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677B1 -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677B1
KR101437677B1 KR1020130053998A KR20130053998A KR101437677B1 KR 101437677 B1 KR101437677 B1 KR 101437677B1 KR 1020130053998 A KR1020130053998 A KR 1020130053998A KR 20130053998 A KR20130053998 A KR 20130053998A KR 101437677 B1 KR101437677 B1 KR 10143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base
tape
light transmitting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복
Original Assignee
(주)에스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시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시아이
Priority to KR102013005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로표시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프 제조단계와;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제 2 바인더를 도포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투광체를 분리하여 상기 투광체의 반사막이 상기 제 2 바인더에 매몰되게 고정하는 매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제조단계는 시트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제 1 바인더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바인더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가 매몰되게 살포하며, 상기 제 1 바인더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고, 상기 매몰단계는 상기 테이프를 상기 제 2 바인더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투광체를 상기 테이프로부터 탈리시켜 상기 투광체를 상기 제 2 바인더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투광체의 반사막이 제 2 바인더 내부에 매몰 즉, 반사막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은 제 2 바인더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도로표지로 입사되어 반사막을 통해 반사시킬 수 있는 광량이 증가 즉, 차량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다시 차량 측으로 반사할 수 있는 빛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운전자가 쉽게 도로표지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투광체의 반사막이 베이스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바른 후 테이프를 붙이고 접착제가 경화된 이후에 떼어내기만 하면 투광체의 반사막이 대상물의 표면을 향하게 되므로 일일이 투광체들의 반사막이 대상물의 표면을 향하도록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

Description

도로표지의 시공방법{The road sign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차량 측으로 반사할 수 있는 재귀반사면을 도로면에 형성하기 위한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사체란 빛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본래의 광원으로 반사되어 되돌아가게 하는 물체를 일컫는다. 이 같은 반사체의 대표적 물질로는 글라스 비드(glass beads)을 예로 들을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비드의 재귀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통상의 도로 차선에 적용하고 있음은 공지의 사실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반사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은 도로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는 데 필요하며, 안전 표시를 보완하거나, 혹은 단독으로 운전자에게 규제 또는 지시 등의 정보를 전달하여 도로상의 선형유도로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각 정보를 제공한다.
국내외 차선의 경우 백색, 황색 혹은 청색으로 주행선을 표시하며 주간뿐만 야간에도 각각의 색을 구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앞에 서술한 도로의 선형 정보 및 표시를 운전자에게 사전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도로의 차선에 사용되는 글라스 비드의 일 예로 대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2770호에는 재귀반사용 글라스 비드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재귀반사용 글라스 비드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필름 상면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글라스 비드를 투명한 고분자 필름 상방 및 하방에 위치된 프레스 롤러 및 받침롤러를 통한 기계적인 방법으로 고르게 도포함과 동시에 글라스 비드의 직경의 절반만을 상기 코팅된 수지층들 속에 안착시키는 제2단계와, 절반만 안착되고 상부 절반은 노출된 상태의 글라스 비드들 상에 재귀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 진공증착막을 증착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고분자 필름의 상방에 위치된 글라스 비드 분리롤러를 통해 절반만이 알루미늄 진공증착막이 형성된 글라스 비드를 고분자 필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4단계를 통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은 글라스 비드는 차선 시공을 위하여 차선용 도료 상에 무작위적으로 뿌려지거나, 차선용 도료에 혼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선용 도료상에 무작위적으로 뿌리거나, 도료에 혼합하여 시공된 차선은 글라스 비드의 반사막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글라스 비드들과, 도료층 내부로 반사막이 매몰되는 글라스 비드들이 무작위로 혼재되므로 반사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막이 도료층 내측을 향하도록 배열되게 함으로써 도로표지의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은 베이스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프 제조단계와;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제 2 바인더를 도포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투광체를 분리하여 상기 투광체의 반사막이 상기 제 2 바인더에 매몰되게 고정하는 매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제조단계는 시트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제 1 바인더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바인더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가 매몰되게 살포하며, 상기 제 1 바인더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고, 상기 매몰단계는 상기 테이프를 상기 제 2 바인더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투광체를 상기 테이프로부터 탈리시켜 상기 투광체를 상기 제 2 바인더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몰단계는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프에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은 베이스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프 제조단계와;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제 2 바인더를 도포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투광체를 분리하여 상기 투광체의 반사막이 상기 제 2 바인더에 매몰되게 고정하는 매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제조단계는 시트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제 1 바인더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바인더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가 매몰되게 살포하며, 상기 제 1 바인더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고, 상기 매몰단계는 상기 베이스를 상기 제 2 바인더에 밀착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바인더로부터 상기 시트를 분리하여 상기 반사막이 상기 제 2 바인더에 매몰된 상태로 구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투광체의 반사막이 제 2 바인더 내부에 매몰 즉, 반사막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은 제 2 바인더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도로표지로 입사되어 반사막을 통해 반사시킬 수 있는 광량이 증가 즉, 차량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다시 차량 측으로 반사할 수 있는 빛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운전자가 쉽게 도로표지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투광체의 반사막이 베이스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바른 후 테이프를 붙이고 접착제가 경화된 이후에 떼어내기만 하면 투광체의 반사막이 대상물의 표면을 향하게 되므로 일일이 투광체들의 반사막이 대상물의 표면을 향하도록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도로표지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따라 도로표지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따라 도로표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로표지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를 시공하기 위한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외주면 일부가 매몰된 다수의 투광체(30)와,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막(31)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 상에 도포된 제 1 바인더(20)를 구비하며, 상기 투광체(30)는 제 1 바인더(20) 내부에 외주면 일부가 매몰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바인더(20)는 시간이 지나거나, 열을 가하면 접착력을 잃는 소재를 적용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바인더(20)는 녹말 풀, 설탕 등과 같은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시트와 시트(10) 상에 도포된 제 1 바인더(20)를 구비하는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상기 베이스는 투광체(30)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투광체(30)는 구 형상을 갖고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형성되며, 외주면 일부에는 반사막(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광체(30)는 반사막(31)이 제 1 바인더(20)의 외측을 향하도록 즉, 반사막(3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제 1 바인더(20)의 내측을 향하도록 베이스에 매몰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막(31)은 투광체(30)의 외주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알루미늄이 증착된 필름을 투광체(30)에 씌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막(31)의 표면에는 손상 및 오염 및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1)는 베이스에 즉, 제 1 바인더(20)에 투광체(30)들이 매몰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고, 상기 투광체(30)들의 반사막(31)이 제 1 바인더(20) 내부에 매몰되어 있으므로,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바른 후 상기 도로표지용 테이프(1)를 붙이고 접착제가 경화된 이후에 떼어내면 반사막(31)이 대상물의 표면을 향한 상태로 투광체(30)가 베이스에 고정되므로 일일이 투광체(30)들의 반사막(31)을 대상물의 표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작업이 생략되며,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은 베이스에 투광체(30)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30)의 노출면에 반사막(31)을 형성하여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프 제조단계(100)와,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바인더층을 도포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투광체(30)를 분리하여 상기 투광체(30)의 반사막(31)을 상기 바인더층에 매몰시키는 매몰단계(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도로표지'는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고 도로구조의 보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로의 노면 또는 차도 가장자리에 설치한 도로교통표지물, 일 예로서 노면에 형성된 차선, 지정속도를 알리기 위한 표지판, 도로의 진행방향을 알리는 표지판 등을 통틀어 지칭하되 하기의 실시 예에서 상기의 '도로표지'는 노면에 형성된 차선을 적용한다.
상기 테이프 제조단계(100)는 시트(10)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제 1 바인더(20)을 도포하여 베이스를 형성하는 베이스형성단계(110)와, 제 1 바인더(20)에 빛이 투과가능한 투광체(30)들을 살포하여 투광체(30)의 외주면 일부가 제 1 바인더(20)의 내부로 매몰시키는 살포단계(120)와, 제 1 바인더(20)의 외부로 노출된 투광체(30)의 노출면에 반사막(31)을 형성하는 코팅단계(13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살포단계(120)와 코팅단계(130) 사이에는 제 1 바인더(20)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30)의 노출면과 반사막(30)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투광체(30)의 노출면에 별도의 투명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포단계(120)에서는 투광체(30)의 외주면에 투명한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 1 바인더(20)으로 살포할 수 있다. 이 경우, 투광체(30)와 반사막(31)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광체(3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매몰단계(200)는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제 2 바인더(50)를 도포하는 도포단계(210)와, 투광체(30)에 형성된 반사막(31)이 제 2 바인더(50) 내부로 매몰되게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1)를 제 2 바인더(50)에 밀착 결합시키는 부착단계(220)와, 투광체(30)가 제 2 바인더(50)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구속되게 제 2 바인더(20)으로부터 베이스와 제 1 바인더(20)을 떼어내는 분리단계(230)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테이프 제조단계(100)는 소정 두께를 갖고 필름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제 1 바인더(20)를 고르게 도포하고, 투광체(30)의 외주면 일부가 제 1 바인더 내부로 매설되게 투광체(30)들을 제 1 바인더(20) 상에 살포하며, 제 1 바인더(20)에 투광체(30)가 절반 정도 매몰될 수 있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투광체(30)를 제 1 바인더(20)의 상부에서 가압한다.
이때, 상기 투광체(30)는 제 1 바인더(20)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제 1 바인더(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제 1 바인더(20) 내부로 투광체(30)의 일부가 매몰된 상태에서 투광체(30)의 노출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거나 알루미늄 분말을 유성 니스에 안료로 넣은 알루미늄 도료를 도포하여 투광체(30)의 노출된 외주면에 반사막(31)을 형성한다. 상기의 제 1 바인더(20)는 시간이 지나거나, 열이 가해지면 접착력이 급속하게 저하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바인더(20)는, 녹말 풀, 설탕 등과 같은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인더(50)는 제 1 바인더(20)에 구속되어 있던 투광체(30)를 분리단계(230)를 통해 제 1 바인더(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접착제이다.
상기의 대상물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용 도료(60)를 적용하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대상물은 노면 자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바인더(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5) 위에 도포된 차선 즉, 차선을 형성하기 위한 도료(60)로서 반사막(31)이 매몰되며 후술하는 분리단계(230)에서 투광체(30)를 제 1 바인더로부터 분리되게 투광체(30)를 홀딩한다.
부착단계(220)는 제 2 바인더(50)이 경화되기 이전에 테이프 제조단계(100)에서 만들어진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1)를 투광체(30)의 반사막(31)이 제 2 바인더(50)를 향하도록 뒤집어 제 2 바인더(50)에 결합시킨다. 이때, 투광체(30)가 제 2 바인더(50)의 내부로 일정부분 매몰되도록 바람직하게는 투광체(30)의 반사막(31)이 제 2 바인더(50)의 내부로 매몰되도록 가압한다.
제 2 바인더(50)가 경화된 이후에는 베이스와 제 1 바인더(20)를 제 2 바인더(50)로부터 제거하되 제 1 바인더(20) 및 제 2 바인더(50)에 일부가 각각 매몰된 상태의 투광체(30)가 제 2 바인더(50)에 남아 있을 수 있도록 제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바인더(20)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제 2 바인더(50)에 사용되는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작은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부착단계(220)는 제 1 바인더(20)와 제 2 바인더(50)가 서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제 1 바인더(20)와 제 2 바인더(5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바인더(20)와 제 2 바인더(50)를 서로 이격되게 결합시키는 이유는 투광체(30)의 외주면에 반사막(31)을 형성하는 코팅단계(130)에서 제 1 바인더(20)의 표면에도 반사막이 형성되고 부착단계(220)에서 제 1 바인더(20)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막이 제 2 바인더(50)의 표면에 남아있게 되므로, 상기 제 2 바인더(50)의 표면에 부착된 반사막에 의해 제 2 바인더(50)의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도로표지는 투광체(30)들의 반사막(31)이 제 2 바인더(50)의 내부로 매몰되게 배치 즉, 반사막(31)이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은 제 2 바인더(5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로표지로 입사되어 반사막(31)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양이 증가, 다시 말하면 차량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다시 차량 측으로 반사할 수 있는 빛의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쉽게 도로표지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은 베이스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하고,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프 제조단계(100)와,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표면에 제 2 바인더를 도포하고, 베이스로부터 투광체를 분리하여 투광체의 반사막을 제 2 바인더에 매몰 및 고정하는 매몰단계(200)를 포함하며, 상기의 매몰단계(200)는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를 제 2 바인더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하고, 투광체를 베이스로부터 탈리시켜 투광체를 제 2 바인더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를 가열하는 가열단계(240)를 포함한다.
상기의 가열단계(240)에서는 베이스의 시트를 상방을 향하게 하고, 제 1 바인더를 제 2 바인더를 향하도록 제 2 바인더와 이격되게 배치한 뒤, 시트를 가열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바인더는 열가소성 소재의 접착제를 적용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시트를 가열하기 위하여 일 측에서는 시트가 권취된 제1권취롤러와, 권취롤러에서 풀리는 시트를 감는 제2권취롤러 및 제1권취롤러와 제2권취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시트를 제 2 바인더의 상부에 배치되게 시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 가이드롤러에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가열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는 발열시트 또는 전열선을 적용한다.
가열부를 통해 시트 및 시트에 도포된 제 1 바인더를 가열하면 제 1 바인더가 연화되면서 투광체를 구속하는 힘이 해제되면서 즉, 접착력이 약회되면서 제 2 바인더로 투광체가 낙하하게 된다. 이때, 낙하하는 투광체는 반사막이 형성된 부분이 제 2 바인더를 향하고 있으므로 제 2 바인더에 반사막이 매몰된다.
한편, 설명한 바와 다르게 상기 매몰단계(200)는 진동소자를 통해 시트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시트로부터 투광체를 이탈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바인더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접착력이 약화되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상기 매몰단계(200)는 베이스에 열과 진동을 모두 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을 통해 제조된 도로표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적용한 도로표지는 도로의 제한속도를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제한속도가 숫자로 표시된 표지판을 적용하였다.
도로표지는 베이스에 투광체(30)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30)의 노출면에 반사막(31)을 형성하여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프 제조단계와,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60)의 표면에 제 2 바인더(50)을 도포하고, 베이스로부터 상기 투광체(30)를 분리하여 상기 투광체(30)의 반사막(31)을 상기 제 2 바인더(50)에 매몰시키는 매몰단계(200)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테이프 제조단계는 일정 면적을 갖는 시트의 표면에 제한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숫자 형상으로 제 1 바인더(20)를 도포하는 베이스형성단계와(110)와, 제 1 바인더(20)에 투광체(30)의 일부분이 매설되게 살포하는 살포단계(120)와, 제 1 바인더(20)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30)의 외주면에 반사막(31)을 형성하는 코팅단계를 포함한다.
테이프 제조단계 이후에는 제한속도가 표시되는 대상물 즉, 표지판(240)의 표면에 제 1 바인더(20)가 형성되는 패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 2 바인더(50)를 도포하는 도포단계와,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2)를 제 2 바인더(50)에 결합시키는 부착단계 및 제 2 바인더(50)가 경화된 이후 베이스 및 제 1 바인더(20)를 제 2 바인더(50)로부터 제거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 2 바인더(50)는 형광도료,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것을 적용한다.
상기의 베이스형성단계에서는 대상물(6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 1 바인더(20)를 도포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6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시트(10)를 재단하고, 상기 시트(10) 상에 제 1 바인더(20)를 도포하여 베이스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도로표지의 시공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첨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도로표지 시공용 테이프
5 : 노면 10 : 시트
20 : 제 1 바인더 30 : 투광체
31 : 반사막 50 : 제 2 바인더
100 : 테이프 제조단계 110 : 베이스형성단계
120 : 살포단계 130 : 코팅단계
200 : 매설단계 210 : 도포단계
220 : 부착단계 230 : 분리단계
240 : 가열단계

Claims (3)

  1. 베이스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프 제조단계와;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제 2 바인더를 도포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투광체를 분리하여 상기 투광체의 반사막이 상기 제 2 바인더에 매몰되게 고정하는 매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제조단계는 시트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제 1 바인더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바인더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가 매몰되게 살포하며, 상기 제 1 바인더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고,
    상기 매몰단계는 상기 테이프를 상기 제 2 바인더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투광체를 상기 테이프로부터 탈리시켜 상기 투광체를 상기 제 2 바인더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몰단계는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프에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3. 베이스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를 매몰하고,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된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테이프를 제조하는 테이프 제조단계와;
    재귀반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대상물의 표면에 제 2 바인더를 도포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투광체를 분리하여 상기 투광체의 반사막이 상기 제 2 바인더에 매몰되게 고정하는 매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제조단계는 시트의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제 1 바인더를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바인더에 투광체의 외주면 일부가 매몰되게 살포하며, 상기 제 1 바인더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투광체의 노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고,
    상기 매몰단계는 상기 베이스를 상기 제 2 바인더에 밀착되게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바인더로부터 상기 시트를 분리하여 상기 반사막이 상기 제 2 바인더에 매몰된 상태로 구속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KR1020130053998A 2013-05-13 2013-05-13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KR101437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98A KR101437677B1 (ko) 2013-05-13 2013-05-13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998A KR101437677B1 (ko) 2013-05-13 2013-05-13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677B1 true KR101437677B1 (ko) 2014-09-11

Family

ID=5175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998A KR101437677B1 (ko) 2013-05-13 2013-05-13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6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854A (ja) * 1994-11-10 1996-05-28 Tokai Rubber Ind Ltd コンクリート製品およびその製法
KR200381060Y1 (ko) 2005-01-06 2005-04-11 곽상운 차선 규제봉
KR101163685B1 (ko) 2011-12-08 2012-07-09 대동안전주식회사 노면표시용 융착식 테이프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30909A (ko) * 2011-05-24 2012-12-04 (주)에스시아이 도로표지용 반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854A (ja) * 1994-11-10 1996-05-28 Tokai Rubber Ind Ltd コンクリート製品およびその製法
KR200381060Y1 (ko) 2005-01-06 2005-04-11 곽상운 차선 규제봉
KR20120130909A (ko) * 2011-05-24 2012-12-04 (주)에스시아이 도로표지용 반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3685B1 (ko) 2011-12-08 2012-07-09 대동안전주식회사 노면표시용 융착식 테이프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0253B2 (ja) 包まれた平らな表面の逆行反射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175664A (ja) 紙幣などのポリマーセキュリティ文書作製用の改良ポリマーシート材料、前記改良ポリマー材料の形成方法、及び前記改良ポリマーシート材料を使用して作製されるポリマーセキュリティ文書
CN1158544C (zh) 预制的逆向反射标志及其制造方法
US8581292B2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US5931566A (en) Colored and decorative lighting
EP2280296B1 (en) Retroreflective film
JPWO2015072420A1 (ja) 採光フィルム
EP2390687B1 (en) Reflectiv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ure and use thereof
RU2767217C2 (ru) Остеклени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внешней световой сигнализацией,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ним и изготовление
KR20100112152A (ko) 반사기 폴
KR20230070524A (ko) 광 시그널링 슬래브 및 이러한 슬래브를 사용 가능한 시스템
FR3055975A1 (fr) Feuille retroreflechissant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2011124023A (ja) Led照明装置
CN206057619U (zh) 一种微棱镜反光膜
KR101437677B1 (ko) 도로표지의 시공방법
US20140144370A1 (en) Reflector for marking a road surf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048807B1 (ko) 재귀반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H02117401A (ja) 再帰反射性管材料及び該管材料を有するスポーク車輪
KR960704192A (ko) 빛 방사를 위한 층진 반사기와 그 제조 방법 및 사용법(layered reflector for light radiation, its manufacture and its use)
KR101281154B1 (ko) 재귀반사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7487867B2 (ja) 注意喚起部付フェンス構造体、同製造方法並びに注意喚起部付フェンス構造体を備えた道路、広場、河川及び港湾施設
KR101488304B1 (ko) 빛 반사필름
JP2011063960A (ja) 道路用標示体
JP3122842B2 (ja) 光反射体及び標識構造
JP2007023664A (ja) 道路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