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339B1 - 멀티 클리너 - Google Patents

멀티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339B1
KR101438339B1 KR1020130164190A KR20130164190A KR101438339B1 KR 101438339 B1 KR101438339 B1 KR 101438339B1 KR 1020130164190 A KR1020130164190 A KR 1020130164190A KR 20130164190 A KR20130164190 A KR 20130164190A KR 101438339 B1 KR101438339 B1 KR 101438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ap
vacuum
cleaner
clean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호
Original Assignee
박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호 filed Critical 박중호
Priority to KR102013016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39B1/ko
Priority to US14/539,390 priority patent/US201501834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7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vehicle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 외면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10)에 설치되어 있는 솔 부재(12)가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세척이 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다시금 이물질 제거를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필요가 없도록 깨끗하게 세척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세척장치(10)에 세척 캡(30) 을 설치하여 손쉽고 간편한 자동차 휠 세척을 가능하게 하며, 세척 캡(30) 에 있는 제 2 결합 홈(36)에 진공 판(40) 및 먼지 집진기(42)와 흡입구(44), 흡입호수(46)를 설치하여 진공 청소기로써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멀티 클리너 {Multi cleaner}
본 발명은 멀티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계적으로 오염된 자동차 외면을 세척할 수 있는 장치에 채용되어 자동차 휠 세척용도로 쓰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 내부 진공상태를 이용한 진공청소기로서의 기능도 가능케 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 세차기는 센서로 인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브러시가 회전하면서 차량의 정면, 상면, 후면 및 측면을 세차하게 된다.
상기 세차기는 자동차의 바퀴 또는 휠 을 세척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았으나, 근래에 들어 자동세차장치에 일체로 휠 세척기가 구비되면서 자동차의 휠 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자동차 휠 세척기의 브러시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이나 때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오히려 깨끗하게 제거되지 못한 오염물질이나 때의 표면에 브러시 자국이 남아 미관을 더욱 해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자동세차기에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지 않는 브러시와 솔에는 이전에 세차를 하는 도중에 걸리는 흙, 모레, 미세먼지 등이 박혀 있고, 이들 브러시는 차량표면과의 빈번한 접촉으로 인하여 쉽게 마모되는 특성이 있으며, 고속으로 회전시 차량에 부딪혀 브러시의 섬유 가닥이 부러지는, 즉 손상이 되는 형상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브러시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된 부분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보수가 필요한 브러시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종래의 자동 세차기에는 광택기능이 없어 광택장치를 사용하거나, 전문가에게 맡기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광택장치는 무게가 10Kg내외의 중량으로써 비전문가인 일반인들이 광택을 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전문가에게 맡기면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인 진공 청소기는 어떤 타입을 불문하고 진공발생장치로 흡입력을 발생하여 먼지 및 오물 등을 흡입한 후 먼지필터를 이용하여 먼지 등을 수거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필터를 반드시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먼지필터에 먼지 등이 가득 차면, 먼지 등이 흡입되지 않으므로 먼지필터를 교환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먼지필터를 교환할 경우, 오염된 먼지필터를 사용자가 손으로 만지면서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청소기는 본체 부가 따로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집진장치를 포함하여 일체로 되어 있기에 부피가 크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 세척장치 및 진공청소기는 그들마다 제한된 용도로 쓰이는 것으로 따로 구입해야 한다면 이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늘 수 있고 수납공간이 많이 필요할 것이다.
공개번호 : 10-2012-0063899
본 발명은 서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상기 자동차 세척장치 및 진공 청소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다른 마감처리 없이 깨끗한 세척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차 세척장치의 부가적인 기능으로 인해 자동차 휠 세척 및 광택기능과 함께 진공청소기로서의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각 장치들끼리 탈, 착을 용이하게 하여 소모품의 교체 및 수납공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장치에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서 돌출되는 출력 축과, 상기 출력 축이 세척 바디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되고, 상기 출력 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설치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 위에 설치되는 솔 부재가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 세척장치가 기계적으로 오염된 자동차 외면 및 자동차 휠 세척의 기능을 제공하게 하였다.
또한, 세척 후 천으로 된 솔 부재 즉, 천 부재를 이용해 외면 광택기능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 부재로 자동차 휠 광택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자동차 세척장치는 모터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원판이 회전하여 원심력으로 이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동차 세척장치에 포함된 솔 부재가 일부분 필터역할을 하여 진공 청소기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부가적인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좀 더 손쉽게 자동차 휠 세척 및 광택 또는 진공 청소기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에 구비된 구동수단을 가진 자동차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솔 부재는 깨끗하게 제거되지 못한 오염물질이나 때의 표면에 브러시 자국이 남아 미관을 더욱 해치게 하는 일이 없도록 확실한 세척을 도모하였다.
또한, 상기 자동차 세척장치에 세척 캡과 같은 부가적인 장치를 설치하면 간편한 휠 세척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진공 청소기로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비위생적인 필터교체 타입이 아니라 먼지 집진기가 구비되어 위생적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자동 세차기에 함께 구비되지 않았던 광택기능을 일반인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한번에 다양한 장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부각된다.
또한, 각각 구성된 장치들의 결합부분에 있어서,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장치들의 수납 및 교체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멀티 클리너의 대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수단 및 구동기어의 B-"B"의 조립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멀티 클리너의 구동수단 및 세척 바디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멀티 클리너의 C-"C"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세척 바디와 구동수단의 조립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구동수단과 제 2 고정핀을 조립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인 구동수단의 제 2 고정핀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인 멀티 클리너에 조립하는 세척 캡 의 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과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 예에 고정나사가 결합하는 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조절나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진공 판 및 먼지 집진기를 조립하는 상태도.
도 15는 도 14에 흡입구 및 흡입호수를 조립하는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진공 패드 및 진공호스를 조립하는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와이어 고리를 조립하는 상태도.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고, 본 발명인 멀티 클리너에 관한 것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되,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멀티 클리너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이고,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멀티 클리너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멀티 클리너를 도시한 조립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멀티 클리너(10)는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멀티 클리너(10)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정방향,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구비된 구동수단(19)과 상기 구동수단(19)에서 돌출되는 출력 축(17)이 세척바디(16)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되고, 상기 출력 축(17)에 구동기어(18)가 설치됨과 함께 순차적으로 원판(14) 및 솔부재(1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19)은 멀티 클리너(10)에 장착하여 자동차 표면 세척 및 휠 세척 내지 광택기능을 하도록 하여도 되며, 독립된 상태로 구비하여 전동공구 대용 또는 기타작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솔 부재(12)는 천 소재 내지 돌기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세척 후 천 소재로 교체하여 광택작업에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멀티 클리너(10)는 독립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긴 손잡이를 부착하면, 차량의 본넷, 지붕, 트렁크 부위 및 일반 가정에서도 세척 및 광택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멀티 클리너(10)는 진공청소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세하게는 상기 멀티 클리너(10)에 포함된 솔부재(12)가 일정부분 필터역할을 하고, 상기 세척바디(16)에 천공 형성된 캡홈(90)에 먼지 집진기(42)를 결합하여 진공 청소기로 사용함에 있어서 문제가 없다. 먼지 집진기를 결합하지 않는 캡홈(90)은 캡(34)을 결합하여 내부공간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자동차 외면을 세척함에 캡 홈(90)을 막지 않고 방치시 사용자의 옷자락 또한 이물질이 삽입되어 장치의 오작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캡(34)을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세척바디의 내부공간의 노출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하였다.
상기 출력 축(17)에 설치된 구동기어(18)는 탈부착 가능하고 구동기어(18)에 설치된 원판(14)은 솔 부재(12)와 함께 회전된다. 또한, 상기 원판(14)과 솔 부재(12)는 탈부착 가능하여, 수납공간 및 교체 등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삭제
도 4 내지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의 결합부에 있어서,
각각의 장치들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여 수납공간 및 소모품 교체 등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고시켰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기어(18)의 상단에 내장되어 있는 제1고정핀(20)의 하단부에 스프링(24)이 개재되어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기어(18)에 제1고정핀(20)의 돌출된 부분이 원판(14)이 설치됨에 따라 아래로 들어가고, 원판(14)의 설치가 완료 후 제1고정핀(20)이 다시 돌출되어 회전하는 동안 그 지지대 역할을 해 장치가 가동중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하며, 상기 원판(14)과 구동기어(18)와 탈, 착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5 내지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수단(19)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제 2 고정핀(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수단(19)과 제2고정핀(22) 사이에 스프링(24)을 개재하여 제2고정핀(22)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세하게는 제2고정핀(22)은 세척 바디(16)에 형성된 핀 홈(80)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수단(19)과 세척바디(16)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며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2고정핀(22)의 결합에 있어서, 회전과 설치시 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세척바디(16)와 구동수단(19)이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도록 하여, 결합력이 높아지고 더불어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멀티 클리너(10)에 포함되는 세척바디(16)는 외면에 돌출된 제1결합부(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결합부(11)은 세척바디(16)에 세척캡(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 캡(30)은 일체형이 아니고, 중앙을 기점으로 둘로 분리되어있다.
또한 상기 세척 캡(30)을 세척 바디(16)에 결합함에 있어서, 볼트결합 내지 너트결합 또는 다른 형태의 결합으로 세척 바디(16)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척 캡(30)을 세척 바디(16)에 설치시 훨씬 안정감 있게 자동차 휠 광택 및 세척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손쉬운 휠 세척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척 캡(30) 외부에서 손쉽게 세정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세정제 투입구(70)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세척 캡(30) 내부는 세정제 수용공간 내지 광택을 위한 왁스 등의 광택제를 주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두는 것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 캡(30)의 세척제 투입구(70)는 패킹(32)과 캡(34)이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장치 가동중 세정제 튐 방지 및 내부노출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더불어 선택 사항으로 분사수단을 함께 구비하여도 될 것이며, 상기 세척 캡(30) 을 설치하지 않아도 자동차 휠 세척 및 광택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고, 이러한 부수적인 사항들은 필요에 따라 채택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세척 바디(16)에 설치되는 세척 캡(30) 은 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음은 물론, 세척 바디(16)를 완전히 감싸도록 하여 안정감 있는 휠 세척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척 캡(30)은 타이어와 지면이 닿는 위치영역과 대응되게 제 2 결합 홈(36)을 형성하여 상기 멀티 클리너(1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하여 지면에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손쉬운 휠 세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더불어 도 12 내지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휠 세척시 자동차 타이어와 결합한 세척 캡(30)에 내부의 회전으로 인한 흔들림 방지를 위한 조절나사(38)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34)는 조임 손잡이(60) 및 기어(62)와 조임 기둥(66), 조임 판(64)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조절나사(38)는 세척 캡(30) 에 설치하여 조임 손잡이(6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임 손잡이(60)와 맞물려 있는 기어(62)가 같이 회전되어 조임 기둥(66)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조임 기둥(66)과 함께 구비된 조임 판(64)으로 인해 상기 세척 캡 (30)과 자동차 단면부를 잡아주어 위치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휠 세척시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또한, 도 10 내지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들은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작다는 장점이 부각된다.
도 14 내지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진공 청소기로 이용함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10)에 세척 캡(30)을 설치함으로써, 부각되는 제2결합 홈(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 홈(22)에 진공 판(40)과 먼지 집진기(42)가 함께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결합 홈(22)에 진공 판(40)이 설치된 세척 캡(30)에 커버를 설치하여 상기 세척 캡(3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고, 상기 진공판(40)의 일측에 먼지 집진(42)를 설치하고 먼지 집진기(42)가 결합된 측과 대향된 측에 흡입호스(46)를 연결하며 상기 흡입호스(46)의 선단에 흡입구(44)를 설치함으로써 진공청소기로서 사용가능하게 한다.
상기 진공 판(40)은 제2결합 홈(22)에 맞물려 결합 되어 상기 세척 캡(4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진공 판(40)에 먼지 집진기(4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척 캡(30) 내부의 원판(14)이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강한 흡입력을 제공하고 먼지 집진기(42)가 먼지를 거르는 형식으로 종래의 먼지필터 교환은 오염된 먼지필터를 사용자가 손으로 만지면서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먼지 집진기(42)에 쌓인 먼지를 버리기만 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물론, 다른 종류의 흡입구(44)를 사용하여 자동차 내부 내지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 캡(30)의 하단에 포함되는 커버에 부가적인 요소로 손잡이 및 바퀴를 설치한다면, 상기 진공 청소기로서 사용시 기동성과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로서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세척 바디(16)에 구비되어 있는 캡(34)을 분리하여 부각되는 캡 홈(90)에 고정장치인 둘 이상의 진공호스(50) 및 진공 패드(52)를 결합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진공 패드(52)를 자동차 휠 또는 외면의 좌, 우에 설치하여 세척 캡(30) 내부의 진공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진공호스(50)에서 진공 패드(52)를 까지 순차적으로 보내어 흡입력을 이용한 부착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더불어 상기 세척 캡(30) 에 둘 이상의 와 이어 고리(56)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상기 진공 청소기로 사용 가능한 멀티 클리너가 지면에서부터 이격된 영역에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해당 와 이어 고리를 통해 높은 곳에 걸어 이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진공 청소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 자동차 세척장치 11 제1결합부
12 솔부재 14 원판
16 세척 바디 17 출력 축
18 구동기어 19 구동수단
20 제1고정핀 22 제2고정핀
24 스프링 30 세척캡
32 패킹 34 캡
36 제 2 결합 홈 38 조절나사
40 진공 판 42 먼지 집진기
44 흡입구 46 흡입호수
50 진공호스 52 진공패드
56 와이어 고리 60 조임 손잡이
62 기어 64 조임 판
66 조임 기둥 70 세정제 투입구
80 핀 홈 90 캡 홈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구동수단(19);과 상기 구동수단에서 돌출되는 출력 축(17);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축(17)이 세척 바디(16)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 되고, 상기 출력 축(17)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8);와, 상기 구동기어(18)에 설치되는 원판(14);과, 상기 원판(14) 위에 설치되는 솔 부재(12);와, 상기 출력 축(17)이 회전하여 구동기어(18)에 설치된 원판(14)의 회전으로 인해 솔 부재(12)가 회전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멀티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세척바디(16)에 캡 홈(90)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캡 홈(90)에 먼지 집진기(42)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며 해당 캡 홈에 탈부착 가능한 캡(34)을 결합함에 따라 세척바디(16)의 내부공간의 노출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홈(90)에 둘 이상의 진공호스(50)가 결합되고 해당 진공호스의 선단에 진공패드(52)가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9)의 선단에 둘 이상의 제2고정핀(22)이 결합되고, 세척바디(16)에 둘 이상의 핀 홈(80)이 천공 형성되어, 제2고정핀(22)이 핀홈(80)에 인입 고정되어 구동수단(19)과 세척바디(16)가 상호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9)과 제2고정핀(22) 사이에 스프링(24)이 개재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18)에 원판(14)의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고정핀(20) 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핀(20) 하단부에 스프링(24)을 개재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바디(16)는 외주면을 둘러 제 1 결합부(11)가 돌출 형성되어 중앙을 기점으로 둘로 분리 구비되는 세척캡(30)이 설치되며, 세척캡에는 외부에서 세정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세정제 투입구(70)가 형성되며 해당 세정제 투입구에 패킹(32)과 캡(34)이 순차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세정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캡(30)의 양측단에 조절나사(38)가 더 구비되되, 해당 조절나사는 조임 손잡이(60)를 회전시킴에 따라 해당 조임 손잡이와 맞물려있는 기어(62)가 회전되고, 기어는 중앙에 관통 결합된 조임 기둥(66)의 전후진을 유도하여 조임 기둥의 선단에 형성된 조임 판(64)을 인접한 자동차의 프레임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세척 캡(3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캡(30)은 제 2 결합 홈(36)을 형성하여 진공 판(40)의 결합을 유도하고, 진공 판(40)은 일측에 먼지 집진기(42)가 결합되고 진공 판의 먼지 집진기가 결합된 측과 대향된 측으로 흡입호스(46)가 연결되며 흡입호스의 선단에 흡입구(44)가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캡(30)은 둘 이상의 와이어 고리(56)를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 클리너.
KR1020130164190A 2013-12-26 2013-12-26 멀티 클리너 KR101438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90A KR101438339B1 (ko) 2013-12-26 2013-12-26 멀티 클리너
US14/539,390 US20150183407A1 (en) 2013-12-26 2014-11-12 Multi-functional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90A KR101438339B1 (ko) 2013-12-26 2013-12-26 멀티 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339B1 true KR101438339B1 (ko) 2014-09-04

Family

ID=5175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190A KR101438339B1 (ko) 2013-12-26 2013-12-26 멀티 클리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183407A1 (ko)
KR (1) KR1014383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569A (ko) 2019-01-23 2020-07-31 신한곤도라주식회사 타이어 외륜의 부착물 제거장치
CN112265523A (zh) * 2020-09-29 2021-01-26 绍兴市柯桥区欣飞科技有限公司 汽车电动拖把
CN114558816A (zh) * 2022-02-17 2022-05-31 陈柳 一种大型齿轮加工用表面清理装置
CN115301600A (zh) * 2022-07-04 2022-11-08 浙江可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定日镜清洗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0947A (zh) * 2016-05-19 2016-10-12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针床辅助设备
US10384655B2 (en) * 2017-07-05 2019-08-20 Istobal, S.A. Head for washing vehicle wheels
CN110626320A (zh) * 2019-10-28 2019-12-31 江苏迈威清洁科技有限公司 一种隧道式电脑洗车设备动力装置
CN117161453A (zh) * 2023-11-02 2023-12-05 江苏松田数控科技有限公司 花键铣床用表面清洁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219A (ja) * 1994-07-29 1996-02-13 Hideo Shibuya 自動車のホイール洗浄装置
JP2005161288A (ja) 2003-12-01 2005-06-23 Tadashi Rokkaku 洗浄器具
KR20080000277U (ko) * 2008-01-14 2008-03-07 김영준 다기능 자동차 청소기
KR20120063899A (ko) * 2010-12-08 2012-06-18 이동효 자동차용 휠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3309A (en) * 1921-09-24 1924-05-06 James Alexander Henderson Floor waxing and finishing machine
US2063253A (en) * 1933-11-25 1936-12-08 Siemens Ag Vacuum cleaning device
DE19857628A1 (de) * 1998-12-14 2000-06-15 Stein & Co Gmbh Bodenpflegegerät
US6523214B1 (en) * 2000-06-14 2003-02-25 Richard A. Kaiser Quick mount attachment for rotary finishing tool
US20060272121A1 (en) * 2005-06-06 2006-12-07 Wai Lau Y Rotating brush attachment for use with a vacuum
US8282445B2 (en) * 2007-07-20 2012-10-09 Onfloor Technologies, L.L.C. Floor finis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219A (ja) * 1994-07-29 1996-02-13 Hideo Shibuya 自動車のホイール洗浄装置
JP2005161288A (ja) 2003-12-01 2005-06-23 Tadashi Rokkaku 洗浄器具
KR20080000277U (ko) * 2008-01-14 2008-03-07 김영준 다기능 자동차 청소기
KR20120063899A (ko) * 2010-12-08 2012-06-18 이동효 자동차용 휠 세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569A (ko) 2019-01-23 2020-07-31 신한곤도라주식회사 타이어 외륜의 부착물 제거장치
CN112265523A (zh) * 2020-09-29 2021-01-26 绍兴市柯桥区欣飞科技有限公司 汽车电动拖把
CN114558816A (zh) * 2022-02-17 2022-05-31 陈柳 一种大型齿轮加工用表面清理装置
CN114558816B (zh) * 2022-02-17 2023-10-31 浙江吉峰齿轮有限公司 一种大型齿轮加工用表面清理装置
CN115301600A (zh) * 2022-07-04 2022-11-08 浙江可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定日镜清洗装置
CN115301600B (zh) * 2022-07-04 2023-12-15 浙江可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定日镜清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3407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339B1 (ko) 멀티 클리너
TWI583338B (zh) Dispenser for cleaning machines
CN206761643U (zh) 清洁机器人
CN110693403A (zh) 履带式带水桶电动拖把
KR200407244Y1 (ko) 사이드 브러시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
CN106214053B (zh) 多功能简易擦地机
US20110011428A1 (en) Automatic chain cleaner for bicycles
CN213940598U (zh) 一种自清洁机构、擦窗机器人及扫地机器人
CN205458457U (zh) 一种扫地机
KR200358084Y1 (ko) 휴대용 복합 기능 차량용 청소기
CN215457719U (zh) 一种吸污拖地两用工具
CN107296568A (zh) 吸尘机底部的旋转式清洁装置
CN205514405U (zh) 智能扫地机
CN205514407U (zh) 一种智能扫地机
CN216702442U (zh) 地面清洁装置及其清洁头
CN104924436B (zh) 一种成型机压头清洗装置
CN212548655U (zh) 空气净化器滤芯清洗辅助设备
CN210990024U (zh) 一种清洁机器人
KR100207252B1 (ko) 전동식 물걸레 청소기
CN217118303U (zh) 一种用于清洁设备的清洁刷
CN219048248U (zh) 地刷组件及地面清洁装置
CN216364919U (zh) 一种扫地机器人
CN218773840U (zh) 一种洗地机
CN105595925A (zh) 一种智能扫地机
KR102223522B1 (ko) 자동차용 세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