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070B1 -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070B1
KR101700070B1 KR1020160100752A KR20160100752A KR101700070B1 KR 101700070 B1 KR101700070 B1 KR 101700070B1 KR 1020160100752 A KR1020160100752 A KR 1020160100752A KR 20160100752 A KR20160100752 A KR 20160100752A KR 101700070 B1 KR101700070 B1 KR 10170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hotographing
head
ima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섭
박성호
우장명
류홍석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사장치는 증기발생기에 고정되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레일부를 구비한 고정유닛, 레일부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진입되는 이동유닛, 및 이동유닛에 수직으로 신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시경유닛을 포함하며, 내시경유닛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헤드부, 및 헤드부에 연결되어, 헤드부의 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이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헤드부를 이동시키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촬영수단은 제1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1 촬영렌즈,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2 촬영렌즈, 제1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촬상소자, 제2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제2 방향으로 반사하는 미러부, 및 미러부를 통해 반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촬상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ENDOSCOPE UNIT AND REMOTE INSP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는 타입에 따라 수천에서 수만 개의 전열관이 다발로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열관의 안쪽에는 원자로의 핵반응 열을 품은 고온, 고압의 방사능 유체가 흐르고 밖으로는 증기로 변환되는 비방사능 유체가 흐르고 있어 이 전열관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곧바로 방사능이 누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열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작업자가 직접 안전장구(납차폐복과 방독마스크 등 약 20kg)를 착용하고, 전열관 다발의 내부 틈새(3~7mm내외)에 검사 장치를 삽입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검사한 후, 이물질이 있을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이는, 작업자들을 장 시간동안 많은 피폭에 노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들을 피폭에 노출시키지 않고, 증기발생기의 외부로부터, 원격으로 이물질을 제거 및 전열관의 표면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증기 발생기 외부에서 원격조정을 하여, 전열관측으로 내시경 장치를 이동시켜, 전열관을 검사 및 침척된 이물질, 슬러지 등의 제거가 가능한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 유닛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헤드부, 및 헤드부에 연결되어, 헤드부의 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이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헤드부를 이동시키고, 촬영수단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촬영수단은 제1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1 촬영렌즈,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2 촬영렌즈, 제1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촬상소자, 및 제2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촬상소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촬영수단은 제2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제2 방향으로 반사하는 미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촬상소자는 미러부를 통해 반사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1 및 제2 촬상소자는 길이방향이 제1 방향이나 제2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헤드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유닛은 헤드부의 전방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부의 일측 표면에는 이물질 제거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장착부는 헤드부의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몸체와, 장착몸체를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부는 장착홀에 삽입되어 헤드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안내부는, 박판과, 박판에 적층되어 촬영수단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안내부는 강성 보강을 위해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유닛은 헤드부를 제1 방향이나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안내부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구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구동부는, 회전하는 회전몸체와, 회전몸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몸체의 회전에 의해 구동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안내부를 회전 몸체의 회전방향에 대응되게 이동시키는 다수 개의 구동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검사장치는 증기발생기에 고정되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레일부를 구비한 고정유닛, 레일부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진입되는 이동유닛, 및 이동유닛에 수직으로 신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시경유닛을 포함하며, 내시경유닛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헤드부, 및 헤드부에 연결되어, 헤드부의 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이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헤드부를 이동시키는 안내부를 포함하며, 촬영수단은 제1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1 촬영렌즈,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2 촬영렌즈, 제1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촬상소자, 제2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제2 방향으로 반사하는 미러부, 및 미러부를 통해 반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촬상소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안내부는, 강성 보강을 위해 호형으로 형성되는 박판과, 박판에 마련되어 촬영수단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되, 나선형으로 감기거나 U자 형상으로 굽혀져서 이동유닛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 발생기 외부에서도, 원격으로 전열관 검사, 전열관에 침척된 이물질 등의 제거가 가능해짐으로써, 작업자를 피폭에 노출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시경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시경 유닛의 내측에 촬영수단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내시경 유닛의 간략도이다.
도 7은헤드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촬영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헤드부의 정면에 구비되는 촬영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내시경 유닛이 감겨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안내부의 이동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검사장치(100)는 고정유닛(210), 이동유닛(240), 내시경 유닛(200)을 포함한다.
먼저, 고정유닛(210)은 증기발생기(300)의 외부 케이싱(3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증기발생기(300)의 외면에는 고정유닛(210)이 용접될 수 있다.
고정유닛(210)은 증기발생기(300) 내부로 이동유닛(24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일부(220)를 포함한다. 레일부(220)는 증기발생기(300)의 내부의 전열관(320)까지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유닛(240)은 레일부(220)를 따라 수평 이동하여 전열관(320) 측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고정유닛(210)의 일측에는 이동유닛(240)을 이송시키는 회전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230)는 벨트(미도시)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벨트와 연결된 이동유닛(240)은 벨트의 회전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벨트는 이동유닛(240)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레일부(220)는 이동유닛(24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원격 검사장치는 로컬제어부(400)나 원격제어부(500)를 더 포함할수 있다. 로컬제어부(400)나 원격제어부(500)는 발생기(10)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500,600)를 통해 이동유닛(240)을 전열관(320) 측으로 진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전열관(320) 표면을 보다 자세하게 검사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240)의 하측에 내시경 유닛(200)이 구비될 수 있다.
내시경 유닛(200)은 이동유닛(24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검사가 필요한 부위의 설정 위치로 배치될 경우, 내시경 유닛(200)은 이동유닛(240)으로부터 이격되어, 전열관(320) 사이의 틈새로 진입될 수 있다. 내시경 유닛(200)은 이동유닛(240)에 수직으로 신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시경 유닛(200)은 전열관 다발을 검사 및 침척된 이물질, 슬러지 등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시경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내시경 유닛의 내측에 촬영수단이 배치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반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내시경 유닛의 간략도이며, 도 7은 헤드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촬영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헤드부의 정면에 구비되는 촬영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내시경 유닛(200)은 헤드부(270)와 안내부(260)를 포함한다.
먼저, 헤드부(270)에 대해 살펴본다. 헤드부(270)를 전열관(320) 측으로 안내시키기 위하여, 헤드부(270)는 후술할 안내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헤드부(270)는 안내부(260)에 의하여, 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이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헤드부(270)는 도 1에 도시된 전열관(320)의 외부나 틈새에 유입된 이물질, 슬러지의 침척 상태 등을 촬영하기 위하여,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수단(290)이 구비된다. 촬영수단(290)은 촬영렌즈(274), 촬상소자(278)를 포함한다.
촬영렌즈(274)는 제1 촬영렌즈(272), 제2 촬영렌즈(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영렌즈(272)는 헤드부(270)의 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270)의 내측에는 제1 촬영렌즈(272)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촬상소자(27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촬영렌즈(273)는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촬영렌즈(273)는 헤드부(270)의 측방에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270)의 내측에는 제2 촬영렌즈(273)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촬상소자(277)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촬상소자(276)와, 제2 촬상소자(277) 모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방향을 향하도록 헤드부(27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촬상소자(276), 제2 촬상소자(277)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촬상소자(276,277)는 촬영렌즈(272,273)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 촬상소자(276), 제2 촬상소자(277)는 제1 방향이나, 제2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촬상소자(276)와, 제2 촬상소자(277)는 동일한 촬상소자로부터, 일측은 제1 촬영렌즈(272) 측으로, 타측은 제2 촬영렌즈(273) 측으로 분기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촬영수단(290)은 미러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러부(280)는 반사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280)는 제1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입사된 이미지를 제2 촬상소자(277)로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촬상소자(277)는 미러부(280)에 의하여, 반사된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촬영렌즈(273)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미러부(280)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지게 배치된 미러부(280)에 반사된 이미지는 제2 촬상소자(277)가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촬상소자(277)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미러부(280)는 제2 촬상소자(277)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270)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제2 촬상소자(277)에 경사지게 구비된 미러부(280)의 각도는 보다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촬영렌즈(273) 및 제2 촬상소자(277)가 헤드부(27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헤드부의 내부에 구비된 미러부(280)에 의하여 피검사물의 촬영이 가능해짐으로써, 헤드부(270)의 두께 및 길이가 커지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일예로, 제1 및 제2 촬상소자(276,277)의 두께는 2.6mm이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촬상소자(276,277)는 얇은 케이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헤드부(270)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아 소형 형태의 헤드부(270)가 전열관(320) 측을 검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4 내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영소자(276)의 일측에는 제1 촬영렌즈(27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촬영렌즈(272)는 헤드부의 진행방향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촬영렌즈(272)의 후단에는 제1 촬상소자(276)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촬영렌즈(274)는 헤드부(270)의 외면의 동일 선상에 배치되거나,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촬영렌즈(274)의 주변에는 조명(275)이 더 구비되어, 촬상소자(278)의 검사성능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헤드부(270)에 구비된 촬상소자(278)는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로컬제어부(400)나 원격제어부(500) 등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전열관(320) 틈새의 이물질이나 슬러지 침척여부 등을 촬상소자(278)를 통하여, 실시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안내부(260)의 일측에는 커넥터(26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269)에 의하여 후술할 안내부(260)의 연성 회로기판 과 촬영소자(278)는 연결될 수 있으며, 헤드부(270)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안내부(260)로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269)는 안내부(260)와 헤드부(270)를 연결 및 분리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70)는 전방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70)의 일측 표면에는 이물질 제거부(246)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43)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243)는 헤드부(27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장착부(243)와 헤드부(270)는 도브테일이나 나사산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부(243)는 헤드부(27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장착몸체(244)와, 장착몸체(244)에 형성된 장착홀(245)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장착홀(245)은 제1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246)는 장착홀(245)에 삽입될 수 있다. 장착홀(245)과 이물질 제거부(246)는 나사산에 의해 결합된 상태나, 용접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이물질 제거부(246)는 약 10 미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이물질 제거부(246)의 일측은 그리퍼, 스네어, 와이어 바스켓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이를 조절하는 핸들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핸들부(미도시)는 제어부(500,60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일예로, 이물질 제거부(246)는 도 1에 도시된 증기발생기(300) 내부에 투입될 경우, 이물질을 그리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이물질 제거부(246)는 웨지, 스페이드, 애로우, 작살, 마그네틱, 완드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이물질 제거부(246)는 장착부(243)의 제1 방향을 향하여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이물질 제거부(246)는 증기발생기(300)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에 강한 힘을 가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촬상소자(278)를 통하여, 확인된 전열관(320) 틈새의 침착된 이물질, 슬러지 등을 헤드부(270)에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246)가 건드림으로써,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9는 도 3의 내시경 유닛이 감겨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안내부의 이동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안내부(260)에 대해 살펴본다. 안내부(260)는 헤드부(270)의 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이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헤드부(270)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안내부(26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줄자형태로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270)가 전열관(320) 측으로 이동될 경우, 안내부(260)는 헤드부(270)와 연결상태를 유지한 채, 길게 풀려져 헤드부(270)를 전열관(320)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대로 촬영을 하지 않을 경우, 안내부(260)는 나선형태로 감겨져, 헤드부(270)를 이동유닛(240)에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내부(260)는 헤드부(270)의 구동을 위한 제어, 전원 공급, 촬영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박판(266)과, 박판(266)에 적층되어 촬영수단(290)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연성 회로기판(2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안내부(260)는 연성 회로기판(265)의 전면에 절연보호필름(2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260)는 박판(266)과 연성 회로기판 (265) 사이에 절연접착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260)는 강성 보강을 위해 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형 형태로 구성된 안내부(260)는 감겨졌을 경우, 이동유닛(240)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260)는 구동부(2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62)는 회전몸체(264)와 구동홀(26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몸체(264)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부(260)에 연결된 헤드부(270)는 제1 방향이나,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몸체(264)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구동핀(263)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몸체(264)의 회전에 의해 구동핀(263)이 후술할 구동홀(26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헤드부(27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내부(26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구동홀(261)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홀(261)은 안내부(260)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으며, 구동홀(261)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몸체(264)의 회전에 따라 구동핀(263)을 구동홀(261)에 삽입하여, 안내부(260)를 회전, 역회전으로 구동하여, 헤드부(270)를 제1 방향, 제2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홀(261)은 내시경 장치의 위치인식을 위한 엔코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홀(261)이 걸린 회전몸체(264)의 회전수, 회전방향 등에 의하여, 안내부(260)의 현위치 인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262)의 작동에 의하여, 헤드부(270)는 피측정물 내부로 전진, 후퇴 동작을 수행하여, 육안으로 검사가 어려운 영역을 원격으로 조정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 및 절연관을 보다 자세히 검사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를 피폭에 노출시키지 않고, 원격으로 전열관 검사 및 전열관에 침척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원격 검사장치 200: 내시경 유닛
210: 고정유닛 220: 레일부
240: 이동유닛 243: 장착부
244: 장착몸체 245: 장착홀
246: 이물질 제거부 260: 안내부
261: 구동홀 262: 구동부
263: 구동핀 264: 회전몸체
269: 커넥터 270: 헤드부
272: 제1 촬영렌즈 273: 제2 촬영렌즈
274: 촬영렌즈 276: 제1 촬상소자
277: 제2 촬상소자 278: 촬상소자
280: 미러부 300: 증기 발생기
310: 외부 케이싱 320: 전열관
400: 로컬 제어부 500: 원격 제어부

Claims (10)

  1.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 유닛에 있어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의 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이나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헤드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촬영수단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안내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제1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1 촬영렌즈;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2 촬영렌즈;
    상기 제1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촬상소자; 및
    상기 제2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촬상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일측 표면에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구비되는 내시경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제2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하는 미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촬상소자는 상기 미러부를 통해 반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내시경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촬상소자는 길이방향이 상기 제1 방향이나 제2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시경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헤드부의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장착몸체와, 상기 장착몸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는 내시경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박판과, 상기 박판에 적층되어 상기 촬영수단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내시경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강성 보강을 위해 호형으로 형성되는 내시경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를 상기 제1 방향이나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구동홀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안내부를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방향에 대응되게 이동시키는 다수 개의 구동핀을 포함하는 내시경 유닛.
  8. 증기발생기에 고정되며,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레일부를 구비한 고정유닛;
    상기 레일부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진입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에 수직으로 신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내시경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내시경유닛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의 전방을 향하는 제1 방향이나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헤드부를 이동시키는 안내부; 및
    상기 헤드부의 전방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의 일측 표면에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구비되는 원격 검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강성 보강을 위해 호형으로 형성되는 박판과, 상기 박판에 마련되어 상기 촬영수단이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되, 나선형으로 감기거나 U자 형상으로 굽혀져서 상기 이동유닛에 수납되는 원격 검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제1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1 촬영렌즈;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바라보게 구비된 제2 촬영렌즈;
    상기 제1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촬상소자;
    상기 제2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하는 미러부; 및
    상기 미러부를 통해 반사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촬상소자;
    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KR1020160100752A 2016-08-08 2016-08-08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KR10170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752A KR101700070B1 (ko) 2016-08-08 2016-08-08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752A KR101700070B1 (ko) 2016-08-08 2016-08-08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070B1 true KR101700070B1 (ko) 2017-01-26

Family

ID=5799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752A KR101700070B1 (ko) 2016-08-08 2016-08-08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0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275B1 (ko) * 2017-12-11 2018-05-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 유닛
CN108098791A (zh) * 2017-12-28 2018-06-01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异形截面悬伸臂及悬伸检测机构
KR101877669B1 (ko) * 2017-03-20 2018-08-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유닛
KR20190051424A (ko) * 2017-11-07 2019-05-15 조정 다중 촬상모듈을 포함하는 프로브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로브
KR102013073B1 (ko) * 2018-10-15 2019-08-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 이송장치, 내시경유닛 및 원격 검사장치
KR102064116B1 (ko) * 2019-05-07 2020-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방식의 검사장치
KR102064115B1 (ko) * 2019-05-07 2020-02-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방식의 검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726A (ja) * 1990-05-02 1992-01-17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内視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726A (ja) * 1990-05-02 1992-01-17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内視鏡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69B1 (ko) * 2017-03-20 2018-08-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유닛
KR20190051424A (ko) * 2017-11-07 2019-05-15 조정 다중 촬상모듈을 포함하는 프로브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로브
KR102124237B1 (ko) * 2017-11-07 2020-06-17 조정 다중 촬상모듈을 포함하는 프로브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로브
KR101860275B1 (ko) * 2017-12-11 2018-05-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 유닛
CN108098791A (zh) * 2017-12-28 2018-06-01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异形截面悬伸臂及悬伸检测机构
CN108098791B (zh) * 2017-12-28 2024-03-26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异形截面悬伸臂及悬伸检测机构
CN111048222B (zh) * 2018-10-15 2023-11-03 韩电Kps株式会社 内视镜输送装置、内视镜单元和远程检查装置
KR102013073B1 (ko) * 2018-10-15 2019-08-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 이송장치, 내시경유닛 및 원격 검사장치
CN111048222A (zh) * 2018-10-15 2020-04-21 韩电Kps株式会社 内视镜输送装置、内视镜单元和远程检查装置
KR102064115B1 (ko) * 2019-05-07 2020-02-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방식의 검사장치
CN111913297B (zh) * 2019-05-07 2022-07-26 韩电Kps株式会社 柔性电路板和包括柔性电路板的内窥镜式检查装置
CN111913297A (zh) * 2019-05-07 2020-11-10 韩电Kps株式会社 柔性电路板和包括柔性电路板的内窥镜式检查装置
KR102064116B1 (ko) * 2019-05-07 2020-01-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내시경방식의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070B1 (ko) 내시경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원격 검사장치
US6877389B2 (en) Device for remote inspection of steam generator tubes
EP0979512B1 (en) Inspection device
JP3261153B2 (ja) 管束内の異物探査及び回収装置
US9638670B2 (en) Inspection system for inspecting in-service piping or tubing
JPS5953188A (ja) 多関節マニピユレ−タ
KR102165959B1 (ko) 증기발생기의 관판상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
KR101184262B1 (ko)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상부다발 원격 검사장치
CN112393221B (zh) 对蒸汽发生器内部的异物进行检查及去除的装置及其系统
CN212905517U (zh) 蒸汽发生器检查装置
CN211348662U (zh) 蒸汽发生器检查装置
KR102205484B1 (ko) 기어구동형 내시경장치
TWI767329B (zh) 管構件的檢查系統及管構件的檢查方法
JP2012115041A (ja) ケーブル収容管点検装置
KR102064116B1 (ko) 내시경방식의 검사장치
CN111913297B (zh) 柔性电路板和包括柔性电路板的内窥镜式检查装置
KR102451143B1 (ko) 전열관 관리 시스템 및 전열관 관리 방법
JP6045212B2 (ja) 遠隔点検装置および遠隔点検方法
KR102487516B1 (ko) 증기발생기 처리 장치
JP2004333285A (ja) 管路内の調査方法と装置
JPH0534490A (ja) 燃料棒間隔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CA2986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nuclear reactor inspection
CN112104816A (zh) 多定位相机系统和相机系统
JP2013050182A (ja) 回転ケーブルガイ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