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207A -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207A
KR20200093207A KR1020190010396A KR20190010396A KR20200093207A KR 20200093207 A KR20200093207 A KR 20200093207A KR 1020190010396 A KR1020190010396 A KR 1020190010396A KR 20190010396 A KR20190010396 A KR 20190010396A KR 20200093207 A KR20200093207 A KR 2020009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rail
unit
inspec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774B1 (ko
Inventor
양성규
김덕일
김재호
박종희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774B1/ko
Priority to CN202010074829.1A priority patent/CN111487687B/zh
Priority to CN202020145527.4U priority patent/CN211348662U/zh
Publication of KR2020009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3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positioned in or via the head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관다발 틈새의 이물질 유무 등을 검사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핸드홀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검사용 카메라가 구비되는 검사부 및 상기 레일부와 검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기발생기 검사장치{INSPECTION DEVICE FOR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열관다발 틈새의 이물질 유무 등을 검사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증기발생기를 통해 증기터빈과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증기발생기 내부에는 다발(bundle)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전열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열관은 방사능을 포함하는 1차 계통수와 터빈을 돌리는 2차 계통수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며,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를 분리시켜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증기발생기의 증기 생성 과정을 살펴보면, 원자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1차 계통수가 관로를 따라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내부를 흐르게 되며, 전열관 외부로 공급되는 2차 계통수가 전열관의 외부로 교차하면서 전열관의 관벽을 사이에 두고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열교환된 1차 계통수는 폐회로의 관로를 따라 다시 원자로로 순환되고, 2차 계통수는 증기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증기발생기 내부에서는 전열관을 사이로 전열관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흐르고, 외부로는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흐르기 때문에, 전열관 손상이 있을 경우 전열관 내부를 관통하는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외부로 누설되면서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과 혼합되고, 이로 인해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증기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영역 전체가 방사능 오염되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열관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종래의 증기발생기에서 증기를 만들기 위해 공급되는 2차 계통수는 여과와 화학처리를 통해 공급되지만, 관로 내부를 순환하면서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한 이물질과 슬러지를 동반하여 증기발생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 또는 생성되는 불순물이 전열관 외부표면에 스케일이 되어 열교환력을 저하시키고 전열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열관 표면의 스케일 제거는 증기발생기 효율과 전열관의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며, 종래에는 전열관의 표면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형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확인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가이드 레일을 통해 내시경 카메라를 전열관 틈새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어, 작업자가 확인을 위해 일일이 내시경 카메라를 밀어넣고 꺼내는 과정이 번거롭고, 원하는 위치를 찾아 확인하기 어려우며,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기발생기 주변은 고방사선 구역으로서 작업자가 방사선 쪼임에 노출되어 효율적인 육안검사 또는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734호(2018.07.13. 공개)
본 발명은 전열관다발 틈새의 이물질 유무 등을 검사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핸드홀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부와,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검사용 카메라가 구비되는 검사부 및 상기 레일부와 검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사부는,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하기 위한 이동유닛 및 상기 검사용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벨트가 설치되는 카메라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부가 감기는 제1 풀리와, 상기 이동유닛에 연결되는 이동용와이어와, 상기 이동용와이어의 일단이 감기는 제2 풀리 및 상기 이동용와이어의 타단이 감기며 상기 제1 풀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부는, 서로 힌지 연결되는 복수의 레일부재 및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용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용와이어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1 풀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구동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축 및 제2 구동축은 상기 제1 풀리와 별개로 구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용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구동축에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각각은, 인접하는 레일부재와 힌지 연결 가능하도록 양측에 제1 및 제2 연결부가 구비된 레일본체 및 상기 레일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레일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가이드부에는 상기 레일다리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각각은, 인접하는 레일부재를 마주보는 측면에 구비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레일본체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휠(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이동벨트가 전,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급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이동벨트가 감기는 제3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유닛은 전방을 향해 설치된 상황확인용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와이어의 핸드홀 진입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용와이어와 결합되는 장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사부는, 검사부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부는 상기 증기발생기의 둘레의 1/4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발생기 내부에 레일부를 설치함에 따라 검사부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열관다발의 틈새의 이물질 유무 등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고방사선 구역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육안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검사부의 위치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검사가 이루어진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증기발생기 내부의 모든 부분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가 증기발생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증기발생기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측면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의 레일부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 및 6은 도 1의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의 구동부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3에서 일부구성을 제외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검사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이동벨트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검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발생기(10)의 핸드홀(12)을 통해 설치되되, 구체적으로 아래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검사부(400)가 증기발생기(10)의 내벽과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열관다발(20) 사이의 공간에서 레일부(300)를 통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열관다발(20) 사이의 틈새를 검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를 살펴보면, 크게 프레임부(100)와, 레일가이드부(200)와, 레일부(300)와, 검사부(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증기발생기(10)의 핸드홀(12)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증기발생기 검사장치(1)의 외형을 이루어 상기의 레일가이드부(200), 레일부(300) 및 구동부(50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직육면체 형상의 뼈대를 갖도록 형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일가이드부(200)는 상기 핸드홀(12)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된다. 상기 레일가이드부(2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레일부(300)가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벽과 상기 전열관다발(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레일가이드부(200)는 상기 핸드홀(12)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들어간 후 일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가이드부(200)의 길이와 휘어지는 곡률 등은 상기 증기발생기(10)의 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300)는 상기 레일가이드부(200)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레일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둘레의 1/4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부(300)의 길이는 상기 증기발생기(10)의 직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증기발생기(10)에 검사장치(1)를 한 번 설치할때마다 증기발생기(10)의 단면 기준 1/4에 해당하는 영역만큼, 즉 1/4에 해당하는 상기 전열관다발(20)의 영역만큼 검사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레일부(300)가 감기는 제1 풀리(5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510)는 프레임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풀리(5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레일부(300)가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힌지 연결되는 복수의 레일부재(320) 및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와이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 각각은, 인접하는 레일부재와 힌지 연결 가능하도록 양측에 제1 및 제2 연결부(321, 322)가 구비된 레일본체(323) 및 상기 레일본체(323)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200)의 내부를 통과하는 레일다리(324)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가이드부(200)에는 상기 레일다리(324)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홈(2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풀리(5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풀리(510)에 감겨있던 레일부(300)가 상기 레일가이드부(200)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10)의 내부로 가이드되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레일다리(324)는 오(ㅗ)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용와이어(340)는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가 서로 힌지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와이어(340)는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 구체적으로 레일다리(324)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고정용와이어(340)의 일단이 감기기 위한 제2 구동축(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축(540)은 상기 제1 풀리(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풀리(510)와 별개로 구동 가능하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풀리(510)에서 상기 레일부(300)가 감기는 중심축(512)에는 상기 고정용와이어(340)가 상기 제2 구동축(540)에 감기기 위해 상기 중심축(5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하는 개구(5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용와이어(340)가 상기 제2 구동축(540)에 감겨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2 구동축(540)을 구동시켜 상기 고정용와이어(340)를 당겨줌으로써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된다.
더욱이,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 각각은, 인접하는 레일부재를 마주보는 측면에 구비되는 자석(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레일부재의 자석(325)이 부착 혹은 탈착됨에 따라 상기 레일부(300)가 상기 증기발생기(10) 내에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가 상기 고정용와이어(3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전 상기 자석(325)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9를 참고하여 상기 레일부(3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검사부(400)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검사부(400)는, 상기 레일부(300) 상에서 이동하기 위한 이동유닛(420) 및 검사용 카메라(441)가 장착된 이동벨트(442)가 설치되는 카메라유닛(44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카메라유닛(440)은 상기 이동유닛(4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유닛(420)은 상기 레일부(300) 상에서 이동되고, 상기 카메라유닛(440)은 상기 레일부(3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벨트(442)가 상기 전열관다발(20)의 틈새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용 카메라(4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벨트(442)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벨트에 검사용 카메라가 다수개 설치될 수도 있고, 상황에 맞게 다양한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유닛(420)은 상기 레일본체(323)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휠(wheel)(422)을 포함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4쌍의 휠(4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4쌍의 휠(422)이 상기 레일본체(323) 상에서 굴러감에 따라 상기 검사부(400)가 레일부(30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이동유닛(420)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이동유닛(420)에 연결되는 이동용와이어(550)와, 상기 이동용와이어(550)의 일단이 감기는 제2 풀리(520) 및 상기 이동용와이어(550)의 타단이 감기는 제1 구동축(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풀리(520)는 상기 제1 풀리(510)와 이격되어 상기 레일부(3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된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420)에 연결된 이동용와이어(550)는 상기 제2 풀리(520)와 제1 구동축(530)에 각각 양단이 감기되,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풀리(520)에 일단이 감긴 이동용와이어(550)는 상기 이동유닛(420)에 연결된 후 상기 레일부(300)의 끝단에서 상기 레일부재(320)의 내부로 유도되고,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3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구동축(530)에 타단이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100)에는 와이어가이드부(600)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용와이어(550)의 핸드홀 진입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가이드부(600)는 상기 이동용와이어(550)를 상기 이동유닛(420)이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과 나란해지는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이동유닛(420)의 전, 후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부(600)의 끝단에는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용와이어(550)가 롤러에 의해 마찰없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축(530)은 상기 제2 구동축(540)과 나란하게 상기 제1 풀리(5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풀리(510)와 별개로 구동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용와이어(550)는 상기 개구(514)를 통해 상기 중심축(512)의 내부로 유입되어 제1 구동축(530)에 감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구동축(530)에 감긴 이동용와이어(550)의 타단을 감아주고 상기 제2 풀리(520)에 감긴 이동용와이어(550)의 일단을 풀어주면 상기 이동유닛(420)은 전진을 하게되고, 상기 제1 구동축(530)에 감긴 이동용와이어(550)의 타단을 풀어주고 상기 제2 풀리(520)에 감긴 이동용와이어(550)의 일단을 감아주면 상기 이동유닛(420)은 후진을 하게된다.
더욱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420)은 상기 이동용와이어(550)와 결합되는 장력 센서(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센서(424)는 상기 이동유닛(420)의 전, 후진을 위해 상기 이동용와이어(550)에 걸리는 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용와이어(550)에 일정값 이상의 장력이 걸려야 상기 이동유닛(420)의 전, 후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장력 센서(424)에 의해 장력을 측정하여 상기 이동유닛(420)이 이동하였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유닛(440)은 상기 이동벨트(442)가 전,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급롤러(443)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롤러(443)를 통해 상기 이동벨트(442)가 용이하게 전,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전열관다발(20)의 틈새로 삽입 혹은 회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벨트(442)는 별도의 풀리에 감겨 상기 공급롤러(443) 상에서 전,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이동벨트가 감기는 제3 풀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유닛(440)은 전방을 향해 설치된 상황확인용 카메라(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황확인용 카메라(444)는 카메라유닛(440)의 최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검사부(400)는 검사부(4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센서(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46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검사부(400)의 위치데이터가 기록됨에 따라 상기 증기발생기(10)에서 검사가 이루어진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 증기발생기(10) 내부의 모든 부분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발생기(10) 내부에 레일부(300)를 설치함에 따라 검사부(40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열관다발(20)의 틈새의 이물질 유무 등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고방사선 구역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육안검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0: 증기발생기
12: 핸드홀 20: 전열관다발
100: 프레임부 200: 레일가이드부
204: 이동홈 300: 레일부
320: 복수의 레일부재 321: 제1 연결부
322: 제2 연결부 323: 레일본체
324: 레일다리 325: 자석
340: 고정용와이어 400: 검사부
420: 이동유닛 422: 한 쌍의 휠
424: 장력 센서 440: 카메라유닛
441: 검사용 카메라 442: 이동벨트
443: 공급롤러 444: 상황확인용 카메라
460: 위치센서 500: 구동부
510: 제1 풀리 512: 중심축
514: 개구 520: 제2 풀리
530: 제1 구동축 540: 제2 구동축
550: 이동용와이어 600: 와이어가이드부

Claims (20)

  1.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외측에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핸드홀을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레일가이드부;
    상기 레일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검사용 카메라가 구비되는 검사부; 및
    상기 레일부와 검사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하기 위한 이동유닛; 및
    상기 검사용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벨트가 설치되는 카메라유닛;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일부가 감기는 제1 풀리;
    상기 이동유닛에 연결되는 이동용와이어;
    상기 이동용와이어의 일단이 감기는 제2 풀리; 및
    상기 이동용와이어의 타단이 감기며 상기 제1 풀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구동축;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서로 힌지 연결되는 복수의 레일부재; 및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와이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용와이어의 일단이 감기며 상기 제1 풀리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 구동축;을 더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축 및 제2 구동축은 상기 제1 풀리와 별개로 구동 가능한,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구동축에 감기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각각은,
    인접하는 레일부재와 힌지 연결 가능하도록 양측에 제1 및 제2 연결부가 구비된 레일본체; 및
    상기 레일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레일다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부에는 상기 레일다리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홈이 형성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일부재 각각은,
    인접하는 레일부재를 마주보는 측면에 구비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측면에 배치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레일본체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휠(wheel);을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이동벨트가 전, 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상기 이동벨트가 감기는 제3 풀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유닛은 전방을 향해 설치된 상황확인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와이어의 핸드홀 진입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와이어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용와이어와 결합되는 장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검사부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증기발생기의 둘레의 1/4에 배치되는,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0190010396A 2019-01-28 2019-01-28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10219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396A KR102197774B1 (ko) 2019-01-28 2019-01-28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CN202010074829.1A CN111487687B (zh) 2019-01-28 2020-01-22 蒸汽发生器检查装置
CN202020145527.4U CN211348662U (zh) 2019-01-28 2020-01-22 蒸汽发生器检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396A KR102197774B1 (ko) 2019-01-28 2019-01-28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207A true KR20200093207A (ko) 2020-08-05
KR102197774B1 KR102197774B1 (ko) 2021-01-04

Family

ID=7179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396A KR102197774B1 (ko) 2019-01-28 2019-01-28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7774B1 (ko)
CN (2) CN1114876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774B1 (ko) * 2019-01-28 2021-0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428B1 (ko) * 2011-12-05 2012-03-13 배용한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슬러지 세척장치용 분리형 환형 레일장치
KR101181002B1 (ko) * 2010-09-06 2012-09-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열교환기 관판 상단의 스케일 및 슬러지 제거를 위한 분절형 초음파 세정장치
KR101442798B1 (ko) * 2014-03-24 2014-09-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KR20180080734A (ko) 2017-01-04 2018-07-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관다발 내부 세정 및 이물질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479A (ja) * 1994-06-24 1996-01-19 Mitsubishi Heavy Ind Ltd 竪型熱交換器の管板上遠隔点検装置
KR100597533B1 (ko) * 2003-12-24 2006-07-05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2차측 전열관 검사장치
KR100497972B1 (ko) * 2004-11-06 2005-07-01 한국전력공사 증기발생기 슬러지 세정 및 이물질 제거장치
US8418662B2 (en) * 2008-07-18 2013-04-16 Korea Plant Service &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 from gap of heat tube bundle in upper part of tube sheet of second side of steam generator
KR101086344B1 (ko) * 2009-07-01 2011-11-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01846B1 (ko) * 2013-11-18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슬러지 세정장치
KR102197774B1 (ko) * 2019-01-28 2021-0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002B1 (ko) * 2010-09-06 2012-09-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열교환기 관판 상단의 스케일 및 슬러지 제거를 위한 분절형 초음파 세정장치
KR101120428B1 (ko) * 2011-12-05 2012-03-13 배용한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슬러지 세척장치용 분리형 환형 레일장치
KR101442798B1 (ko) * 2014-03-24 2014-09-2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KR20180080734A (ko) 2017-01-04 2018-07-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관다발 내부 세정 및 이물질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87687A (zh) 2020-08-04
CN211348662U (zh) 2020-08-25
CN111487687B (zh) 2023-12-26
KR102197774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7389B2 (en) Device for remote inspection of steam generator tubes
JP5230573B2 (ja) 蒸気発生器2次側管板上部の伝熱管束の肉眼検査および異物除去装置
US4231419A (en) Manipulator for inspection and possible repair of the tubes of heat exchangers, especially of steam generators for nuclear reactors
US9638670B2 (en) Inspection system for inspecting in-service piping or tubing
KR101700070B1 (ko)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KR101442798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 틈새 원격검사설비
KR102197774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20200088310A (ko) 대량 생산 기반으로 방사성 동위 원소를 이식 및 수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73089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다발의 틈새 검사장치
KR102242530B1 (ko)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KR102212469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200434989Y1 (ko) 방사선 원격조정기 제어용 케이블 커넥터
JP2001159696A (ja) ジェットポンプの検査補修方法および装置
CN212618238U (zh) 对蒸汽发生器内部的异物进行检查及去除的装置
KR102297974B1 (ko) 증기발생기용 노튜브레인 자동검사로봇
KR20120101879A (ko)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 내부검사용 내시경 안내장치
KR101513776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용 이물질 제거 시스템
US8978493B2 (en) Conduit length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977274B1 (ko) 증기 발생기 육안 검사 장치
US20120053857A1 (en) Cable for inspecting heat tubes and method of analyzing insertion force of cable
KR20220042220A (ko) 관 부재의 검사 시스템 및 관 부재의 검사 방법
KR102487516B1 (ko) 증기발생기 처리 장치
KR20210028407A (ko) 착탈식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세관 검사용 프로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