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615B1 -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615B1
KR101442615B1 KR1020080075327A KR20080075327A KR101442615B1 KR 101442615 B1 KR101442615 B1 KR 101442615B1 KR 1020080075327 A KR1020080075327 A KR 1020080075327A KR 20080075327 A KR20080075327 A KR 20080075327A KR 101442615 B1 KR101442615 B1 KR 10144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lens
focus
determination
valu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696A (ko
Inventor
고성식
카즈히코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615B1/ko
Priority to US12/468,187 priority patent/US8237845B2/en
Priority to GB0909654.6A priority patent/GB2466529B/en
Priority to DE102009027353A priority patent/DE102009027353A1/de
Publication of KR2010001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컷 오프 주파수가 상이한 필터들 각각에 의한 복수의 포커스 값들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예측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목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구동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토포커싱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의 동선을 최적화하여 소비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포커스 렌즈의 스캐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Method of controlling focus lens, apparatus of controlling focus lens driven by the method, and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피사체에 초점이 맞도록 포커스 렌즈를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을 적용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토포커싱 기능을 갖는 디지털 촬영 장치가 개발된바 있다. 오토포커싱 기능은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 가면서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포커스 렌즈가 제1 위치(Far방향 경계)에서 제2 위치(Near방향 경계)로 이동가능하다고 한다면, 종래에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중 가까운 경계 위치를 먼저 결정하고, 가까운 경계 위치부터 먼 경계 위치로 이동시켰다. 이렇게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가면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영상을 얻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가 현재 위치와 제1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현재 위치가 제1 위치에 근접하여 있다면 상기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켰다. 즉,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 사이의 포커스 렌즈의 이동은 불필요한 것임에도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간 전체적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였다. 이와 같이 포커스 렌즈의 불필요한 구간의 이동은 소비 전력 낭비, 포커스 렌즈의 스캐닝 시간의 증가 등의 문제들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오토포커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구동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 상대값에 대한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는 단계와, 도출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로부터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infocus)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예상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위치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상대값은 제1 컷 오프(cut off) 주파수를 갖는 제1 필터에 따른 제1 포커스 값에 대한 제2 컷 오프 주파수를 갖는 제2 필터에 따른 제2 포커스 값의 상대값 이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목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의 최대점 또는 극대점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목표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의 포커스 상대값이 100인 포커스 렌즈의 위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작 위치와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제1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시작 위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목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시작 위치는 상기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위 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인지 제2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라면, 디폴트로 저장된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는 상기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제1 위치보다 작은지 제1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현재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판단 결과 작지 않다면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보다 작은지 제2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판단 결과 작지 않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더한 값이 제2 위치보다 큰지 제1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판단 결과 크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현재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판단 결과 크지 않다면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보다 큰지 제2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판단 결과 크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판단 결과 크지 않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휘도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가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는 포커스 상대값 도출부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는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 도출부와,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로부터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도출하는 목표 위치 도출부와, 상기 포커 스 렌즈를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포커스 렌즈 이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라 포커스 상대값에 대한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상대값은 제1 컷 오프(cut off) 주파수를 갖는 제1 필터에 따른 제1 포커스 값에 대한 제2 컷 오프 주파수를 갖는 제2 필터에 따른 제2 포커스 값의 상대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포커스 값을 도출하는 제1 포커스 값 도출부와, 상기 제2 포커스 값을 도출하는 제2 포커스 값 도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하도록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결정하는 이동 정보 결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 결정부는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제1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 시작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결정하는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 방향을 상기 목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이동 방향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인지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2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는 상기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결정하는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2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이동 방향을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이동 방향 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 결정부는,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를 도출하는 차이 도출부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더한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작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결정하는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상기 이동 방향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포함 하고,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지 않고 상기 제2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위치를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작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지 않고 상기 제2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지 않다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2 위치를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작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의 휘도 신호 편차를 도출하는 휘도 편차 도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는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를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는 휘도 편차 판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도 편차 판단부는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가 상기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컷 오프 주파수가 상이한 복수의 포커스 값들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예측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상기 포커스 렌즈를 목 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포커스 렌즈의 동선을 최적화함으로써 소비 전력 낭비를 방지하고, 포커스 렌즈의 스캐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목표 위치에 신속하게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는 단계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피사체(호랑이)를 촬영한 제1 영상으로 상대적으로 밝은 영상에 해당한다. 도 2도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 제2 영상으로, 도 1의 제1 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상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1 영상은 휘도 레벨이 높은 영상이고, 제2 영상은 휘도 레벨이 낮은 영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상기 제1 영상의 Hi 라인의 휘도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상기 제2 영상의 Hi 라인의 휘도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들 그래프들을 비교하면 제1 영상의 휘도 레벨이 상기 제2 영상의 그것 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은 서로 휘도 레벨이 다르므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은 동일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들이라 할지라도 서로 포커스 값이 상이하다. 따라서 절대적인 상기 포커스 값을 이용하여 인포커스(infocus) 또는 디포커스(defocus)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본 실시 예에서는 포커스 상대값을 이용하여 인포커스 또는 디포커스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상의 라인별 휘도 신호에 대해 제1 컷 오프(cut off) 주파수에 따른 제1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고 적산하여 제1 포커스 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 영상의 라인별 휘도 신호에 대해 제2 컷 오프 주파수에 따른 제2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고 적한하여 제2 포커스 값을 도출한다.
상기 제2 영상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다른 컷 오프 주파수를 적용하여 포커스 렌즈에 따른 제1 포커스 값과 제2 포커스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상에 대한 제1 포커스 값들을 a로 표시하였고, 제2 포커스 값들을 b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2 영상에 대한 제1 포커스 값들을 c로, 제2 포커스 값들을 d로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 각각에 대해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라 다른 컷 오프 주파수를 적용한 제1 포커스 값과 제2 포커스 값들을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포커스 값 대비 상기 제1 포커스 값의 상대값을 도출하여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포커스 상대값을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라 도시하면 거의 동일한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라 포커스 상대값에 대한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얻을 수 있으며, 포커스 값에 대한 정규화가 가능하다.
휘도 레벨이 다른 영상들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도 7과 같이 에지(edge)가 많은 영상 및 도 8과 같은 에지가 적은 영상 각각에 대해서도 복수의 포커스 값(절대값)들의 상대값을 도출하여, 포커스 상대값으로 정규화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영상 및 여러 회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바람직한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 상대값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한 후,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를 원하는 목표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휘도 신호를 도출한다(S11).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가 큰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가 미리 정해지 기준값보다 큰지 판단한다(S12). 이때,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가 상기 기준값과 같은 경우도 함께 판단한다.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는 상기 휘도 신호의 표준 편차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휘도 신호의 인접한 영역의 편차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고주파 휘도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라면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예측하는 과정 등이 불필요할 수 있다. 목표 위치를 예측하는 과정 없이, 기본적으로 설정된 방식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을 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예측하 는 단계를 행하는데 적합한 경우를 예시한다.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에 대해, 인포커스 상태의 영상은 콘트라스트(contrast)의 변화 폭이 넓고 디포커스 상태의 영상은 콘트라스트의 변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을 것이다.
도 10은 인포커스 상태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디포커스 상태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도 12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히스토그램은 도 11의 히스토그램 대비 콘트라스트 변화 폭이 좁다.
도 14는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영상으로서, 도 14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도 15에 나타낸다.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저콘트라스트의 경우, 즉 휘도 편차가 작은 경우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를 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휘도 신호의 표준 편차가 소정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다음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휘도 신호의 표준 편차가 소정 기준값 이상이 아니라면 종료한다.
상기 휘도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포커스 값 및 제2 포커스 값을 도출한 다(S13). 상기 휘도 신호에 대해 제1 컷 오프 주파수를 적용하여 얻은 고주파성분을 적산하여 제1 포커스 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포커스 값은 상기 제1 컷 오프 주파수와는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컷 오프 주파수보다 낮은 제2 컷 오프 주파수를 적용하여 얻은 고주파성분을 적산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포커스 값과 상기 제2 포커스 값은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입력된 영상에 대한 절대적인 포커스 값들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포커스 값 대비 제2 포커스 값의 상대값인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한다(S14).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고,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로부터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도출한다(S15).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는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목표 위치는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에서 극대점, 또는 최대점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의 포커스 상대값을 백분율로 표시하였을 경우, 포커스 상대값이 100인 포커스 렌즈의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표 위치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S16).
상술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은 목표 위치를 도출한 후, 상기 목표 위치를 이용하여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 시 예들에서 이동 정보로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예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목표 위치를 예측 및 도출한 후, 상기 목표 위치가 포커스 렌즈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있는지 판단한다(S21).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위치는 피사체가 무한측에 존재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이며, 제2 위치는 피사체가 근측에 존재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이다.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한다면, 이동 시작 위치를 현재 위치로 결정하고, 이동 방향을 상기 목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한다(S221).
그리고 S21 단계에서 결정된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S23).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인지 판단한다(S24). 여기서 중심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가운데를 의미한다.
상기 목표 위치가 중심 위치와 동일하다면, 디폴트로 설정된 이동 정보로 결정한다(S25).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포커스 렌즈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하였다면, 이때 디폴트 이동 정보로 이동 시작 위치는 제1 위치가 될 것이며, 이동 방향은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될 것이다.
그리고 디폴트로 정해진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S23).
상기 목표 위치가 중심 위치와 동일하지 않다면, 이동 시작 위치를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이동 방향은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S26).
그리고 결정한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다(S23).
상기 목표 위치가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1 위치 내지 제2 위치를 전체적으로 움직여봐야 할 것이다. 따라서 포커스 렌즈의 신속한 위치 이동을 위하여,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판단하고, 가까운 위치에서 시작하여 시작 위치와는 다른 경계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초점이 맞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목표 위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목표 위치들 중 현재 위치와 가까운 목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스캔하는 방법, 또는 우선 순위가 부여된(수동 또는 자동으로) 목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스캔하는 방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6에 따른 포커스 렌즈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 17을 참조하여 예시 설명한다.
도 17에 따르면, 포커스 렌즈는 제1 위치(B1)에서 제2 위치(B2)로 이동 가능하며, 현재 위치(P)에 존재한다. 그리고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에 따른 포커 스 상대값 R0를 도출한다.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와 상기 포커스 상대값 R0를 포함하는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들(X1, X2)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들(X1, X2)을 이용하여 목표 위치(T)를 예측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포커스 상대값이 100인 점의 포커스 렌즈 위치를 목표 위치(T)로 예측한다. 제1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X1)의 목표 위치는 제1 위치(B1)와 제2 위치(B2)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X2)의 목표 위치(T)는 제1 위치(B1)와 제2 위치(B2) 사이에 존재한다. 상기 복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들(X1, X2) 중 적어도 하나의 목표 위치(T)가 상기 제1 위치(B1)와 상기 제2 위치(B2) 사이에 존재하면 된다. 상기 목표 위치(T)가 상기 제1 위치(B1)와 제2 위치(B2)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이동 시작 위치를 현재 위치(P)로, 이동 방향을 목표 위치(T)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한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위치(T)가 제1 위치(B1)와 제2 위치(B2) 사이에 존재한다면, 상기 현재 위치(P)가 중심 위치(C)인지, 중심 위치(C)보다 작은지 또는 큰지 판단한다. 상기 현재 위치(P)가 중심 위치(C)라면 디폴트로 정해진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상기 현재 위치(P)가 중심 위치(C)가 아니라면, 현재 위치(P)와 가까운 제1 위치(B1) 또는 제2 위치(B2)에서 시작하여, 다른 제2 위치(B2) 또는 제1 위치(B1)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목표 위치를 예측 및 도출한 후,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상기 목표 위치의 차이(△)를 도출한다(S31).
그리고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32).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다면, 이동 시작 위치는 현재 위치로, 이동 방향은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S33).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다면, 상기 목표 위치가 포커스 렌즈가 스캔할 수 없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여 초점이 맞는 위치를 찾는 것은 무의미하므로,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스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정한 상기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다(S34).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지 않다면,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35). 여기서 중심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가운데 값을 의미한다.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지 않다면,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판단하고, 가까운 곳 에서 먼 곳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킴으로써 포커스 렌즈의 동선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보다 작다면, 이동 시작 위치를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로, 이동 방향을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S36).
그리고 결정한 상기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다(S34).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지 않고,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보다 작지 않다면, 이동 시작 위치를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2 위치로,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위치와 다른 제1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S37).
그리고 결정한 상기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다(S34).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에 따르면, 포커스 렌즈는 제1 위치(B1)에서 제2 위치(B2)로 이동 가능하며, 현재 위치(P)에 존재한다. 그리고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에 따른 포커스 상대값 R0를 도출한다.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와 상기 포커스 상대값 R0를 포함하는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들(X3, X4)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들(X3, X4)을 이용하여 목표 위치들(T1, T2)을 예측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포커스 상대값이 100인 점의 포커스 렌즈 위치를 목표 위치로 예측한다.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P)와 목표 위치들(T1, T2) 각각의 차이(△)를 도출한다. 현재 위치(P)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제1 위치(B1)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또는 제2 위치(B2)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목표 위치(T1, T2)가 상기 제1 위치(B1)와 제2 위치(B2) 사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의 예시들로서, 상기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B1)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위치(T1, T2)가 상기 제1 위치(B1) 미만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고, 상기 밴 값이 상기 제2 위치(B2)보다 크다면 상기 제2 위치(B2) 초과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다. 즉, 상기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B1)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뺀 값이 상기 제2 위치(B2)보다 크다면 포커스 렌즈가 스캔할 수 없는 영역에 예상한 목표 위치(T1, T2)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포커스 렌즈가 스캔할 수 없는 영역에 예상한 목표 위치(T1, T2)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시작 위치를 현재 위치(P)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방향은 목표 위치(T1, T2)가 제1 위치(B1) 미만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2 위치(B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고, 목표 위치(T)가 제2 위치(B2) 초과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위치(B1)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표 위치(T)가 상기 제1 위치(B1)와 상기 제2 위치(B2)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상기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B1)보다 작지 않거나 또는 상기 뺀 값이 상기 제2 위치(B2)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현재 위치(P)와 가까운 제1 위치(B1) 또는 제2 위치(B2)를 이동 시작 위치로 결정하고,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B1) 또 는 제2 위치(B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한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목표 위치들(T1, T2)이 제1 위치(B1)과 제2 위치(B2) 사이에 존재한다면, 상기 현재 위치(P)가 중심 위치(C)인지, 중심 위치(C)보다 작은지 또는 큰지 판단한다. 상기 현재 위치(P)가 중심 위치(C)라면 디폴트로 정해진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 상기 현재 위치(P)가 중심 위치(C)가 아니라면, 현재 위치(P)와 가까운 제1 위치(B1) 또는 제2 위치(B2)에서 시작하여, 다른 제2 위치(B2) 또는 제1 위치(B1)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뺀 값이 제1 위치보다 작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뺀 값이 제2 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위치와 중심 위치가 동일하다면 디폴트로 정해진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목표 위치, 현재 위치, 또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을 기준이 되는 값들과 비교 판단함에 있어서, 비교 판단하는 대상에 대해 특징이 있는 것으로, 작은지, 큰지 또는 같은 값을 포함하는지 등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여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따른 순서도 중 S21 단계는 상기 목표 위치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으로, 도 16의 순서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이상 상기 제2 위치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판단에 국한하여 본 발명을 한정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목표 위치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판단 은 도 16의 S21에서 제시하는 수식에 따라 판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식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예시한 것으로, 상기 판단을 행할 수 있는 어떠한 수식들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 예들의 판단에 있어서, 상기 수식을 반대 개념을 표현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S32단계에서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제1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을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더한 값이 상기 제2 위치보다 큰지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S35에서도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보다 큰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예들에서 설명하는 비교 판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로서 수식을 제시한 것으로, 상기 비교 판단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수식이라면 그 어떠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실제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마진(margin)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시작 위치로 현재 위치를 결정한 경우, 마진을 고려하여 정확한 현재 위치가 아니라 현재 위치에서 소정 마진값을 뺀 또는 더한 위치를 이동 시작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포커스 렌즈(21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0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제1 포커스 값 도출부(110)와 제2 포커스 값 도출 부(12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포커스 값 도출부는 제1 HPF(High pass filter; 111)와 제1 적산부(11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HPF(111)는 제1 컷 오프(cutoff)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성분만을 필터링한다. 그리고 제1 적산부(112)는 필터링한 고주파성분을 적산하여 제1 포커스 값을 도출한다.
상기 제2 포커스 값 도출부도 제2 HPF(121)와 제2 적산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HPF(121)는 제1 컷 오프 주파수와 다른 제2 컷 오프 주파수를 적용하여 고주파성분을 필터링한다. 그리고 제2 HPF(121)로부터 출력한 고주파성분을 제2 적산부(122)에서 적산하여 제2 포커스 값을 도출한다.
피사체로부터의 광은 포커스 렌즈(210)를 통해 촬상 소자(220)에 도달한다. 촬상 소자(220)는 수광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ADC(230)로 출력한다. ADC(230)는 상기 전기 신호를 디지털화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는 휘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도 신호라 할 수 있다. 어느 한 위치에 있는 포커스 렌즈(210)를 통해 입력된 휘도 신호를 제1 포커스 값 도출부(110)와 제2 포커스 값 도출부(120)에 입력되어, 각각 제1 포커스 값과 제2 포커스 값을 도출한다.
그리고 표준 편차 도출 및 판단부(130)에서는 상기 휘도 신호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존재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 바람직하게는 표준 편차를 도출하여 상기 표준 편차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 또는 초과인지 판단하여, 그러하다면 초점을 맞추어야 할 피사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기 위한 이후 단계들 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 포커스 값 도출부(110)와 제2 포커스 값 도출부(120) 각각으로부터 제1 포커스 값과 제2 포커스 값을 얻어, 이들의 상대값을 도출한다. 이는 포커스 상대값 도출부(140)에서 수행한다. 포커스 상대값 도출부(140)는 상기 제1 포커스 값 대비 상기 제2 포커스 값의 상대값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 도출부(150)는 구동부(240)로부터 제공된 포커스 렌즈(210)의 현재 위치와 도출한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한다.
목표 위치 도출부(160)는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로부터 목표 위치를 예측한다. 상기 목표 위치는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의 극대점, 최대점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경우 포커스 상대값이 100인 경우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포커스 렌즈 이동 제어부(180)에서 상기 목표 위치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도록 구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정부 결정부(170)에서 상기 목표 위치를 이용하여 이동 시작 위치 또는 이동 방향과 같은 이동 정보를 결정한 후, 포커스 렌즈 이동 제어부(180)에서 상기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렌즈 제어 장치(100)는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부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190)와 상기 구성부들에서 연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들,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195)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부들 중 이동 정보 결정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이동 정보 결정부(170a)의 일 실시 예로서,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정보 결정부(170a)는 제1 판단부(171), 제2 판단부(172),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3), 이동 방향 결정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단부(171)는 상기 목표 위치가 포커스 렌즈가 이동할 수 있는 경계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2 판단부(172)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여기서 중심 위치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내에서 가운데 위치를 의미한다. 중심 위치는 특정한 점의 위치뿐만 아니라 산업상 이용을 고려하여 소정 마진을 포함하는 소정 범위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판단부(171)의 판단 결과,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3)는 이동 시작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결정한다. 그리고 이동 방향 결정부(174)는 상기 목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제1 판단부(171)의 판단 결과,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판단부(172)에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와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제2 판단부(172)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와 동일하다면,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3)와 이동 방향 결정부(174)는 디폴트로 정해진 정보들을 이용한다.
또는 상기 제2 판단부(172)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가 동일하지 않다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3)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이동 방향 결정부(174)는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3)가 이동 시작 위치로 제1 위치를 결정하면, 이동 방향 결정부(174)는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정보 결정부(170b)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2를 참조하면 차이(△) 도출부(175), 제1 판단부(176), 제2 판단부(177),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8), 이동 방향 결정부(179)를 구비할 수 있다.
차이(△) 도출부(175)는 예측한 목표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를 도출한다.
그리고 제1 판단부(178)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또는 상기 제1 판단부(178)는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더한 값이 상기 제2 위치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판단부(179)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단부(178)의 판단 결과, 상기 뺀 값이 제1 위치보다 작은 경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8)는 상기 현재 위치를 이동 시작 위치로 결정할 수 있고, 이동 방향 결정부(179)는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판단부(178)의 판단 결과, 상기 더한 값이 상기 제2 위 치보다 큰 경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8)는 동일하게 현재 위치를 시작 위치로 결정한다. 이동 방향 결정부(179)는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단부(178)의 판단 결과, 상기 뺀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더한 값이 상기 제2 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판단부(179)는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상기 제2 판단부(179)의 판단 결과,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보다 작다면,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8)는 이동 시작 위치를 현재 위치에 가까운 제1 위치로 결정하고, 이동 방향 결정부(179)는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한다.
또는 제2 판단부(179)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보다 작지 않다면,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8)는 이동 시작 위치를 현재 위치에 가까운 제2 위치로 결정하고, 이동 방향 결정부(179)는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중심 위치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제3 판단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동일한 경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178)와 이동 방향 결정부(179)는 디폴트로 정해진 정보들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판단부(177)에 따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방법들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여 기록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 예 또는 수정 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것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 것으로 이해된다.
도 1 내지 도 8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 상대값에 대한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기 전의 전처리 단계로서, 피사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의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의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정보에 따라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이동 정보 결정 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이동 정보 결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Claims (29)

  1. 포커스 렌즈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른 포커스 상대값에 대한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로부터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예상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위치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상대값은 제1 컷 오프(cut off) 주파수를 갖는제1 필터에 따른 제1 포커스 값에 대한 제2 컷 오프 주파수를 갖는 제2 필터에 따른 제2 포커스 값의 상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목표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의 최대점 또는 극대점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목표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의 포커스 상대값이 100인 포커스 렌즈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작 위치와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제1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동 시작 위치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목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시작 위치는 상기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인지 제2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라면, 디폴트로 저장된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2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는 상기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뺀 값이 제1 위치보다 작은지 제1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현재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결과, 작지 않다면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보다 작은지 제2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 결과 작지 않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더한 값이 제2 위치보다 큰지 제1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단 결과, 크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현재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결과 크지 않다면,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보다 큰지 제2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판단 결과 크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 결과 크지 않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휘도 신호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가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18. 포커스 렌즈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는 포커스 상대값 도출부;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와 상기 포커스 상대값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를 도출하는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 도출부;
    상기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로부터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포커스 렌즈의 목표 위치를 도출하는 목표 위치 도출부; 및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포커스 렌즈 이동 제어부;를 구비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따라 포커스 상대값에 대한 정규화된 포커스 그래프가 저장된 메모리를 더 구비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상대값은 제1 컷 오프(cut off) 주파수를 갖는제1 필터에 따른 제1 포커스 값에 대한 제2 컷 오프 주파수를 갖는 제2 필터에 따른 제2 포커스 값의 상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커스 값을 도출하는 제1 포커스 값 도출부와,
    상기 제2 포커스 값을 도출하는 제2 포커스 값 도출부를 구비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목표 위치로 이동하도록 이동 시작 위치 및 이동 방향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결정하는 이동 정보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 결정부는,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지 제1 판단하는 제1 판단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 시작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결정하는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이동 방향을 상기 목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이동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인지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2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는 상기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결정하는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목표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2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중심 위치가 아니라면, 상기 이동 방향을 상기 이동 시작 위치와 다른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이동 방향 결정부를 구비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 결정부는,
    상기 목표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의 차이를 도출하는 차이 도출부,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차이를 더한 값이 상기 제1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제1 판단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작 위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 결정하는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상기 이동 방향 결정부를 포함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심 위치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제2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지 않고, 상기 제2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다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1 위치를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작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1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지 않고, 상기 제2 판단부의 판단 결과 작지 않다면, 상기 이동 시작 위치 결정부는 상기 제2 위치를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시작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이동 방향 결정부는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의 휘도 신호 편차를 도출하는 휘도 편차 도출부를 더 구비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를 기준값과 비교 판단하는 휘도 편차 판단부를 더 구비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편차 판단부는 상기 휘도 신호의 편차가 상기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포커스 상대값을 도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KR1020080075327A 2008-07-31 2008-07-31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4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27A KR101442615B1 (ko) 2008-07-31 2008-07-31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US12/468,187 US8237845B2 (en) 2008-07-31 2009-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ocus lens
GB0909654.6A GB2466529B (en) 2008-07-31 2009-06-0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ocus lens
DE102009027353A DE102009027353A1 (de) 2008-07-31 2009-06-3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Fokuslin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27A KR101442615B1 (ko) 2008-07-31 2008-07-31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96A KR20100013696A (ko) 2010-02-10
KR101442615B1 true KR101442615B1 (ko) 2014-09-23

Family

ID=4146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327A KR101442615B1 (ko) 2008-07-31 2008-07-31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7845B2 (ko)
KR (1) KR101442615B1 (ko)
DE (1) DE102009027353A1 (ko)
GB (1) GB2466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000B1 (ko) 2009-12-02 2016-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US8488117B2 (en) * 2010-10-10 2013-07-16 Applied Materials Israel, Ltd.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for fast changes of focus
DE102011116734B4 (de) 2011-10-19 2013-06-06 Carl Zeiss Industrielle Messtechnik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fokussierten Bildabstands eines optischen Sensors eines Koordinatenmessgeräts
KR101795604B1 (ko) * 2011-11-24 201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253245B2 (ja) * 2013-04-17 2017-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9903806B2 (en) * 2013-12-17 2018-02-27 Nanometrics Incorporated Focusing system with filter for open or closed loop control
DE102014107044B4 (de) 2014-05-19 2016-01-14 Carl Zeiss Industrielle Messtechnik Gmbh Verbesserte Autofokusverfahren für ein Koordinatenmessgerät sowie Koordinatenmessgerät
DE102015117756A1 (de) 2015-10-19 2017-04-20 Carl Zeiss Industrielle Messtechnik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fokussierten Bildabstands eines optischen Sensors eines Koordinatenmessgeräts
US20180315271A1 (en) * 2017-05-01 2018-11-01 Shadecraft, Inc. Intelligent or Automated Vend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518B1 (ko) 1990-02-28 1999-09-15 다카노 야스아키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촛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 포커스 장치
JP2002122776A (ja) 2000-10-17 2002-04-26 Sharp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とデジタルビデオカメラおよび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並びに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258088A (ja) 2003-02-24 2004-09-1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5173163A (ja) 2003-12-10 2005-06-30 Canon Inc 自動焦点調整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675A (ja) 1992-09-03 1994-03-25 Nik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US20040130652A1 (en) * 2002-12-27 2004-07-08 Tadashi Sasaki Auto focus system
JP4578334B2 (ja) 2005-06-22 2010-1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の合焦位置決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747003B2 (ja) * 2005-06-22 2011-08-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合焦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310009A (ja) * 2006-05-16 2007-11-29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100861461B1 (ko) 2007-02-12 2008-10-02 주식회사 엘 앤 에프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 및 색 온도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518B1 (ko) 1990-02-28 1999-09-15 다카노 야스아키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촛점의 자동 정합을 행하는 오토 포커스 장치
JP2002122776A (ja) 2000-10-17 2002-04-26 Sharp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とデジタルビデオカメラおよび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並びに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258088A (ja) 2003-02-24 2004-09-1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5173163A (ja) 2003-12-10 2005-06-30 Canon Inc 自動焦点調整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66529A (en) 2010-06-30
US8237845B2 (en) 2012-08-07
GB2466529B (en) 2012-01-11
GB2466529A8 (en) 2011-12-28
US20100026879A1 (en) 2010-02-04
KR20100013696A (ko) 2010-02-10
DE102009027353A1 (de) 2010-02-04
GB0909654D0 (en)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615B1 (ko)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US9883095B2 (en) Focus adjusting device and focus adjusting program with control unit to guide a light image based upon detected distributions
CN100437332C (zh) 自动聚焦装置和方法,摄影装置
US20080297648A1 (en) Focus detection apparatus
US7450836B2 (en) Image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imaging device, program for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US7324150B2 (en) Imag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 focused state
US903607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4500789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509896B2 (en)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focus control apparatus to control autofocus based on contrast signal
JP4662337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US8320754B2 (en) Electronic camera
JPH0787377A (ja) ビデオカメラ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回路
JP2006227605A (ja) 撮像装置、合焦移置検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15172748A (ja)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システム
US20220337756A1 (en) Control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memory medium
US20240080575A1 (en) Imag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d movement of focus position,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3977406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撮像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1521184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JP2005099785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5063268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
JP2005316271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2007033735A (ja)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24035736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7298708A (ja) ズームレンズ制御装置、ズームレンズ制御方法、およびズームレンズ制御プログラム
JP2001083401A (ja) 顕微鏡の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