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437B1 -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 Google Patents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437B1
KR101439437B1 KR1020120137736A KR20120137736A KR101439437B1 KR 101439437 B1 KR101439437 B1 KR 101439437B1 KR 1020120137736 A KR1020120137736 A KR 1020120137736A KR 20120137736 A KR20120137736 A KR 20120137736A KR 101439437 B1 KR101439437 B1 KR 101439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x
door trim
pai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893A (ko
Inventor
김해탁
박성권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4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트림 손잡이 부근에 박스형 부재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박스형 부재에서 터치방식으로 진입 진출되는 미니 테이블을 마련되게 함으로써, 주행하는 차량 내부에서 탑승자가 소지한 물품들을 미니 테이블에 올려 놓은 채, 탑승자의 편리한 소임을 수행하고 하고자 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The Receipt Mini-Table For Door Trim}
본 발명은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트림 손잡이 부근에 내설된 박스형 부재를 통해 터치 방식으로 진출되는 미니 테이블을 펼쳐 편의성 물품들을 올려놓은 상태로 주행하는 차량 내에서 물품을 활용하고자 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도어트림에 단순히 손잡이만을 부가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를 이루기 위함과 도어 내부를 커버하여 미관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만 도어트림을 부착하다 보니, 탑승자가 편의성 물품을 활용시, 물품을 직접 손으로 잡고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도어트림 겉면에 연결된 절첩식 테이블을 펼친 후, 물품을 올려놓고 이 물품을 이용하지만, 도어트림 겉면에 절첩식 테이블이 연결됨에 따라 미관을 훼손하는 요인이 되고, 또한 도어를 개폐시, 닫히는 충격압에 의해 테이블과 도어트림 간의 충돌에 따른 소음 발생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한편, 종래 제안된 기술로서, 특허출원 제1997-0038709호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 기술은 개폐 가능한 구성의 암레스트와 그 하부의 포켓에 의하여 소정의 공간이 도어트림 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작업대가 탑승자 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장착되도록 구성됨에 의해 테이블을 꺼내어 탑승자 소기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 또한 외부로 작업대가 노출되어 있어 차량 내부 미관을 훼손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작업대를 열고 닫는 소음 발생이 여전하다.
특허출원 제10-1997-0038709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은, 도어트림 내부로 절첩식 테이블을 터치 방식으로 밀어 넣은 다음, 물품을 활용하고자 할 때에만 도어트림에서 테이블을 꺼내어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 활용 이외에는 도어트림 내부로 테이블이 수납되어 도어트림의 미관을 제공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또한, 주행하는 차량 내에서 탑승자로 하여금 물품 활용시,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용 테이블을 터치 방식으로 도어트림에서 꺼내어 펼침 가능함에 따라 물품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은,
도어트림에 내설되어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을 터치 방식으로 슬라이딩 개폐하는 박스형 부재;
상기 박스형 부재에서 터치 방식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며 개폐되는 수납용 테이블;
을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형 부재는,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을 내부로 삽입하여 슬라이딩 하기 위한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
상기 삽입홈 좌우측에 연속 형성되어 상기 수납용 테이블의 좌우 연결대를 포함한 탈착구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하기 위한 가이드홈조;
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조는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 진입시, 탈착구가 제1 스프링 탄성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며 걸림을 이룰 수 있는 공간부를 더 마련하되,
제3 스프링 탄성에 의해 탈착구 후퇴 방향에서 탈착구 걸림을 이루게 하는 공간부 후방향에 형성된 제1 단턱부;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 진출시, 탈착구 전진 방향에서 탈착구를 유연히 오므리게 하는 공간부 전방향에 형성된 라운딩부;
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조는,
공간부의 라운딩부 끝지점에서 더 이상의 탈착구 진입을 위하여 연장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걸림구의 가이드돌출부를 안내하는 상하면에 형성된 확장안내홈;
걸림구 후퇴시 걸림구의 걸림과 동시 걸림구에 체결된 탈착구가 제3 스프링 탄성에 의해 걸림구로부터 탈거됨을 이루도록 상기 확장안내홈 후방에 형성된 제2 단턱부;
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내부에 삽입된 걸림구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확장부와 걸림구 사이에 인장스프링이 개재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납용 테이블은,
절첩을 이루는 제1테이블과 제2테이블로 구성됨을 포하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테이블은,
좌우에 일체되어 박스형 부재의 가이드홈조를 따라 진입 또는 진출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 단부에 수직으로 일체된 수직대;
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대 내측에 마련되어 박스형 부재의 공간부 진입시, 연결대 벌림을 유도하며 공간부에서 한쌍의 탈착구에 탄성을 제공하여 탈착구 벌림을 이루게 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수직대 상하단으로 삽입되어 공간부에서 제1 스프링 탄성에 의해 벌어지며 공간부의 제1 단턱부에 걸림을 이루게 되는 한쌍의 탈착구;
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구는
박스형 부재의 공간부에 형성된 라운딩부를 따라 유연한 오므림을 이루도록 선단부에 라운딩부를 형성하고, 걸림구와 체결시 한쌍의 탈착구 사이에 개재되어 탈착구의 상하부 방향 오므림과 동시 벌림을 유도하는 제2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은, 도어트림 내에서 터치 방식으로 수납용 테이블을 꺼내어 펼쳐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 이용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물품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트림 내부로 테이블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트림의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트림에 장착된 수납용 미니 테이블의 이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용 미니 테이블의 개폐 구현을 보이기 위한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형 부재 내에서 수납용 미니 테이블의 폐쇄 작동을 보이기 위한 횡으로 단면 처리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형 부재 내에서 수납용 미니 테이블의 개구 작동을 보이기 위한 종으로 단면 처리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트림(10) 손잡이 부근의 내부에 설치된 박스형 부재(30)와, 상기 박스형 부재에서 터치 방식으로 진출되어 펼쳐진 상태로 책, 음식물, 휴대폰 등의 물품들을 올려 놓은 채, 이용할 수 있는 테이블(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테이블(20)은 절첩 가능한 제1 테이블(20a)과, 제2 테이블(20b)로 구성되되, 박스형 부재(30)로 수납시에는 상기 제1 테이블(20a)과 제2 테이블(20b)이 접혀진 상태로 수납됨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1 테이블(20a)에는 좌우로 연결대(21)가 일체되고, 상기 연결대(21) 단부에 수직대(22)가 일체되며, 상기 수직대(22) 내측으로는 제1 스프링(22a)이 연결되고, 수직대(22) 상하부에 대칭된 탈착구(23)가 마련된다.
여기서, 탈착구(23)는 수직대(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부에 구멍(23b)을 형성한 연장편(23a)을 형성하며, 박스형 부재(30)로 수납될 시, 전방에 라운딩부(23c)를 형성하고, 대칭된 탈착구(23) 사이로 개재되는 한쌍의 제2 스프링(23d)을 마련하게 된다.
아울러, 제1 테이블(20a) 중앙에는 제3 스프링(24)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박스형 부재(30) 내부에 형성된 중앙홀(미도시) 끝단에 연결된다.
한편, 박스형 부재(30)는 접혀진 테이블(20)의 수납을 위한 삽입홈(3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1) 좌우로 연속된 가이드홈조(32)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홈조(32)는 제1 테이블(20a)에 연결된 연결대(21)를 포함한 수직대(22), 제1 스프링(22a), 한쌍의 탈착구(23), 제2 스프링(23d)이 진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가이드홈조(32)를 따라 한쌍의 탈착구(23)를 포함한 연결대(21)가 진입될 경우, 테이블(20)이 박스형 부재(30)에 수납된 채 고정됨을 이룰 수 있도록, 박스형 부재(30) 내부의 가이드홈조(32)는 좌우로 공간부(32a)를 더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공간부(32a)는 테이블(20) 수납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제1 단턱부(32b)를 형성하고, 전방에 라운딩부(32c)를 형성하게 된다.
즉, 박스형 부재(30)의 가이드홈조(32)를 따라 한쌍의 탈착구(23)를 포함한 연결대(21)가 진입되다 진입의 완료시점에서, 제1 스프링(22a)의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해, 한쌍의 탈착구(23)는 공간부(32a)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공간부(32a)에 위치되어 공간부(32a) 후방에 형성된 제1 단턱부(32b)에 걸림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박스형 부재(30) 내부에 형성된 중앙홀(미도시)에 위치한 제3 스프링(24)의 테이블(20) 진출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해 한쌍의 탈착구(23)가 공간부(32a) 후방의 제1 단턱부(32b) 걸림을 이루게 된다.
한편, 가이드홈조(32)는 공간부(32a)를 포함하되, 공간부(32a) 전방에 형성된 확장부(33)를 더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확장부(33)는, 확장안내홈(33a)과 상기 확장안내홈(33a) 후방에 형성된 제2 단턱부(33b)를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확장부(33)는, 걸림구(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33)와 걸림구(40) 사이에는 인장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된다.
상기 걸림구(40)는 후방 일측부에 한쌍의 탈착구(23)를 삽입하기 위한 개방부(41)를 형성하고, 한쌍의 탈착구(23) 삽입 이후 상하부로 탈착구(23) 걸림을 이루기 위한 끼움공(42)을 상하면에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납용 미니 테이블은 도어트림에 삽입 설치된 박스형 부재에서 터치 방식으로 밀면서 진입 진출되며 개폐됨을 이룬다.
따라서, 테이블이 박스형 부재에서 진입 진출되며 개폐됨을 이룰 때에 박스형 부재 내에서 테이블의 걸림 및 걸림 해제 구현을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테이블을 박스형 부재로 진입시켜 수납된 테이블이 박스형 부재 내부에서 고정됨을 이루는 작동부분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펼쳐진 제1 테이블(20a)과 제2 테이블(20b)을 포갠 후, 테이블(20)을 박스형 부재(30) 내부로 수납될 수 있게 제1 테이블(20a)을 민다.
이때 제1 테이블(20a) 중앙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박스형 부재(30) 내부의 중앙홀(미도시)에 연결된 제3 스프링(24)에 의해, 탄성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테이블(20)이 박스형 부재(30) 내부로 수납된다.
즉, 제1 테이블(20a)의 좌우에 마련된 연결대(21)는 박스형 부재(30)의 좌우에 형성된 가이드홈조(32)를 따라 진입되고, 접혀진 테이블(20)은 상기 가이드홈조(32)와 연속된 삽입홈(31)을 따라 진입됨을 이룬다.
곧, 박스형 부재(30) 내부로 테이블(20) 진입이 완료될 시점에, 박스형 부재(30) 내부의 가이드홈조(32)에 형성된 공간부(32a)에서 제1 스프링(22a)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 스프링(22a) 탄성에 의해 연결대(21)와 일체된 수직대(22) 상하부에 마련된 한쌍의 탈착구(23)가 공간부(32a)를 향하여 벌어지며 공간부(32a) 진입을 이루게 된다.
또한 이때, 연결대(21)의 휨성도 한쌍의 탈착구(23)로 하여금 공간부(32a)로 벌어짐을 유도하게 된다.
탈착구(23)의 공간부(32a) 진입이 완료되면, 제1 테이블(20a)을 터치하여 밀고 있던 손을 놓게 되고, 손을 제1 테이블(20a)로부터 뗄 때에 제3 스프링(24) 탄성력에 의해 제1 테이블(20a)이 박스형 부재(30)로부터 진출되는 진입 역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탈착구(23)가 공간부(32a)의 제1 단턱부(32b)에 걸림되면서 고정되어 테이블(20) 고정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박스형 부재에 수납된 채, 고정된 테이블의 진출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박스형 부재(30)에 수납되어 고정된 제1 테이블(20a)을 터치하여 다시 밀면, 제3 스프링(24)의 탄성은 제1 테이블(20a)을 미는 손 힘에 의해 상쇄되면서 테이블(20)이 박스형 부재(30) 내부로 더 진입된다.
이때, 좌우에 마련된 한쌍의 탈착구(23)는 각 공간부(32a)의 라운딩부(32c)에 의해 유연히 오므라들면서 확장부(33)로 진입하게 된다.
곧, 각 확장부(33)에 마련된 걸림구(40)의 개방부(41)에 진입되는 한쌍의 탈착구(23)는, 상하방향 거리를 좁히면서 걸림구(40)의 개방부(41)로 진입됨을 이루게 된다.
곧, 걸림구(40) 개방부(41)로 진입 완료된 한쌍의 탈착구(23)는 제2 스프링(23d) 탄성에 의해 상하방향 거리를 다시 이격시키면서 걸림구(40) 상하면에 형성된 끼움공(42) 외부로 돌출되어 걸림구(40)와 체결됨을 이루다.
한쌍의 탈착구(23)가 걸림구(40)와 체결된 이후, 제1 테이블(20a)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제3 스프링(24) 탄성력에 의해 탈착구(23)는 박스형 부재(30)로부터 진입되는 역방향인 진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한쌍의 탈착구(23)와 체결된 걸림구(40) 역시 확장부(33)의 확장안내홈(33a)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걸림구(40)는 확장부(33)에서 공간부(32a)를 지날 때에 제1 스프링(22a) 탄성에 의해 공간부(32a)로 진입하려 하는 탈착구(23)의 벌어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확장부(33)의 확장안내홈(33a)을 따라 이동되는 걸림구(40)는 공간부(32a)를 지나면서 제2 단턱부(33b)에 의해 걸림될 때, 진출하려 하는 탈착구(23)가 걸림구(40)의 끼움공(42)에서 탈거되면서 걸림구(40)와 분리된다.
탈착구(23)와 분리된 걸림구(40)는 인장스프링에 의해 다시 원래대로 복귀된다.
즉, 이때 제3 스프링(24)은 걸림구(40)로부터 탈착구(23)를 탈거하는 힘과 인장스프링의 탄성 힘을 합친 힘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임을 알 수 있다.
곧, 걸림구(40)로부터 탈착구(23)의 탈거로 인하여 제3 스프링(24)의 탄성을 받고 있는 제1 테이블(20a)이 박스형 부재(30)의 삽입홈(31)에서 진출되고, 제1 테이블(20a)과 접힘을 이룬 제2 테이블(23d)을 펼침으로써, 미니 테이블이 탑승자 전방으로 노출되고, 펼침을 이룬 테이블(20)에 책, 화장품, 음식물, 휴대폰 등의 편의성 물품들을 올려놓고 편히 탑승자가 원하는 목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차량의 급제동시, 탑승자가 전방으로 쏠리며 테이블(20)과 충돌되면서 초래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고자 탑승자와 충돌될 수 있는 테이블(20) 길이에 따라 충격흡수용 고무층을 덧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트림
20 : 테이블
20a: 제1 테이블 20b : 제2 테이블
21 : 연결대 22 : 수직대
22a: 제1 스프링 23 : 탈착구
23a 연장편 23b: 구멍
23c: 라운딩부 23d: 제2 스프링
24 : 제3 스프링
30 : 박스형 부재
31 : 삽입홈 32 : 가이드홈조
32a: 공간부 32b: 제1 단턱부
32c: 라운딩부
33 : 확장부
33a: 확장안내홈 33b: 제2 단턱부
40 : 걸림구 41 : 개방부
42 : 끼움공

Claims (11)

  1. 도어트림에 내설되어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을 터치 방식으로 슬라이딩 개폐하는 박스형 부재와,
    상기 박스형 부재에서 터치 방식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며 개폐되는 수납용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형 부재는,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을 내부로 삽입하여 슬라이딩 하기 위한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
    상기 삽입홈 좌우측에 연속 형성되어 상기 수납용 테이블의 좌우 연결대를 포함한 탈착구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하기 위한 가이드홈조;
    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조는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 진입시, 탈착구가 제1 스프링 탄성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며 걸림을 이룰 수 있는 공간부를 더 마련하되,
    제3 스프링 탄성에 의해 탈착구 후퇴 방향에서 탈착구 걸림을 이루게 하는 공간부 후방향에 형성된 제1 단턱부;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 진출시, 탈착구 전진 방향에서 탈착구를 유연히 오므리게 하는 공간부 전방향에 형성된 라운딩부;
    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조는,
    공간부의 라운딩부 끝지점에서 더 이상의 탈착구 진입을 위하여 연장된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걸림구의 가이드돌출부를 안내하는 상하면에 형성된 확장안내홈;
    걸림구 후퇴시 걸림구의 걸림과 동시 걸림구에 체결된 탈착구가 제3 스프링 탄성에 의해 걸림구로부터 탈거됨을 이루도록 상기 확장안내홈 후방에 형성된 제2 단턱부;
    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내부에 삽입된 걸림구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7. 제5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확장부와 걸림구 사이에 인장스프링이 개재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8. 도어트림에 내설되어 접이된 수납용 테이블을 터치 방식으로 슬라이딩 개폐하는 박스형 부재와,
    상기 박스형 부재에서 터치 방식으로 진입 또는 진출하며 개폐되는 수납용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 테이블은 절첩을 이루는 제1 테이블과 제2 테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테이블은,
    좌우에 일체되어 박스형 부재의 가이드홈조를 따라 진입 또는 진출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 단부에 수직으로 일체된 수직대;
    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 내측에 마련되어 박스형 부재의 공간부 진입시, 연결대 벌림을 유도하며 공간부에서 한쌍의 탈착구에 탄성을 제공하여 탈착구 벌림을 이루게 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수직대 상하단으로 삽입되어 공간부에서 제1 스프링 탄성에 의해 벌어지며 공간부의 제1 단턱부에 걸림을 이루게 되는 한쌍의 탈착구;
    를 더 포함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구는
    박스형 부재의 공간부에 형성된 라운딩부를 따라 유연한 오므림을 이루도록 선단부에 라운딩부를 형성하고, 걸림구와 체결시 한쌍의 탈착구 사이에 개재되어 탈착구의 상하부 방향 오므림과 동시 벌림을 유도하는 제2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도어트림 수납용 테이블.

KR1020120137736A 2012-11-30 2012-11-30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KR10143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36A KR101439437B1 (ko) 2012-11-30 2012-11-30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36A KR101439437B1 (ko) 2012-11-30 2012-11-30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93A KR20140069893A (ko) 2014-06-10
KR101439437B1 true KR101439437B1 (ko) 2014-09-12

Family

ID=5112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736A KR101439437B1 (ko) 2012-11-30 2012-11-30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2004B (zh) * 2020-03-26 2024-03-01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智能座舱侧部收纳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826A (ja) * 2003-10-21 2005-05-19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826A (ja) * 2003-10-21 2005-05-19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テ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93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4452B2 (ja) 車両の収納コンパートメントアセンブリ
US8196985B2 (en) Console assembly
JP4294623B2 (ja) 車両用収納装置
RU2696189C2 (ru) Система ящика для хранения (варианты),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отделения для хранения
US20090174209A1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support systems
MX2015000354A (es) Puerta corrediza para un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en una consola central del piso de un vehiculo.
WO2006086524A3 (en) Console storage enclosure
WO2004020245A3 (en)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CN107031516B (zh) 伸缩式可调挂钩总成
JP2010247625A (ja) 引出し装置
US20100088899A1 (en) Carabiner with folding utility knife
KR101439437B1 (ko) 도어트림 수납용 미니 테이블
KR101288892B1 (ko)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KR20130117903A (ko)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KR20160120367A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장치
KR20180048161A (ko) 차량용 네트 포켓 장치
JP2015063185A (ja) 車両のトレー構造
CN107650756B (zh) 杯托以及车辆
KR20140068666A (ko) 차량용 시트의 수납장치
KR101875434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JP585936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306569B2 (ja) 引き出し装置
KR20150068589A (ko) 자동차용 접이식 트레이
KR101584908B1 (ko) 차량용 시트백 포켓
DE102005043491B3 (de) Laderaumkantenschutz eines Kraftfahrze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