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798B1 -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 Google Patents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798B1
KR101442798B1 KR1020140033806A KR20140033806A KR101442798B1 KR 101442798 B1 KR101442798 B1 KR 101442798B1 KR 1020140033806 A KR1020140033806 A KR 1020140033806A KR 20140033806 A KR20140033806 A KR 20140033806A KR 101442798 B1 KR101442798 B1 KR 101442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robe
guide rail
steam generato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섭
우장명
박성호
류홍석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798B1/ko
Priority to US14/667,020 priority patent/US981984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3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positioned in or via the headers
    • F22B37/005Position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5Constructional details for picking-up images in sites, inaccessible due to their dimensions or hazardous conditions, e.g. endoscopes or boresco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27D2021/026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using a video instal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기발생기의 핸드홀 플랜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레일을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일가이더를 구비하는 고정유닛; 상기 레일가이더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의 전열관과 분할판 사이로 진입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증기발생기 외부에 배치되며, 스틸벨트가 권취된 보빈을 구비하는 레일구동유닛; 및 상기 스틸벨트를 통해 상기 레일구동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모양의 프로브와, 상기 프로브의 일단에 장착된 검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프로브 피딩유닛;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REMOTE INSPECTION APPARAUS FOR HEATING TUBE OF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을 통해 증기발생기 내부로 접근하여 전열관의 외부나 틈새에 유입된 이물질, 슬러지 등의 침척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는 증기발생기를 통해 증기터빈과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증기발생기 내부에는 다발(bundle) 형태로 이뤄진 다수의 전열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열관은 방사능을 포함하는 1차 계통수와 터빈을 돌리는 2차 계통수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며,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를 분리시켜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증기발생기의 증기 생성 과정을 살펴보면, 원자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1차 계통수가 관리를 따라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내부를 흐르게 되며, 전열관 외부로 공급되는 2차 계통수가 전열관의 외부로 교차하면서 전열관의 관 벽을 사이에 두고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가 열교환을 하게 된다. 또한, 열교환된 1차 계통수는 폐회로의 관로를 따라 다시 원자로로 순환되며, 2차 계통수는 증기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증기발생기 내부에서는 전열관의 관 벽을 사이에 두고 1, 2차 계통수가 열교환되기 때문에, 전열관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흐르고, 전열관 외부로는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전열관에 손상이 발생된 경우, 전열관 내부의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외부로 누설되어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와 혼합될 수 있으며, 이는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증기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구역 전체를 방사능 오염시킬 수 있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열관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작업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과제로 취급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증기발생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증기발생기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증기발생기(10)는 1차 계통의 원자로 냉각재가 들어오는 입구노즐(11)과, 열교환이 이뤄지는 전열관(13)과, 입구노즐(11)을 통해 들어오는 원자로 냉각재를 바깥쪽에 있는 2차 계통 냉각수에 열을 전달하는 출구노즐(1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열관(13)은 관판(tube sheet, 14)위에 안치되며, 안치된 전열관(13)은 일정 수직 높이 간격마다 관지지판(tube support plate, 15)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하단의 관지지판(15)과 관판(14)사이에는 도너츠판상의 유량분배판(16)을 안치시켜 전열관(13)을 지지하도록 한다. 전열관(13)을 지지하는 다수의 일정 수직 간격의 관지지판(15)및 전열관(13)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에 증기배출구(17)를 가지는 래퍼(18)를 결합하고, 래퍼(18)는 물을 외부하우징(19) 내벽을 따라 아래로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은 전열관(13)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되어 위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증기발생기(10)에서, 1차 계통의 원자로 냉각재는 입구노즐(11)로 들어와서 다수의 전열관(13) 안쪽으로 흐르면서 출구노즐(12)을 통과하여 바깥쪽에 있는 2차 계통 냉각수에 열을 전달하고, 이때 증기가 생성되게 한다. 이와 같은 증기발생기(10)에서 원자로 냉각재가 흐르는 부분을 1차측, 급수 및 증기가 흐르는 부분을 2차측이라 한다. 2차 계통은 주증기 계통, 터빈 계통, 복수 및 급수 계통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증기발생기(10) 2차 측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주증기관을 따라 이동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증기발생기(10)에서 증기를 만들기 위해 2차측에 공급되는 2차 계통수는 여과와 화학 처리를 통해 공급되지만 관로 내부를 순환하면서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한 이물질과 슬러지를 동반하여 증기발생기(10) 내부로 유입되어 관판(14), 관지지판(15), 유량 분배판(16) 등에 침전되거나 전열관(13) 외벽에 들러붙게 되어 전열 효과를 저하시키거나 손상을 초래한다. 즉, 증기발생기(10)는 내부에 수천개의 전열관(13)이 다발 형태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바, 운전 연수가 지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 또는 생성되는 이물질, 불순물 등이 전열관(13) 외부 표면 등에 침착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전열관(13)의 열교환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슬러지로 고형화되면 관지지판(15)과 전열관(13) 사이 등에 덴팅(denting)을 유발하여 전열관(13)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전열관(13) 표면의 스케일 제거와 관지지판(15)의 슬러지 제거는 증기발생기 효율과 전열관(13)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유량분배판(16)과 전열관(13) 및 관판(14)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소형 내시경 카메라 등 다양한 검사설비가 도입되고 있다.
일 예로, 본 출원인이 개발한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의 육안검사장치(일명, 'KIIS')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육안검사장치는 증기발생기 하부 핸드홀을 통해 내부로 투입되어 전열관 다발과 슈라우드(shroud) 사이 공간을 활용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할판(divide plate)에 수직 방향으로 진입하게 되며, 세관 사이로 프로브(probe)를 삽입하여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육안검사장치는 로봇의 이동시 중력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어 지속적인 보상 제어가 필요하며, 전열관의 컬럼을 이동하여 검사하기까지 세팅 시간과 오차를 보정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되는바, 작업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6344호(2011.11.17.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을 통해 증기발생기 내부로 접근하여 전열관의 외부나 틈새에 유입된 이물질, 슬러지 등의 침척 상태를 검사 가능하며, 신속하고 높은 작업 효율성을 가지고 넓은 검사 영역에 적용 가능한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증기발생기의 핸드홀 플랜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레일을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일가이더를 구비하는 고정유닛; 상기 레일가이더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의 전열관과 분할판 사이로 진입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증기발생기 외부에 배치되며, 스틸벨트가 권취된 보빈을 구비하는 레일구동유닛; 및 상기 스틸벨트를 통해 상기 레일구동유닛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모양의 프로브와, 상기 프로브의 일단에 장착된 검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프로브 피딩유닛;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는,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을 통해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종래 검사설비의 접근이 어려운 영역까지도 접근이 가능하여 증기발생기나 내부 전열관의 면밀한 검사 및 건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증기발생기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유닛, 가이드레일, 프로브 피딩유닛 및 레일구동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레일구동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레일구동유닛의 우측 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레일구동유닛의 좌측 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레일구동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레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4 가이드레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브 피딩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프로브 피딩유닛의 제 1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프로브 피딩유닛의 제 2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를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이하, '원격검사설비(S)'로 지칭함)는, 증기발생기 하단의 분할판(divider plate)과 전열관 다발 사이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증기발생기 내부로 접근 및 이물질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증기발생기의 핸드홀 플랜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유닛(100)과, 고정유닛(1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증기발생기 내부로 연장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00),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되어 전열관 틈새의 이물질 등을 검사하는 프로브 피딩유닛(probe feeding unit, 400), 가이드레일(300)의 일단에 장착되어 프로브 피딩유닛(400)를 이동시키는 레일구동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사설비(S)는, 증기발생기 외부에서 모니터링이나 초기 위치, 자세 설정 등을 위한 로컬제어부(500), 원자로 외부에서 각종 구동 제어나 검사 데이터 수집 등을 위한 원격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사설비(S)는, 증기발생기의 하부에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 각 핸드홀의 플랜지면에 고정유닛(100)을 고정 설치하고, 고정유닛(100)의 안내 하에서 가이드레일(300)을 분할판과 전열관 다발 사이로 진입시키게 되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 가능한 프로브 피딩유닛(400)이 레일구동유닛(200)에 의해 설정 위치로 이동된 후, 프로브를 전열관 틈새로 집어넣어 전열관 내외부의 슬러지나 이물질 침척 상태 등을 검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로컬제어부(500)는 설치 과정의 모니터링이나 설치시 초기 위치, 자세 설정 등에 필요한 구동 제어를 수행하게 되며, 원격제어부(600)에서는 프로브에 의해 수집된 검사 데이터 등을 분석하고 검사에 필요한 각종 구동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유닛, 가이드레일, 프로브 피딩유닛 및 레일구동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증기발생기 핸드홀의 플랜지면에 장착 고정되는 고정유닛(100)은 하부측에 하나 이상의 레일가이더(rail guider, 140)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가이더(140)는 하부면에 가이드레일(300)이 끼움 결합되는 레일안내홈(142)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유닛(100)의 좌우에 각각 하나씩의 레일가이더(140)가 배치되어 총 2개의 레일가이더(140)가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300)은 레일가이더(140)의 레일안내홈(142)으로 삽입 또는 끼움 결합되어 증기발생기 내부로의 진입이 가이드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레일(300)이 길이방향을 따라 총 4개로 분할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가이드레일(300)의 분할 개수는 증기발생기의 크기나 필요한 검사 설정 위치 등에 따라 증감 변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이드레일(300)의 일단에는 프로브 피딩유닛(400)의 이동을 위한 레일구동유닛(20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레일(300)이 길이방향을 따라 4분할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경우, 도면상 최우측단에 배치된 가이드레일(300)의 일단에 레일구동유닛(200)이 장착될 수 있다. 레일구동유닛(200)을 스틸벨트(steel belt)를 통해 프로브 피딩유닛(4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구동모터(230) 또는 핸들부(240)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프로브 피딩유닛(400)을 이동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전열관 틈새로 진입되어 이물질, 슬러지 등을 검사하기 위한 프로브(4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프로브(420)의 일단에는 검사 카메라(421)가 장착되어 전열관 내외부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거나 검사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레일구동유닛(200)의 제어에 의해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검사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프로브 피딩유닛(400)의 하우징 상단이나 프로브를 지지하는 트롤리의 상단에는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411a, 43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고정유닛(100)은 증기발생기 핸드홀의 플랜지면에 결합되는 고정블록(110)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블록(110)은 대략 사각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고정볼트(111)에 의해 핸드홀 플랜지면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유닛(100)은 고정블록(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힌지블록(120)을 구비할 수 있다. 힌지블록(120)은 상하 방향의 제 1 힌지축(H1)을 중심으로 고정블록(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블록(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블록(120)에 의해 고정유닛(100)은 상하 방향 축을 중심으로 레일가이더(140)를 소정정도 회동 조절 가능하게 되며, 이는 레일가이더(140)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레일(300)의 위치,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상하 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롤링(rolling)'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힌지블록(120)은 레일가이더(140) 또는 이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레일(300)을 롤링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정유닛(100)은 힌지블록(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슬라이딩블록(130)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블록(130)은 폭 방향의 제 2 힌지축(H2)을 중심으로 힌지블록(12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블록(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블록(130)에 의해 고정유닛(100)은 폭 방향 축을 중심으로 레일가이더(140) 또는 가이드레일(300)을 회동 조절 가능하게 된다. 특히, 슬라이딩블록(130)의 회동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300)의 처짐을 보상하기 위한 틸딩(tilting) 조절을 가능케 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폭 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틸팅(tilting)'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블록(130)은 하부면에 슬라이딩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131)은 대략 역사다리꼴 형태로 슬라이딩블록(130)의 하부면 일측단에서 반대편까지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홈(131)에는 후술할 레일가이더(140)의 마운팅블록(141)이 체결될 수 있으며, 마운팅블록(141)이 슬라이딩홈(131) 내에서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레일가이더(140)의 폭 방향 위치 조절이나 간격 조절이 이뤄질 수 있다.
한편, 고정유닛(100)은 슬라이딩블록(130)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가이더(140)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가이더(140)는 가이드레일(300)의 증기발생기 내부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레일(300)이 체결되는 레일안내홈(142)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레일가이더(140)는 힌지블록(120) 또는 슬라이딩블록(130)의 롤링 또는 틸팅에 의해 방향이나 위치 등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레일가이더(140)는 마운팅블록(141)에 의해 슬라이딩블록(130) 하부면의 슬라이딩홈(131)에 끼움 결합되어 폭 방향으로도 소정정도 이동이나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즉, 레일가이더(140)의 상부면에는 슬라이딩홈(131)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운팅블록(141)이 마련될 수 있으며, 레일가이더(140)는 이와 같은 마운팅블록(141)이 슬라이딩홈(13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블록(13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가이더(140)는 마운팅블록(141)이 슬라이딩홈(131) 내 좌우 이동됨에 따라 마운팅블록(141)과 함께 좌우 이동이나 위치 조절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레일가이더(140)가 마련된 경우 레일가이더(140) 간의 간격 조절 또한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고정유닛(100)은 2개의 레일가이더(140) 간 간격 조절을 위한 간격조절바(15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격조절바(150)는 양단측에 배치된 힌지브라켓(151)이 각각 좌우측의 레일가이더(140)와 복수개의 힌지편(미표기)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바(15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됨으로써, 좌우측의 레일가이더(140) 간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레일구동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레일구동유닛의 우측 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레일구동유닛의 좌측 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레일구동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10을 참고하면, 레일구동유닛(200)은 하우징(200)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레일구동유닛(2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할 보빈(220) 등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하우징(200)은 좌우측 면이 각각 커버(213, 214)에 의해 덮혀질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를 각각 좌측 커버(213) 및 우측 커버(214)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8은 이와 같은 하우징(200)의 우측 커버(214)를 분리하여 하우징(200)의 우측면을 주면으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하우징(200)의 좌측 커버(213)를 분히하고 하우징(200)의 좌측면을 주면으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한편, 레일구동유닛(200)은 스틸벨트(steel belt, 221)가 권취된 보빈(22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빈(220)은 하우징(200) 내에 장착 조립될 수 있으며, 프로브 피딩유닛(4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틸벨트(221)를 구비할 수 있다. 스틸벨트(221)는 보빈(220)에 롤(roll)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되었다가 후술할 핸들부(240)나 구동모터(230)에 의해 풀려나와 프로브 피딩유닛(400)을 향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레일구동유닛(200)은 보빈(220)에 권취된 스틸벨트(221)를 프로브 피딩유닛(400)으로 제공하여 프로브 피딩유닛(4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모터(230)를 하우징(20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기어 세트(260)를 통해 스틸벨트(221)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보빈(220)으로부터 스틸벨트(221)가 풀려나오도록 하거나 스틸벨트(221)가 보빈(220)에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230)는 베벨 기어(264, 264a)를 통해 구동축(261a)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동축(261a)의 회전은 복수개의 아이들 기어(idle gear, 262)를 통해 타이밍 기어(timing gear, 263)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기어(263)는 하우징(200) 내 스틸벨트(221)와 접하는 간헐기어(intermittent gear, 265)와 연결되어 간헐기어(265)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스틸벨트(221)가 보빈(220)으로부터 인출되어 프로브 피딩유닛(400) 등을 향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스틸벨트(221)는 보빈(220)에 권취 가능함과 동시에, 프로브 피딩유닛(400)으로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스틸로 형성되되, 대략 반달 또는 눈썹 모양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스틸벨트(221)는 횡단면이 소정정도의 곡률을 가지고 완만하게 굴곡된 원호(arc)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틸벨트(221)는 보빈(220)으로부터 인출되게 되면 곡률진 횡단면 형상에 의해 직선 형태로 펼쳐지게 되며, 소정정도의 직진성을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프로브 피딩유닛(400)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틸벨트(221)는 길이방향을 따라 펀칭홀(221a)이 소정간격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펀칭홀(221a)은 간헐기어(265)에 의한 스틸벨트(221)의 이동이나 인출을 위한 것으로, 간헐기어(265)의 체결돌기(미표기)가 펀칭홀(221a)에 체결됨으로써, 간헐기어(265)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스틸벨트(221) 또한 이에 맞물려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일구동유닛(200)은 보빈(22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보빈(220)에 권취되는 스틸벨트(221)를 안내하기 위한 롤러 세트(270)를 구비할 수 있다. 롤러 세트(270)는 스틸벨트(221)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배치되거나, 스틸벨트(221)가 레일구동유닛(200)으로부터 인출되는 굴곡 부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27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틸벨트(221)의 인출이나 권취시 스틸벨트(221)의 변형(즉, 롤 형태와 직선 형태 간의 변형)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레일구동유닛(200)은 스틸벨트(221)의 인출 등을 수동 조작하기 위한 핸들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핸들부(240)는 레일구동유닛(200)의 좌측 커버(213)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 키홀(241a)을 구비하고 커버(2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판형의 회전플레이트(241)와, 회전플레이트(241)의 외주 일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가능케 하는 핸들바(242)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241) 중앙의 키홀(241a)은 기어 세트(260)의 구동축(261a)과 체결될 수 있으며, 회전플레이트(241)의 회전은 키홀(241a)을 통해 구동축(261a)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회전플레이트(241)가 회전 구동되면, 구동축(261a)이 이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축(261a)의 회전은 전술한 구동모터(230)의 경우와 유사하게 기어 세트(260)를 통해 간헐기어(265)로 전달되어 스틸벨트(221)가 보빈(22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보빈(220)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스틸벨트(221)의 인출 등을 직접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레일구동유닛(200)은 에어(air)가 공급되는 에어공급노즐(211) 및 공급된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배출노즐(212)을 구비할 수 있다. 에어공급노즐(211) 및 에어배출노즐(212)은 각각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가이드레일(300)의 고정에 필요한 구동 에어를 공급받아 가이드레일(300)로 공급하게 된다. 즉, 에어공급노즐(211)에는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ure) 등의 에어공급수단이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급된 에어는 하우징(200) 내부를 유동하여 에어배출노즐(212)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에어배출노즐(212)은 후술할 가이드레일(300)의 에어공급홀(330)과 연결되어 배출된 에어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된 에어는 가이드레일(300)의 고정피스톤부(320)을 구동하는데 사용되어 가이드레일(300)이 증기발생기 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레일구동유닛(200)은 에어의 급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에어밸브(211a)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레일구동유닛(200)은 하우징(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평센서(250)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센서(250)는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하나 이상의 수평계(251, 253)를 구비하고, 작업자가 레일구동유닛(200)의 설치 상태나 자세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레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표시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제 4 가이드레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13을 참고하면, 가이드레일(300)은 대략 'I'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00)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4개의 가이드레일(300a, 300b, 300c, 300d)로 분할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분할된 각 가이드레일(300a, 300b, 300c, 300d)을 제 1 내지 4 가이드레일(300a, 300b, 300c, 300d)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제 1 가이드레일(300a)은 일단(도 2i의 우측단)에 레일구동유닛(20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제 2 내지 4 가이드레일(300b, 300c, 300d)은 제 1 가이드레일(30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가이드레일(300a, 300b, 300c, 300d)의 일단에는 연결블록(3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타단에는 연결블록(310)의 체결을 위한 볼트홀(312)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블록(310)은 볼트홀(312)에 체결되는 연결볼트(311)를 구비하고 각 가이드레일(300a, 300b, 300c, 300d)이 길이방향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반복된 조립 작업에 의해 마모되지 않도록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가이드레일(300)에는 고정피스톤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피스톤부(320)는 증기발생기 내부로 삽입된 가이드레일(300)이 증기발생기 내 전열관과 분할판 사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에어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피스톤(321)을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피스톤(321)은 에어의 공급에 의해 각각 제 4 가이드레일(300)의 좌우측으로 전개될 수 있으며, 각각 전열관 및 분할판에 접촉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300)이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증기발생기 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피스톤부(320)는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공급되는 에어를 통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가이드레일(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에어공급홀(330)이 마련될 수 있다. 에어공급홀(330)은 레일구동유닛(200)이 장착되는 제 1 가이드레일(300)에서부터 고정피스톤부(320)가 마련된 제 4 가이드레일(300)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레일구동유닛(200)의 에어배출노즐(212)과 연결되어 에어공급노즐(211)로 공급되는 에어가 고정피스톤부(320)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레일(300)의 하단에는 스틸벨트(221)의 이송을 위한 벨트이송로(340)가 마련될 수 있다. 벨트이송로(340)는 스틸벨트(221)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원호 형태를 가지고 가이드레일(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벨트(221)는 이와 같은 벨트이송로(340)를 통해 레일구동유닛(200)으로부터 프로브 피딩유닛(400)까지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레일구동유닛(200)의 보빈(220)으로부터 인출된 스틸벨트(221)는 가이드레일(300) 하단에 형성된 벨트이송로(340)에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 이송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틸벨트(221) 끝단에 연결된 프로브 피딩유닛(400)이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프로브 피딩유닛(400)과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프로브 피딩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프로브 피딩유닛의 제 1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프로브 피딩유닛의 제 2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16을 참고하면,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하우징(410)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프로브 피딩유닛(4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술한 가이드레일(300) 하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410)은 좌우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롤러플레이트(411, 4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롤러플레이트(411, 412)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롤러(411a, 412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411a, 412a)는 'I'자형 가이드레일(300)의 하단에 걸림 결합되어 프로브 피딩유닛(400)이 가이드레일(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이드레일(300) 위를 구름 운동하여 프로브 피딩유닛(400)이 가이드레일(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410) 일측에는 스틸벨트(221)의 결합을 위한 벨트체결블록(414)이 마련될 수 있다. 벨트체결블록(414)은 레일구동유닛(200)으로부터 가이드레일(300)의 벨트이송로(340)를 통해 이송된 스틸벨트(221) 끝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틸벨트(221)이 길이방향 이송됨에 따라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벨트체결블록(414)과 스틸벨트(221) 간 빠른 결합이나 해체를 위하여, 스틸벨트(221)의 끝단 하면에는 체결홈(미표기)을 가지는 도그(221b)가 마련될 수 있으며, 벨트체결블록(414)에는 이와 같은 도그(221b)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벨트조립홈(414a)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벨트조립홈(414a)에는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체결홈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체결돌기(미표기)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전열관 틈새로 삽입되어 전열관 내외부의 이물질, 슬러지 등을 검사하기 위한 프로브(420)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브(420)는 전체적으로 길이방향 연장 형성된 띠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트롤리(430)를 거쳐 'U'자형으로 굴곡된 후, 다시 하우징(4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브(420)는 전술한 스틸벨트(221)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원호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 연장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펀칭홀(미표기)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420)는 일단이 하우징(410)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후방의 트롤리(430)를 향해 길이방향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트롤리(430)를 거쳐 'U'자형으로 굴곡되며 다시 하우징(410) 측을 향해 길이방향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10)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프로브(420)는 90도 정도 하방으로 꺾여져 하우징(410) 하부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하우징(410) 하부측을 향해 연장된 프로브(420)의 끝단에는 검사 카메라(421)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브(420)는 전술한 스틸벨트(221)와 유사하게 원호형 횡단면을 가지는 금속 등의 탄성 재질로 이뤄져 소정정도 굴곡이나 꺾임이 가능하되, 직선 형태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소정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직선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만, 프로브(420)의 경우, 검사 카메라(421)로부터 영상 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외면에 연성박막회로 등이 고온, 고압 접착될 수 있다.
한편,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하우징(41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프로브(420)의 일측을 지지하는 트롤리(430)를 구비할 수 있다. 트롤리(430)는 가이드레일(300) 하단에 걸림 결합되어 구름 운동되는 복수개의 롤러(431)를 구비하고,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롤리(430)의 이동은 후술할 피딩모터(440)의 구동에 의해 이뤄지게 되며, 트롤리(430)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프로브(420)가 하우징(410) 하단으로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트롤리(430)가 하우징(410) 측을 향해 이동되면, 프로브(420)는 하우징(410) 하단으로 보다 길게 인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트롤리(430)가 하우징(410)에서 이격되도록 이동되면, 하우징(410) 하단으로 인출된 프로브(420)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피딩모터(440)와 관련하여 부연키로 한다.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프로브(420)를 길이방향 이송하여 프로브(420)의 인출 길이를 조절하는 피딩모터(440)를 구비할 수 있다. 피딩모터(440)는 하우징(410) 하부에 배치된 모터케이싱(442)에 장착 수납될 수 있으며, 모터케이싱(442) 내에 배치된 베벨 기어 등을 통해 간헐기어(441)와 연결되어 간헐기어(441)를 회전 구동하게 된다. 또한, 간헐기어(441)는 프로브(420)에 형성된 펀치홀과 맞물리는 체결돌기(미표기)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됨에 따라 프로브(420)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프로브(420)는 하우징(410)과 모터케이싱(442) 사이에 배치되어 간헐기어(441)에 의해 길이방향 이송될 수 있으며, 모터케이싱(442) 끝단(도 15의 좌측단)의 가이더(미표기)를 통해 90도로 굴곡되어 모터케이싱(442) 하방으로 인출되게 된다.
한편,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모터케이싱(442)과 연결되어 모터케이싱(442) 하방으로 인출된 프로브(420)를 길이방향의 제 3 힌지축(H3)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트위스팅모터(470)를 구비할 수 있다. 트위스팅모터(470)는 기어 등을 통해 모터케이싱(44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제 3 힌지축(H3)을 중심으로 모터케이싱(442)을 소정정도 회동시키게 된다. 즉, 모터케이싱(442)은 하우징(410)에 대해 제 3 힌지축(H3)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모터케이싱(442)의 회동으로 인해 모터케이싱(442) 하방으로 인출된 프로브(420)를 제 3 힌지축(H3)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길이방향 연장된 프로브(420)에는 소정정도의 꼬임이 발생될 수 있으며, 프로브(420)의 회동을 통해 검사 카메라(421) 등을 전열관 틈새 등으로 접근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전원 공급, 구동 제어 등을 위한 케이블(451)이 연결되는 케이블커넥터(450) 및 모니터링 카메라(4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커넥터(450) 및 모니터링 카메라(460)는 하우징(410)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커버(41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카메라(460)나 전술한 검사 카메라(421)에는 조명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프로브 피딩유닛(400)이 동작되는 증기발생기 내는 완전 밀폐된 상태의 수중 환경인바, 빛이 상당량 흡수되는 등으로 전열관 등의 피사체를 구별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한 것이다.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 및 18은 도 1에 표시된 B부분의 증기발생기(10) 하부측을 중심으로 원격검사설비(S)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 17 및 18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사설비(S)의 설치 및 사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작업자는 증기발생기(10)의 외부케이싱(19)에 형성된 핸드홀(19a)을 통해 고정유닛(100)을 장착 설치한다. 이와 같은 핸드홀(19a)은 증기발생기(10)의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대략 18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유닛(100)은 고정블록(110)을 핸드홀(19a) 플랜지면에 볼팅 결합시킴으로써,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힌지블록(120), 슬라이딩블록(130) 등에 의해 레일가이더(140)의 위치, 자세 등을 조절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유닛(100)이 설치 완료되면, 작업자는 레일가이더(140)에 가이드레일(300)을 체결하고 레일가이더(140)를 따라 가이드레일(300)을 길이방향 이동시켜 증기발생기(10) 내부로 진입시키게 된다. 이때, 가이드레일(300)은 증기발생기(10) 내부의 분할판(19b)과 전열관(13) 사이의 빈 공간으로 진입될 수 있으며, 분할판(19b)은 증기발생기(10)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는 일종의 격벽을 지칭한다. 또한, 가이드레일(300)이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경우, 작업자는 순차적으로 각 가이드레일(300)의 투입 및 연결을 반복하여 검사 설정 위치까지 가이드레일(300)을 진입시키게 된다.
한편, 가이드레일(300)이 증기발생기(10) 내부로 진입되면, 작업자는 고정유닛(100)이 배치된 가이드레일(300)의 끝단에 레일구동유닛(200)을 설치하게 되며, 검사를 수행할 프로브 피딩유닛(400) 또한 가이드레일(300)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레일구동유닛(200)은 에어공급노즐(211) 및 에어배출노즐(212)을 통해 가이드레일(300)로 구동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된 에어는 가이드레일(300)의 에어공급홀(330)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피스톤부(320)로 제공되게 된다. 또한, 고정피스톤부(320)는 공급된 에어를 통해 한 쌍의 피스톤(321)을 좌우측으로 전개시키고, 각 피스톤(321)이 분할판(19b) 및 전열관(13)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가이드레일(300)이 증기발생기(10) 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레일구동유닛(200)은 보빈(220)에 감겨 있던 스틸벨트(221)를 길이방향 이송하게 되며, 스틸벨트(221)는 가이드레일(300)의 벨트이송로(340)를 따라 이송되어 단부에 장착된 프로브 피딩유닛(400)을 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스틸벨트(221)의 길이방향 이송은 레일구동유닛(200)에 구비된 구동모터(230)에 의해 자동으로 이뤄지거나, 작업자가 핸들부(240)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이뤄질 수 있다.
프로브 피딩유닛(400)이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되어 검사가 필요한 설정 위치로 배치되면, 작업자는 증기발생기(10) 외부의 로컬제어부(500)나 원자로 외부의 원격제어부(600)를 통해 프로브(420)를 전열관(13) 틈새로 진입시키게 된다. 즉, 피딩모터(440)를 구동 제어하여 프로브(420)의 길이를 조정한 후, 트위스팅 모터(417)를 통해 프로브(420)를 회동시킴으로써, 프로브(420) 및 이의 끝단에 장착된 검사 카메라(421)가 전열관(13) 틈새로 진입되게 되며, 검사 카메라(421)에서 촬상된 영상 신호가 원격제어부(600) 등으로 전송됨으로써, 작업자는 전열관(13) 틈새의 이물질이나 슬러지 침척여부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는,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을 통해 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종래 검사설비의 접근이 어려운 영역까지도 접근이 가능하여 증기발생기나 내부 전열관의 면밀한 검사 및 건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100: 고정유닛 110: 고정블록
120: 힌지블록 130: 슬라이딩블록
140: 레일가이더 200: 레일구동유닛
210: 하우징 220: 보빈
230: 구동모터 240: 핸들부
250: 수평센서 260: 기어 세트
270: 롤러 세트 300: 가이드레일
310: 연결블록 320: 고정피스톤부
330: 에어공급홀 340: 벨트이송로
400: 프로브 피딩유닛 410: 하우징
420: 프로브 430: 트롤리
440: 피딩모터 450: 케이블커넥터
460: 모니터링 카메라 470: 트위스팅 모터
500: 로컬 제어부 600: 원격 제어부

Claims (16)

  1. 증기발생기(10)의 핸드홀(19a) 플랜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레일(300)을 상기 증기발생기(10)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일가이더(140)를 구비하는 고정유닛(100);
    상기 레일가이더(14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증기발생기(10) 내부의 전열관(13)과 분할판(19b) 사이로 진입되는 가이드레일(300);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증기발생기(10) 외부에 배치되며, 스틸벨트(221)가 권취된 보빈(220)을 구비하는 레일구동유닛(200); 및
    상기 스틸벨트(221)를 통해 상기 레일구동유닛(20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 모양의 프로브(420)와, 상기 프로브(420)의 일단에 장착된 검사 카메라(421)를 구비하는 프로브 피딩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100)은,
    상기 핸드홀(19a) 플랜지면에 고정볼트(111)를 통해 볼팅 결합되는 고정블록(110);
    상기 고정블록(110)에 상하 방향의 제 1 힌지축(H1)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힌지블록(120); 및
    상기 힌지블록(120)에 폭 방향의 제 2 힌지축(H2)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하부면에 상기 레일가이더(140)가 장착 지지되는 슬라이딩블록(130);을 구비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블록(130)은, 하부면에 역사다리꼴 형상의 슬라이딩홈(131)이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레일가이더(140)는, 상부면에 상기 슬라이딩홈(131)과 대응되는 형상의 마운팅블록(141)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블록(130)에 대해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더(140)는 복수개를 포함하되,
    상기 각 레일가이더(140)는, 하부면에 상기 가이드레일(300)이 삽입 체결되는 레일안내홈(14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레일가이더(140)는,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벨트이송로(340)를 구비하며,
    상기 스틸벨트(221)는, 상기 벨트이송로(340)에 수납되어 길이방향 이송됨으로써 상기 프로브 피딩유닛(400)으로 공급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0)은, 일측에 고정 피스톤부(320)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 피스톤부(320)는, 에어(air)에 의해 구동되며 각각 폭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전열관(13) 또는 상기 분할판(19b)에 접촉 지지되는 한 쌍의 피스톤(321)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3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에어공급홀(330)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구동유닛(200)으로부터 상기 고정 피스톤부(320)로 상기 각 피스톤(321)의 구동을 위한 에어를 공급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구동유닛(200)은,
    내측에 상기 보빈(220)이 수납 지지되는 하우징(210);
    상기 스틸벨트(221)의 펀칭홀(221a)과 맞물려 상기 스틸벨트(221)를 상기 보빈(220)으로부터 출납시키는 간헐기어(265); 및
    상기 간헐기어(265)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30);를 구비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레일구동유닛(200)은, 상기 간헐기어(265)를 수동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부(240)를 구비하되,
    상기 핸들부(240)는,
    중앙에 키홀(241a)를 구비하고 상기 간헐기어(265)와 연결된 구동축(261a)에 체결되는 회전플레이트(241);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241)의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파지점을 제공하는 핸들바(242);를 구비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레일구동유닛(200)은,
    하나 이상의 수평계(251, 252)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10) 일측에 장착되는 수평센서(250);
    상기 하우징(210) 일측에 장착되어 에어공급수단과 연결되는 에어공급노즐(211); 및
    상기 가이드레일(300)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0)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배출노즐(212);를 구비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틸벨트(221)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arc)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개의 펀칭홀(22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것인,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상단에 상기 가이드레일(300)에 걸림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0) 위를 구름 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411a, 412b)를 구비하고, 상기 스틸벨트(221)의 단부와 체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하우징(410);
    상기 하우징(41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프로브(420) 일측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이동되는 트롤리(430); 및
    상기 프로브(420)를 길이방향 이송시키는 간헐기어(441)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브(420)를 출납시키는 피딩모터(440);를 구비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20)는,
    상기 검사 카메라(421)가 장착된 일단의 반대측이 상기 하우징(4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트롤리(430)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트롤리(430)에 의해 'U'자형으로 굴곡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410)을 향해 연장 배치되며, 하방으로 수직하게 다시 굴곡되어 상기 하우징(410)의 하부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딩모터(440)는, 상기 프로브(420)를 길이방향 이송시켜 상기 프로브(420)가 상기 하우징(410) 하부측으로 연장 배치된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트롤리(430)는, 상기 프로브(420)의 길이방향 이송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300)를 따라 이동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420)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arc)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간헐기어(441)와 맞물리는 복수개의 펀칭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되, 외면에는 연성박막회로가 부착된 것인,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피딩유닛(400)은,
    상기 스틸벨트(221)의 단부에 마련된 도그(221b)와 체결되는 벨트조립홈(414a)을 구비한 벨트체결블록(414);
    상기 하우징(410) 하부측에 배치되는 모니터링 카메라(460); 및
    구동제어 또는 전원공급을 위한 케이블(451)이 연결되는 케이블커넥터(450);을 구비하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KR1020140033806A 2014-03-24 2014-03-24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KR10144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806A KR101442798B1 (ko) 2014-03-24 2014-03-24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US14/667,020 US9819842B2 (en) 2014-03-24 2015-03-24 Remote inspection apparatus for heating tube of steam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806A KR101442798B1 (ko) 2014-03-24 2014-03-24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798B1 true KR101442798B1 (ko) 2014-09-25

Family

ID=5176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806A KR101442798B1 (ko) 2014-03-24 2014-03-24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19842B2 (ko)
KR (1) KR10144279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357B1 (ko) * 2016-05-23 2017-01-24 조정 스틸플레이트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프로브장치
KR101699353B1 (ko) * 2016-05-23 2017-01-24 조정 내측 간헐기어를 포함하는 프로브장치
KR102084075B1 (ko) 2019-09-20 2020-03-04 앤스코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용 이물질 촬영 및 제거기
KR20200093207A (ko) * 2019-01-28 2020-08-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165959B1 (ko) * 2019-10-28 2020-10-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관판상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200124039A (ko) * 2019-04-23 2020-11-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297974B1 (ko) * 2021-02-18 2021-09-02 박찬종 증기발생기용 노튜브레인 자동검사로봇
KR20210111101A (ko) * 2020-03-02 2021-09-10 김홍범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점검 및 측정장치
CN115299857A (zh) * 2021-05-08 2022-11-0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枣强县供电分公司 一种可带电操作的内窥检测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5403B (zh) * 2017-12-27 2024-02-13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用于蒸汽发生器球封头的超声检查装置
CN109659048B (zh) * 2018-12-21 2024-02-09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高温气冷堆传热管检查装置
CN109444154A (zh) * 2018-12-21 2019-03-08 核动力运行研究所 基于弧形挠性钢带的蒸汽发生器管间视频检查伸缩机械手
KR102271732B1 (ko) * 2019-10-29 2021-07-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전열관 검사장치
EP4067739A1 (en) * 2021-03-29 2022-10-05 Conservator Tyche Beheer B.V. Method of and device for cleaning and/or inspecting a furnace or boiler
CN113758867B (zh) * 2021-08-09 2024-02-27 国核电站运行服务技术有限公司 用于蒸汽发生器传热管的检测装置
CN114906299B (zh) * 2022-05-24 2023-03-31 郑州大学 磁吸式水下作业机器人及凝汽器冷凝管多孔检测方法
KR102606410B1 (ko) * 2023-07-28 2023-11-29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Ect검사를 위한 열교환기 튜브내 세관수 및 이물질제거상태 점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622A (ko) * 2003-12-24 2005-06-29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2차측 전열관 검사장치
KR20080105488A (ko) * 2007-05-31 2008-12-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검사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02188A (ko) * 2009-07-01 2011-01-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622A (ko) * 2003-12-24 2005-06-29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2차측 전열관 검사장치
KR20080105488A (ko) * 2007-05-31 2008-12-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검사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02188A (ko) * 2009-07-01 2011-01-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086344B1 (ko) * 2009-07-01 2011-11-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357B1 (ko) * 2016-05-23 2017-01-24 조정 스틸플레이트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프로브장치
KR101699353B1 (ko) * 2016-05-23 2017-01-24 조정 내측 간헐기어를 포함하는 프로브장치
KR20200093207A (ko) * 2019-01-28 2020-08-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197774B1 (ko) * 2019-01-28 2021-0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20200124039A (ko) * 2019-04-23 2020-11-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212469B1 (ko) * 2019-04-23 2021-02-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084075B1 (ko) 2019-09-20 2020-03-04 앤스코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용 이물질 촬영 및 제거기
KR102165959B1 (ko) * 2019-10-28 2020-10-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관판상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20210111101A (ko) * 2020-03-02 2021-09-10 김홍범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점검 및 측정장치
KR102327866B1 (ko) * 2020-03-02 2021-11-17 김홍범 원자로 격납건물 라이너 플레이트 점검 및 측정장치
KR102297974B1 (ko) * 2021-02-18 2021-09-02 박찬종 증기발생기용 노튜브레인 자동검사로봇
CN115299857A (zh) * 2021-05-08 2022-11-08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枣强县供电分公司 一种可带电操作的内窥检测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19842B2 (en) 2017-11-14
US20150271366A1 (en) 201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798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US8485139B2 (en)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object in gaps of bundle of heating tubes of upper portion of tube sheet of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
EP1474679B1 (en) Device for remote inspection of steam generator tubes or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exterior of, or between such tubes
CN102421571B (zh) 利用磁检查车的检查系统和检查方法
US20100083988A1 (en) Method of cleaning pipes by action of a fluid under very high pressure
KR20190060890A (ko) 가요성 랜스를 배관 시스템 내외로 원격으로 추진하는 장치
JP2007183278A (ja) 熱交換器の水室に対して作業を行う装置及び方法
KR102242530B1 (ko)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US6606920B2 (en) Tube non-destructive testing probe drive elevator and contamination containment system
KR102073089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다발의 틈새 검사장치
EP3173727B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rauchgaszügen einer kesselanlage mit einem reinigungsschlauch
KR102197774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212469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JP2015068780A (ja) 長尺体挿抜装置
KR100356295B1 (ko) 원자력발전소 가압기내부 검사로봇
CN104246902B (zh) 用于热交换器检查的管板步行器
EP2877300B1 (en) Conduit length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31380A (ko) 용광로의 송풍지관 내외부에 연료 주입 랜스들의 삽입 및 추출을 위한 장치
KR102487516B1 (ko) 증기발생기 처리 장치
JP7360990B2 (ja) 蒸気発生器の検査装置、及び、蒸気発生器の検査方法
KR101807947B1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의 내부 이물질 제거 및 세정장비용 안내레일
KR102458945B1 (ko)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US20130022438A1 (en) Water-chamber working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of water-chamber wor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