 문자 1 자판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현재 특수 문자 1 자판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우에서 좌로 향하는 드래그 제스처를 취하면 가로축의 언어 자판 중 선택된 자판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언어자판에서 다른 언어자판으로의 변환 또는 한 특수문자 자판에서 다른 특수문자 자판으로의 변환 시 애니메이션과 언어자판에서 특수문자 자판으로의 변환 또는 특수문자 자판에서 언어자판으로의 변환 시 애니메이션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 자판에서 영문자판으로 변환될 때는 영문 자판이 한글 자판을 화면 밖으로 밀어내면서 그 밀어낸 만큼 영문 자판이 화면에 나타나는 형태의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될 수 있다. 반면, 한글 자판에서 특수 문자1 자판으로 변환될 때는 한글 자판이 화면 밖으로 사라지면서 특수 문자1 자판이 마치 한글 자판 아래에 숨겨져 있었던 것처럼 화면에 나타나는 형태의 애니메이션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행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터치 감지 모듈(131)은 텍스트 입력창의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S1). 사용자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 감지 모듈(131)은 디스플레이 상의 키보드 영역(11a)에 가상 키보드(12)를 표시한다(S2).
키보드 영역(11a) 내의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가 감지되면(S3), 터치 감지 모듈(131)은 감지된 제스처가 터치 앤 홀드 제스처인지(S4) 두 점 터치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드래그 제스처인지(S6) 여부를 확인한다.
터치 앤 홀드 제스처인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듈(132)은 가상 키보드(12)를 반투명 상태로 표시하고 커서 컨트롤 모드를 실행한다(S8). 두점 터치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드래그 제스처인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듈(132)은 가상 키보드(12)를 좌우 방향으로 밀어내는 동시에 커서 컨트롤 패드(13)를 표시하고 커서 컨트롤 모드를 실행한다(S8).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키보드 입력 모듈(133)이 문자(키보드) 입력 모드를 진행한다(S9).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커서 컨트롤 모듈(132)이 커서 컨트롤 모드를 실행한 후(S81), 키보드 영역(11a)에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의 종류를 감지한다(S82).
사용자 제스처가 탭 제스처인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드를 종료한다(S86).
사용자 제스처가 드래그 제스처인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듈(132)은 커서 이동 모드를 실행하고(S831), 텍스트창의 텍스트 커서를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여 이동(S832)한다.
사용자 제스처가 터치 앤 홀드 제스처인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듈(132)은 블록 설정 모드를 실행하고(S841), 텍스트 커서를 블록 설정 커서로 변경한다(S842). 또한,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여 텍스트를 블록 설정하고(S843), 복사, 잘라내기, 삭제 등의 옵션을 표시하는 팝업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S844).
커서 컨트롤 모드 실행 중에 커서 컨트롤 모드 종료 제스처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85), 커서 컨트롤 모드 종료 제스처가 있는 경우 커서 컨트롤 모드를 종료하고(S86) 키보드 입력 모듈(133)이 키보드(문자) 입력 모드를 진행한다(S87). 상술한 바와 같이, 커서 컨트롤 모드 종료 제스처는 키보드 영역(11a)을 탭하는 제스처일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11: 터치스크린
12: 가상 키보드 13: 제어부
131: 터치 감지 모듈 132: 커서 컨트롤 모듈
133: 키보드 입력 모듈 14: 저장부

Claims (11)

  1.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으로서,
    텍스트창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키보드 영역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면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반투명 처리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가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반투명 처리된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제어 제스처를 감지하여 텍스트 창의 커서를 제어하는 커서 컨트롤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는,
    상기 키보드 영역의 한 점을 사용자가 터치한 채 일정 시간 터치를 유지하는 터치 앤 홀드 제스처인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는,
    상기 키보드 영역의 두 점을 동시에 터치하고, 상기 두 점에서 상기 키보드 영역의 바깥쪽으로 드래그하는 제스처인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가 감지된 후 상기 가상 키보드가 두 영역으로 나눠지며 디스플레이 화면의 좌우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가 감지된 후 커서 컨트롤 패널이 상기 키보드 영역에 표시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컨트롤 모드는 커서 이동 모드 및 블록 설정 모드를 포함하고,
    제1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커서 이동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제1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와 다른 제2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가 감지되면 상기 블록 설정 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커서 이동 모드 및 상기 블록 설정 모드 각각에서의 상기 가상 키보드의 색상, 음영 및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르게 표시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이동 모드는,
    상기 키보드 영역의 사용자의 드래그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텍스트창의 텍스트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설정 모드는,
    상기 키보드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 앤 홀드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창에 표시된 텍스트 커서의 모양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영역에서의 드래그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텍스트창의 텍스트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커서 컨트롤 종료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키보드 영역에 상기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는, 자판 변환키로 사용되는 스페이스(space) 키 혹은 가상 키보드 전체 영역에 상하좌우로 드래그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자판을 변환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방법.
  11. 텍스트창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키보드 영역에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터치 감지 모듈;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커서 컨트롤 진입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커서 컨트롤 모드의 종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커서 컨트롤 모드에 진입하면서 상기 가상 키보드를 반투명 처리하여 커서 컨트롤 모드가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반투명 처리된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커서 제어 제스처를 감지하여 텍스트 창의 커서를 제어하는 커서 컨트롤 모듈;
    상기 키보드 영역에 입력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 텍스트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는 키보드 입력 모듈;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제어 시스템.
KR1020130148001A 2013-11-29 2013-11-29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4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001A KR101544527B1 (ko) 2013-11-29 2013-11-29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001A KR101544527B1 (ko) 2013-11-29 2013-11-29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83A KR20150062883A (ko) 2015-06-08
KR101544527B1 true KR101544527B1 (ko) 2015-08-13

Family

ID=5350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001A KR101544527B1 (ko) 2013-11-29 2013-11-29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068B1 (ko) 2016-07-05 2023-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커서 제어방법
KR102033710B1 (ko) * 2017-12-15 2019-10-17 허장완 터치스크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10B1 (ko) * 2012-03-20 2012-06-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입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610B1 (ko) * 2012-03-20 2012-06-14 라오넥스(주)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입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83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7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sor control and text selection and editing based on gesture-based touch inputs received in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US10684751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53259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224318A (ja) タッチ入力カーソル操作
CN102520860A (zh) 一种进行桌面显示控制的方法及移动终端
US201401571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executing command through gesture input
CN106104450B (zh) 选择图形用户界面某一部分的方法
KR20100130671A (ko) 터치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영역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43335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타일의 의미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20160053547A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인터렉션 방법
EP3278203B1 (en) Enhancement to text selection controls
KR100795590B1 (ko) 네비게이팅하는 방법, 전자 디바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산물
KR101447886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44527B1 (ko)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35167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US11914857B1 (en)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ointing and editing on computing devices with touch-sensitive displays
US9454517B2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412431B1 (ko) 멀티 터치와 탭핑을 결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KR101641063B1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36805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다중 객체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436588B1 (ko) 멀티 포인트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6206723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1529886B1 (ko) 제스처 기반 3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WO2014010543A1 (ja) 情報処理装置、入力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51006B1 (ko) 터치 스크린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장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57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302

Effective date: 201904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436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605

Effective date: 20200619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300011158;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805

Effective date: 20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