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357B1 -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357B1
KR101437357B1 KR1020120139118A KR20120139118A KR101437357B1 KR 101437357 B1 KR101437357 B1 KR 101437357B1 KR 1020120139118 A KR1020120139118 A KR 1020120139118A KR 20120139118 A KR20120139118 A KR 20120139118A KR 101437357 B1 KR101437357 B1 KR 10143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e
composition
ammonium
oxide film
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129A (ko
Inventor
류지철
설태준
이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영
Priority to KR102012013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35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8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containing a fluorine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09K13/04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 C09K13/06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organic acid with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에 존재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불화암모늄(NH3HF)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 (NH4HF2)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순수에 불화암모늄(NH3HF), 이불화암모늄(NH4HF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해하고, 아민을 혼합하여 불화암모늄의 중화물 또는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을 생성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의 손상 없이 산화막을 제거하고, 폐수의 발생이 적고, 인체에 무해하며 금속의 스케일 및 산화막 또한 효율적으로 제거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removal of the oxide layer and the scale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에 존재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판이 대구경화 되고, 소자들이 고밀도, 고집적화 됨에 따라 반도체 기판 상에 존재하는 미립자나 금속 불순물 등으로 대표되는 미세 오염이 제품의 수율과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따라서 전 공정에 걸쳐서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청정하게 보존하는 것이 수율 향상의 과제가 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는 반도체 기판 상에 잔류하는 미립자를 비롯한 금속 불순물, 유기 오염물 및 자연 산화막과 같은 표면 피막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습식 세정 공정을 수행한 후, 반도체 기판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최종 세정 후 반도체 기판 상에는 통상 얇은 두께의 자연 산화막이 남아 있게 마련이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의 초기 세정 후, 산화 공정 전의 세정 단계와 산화 공정 후, 폴리실리콘 막의 증착 후, 또는 고온 산화막의 형성 후 반도체 기판을 대기 중에 방치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 산화막이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자연 산화막은 기 형성되어 있는 산화막의 두께를 변화시키거나 막들 사이의 접촉면에서 저항을 증가시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등 완성될 소자의 성능에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들을 유발한다. 또한 자연 산화막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산화막을 성장시키게 되면 막의 균일성이 저하되고 두께 제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양산 공정에서는 자연 산화막이 형성될 수 있는 단계에서 반도체 기판의 정체 시간을 수 시간으로 제한하여 자연 산화막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자연 산화막의 성장을 제어해야 하는 공정에서, 전 공정의 진행 후 수 시간 이내에 다음 단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작업을 표준화하여 자연 산화막의 성장을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정체 시간의 관리를 통하여 자연 산화막의 성장을 제어할 경우에는 양산 라인의 제공 관리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즉 다음 공정의 설비 상황을 확인한 후 현 공정의 진행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후 공정을 진행하기 전에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반드시 거치도록 하여 자연 산화막의 영향을 배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연 산화막의 제거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증류수에 의해 희석된 불산(HF) 용액을 사용한 습식 식각을 적용하였다. 불산 수용액(HF 55%)은 불화수소 수용액이라고도 하며, 반응성이 풍부하여 금 및 백금을 제외한 알칼리, 알칼리 토금속, 납, 아연, 은 등의 금속 산화물과 반응하여 불화물을 생성하는 바, 반도체 기판의 스케일 제거에도 사용되었다.
다만, 불산 용액은 공기 중에서 발연하며, 유독성이 있고, 표면장력이 작고 침투력은 강하여 피부나 점막에 강하게 침투하여 취급 상 주의를 요하고, 반도체 기판에 적용 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금속은 공기 중에 있는 산소, 수분, 이산화탄소 등의 작용에 의해서 금속 표면에 녹이 슬게 되는데, 이는 금속의 부식을 촉진 시킬 뿐만 아니라, 산업용 자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원인이 되므로 표면에 생성된 녹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녹을 제거하기 위하여 각종 스케일 및 부식 방지제로 pH 11 이상의 강 알카리성 약제,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NaOH), 황산나트륨(Na2SO4), 질산나트륨(NaNO2), 인산나트륨(Na3PO4) 등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약제는 높은 알카리성에 의한 2차 수질 오염 문제를 유발하였다.
또한, 금속 표면에 피막상 불순물이 부착하면 금속 산화물, 즉 스케일이 생성되며, 보일러 같은 장치에 스케일이 형성되면 열 전달이 저하되고, 스케일의 성분에 따라서는 부식성까지 존재하여 금속에 부식 폐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스케일은 제거할 필요가 있다.
종래 스케일 제거제로 사용되는 pH 2 이하의 강산, 예를 들어 염산(HCl), 황산(H2SO4), 질산(HNO3) 등은 사용 시 각종 유독 가스가 발생하며, 취급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 및 사용 후 중화 처리를 별도로 해야 하는 이중적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처리 미흡으로 발생되는 잔류 산 성분에 의한 금속 재질의 부식으로 인하여 장비 수명이 단축돼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산성 폐수를 별도로 추가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반도체 소자 기판에 존재하는 산화막을 반도체 기판의 손상 없이 제거하고,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에 존재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을 제거함에 있어 폐수의 발생이 적고, 인체에 무해하며, 금속의 스케일 및 산화막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재현성이 우수하며 제조과정이 간단한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내지 50중량% 및 잔부의 순수를 포함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방식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식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순수에 불화암모늄(NH3HF), 이불화암모늄(NH4HF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해하여 암모늄 수용액을 얻는 암모늄 용해단계; 및
상기 암모늄 수용액에 아민을 혼합하여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아민 중화물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아민은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디에탄올 아민(Di-Ethanol-Amine), 모노에탄올 아민(Mono-Ethanol-Amine),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디에틸 아민(Di-Ethyl-Amine), 모노에틸 아민(Mono-Ethyl-Amine) 및 헥사민(Hexamine, Hexamethylene-tetraamine)중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민은 상기 아민 중화물의 pH가 5 내지 9가 되도록 불화암모늄 또는 이불화암모늄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암모늄 용해단계 및 아민 중화물 생성단계는 20 내지 6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투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이 되도록 투입될 수 있다.
방식제를 투입하는 방식제 투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식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가 되도록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순수에 희석하여 조성물 희석액을 획득하는 조성물 희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희석액 총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이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두께에 따라 식각 두께를 조절하여 산화막을 제거할 수 있고, 중화 아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제거력으로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의 스케일 및 산화막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방법은 재현성이 우수하고, 제조과정이 간단하며,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또는 금속의 스케일 및 산화막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도 1은 녹이 슨 금속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처리하기 전(a)과 후(b)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또는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에 존재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하, 구체적으로 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은 아민 중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아민 중화물들은 불화암모늄 또는 이불화암모늄과 아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민은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디에탄올 아민(Di-Ethanol-Amine), 모노에탄올 아민(Mono-Ethanol-Amine),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디에틸 아민(Di-Ethyl- Amine) 및 모노에틸 아민(Mono-Ethyl-Am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알카리도를 감안하여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일 수 있다.
상기 아민을 불화암모늄 또는 이불화암모늄과 반응시킴으로써 아민 중화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의 반응은 다음 반응식 (1) 또는 (2)와 같이 반응한다.
R3HN+ - -FNH3 (1)
R3HN+ - -F2NH4 (2)
(상기 식(1) 및 (2)에서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에탄올 관능기, 에틸 관능기 및 수소 관능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한편, 불화암모늄 또는 이불화암모늄은 헥사민(Hexamine, Hexamethylene-tetraamine)과 반응하여 불화암모늄의 헥사민 중화물 또는 이불화암모늄의 헥사민 중화물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상기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및 잔부 순수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의 식각 두께가 0.5㎛ 이하로 산화막 제거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며,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에 존재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 기능 또한 현저히 저하되고, 함량이 50 중량 %를 초과 하면 조성물의 점성이 증가하여 산화막 표면의 균일한 식각 또는 스케일 제거의 균일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은 불화암모늄 또는 이불화암모늄이 아민과 반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민은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디에탄올 아민(Di-Ethanol-Amine), 모노에탄올 아민(Mono-Ethanol-Amine),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디에틸 아민(Di-Ethyl- Amine), 모노에틸 아민(Mono-Ethyl-Amine) 및 헥사민(Hexamine, Hexamethylene-tetraam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알카리도를 감안하여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스케일 및 산화막에 대한 침투성 및 에칭성을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스케일 및 산화막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총량에 대하여 0.3 내지 3 중량%의 함량일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산화막 표면에의 침투성 및 젖음성이 약화되어 균일한 산화막 제거 및 스케일 제거 기능을 부여할 수 없을 수 있고, 5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 포스페이트 칼륨염(Potasium Lauryl phosphate), 알킬설포네이트 나트륨염(Sodium Alkylsulfonate), 알킬설페이트 나트륨염(Sodium Alkylsulfate) 및 설폭숙신산의 디소디움 에톡실화된 노닐페놀 에스테르(Disodium ethoxylated nonylphenyl ester of sulfosuccin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용화된 혼합물의 침투제로, 설폭숙신산의 디소디움 에톡실화된 노닐페놀 에스테르(Disodium ethoxylated nonylphenyl ester of sulfosuccinic acid)를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산화막 표면에의 침투성 및 젖음성이 약화되어 균일한 산화막 제거 및 스케일 제거 기능을 부여할 수 없을 수 있고, 3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방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식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에 존재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을 제거하는 경우, 그 후에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방식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방식 효과를 부여하기 어려울 수 있고, 5중량% 이상이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식제로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시트르산(citric acid)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 구체적으로 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순수에 불화암모늄(NH3HF), 이불화암모늄(NH4HF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해하여 암모늄 수용액을 얻는 암모늄 용해단계 및 상기 암모늄 수용액에 아민을 혼합하여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아민 중화물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암모늄 수용액을 얻는 암모늄 용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암모늄 수용액은 순수에 암모늄 화합물을 용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불화암모늄(NH3HF) 또는 이불화암모늄(NH4HF2)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얻어진 암모늄 수용액에 아민을 혼합하여 아민 중화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아민은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디에탄올 아민(Di-Ethanol-Amine), 모노에탄올 아민(Mono-Ethanol-Amine),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디에틸 아민(Di-Ethyl-Amine) 및 모노에틸 아민(Mono-Ethyl-Am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알카리도를 감안하여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일 수 있다.
암모늄 수용액에 아민을 혼합함으로써 다음 식 (1) 또는 (2)와 같은 아민 중화물을 얻을 수 있다.
R3HN+ - -FNH3 (1)
R3HN+ - -F2NH4 (2)
(상기 식(1) 및 (2)에서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에탄올 관능기, 에틸 관능기 및 수소 관능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아민 중화물은 다음 식 (3) 또는 (4)와 같은 반응식에 의해 불화 암모늄 또는 이불화암모늄이 아민과 반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R3N + NH4F → R3HN+ - -FNH3 (3)
R3N + NH4HF2 → R3HN+ - -F2NH4 (4)
(상기 식(1) 및 (2)에서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에탄올 관능기, 에틸 관능기 및 수소 관능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아민 중화물은 상기 불화암모늄 수용액 또는 이불화암모늄 수용액에 헥사민(Hexamine, Hexamethylene-tetraamine)을 혼합하여 불화암모늄의 헥사민 중화물 또는 이불화암모늄의 헥사민 중화물을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아민 중화물 생성단계에서 혼합되는 아민은 상기 아민 중화물의 pH가 5 내지 9가 되도록 불화암모늄 또는 이불화암모늄에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아민 중화물 생성단계에서 생성되는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의 식각 두께가 0.5㎛ 이하로 산화막 제거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며,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에 존재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 기능 또한 현저히 저하되고, 함량이 50 중량 %를 초과 하면 조성물의 점성이 증가하여 산화막 표면의 균일한 식각 또는 스케일 제거의 균일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암모늄 용해단계 및 아민 중화물 생성단계는 20 내지 6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온도 범위는 상기 각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혼합시키고 특히 고형 성분들을 용융시킬 수 있는 온도이되, 열분해는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투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총량에 대하여 0.3 내지 3 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투입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산화막 표면에의 침투성 및 젖음성이 약화되어 균일한 산화막 제거 및 스케일 제거 기능을 부여할 수 없을 수 있고, 3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 포스페이트 칼륨염(Potasium Lauryl phosphate), 알킬설포네이트 나트륨염(Sodium Alkylsulfonate), 알킬설페이트 나트륨염(Sodium Alkylsulfate) 및 설폭숙신산의 디소디움 에톡실화된 노닐페놀 에스테르(Disodium ethoxylated nonylphenyl ester of sulfosuccin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용화된 혼합물의 침투제로, 설폭숙신산의 디소디움 에톡실화된 노닐페놀 에스테르(Disodium ethoxylated nonylphenyl ester of sulfosuccinic acid)를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포함할 수 있다.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산화막 표면에의 침투성 및 젖음성이 약화되어 균일한 산화막 제거 및 스케일 제거 기능을 부여할 수 없을 수 있고, 3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방식제를 투입하는 방식제 투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식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방식 효과를 부여하기 어려울 수 있고, 5중량% 이상이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식제로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시트르산(citric acid)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순수에 희석하여 조성물 희석액을 얻는 조성물 희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희석액은 상기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희석액의 총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이 되도록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희석액의 총량에 대하여6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전체 조성물 희석액의 총량에 대하여 20중량% 미만이면 산화막의 식각 두께가 0.2㎛ 이하로 산화막 제거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므로 산화막 및 스케일 제거기능을 부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조성물 희석단계는 상기 조성물의 일정량을 순수에 서서히 첨가하며 균일한 수용액 상태로 유지하고 층 분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을 가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의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은 침적 초음파 또는 스프레이 후 순수 세정 공정을 거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가열장치가 부착된 교반 가능한 반응기에 순수 500g을 정량하여 투입하고, 상기 반응기 온도를 약 50℃로 승온 시켰다. 반응기 온도가 약 75℃ 이상이 되면 순수의 증발이 시작되므로 급격한 온도 상승이 없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 이후 불화암모늄 (NH3HF) 80g을 8회에 걸쳐 각 10g씩 투입하면서 용해되는 성상을 확인하면서 투입하였다. 8회 분할 투입 시 전회 투입 후 불화암모늄(NH3HF)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한 후 다음 투입량을 투입하였다. 총 투입시간은 30분이 소요되었다. 불화암모늄(NH3HF)의 8회 투입이 종료된 후, 반응기의 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하여 하기 식 (3)과 같이 불화암모늄의 해리반응을 수행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낮추어 교반을 진행하면서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 Amine) 10g을 서서히 투입하였다.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 Amine)의 투입으로 불화암모늄과의 중화 반응이 시작되면서 반응기의 온도는 서서히 증가하여 약 48℃까지 상승 하여 하기 식(4)와 같이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을 생성하였다.
2NH4F →NH4 + + HF2 - + NH3 (3)
R3N + NH4F → R3HN+ - -FNH3 (4)
(상기 식(4)에서 R은 에탄올 관능기이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AEROSOL A-103(CYTEC INDUSTRIES INC.) 2g을 투입하였으며, 방식제인 시트르산(citric acid) 5g을 투입한 후 약 30분 교반하여 투명 액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조성물의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웨이퍼 상에 2.5㎛ 두께의 산화막을 형성한 후, 이의 산화막을 상기 실시 예 1의 조성물에 상온(25℃)에서 침적시킨 후, 식각 정도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제조된 조성물의 대한 일반 철(Fe) 및 그 합금 소재 금속의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녹이 슨 금속 소재를 준비 한 후 실시 예 1의 조성물 원액에 침적시킨 후, 실온(25℃)에서 초음파 40kHz, 2분 처리후 녹 제거 상태를 확인하였고, 제거 전, 후의 사진을 도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가열장치가 부착된 교반 가능한 반응기에 순수 1,000g을 정량하여 투입하고, 상기 반응기 온도를 약 50℃로 승온 시켰다. 이후 불화암모늄 (NH3HF) 80g을 8회에 걸쳐 각 10g씩 투입하면서 용해되는 성상을 확인하면서 투입한다. 8회 분할 투입 시 전회 투입 후 불화암모늄(NH3HF)이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한 후 다음 투입량을 투입하였다. 총 투입 시간은 30분이 소요되었다. 불화암모늄(NH3HF)의 8회 투입이 종료된 후, 반응기의 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낮추어 교반을 진행하면서 헥사민(Hexamine, Hexamethylenetetraamine) 300g을 10회에 걸쳐 분할 투입하였다. 헥사민(Hexamine, Hexamethylenetetraamine)의 투입으로 불화암모늄과의 중화 반응이 시작되면서 반응기의 온도는 서서히 증가하여 약 52℃까지 상승 하였다. 이후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유지하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AEROSOL A-103(CYTEC INDUSTRIES INC.) 2g을 투입하였으며, 기타 방식제를 5g을 투입한 후 약 30분 교반하여 투명 액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을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에 상온(25℃)에서 침적시킨 후, 식각 정도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실험 조건 중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대신 디에탄올 아민(Di-Ethanol- Amine)을 5.5g 투입하였고, 그 외의 실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을 상기 실시예 3의 조성물에 상온(25℃)에서 침적시킨 후, 식각 정도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실험 조건 중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대신 모노에탄올 아민(Mono-Ethanol- Amine)을 투입하였고, 그 외의 실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을 상기 실시예 4의 조성물에 상온(25℃)에서 침적시킨 후, 식각 정도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실험 조건 중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대신 트리에틸 아민(Tri-Ethyl- Amine)을 투입하였고, 그 외의 실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을 상기 실시예 5의 조성물에 상온(25℃)에서 침적시킨 후, 식각 정도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의 실험 조건 중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 대신 디에틸 아민(Di-Ethyl- Amine)을 투입하였고, 그 외의 실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을 상기 실시예 6의 조성물에 상온(25℃)에서 침적시킨 후, 식각 정도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실험 조건 중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을 20g 투입하였고, 그 외의 실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을 상기 실시예 7의 조성물에 상온(25℃)에서 침적시킨 후, 식각 정도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실험 조건 중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을 5g 투입하였고, 그 외의 실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을 상기 실시예 8의 조성물에 상온(25℃)에서 침적시킨 후, 식각 정도를 시간대 별로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 예
1 2 3 4 5 6 7 8




(g)
순수 500 1000 500 500 500 500 500 500
불화암모늄 80 80 80 80 80 80 80 80
트리에탄올 아민 10 - - - - - 20 5
헥사민 - 300 - - - - - -
디에탄올 아민 - - 5.5 - - - - -
모노에탄올 아민 - - - 3.0 - - - -
트리에틸 아민 - - - - 5.9 - - -
디에틸 아민 - - - - - 4.3 - -
AEROSOL A-103 2 2 2 2 2 2 2 2
Citric acid 5 5 5 5 5 5 5 5

침적시간(sec) 1분(40℃ x 초음파 40kHz)
식각두께(㎛) 2.3 2.4 1.9 1.7 2.0 1.6 1.8 2.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8의 조성물 중 실시예1 및 실시예 2의 경우 산화막 제거 효과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불화 암모늄의 아민화 과정에서 아민의 입체적 구조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상기 실시예 2의 경우 반도체 소자의 산화막 제거 효과는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지만, 헥사민의 경우 수용액 상에서 강산과 반응하여 포름알데히드(HCHO)와 암모늄염을 생성한다.
포름알데히드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하여 사람이 30ppm이상의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되면 질병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강력한 단백질 응고 작용으로 피부나 점막을 침해하고 가스로 흡입하면 인두염이나 기관지염등을 일으켜 다량 흡입 시 심장쇠약과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헥사민이 적용된 실시예 2는 강산 조건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며, 장시간 보관 시 소량의 포름알데히드 생성이 우려된다.
실시예 7및 8은 실시예 1과 동일한 3차 아민인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Amine)을 첨가량을 달리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비하여는 실시예 7 및 8 모두 식각 능력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첨가량이 증가된 것이 감소된 것 보다 식각 능력이 더 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녹이 슨 금속에 처리하기 전(a) 및 후(b)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금속 표면에 존재하는 녹이 실시예 1의 조성물 처리 후 깨끗이 제거된 것을 도 1의 (b)에서 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순수에 불화암모늄(NH3HF), 이불화암모늄(NH4HF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해하여 암모늄 수용액을 얻는 암모늄 용해단계; 및
    상기 암모늄 수용액에 아민을 혼합하여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아민 중화물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은 트리에탄올 아민(Tri-Ethanol- Amine), 디에탄올 아민(Di-Ethanol- Amine), 모노에탄올 아민(Mono-Ethanol- Amine), 트리에틸아민(Tri-Ethyl- Amine), 디에틸 아민(Di-Ethyl- Amine), 모노에틸 아민(Mono-Ethyl- Amine) 및 헥사민(Hexamine, Hexamethylene-tetraamine)중 선택된 1종 이상인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은 상기 아민 중화물의 pH가 5 내지 9가 되도록 불화암모늄 또는 이불화암모늄에 혼합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이불화암모늄의 아민 중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인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모늄 용해단계 및 아민 중화물 생성단계는 20 내지 60℃에서 수행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투입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투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이 되도록 투입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방식제를 투입하는 방식제 투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식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5 내지 5중량%가 되도록 투입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순수에 희석하여 조성물 희석액을 획득하는 조성물 희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희석액 총량에 대하여 20 중량% 이상 100 중량% 미만이 되도록 포함되는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20139118A 2012-12-03 2012-12-03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118A KR101437357B1 (ko) 2012-12-03 2012-12-03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118A KR101437357B1 (ko) 2012-12-03 2012-12-03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129A KR20140071129A (ko) 2014-06-11
KR101437357B1 true KR101437357B1 (ko) 2014-09-05

Family

ID=5112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118A KR101437357B1 (ko) 2012-12-03 2012-12-03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68A (ko) 2017-12-18 2019-06-26 한가람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용 패스너의 나사부 스케일제거 및 표면청정도 향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25A1 (ko) * 2014-10-27 2016-05-06 이기원 스케일 제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777A (ko) * 2007-07-26 2010-04-30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세정 방식용 조성물 및 반도체소자 또는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KR20100080321A (ko) * 2008-12-31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용 세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세정 방법
KR20110063632A (ko) * 2008-08-05 2011-06-13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잔사 박리액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세정 방법
KR20120068965A (ko) * 2007-04-13 2012-06-2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칭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965A (ko) * 2007-04-13 2012-06-2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칭액
KR20100044777A (ko) * 2007-07-26 2010-04-30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세정 방식용 조성물 및 반도체소자 또는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KR20110063632A (ko) * 2008-08-05 2011-06-13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잔사 박리액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세정 방법
KR20100080321A (ko) * 2008-12-31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용 세정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세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68A (ko) 2017-12-18 2019-06-26 한가람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용 패스너의 나사부 스케일제거 및 표면청정도 향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129A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6973B (ko)
TWI434339B (zh) 金屬材料用蝕刻劑組成物及用它之半導體裝置之製法
EP3389083B1 (en) Use of wet etching composition for wet etching of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si layer and sin layer
CN105981136B (zh) 氮化钛去除用液体组合物和使用其的半导体元件的清洗方法、以及半导体元件的制造方法
JPH07506616A (ja) エッチング液組成物
KR101437357B1 (ko) 스케일 및 산화막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86780A (zh) 一种酸性蚀刻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399196B (zh) 晶圆背面粗糙化处理方法
JP5179095B2 (ja) 高純度水酸化アルミニウ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高純度水酸化アルミニウム
TWI359866B (en)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DE602004009584T2 (de) Halbleiterreinigungslösung
WO2006068091A1 (ja) 微細加工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た微細加工処理方法
CN113774382B (zh) 一种CuNi-Al-Mo蚀刻液
TW200517483A (en) Cerium sal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cerium oxide and cerium polishing agent
CN107934988B (zh) 一种氟化氢铵的制备方法
CN107099801A (zh) 对包含铜及钼的多层薄膜进行蚀刻的液体组合物及使用其的蚀刻方法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2003027263A (ja) 珪酸塩スケールの除去方法
US20220056381A1 (en) Aqueous cleaning solution for removal of rouging deposits on media-contacted surfaces of stainless steels,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EP1421164B1 (en)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si component and reduced metal salt produced on the aluminum dicast material in etching process
JP2005126743A (ja) ステンレス鋼の高耐食化表面処理方法
JP4577095B2 (ja) 金属チタンのエッチング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エッチング方法
KR101713598B1 (ko) 실리콘계 스케일 제거용 세정액 조성물
CN111925798B (zh) 一种蚀刻液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JP2016081985A (ja) 洗浄及び/又はエッチング排液の再利用方法
CN111925805B (zh) 一种蚀刻液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