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570B1 - 낚시용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570B1
KR101442570B1 KR1020080129490A KR20080129490A KR101442570B1 KR 101442570 B1 KR101442570 B1 KR 101442570B1 KR 1020080129490 A KR1020080129490 A KR 1020080129490A KR 20080129490 A KR20080129490 A KR 20080129490A KR 101442570 B1 KR101442570 B1 KR 101442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spool
fishing line
reel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403A (ko
Inventor
케이고 키타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9007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스풀에 있어서, 금속제의 스풀의 내식성을 저하시키기 어렵게 한다.
[해결 수단] 금속제의 스풀(4)의 후 플랜지부(4c)에는, 제1 단차부(段差部, 71)와 제2 단차부(72)의 2개소에서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71)는, 후 플랜지부(4c)의 표면의 제1 면(81)과, 제1 면(81)보다 직경 방향 외방(外方)에 형성되고 제1 면(81)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2 면(8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부(72)는, 후 플랜지부(4c)의 표면의 제3 면(83)과, 제3 면(83)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3 면(83)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4 면(84)으로 형성되고, 제1 단차부(7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어 있다.
스풀, 권사 몸통부, 단차부, 플랜지부, 지표부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스풀{SPOOL OF FISHING REEL}
본 발명은 스풀, 특히,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낚싯대에 장착되어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낚시용 릴에는, 주로 스피닝 릴과 양 베어링 릴이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낚시용 릴은,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와, 릴 본체에 장착된 권사(卷絲)용의 스풀을 가지고 있다.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은 릴 본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은, 낚싯줄이 외주(外周)에 감기는 통 형상의 권사 몸통부와, 권사 몸통부의 양 단부(端部)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각각 돌출하여 설치된 원판 형상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다. 스피닝 릴의 스풀은, 권사 몸통부와 전 플랜지부와 후 플랜지부와 스커트부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는 낚싯줄이 외주에 감기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전 플랜지부는 권사 몸통부의 전단부(前端部)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후 플랜지부는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커트부는 후 플랜지 부로부터 후방(後方)으로 원통 형상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낚시용 릴의 스풀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식성(耐蝕性)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풀의 표면에 알루마이트(alumite) 처리 등의 양극 산화 처리가 행하여져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낚시용 릴의 스풀에는, 낚싯줄을 권사 몸통부에 기본 감기 할 때에, 줄 감기량의 기준으로 되도록, 양 베어링 릴의 플랜지부나 스피닝 릴의 전 플랜지부의 권사면에, 직경이 다른 복수의 원형(圓形)의 눈금이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참조). 여기에서는, 이와 같은 복수의 원형의 눈금의 위치에 따라,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50m, 100m와 같이 감기 가능한 것을 낚시꾼이 용이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원형의 눈금은, 예를 들어, 양 베어링 릴의 플랜지부나 스피닝 릴의 전 플랜지부의 금속 표면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이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실공소58-11170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52-101786호
상기 종래의 낚시용 릴의 스풀에서는, 줄 감기량의 기준을 위한 복수의 원형의 눈금이, 양 베어링 릴의 플랜지부나 스피닝 릴의 전 플랜지부의 금속 표면을 절삭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으로 하여 생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에서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을 가공한 후에, 알루마이트 처리 등의 양극 산화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이 많다. 그러나,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은 폭이 좁기 때문에, 홈 바닥이나 홈의 에지부(edge portion)에는 양극 산화 피막이나 도막층 등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 복수의 홈 바닥이나 홈의 에지부에 양극 산화 피막이나 도막층 등이 잘 형성되지 않으면, 이 부분으로부터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이 부식 분위기에 노출되어, 금속제의 스풀의 내식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의 스풀에 있어서, 금속제의 스풀의 내식성을 저하시키기 어렵게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은,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이고, 낚싯줄이 외주에 감기는 통 형상의 권사 몸통부와, 권사 몸통부의 양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각각 대향하도록 돌출하여 설치된 금속제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와, 지표부를 구비하고 있다. 지표부는, 제1 면과 제1 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1 면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2 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단차부(段差部)를 가지고, 권사 몸통부에 감긴 낚싯줄이 단차부에 도달하는 것에 의하여 적어도 2종류의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것이다.
이 스풀에서는, 금속제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에는, 제1 면과 제1 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1 면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2 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단차부를 가지고, 권사 몸통부에 감긴 낚싯줄이 단차부에 도달하는 것에 의하여 적어도 2종류의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첫 번째의 단차부는, 예를 들어 제1 플랜지부 또는 제2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에 근접한 소경 측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단차부이고,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5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 번째의 단차부는, 첫 번째의 단차부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제1 플랜지부 또는 제2 플랜지부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로부터 이반(離反)한 대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고,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10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2개의 단차부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줄을 감는 것으로, 전체에 2.5호의 낚싯줄을 150m 감을 수 있는 스풀에,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50m 또는 100m만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직경 방향의 위치가 다른 2개의 단차부에서 2종류의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2개의 단차부를 형성한 후에, 알루마이트 처리 등의 양극 산화 처리가 행하여져도,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에 비해 2개의 단차부 상을 알루마이트나 양극 산화 피막 등이 완전하게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금속제의 스풀의 내식성이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의 스풀에 있어서, 제1 면 및 제2 면은,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一方)에 형성되어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제2 면은, 제1 면의 축 방향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면은, 제1 면의 축 방향 높이보다 낮은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단차로 되어 있으므로, 만일 단차부보다 내경(內徑) 측의 낚싯줄까지 방출되는 일이 있어도 단차부가 낚싯줄의 방출의 저항이 되지 않는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제2 면은, 제1 면의 축 방향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면은, 제1 면의 축 방향 높이보다 높은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단차로 되어 있으므로, 단차부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2개의 단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단차부를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단차부에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에지부가 예각이 되지 않아, 양극 산화 피막이나 도막층 등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제1 면, 단차부 및 제2 면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면, 단차부 및 제2 면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 부분에 낚싯줄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권사 몸통부,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는, 금속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권사 몸통부,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를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일체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는, 금속 표면 상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한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부식하기 쉬운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 표면 상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한 알루마이트나 양극 산화 피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금속제의 스풀의 내식성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前方)으로 낚싯줄이 방출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이다. 제1 플랜지부는, 권사 몸통부의 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전 플랜지부이다. 제2 플랜지부는,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후 플랜지부이다. 이 경우, 스피닝 릴의 전 플랜지부나 후 플랜지부에 제1 단차부 및 제2 단차부로 이루어지는 지표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금속제의 스풀의 내식성이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스풀은, 발명 1 또는 2의 스풀에 있어서,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이다.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는, 권사 몸통부의 양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각각 돌출하여 설치된 원판 형상의 플랜지부이다. 이 경우, 양 베어링 릴의 플랜지부에 제1 단차부 및 제2 단차부로 이루어지는 지표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금속제의 스풀의 내식성이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용 릴의 스풀에 있어서, 금속제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에는, 제1 면과 제1 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1 면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2 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단차부를 가지고, 권사 몸통부에 감긴 낚싯줄이 단차부에 도달하는 것에 의하여 적어도 2종류의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제의 스풀의 내식성이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과,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스풀(4)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1)은, 도 1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좌측과 릴 본체(2)의 우측의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2a)와 덮개 부 재(2b)와 장대 취부 다리(2c)와 개구(2d)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덮개 부재(2b)는, 개구(2d)를 막도록 릴 보디(2a)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장대 취부 다리(2c)는 릴 보디(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上前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다.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의 핸들축(10)이 고정된 메인 기어축(11a)과 함께 회전하는 메인 기어(11)와, 이 메인 기어(1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12a)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와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릴 보디(2a)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 베어링(14a, 14b)에 의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랙 기구(60)를 통해 연결된 스풀축(1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螺軸, 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先端)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 려 있다.
스풀축(15)은, 피니언 기어(1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스풀축(15)은, 피니언 기어(12)의 내부를 오실레이팅 기구(6)에 의하여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스풀축(15)은, 중간부가 너트(13) 내에 장착된 베어링(16)에 의하여, 후부가 피니언 기어(12)의 후부 내주면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일체 성형되어 있다.
원통부(30)의 전부에는 전벽(33)이 형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벽(33)의 중앙부에는 보스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3a)의 중심부에는 관통공(3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33b)을 피니언 기어(12)의 전부(12a) 및 스풀축(15)이 관통하고 있다. 전벽(33)의 전부에 너트(13)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은, 원통부(30)로부터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灣曲)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원통부(30)의 둘레 방향으로 넓어져 만곡하고 있다. 제2 로터 암(32)은, 원통부(30)로부터 외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원통부(30)와의 접속부는 원통부(30)의 둘레 방향으로 넓어져 만곡하고 있다. 덧붙여, 제2 로터 암(32)에는, 경량화를 위해서 도시하지 않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의 선단에 줄 해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도시하지 않는 베일 반전 기구에 의하여 줄 해방 자세와 줄 감기 자세로 나누어 압박되어 있다.
베일 암(3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베일 지지 부재(40)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와 라인 롤러(41)와 고정축(43)과 고정축 커버(44)와 베일(45)을 가지고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는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 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제2 로터 암(32)의 선단의 외주 측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축(43)은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 고정되고 제1 베일 지지 부재(40)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되어 있다. 고정축 커버(44)는 고정축(43)의 선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베일(45)은 고정축 커버(44)와 제2 베일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역전을 금지하기 위한 역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전 방지 기구(50)는 내륜이 아이들링(idling)하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를 가지고 있다. 이 역전 방지 기구(50)는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역전을 상시 금지하고 있고, 역전을 허가하는 상태를 취하는 일은 없다.
스풀(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도 3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전단에 일체 형성된 전 플랜지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에 일체 형성된 후 플랜지부(4c)와, 후 플랜지부(4c)의 선단으로부터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부(4d)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4a), 전 플랜지부(4b), 후 플랜지부(4c) 및 스커트부(4d)는,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그 표면에는 양극 산화 처리인 알루마이트 처리에 의하여 알루마이트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후술하는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를 형성한 후에, 알루마이트 처리 등의 양극 산화 처리가 행하여진다.
권사 몸통부(4a)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고, 외주면은 스풀축(15)과 평행한 둘레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커트부(4d)는, 후 플랜지부(4c)의 선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스커트부(4d)의 내측에 로터(3)의 원통부(30)가 배치되어 있다.
전 플랜지부(4b)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을 권사 몸통부(4a)로부터 원활하게 방출하기 위한 금속제의 스풀 링(20)이 장착되어 있다. 스풀 링(20)은 앞쪽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스풀 링(20)은 스풀 링 고정 부재(19)에 의하여 전 플랜지부(4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부(4d)의 외주면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스풀 링(20)에 도달하는 위치의 직경 방향 높이까지 낚싯줄을 권사 몸통부(4a)에 감는 것이 가능하다. 이 직경 방향 높이는,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15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 플랜지부(4c)의 외주면에는, 도 3부터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차부(71)와 제2 단차부(72)의 2개소에서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7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 플랜지부(4c)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4a)에 근접한 소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고,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5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71)는, 후 플랜지부(4c)의 권사 몸통부(4a)에 근접한 측의 표면의 제1 면(81)과, 제1 면(8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1 면(81)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2 면(8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면(82)은, 제1 면(81)의 축 방향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차부(71)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면(81), 제1 단차부(71) 및 제2 면(82)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단차부(7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차부(7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되고, 후 플랜지부(4c)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4a)로부터 이반한 대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다. 제2 단차부(72)는,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10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부(72)는, 후 플랜지부(4c)의 권사 몸통부(4a)와 이반한 측의 표면의 제3 면(83)(청구항 1의 제1 면의 일례)과, 제3 면(83)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3 면(83)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4 면(84)(청구항 1의 제2 면의 일례)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면(84)은, 제3 면(83)의 축 방향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돌출하여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차부(72)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3 면(83), 제2 단차부(72) 및 제4 면(84)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면(82)과 제3 면(8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차부(71), 제2 면(82)=제3 면(83), 제2 단차부(72)에 의하여, 축 방향 외방(전 플랜지부(4b) 및 후 플랜지부(4c)의 대향하는 표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측과 역측)으로 파인 1개의 오목부로 형성된다. 즉, 이 1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제1 단차부(71), 제2 면(82) 및 제3 면(83), 제2 단차부(72)가 동시에 생성된다. 덧붙여, 제1 면(81)과 제4 면(84)은, 제2 면(82) 및 제3 면(83)으로부터의 축 방향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차부(71)와 제2 단차부(72)의 제2 면(82) 및 제3 면(83)으로부터의 축 방향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4)에 낚싯줄을 감으려면, 권사 몸통부(4a)에 낚싯줄의 단부를 고정, 이른바 줄 멈춤을 하고 나서, 권사 몸통부(4a)의 외주부에 낚싯줄을 감는다.
이와 같은 제1 단차부(71) 또는 제2 단차부(72)를 기준으로 하여 낚싯줄을 감는 것으로, 전체에 2.5호의 낚싯줄을 150m 감을 수 있는 스풀(4)에,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50m 또는 100m만을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나아가, 전 플랜지부(4b)의 스풀 링(20)까지 2.5호의 낚싯줄을 50m 또는 100m만 감고 싶을 때는, 기본 감기 줄(2.5호보다 굵고, 가격이 싼 낚싯줄 또는 오래 써서 낡은 낚싯줄)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2.5호의 낚싯줄을 100m 감고 싶은 경우는, 우선, 제1 단차부(71)의 단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전 플랜지부(4b)에 도달하는 위치의 직경 방향 높이까지 기본 감기 줄을 권사 몸통부(4a)에 감는다. 그리고, 그 선단에 2.5호의 낚싯줄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2.5호의 낚싯줄을 100m 감았을 때에 스풀 링(20)에 이르는 최량의 줄 감기 외주 직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2.5호의 낚싯줄을 50m 감고 싶을 때는, 제2 단차부(72)의 단부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전 플랜지부(4b)에 도달하는 위치의 직경 방향 높이까지 기본 감기 줄을 권사 몸통부(4a)에 감는다. 그리고, 그 선단에 2.5호의 낚싯줄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2.5호의 낚싯줄을 50m 감았을 때에 스풀 링(20)에 이르는 최량의 줄 감기 외주 직경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2.5호의 낚싯줄을 150m 감고 싶을 때는, 스커트부(4d)의 외주면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스풀 링(20)에 도달하는 위치의 직경 방향 높이까지 낚싯줄을 권사 몸통부(4a)에 감는 것으로 최량의 줄 감기 외주 직경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량의 줄 감기 외주 직경으로 낚싯줄을 감으면, 스풀(4)의 전 플랜지부(4b)의 스풀 링(20)으로부터 낚싯줄이 전방으로 합쳐져 방출되는 이른바 「백래시」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전 플랜지부(4b)가 낚싯줄 방출 시의 저항이 되기 어려워져, 채비의 비거리를 늘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풀(4)에서는, 후 플랜지부(4c)에는, 제1 단차부(71)와 제2 단차부(72)의 2개소에서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71)는, 후 플랜지부(4c)의 표면의 제1 면(81)과, 제1 면(8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1 면(81)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2 면(8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부(72)는, 후 플랜지부(4c)의 표면의 제3 면(83)과, 제3 면(83)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3 면(83)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4 면(84)으로 형성되며, 제1 단차부(7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7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 플랜지부(4c)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4a)에 근접한 소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고, 2.5호의 낚싯줄을 5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부(72)는, 제1 단차부(7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되고, 후 플랜지부(4c)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4a)로부터 이반한 대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며, 2.5호의 낚싯줄을 10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직경 방향의 위치가 다른 제1 단차부(71)와 제2 단차부(72)의 2개소에서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를 형성한 후에 알루마이트 처리가 행하여져도,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에 비해,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 상을 알루마이트 등이 완전하게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제의 스풀(4)의 내식성을 저하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피닝 릴의 스풀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의 스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01)와 핸들(102)과 스풀(104)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01)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핸들(102)은 릴 본체(10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것이다. 스풀(104)은 릴 본체(10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권사용의 것이다. 핸들(102)의 릴 본체(101) 측에는, 드랙 조정용의 스타 드랙(103)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104)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그 표면에는 양극 산화 처리인 알루마이트 처리에 의하여 알루마이트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104)은, 예를 들어 3호의 낚싯줄을 120m 감기 가능한 것이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의 권사 몸통부(104a)와, 권사 몸통부(104a)의 양 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접시 형상의 제1 플랜지부(104b) 및 제2 플랜지부(104c)를 가지고 있다.
제2 플랜지부(104c)의 외주면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차부(171)와 제2 단차부(172)의 2개소에서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17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플랜지부(104c)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104a)에 근접한 소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고, 예를 들어 3호의 낚싯줄을 4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171)는, 제2 플랜지부(104c)의 권사 몸통부(104a)에 근접한 측의 표면의 제1 면(181)과, 제1 면(18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1 면(181)과 축 방향 높 이가 다른 제2 면(18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면(182)은, 제1 면(181)의 축 방향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단차부(171)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면(181), 제1 단차부(171) 및 제2 면(182)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단차부(17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차부(17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되고, 제2 플랜지부(104c)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104a)로부터 이반한 대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다. 제2 단차부(172)는, 예를 들어 3호의 낚싯줄을 8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부(172)는, 제2 플랜지부(104c)의 권사 몸통부(104a)와 이반한 측의 표면의 제3 면(183)과, 제3 면(183)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3 면(183)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4 면(184)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면(184)은, 제3 면(183)의 축 방향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돌출하여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차부(172)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3 면(183), 제2 단차부(172) 및 제4 면(184)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면(182)과 제3 면(183)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차부(171), 제2 면(182)=제3 면(183), 제2 단차부(172)에 의하여, 축 방향 외방(제1 플랜지부(104b) 및 제2 플랜지부(104c)의 대향하는 표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측과 역측)으로 파인 1개의 오목부로 형성된다. 즉, 이 1개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제1 단차부(171), 제2 면(182) 및 제3 면(183), 제2 단차부(172)가 동시에 생성된다. 덧붙여, 제1 면(181)과 제4 면(184)은, 제2 면(182) 및 제3 면(183)으로부터의 축 방향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차부(171)와 제2 단차부(172)의 제2 면(182) 및 제3 면(183)으로부터의 축 방향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풀(104)에서는, 제2 플랜지부(104c)에는, 제1 단차부(171)와 제2 단차부(172)의 2개소에서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171)는, 제2 플랜지부(104c)의 표면의 제1 면(181)과, 제1 면(18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1 면(181)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2 면(18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부(172)는, 제2 플랜지부(104c)의 표면의 제3 면(183)과, 제3 면(183)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제3 면(183)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4 면(184)으로 형성되며, 제1 단차부(17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부(171)는, 제2 플랜지부(104c)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104a)에 근접한 소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고, 3호의 낚싯줄을 4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부(172)는, 제1 단차부(171)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배치되고, 제2 플랜지부(104c)의 직경 방향 외방의 권사 몸통부(104a)로부터 이반한 대경 측에 형성된 환상의 단차부이며, 3호의 낚싯줄을 80m 감기 가능한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직경 방향의 위치가 다른 제1 단차부(171)와 제2 단차부(172)의 2개소에서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1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복수의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제1 단차부(171) 및 제2 단차부(172)를 형성한 후에 알루마이트 처리가 행하여져도, 제1 단차부(171) 및 제2 단차부(172) 상을 알루마이트 등이 완전하게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금속제의 스풀(104)의 내식성을 저하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후 플랜지부(4c)에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를 형성하고 있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 플랜지부(4b)에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전 플랜지부(4b) 및 후 플랜지부(4c)의 양방(兩方)에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예 (a)에서는, 제2 플랜지부(104c)에 제1 단차부(171) 및 제2 단차부(172)를 형성하고 있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플랜지부(104c)에 제1 단차부(171)를 형성하고, 또한 제1 플랜지부(104b)에 제2 단차부(172)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 부분을 설치하지 않고, 대략 직각인 단차로 되는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면(82)은, 제1 면(81)의 축 방향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고, 제4 면(84)은, 제3 면(83)의 축 방향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돌출하여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면(82)은, 제1 면(81)의 축 방향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돌출하여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고, 제4 면(84)은, 제3 면(83)의 축 방향 높이 보다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도 10에서는, 제2 면(82)과 제3 면(83)은, 축 방향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차부(71), 제2 면(82)=제3 면(83), 제2 단차부(72)에 의하여, 축 방향 내방(전 플랜지부(4b) 및 후 플랜지부(4c)의 대향하는 표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측)으로 돌출한 1개의 볼록부로 형성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면(82)은, 제1 면(81)의 축 방향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단차로 되어 있고, 제4 면(84)은, 제3 면(83)의 축 방향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단차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단차부(71) 및 제2 단차부(72)가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하여 계단 형상의 단차로 되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스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풀의 확대 정면 단면도.
도 5는 상기 스풀의 후 플랜지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상기 스풀의 전 플랜지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상기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의 확대 측면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호의 설명>
1: 핸들 2: 릴 본체
3: 로터 4: 스풀
4a: 권사 몸통부 4b: 전 플랜지부
4c: 후 플랜지부 4d: 스커트부
5: 로터 구동 기구 6: 오실레이팅 기구
15: 스풀축 19: 스풀 링 고정 부재
20: 스풀 링 70: 지표부
71: 제1 단차부 72: 제2 단차부
81: 제1 면 82: 제2 면
83: 제3 면 84: 제4 면
101: 릴 본체 102: 핸들
103: 스타 드랙 104: 스풀
104a: 권사 몸통부 104b: 제1 플랜지부
104c: 제2 플랜지부 170: 지표부
171: 제1 단차부 172: 제2 단차부
181: 제1 면 182: 제2 면
183: 제3 면 184: 제4 면

Claims (10)

  1.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낚시용 릴의 스풀이고,
    상기 낚싯줄이 외주(外周)에 감기는 통 형상의 권사(卷絲) 몸통부와,
    상기 권사 몸통부의 양 단부(端部)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각각 대향하도록 돌출하여 설치된 금속제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대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고, 제1 면과 상기 제1 면보다 직경 방향 외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면과 축 방향 높이가 다른 제2 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단차부(段差部)를 가지고, 상기 권사 몸통부에 감긴 낚싯줄이 상기 단차부에 도달하는 것에 의하여 적어도 2종류의 낚싯줄의 감기량을 알기 위한 지표부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一方)에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축 방향 높이보다 낮아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축 방향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상기 단차부 및 상기 제2 면은,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사 몸통부,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는, 금속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는, 금속 표면 상에 양극 산화 처리에 의한 양극 산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스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前方)으로 상기 낚싯줄이 방출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이고,
    상기 제1 플랜지부는, 상기 권사 몸통부의 전단부(前端部)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전 플랜지부이고,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後端部)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후 플랜지부인, 낚시용 릴의 스풀.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이고,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권사 몸통부의 양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각각 돌출하여 설치된 원판 형상의 플랜지부인, 낚시용 릴의 스풀.
KR1020080129490A 2007-12-27 2008-12-18 낚시용 릴의 스풀 KR101442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5901 2007-12-27
JP2007335901A JP4963291B2 (ja) 2007-12-27 2007-12-27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403A KR20090071403A (ko) 2009-07-01
KR101442570B1 true KR101442570B1 (ko) 2014-09-23

Family

ID=4054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490A KR101442570B1 (ko) 2007-12-27 2008-12-18 낚시용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75471B2 (ko)
EP (1) EP2074884B1 (ko)
JP (1) JP4963291B2 (ko)
KR (1) KR101442570B1 (ko)
CN (1) CN101467521B (ko)
MY (1) MY143447A (ko)
SG (1) SG153744A1 (ko)
TW (1) TWI4367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907B2 (en) 2010-12-08 2013-07-23 Vaughn Harris Fishing reel
JP5956741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釣り用リール
JP6046481B2 (ja) * 2012-12-20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6419020B2 (ja) * 2015-04-28 2018-11-0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857476B2 (ja) * 2016-09-30 2021-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
JP6846156B2 (ja) * 2016-10-19 2021-03-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72882B2 (ja) * 2016-11-08 2021-05-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783667B2 (ja) * 2017-01-06 2020-11-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6994310B2 (ja) * 2017-06-07 2022-01-1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6968685B2 (ja) * 2017-12-20 2021-11-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
JP7116102B2 (ja) * 2020-01-29 2022-08-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00A (ja) * 1996-07-18 1998-02-03 Mamiya Op Co Ltd 両軸受リール
JP2000083534A (ja) 1998-09-17 2000-03-28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6042740A (ja) 2004-08-09 2006-02-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245A (en) * 1973-07-05 1975-03-11 Jr E F Witteborg Fishing spool
JPS52101786U (ko) 1976-01-29 1977-08-02
JPS5811170Y2 (ja) 1978-10-20 1983-03-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り用リ−ルのスプ−ル
DE19535105A1 (de) * 1994-09-21 1996-03-28 Fuji Photo Film Co Ltd Photofilmkassette
JP3101645B2 (ja) * 1995-02-16 2000-10-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5755398A (en) * 1996-09-19 1998-05-26 Smatco Industries Winch drum utilizing composite flange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03089478A (ja) * 2001-09-19 2003-03-25 Kanai Hiroaki 極細金属線用リ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90017A (ja) 2003-03-25 2004-10-21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4384936B2 (ja) * 2004-05-11 2009-12-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DE102004054033B3 (de) * 2004-11-05 2006-02-02 Burk, Günther Weitwurfspule für Angelrollen
US7275706B2 (en) 2005-09-22 2007-10-02 Shimano Inc. Spool for spinning reel
JP4435221B2 (ja) 2007-09-07 2010-03-1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熱処理装置の空焼き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00A (ja) * 1996-07-18 1998-02-03 Mamiya Op Co Ltd 両軸受リール
JP2000083534A (ja) 1998-09-17 2000-03-28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6042740A (ja) 2004-08-09 2006-02-1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50696A (en) 2009-12-16
EP2074884B1 (en) 2012-06-13
JP4963291B2 (ja) 2012-06-27
US20090166460A1 (en) 2009-07-02
KR20090071403A (ko) 2009-07-01
CN101467521A (zh) 2009-07-01
EP2074884A2 (en) 2009-07-01
CN101467521B (zh) 2011-11-30
SG153744A1 (en) 2009-07-29
JP2009153456A (ja) 2009-07-16
US7775471B2 (en) 2010-08-17
EP2074884A3 (en) 2010-05-19
MY143447A (en) 2011-05-13
TWI436731B (zh) 2014-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570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JP2009153456A5 (ko)
US9091350B2 (en) Spinning reel waterproofing member and spinning reel using the same
US20100059615A1 (en) Fishing reel
US7104485B2 (en) Spinning-reel sounding mechanism
KR20110098618A (ko) 스피닝 릴의 낚싯줄 안내 기구
EP3498092B1 (en) Fishing spinning reel
US6405955B2 (en)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for spinning reel
TWI556729B (zh) 紡車式捲線器的釣線導引機構
US20040041043A1 (en) Spinning-reel fishing-line guiding mechanism
EP3141113B1 (en) Spool for spinning reel
KR20040097894A (ko) 스피닝 릴의 마스터 기어
US7077349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739106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079289A (ja) 釣り用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35189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016684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204739A (ja) 釣り用リールの部品本体
JP200902216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