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53B1 - 플라본계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 Google Patents

플라본계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653B1
KR101434653B1 KR1020120007460A KR20120007460A KR101434653B1 KR 101434653 B1 KR101434653 B1 KR 101434653B1 KR 1020120007460 A KR1020120007460 A KR 1020120007460A KR 20120007460 A KR20120007460 A KR 20120007460A KR 101434653 B1 KR101434653 B1 KR 10143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vone
skin
extract
active ingredi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216A (ko
Inventor
황재관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8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조성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효소를 억제하고,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 피부의 주름 개선, 항노화 및 피부 탄력 증진에 효과적이며, 피부 수분 손실을 억제하는 효능이 뛰어나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플라본계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Novel use of flavon compounds}
본 발명은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조성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크게 자연노화 혹은 내인성 노화와 외적 노화로 구분되며 자연노화는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이므로 조절이 어려우나 외적 노화는 환경적 원인에 의한 것이므로 인위적인 조절이 용이하다. 따라서 외적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 특히 장기간 자외선 노출에 의해 진행되는 외인성 광노화에 따른 주름 형성방지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Gilchrest B.A., J. Am. Acad. Dermatol., 1989:21:610-613). 상기 외인성피부노화인 광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피부가 거칠고 탄력성이 없어지며, 불규칙한 색소 침착이 발생되고, 깊은 주름살이 증가되는 것이다.
상기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인자들은 바람, 온도, 습도, 담배연기, 공해, 자외선 등에 의해서 노화가 일어나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광노화라고 한다. 특히 미용의 대상으로서 중요한 안면, 두부 등의 주름 형성에는 상기 광노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항노화 또는 항주름 화장품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인체 피부나 동물 모델을 이용한 광노화와 주름형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광노화와 주름형성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피부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 (collagen)의 합성, 분해 등의 기초적인 생리 대사 변화를 검토한 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Brenneisen et al., Ann. N. Y. Acad. Sci., 2002:973:31-43).
상기 광노화의 기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피부가 많은 양의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는 높은 농도의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가 생성되고 피부의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계를 붕괴시킨다. 이로 인해 피부조직의 주 단백질인 콜라겐(collagen)이 현저히 감소된다. 상기 콜라겐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 분해효소-1(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이다. 상기 효소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basement membrane)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써 자외선 조사에 의해 피부내의 콜라겐 분해효소-1 활성이 증가되어 콜라겐을 현저하게 붕괴시킴으로써 주름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Sim G.S. et al.,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5:20(1):40-45).
현재 개발되고 있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항노화를 위한 유효성분들은 일부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거나 매우 불안정하고, 피부로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특별한 안정화 시스템과 전달체계가 필요하며, 피부주름의 개선효과가 가시적이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최근 레티노이드(retinoid)를 함유한 피부보호제로 관심이 점차 집중되고 있다. 상기 레티노이드는 일광으로 축적된 결과인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처짐, 탄력 감소 등의 광노화 현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티노이드는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로 자외선, 수분, 열, 산소에 민감하여 쉽게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콜라겐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천연물을 찾고자 장기간 탐색한 결과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및 이에 포함된 플라본계 화합물이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고,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며, 피부 보습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02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주름개선, 항노화, 피부탄력 증진 또는 피부 보습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03
상기 화학식 1은 5,7-디메톡시플라본이며, 상기 화학식 2는 5,7,4`-트리메톡시플라본이며, 상기 화학식 3은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으로 모두 플라본계 화합물에 속하는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은 화학적 합성방법에 의하여 합성되거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혹은 다른 식물로 부터 추출되어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캠페리아 파비플로라는 생강과(Zingiberaceae family)의 식물의 일종으로서 블랙 진저(Black ginger)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은 플라본계 화합물 특히, 다량의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포함한다(이하, 상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및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통칭하여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이라 함).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 및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은 건조시킨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근경(rhizome)을 식품가공에 적합한 정제수, 에탄올 및 아임계수 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거나,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식물을 직접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은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캠페리아 파비플로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캠페리아 파비플로라의 추출물로부터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추출 및 분리 정제 방법이 반드시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중 5,7-디메톡시플라본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실리카겔을 충진한 컬럼에 적재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10:0.5 (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분리하여 분리 순서에 따라 총 5개의 분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5개의 분획 중 3번째 분획을 다시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70% 메탄올로 분리하여 분리 순서에 따라 총 2개의 분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2개 분획 중 2번째 분획을 다시 실리카겔을 충진한 컬럼에 적재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10:0.4 (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분리하여 분리 순서에 따라 총 2개의 분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2개의 분획 중 1번째 분획을 농축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중 5,7,4`-트리메톡시플라본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실리카겔을 충진한 컬럼에 적재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10:0.5 (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분리하여 분리 순서에 따라 총 5개의 분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5개의 분획 중 4번째 분획을 다시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70% 메탄올로 분리하여 분리 순서에 따라 총 2개의 분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2개 분획 중 2번째 분획을 농축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중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실리카겔을 충진한 컬럼에 적재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10:0.5 (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로 분리하여 분리 순서에 따라 총 5개의 분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5개의 분획 중 3번째 분획을 다시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70% 메탄올로 분리하여 분리 순서에 따라 총 2개의 분획으로 분리하고, 상기 2개 분획 중 1번째 분획을 농축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은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며,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자외선으로 콜라겐 분해효소-1의 생성을 촉진시킨 후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을 투여하여 콜라겐 분해효소-1의 생성을 억제시키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은 콜라겐 분해효소-1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인간 섬유아세포에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을 투여하여 배양한 후 콜라겐 생성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억제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콜라겐 분해효소의 활성 증가 및 이에 따른 피부의 주요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붕괴는 피부 주름을 발생시키고, 노화를 촉진시키며, 피부 탄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콜라겐분해효소를 억제하고 콜라겐 생성을 촉진을 통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주름형성을 억제하고, 노화를 억제하며, 피부 탄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수분 손실을 억제하는 피부 보습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UV로 광노화를 유발한 생쥐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도포 또는 경구투여하여 피부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도포 또는 경구투여한 경우 주름이 개선되고, 피부탄력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수분 손실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은 주름개선, 항노화, 피부탄력 증진 및 피부 보습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식이보조제(dietary supplements), 의약품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이외에도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바디크림,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트리트먼트, 미용액,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 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 식품으로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과 주름개선, 항노화, 피부탄력 증진 및 피부 보습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의 바람직한 함량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은 그 자체, 이의 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은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탄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는 0.01 내지 200 mg/day/kg 체중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 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면, 경피, 비강, 복강, 근육, 피하 또는 정맥 등의 여러 경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의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효소를 억제하고,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 피부의 주름 개선, 항노화 및 피부 탄력 증진에 효과적이며, 피부 수분 손실을 억제하는 효능이 뛰어나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캠페리아 파비플로라에서 주름개선 활성물질을 분리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5,7-디메톡시플라본의 1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5,7-디메톡시플라본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5,7-디메톡시플라본의 EI/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5,7,4`-트리메톡시플라본의 1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5,7,4`-트리메톡시플라본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5,7,4`-트리메톡시플라본의 EI/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의 1H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의 13CNMR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의 EI/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켐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UV로부터 유도된 콜라겐 분해효소-1의 억제효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무모생쥐의 피부에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켐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도포한 후 피부주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은 무모생쥐의 피부에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켐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도포한 후 Rt, Rm, Rz, Ra 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측정 단위는 마이크로미터(um)이며, Rt값은 피부 표면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의 거리, Rm값은 5부위 측정치 중 Rt의 가장 큰 값, Rz값은 5부위 측정치 Rt 평균, Ra값은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를 의미한다.
도 14는 무모생쥐의 경구에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켐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후 피부주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5는 무모생쥐의 경구에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켐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후 Rt, Rm, Rz, Ra 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측정 단위는 마이크로미터(um)이며, Rt값은 피부 표면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의 거리, Rm값은 5부위 측정치 중 Rt의 가장 큰 값, Rz값은 5부위 측정치 Rt 평균, Ra값은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근경(rhizome)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시료 100g을 에탄올 1L에 넣고 48시간 상온에서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5,7-디메톡시플라본 분리 및 구조결정
<2-1> 5,7-디메톡시플라본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농축된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실리카겔을 6x15 cm로 충진한 컬럼에 적재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10:0.5 (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 순서에 따라서 총 5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획을 농축 건조하였다. 5개의 분획 중 3번 분획(분획 3)을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ichroprep RP-18 25~40um, Merck & Co., 미국)를 이용하여 전개 용매 70% 메탄올로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 순서에 따라서 총 2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농축 건조하였다. 상기 2개의 분획 중 2번 분획(분획 3-2)을 실리카겔을 6x15 cm로 충진한 컬럼에 적재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10:0.4 (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취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2개의 분획 중 1번 분획 (분획 3-2-1)을 농축 건조시켜 순수한 피부 주름 개선 활성 물질을 분리하였고 분리과정을 [도 1]에 도시하였다.
<2-2> 5,7-디메톡시플라본 구조결정
상기 <2-1>에서 분리된 단일 활성물질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1H-NMR 스펙트럼과 13C-NMR 스펙트럼을 각각 500 MHz 와 125 MHz (용매: CDCl3)에서 측정하였다. 수득된 1H-NMR 스펙트럼과 13C-NMR스펙트럼의 결과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질량분석을 위해 측정한 EI/MS의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본 화합물은 EI/MS에서 [M]가 m/z 282에서 관측되어 분자량이 282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1H-NMR, 13C-NMR, 및 EI/MS에 대한 결과와 기존에 발표된 연구보고(Sutthanut K. et al., J. Chromatography A, 2007:1143:227-233)를 비교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상기에서 분리된 단일물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7-디메톡시플라본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04
<실시예 3>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분리 및 구조결정
<3-1> 5,7,4`-트리메톡시플라본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농축된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실리카겔을 6x15cm로 충진한 컬럼에 적재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을 10:0.5 (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 순서에 따라서 총 5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획을 농축 건조하였다. 5개의 분획 중 4번 분획(분획 4)을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ichroprep RP-18 25~40um, Merck & Co., 미국)를 이용하여 전개 용매 70% 메탄올로 분취하였다. 70% 메탄올을 전개 용매로 이용하여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 순서에 따라서 총 2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농축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2번 분획 (분획 4-2)을 농축 건조시켜 순수한 피부 주름 개선 활성 물질을 분리하였고 분리과정을 [도 1]에 도시하였다.
<3-2> 5,7,4`-트리메톡시플라본 구조결정
상기 <3-1>에서 분리된 단일 활성물질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1H-NMR 스펙트럼과 13C-NMR 스펙트럼을 각각 500 MHz 와 125 MHz (용매: CDCl3)에서 측정하였다. 수득된 1H-NMR 스펙트럼과 13C-NMR스펙트럼의 결과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질량분석을 위해 측정한 EI/MS의 결과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본 화합물은 EI/MS에서 [M]가 m/z 312에서 관측되어 분자량이 312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1H-NMR, 13C-NMR, 및 EI/MS에 대한 결과와 기존에 발표된 연구보고(Sutthanut K. et al., J. Chromatography A, 2007: 1143:227-233)를 비교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상기에서 분리된 단일물질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5,7,4`-트리메톡시플라본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05
<실시예 4>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분리 및 구조결정
<4-1>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분리
상기 <실시에 1>에서 얻은 농축된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실리카겔을 6x15cm로 충진한 컬럼에 적재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메탄올을 10:0.5 (v/v)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 순서에 따라서 총 5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획을 농축 건조하였다. 5개의 분획 중 3번 분획(분획 3)을 Rp-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ichroprep RP-18 25~40um, Merck & Co., 미국)를 이용하여 전개 용매 70% 메탄올로 분취하였다. 70% 메탄올을 전개 용매로 이용하여 분취하였다. 상기 분취 순서에 따라서 총 2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농축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1번 분획(분획 3-1)을 농축 건조시켜 순수한 피부 주름 개선 활성 물질을 분리하였고 분리과정을 [도 1]에 도시하였다.
<4-2>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구조결정
상기 <4-1>에서 분리된 단일 활성물질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1HNMR 스펙트럼과 13CNMR 스펙트럼을 각각 500 MHz 와 125 MHz(용매: CDCl3)에서 측정하였다. 수득된 1HNMR 스펙트럼과 13CNMR스펙트럼의 결과는 [도 8]과 [도 9]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분리된 단일물질의 질량분석을 위해 측정한 EI/MS의 결과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본 화합물은 EI/MS에서 [M]가 m/z 372에서 관측되어 분자량이 372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1HNMR, 13CNMR, 및 EI/MS에 대한 결과와 기존에 발표된 연구보고(Sutthanut K. et al., J. Chromatography A, 2007:1143:227-233)를 비교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상기에서 분리된 단일물질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3,5,7,3`,4`-트리메톡시플라본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06
<실시예 5>
UV로 유도된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통해 얻은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의 콜라겐 분해효소-1(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먼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 아세포를 5,000 세포/ 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각각 20 uM,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추출물을 20ug/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UV조사기를 이용하여 15mJ을 조사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각각 20 uM,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추출물을 20 ug/ml 농도로 추가로 처리하였다. 24시간 경과한 다음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하고 상등액만 수확하였다.
이후, 채취한 상등액으로부터 콜라겐 분해효소-1 측정키트(QIA55, Merch & Co., 미국)를 이용하여 콜라겐 분해효소-1 생성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콜라겐 분해효소 1차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상기 세포배양액을 넣고 2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상온에서 실시하였다. 2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1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시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30분간 발색을 유발시킨 후 다시 종결버퍼를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이 콜라겐 분해효소-1 억제효능에 뛰어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콜라겐 생성 증진 효능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통해 얻은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콜라겐 생성 증진 효능을 측정하였다.
먼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 아세포를 5,000 세포/ 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각각 20 uM,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추출물을 20ug/ml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UV조사기를 이용하여 15mJ을 조사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각각 20 uM,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추출물을 20 ug/ml 농도로 추가로 처리하였다. 24시간 경과한 다음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하고 상등액만 수확하여, 콜라겐 합성의 지표가 되는 펩타이드(procollagen type-Ⅰ C-peptide, PIP)를 ELISA 키트(MK101, Takara Bio Ink., 일본)를 이용하여 콜라겐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프로콜라겐에 대한 마우스 단클론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퍼록시다제(peroxidase)로 표지한 항체-PIP 컨쥬게이트를 넣어 반응시킨다. 그 후 채취한 상기 세포배양액을 넣고 37℃ 인큐베이터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기질용액을 넣어 발색시킨다. 실온에서 15분 방치 후 반응중지용액을 넣어 반응을 중지시키고 흡광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이 콜라겐 생성에 대한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07
<실시예 7>
UV로부터 유도된 주름에 대한 생체 내(In vivo) 주름개선효과 실험
<7-1> 피부에 도포한 경우
6 주령 된 암컷 무모생쥐(Hos:HR-1) 48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무작위로 각 군당 8 마리씩 6군으로 나누었다. 무모생쥐는 8주 동안 자외선에 노출시켰다. 이때, 자외선 조사량은 1주일에 3번씩 각각 1MED (1 MED=50 mJ/cm2)씩 조사하였고 4 MED까지 증가시킨 후 시험 종료까지 유지하였다. 시험군은 자외선 무처리군, 자외선 처리군, 자외선+5,7-디메톡시플라본(1 mM) 처리군, 자외선+ 5,7,4`-트리메톡시플라본(1 mM) 처리군, 자외선+3,5,7,3`4` -펜타메톡시플라본(1 mM) 처리군, 자외선+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추출물 (0.1%) 처리군 등 총 6군으로 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에탄올:폴리에틸렌 글리콜(7:3 v/v)에 녹여 8주간 매일 50 ul씩 등 부위에 도포하였으며, 자외선 무처리군과 자외선 처리군은 에탄올:폴리에틸렌 글리콜(7:3 v/v)을 50 ul씩 도포하였다. 주름 생성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리콘폴리머(SILFLO Impression Material, Flexico, England)를 이용하여 피부주형(replica)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피부주형은 이미지파일로 저장된 주름 그림자 명암 영상을 컴퓨터 영상 분석 시스템인 Skin Visiometer SV 600 소프트웨어(Courage+Khazaha Elecronic, Kln, 독일)를 이용하여 Rt(피부 표면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의 거리), Rm(5부위 측정치 중 Rt의 가장 큰 값), Rz(5부위 측정치 Rt 평균), Ra(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값)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2]및 [도 13]에 기재하였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5,7-디메톡시플라본 처리군, 5,7,4`-트리메톡시플라본 처리군, 3,5,7,3`4` -펜타메톡시플라본 처리군,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추출물 처리군은 자외선 처리군에 비하여 주름 생성량이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주름 생성정도를 나타내는 Rt, Rm, Rz, Ra 값도 5,7-디메톡시플라본 처리군, 5,7,4`-트리 메톡시플라본 처리군, 3,5,7,3`4` -펜타메톡시플라본 처리군,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추출물 처리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p<0.05).
상기 결과를 통해 5,7-디메톡시플라본, 5,7,4`- 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 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7-2> 구강에 투여한 경우
상기 <실시예 7-1>의 자외선에 노출된 무모 생쥐에 5,7-디메톡시플라본(50 mg/kg /day), 5,7,4`-트리메톡시플라본(50 mg/kg/day),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50 mg/kg/day)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200 mg/kg/day)를 Tween 80이 5 % 포함된 0.5 %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용액에 녹여 8주간 매일 경구 반복투여 하였다. 이때 대조군인 자외선 무처리군과 자외선 처리군은 0.5%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용액을 투여하였다. 상기 투여 후 주름 생성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리콘폴리머(SILFLO impression material, Flexico,England)를 이용하여 피부주형(replica)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피부주형은 이미지파일로 저장된 주름 그림자 명암 영상을 컴퓨터 영상 분석 시스템인 Skin Visiometer SV 600 소프트웨어(Courage+Khazaha Elecronic, Kln, 독일)를 이용하여 Rt, Rm, Rz, Ra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4] 및 [도 15]에 기재하였다.
그 결과, 상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5,7-디메톡시플라본 처리군, 5,7,4`-트리메톡시플라본 처리군,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처리군,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추출물 처리군은 자외선 처리군에 비하여 주름 생성량이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주름 생성정도를 나타내는 Rt, Rm, Rz, Ra 값도 5,7-디메톡시플라본 처리군, 5,7,4`-트리메톡시플라본 처리군, 3,5,7,3`4` -펜타메톡시플라본 처리군,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p<0.05).
상기 결과를 통해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 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마우스의 구강에 투여한 경우에도 주름 생성량이 크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8>
UV로부터 유도된 표피 수분 손실량 개선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통해 얻은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의 표피 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개선 효능을 측정하였다.
<8-1> 피부에 도포한 경우
상기 <실시예 7-1>의 무모생쥐 등 부위 피부에서 Tewameter (TM300, Courage+Khazaha Elecronic, Kln, 독일)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처리군은 자외선 무처리군에 비해 현저한 표피 수분 손실량 증가를 보였다. 반면에,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은 자외선 처리군에 비하여 표피 수분 손실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수분 손실을 효율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보습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38
<8-2> 구강에 투여한 경우
상기 <실시예 7-2>의 무모생쥐 등 부위 피부에서 Tewameter (TM300, Courage+Khazaha Elecronic, Kln, 독일)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처리군은 자외선 무처리군에 비해 현저한 표피 수분 손실량 증가를 보였다. 반면에,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은 자외선 처리군에 비하여 표피 수분 손실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을 마우스의 구강에 투여한 경우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수분 손실을 효율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보습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39
<실시예 9>
피부 탄력도 개선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를 통해 얻은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탄력(skin elasticity) 개선 효능을 측정하였다.
<9-1> 피부에 도포한 경우
상기 <실시예 7-1>의 무모생쥐 등 부위 피부에서 Cutometer (MPA 580, Courage+Khazaha Elecronic,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여 자외선 무처리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처리군은 자외선 무처리군에 비해 현저한 피부 탄력도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은 자외선 처리군에 비하여 피부 탄력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은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0
<9-2> 구강에 투여한 경우
상기 <실시예 7-2>의 무모생쥐 등 부위 피부에서 Cutometer (MPA 580, Courage+Khazaha Elecronic, Kln,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여 자외선 무처리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 처리군은 자외선 무처리군에 비해 현저한 피부 탄력도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은 자외선 처리군에 비하여 피부 탄력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은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1
<제형예 1 - 화장품>
<1-1 ~ 1-4> 영양화장수(밀크로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하기 [표 6]의 영양화장수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2
<1-5 ~ 1-8>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하기 [표 7]의 유연화장수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3
<1-9 ~ 1-12> 영양크림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하기 [표 8]의 영양크림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4
<1-13 ~ 1-16> 마사지크림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하기 [표 9]의 마사지크림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5
<1-17 ~ 1-20> 팩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하기 [표 10]의 팩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6
<1-21 ~ 1-24> 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을 하기 [표 11]의 젤 제형 비율대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7
<제형예 2 - 식품>
<2-1> 건강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1000 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u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u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u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ug, 판토텐산 칼슘 0.5 mg,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3> 츄잉껌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2-4> 캔디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2-5> 비스켓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늄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₁0.0001 중량%, 비타민 B₂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1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 의약품>
<3-1> 산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50 mg, 결정셀룰로오즈 2 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산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3-2> 정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5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3> 캡슐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펜타메톡시플라본 30 mg, 유청단백질 10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3-4> 주사제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활성성분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에탄올 추출물 또는 5,7-디메톡시플라본, 5,7,4`-트리메톡시플라본, 3,5,7,3`4`- 펜타메톡시플라본 100 mg, 주사용 증류수, pH 조절제 를 혼합하여 2 ml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효소를 억제하고,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뛰어나 피부의 주름 개선, 항노화 및 피부 탄력 증진에 효과적이며, 피부 수분 손실을 억제하는 효능이 뛰어나 피부 보습에 효과적이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8
  2.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Figure 112012500279741-pat00019
  3.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항노화 및 피부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112012500279741-pat00020
  4.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2500279741-pat00021
  5.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플라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플라본계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Figure 112012500279741-pat00022
  6.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에 의한 주름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에 의한 주름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용 식품 조성물.
  8.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에 의한 주름개선 및 피부탄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9.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에 의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에 의한 피부 보습용 식품 조성물.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페리아 파비플로라(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 및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6개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20007460A 2011-01-21 2012-01-25 플라본계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KR101434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38 2011-01-21
KR20110006338 2011-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216A KR20120085216A (ko) 2012-07-31
KR101434653B1 true KR101434653B1 (ko) 2014-08-26

Family

ID=4651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460A KR101434653B1 (ko) 2011-01-21 2012-01-25 플라본계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48504A1 (ko)
JP (1) JP2014508139A (ko)
KR (1) KR101434653B1 (ko)
CN (1) CN103547250A (ko)
WO (1) WO201209944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464A (ko) 2017-09-01 2019-03-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9081A4 (en) * 2011-12-27 2015-06-24 Tokiwa Phytochemical Co Ltd SIRTUIN ACTIVATOR
JP6010482B2 (ja) * 2013-02-27 2016-10-19 株式会社東洋新薬 経口用組成物
JP2015027998A (ja) * 2013-06-24 2015-02-12 株式会社東洋新薬 保湿剤、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trpv4発現上昇剤、細胞内カルシウム濃度上昇剤、細胞内カルシウム濃度上昇剤、脂質合成促進剤、血流改善剤及びクマ改善剤
SG11201609243SA (en) * 2014-05-09 2016-12-29 Suntory Holdings Ltd Fat or oil extract of black ging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909559B2 (ja) * 2016-03-31 2021-07-28 株式会社アンチエイジングコミュニケーション Oph活性増強剤
JP6241631B2 (ja) * 2016-09-13 2017-12-06 株式会社東洋新薬 経口用組成物
JP2017088616A (ja) * 2017-02-09 2017-05-25 株式会社東洋新薬 黒生姜含有組成物
JP6518744B2 (ja) * 2017-10-23 2019-05-22 株式会社東洋新薬 経口用組成物
EP3870311A4 (en) 2018-10-26 2022-12-28 Galanin, Ivan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TO PROMOTE OPTIMAL COMPOSITION OF DERMAL WHITE ADI IN VIVO
JP2019142923A (ja) * 2019-04-22 2019-08-29 株式会社東洋新薬 経口用組成物
US20210030830A1 (en) 2019-07-31 2021-02-04 Tokiwa Phytochemical Co., Ltd. Composition for improving quantity of tear fluid, composition for improving constipation,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quality
KR102453894B1 (ko) * 2020-09-15 2022-10-11 (주)아모레퍼시픽 캄페롤 배당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1790A (ja) 2007-08-29 2009-03-12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酸化剤、抗老化剤、抗炎症剤、育毛剤、抗肥満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346A (ja) * 1994-12-07 1996-06-18 Shiseido Co Ltd 紫外線吸収性皮膚化粧料
KR100833805B1 (ko) * 2000-04-19 2008-05-30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품 조성물
KR20040107713A (ko) * 2003-06-10 2004-12-23 대한민국 (부경대학교총장)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CN100415731C (zh) * 2004-12-30 2008-09-0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治疗b型肝炎的化合物及其医药组合物
JP2009067731A (ja) * 2007-09-14 2009-04-02 Office K:Kk 冷え性改善用組成物
US20120065272A1 (en) * 2007-10-17 2012-03-15 Newtree Co., Ltd.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US20110091387A1 (en) * 2007-11-15 2011-04-2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skin damage
JP5756264B2 (ja) * 2010-05-06 2015-07-29 日本タブレット株式会社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及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並びに該阻害剤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1790A (ja) 2007-08-29 2009-03-12 Maruzen Pharmaceut Co Ltd 抗酸化剤、抗老化剤、抗炎症剤、育毛剤、抗肥満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 Vichitphan, K Vichitphan, P Sirikhansaeng,.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rachai-Dum(Kaempferia parviflora) Wine. KMITL Sci. Tech. J. Vol. 7, No. S2, pp 97-105. (2007. 1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464A (ko) 2017-09-01 2019-03-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9449A3 (ko) 2012-12-06
US20140148504A1 (en) 2014-05-29
WO2012099449A2 (ko) 2012-07-26
CN103547250A (zh) 2014-01-29
JP2014508139A (ja) 2014-04-03
KR20120085216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653B1 (ko) 플라본계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KR101851625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714434B1 (ko) 퓨코스테롤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20160138926A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6564134B2 (ja) モルシン、クワノンジ又は桑白皮を含有する筋肉疾患予防及び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JP5931944B2 (ja) パンドラチン誘導体またはこれを含有するケンフェリアパンドラタ抽出物の新規な用途
KR102124986B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65059B1 (ko) 개미취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419464B1 (ko)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JP5027361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20150086681A (ko) 히드록시 피라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4426A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05015364A (ja) 抗酸化組成物、皮膚老化防止用組成物、抗炎症組成物及び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JP6456032B2 (ja) Sirt1活性化剤および当該Sirt1活性化剤の利用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60927B1 (ko) 런시나트사이드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30096823A (ko) 황새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2026094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ctinidia polygama extract for alleviating skin damage or moisturizing skin
KR20160024069A (ko) 참외 줄기 또는 오이 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40081842A (ko) 유색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5502A (ko) 키레놀 또는 시게스벡키아 푸베센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