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775B1 - 추진관용 쿠션재와 추진관 - Google Patents

추진관용 쿠션재와 추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775B1
KR101441775B1 KR1020127022619A KR20127022619A KR101441775B1 KR 101441775 B1 KR101441775 B1 KR 101441775B1 KR 1020127022619 A KR1020127022619 A KR 1020127022619A KR 20127022619 A KR20127022619 A KR 20127022619A KR 101441775 B1 KR101441775 B1 KR 10144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ing
propulsion
cushioning material
outer peripher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284A (ko
Inventor
히로히사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위치 결정도 용이하면서, 높은 응력 분산 효과도 달성할 수 있는 추진관용 쿠션재를 얻는다. 소정 거리(s)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 및 양 측면의 외주연측에 위치하는 외주면(25)을 적어도 구비하는 판부재이고 또한 전체가 링형상을 이루는 추진관용 쿠션재(20)(쿠션재편(20a))에 있어서, 링의 중심(L)으로부터 제1 측면(21)의 외주연(23)까지의 직경(곡률 반경)을 A, 상기 제2 측면(22)의 외주연(24)까지의 직경(곡률 반경)을 B, 상기 외주면(25)의 축방향의 임의의 위치까지의 직경(곡률 반경)을 C로 하였을 때에, A≥B이며, 또한 A>C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추진관용 쿠션재와 추진관{JACKING PIPE CUSHIONING MATERIAL, AND JACKING PIPE}
본 발명은 추진 공법에 있어서 추진관의 이음부에 이용되는 추진관용 쿠션재와 그 쿠션재를 구비한 추진관에 관한 것이다.
공공 하수도 공사 등, 지하에 관을 매설하는 공사의 시공 방법으로서, 추진 공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추진 공법은 관을 매설하는 전체의 범위를 개삭(開削)하지 않고, 예를 들면, 콘크리트제의 관을 순차적으로 지중(地中)으로 밀어내 감으로써, 관을 지중에 매설하여 가는 시공 방법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지중에 매설하는 관을 「추진관」이라고 한다.
상기 추진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관에는, 재질로서는, 콘크리트제, 레진 콘크리트제, 도제(陶製), 철제(鐵製)의 것이 많이 이용된다. 그 때문에, 추진관을 밀어낼 때에, 추진관끼리가 접촉하면, 그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파손이 일어나기 쉽다. 추진관의 파손을 막고, 또한 추진관을 추진하기 위한 추진력을 전달시키기 위해서, 추진관의 단부(端部)에는, 추진력 전달재로서의 기능을 하는 추진관용 쿠션재가 장착된다.
추진관용 쿠션재로서는, 발포 폴리스티렌제, 합판제, 파티클보드제의 것 등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발포 배율을 변경함으로써 임의의 붕괴 특성(collapsing characteristic)을 실현할 수 있다는 특이적 특징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제의 쿠션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추진력 전달재의 매우 적합한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고, 이 추진력 전달재는 발포 폴리스티렌제로서 0.3∼0.8의 비중을 갖는 저배발포(低倍發泡) 성형품으로서,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이루는 판부재이다.
한편, 탄성 재료인 쿠션재는 추진시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직경 방향의 팽윤 변형(swelling deformation)을 일으킨다. 그 때문에, 직경 방향의 폭 및 장착 위치를 적당히 조절하지 않으면 추진관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삐져나온다는 문제가 있었다. 추진관 외주부에서의 쿠션재의 삐져나옴은 추진관 외주에 설치된 칼라(collar)를 변형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종래부터 쿠션재의 직경 방향의 폭을 추진관의 관벽 두께보다 작게 하고, 추진시에 관 단면(斷面)으로부터 삐져나오지 않도록 위치 결정을 하여, 쿠션재를 설치하였다.
추진관의 외경이 1m를 초과하는 큰 추진관의 경우에는, 링형상의 쿠션재를 복수로 분할하여 성형하고, 그것을 사용시에 관 단면에 접착제 등으로 위치 결정 하면서 접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위치 결정을 하는데 대단한 숙련을 필요로 하고, 또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제가 마를 때까지 누르지 않으면 안 되는 등의 노력을 필요로 하여, 작업 능률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것을 해결한 콘크리트 추진관용 쿠션재가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그것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로 링을 형성하는 발포 폴리스티렌제 쿠션재(1)에 있어서, 외주부에 돌기(2)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콘크리트 추진관용 쿠션재(1)는 외주부의 돌기(2)를 추진관 외주부에 설치된 칼라에 접촉시킴으로써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돌기(2)의 선단(先端)만이 칼라와 접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추진시에 생기는 쿠션재의 포아송비(poisson's ratio)에 따르는 붕괴에 의한 팽윤의 영향을, 그 돌기(2)의 선단인 좁은 영역에만 한정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칼라가 변형되는 것도 방지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고 소61-832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8-82192호 공보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의 콘크리트 추진관용 쿠션재는 상기와 같이 추진시에 추진관에 장착된 칼라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외주부에 돌기를 형성한 것에 의해, 칼라와의 사이에 쿠션재가 없는 영역이 형성되게 되어, 추진관의 단면과 면접촉하는 영역이 쿠션재가 없는 영역분만큼, 돌기를 가지지 않는 것과 비교하여 좁아진다. 그 때문에, 응력의 분산이 억제를 받아 쿠션재를 통하여 추진관의 단면에 작용하는 응력은 단면의 전면(全面)에 걸쳐 쿠션재가 면접촉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여 집중된다. 결과적으로, 추진관의 단면의 전면에 면접촉하고 있어 높은 응력 분산성을 발휘하는 쿠션재와 비교하여, 쿠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위치 결정도 용이하면서, 높은 응력 분산 효과도 달성할 수 있는 추진관용 쿠션재, 및 그 추진관용 쿠션재를 칼라를 장착한 측의 단면에 고정한 추진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는 소정 거리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 및 양 측면의 외주연(外周緣)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을 적어도 구비하는 판부재이고, 또한 전체가 링형상을 이루는 추진관용 쿠션재로서, 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의 외주연까지의 직경을 A, 상기 제2 측면의 외주연까지의 직경을 B, 상기 외주면의 축방향의 임의의 위치까지의 직경을 C로 하였을 때에, A≥B이고, 또한 A>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는 A>B이며, 상기 외주면은 제1 측면의 외주연으로부터 제2 측면의 외주연을 향하여 연속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진관용 쿠션재에서는, 외주면은 제1 측면과 제2 측면의 외주연의 위치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있다. 따라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의 외주연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이 추진관의 한쪽 끝측에 장착한 원통형의 칼라에 접한 상태로 되어도, 외주면은 그 칼라에 접하는 일은 없어, 칼라의 내주면과 추진관용 쿠션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에서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의 외주연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을, 추진관의 한쪽 끝측에 장착한 원통형의 칼라에 접한 상태로 함으로써, 추진관에 대한 위치 결정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쿠션재의 직경 방향으로의 팽윤을 상기한 공간에서 흡수할 수 있어, 팽윤에 의해 칼라가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는 전체가 링형상이며, 돌기등을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제1 측면에서 칼라를 장착한 측의 추진관의 단면의 전면을 덮도록 하여 둠으로써, 시공시에 쿠션재를 통하여 추진관의 단면에 작용하는 응력 분산을, 추진관의 단면 전면에 미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추진관용 쿠션재의 쿠션 효과가 향상됨과 함께, 응력의 집중에 의해 추진관에 파손이 생기는 것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는, 적용하는 추진관이 외경이 작은 추진관인 경우에는, 전체를 일체 성형품으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추진관의 외경이 1m를 초과하는 큰 추진관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추진관용 쿠션재는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인 2개 이상의 쿠션재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에서도, 각 쿠션재편은 상기 A≥B이고 또한 A>C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를 상기한 복수의 쿠션재편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각 쿠션재편의 좌우의 측단면을 경사진 단면으로 할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복수 개의 쿠션재편으로 구성한 링형상의 추진관용 쿠션재가 추진시에 압축되었을 때, 쿠션재편의 둘레 방향으로의 팽윤을, 인접하는 쿠션재편의 경사진 측단면 사이에 형성되는 V자 형상의 공간 내에서 흡수할 수 있고, 팽윤에 의해 쿠션재편끼리가 서로 밀어냄으로써 발생하는, 웨이브(waving)나 박리(peeling)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추진관의 한쪽 끝측에 원통형의 칼라가 장착되어 있고, 그 칼라를 장착한 측의 단면에 상기 제1 측면이 접하도록 하여 상기한 어느 쪽의 추진관용 쿠션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관도 개시한다.
이 추진관에서는, 추진관용 쿠션재를 통하여 단면에 작용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시에 단면측이 집중 응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추진시에 칼라가 변형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결정도 용이하면서, 높은 응력 분산 효과도 기대할 수 있어, 추진관에 장착한 칼라의 변형도 더 방지할 수 있는 추진관용 쿠션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집중 응력에 의해 단면이 파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추진관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를 이용한 추진관 접속부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에서의 추진관용 쿠션재편의 배치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에서의 쿠션재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도 3(a))와 도 3(a)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도 3(b)).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에서의 쿠션재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3(b)에 상당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추진관용 쿠션재에서의 쿠션재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도 5(a))와 도 5(a)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도 5(b)).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쿠션재편을 링형상으로 접속하였을 때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종래의 추진관용 쿠션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0은 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인 원통형상의 추진관이며, L은 중심축선이다. 추진 전방측의 추진관(10A)의 후단부(後端部)(소켓(socket)측)에는, 강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칼라(11)가 장착되어 있고, 추진 후방측의 추진관(10B)의 약간 축경(縮徑)된 전단부(前端部)(스피곳(spigot)측)가 상기 칼라(11) 안으로 들어가 있다. 전방의 추진관(10A)의 후단면(後端面)(12)에는, 중심축이 상기 중심축선(L)으로 되도록 하고, 링형상을 이루는 추진관용 쿠션재(20)가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고, 추진시에, 후방의 추진관(10B)의 전단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칼라(11) 안으로 들어가, 그 전단면(前端面)(13)이 추진관용 쿠션재(20)에 맞닿는다. 또한, 추진관용 쿠션재(20)의 재질은 종래 이용되고 있는 추진관용 쿠션재와 같아도 좋고, 예를 들면, 발포 폴리스티렌제로서 0.3∼0.8의 비중을 갖는 저배발포 성형품이다. 또한, 도 1에서, 14는 적당한 씰재(sealant)이며, 15는 추진관(10A)의 후단면의 내경측에 형성된 모르타르 등의 매립부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시한 예에 있어서, 추진관용 쿠션재(20)는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실질적으로 같은 부채형 형상의 복수 개(도시한 예에서는, 16개)의 쿠션재편(2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쿠션재편(20a)을 예로서, 본 발명의 추진관용 쿠션재(20)를 설명한다.
부채형인 쿠션재편(20a)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거리(s)를 두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 외주면(25), 좌우의 측단면(26, 27), 및 내주면(28)을 구비한, 두께 s의 판부재이다.
제1 측면(21)의 외주연(23)과 제2 측면(22)의 외주연(24)은 함께 호(弧)를 이루고 있고, 호의 중심,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추진관(10)의 중심축선(L)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21)의 외주연(23)까지의 거리(곡률 반경) A는 그 중심축선(L)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22)의 외주연(24)까지의 거리(곡률 반경) B보다 크다.
또한, 도시한 예에 있어서, 상기 외주연(23)과 외주연(24)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외주면(25)은 외주연(23)으로부터 외주연(24)측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중심축선(L)으로부터 상기 외주면(25)의 중심축선(L) 방향의 임의의 위치까지의 거리(곡률 반경)를 C로 하였을 때에, A>C의 관계로 되어 있다. 필수는 아니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내주면(28)은 원통면을 이루고 있다.
쿠션재편(20a)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21)에서의 상기 외주연(23)으로부터 상기 내주면(28)까지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추진관(10A)의 후단면의 직경 방향의 길이와 거의 같게 된다(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추진관(10A)의 후단면의 내경측에 매립부(15)가 형성되어 있어, 그만큼, 제1 측면(21)에서의 상기 외주연(23)으로부터 상기 내주면(28)까지의 거리는 짧아지지만, 이것은 필수는 아니다). 그리고, 상기한 중심축선(L)으로부터 제1 측면(21)의 외주연(23)까지의 거리(곡률 반경) A는 추진관(10A)의 후단면(12)에서의 중심축선(L)으로부터 상기 칼라(11)까지의 거리(곡률 반경) D(도 1 참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추진 공법을 개시함에 있어서, 추진관(10A)의 후단면(12)의 전 둘레에 걸쳐, 상기한 쿠션재편(20a)을, 그 제1 측면(21)측이 후단면(12)측으로 되도록 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제1 측면(21)의 외주연(23)의 곡률 반경 A는 추진관(10A)의 후단면(12)에서의 칼라(11)에 접하고 있는 외주연의 곡률 반경 D와 동일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외주연(23)을 칼라(11)에 접한 상태에 위치 결정하면서, 모든 쿠션재편(20a)을 접착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6개의 쿠션재편(20a)으로 이루어지는 링형상의 추진관용 쿠션재(2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형성된 추진관용 쿠션재(20)는 추진관(10A)의 후단면(12)의 전면(全面)을 덮은 상태로 된다.
그 추진관(10A)을 지중에 매설하고, 그 후단부의 칼라(11) 내에 추진관(10B)을 삽입하여, 추진 공법을 계속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의 추진관(10B)의 선단면(先端面)(13)이 추진관용 쿠션재(20)(쿠션재편(20a))의 제2 측면(22)에 맞닿아, 쿠션재편(20a)이 압축됨과 함께 추진력이 전달된다. 압축에 의해 쿠션재편(20a)은 직경 방향으로 팽출하고, 그 팽출은 상기한 쿠션재편(20a)의 경사진 외주면(25)을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나타난다. 그러나, 외주면(25)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25)과 칼라(11)의 내주면 사이에는, 공간(p)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팽출, 즉 외측으로의 밀어내는 부분은 그 공간(p) 내에 흡수되어, 칼라(11)에는 큰 힘을 미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칼라(11)가 변형되는 일은 없다. 제1 측면(21)의 외주연(23)은 칼라(11)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어, 그 부분의 외측으로의 팽출은 칼라(11)에 힘으로서 작용하지만, 접촉 면적은 적어, 칼라(11)에 변형을 일으키는 힘으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추진력은 쿠션재편(20a)의 제1 측면(21)을 통하여 전방의 추진관(10A)에 전달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쿠션재편(20a)의 제1 측면(21)은 추진관(10A)의 후단면(12)의 전면에 면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공시에, 쿠션재편(20a)을 통하여 추진관(10A)의 후단면(12)에 작용하는 응력을, 추진관(10A)의 후단면(12)의 전면에 분산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추진관용 쿠션재(20)(쿠션재편(20a))의 쿠션 효과가 향상됨과 함께, 응력의 집중에 의해 추진관(10A)에 파손이 생기는 것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쿠션재편(20a)의 제2 측면(22)과 면적과, 추진관(10B)의 전단면(13)의 면적과의 대소 관계는 임의라도 좋지만, 양쪽의 면적이 동일하거나 제2 측면(22)이 약간 큰 형태가 바람직한 형태이다.
도 4는 쿠션재편(20a)의 다른 형태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고, 도 3에 나타낸 쿠션재편(20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4(a)에서는, 상기한 거리(곡률 반경) A와 거리(곡률 반경) B는 동일하다. 그리고, 외주연(23)과 외주연(24)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외주면(25)은 2개의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5a, 25b)으로 구성되고, 폭방향의 거의 중앙부가 가장 낮아지도록 하여, 경사면(25a, 25b)는 접속되어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쿠션재편(20a)에서는, 상기 외주면(25)이 단면 형상에서 중심을 향하여 호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5는 쿠션재편(20a)의 또 다른 형태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쿠션재편(20a)는 좌우의 측단면(26a, 27a)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측면(22)측이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3에 나타낸 쿠션재편(20a)와 상위하다. 다른 구성은 같고,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쿠션재편(20a)의 복수 매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진관(10A)의 후단면(12)에 링형상으로 접착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쿠션재편(20a)은, 좌우의 측단면(26a, 27a)이 제1 측면(21)보다 제2 측면(22)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인접하는 쿠션재편(20a)의 한쪽의 측단면(26a)과 다른 쪽의 측단면(27a) 사이에, V자 형상의 공간(p1)이 형성된다. 링형상의 추진관용 쿠션재(20)이 추진시에 압축되었을 때, 쿠션재편(20a)은 둘레 방향으로도 부풀어 오르지만, 상기 V자 형상의 공간(p1)은 이 둘레 방향으로의 팽윤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이 형태의 쿠션재편(20a)에서는, 팽윤에 의해 쿠션재편끼리가 서로 밀어냄으로써 발생하는, 웨이브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L…추진관의 중심축선
10, 10A, 10B…추진관
11…칼라
12…추진관의 후단면
13…추진관의 전단면
20…링형상의 추진관용 쿠션재
20a…추진관용 쿠션재를 구성하는 쿠션재편
21…제1 측면
22…제2 측면
23…제1 측면의 외주연
24…제2 측면의 외주연
25…외주면
26, 27…좌우의 측단면
28…내주면
L…추진관의 중심축선
A…원통형의 추진관의 중심축선(L)으로부터 제1 측면의 외주연까지의 거리(곡률 반경)
B…원통형의 추진관의 중심축선(L)으로부터 제2 측면의 외주연까지의 거리(곡률 반경)
C…원통형의 추진관의 중심축선(L)으로부터 외주면의 중심축선(L)방향의 임의의 위치까지의 거리
D…추진관의 후단면에서의 중심축선(L)으로부터 칼라까지의 거리(곡률 반경)

Claims (5)

  1. 소정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 및 양 측면의 외주연(外周緣) 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을 구비하는 판 부재이고 또한 전체가 링 형상을 이루는 추진관용 쿠션재로서,
    링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의 외주연까지의 직경(곡률 반경)을 A, 상기 제2 측면의 외주연까지의 직경(곡률 반경)을 B, 상기 외주면의 축 방향의 임의 위치까지의 직경(곡률 반경)을 C로 하였을 때에, A≥B이고 또한 A>C이며,
    상기 추진관용 쿠션재는,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같은 형상의 복수의 쿠션재편으로 구성되고,
    각 쿠션재편은, 상기 A≥B이고 또한 A>C의 조건을 만족시키며,
    또, 각 쿠션재편은 양측 단면(端面)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체가 링 형상을 이루도록 각 쿠션재편을 추진관의 단면에 배치했을 때에, 인접하는 쿠션재편 사이에는 V자 형상의 공간(p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관용 쿠션재.
  2. 제1항에 있어서,
    A>B이고, 상기 외주면은 제1 측면의 외주연으로부터 제2 측면의 외주연으로 향하여 연속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관용 쿠션재.
  3. 추진관의 한쪽 끝측에 원통형의 칼라(collar)가 장착되어 있고, 그 칼라를 장착한 측의 단면(端面)에 상기 제1 측면이 접하도록 하여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추진관용 쿠션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진관.
  4. 삭제
  5. 삭제
KR1020127022619A 2010-02-24 2011-02-22 추진관용 쿠션재와 추진관 KR101441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8865A JP5280389B2 (ja) 2010-02-24 2010-02-24 推進管用クッション材と推進管
JPJP-P-2010-038865 2010-02-24
PCT/JP2011/053756 WO2011105342A1 (ja) 2010-02-24 2011-02-22 推進管用クッション材と推進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284A KR20120113284A (ko) 2012-10-12
KR101441775B1 true KR101441775B1 (ko) 2014-09-17

Family

ID=4450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619A KR101441775B1 (ko) 2010-02-24 2011-02-22 추진관용 쿠션재와 추진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280389B2 (ko)
KR (1) KR101441775B1 (ko)
CN (1) CN102770622B (ko)
SG (1) SG183300A1 (ko)
TW (1) TWI460345B (ko)
WO (1) WO2011105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25B1 (ko) * 2012-11-23 2013-07-19 고주영 추진공법용 추진관 및 이를 이용하여 설치된 지하관로
WO2016038602A1 (en) * 2014-09-10 2016-03-17 Mekorot Water Company, Ltd. Integrated jacking pipe
CN104728514B (zh) * 2015-04-02 2016-08-24 无锡市政设计研究院有限公司 顶管施工用橡胶衬垫及其应用
CN105065024A (zh) * 2015-08-09 2015-11-18 张璐 椭圆顶管设备
CN105065025A (zh) * 2015-08-09 2015-11-18 宋姝娴 圆头t形隧道挖掘机
CN105065022A (zh) * 2015-08-09 2015-11-18 刘玉燕 V字头挖掘设备
CN105065031A (zh) * 2015-08-09 2015-11-18 刘玉秋 双矩组合顶管设备
CN105003275A (zh) * 2015-08-09 2015-10-28 张永忠 异形顶管设备
CN113639097A (zh) * 2021-08-13 2021-11-12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曲线小半径微扰动管廊顶管施工工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0389A (ko) * 1987-12-07 1989-08-08 스즈끼 유끼오 추진력 전달 장치
JPH0882192A (ja) * 1994-09-06 1996-03-26 Shonan Sekisui Kogyo Kk コンクリート推進管用クッション材
KR960018316A (ko) * 1994-11-30 1996-06-17 안자키 사토루 추진매설용 강관 및 강관의 추진매설공법
JPH11141279A (ja) * 1997-11-12 1999-05-25 Musashino Kiko Kk 推進管のクッション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12585Y (zh) * 2008-04-22 2009-03-25 赵金松 顶管缓冲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0389A (ko) * 1987-12-07 1989-08-08 스즈끼 유끼오 추진력 전달 장치
JPH0882192A (ja) * 1994-09-06 1996-03-26 Shonan Sekisui Kogyo Kk コンクリート推進管用クッション材
KR960018316A (ko) * 1994-11-30 1996-06-17 안자키 사토루 추진매설용 강관 및 강관의 추진매설공법
JPH11141279A (ja) * 1997-11-12 1999-05-25 Musashino Kiko Kk 推進管のクッション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70622A (zh) 2012-11-07
SG183300A1 (en) 2012-09-27
JP2011174285A (ja) 2011-09-08
JP5280389B2 (ja) 2013-09-04
TWI460345B (zh) 2014-11-11
TW201200713A (en) 2012-01-01
WO2011105342A1 (ja) 2011-09-01
CN102770622B (zh) 2014-10-22
KR20120113284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775B1 (ko) 추진관용 쿠션재와 추진관
CN102656397B (zh) 用于管连接器的系统及方法
US2769648A (en) Reinforced t shaped seal for flanged pipe coupling
US3038743A (en) Flexible pipe coupling with hemispherical coupling elements
WO1988007644A1 (en) Flexible pipe coupling
JP4094609B2 (ja) 管継手
US9551151B2 (en) Apparatus for coupling reinforcing bar using hydraulic pressure
US20070051419A1 (en) Duct
KR20000075397A (ko) 내진성과 밀봉성을 향상시킨 관이음매
JP2003202093A (ja) 鞘管推進工法における耐震管継手
JP2011032632A (ja) 管推進敷設工法用推進力伝達装置
JP3110009U (ja) ホース継手および該ホース継手の締付構造
JP2001262980A (ja) 緩衝材挿入型継手
JP6274920B2 (ja) スプレッダー
JP4773404B2 (ja) 覆工の構築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固定装置
JP3663511B2 (ja) 管継手のシール構造
CN211624521U (zh) 一种管路用快速接头
KR101216443B1 (ko) 콘크리트 추진관 제조방법
KR200458177Y1 (ko) 하수관 파이프
CN217233527U (zh) 一种注浆快速接头
KR101997716B1 (ko)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CN216078752U (zh) 一种带直边段无缝螺旋波纹管
KR102333851B1 (ko) 관연결장치용 그립링
JP4718310B2 (ja)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JP2005105758A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