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040B1 - 차량의 거치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의 거치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040B1
KR101439040B1 KR1020130075168A KR20130075168A KR101439040B1 KR 101439040 B1 KR101439040 B1 KR 101439040B1 KR 1020130075168 A KR1020130075168 A KR 1020130075168A KR 20130075168 A KR20130075168 A KR 20130075168A KR 101439040 B1 KR101439040 B1 KR 10143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 unit
glove box
mounting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창
김주헌
송영욱
김성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05D11/084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the friction depending on direction of rotation or opening angle of the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글로브 박스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유닛과, 링크유닛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거치 슬롯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거치 플레이트와, 링크유닛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 락킹수단과, 거치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플레이트 락킹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거치 트레이{SUPPORT TRAY OF VEHICLE}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 공간 내 회동되는 거치 플레이트에 다양한 옵션 구성을 탈착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간단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가 마련된다.
이 글로브 박스는 통상적으로 조수석 앞쪽 공간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글로브 박스 내에는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홈이 형성되어 각종 물품들이 수납된다.
그러나 물품들을 글로브 박스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게 되면, 물품들이 수납부 내에서 요동치면서 수납부의 벽면에 심하게 부딪히게 되어 소음이 크게 발생되고, 물품들이 상호 심하게 부딪히면서 파손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차량의 글로브박스 트레이(특허공개공보 10-2002-0049529호)"가 참고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글로브 박스에는 글로브박스 트레이(10)의 수납부(16)에 다수의 가이드홈(16b,16b')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간막이(19a,19b)가 수납부(16)의 가이드홈(16b,16b')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16)에 수납되는 소형 물품의 길이에 맞게 수납부를 구획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은 칸막이를 통해 물품의 요동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컵과 같은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하거나, 노트북이나 탭북과 같은 IT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지 못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KR2002-0049529A
본 발명은 물품을 수납하는 용도 이외에도,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거치 트레이는, 글로브 박스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유닛; 상기 링크유닛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거치 슬롯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거치 플레이트; 상기 링크유닛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 락킹수단; 및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플레이트 락킹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하부에 상기 거치 슬롯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고, 내부에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홀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에 인접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마련되는 푸쉬부; 및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쉬부의 푸쉬 작동에 의해 상기 링크유닛에 대한 락킹을 해제하는 후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크 락킹수단은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의 내측부에 고정 설치되고, 외주연에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링크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링크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스위치부; 및 선단에 상기 링크 스위치부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한 걸림쇠가 형성되어, 상기 링크 스위치부의 이동시 상기 복수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락킹수단은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1 기어홈부; 상기 제 1 기어홈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링크유닛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기어홈부; 상기 거치 플레이트를 상기 링크유닛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기어홈부 및 상기 제 2 기어홈부 사이에서 중첩되게 위치되는 기어부; 및 상기 기어부에 연동되게 연결되어 상기 링크유닛에 대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고정을 해제하는 플레이트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크유닛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편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편의 기단은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의 내측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편의 선단에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회동축을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기단부에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가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의 외측 공간으로 턴 오버하여 회동되는 경우, 물품이 거치되도록 돌출되는 거치턱부가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거치 트레이에 따르면, 물품을 단순하게 수납하는 용도 이외에도, 컵을 거치하거나, 테이블로 사용하거나 또는 IT기기를 거치하는 등 차량 내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순 링크 구조로 회동되는 거치 플레이트에 다양한 옵션 구성(컵홀더, 미끄럼 방지패드...)의 탈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다른 차량과의 차별성을 두면서 적용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글로브 박스의 기능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글로브 박스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급변하는 시대의 트랜드에 맞추어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거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링크 락킹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락킹수단의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플레이트 락킹수단을 확대하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거치 플레이트와 홀더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턴 오버 회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에 IT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를 글로브 박스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글로브 박스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글로브박스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거치 트레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거치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링크 락킹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락킹수단의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거치 트레이는, 링크유닛(100), 거치 플레이트(200), 링크 락킹수단(300), 플레이트 락킹수단(400) 및 홀더(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링크유닛(100)은 글로브 박스 공간(10)에 회동가능한 구조로,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양측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편(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링크편(110)의 기단은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내측부에 힌지축(120)을 매개로 연결되고, 한 쌍의 링크편(110)의 선단에는 거치 플레이트(200)가 회동축(220)을 매개로 힌지 연결된다. 이로써, 한 쌍의 링크편(110)은 글로브 박스 공간(1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거치 플레이트(200)는 한 쌍의 링크편(110)의 선단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유닛(10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20)에 마련되는 푸쉬부(610)와 푸쉬부(610)의 푸쉬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후크부(620)에 의해, 글로브 박스 공간(10)에 초기 락킹될 수 있다.
예컨대, 푸쉬부(610)는 글로브 박스 공간(10)에 인접한 인스트루먼트 패널(20)에 위치되고, 푸쉬 작동 후 위치 복원이 되도록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후크부(620)는 푸쉬부(610)의 푸쉬 작동에 연동되도록 글로브 박스 공간(10)에 입출 가능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링크유닛(100)에는 링크유닛(100)이 후크부(62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 후크부(6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락킹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부(620)가 링크유닛(100)의 락킹홈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쉬부(610)를 푸쉬하면, 글로브 박스 공간(10)으로 돌출된 상태의 후크부(62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후크부(620)에 의한 링크유닛(100)의 락킹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푸쉬부(610)를 푸쉬 해제하면, 푸쉬부(610)는 탄성부재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고, 후크부(620)는 글로브 박스 공간(10) 내로 다시 돌출될 수 있다.
이 링크유닛(100)의 회동 각도는 링크 락킹수단(300)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링크 락킹수단(300)은 외주연에 복수의 걸림홈(311)이 형성되어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내측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310)와, 탄성부재(미도시)로 지지되며 링크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링크유닛(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링크 스위치부(320)와, 링크 스위치부(320)의 이동시 복수의 걸림홈(31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걸림부(330)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부(330)의 선단에는 링크 스위치부(320)가 연결되고, 걸림부(330)의 타단에는 걸림홈(311)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한 걸림쇠(331)가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재(미도시)로 지지되어 있는 스위치부(320)를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링크유닛(100)이 글로브 박스 공간(10) 내에서 소정 각도로 회동가능하며, 당김을 해제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걸림부(330)의 걸림쇠(331)가 해당 높이에 대응되는 고정부(310)의 걸림홈(311)에 걸려 고정되므로, 링크유닛(100)은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로 글로브 박스 공간(10)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링크 스위치부(320)를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바깥방향으로 당기면, 걸림부(330)의 걸림쇠(331)가 걸림홈(311)에서 이탈되고, 이때, 링크유닛(100)은 글로브 박스 공간(10)에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위치부(320)를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외측방향으로 당긴 후, 당김을 해제하면 스위치부(3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별도의 탄성 부재 구성 없이도, 스위치부(320)를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외측방향으로 당기거나,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내측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링크유닛(100)을 일정 각도 회동한 상태로 글로브 박스 공간(10)에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거치 플레이트(200)는 링크유닛(100)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평판형의 선반 형태로 구성되고, 이 거치 플레이트(200)에는 복수의 거치 슬롯(210)이 격자 형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거치 슬롯(210)에는 물품의 수납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홀더(500)가 끼워 고정될 수 있다.
이 거치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는 플레이트 락킹수단(400)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플레이트 락킹수단을 확대하여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락킹수단(400)은 거치 플레이트(200)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1 기어홈부(410)와, 제 1 기어홈부(410)에 대응되는 링크유닛(100)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기어홈부(420)와, 제 1 기어홈부(410) 및 제 2 기어홈부(420) 사이에서 중첩되게 위치되는 기어부(430)와, 기어부(430)에 연동되게 연결되는 플레이트 스위치부(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어부(430)는 제 1 기어홈부(410) 및 제 2 기어홈부(420) 사이에서 중첩되게 위치하면, 거치 플레이트(200)를 링크유닛(100)에 고정할 수 있고, 제 1 기어홈부(410) 및 제 2 기어홈부(420) 중 어느 한 곳으로 위치하면, 링크유닛(100)에 대한 거치 플레이트(20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 스위치부(440)는 탄성스프링(미도시)를 매개로 링크유닛(100)에 설치되어, 푸쉬 작동시 제 1 기어홈부(410) 및 제 2 기어홈부(420) 사이에 중첩되게 위치한 기어부(430)를 이동시킬 수 있고, 푸쉬 해제시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제 1 기어홈부(410) 및 제 2 기어홈부(420) 사이에 중첩되도록 기어부(43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거치 플레이트(200)를 링크유닛(100)에서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플레이트 스위치부(440)를 푸쉬한 상태에서 거치 플레이트(200)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 플레이트(200)를 링크유닛(100)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플레이트 스위치부(440)의 푸쉬를 해제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거치 플레이트(200)를 링크유닛(10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거치 플레이트와 홀더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500)는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구성으로, 거치 플레이트(200)의 거치 슬롯(2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500)의 내부에는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520)이 형성되며, 홀더(500)의 하부에는 거치 슬롯(21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재(51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홀더(5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홀더(500)의 걸림부재(510)를 거치 플레이트(200)의 거치 슬롯(210)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홀더(500)의 수납공간(520)에 작고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컵 형태의 홀더(500)에 대하여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홀더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 포켓 형태의 홀더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의 턴 오버 회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에 IT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플레이트(200)에는 물품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턱부(230)가 형성된다.
즉, 이 거치턱부(230)는 거치 플레이트(200)의 기단부, 보다 자세하게는 거치 플레이트(200)의 후면 기단부에 형성된다. 거치 플레이트(200)가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외측 공간으로 턴 오버하여 회동되는 경우, 거치턱부(230)는 노트북이나 노트와 같은 물품이 거치 플레이트(2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 플레이트(200)를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외측 공간으로 턴 오버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거치 플레이트(200)의 거치턱부( 230)에 IT 기기(30)를 거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트레이를 글로브 박스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글로브 박스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 트레이를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상측부로 회동시켜, 거치 트레이의 하측에 공간을 마련하고, 이 공간에 별도로 제작된 글로브 박스 유닛(60)을 장착할 수 있다.
글로브 박스 유닛(60)은 종래 글로브 박스와 유사한 구조로, 조수석의 탑승자 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가 힌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품을 단순하게 수납하는 용도 이외에도, 컵을 수용하거나, 테이블로 사용하거나 또는 IT기기의 거치하는 등 차량 내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고, 링크 구조로 회동되는 거치 플레이트에 다양한 옵션 구성(컵홀더, 미끄럼 방지패드...)을 탈착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른 차량과의 차별성을 두면서 적용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글로브 박스의 기능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글로브 박스의 다양한 활용을 통해, 급변하는 시대의 트랜드에 맞추어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링크유닛 110 :링크편
200 :거치 플레이트 210 :거치 슬롯
300 :링크 락킹수단 310 :고정부
320 :링크 스위치부 330 :걸림부
400 :플레이트 락킹수단 410 :제 1 기어홈부
420 :제 2 기어홈부 430 :기어부
440 :플레이트 스위치부 500 :홀더
510 :걸림부재 520 :수납공간

Claims (7)

  1. 글로브 박스 공간(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유닛(100);
    상기 링크유닛(100)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거치 슬롯(210)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거치 플레이트(200);
    상기 링크유닛(1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 락킹수단(300); 및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플레이트 락킹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10)에 인접한 인스트루먼트 패널(20)에 마련되는 푸쉬부(610); 및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10)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쉬부(610)의 푸쉬 작동에 의해 상기 링크유닛(100)에 대한 락킹을 해제하는 후크부(6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거치 슬롯(210)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재(510)가 구비되고, 내부에 물품이 수용되는 수납공간(520)을 갖는 홀더(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 락킹수단(300)은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내측부에 고정 설치되고, 외주연에 복수의 걸림홈(311)이 형성되는 고정부(310);
    상기 링크유닛(100)의 상부에서 상기 링크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스위치부(320); 및
    선단에 상기 링크 스위치부(320)가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걸림홈(311)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한 걸림쇠(331)가 형성되어, 상기 링크 스위치부(320)의 이동시 상기 복수의 걸림홈(311)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걸림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락킹수단(400)은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1 기어홈부(410);
    상기 제 1 기어홈부(410)에 대응되도록 상기 링크유닛(100)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2 기어홈부(420);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를 상기 링크유닛(100)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기어홈부(410) 및 상기 제 2 기어홈부(420) 사이에서 중첩되게 위치되는 기어부(430); 및
    상기 기어부(430)에 연동되게 연결되어 상기 링크유닛(100)에 대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고정을 해제하는 플레이트 스위치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100)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링크편(11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링크편(110)의 기단은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내측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링크편(110)의 선단에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회동축(220)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의 기단부에는
    상기 거치 플레이트(200)가 상기 글로브 박스 공간(10)의 외측 공간으로 턴 오버하여 회동되는 경우, 물품이 거치되도록 돌출되는 거치턱부(23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거치 트레이.
KR1020130075168A 2013-06-28 2013-06-28 차량의 거치 트레이 KR10143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168A KR101439040B1 (ko) 2013-06-28 2013-06-28 차량의 거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168A KR101439040B1 (ko) 2013-06-28 2013-06-28 차량의 거치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040B1 true KR101439040B1 (ko) 2014-09-05

Family

ID=5175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168A KR101439040B1 (ko) 2013-06-28 2013-06-28 차량의 거치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0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74A (ja) * 1996-04-16 1998-01-0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車両内のテーブル構造
JP2003306056A (ja) * 2002-04-11 2003-10-28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アッ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74A (ja) * 1996-04-16 1998-01-0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車両内のテーブル構造
JP2003306056A (ja) * 2002-04-11 2003-10-28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アッセンブ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10853A (ja) 車両の収納コンパートメントアセンブリ
RU2380996C2 (ru) Мебель с извлекаемым контейнером в своем выдвижном ящике
JP2004058812A (ja) カップホルダー装置
RU2717110C2 (ru) Узел встроенной рабочей поверх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й зоны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мотор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WO2015057851A1 (en) Mobile device holder
KR101439040B1 (ko) 차량의 거치 트레이
JP5624749B2 (ja) 什器
US20090038515A1 (en) Portable shelf for automobiles
GB2554438B (en) Portable table having an angular positioning mechanism
JP2008037203A (ja) 蓋付き装置
KR200363813Y1 (ko) 독서대가 구비된 파일케이스
KR20180083508A (ko) 홀더
JP2003175756A (ja) 支持装置
JP5553664B2 (ja) 引き出し式物入れ
KR101434510B1 (ko) 스탠드형 수납장치
EP2684489A1 (en) Holder for a computer
CN108473098B (zh) 用于保持物品的装置
KR101403814B1 (ko)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
JP5815659B2 (ja) 什器
US9796315B1 (en) Container holding system
EP2773528A1 (en) Attachment system
JP5784102B2 (ja) 什器
WO2010082914A1 (en) Beverage holder for motorcycles
CA2282995C (en) Multi-size, multi-purpose drink container holder
JP5537907B2 (ja) 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