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722B1 -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 Google Patents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722B1
KR101439722B1 KR1020127027335A KR20127027335A KR101439722B1 KR 101439722 B1 KR101439722 B1 KR 101439722B1 KR 1020127027335 A KR1020127027335 A KR 1020127027335A KR 20127027335 A KR20127027335 A KR 20127027335A KR 101439722 B1 KR101439722 B1 KR 10143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iston rod
cylinder
dra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557A (ko
Inventor
모토히코 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1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91Drawer movement damping
    • A47B2210/0094Drawer damping device with 2 relatively movable parts to convert kinetic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s, e.g. cabinets

Abstract

케이스(1)에 배치한 후크(2)와 부세부재(5) 및 제동수단(3)을 갖는 인입본체(6)와, 이동체 측에 부설되는 돌출부(9)를 구비하고, 후크(2)가 돌출부(9)와의 결합 상태에서 이동체(8)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인입자세와, 결합해제 상태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되는 대기자세로 전환되는 인입장치에 있어서, 제동수단(3)은 실린더(30) 및 피스톤 로드(32)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댐퍼로 구성되고, 실린더(30) 및 피스톤 로드(32) 중 어느 한쪽을 케이스(1)에 고정하고, 다른 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고, 또한 선단 측에 후크(2)를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 후크(2)는 피스톤 로드(32)가 들어가서 돌출 치수를 줄인 상태로 돌출부(9)와 결합해제되는 대기자세로 되고, 피스톤 로드(32)가 돌출 치수를 증대시킬 때에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DRAWER DEVICE AND DRAWER MAIN BODY EMPLOYING SAME}
본 발명은 프레임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 조작을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돕는 인입장치 중, 특히, 제동수단에 의해 이동체가 급속히 이동하지 않도록 제동할 수 있는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에 관한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案內具)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서랍 안내구는, 서랍이 수납되는 케이스 등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0)과, 서랍에 연결되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가동레일(20)을 구비하고, 가동레일(20)은 서랍을 열림 방향으로 인출하였을 때에는, 열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서랍을 닫힘 방향으로 밀어냈을 때에는, 닫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가동레일(20)에는, 돌출부(돌출편)(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서랍 안내구는 케이싱(40), 케이싱(40)에 배치된 후크(hook)(받침구)(50), 밀어붙임 스프링(60), 및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30)를 갖고 있다. 쇼크업소버(30)는 제동수단이며, 케이싱(40)에 고정된 실린더(31) 및 피스톤 로드(33)로 이루어진다. 케이싱(40)은 직선홈(41a) 및 직선홈(41a)의 단부(端部)를 굴곡시킨 걸림홈(41b)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홈(41)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50)는 가이드홈(41)에 끼워 맞추는 돌기(51a, 51b)와, 돌출부(21)와 착탈되는 오목부(52)와 결합부(53)를 갖는다. 그리고, 후크(50)의 결합부(53)에는, 쇼크업소버(30)의 피스톤 로드(33)의 선단부(先端部)에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 밀어붙임 스프링(60)은 인장 스프링이고, 일단이 후크(50)의 대응부(對應部)에 걸려지고, 타단이 부동(不動) 상태로 걸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는 이동체인 서랍의 닫힘 조작에 의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1)를 서랍 안내구의 후크(50)로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러면, 돌출부(21)는 오목부(52)의 뒤쪽과 닿아서 후크(50)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을 따라 오목부(52)와 결합된다. 후크(50)는 그 회동에 의해 돌기(51b)가 걸림홈(41b)으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직선홈(41a)과 끼워 맞춰지고, 대기자세로부터 인입자세로 전환된다. 이 구조에서는, 후크(50)가 인입자세로 되면, 서랍측의 돌출부(21)와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c)과 같이 밀어붙임 스프링(60)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케이싱(40)의 뒤쪽 즉, 이동체를 닫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서랍을 인입(引入)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서랍의 열림 조작에 의해, 돌출부(21)가 후크(50)와 함께 케이싱(40)의 앞쪽으로 슬라이딩되어, 밀어붙임 스프링(60)에 밀어붙이는 힘을 축적한다. 서랍이 더 열림 조작되면, 후크(50)는, 돌기(51b)가 직선홈(41a)으로부터 걸림홈(41b)으로 이동되어 결합되어서 도 11(b)의 대기자세로 전환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서랍용 폐지(閉止)장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와는 달리, 장치 본체가 서랍에 장착됨과 함께, 서랍의 이동 도중에 장치 본체의 후크(피벗회동레버)와 착탈되는 돌출부(돌기)(21)가 케이스의 수납공간측에 부설(付設)되어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 2005-230468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6-33941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서랍용 폐지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이동체(서랍)가 닫힘 조작될 때에, 도중(途中)으로부터 밀어붙임 스프링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최종의 닫힘 위치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체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로 되지 않는 상황의 발생을 확실히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에서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서랍용 폐지장치에 비해, 제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고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에서는, 안내구 본체가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부설되어 있으므로 이동체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볼품이 나쁘지 않게 되고, 또한, 안내구 본체가 파손되기 어렵다.즉,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서랍용 폐지장치에는, 밀어붙임 스프링으로서 압축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지만, 장치 자체가 이동체의 측면에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볼품이 나쁘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서랍용 폐지장치에는, 이동체의 이동속도를 제동하기 위해서는, 피스톤 댐퍼 등을 별도로 조립하지 않으면 안 되고, 돌출부(돌기)가 케이스 내의 출입구와 가까운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동체를 제외하여 청소 등을 하는 경우에 방해가 된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안내구는 밀어붙이는 힘에 의한 인입량을 유지하면서, 보다 경박단소(輕薄短小)인 것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케이스의 수납공간도 극히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에서는,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크업소버(30)에서의 피스톤 로드(33)의 실린더(31)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에서 후크(50)가 인입자세를 유지하여 인입을 완료하고,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33)가 이동체의 열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밀어붙임 스프링(60)에 밀어붙이는 힘이 축적되어, 후크(50)가 돌출부(21)와 결합해제되어 대기자세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이 안내구에서는, 돌출부(21)가 이동체의 배면(背面)에 부설된 예로 설명하면, 이동체가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50) 및 밀어붙임 스프링(60)에 의해 최종까지 인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수납공간으로서는 후크(50)의 후방, 즉 도 11(c)의 좌측에 후크(50)와 케이싱의 후단(도 11(c)의 좌측)과의 사이의 치수분 만큼 필요하게 되어 케이스의 소형화가 희생되게 된다. 또한, 돌출부(21)를 서랍의 케이스에 설치하면, 이동체인 서랍의 측면으로부터 후크(50)가 돌출하므로, 외관을 해침과 함께, 물건이 후크(50)에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체를 이동의 도중으로부터 밀어붙이는 힘으로 인입하는 인입장치로서, 특히, 밀어붙임 부재와 함께 제동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밀어붙이는 힘에 의한 이동체의 인입량을 유지하면서 장치 자체를 보다 경박단소화시킴으로써 프레임 측의 수납공간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인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1)∼(6)의 각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를 제공한다.
(1) 프레임 측에 부설되는 케이스에 배치한 후크와 밀어붙임 부재 및 제동수단을 갖는 인입본체와, 이동체 측에 부설되어 프레임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 도중에 상기 후크와 착탈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가 상기 돌출부와의 결합 상태에서 이동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인입자세와, 결합해제 상태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되는 대기자세로 전환되는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댐퍼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고, 다른 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고, 또한 선단 측에 상기 후크를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서의 상기 실린더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가 들어가서 돌출 치수를 줄인 상태로 상기 돌출부와 결합해제되는 상기 대기자세로 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상기 실린더에 대한 돌출 치수를 증대할 때에 상기 대기자세로부터 상기 인입자세로 전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피스톤 댐퍼란, 실린더 및 유압이나 공기 압력 등에 의해 실린더에 대하여 돌출 또는 몰입(沒入)됨으로써 실린더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치수를 변화시킬 수 있는 피스톤 로드를 갖고 있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쇼크업소버 혹은 유압장치 등이라고 칭해진다. 또한,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하고, 다른 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고」란, 예를 들면, 실린더를 케이스에 고정하고, 피스톤 로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는 구성뿐만 아니라,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를 케이스에 고정하고, 실린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케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서랍을 수납 가능한 케이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닫이문용 틀 본체 등도 포함된다. 이동체로서는 서랍 및 미닫이문 등이고, 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닫힘과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인입본체 및 돌출부는 케이스와 이동체에 대응하여 장착된다. 즉, 인입본체가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는, 대응하는 돌출부는 이동체에 장착되고, 돌출부가 케이스에 장착되는 경우는, 대응하는 인입본체는 이동체에 장착된다. 그리고, 인입본체 및 돌출부는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체가 소정의 이동 위치(예를 들면, 이동체가 서랍이면, 그 서랍을 케이스에 밀어넣는 도중의 특정 위치)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체는 밀어붙임 스프링에 축적된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케이스에 최종까지 수납되는 위치까지 인입된다.
(2) 또한,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밀어붙임 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댐퍼에 따라 배치됨과 함께, 일단이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상기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쪽에 걸려지고, 타단이 이동 불가능하게 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여기서, 압축 스프링이란, 예를 들면, 압축 내지는 밀리는 힘에 대하여 되돌아오려고 하는 탄성력을 일으키는 코일 스프링을 들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의 코일 형상은 통상의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추형, 장구형(鼓形) 등과 같이 코일 직경이 부분적으로 다른 형상도 포함한다.
(3) 또한,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 측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4) 또한,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 측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댐퍼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가이드축을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축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5) 또한, 상기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 측이 상기 피스톤 로드이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동축선상에 접속된 연장 로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6) 또한,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인입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인입본체.
본 발명은 상기 각 특징을 가짐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i) 상기 (1)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서랍용 폐지장치 등과는 달리, 인입본체가 프레임 측에 부설되어 있으므로, 이동체가 케이스에 대하여 열림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인입본체가 밖으로부터 보이기 어렵다. 또한, 상기 (1)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에서는, 인입본체가 밀어붙임 부재와 함께 제동수단으로서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댐퍼를 갖고 있으므로, 이동체의 이동 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제동할 수 있으므로 고급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에서는, 피스톤 댐퍼는 일반적으로 가늘고 길어서 케이스의 폭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를 도모하기 쉽다.
(ii) 또한, 상기 (1)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는 후크가 피스톤 로드의 몰입(沒入) 형태(실린더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가 설계에서 결정된 범위에서 가장 짧아진 상태)로 이동체측 돌출부와 결합을 해제하는 대기자세로 되어, 피스톤 로드의 돌출형태(돌출 치수를 설계에서 결정된 가장 증대된 상태)로 대기자세로부터 이동체측 돌출부와 결합하여 이동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인입자세로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돌출부를 이동체의 배면에 부설한 경우를 상정(想定)하면, 이동체가 돌출부와 결합하고 있는 후크 및 밀어붙임 부재에 의해 케이스의 최종 위치까지 인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수납공간으로서는 후크 또는 돌출부의 후방에 필요한 사공간(死空間, dead space)분 만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이동체의 배면측에 부설하는 경우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이동체 또는 이동체측 가동레일의 측면에 설치하는 구성에 비하여 외관적으로 뛰어나고, 또한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1)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는 이동체의 후방에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와 같이 이동체의 인출 시에 물건을 그 돌출부에 걸거나 외관을 해친다는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는 밀어붙임 부재로서 압축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청구항 1의 후크의 작동을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게 되고, 압축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의 기본 타입의 하나이므로 염가로 입수할 수 있고, 또한 코일 스프링이기 때문에 인입본체의 경박화(輕薄化)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는 상기 (2)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에서의 압축 스프링을 피스톤 댐퍼의 피스톤 로드의 외주에 배치함으로써, 밀어붙임 부재용의 배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인입본체를 보다 경박 소형화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피스톤 로드 선단 측을 프레임 측에 고정하고, 실린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4)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는 상기 (2)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에서의 피스톤 로드가 선단 측에 연결되어 피스톤 댐퍼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가이드축을 갖고, 압축 스프링을 그 가이드축의 외주에 배치하면, 밀어붙임 부재용의 배치 공간의 크기가 상기 (3)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보다 커지지만, 작동을 안정화하거나 조립도 간이화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피스톤 로드 선단 측을 프레임 측에 고정하고, 실린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5)의 특징을 갖는 인입장치는 예를 들면, 길이가 다른 연장 로드를 다종 준비하여 두어, 용도나 사양에 따라 최적의 길이의 것을 덧붙임으로써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a)는 케이스에 대한 인출체(8)의 인출기구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를 이용한 예에서의 인입 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구성도이다.
도 1(b)는 케이스에 대한 인출체(8)의 인출기구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를 이용한 예에서의 인입 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구성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의 인입본체(6)의 밀어붙이는 힘 축적 상태에서의 측면(10)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의 인입본체(6)의 밀어붙이는 힘 축적 상태에서의 측면(11)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c)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의 인입본체(6)의 인입 완료 상태에서의 측면(11)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나타내는 부호 「A」를 부여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1(a)에 나타내는 부호 「B」를 부여한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a)는 인입본체(6)의 케이스(1)를 단독의 부품으로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b)는 인입본체(6)의 케이스(1)를 단독으로 나타내고, 측면(10)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c)는 인입본체(6)의 케이스(1)를 단독으로 나타내고, 측면(11)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d)는 인입본체(6)의 케이스(1)를 단독으로 나타내고, 후단면(13) 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a)는 인입본체(6)가 구비하는 피스톤 댐퍼(3) 및 후크(2)와 압축 스프링(밀어붙임 부재)(5)을, 후크(2)의 대기자세에서의 측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인입본체(6)가 구비하는 피스톤 댐퍼(3) 및 후크(2)와 압축 스프링(밀어붙임 부재)(5)을, 후크(2)의 인입자세에서의 측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도 5(b)에 부호 「C」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모식 분해도이다.
도 6(b)는 도 5(b)에 부호 「C」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부분을 분해하여 도 6(a)와는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모식 분해도이다.
도 7(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본체(6A)의 밀어붙이는 힘 축적 상태에서의 측면(10)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본체(6A)의 밀어붙이는 힘 축적 상태에서의 측면(11)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c)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본체(6A)의 인입 완료 상태에서의 측면(11)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a)는 인입본체(6A)의 케이스(1A)를 단독의 부품으로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8(b)는 인입본체(6A)의 케이스(1A)를 단독으로 나타내고, 측면(10)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c)는 인입본체(6A)의 케이스(1A)를 단독으로 나타내고, 측면(11)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d)는 인입본체(6A)의 케이스(1A)를 단독으로 나타내고, 후단면(13) 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a)는 인입본체(6A)가 구비하는 피스톤 댐퍼(3) 및 후크(2)와 압축 스프링(밀어붙임 부재)(5)을 피스톤 로드(32)의 몰입 상태에서의 측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인입본체(6A)가 구비하는 피스톤 댐퍼(3) 및 후크(2)와 압축 스프링(밀어붙임 부재)(5)을 피스톤 로드(32)의 돌출 상태에서의 측면도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도 9(b)에 부호 「D」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부분의 모식 분해도이다.
도 10(b)는 도 9(b)에 부호 「E」를 부여하여 나타내는 부분의 모식 분해도이다.
도 11(a)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에서의 이동체측의 가동레일 및 프레임 측의 가이드레일의 관계도이다.
도 11(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에서의 인입본체가 후크의 대기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모식도이다.
도 11(c)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서랍 안내구에서의 인입본체가 후크의 인입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6(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를 나타내고, 도 7(a) 내지 도 10(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작도상 일부를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형태의 장치 특징, 제1 실시형태의 인입장치가 구비하는 인입본체(6), 제2 실시형태의 인입장치가 구비하는 인입본체(6A)의 순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각 형태의 장치 특징)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는 어느 쪽도, 예를 들면, 인출체(8)를 수납공간 내에 출입 가능하게 수납하는 케이스에서의 인출체(8)의 출입기구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인입장치는 인입본체(6, 6A)와, 피(被)결합수단(7)을 구비하고,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공간의 벽면 등에 장착된 가이드레일(9)을 따라 인출체(8)가 출입 가능한 케이스에 이용하는 경우는, 인입본체(6, 6A)는,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9) 또는 수납공간에 장착되고, 피결합수단(7)은, 예를 들면 인출체(8)에 장착된다. 또한, 인출체(8)는 이동체의 일례이며, 일반적으로 「서랍」이라고 칭해지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피결합수단(7)에서의 후술하는 돌출부재(7a)는 본 발명의 인입장치에서의 돌출부의 일례이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호 8a는 인출체(8)의 뒤쪽 부분을 나타내고, 8b는 상면, 8c는 측면, 8d는 배면, 8e는 측면(8c)에 첨설(添設)된 가이드 프레임, 8f는 가이드 프레임(8e)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9)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롤러이다. 가이드레일(9)은, 예를 들면 그 길이 방향이 수평으로 되도록 케이스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9)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종단면(縱端面))의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그 대략 ㄷ자 형상의 내측의 상면 및 하면에 롤러(8f)의 측면이 맞닿아 있다. 그리고, 롤러(8f)가 가이드레일(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인출체(8)가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안내구조는 케이스에서의 인출체(8)의 수납공간의 양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인출체(8)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롤러(8f)가 회전하면서 대응하는 가이드레일(9)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인출체(8)가 열림 방향 또는 닫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입본체(6, 6A)는 케이스에 장착된 가이드레일(9) 또는 수납공간의 소정 개소에 장착되는 케이스(1 또는 1A)와, 그 케이스(1 또는 1A)에 각각 배치된 후크(2)와 제동수단으로서 피스톤 댐퍼(3)와 밀어붙임 부재로서의 압축 스프링(4)을 갖고 있는 점, 피스톤 댐퍼(3)는 실린더(30) 및 피스톤 로드(32) 중 어느 한쪽을 케이스(1 또는 1A)측에 고정하고, 다른 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고, 또한 선단 측에 후크(2)를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고 있는 점, 후크(2)는 피스톤 로드(32)가 실린더(30)에 들어가서 돌출 치수를 줄인 상태에서, 피결합수단(7)을 구성하고 있는 돌출부재(7a)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인출체(8)의 이동이 불가능한 대기자세로 되고, 피스톤 로드(32)가 실린더(30)에 대한 돌출 치수가 증대된 상태에서는, 상기 대기자세로부터 돌출부재(7a)와 결합한 상태에서 인출체(8)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인입자세로 전환되는 점에서 같다.
이에 대하여, 피결합수단(7)은 돌출부재(7a)가 장착용 베이스(7b)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유지부재 및 밀어붙임 스프링 등을 통하여 대략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약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9-203620호 공보에서의 특히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난 것과 기구적으로 같기 때문에, 그 공보의 단락 0025∼0038을 참조한다. 이상의 피결합수단(7)은, 베이스(7b)가 인출체의 배면(8d)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돌출부재(7a)가 대응하는 측면(8c)으로부터 가이드레일(9)의 아래쪽 즉, 횡방향으로 돌출하여 배치된다. 물론, 피결합수단(7) 또는 돌출부재(7a)로서는, 인입본체(6, 6A)의 후크(2)와 착탈되는 것이면 좋고, 이외의 구조라도 상관없다.
(인입본체(6))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가 구비하는 인입본체(6)는 도 1(a) 내지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에 대하여 후크(2) 및 압축 스프링(5)을 피스톤 댐퍼(3)의 대응부에 각각 부설한 상태에서 각 부재를 일체로 하여 케이스(1) 내에 조립한 구성이다.
여기서, 케이스(1)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이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고, 측면(10, 11)과 전단면(前端面)(12)와 후단면(後端面)(13)과 상면(14)와 하면(15)을 갖고, 그 내측에는, 이러한 각 면으로 구획된 내부공간(16)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14)에서의 후단면(13) 부근에는, 위치결정편부(14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의 앞 부분 및 뒷 부분에는, 장착구멍(17a, 17b)이 측면(12, 1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내부공간(16)은 전단면(12) 측 및 후단면(13) 측에서 외부와 연통되어 있음과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면(10, 11)의 각각에 설치된 창이나 오목한 곳 등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한쪽의 측면(10)에는,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대략 중간으로부터 앞 방향으로 뻗어 있는 창(10c)과, 창(10c)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여 전단(前端)으로부터 후단(後端)의 약간 앞까지 직선 형상으로 절결되어 돌출부재(7a)를 내부공간(16)의 뒤쪽까지 도입 가능하게 하는 살빼기부(10b)와, 살빼기부(10b)의 뒤쪽 부분을 구성하여 돌출부재(7a)를 이동 안내하는 오목 형상의 가이드홈(10d)과, 가이드홈(10d)의 앞쪽을 하면 측까지 살빼기 한 하향(下向) 경사 형상의 도피홈(10e)과, 가이드홈(10d)의 뒤쪽을 대략 L자 형상으로 살빼기 한 탄성 부여용의 도피홈(10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10a는 측면(10)의 내면이다. 이 내면(10a)에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가이드홈(19)의 전단에 위치하고 또한 세로로 긴 오목 형상의 걸림부(10h)와, 후술하는 상하 2단(段)의 직선 형상의 가이드홈(18)및 가이드홈(19)로 대향하고 있는 오목한 상태의 가이드홈(18a) 및 가이드홈(19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0h)는 가이드홈(19a)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쪽의 측면(11)에는, 전후의 대략 중간으로부터 전단 앞의 개소를 살빼기 한 실린더 수용용 오목부(11b)와, 오목부(11b)의 위쪽을 구획하고 있는 리브(rib)(11e)와, 리브(11e)의 위쪽 및 측면(11)의 전후 중간으로부터 약간 뒤쪽의 부분을 살빼기 한 피스톤 로드 등의 수용용 오목부(11c)와, 오목부(11c)의 뒤쪽으로부터 후단(13)까지 절결한 직선 형상의 가이드홈(18)과, 오목부(11c)의 후단(11d)의 아래쪽에서 후단(13)까지 절결한 가이드홈(18)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가이드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11f는 오목부(11b)의 뒤쪽에 설치되어 오목부(11c)에 통하는 입구를 두르고 있는 쌍의 리브이다. 부호 11g는 오목부(11b)의 상하변(上下邊)에 대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빠짐방지용의 복수의 걸림돌기이다. 오목부(11c)의 후단(11d)은 상기 걸림부(10h)와 내부공간(16)을 개재하여 겹쳐져 있고, 가이드홈(19)의 앞 부분 즉, 아래쪽이 걸림부(11h)에 설정되어 있다. 이 걸림부(11h)는 후술하는 후크(2)의 돌기(24)를 걸림부(10h)와의 사이에 결합 규제한다. 또한, 부호 11a는 측면(11)의 내면이다. 또한, 케이스(1)는, 예를 들면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도 좋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본체 및 커버로 구성되어도 좋다.
피스톤 댐퍼(3)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기구 자체는 공지의 것(특히 인장식(引張式)의 것)이며, 실린더(30) 및 그 실린더(30)에 완만하게 출몰되는 피스톤 로드(32)를 갖는다. 실린더(30)의 출입구에는, 캡(31)이 장착되어 있다. 본 예의 피스톤 댐퍼(3)는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30)에 대하여 피스톤 로드(32)가 완만하게 출몰 구동한다. 또한, 이 대신에, 피스톤 댐퍼(3)는, 선단이 고정된 피스톤 로드(32)에 대하여 실린더(30)가 완만하게 구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연장 로드(35)가 피스톤 로드(32)에 접합되어, 그 연장 로드(35)에 후크(2)를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다.
연장 로드(35)는 피스톤 로드(32)의 선단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결합 내지는 다른 접합구조(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0(a)의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선단이 T형의 축부(軸部)(36)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에는, 압축 스프링(5)이 피스톤 로드(32)의 외주에 배치된다. 압축 스프링(5)은 동일 직경의 코일 권취 타입이며, 일단이 실린더측 캡(31)에 걸려지고, 타단이 연장 로드(35)의 접합부에 설치된 플랜지부(37)에 걸려진다.
후크(2)는 케이스(1)의 내부공간(16)에 수용되어 있고, 가이드홈(18, 19)을 따라 케이스(1)의 내부공간(16)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본 예의 후크(2)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선단 측에 형성되어 양 측면(20, 21)을 관통하고 있는 결합구멍(22)과, 한쪽의 측면에 형성되어 뒤쪽으로부터 결합구멍(22)에 통하고 있는 결합홈(23)과, 양 측면(20, 21)의 뒤쪽으로서 동축선상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돌기(24)와, 전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재(7a)를 착탈하는 오목부(25)를 갖고 있다. 또한, 양 측면(20, 21)에는, 오목부(25)를 구획하고 있는 전후 부분에 장출부(長出部)(20a, 20b 및 21a, 21b)가 설치되어 있다.결합홈(23)은 결합구멍(22)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고, 또한 뒤쪽의 홈 폭이 연장 로드(35)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돌기(24)는 도 2(b) 및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에 형성된 가이드홈(19) 및 가이드홈(19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또한 걸림부(11h) 및 걸림부(10h)에 위치 규제되어 걸려진다.
이상의 후크(2)는 연장 로드(35)의 선단축 측을 결합홈(23)에 끼워 맞추고, 또한 선단의 축부(36)를 결합구멍(22)에 결합함으로써, 연장 로드(35)에 대하여 축부(36)를 중심으로 소정각만큼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다. 이 소정각이란, 결합홈(23)의 홈 폭으로 하여 설정되고, 후크(2)가 돌출부재(7a)와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인입자세(도 2(c))와, 상기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되는 대기자세(도 2(b))로 전환 가능한 각도이다.
또한, 피스톤 댐퍼(3)는 이상과 같이 하여 압축 스프링(5), 연장 로드(35), 후크(2)를 조립한 상태로부터 케이스(1)에 조립되지만, 조립 순서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적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내는 조립 상태에 있어서, 실린더(30)는 오목부(11b)에 배치된 상태에서 복수의 걸림돌기(11g)로 고정 처리된다. 피스톤 로드(32) 및 압축 스프링(5)은 오목부(11c)로부터 후방측의 내부공간(16)을 향하여 돌출 가능하게 된다. 연장 로드의 축부(36)는 후크(2)의 결합구멍(22)으로부터 돌출한 양단(兩端)이 대응하는 가이드홈(18, 18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후크(2)는, 양 측면의 각 돌기(24)가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대응하는 가이드홈(19, 19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인입자세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11h) 및 걸림부(10h)에 결합되어 부동(不動) 상태로 걸려지는 대기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조립된다.
(사용예)
도 1(a) 및 도 1(b)는 이상의 인입장치를 인출체(8)의 인입에 적용한 일례이다. 이 배치에서는, 인입본체(6)가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9)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한 피결합수단(7)이 인출체(8)의 배면(8d)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인입본체(6)는 가이드레일(9)의 뒤쪽에 고착된다. 피결합수단(7)의 장착 베이스(7b)는, 돌출부재(7a)가 인입본체(6)의 살빼기부(10b)의 라인 및 가이드홈(10d)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인출체의 측면(8c)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위치 결정된다. 또한, 통상, 인입본체(6) 및 피결합수단(7)을 2조(組) 사용하여 인출체(8)를 인입하는 구성으로 되고, 이미 1조의 인입본체(6) 및 피결합수단(7)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인입본체(6) 및 피결합수단(7)에 대하여 좌우 대칭형으로 된다.
(작동)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인입장치의 작동을,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2(c),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1) 먼저, 인입본체(6)의 작동 특징은, 압축 스프링(5)이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붙이는 힘을 축적한 밀어붙이는 힘 축적 상태에서 후크(2)가 대기자세로 되고,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붙이는 힘을 해방한 밀어붙이는 힘 해방 상태에서 후크(2)가 인입자세로 된다. 밀어붙이는 힘 축적 상태에서, 피스톤 로드(32)는 실린더(30)에 들어가서 돌출량을 설계에서 결정된 최소까지 감소되어 있어, 후크(2)가 대기자세로 전환됨으로써 그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이 구조에서는, 상기 밀어붙이는 힘 축적 상태에서, 인출체(8)를 닫힘 방향 즉, 가이드레일(9)의 후방측으로 이동 조작하면, 돌출부재(7a)나 인입본체(6)의 살빼기부(10b) 및 가이드홈(10d)을 따라 이동하여, 후크(2)의 오목부(22)를 구획하고 있는 뒤쪽에 맞닿는다. 그러면, 후크(2)는 그 응력에 의해 축부(36)를 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회동에 의해 양측의 돌기(24)가 걸림부(11h) 및 걸림부(10h)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동시에 오목부(22)에 돌출부재(7a)를 구속한 상태로 압축 스프링(5)의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가이드홈(19, 19a)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인출체(8)는 그 이동에 의해 완전하게 밀어 넣어진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2) 인출체(8)를 다시 꺼내는 경우는 도 1(b) 및 도 2(c)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인출체(8)를 열림 방향으로 이동 조작한다. 그러면, 이 인입장치에서는, 후크(2)가 오목부(25)에 돌출부재(7a)를 결합하여 구속한 인입자세로, 각 돌기(24)가 대응하는 가이드홈(19, 19a)을 따라, 축부(36)의 양단이 대응하는 가이드홈(18, 18a)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이 슬라이딩 과정에서는, 피스톤 로드(32)가 실린더(30)에 들어가서 돌출량을 줄이고, 압축 스프링(5)이 압축되어 밀어붙이는 힘을 축적한다. 그 후, 후크(2)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기(24)가 가이드홈(19, 19a)으로부터 걸림부(11h, 11h)에 다다르면, 후크(2)가 돌출부재(7a)로부터 받는 응력에 의해 축부(36)를 지점으로 하여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인입자세로부터, 돌기(24)가 걸림부(11h) 및 걸림부(10h)와 결합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되는 대기자세로 전환된다.
(3) 따라서, 본 예의 인입장치는 예를 들면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체(8)가 돌출부재(7a)와 결합하여 있는 후크(2) 및 압축 스프링(5)에 의해 케이스의 수납공간의 최후방 측까지 인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케이스의 수납공간으로서 후크(2) 또는 돌출부재(7a)의 후방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케이스의 소형화 내지는 수납공간의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입본체(6)로서는, 케이스(1), 후크(2), 피스톤 댐퍼(3), 압축 스프링(5),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연장 로드(4)로 구성되기 때문에, 간단하고 용이하며, 염가로 실시할 수 있다는 점, 밀어붙임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인 압축 스프링(5)을 이용함과 함께, 압축 스프링(5)을 피스톤 댐퍼의 피스톤 로드(32)의 외주에 배치함으로써, 밀어붙임 부재용의 배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인입본체(6A))
도 7(a) 내지 도 10(b)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입장치가 구비하는 인입본체(6A)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설명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부재 및 작용적으로 같은 부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변경한 구성만을 명확히 하여 중복한 기재를 최대한 생략한다. 즉,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연장 로드(4) 및 압축 스프링(5)의 배치 구성이 변경됨과 함께, 케이스(1A)가 그 변경에 따라 폭 치수가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 로드(4)는 연결부(40)를 가져 피스톤 로드(32)의 선단에 결합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1 로드(41)와 연결부(40)에 입설(立設)되어 제1 로드(41)와 동축선상으로 뻗음과 함께, 선단을 T형의 축부(46)에 형성하고 있는 제2 로드(45)와, 연결부(4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로드(41)와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는 지지 로드(47)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제1 로드(41)는 도 10(a)와 같이 기단(基端) 측에 암형(雌型)의 결합 받침부(42)를 갖고, 결합 받침부(42)가 피스톤 로드(32)의 선단에 설치된 수형(雄型)의 결합축부(33)와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결합 받침부(42)는 오목부(43) 및 오목부(43)에 연통되어 있는 선단 측의 연통부(43a) 및 연통부(43a)의 상부 양내단면(兩內端面)에 돌출 설치된 빠짐방지용 돌기(44)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피스톤 로드(32)의 선단 측은 로드 선단에 직경이 작은 목부(首部)(33)와 직경이 큰 돌기부(34)를 순서대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32)는 결합 받침부(42)에 대하여, 돌기부(34)가 오목부(43)에 결합하고, 또한 목부(33)가 연통부(43a)에 돌기(44)를 통하여 고정되게 걸려진 상태로 연결된다.
제2 로드(45)는 제1 형태의 연장 로드(35)와 마찬가지로, 선단이 T형의 축부(46)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2)는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장 로드(45)의 선단축 측을 결합홈(23)에 끼워 맞추고, 또한 선단의 축부(46)를 결합구멍(22)에 결합함으로써, 연장 로드(45)에 대하여 축부(46)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각 만큼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다.
한편, 케이스(1A)는 상기 케이스(1)에 비하여 오목부(11b)의 위쪽을 구획하고 있는 리브(11e)와 오목부(11c) 중 리브(11e)의 상측연(上側緣)과의 사이의 공간(11i)이 넓게 확보되어 있는 점과, 공간(11i)에 설치된 빠짐방지용 역(逆)오목형상부(11j) 및 대향하고 있는 가이드돌기(11k)를 갖고 있다. 또한, 도 8(b)에 있어서, 부호 10j는 케이스(1A)의 측면(10)에 개구된 오목형상부(11j)를 형성하는 형(型) 빼기용 구멍(10j)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 로드(4)의 지지 로드(47)는 공간(11i)으로부터 오목부(11c)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압축 스프링(5)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붙이는 힘을 축적한 밀어붙이는 힘 축적 상태(후크(2)의 대기자세)로부터,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어붙이는 힘을 해방한 밀어붙이는 힘 해방 상태(후크(2)의 인입자세)로 되면, 연장 로드(4)와 함께 오목부(11c)로부터 내부공간(16)으로 향하여 이동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입장치 및 인입본체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각 실시형태를 참고로 하여 더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하다. 일례로서는, 연장 로드를 생략하여 후크를 피스톤 로드 선단 측에 피벗 지지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5월 7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특원 2010-107640)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1, 1A … 케이스
2 … 후크
3 … 피스톤 댐퍼
4 … 연장 로드
5 … 압축 스프링(밀어붙임 부재)
6, 6A … 인입본체
7 … 피결합수단
7a … 돌출부재(돌출부)
7b … 장착용 베이스
8 … 인출체(이동체)
8a … 뒤쪽 부분
8b … 표면
8c … 측면
8d … 배면
9 … 가이드레일
10, 11 … 측면
10a, 11a … 내면
11b, 11c … 오목한 곳
11d … 후단
10h, 11h … 걸림부
11e, 11f … 리브
12 … 전단면
13 … 후단면
14 … 상면
14a … 위치결정편부
15 … 하면
16 … 내부공간
17a, 17b … 장착구멍
18, 18a … 가이드홈
19, 19 a … 가이드홈
20 … 연결홈
21 … 결합구멍
22 … 오목부
23 … 돌기부
30 … 실린더
32 … 피스톤 로드
35 … 연장 로드
41 … 제1 로드
45 … 제2 로드
47 … 지지 로드

Claims (6)

  1. 프레임 측에 부설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배치한 후크와 밀어붙임 부재 및 제동수단을 갖는 인입본체와, 이동체 측에 부설되어 프레임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 도중에 상기 후크와 착탈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가 상기 돌출부와의 결합 상태에서 이동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인입자세와, 결합해제 상태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되는 대기자세로 전환되는 인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로 이루어지는 피스톤 댐퍼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어느 한쪽을 상기 프레임 측에 고정하고, 다른 쪽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고, 또한 선단(先端) 측에 상기 후크를 회동 가능하게 피벗 지지되어 있고,
    상기 후크는, 상기 피스톤 로드가 상기 실린더에 들어가서 돌출 치수를 줄인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와 결합해제되는 상기 대기자세로 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상기 실린더에 대한 돌출 치수를 증대하는 경우에 상기 대기자세로부터 상기 인입자세로 전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붙임 부재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댐퍼를 따라 배치됨과 함께, 일단이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상기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측에 걸려지고, 타단이 이동 불가능하게 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 측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 측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댐퍼와 평행하게 배치한 가이드축을 갖고 있음과 함께,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축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 중,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다른 쪽 측이 상기 피스톤 로드이며, 상기 피스톤 로드가 동축선상에 접속된 연장 로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입장치.
  6. 프레임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 조작을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돕는, 제1항에 기재된 인입장치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KR1020127027335A 2010-05-07 2011-04-28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KR101439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07640A JP5632645B2 (ja) 2010-05-07 2010-05-07 引込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引込本体
JPJP-P-2010-107640 2010-05-07
PCT/JP2011/060368 WO2011138924A1 (ja) 2010-05-07 2011-04-28 引込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引込本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557A KR20130014557A (ko) 2013-02-07
KR101439722B1 true KR101439722B1 (ko) 2014-09-12

Family

ID=4490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335A KR101439722B1 (ko) 2010-05-07 2011-04-28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51597B2 (ko)
EP (1) EP2567635B1 (ko)
JP (1) JP5632645B2 (ko)
KR (1) KR101439722B1 (ko)
CN (1) CN102892330B (ko)
MY (1) MY164664A (ko)
WO (1) WO20111389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9552B4 (de) * 2011-08-05 2015-04-30 Steelcase Werndl Ag Beschlagsystem zum Führen einer Verschlussklappe eines Möbelstücks sowie ein Möbelstück mit diesem
AT512306B1 (de) 2012-01-25 2013-07-15 Fulterer Gmbh Vorrichtung zur dämpfung der bewegung eines beweglich gelagerten bauteils
PL2807320T3 (pl) 2012-01-25 2018-08-31 Fulterer Ag & Co Kg Urządzenie wysuwające do co najmniej dwóch wysuwanych części mebla
AT512300B1 (de) 2012-01-25 2013-07-15 Fulterer Gmbh Vorrichtung zur dämpfung der bewegung eines beweglich gelagerten bauteils
AT512616B1 (de) * 2012-02-15 2017-05-15 Blum Gmbh Julius Möbel mit einer federbelasteten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AT512415B1 (de) * 2012-03-20 2013-08-15 Fulterer Gmbh Zuziehvorrichtung für ein beweglich gelagertes Möbelteil
KR101391247B1 (ko) * 2012-07-12 2014-05-02 박윤식 자동 폐쇄 장치
AT513329A1 (de) * 2012-08-31 2014-03-15 Blum Gmbh Julius Vorrichtung zum Einziehen oder Ausstoßen eines beweglich gelagerten Möbelteils
ITMI20121718A1 (it) * 2012-10-12 2014-04-13 Salice Arturo Spa Mobile con almeno un cassetto o simile
PL2980344T3 (pl) * 2013-04-15 2017-10-31 Zhongshan Opike Hardware Product Co Ltd Amortyzujące, zapobiegające podskakiwaniu urządzenie górnego koła z podwójną rurą
CN103498612A (zh) * 2013-09-30 2014-01-08 平湖信达电子塑业有限公司 淋浴房用拉门缓冲机构
CN103653895B (zh) * 2013-11-29 2015-12-16 苏州升德精密电气有限公司 一种易拉取式自动回归装置
DE202014101503U1 (de) * 2014-03-31 2015-07-06 Gras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wegungsdämpfung
DE102014118087B4 (de) * 2014-12-08 2020-12-17 Paul Hettich Gmbh & Co. Kg Führungsvorrichtung für linear bewegbare Möbelbauteile
DE102015003414B3 (de) * 2015-03-17 2016-06-16 Günther Zimmer Kombinierte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mit Überlastschutz
KR101742643B1 (ko) 2015-05-19 2017-06-07 (주)세고스 슬라이드 장치
WO2016186288A1 (ko) * 2015-05-19 2016-11-24 (주)세고스 슬라이드 장치
DE202015005844U1 (de) * 2015-08-21 2016-11-23 Grass Gmbh Vorrichtung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AT517603B1 (de) * 2015-11-20 2017-03-15 Blum Gmbh Julius Einzu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WO2017192112A1 (en) * 2016-06-30 2017-11-09 Rollmech Automotive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Sliding door stopper
GB2567338B (en) * 2016-07-29 2022-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Cooker and kitchen furniture item equipped with cooker
EP3300628A1 (de) * 2016-09-30 2018-04-04 USM Holding AG Einzugsvorrichtung für einen schubladenauszug
US10292494B1 (en) * 2017-07-03 2019-05-21 Nan Jeun International Co., Ltd. Slide rail self-return mechanism
JP6761830B2 (ja) * 2018-04-05 2020-09-30 株式会社サヌキ 緩衝装置
JP2021536540A (ja) * 2018-09-06 2021-12-27 テルノ・スコレヴォリ・エスピーエー・ユニペルソナレ スライド式パネルおよびドアのための衝撃吸収制動装置
KR20210004644A (ko) * 2019-07-05 2021-01-13 (주)세고스 슬라이드 장치
CN111566303A (zh) * 2020-04-17 2020-08-21 佛山市爱迪尔卫浴有限公司 柔和定位的淋浴门滑动机构
KR102519537B1 (ko) * 2022-06-07 2023-04-10 주식회사 미맥스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KR102557463B1 (ko) * 2023-02-01 2023-07-19 주식회사 미맥스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에 장착되는 댐퍼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281A (ja) 2007-03-16 2008-10-02 Shigeo Ono 引出の摺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1334B (de) 1990-07-31 1996-08-26 Blum Gmbh Julius Schliessvorrichtung für schubladen
US5207781A (en) * 1989-04-03 1993-05-04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Closing device for moving a drawer to a fully inserted position within a furniture body
AT401717B (de) * 1993-06-23 1996-11-25 Blum Gmbh Julius Schliessvorrichtung für schubladen
ITMC20030144A1 (it) * 2003-12-05 2005-06-06 Compagnucci Spa Ora Compagnucci Ho Lding Spa Dispositivo per la chiusura automatica ed ammortizzata dei cassetti e delle strutture estraibili per mobili.
JP4436154B2 (ja) 2004-02-23 2010-03-24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抽斗案内具及び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4806609B2 (ja) * 2005-11-21 2011-11-02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引き込みユニット
EP1817983A1 (de) * 2006-02-13 2007-08-15 Grass GmbH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r Bewegung von relativ zueinander bewegbaren Möbelteilen und Schubladenführun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6019351B4 (de) * 2006-04-24 2008-08-28 Zimmer, Günther Führungssystem mit Beschleunigungs- und Verzögerungsvorrichtung
TWM302606U (en) * 2006-06-02 2006-12-11 Gslide Corp Automatic closing equipment for hidden drawer rail
JP3126876U (ja) * 2006-08-31 2006-11-09 振躍精密滑軌股▲分▼有限公司 スライドレールの閉鎖緩衝装置
US8132873B2 (en) * 2007-10-03 2012-03-13 Jui-Lien Yang Rail assembly
US7980640B2 (en) * 2007-11-08 2011-07-19 Jun-Long Yang Auto-return drawer rail
JP3139097U (ja) * 2007-11-15 2008-01-31 俊龍 楊 自動戻り式引き出し用レール
JP4936471B2 (ja) 2008-02-26 2012-05-23 株式会社ニフコ 引込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281A (ja) 2007-03-16 2008-10-02 Shigeo Ono 引出の摺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32645B2 (ja) 2014-11-26
EP2567635A1 (en) 2013-03-13
CN102892330B (zh) 2014-10-01
JP2011234828A (ja) 2011-11-24
US20130133157A1 (en) 2013-05-30
EP2567635B1 (en) 2017-09-06
EP2567635A4 (en) 2016-04-13
WO2011138924A1 (ja) 2011-11-10
KR20130014557A (ko) 2013-02-07
CN102892330A (zh) 2013-01-23
MY164664A (en) 2018-01-30
US8651597B2 (en)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722B1 (ko) 인입장치 및 그것에 사용되는 인입본체
KR101409045B1 (ko) 슬라이딩 보조장치
CN107847047B (zh) 滑动装置
US6799817B1 (en) Auto-locking structure of a sliding track assembly for drawer
US11940207B2 (en) Drawe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0150863A1 (ja) 摺動補助機構及び引込ユニット
JP2011196015A (ja) 摺動補助装置
KR101810445B1 (ko)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20190119784A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KR101387947B1 (ko) 서랍 자동폐쇄장치
KR20110018712A (ko)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JP2004236973A (ja) 引き込み機能付スライドレール
KR20210004644A (ko) 슬라이드 장치
KR101724644B1 (ko) 슬라이드 장치
JP4936471B2 (ja) 引込機構
JP2014004330A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JP2005337681A (ja) 冷蔵庫扉のハンドル
JP5628958B2 (ja) 摺動補助機構
JP2008190166A (ja) プッシュラッチ装置
JP5653742B2 (ja) 開閉体閉止装置
JP5909409B2 (ja) 位置調整装置
JP2014226944A (ja) シート巻取装置の取付部構造
JP2011127416A (ja) 摺動補助機構及び戸首付き引戸
JP2007224533A (ja) 引出しのラッチ作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