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000B1 -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 Google Patents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000B1
KR101594000B1 KR1020090118462A KR20090118462A KR101594000B1 KR 101594000 B1 KR101594000 B1 KR 101594000B1 KR 1020090118462 A KR1020090118462 A KR 1020090118462A KR 20090118462 A KR20090118462 A KR 20090118462A KR 101594000 B1 KR101594000 B1 KR 10159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cus lens
blur
determining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918A (ko
Inventor
고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000B1/ko
Priority to US12/953,618 priority patent/US8717491B2/en
Priority to CN201010583589.4A priority patent/CN102087401B/zh
Publication of KR2011006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02B7/3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measured at different points on the optical axis, e.g. focussing on two or more planes and comparing image dat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을 행함으로써, 오토포커싱 속도를 개선한 방법, 기록 매체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입력된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여 오토포커싱을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Auto focusing metho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auto focu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에 오토포커싱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 오토포커싱 방법은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전 범위 또는 임의의 정해진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가면 최대 포커스 값을 도출하여 인포커스 상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찾는다. 따라서, 오토포커싱 구동시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오토포커싱 속도를 개선하고자 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입력된 제1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포커스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포커스 렌즈 구동부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원거리 범위인지 근거리 범위인지 판단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 판단부와,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입력된 제1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 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를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입력된 영상의 상흐림이 있는 경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실행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포커스 렌즈의 구동을 방지함으로써 오토포커싱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오토포커싱 장치, 오토포커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일 예로서, 디지털 촬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디지털 카메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가 장착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TV, 디지털 액자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를 입력하는 광학부(10), 셔터(21), 상기 광학부(10)와 상기 셔터(21)를 통해 입 력된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31), 촬상 소자(31)로부터 일 프레임 영상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전기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저감 처리, 디지털 신호로 변환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촬상 소자(31), 입력 신호 처리부(32)에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너레이터(TG; 33)를 구비한다. 입력 신호 처리부(32)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41)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영상 신호 처리부(41)에 실시간으로 입력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메모리(42)에 임시 저장된 후, 영상 신호 처리부(41)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5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52),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한 프로그램 저장부(61), 영상 데이터 및 소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62)를 구비한다. 또한, 입력된 영상의 노출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한 노출 정보에 따라 노출을 자동 제어하는 AE 제어부(70)를 구비한다. 그리고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AF 제어부(80)를 구비한다. AF 제어부(80)에 관해서는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 또는 입력된 영상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9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 구성부를 별개의 블럭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의 구성부들을 하나의 칩(chip)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2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에 대해서는 해당 기능에 따라 2 개 이상의 (chip)으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부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광학부(10)는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11),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12), 상기 광학 신호의 양(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렌즈(11) 및 포커스 렌즈(12)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0)는 포커스 렌즈(11)를 구동하는 모터인 M1(14), 줌 렌즈(12)를 구동하는 모터인 M2(15), 조리개(13)의 개폐를 구동하는 모터인 M3(16)를 구비한다. M1(14)은 포커스 제어부(17)로부터 공급된 구동 신호에 따라 포커스 렌즈(11)의 위치를 조정하며, M2(15)는 줌 제어부(18)로부터 공급된 구동 신호에 따라 줌 렌즈(12)의 위치를 조정하고, M3(16)은 조리개 제어부(19)로부터 공급된 구동 신호에 따라 조리개(13)의 개폐를 조정할 수 있다. 포커스 제어부(17), 줌 제어부(18), 조리개 제어부(19)는 시스템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셔터(21)는 상기 광학부(10)를 통과한 광학 신호의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셔터(21)로 가리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기계식 셔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셔터 장치 대신 촬상 소자(31)에 전기 신호의 공급을 제어하여 셔터 역할을 행할 수도 있다. 기계식 셔터(21)의 경우, 셔터(21)를 구동하는 모터 M4(22)를 구비하며, M4(22)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셔터 제어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셔터 제어부(23)도 시스템 제어부(90)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에 따른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촬상 소자(31)는 광학부(10)를 통해 입력된 광학 신호를 수광하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31)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어레이,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어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촬상 소자(31)는 TG(33)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일 프레임의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신호 처리부(32)는 촬상 소자(31)로부터 제공된 전기 신호에 대해 게인(gain) 조정이나 파형을 정형화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31)로부터 제공된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일 프레임의 화상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는 TG(33)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일 프레임의 영상에 대하여 행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41)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 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상기 영상 파일은 데이터 저장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41)에서는 기능적으로 불선명 처리, 색체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신호 처리부(41)에서는 표시부(52)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41)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되어, 외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모니터에서 해당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신호 처리부(32)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신호 처리부(41)에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지만, 전송 속도와 영상 신호 처리부(20)에서의 연산 처리 속도 차이가 있는 경우 메모리(42)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영상 신호 처리부(41)에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2)로 SDRAM, MCP, DRAM 등의 메모리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조작부(51)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사용 자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한 상기 영상 데이터는 표시부(52)로 전송되어 소정의 화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52)로 LCD, OLED, PDP, ED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61)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OS,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0)로서 E2PROM, 플래쉬 메모리, RO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41)에서 소정의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한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6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62)는 디지털 촬영 장치에 내장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한 형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Dcard/MMC, HDD(Hard Disk Driver),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홀로그램 메모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 영상의 노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AE 제어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AE 제어부(70)는 영상 신호 처리부(41)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의 휘도 값에 기초하여 AE(auto exposure:자동 노광)평가값을 산출하고, 상기 AE 평가값에 따라 조리개(13)의 조리개량이나 셔터(21)의 개폐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AE 제어부(70)는 산출된 조리개량 또는 셔터 속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 각각을 조리개 제어부(19), 셔터 제어부(23) 등에 출력할 수 있다. 조리개 제어부(19), 셔터 제어부(23)는 AE 제어부(70)에서 받은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조리개 제어부(19), 셔터 제어부(23)는 생성한 구동 신호를 해당 모터들 M3(16), M4(22)에 전송한다. 또한, AE 제어부(70)는 그 밖에 노광 시간, 게인, 촬상 소자(31)의 독출 모드에 의해 노광을 제어한다. 게인은 콘트라스트값의 산출에 사용된다. 촬상 소자(31)의 독출 모드란, 예를 들면 촬상 소자(31)에서 화상 데이터를 독출할 때의 신호 처리 모드로서, 피사체상이 어두울 때에는 화소를 가산하고, 피사체상이 밝을 때에는 화소 전부를 그대로 독출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입력 영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AF 제어부(80)를 구비한다. AF 제어부(80)에 관하여는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90)는 프로그램 저장부(61)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조작부(51)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 입력된 영상, 영상 신호 처리부(41)에서의 영상 처리 결과 등에 따라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와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AF 제어부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블럭도들이다.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AF 제어부(80a)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원거리 범위인지 근거리 범위인지 판단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 판단부(81a), 상기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에서 입력된 제1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83a),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a)를 구비한다.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a)는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없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없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AF 제어부(80b)는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가 원거리 범위인지 근거리 범위인지 판단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 판단부(81b),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를 이동하여 입력된 제2 영상과 상기 촬영 장치 이동 전에 입력한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인지 판단하는 영상 비교/판단부(82b),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고 상기 영상 비교부(82b)의 판단 결과 다른 장면이라면 상기 제2 영상에 대하여도 상흐림을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83b),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결정한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 경우,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다른 장면이라면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영상의 상흐림 판단에 따라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b)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원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b)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다른 장면이고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을 때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근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b)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다른 장면이고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원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b)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다른 장면이고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근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b)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다른 장면이고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b)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동일 장면이라면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일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판단부(81b)는 상기 제2 영상이 입력된 포커스 렌 즈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 판단부(81b)는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포커스 렌즈의 위치 판단부(81b)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이 다른 장면이라면 상기 제2 영상이 입력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b)는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인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인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85b)는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와 3에 도시된 F.L. 위치 판단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커스 렌즈 위치 판단부(81a/81b)는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피사체 거리를 추정하여 도출하는 피사체 거리 도출부(81-1)와, 상기 피사체 거리가 기준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피사체 거리가 상기 기준 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 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피사체 거리 판단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가 근거리에 위치함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고, 상기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함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영상 분석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기 영상 분석부(83b)는 상기 제1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제1 영상 분석부(83-1)와, 상기 제2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제2 영상 분석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 렌즈 이동 방향 판단부(85b)는 각 영상의 상흐림 여부를 판단하여 상흐림이 있는 경우 현재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속하는 제1 기준 거리와 반대의 제2 기준 거리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제1 기준 범위일 때,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를 제2 기준 범위로 이동하도록 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상흐림을 판단하여 이동한 포커스 렌즈가 제2 기준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대하여도 상흐림을 판단한 결과,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를 상기 제1 기준 범위로 이동하도록 그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오토포커싱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오토포커싱 모드를 실행한다(S11).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 거리를 미리 정해진 기준 거리 와 비교한다. 일 예로서,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 거리가 2m 보다 큰지 판단한다(S12).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즉 피사체 거리가 2m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입력된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한다(S13).
상흐림 판단은 상기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의 분산을 판단하여, 분산이 소정의 기준과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상흐림 판단에 관하여 상기 도 8과 도 10에서 판단한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전체에 대해서 상흐림을 판단할 수도 있지만, 상기 영상 중 오토포커싱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할 수 있다. 그 밖에 미분 필터를 이용하여 영상의 상흐림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흐림이 발생한다면,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 방향으로 결정한다(S14). 상흐림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 방향으로 결정한다(S15).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대응한다면, 즉 피사체 거리가 2m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입력된 영상의 상흐림 여부를 판단한다(S16). 상흐림이 발생한다면,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 방향으로 결정한다(S17). 상흐림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 방향으로 결정한다(S18).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정한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수행한다(S19).
도 7은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 근거리 피사체가 배치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의 히스토그램 분포는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도 8b는 도 8a의 X1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현재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 범위에 위치해 있음을 예시한다.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오토포커싱 모드 시작시 디폴트로 정해진 위치일 수 있으며, 또는 이전 오토포커싱 실행 후 이동된 포커스 렌즈의 위치일 수도 있다.
도 7은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입력된 제1 피사체(P1)로 1인의 여자가, 제2 피사체(P2)로 나무가 한 그루 포함되어 있는 영상(I1)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피사체(P1)는 근거리 피사체이며, 제2 피사체(P2)는 원거리 피사체이다, 그리고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 상기 제1 피사체(P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의 히스토그램 분포는 도 8a와 같이 나타난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서 그레이 스케일(grey scale)에 따른 빈도수를 나타낸 결과, 다양한 그레이 스케일에서 다양한 분포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스토그램 분포에서 X1 영역을 확대한 것이 도 8b를 참조하면, 0에 가까운 어두운 영역을 나타내는 그레이 스케일에서도 특정 분포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히스토그램의 분산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판단하고, 이로부터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은 상흐림이 없는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히스토그램의 분산은 경험치에 의거하여 미리 기준을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스토그램의 분산이 상기 기준보다 크다면,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 근거리 피사체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 원거리 피사체가 존재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9는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 원거리 피사체가 배치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 대응하는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X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실시 예에서도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근거리 범위에 위치함을 가정한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입력된 영상(I2)은 1인의 여자와 나무 한 그루를 포함한다. 상기 나무는 원거리에 위치한 제1 피사체(P1)이며, 상기 여자는 근거리에 위치한 제2 피사체(P2)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피사체(P1)가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의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은 도 10a와 같다. 특히, 도 10a의 x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은 도 10b와 같다.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의 영상은 어두운 영역을 나타내는 그레이 스케일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즉, 도 7의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의 영상 대비 히스토그램 분포의 분산이 상대적으로 작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 등의 도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기준과 상기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가 기준 보다 작다면 도 9에서 의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은 상흐림 영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에 배치된 제1 피사체(P1)는 원거리 영상이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근거리 범위에 있기 때문에, 향후 상기 포커스 렌즈를 원거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현재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상기 오토포커싱 영역(AF zone)의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확인한 결과 상흐림이 있는 영상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인포커싱(in-focusing) 상태의 영상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현재의 포커스 렌즈보다는 원거리 범위에 위치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인포커싱(in-focusing) 상태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피사체의 거리 a에 대응)로 이동하도록, 상기 포커스 렌즈를 원거리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관한 오토포커싱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함에 있어서, 신뢰성을 증진한 오토포커싱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우선 오토포커싱 모드를 실행한다(S21). 그리고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22). 이는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 거리가 원거리 범위, 예를 들어 2m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범위에 해당하는지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오토포커싱 모드를 시작할 때 디폴트로 정해진 위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이전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입력된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오토포커싱을 수행하여 이동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일 때를 예시한다. 따라서, 이전 오토포커싱을 수행함으로써 이동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한다.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함은 포커스 렌즈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도출할 수 있으며,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피사체 위치에 대응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도출할 수도 있다. 또는 이전 오토포커싱을 수행하여 이동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저장하였다가, 이를 도출함으로써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 거리가 2m를 초과하는 경우, 즉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속하는 경우, 도 12b를 참조한다. 또한, 상기 피사체 거리가 2m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도 12c를 참조한다.
도 12b에 따르면, 현재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라고 판단한다(S31).
촬영 장치를 이동한다(S32). 촬영 장치를 이동한 후, 상기 현재의 포커스 렌즈에서 제2 영상이 입력된다.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과 비교한다. 이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 영상의 구도 변경 정도를 소정의 기준(Th)과 비교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S33).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의 비교 판단은 영상 매칭을 이용한 구도 변경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의 피사체들 간의 특징점 또는 영상 패턴 정보 등을 비교하여 구도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도 변경 정도가 상기 기준(Th)보다 큰 경우, 다른 장면으로 판단한다(S34).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1 영상과 다른 장면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한다(S35). 상기 제2 영상 전체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제2 영상 중 오토포커싱 영역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할 수 있다. 처리 속도 면에서는 오토포커싱 영역의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 방향으로 결정하고(S36),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는 경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 방향으로 결정한다(S37).
그리고 결정한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 오토포커싱을 실행한다(S38).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비교하여, 구동 변경 정보가 상기 기준(Th)보다 크지 않은 경우, 동일 장면으로 판단한다(S39). 동일 장면인 경우 포커스 렌즈의 구동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또는 최소 구동을 하도록 한다(S40). 최소 구동은 미리 소정의 구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정한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또는 방법에 따라 오토포커싱을 실행한다(S38).
도 12c를 참조하면, 도 12a에서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대응하는 피사체 거리가 2m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근거리 범위로 판단한다(S51).
촬영 장치를 이동한다(S52). 촬영 장치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제2 영상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을 비교하여, 구도 변경 정도가 기준(Th)보다 큰지 판단한다(S53).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의 차이, 즉 구도 변경 정도 가 상기 기준(Th)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은 다른 장면으로 판단한다(S54).
다른 장면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한다(S55). 상기 제2 영상 중 오토포커싱 영역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이 있는 경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 방향으로 결정한다(S56). 상기 제2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이 없는 경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근거리이므로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은 근거리 방향으로 결정한다(S57).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 간의 구도 변경 정보가 기준(Th)보다 크지 않다면,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2 영상은 동일 장면으로 판단할 수 있다(S59).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이 동일 장면으로 판단된 경우, 포커스 렌즈의 구동이 불필요하거나 또는 최소 구동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S60). 최소 구동 범위는 미리 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커스 렌즈의 구동 방향 또는 구동 방법을 결정한 것에 따라 오토포커싱을 실행한다(S58).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오토포커싱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와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AF 제어부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 블럭도들이다.
도 4는 도 2와 3에 도시된 F.L. 위치 판단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영상 분석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오토포커싱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AF Zone에 근거리 피사체가 배치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는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b는 도 8a의 X1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AF Zone에 원거리 피사체가 배치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X2 영역의 히스토그램 분포를 확대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9의 AF zone의 영상에 대한 피사체 거리에 따른 포커스 값의 그래프이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관한 오토포커싱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 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21)

  1.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기 전에,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제1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산을 사용하여 입력된 제1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없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없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피사체 거리를 환산하는 단계와,
    상기 피사체 거리가 기준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피사체 거리가 상기 기준 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가 근거리에 위치함은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고,
    상기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함은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고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결정한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를 이동하여 제2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인지 판단하는 단계;
    다른 장면이라면, 상기 제2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원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근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원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근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인지 판단하여 동일한 장면이라면,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일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고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여, 결정한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를 이동하여 제2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인지 판단하는 단계;
    다른 장면이라면, 상기 제2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단계;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인지 판단하여 동일한 장면이라면,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일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11.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오토포커싱 방법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한 기록 매체.
  12. 포커스 렌즈;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기 전에,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 판단부;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서 제1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산을 사용하여 입력된 제1 영상의 상흐림을 판단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있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없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영상에 상흐림이 없는 경우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로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 판단부;를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 위치 판단부는,
    상기 현재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피사체 거리를 환산하여 도출하는 피사체 거리 도출부;
    상기 피사체 거리가 기준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피사체 거리가 상기 기준 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피사체 거리 판단부;를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가 근거리에 위치함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에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고, 상기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함은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에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를 이동하여 입력된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인지 판단하는 영상 비교/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비교부의 판단 결과 다른 장면이라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제2 영상의 상흐림을 더 판단하며,
    상기 포커스 렌즈 이동 방향 판단부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원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근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 이동 방향 판단부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원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근거리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 이동 방향 판단부는 입력된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인지 판단하여 동일한 장면이라면,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일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또 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비하는 촬영 장치를 이동하여 입력된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인지 판단하는 영상 비교/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 구동부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상흐림을 판단한 결과 결정한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 위치 판단부는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하며,
    상기 영상 비교부의 판단 결과 다른 장면이라면,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제2 영상의 상흐림을 더 판단하고,
    상기 포커스 렌즈 이동 방향 판단부는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원거리 범위인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근거리 범위인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있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 이동 방향 판단부는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원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에 상흐림이 없으면 상기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근거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비교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2 영상과 상기 제1 영상이 동일한 장면이라면, 상기 포커스 렌즈 이동 방향 판단부는 상기 제1 영상에 대하여 이동한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부터 일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토포커싱 장치.
KR1020090118462A 2009-12-02 2009-12-02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KR10159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462A KR101594000B1 (ko) 2009-12-02 2009-12-02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US12/953,618 US8717491B2 (en) 2009-12-02 2010-11-24 Auto focusing metho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and auto focusing apparatus
CN201010583589.4A CN102087401B (zh) 2009-12-02 2010-12-02 自动聚焦方法、记录该方法的记录介质以及自动聚焦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462A KR101594000B1 (ko) 2009-12-02 2009-12-02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918A KR20110061918A (ko) 2011-06-10
KR101594000B1 true KR101594000B1 (ko) 2016-02-26

Family

ID=4406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462A KR101594000B1 (ko) 2009-12-02 2009-12-02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17491B2 (ko)
KR (1) KR101594000B1 (ko)
CN (1) CN1020874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8134B (zh) * 2011-10-05 2013-11-13 深圳市联德合微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模组自动调焦方法、装置及系统
CN102646042B (zh) * 2012-02-28 2014-12-0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数据存储的方法及终端设备
EP3085295A4 (en) * 2013-12-16 2017-10-04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device
CN105704360A (zh) * 2014-11-25 2016-06-22 索尼公司 辅助自动对焦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04782467B (zh) * 2015-04-21 2017-03-08 江苏省农业科学院 一种可智能调控植物根际环境的栽培装置及控制方法
CN105262954B (zh) * 2015-11-17 2019-07-1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触发摄像头自动聚焦的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074A (ja) 2000-08-31 2002-03-12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JP2006064972A (ja) 2004-08-26 2006-03-09 Fujin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8242226A (ja) 2007-03-28 2008-10-09 Fujifilm Corp 撮影装置、及び撮影レンズの合焦制御方法
US20090237552A1 (en) 2008-03-22 2009-09-24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609B1 (ko) 1996-07-27 1999-06-15 윤종용 비데오카메라의 줌(zoom)기능 수행방법 및 그 장치
JP2004309739A (ja) * 2003-04-07 2004-11-04 Canon Inc 焦点検出装置
JP2005102199A (ja) 2003-09-04 2005-04-14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2006085258A (ja) * 2004-09-14 2006-03-30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画像比較方法、画像比較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比較装置
EP1679546B1 (en) * 2005-01-07 2014-12-24 Canon Kabushiki Kaisha Focus control method and focus control apparatus
JP4407564B2 (ja) * 2005-04-15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と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929801B2 (en) * 2005-08-15 2011-04-19 Sony Corporation Depth information for auto focus using two pictures and two-dimensional Gaussian scale space theory
CN100595621C (zh) 2007-02-01 2010-03-24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可调式光学系统
KR20080089839A (ko) 2007-04-02 2008-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GB2448221B (en) * 2007-04-02 201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KR101415872B1 (ko) * 2007-09-14 2014-07-11 삼성전기주식회사 영상 획득 장치의 자동초점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442615B1 (ko) 2008-07-31 2014-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커스 렌즈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포커스 렌즈의 제어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110109764A1 (en) * 2008-09-24 2011-05-12 Li Hong Autofocus technique utilizing gradient histogram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074A (ja) 2000-08-31 2002-03-12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JP2006064972A (ja) 2004-08-26 2006-03-09 Fujin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8242226A (ja) 2007-03-28 2008-10-09 Fujifilm Corp 撮影装置、及び撮影レンズの合焦制御方法
US20090237552A1 (en) 2008-03-22 2009-09-24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8640A1 (en) 2011-06-02
CN102087401B (zh) 2015-09-30
KR20110061918A (ko) 2011-06-10
US8717491B2 (en) 2014-05-06
CN102087401A (zh)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7333B2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700363B1 (ko) 적절한 밝기를 갖는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93995B1 (ko) 자동 초점 조절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자동 초점 조절 장치
US94897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object recognition focusing on object motion,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for
KR101643321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TWI393434B (zh) 攝像裝置及程式儲存記憶媒體
KR20120081514A (ko) 동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US201301280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594000B1 (ko)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오토포커싱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오토포커싱 장치
KR101605771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53271B1 (ko) 측면광을 판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US20170353648A1 (en) Imaging apparatus
KR101594294B1 (ko) 화이트 장면 인식을 위한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00013171A (ko) 오토 포커스 영역의 움직임 보상 방법 및 장치, 이를이용한 오토 포커스 방법 및 장치
KR100965320B1 (ko) 연속 오토포커스 자동 제어장치 및 자동 제어방법
KR101721226B1 (ko)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의 정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30306B1 (ko) 자동 초점 조절 장치 및 방법과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5098949B2 (ja)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6303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0821936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6243609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KR101613614B1 (ko) 화이트 확률에 따른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이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902189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932340B2 (ja) 焦点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