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05B1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 Google Patents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605B1
KR101434605B1 KR1020140027964A KR20140027964A KR101434605B1 KR 101434605 B1 KR101434605 B1 KR 101434605B1 KR 1020140027964 A KR1020140027964 A KR 1020140027964A KR 20140027964 A KR20140027964 A KR 20140027964A KR 101434605 B1 KR101434605 B1 KR 101434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afety
underwater
safety diagnostic
diagnosis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갑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27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means of a grating deformed by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5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의 상면 또는 지상에서 수중에 위치한 수중구조물의 외관을 손쉽게 촬영하고, 이를 통해 상기 수중구조물의 표면상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에 관한 것으로, 잠수부 인력을 투입하거나 잠수정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대 등을 사전에 설치하지 않아도, 작업자는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의 상면 또는 지상에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외관 탐상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의 상면 또는 지상에서도 수중의 탐상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해서 촬영할 수 있으므로 탐상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부담하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하중을 최소화해서 장시간에 걸친 탐상 작업 또한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MEASUREMENT METHOD FOR UNDERWATER STRUCTURE AND MEASUREMENT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의 상면 또는 지상에서 수중에 위치한 수중구조물의 외관을 손쉽게 촬영하고, 이를 통해 상기 수중구조물의 표면상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교각, 제방, 침하방지블록, 취입보 등의 수중구조물은 철근과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되므로, 유력을 갖는 하천수 등의 침식작용에 의해서 구조물의 외벽이 마모 및 침식되고, 이를 통해 수중구조물이 갖는 지지력 및 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또한, 상기 수중구조물 자체의 중력에 의해서 수중구조물의 수직축 방향으로 과대한 응력이 생기게 되어 콘크리트의 이탈 및 유실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상기 수중구조물의 콘크리트 이탈에 따른 철근의 부식 또한 더불어 발생하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수중구조물은 하천수 등의 유속과 인근에서 발생하는 와류 현상 등에 의한 마모 및 침식으로 부분적인 훼손과 파손이 발생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상기 수중구조물의 붕괴는 불가피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이상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이상 발생시 해당 지점에 대한 적절한 보수 및 보강공사를 진행했다.
수중구조물의 이상 여부를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종래 진단 방법에는 수중에 잠수부를 직접 투입해서 상기 수중구조물을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잠수부가 직접 잠수해야 한다는 작업의 불편과, 잠수부가 잠수를 하더라도 잠수부가 현재 촬영하는 위치에 대한 정확한 확인이 곤란하다는 정밀성의 한계가 있었다. 결국, 대상 수중구조물의 마모 및 침식부위를 도면에 정확하게 표기할 수 없고, 이를 통해서 문제가 있는 부분을 정확히 추적하는데 적지않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 또한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음파를 이용한 수중구조물 진단장치가 제안되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78349호(2002.10.18; 이하 '선행공보')에 개시된 '초음파를 이용한 수중구조물 진단장치'에는 선행공보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사 잠수정(10)의 상,하측으로 환형 지지부(30)가 설치되고, 구동모터(20)가 설치된 지지편(31)이 일체로 연설되며, 상기 지지편(31) 단부에는 승강 지지봉(5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20)에는 인장 와이어(21)가 연설되어, 초음파 수중 탐상기(60)가 고정된 환형 지지부(40)와 연결 설치되는 구성을 이룬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종래 수중 초음파 탐사장치는, 수중구조물의 탐사를 위한 탐사 잠수정을 설치하기 위해서, 잠수부가 필수적으로 수중에 잠수해서 상기 수중 초음파 탐사장치를 설치해야 했다. 이를 통해 상기 초음파 탐사 잠수정은 구동모터(20)를 이용하여 승강 지지봉(50)을 상,하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서 초음파 수중 탐상기(60)가 상하로 이동되어 수중 구조물을 탐상했다.
그러나, 종래 초음파 수중 탐상기(60)는 그 설치를 위해서 잠수부가 수중에 투입되어 별도의 설치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상기 설치작업은 잠수부의 숙달 정도에 의존해야 하므로 수중구조물의 균일한 탐사결과를 이룰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외에도 종래 초음파 수중 탐상기(60)는 수심에 맞춰 종래 초음파 수중 탐상기(60)를 조절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고, 이로 인해서 지정된 수심을 벗어나서 대상 수중구조물의 탐상을 진행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78349호(2002.10.18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의 상면 또는 지상에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외관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고, 해당 탐상 작업 중에도 작업자는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안전하면서도 정밀한 외관 탐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중구조물에 대한 마모 또는 침식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와, 수면을 향해서 상기 발판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구성된 막대 형상의 핸들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한 안내부와, 상기 발판부와 안내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갖춘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를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핸들을 상기 가이드 홀에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촬영장치의 촬영방향이 수중구조물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를 잠수시키는 제2단계; 및
작업자가 상기 발판부를 디딘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를 구동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
수면을 향해서 상기 발판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구성된 막대 형상의 핸들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한 안내부; 및
상기 발판부와 안내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이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막대 형상의 핸들이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촬영장치; 및
수중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구르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잠수부 인력을 투입하거나 잠수정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대 등을 사전에 설치하지 않아도, 작업자는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의 상면 또는 지상에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외관 탐상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의 상면 또는 지상에서도 수중의 탐상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해서 촬영할 수 있으므로 탐상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부담하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하중을 최소화해서 장시간에 걸친 탐상 작업 또한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는 용이한 휴대가 가능하므로, 탐상 작업에 대한 시간과 장소의 구애가 적어서 재촬영 또한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들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들을 활용해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핸들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작업자의 활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작업자의 다른 활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활용모습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들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들을 활용해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는 작업자가 디디고 서서 촬영위치를 잡기 위한 기준용 발판으로 활용되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과, 수중에 잠수시켜서 수중구조물(S)의 외관을 촬영하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제어하는 콘솔박스(300)를 포함한다.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S)의 상면 또는 지상(이하 '대상 수중구조물의 상면')에 안착되어 작업자가 디딜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대상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 직접 안착되는 발판부(110)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하중을 분담하도록 발판부(110)로부터 수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 안내부(120)와, 발판부(110)와 안내부(120) 사이에서 수중 구조물(S)의 측면과 밀착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부(130)로 구성된다.
발판부(110)는 작업자가 디딜 수 있는 판 형상을 이루며, 지지력을 보장하기 위해서 외력에 대응한 휨강도가 큰 재질 또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대상 수중구조물(S)에 대한 기준대 역할을 하므로, 발판부(100)의 폭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좌우 촬영범위보다 좁게 형성된다. 아울러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발판부(110)는 대상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서 이동하면서 탐상 지점을 맞추므로, 발판부(110)는 이동시 그 기준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120)는 발판부(110)로부터 수면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에 구성된 막대 형상의 핸들(250)이 이동가능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발판부(110)와 같이 작업자가 디딜 경우 쉽게 휘지 않는 재질 또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안내부(120)는 핸들(250)이 관통하도록 천공된 가이드 홀(123)로 구성된다.
안내부(120)는 발판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디딜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작업자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핸들(250)을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에서 분리할 경우 한 발은 발판부(110)를 디디고 다른 한 발은 안내부(120)를 디딜 수 있다. 물론,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구조상 작업자는 발판부(110)만을 디디는 것이 안전하며, 이를 시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해서 발판부(110)와 안내부(120) 사이에 경고선(L)을 표시할 수 있다. 발판부(110)와 안내부(120)는 기능적으로만 분리할 뿐, 실질적으로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가이드 홀(123)은 안내부(120)의 일 지점에서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홀(123)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핸들(250)이 측방으로 삽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가이드 홀(123)의 개구 방향은 작업자를 기준으로 전방이 될 수도 있고, 좌,우측방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촬영 위치가 좌우 측방으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가이드 홀(123)의 개구 방향은 작업자를 기준으로 전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c)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이드 홀(123)에 삽입된 핸들(250)이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 없이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123)의 내면에 스토퍼(SP)를 형성시킨다. 스토퍼(SP)는 가이드 홀(123)의 폭이 좁아지도록 해서, 핸들(250)이 스토퍼(SP)가 형성된 구역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외력이 필요하도록 한다. 결국, 작업자는 핸들(250)을 가이드 홀(123)에 삽입할 경우 스토퍼(SP)를 통과하기 위해서 일정량 이상의 힘을 가해 끼우고, 끼운 후 핸들(250)은 스토퍼(250)에 의해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촬영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종료 후 작업자는 핸들(250)을 다시 분리하기 위해서 일정량 이상의 힘을 가해 분리한다.
지지부(130)는 발판부(110)와 안내부(120)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서 수중구조물(S)의 측면과 접하도록 된다. 결국, 대상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 안착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서 현 위치를 고수하고, 더불어 지지부(130)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가 수면을 향한 회전하려는 편력을 제한해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가 안정적으로 제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130)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발판부(110) 및 안내부(120)와 수직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이루어야 하고, 이를 위해 안내부(120)의 저면과 지지부(130)의 측면을 연결해 지지하는 지지보(131)가 보강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발판부(110)를 딛고 서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가 대상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제 위치를 유지하고, 발판부(110)로부터 돌출된 안내부(120)를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핸들(25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좌우로의 이탈 없이 수중에서 곧은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렇게 이동하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는 작업자가 수면에 근접하지 않아도 그 조작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수중구조물(S)에 대해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인 탐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는 대상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서 작업자가 제어해야 하며, 이를 위해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촬영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ON/OFF를 제어하는 콘솔박스(300)가 더 포함된다.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는 작업자의 수작업 조작을 통해서 위치 또는 잠수 깊이 등이 조절되고, 작업자가 제어하는 콘솔박스(300)에 의해서 탑재 장비들의 구동이 제어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는 수중 촬영을 위한 촬영장치(230)가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조명장치(240, 240')가 보강될 수 있는데, 콘솔박스(300)는 촬영장치(230)와 조명장치(240, 240')의 ON/OFF 등을 제어하며, 전원의 공급 여부 등 또한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콘솔박스(300)는 전원모듈과 제어모듈과 출력모듈과 기록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모듈은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 등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수신해서 이를 변압 및 배전한다. 여기서, 외부 배터리 또는 전원 등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수신하는 접속수단인 커넥터가 콘솔박스(300)의 함체에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출력모듈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촬영장치(230)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해서 모니터를 통해 해당하는 촬영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는 상기 함체에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기록모듈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촬영하는 촬영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일반 비디오 또는 CD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상기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모니터에 출력되는 촬영이미지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이미지일 수도 있고, 상기 기록모듈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촬영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전원모듈, 출력모듈 및 기록모듈의 ON/OFF는 물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함체에는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가 노출되게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콘솔박스(300)의 전원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제어신호와 더불어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에 전송되고, 상기 전기에너지는 배터리(232)에 충전되며, 배터리(232)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는 촬영장치(230)의 카메라(231)와 조명장치(240, 240')의 구동을 위해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어신호는 촬영장치(230)와 조명장치(240, 240')의 제어를 위해 촬영장치(230)와 조명장치(240, 240')에 전송되도록 배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콘솔박스(300)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그 사용이 손쉽도록 하기 위해서, 전원모듈과 출력모듈과 기록모듈과 제어모듈로 구성된 콘솔박스(300)를 가방 형상의 함체에 내장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가방 형상의 함체를 휴대하면서 수중구조물(S)에 대한 상태를 수상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발판부(110)는 대상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서 이동하면서 탐상 지점을 맞추므로, 발판부(110)는 이동시 그 기준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중구조물(S)의 일측면에 대한 탐상 작업이 완료되면 인접 측면에 대한 탐상 작업을 속행하는데, 이때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들 전체를 이동시킨다. 도 5(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동 전에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가 위치했던 곳에서 바로 옆자리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을 이동시키고, 여기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배치 위치를 맞추기 위해서 이동 전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가 이동 후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우측 또는 좌측 가장자리와 맞춰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의 형상은 각각 서로 맞춰질 수 있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장자리가 직선형태를 이루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서, 안내부(120')는 발판부(110)와 연결되는 보조발판(121)과, 보조발판(121)과 힌지(122a)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부재(122)와, 핸들(250)이 관통하도록 천공된 가이드 홀(123)과, 닫힌 개폐부재(122)가 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잠금쇠(124)로 구성된다. 이는 측방으로 개구된 가이드 홀(123)이 폐구된 구조를 이루도록 해서, 핸들(250)에 대한 구속력을 보강한다.
보조발판(121)은 발판부(1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디딜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작업자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핸들(250)을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에서 분리할 경우 한 발은 발판부(110)를 디디고 다른 한 발은 보조발판(121)을 디딜 수 있다. 물론,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구조상 작업자는 발판부(110)만을 디디는 것이 안전하며, 이를 시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해서 발판부(110)와 보조발판(121) 사이에 경고선(L)을 표시할 수 있다. 발판부(110)와 보조발판(121)은 기능적으로만 분리할 뿐, 실질적으로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개폐부재(122)는 가이드 홀(123)을 관통하는 핸들(250)을 안내부(120)로부터 측방으로 분리하거나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며, 이를 위해 힌지(122a)를 매개로 보조발판(121)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 홀(123)은 안내부(120)의 일 지점에서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보조발판(121)과 개폐부재(122)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힌지(122a)를 중심으로 개폐부재(122)를 회동시켜서 보조발판(121)으로부터 이격시키면, 가이드 홀(123)은 보조발판(121)의 측방으로 개방된다. 결국,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핸들(25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가이드 홀(123)과 삽탈할 수도 있고, 개폐부재(122)를 이동시켜서 측방으로 삽탈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핸들(250)을 가이드 홀(123)에 삽입한 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122)를 회동시켜 가이드 홀(123)을 닫으면, 핸들(250)은 가이드 홀(123) 내에서 길이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된다.
가이드 홀(123)은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보조발판(121)과 개폐부재(122) 사이에 형성되며, 그 형상은 핸들(25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핸들(250)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므로, 가이드 홀(123) 또한 원형으로 제작했다. 가이드 홀(123)이 원형인 경우 가이드 홀(123)은 보조발판(121)과 개폐부재(122)에 각각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핸들(250)의 단면 형상이 사각 등의 다른 형상인 경우, 가이드 홀(123) 또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성 위치 또한 가이드 홀(123)와 보조발판(121)의 반반이 아닌 둘 중 하나에 한정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핸들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에 구성된 핸들(2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120')가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에 형성되어서, 수중구조물(S)의 탐상을 위한 작업 위치를 가이드하고, 아울러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자중을 작업자가 모두 부담하지 않고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가 함께 분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안내부(120')에 형성된 가이드 홀(123)은 가이드 홀(123)의 둘레를 따라 계단 형태로 형성된 걸림턱(123a)을 구성한다. 이에 대응해서 핸들(250)의 둘레에 일정한 깊이로 절개된 걸림홈(252a)이 형성된다. 더불어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홈(252a)을 탈부착 가능하게 감싸면서 걸림턱(123a)과 맞물리는 플랜지(260)를 더 포함한다.
플랜지(260)의 동작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랜지(260)는 핸들(250)을 감쌀 수 있는 링 형상을 이루고, 핸들(250)과의 탈부착을 위해서 서로 분리된 제1본체(261)와 제2본체(262)로 구성된다. 결국,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본체(261, 262)를 분리해서 걸림홈(252a)과 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제1,2본체(261, 262)가 걸림홈(252a)과 조합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본체(261, 262)로 구성된 플랜지(260)가 걸림홈(252a)과 걸림턱(123a)에 사이에 끼도록 해서, 결국에는 가이드 홀(123)을 관통하는 핸들(250)이 현 위치를 유지하면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탐상 작업 중에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하중에 대한 부담으로 쉼이 요구되거나, 현 높이에서 지속적인 촬영이 필요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260)를 활용해서 핸들(250)이 안내부(250)와 조합돼 고정되도록 한다. 결국,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현재 위치가 작업자의 수고 없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작업자의 노동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작업자가 다양한 높이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핸들(250)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걸림홈(252a)이 형성된다.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플랜지(260')는 힌지 구조의 연결축(263)을 매개로 제1,2본체(261, 262)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제1,2본체(261, 262)가 링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1,2본체(261, 262)의 타단에 자성체(264)가 배치되도록 구성해서 제1,2본체(261, 262)의 타단이 접할 경우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를 통해서 핸들(250)을 쥐고 있는 작업자가 핸들(250)과 플랜지(260') 간의 탈부착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고, 안전한 탐상 작업이 실현된다. 참고로, 제1,2본체(261, 262)에 구성되는 자성체(264)는 모두가 자석일 수도 있고, 제1,2본체(261, 262) 중 하나에만 자석이 구성되고 남은 하나에는 자화가능한 재질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2본체(261, 262)가 자화가능한 재질인 경우에는 상기 자석은 제1,2본체(261, 262)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들은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서 잠수부 없이도 수중구조물(S)에 대한 탐상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치로서, 탐상 대상 수중구조물(S) 근처에 잠수되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포함한다.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는 프레임 본체(210)와, 프레임 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바퀴(220, 220')와, 프레임 본체(210)에 설치되어서 수중구조물(S)의 외관을 촬영하는 촬영장치(230)와, 수중구조물(S)의 촬영지점을 조명하는 조명장치(240, 240')와,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서 작업자가 직접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물리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프레임 본체(210)에 고정되는 핸들(250)과, 프레임 본체(210)를 기준으로 촬영장치(230)와 대칭하게 배치되어서 균형을 맞추는 무게추(260, 260')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210)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잠수시 물과 접촉해서 부식 및 산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프레임 본체(210)는 막대 형상을 이루며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프레임(210a)과, 제1프레임(210a)의 양단에 배치되어서 바퀴(220, 22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프레임(210b)으로 구성된다.
바퀴(220, 220')는 제1프레임(210a)의 양단에 위치한 제2프레임(210b)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수중구조물(S)을 따라 구르도록 되며, 완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10b)은 카메라(231)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돌출되게 제1프레임(210a)에 형성되고, 바퀴(220, 220')는 제2프레임(210b)의 촬영방향 단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결국, 프레임 본체(210)는 'ㄷ' 자형 형상을 이루고, 바퀴(220, 220')는 프레임 본체(210) 말단에 각각 배치되어서, 바퀴(220, 2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중된 구조를 이룬다. 한편, 수중구조물(S)에 바퀴(220, 220')가 접하면, 제1프레임(210a)에 고정된 카메라(231)는 제2프레임(210b)과 바퀴(220, 220')에 의해 수중구조물과 충분하게 이격되어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촬영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촬영장치(230)는 수중구조물의 외관을 촬영하는 수단으로서, 사진촬영용 및/또는 동영상촬영용 카메라(2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메라(231)는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방수전용 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촬영장치(230)는 전기장비의 일종인 카메라(23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프레임(210a)을 기준으로 카메라(231)와 배터리(232)를 서로 대향하게 배치해서, 카메라(231)가 수중구조물(S)로부터 가능한 이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촬영장치(230)는 제1프레임(210a)의 중심에 배치한다.
조명장치(240, 240')는 수중구조물 외면을 조명해서 촬영장치(230)의 촬영이미지가 명확히 보이도록 한다. 수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수중은 지상 또는 수상보다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조건을 갖는다. 따라서, 별도의 조명장치(240, 240')를 사용해서 탐상 지점을 조명하면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조명장치(240, 240')는 수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조명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으므로, 프레임 본체(210)를 기준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프레임(210a)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211)을 형성시켜서, 조명장치(240, 240')가 고정홈(211)으로 삽탈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홈(211)은 일측에 개구부(211a)를 형성해서, 고정홈(211)으로 강제 삽입되는 조명장치(240, 240')의 외경에 맞춰 고정홈(211)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명장치(240, 240')가 충분히 삽입되면 제1프레임(210a)이 갖는 자체 탄성에 의해서 조여지도록 한다.
핸들(250)은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을 이루고, 하단이 프레임 본체(210)에 고정되며 상단이 수상으로 인출되어서, 작업자가 상기 상단을 쥐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물리적으로 조작해서 촬영지점을 선택하도록 한다. 핸들(250)은 물에 의한 산화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을 방수처리하거나 합성수지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자가 무게를 부담해야 하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중량을 가능한 줄이기 위해서 중공을 갖는 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촬영을 해야 하는 지점이 깊은 수심인 경우에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그만큼 깊이 잠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핸들(250)은 프레임 본체(210)에 직접 고정되는 기본 연결막대(252)와, 기본 연결막대(252)와 길이방향으로 일렬 연결되는 추가 연결막대(252')를 포함한다. 더불어서, 기본 연결막대(252)와 프레임 본체(210) 간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쇠(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기본 연결막대(252)와 추가 연결막대(252')가 나사연결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본 연결막대(252)의 상단에는 암나사산(252a)을 형성하고, 추가 연결막대(252')의 하단에는 숫나사산(252a')을 형성시킨다. 그러나 암나사산(252a)과 숫나사산(252a')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고, 체결방식은 나사연결 방식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쇠(251)는 프레임 본체(210) 중 제1프레임(210a)의 측부와 맞물리는 맞물림홈(251a)을 갖추고서, 제1프레임(210a)과 조합되면 볼트 또는 핀 등을 매개로 체결된다. 일반적으로 고정쇠(251)는 기본 연결막대(252)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추가 연결막대(252')는 기본 연결막대(252) 또는 다른 추가 연결막대(252')와 연결되면서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핸들(250)을 생성시키는 것으로서, 촬영 지점의 수심이 깊을수록 더 많은 추가 연결막대(252')를 연결해서, 작업자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무게추(260, 260')는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무게 중심 또는 특정 지점에 무게를 집중시키기 위한 것이다.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는 바퀴(220, 220')를 매개로 통상적으로 테이퍼지게 경사진 수중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거나, 수직한 외면을 이루는 수중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이동한다. 그런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경사진 외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수상에서 조작하는 작업자가 자신을 향해 핸들(250)을 당기게 되므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는 정지위치보다 낮은 방향을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무게추(260, 260')를 카메라(23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면, 무게추(260, 260') 자체 중력에 의해서 당김이 저지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 수상구조물의 외면에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도 2 참고). 또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수직한 외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수상에서 핸들(250)을 조작하는 작업자의 연직 방향으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서 수상구조물의 외면에 밀착된다(도 2 참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작업자의 활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발판부(110)와 안내부(120')의 휨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철근(111)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철근(111)은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가 외력을 받아 휨이 발생하는 방향을 고려해서 보강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발로 디디는 발판부(110)의 일지점과 안내부(120')가 연결되는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철근(111)은 휨강도가 우수한 구조인 'I'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휨강도가 우수한 재질과 형상이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작업자가 그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102)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102)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 내에서 작업자가 손쉽게 쥘 수 있는 형태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철근(111)과 같이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휨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작업자가 발로 디디는 발판부(110)의 일지점과 안내부(120')가 연결되는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핸들(250)로부터 분리된 플랜지(260, 260')를 보관할 수 있는 안착홈(101)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안착홈(101)은 핸들(250)을 쥐고 탐상 중인 작업자가 플랜지(260, 260')를 손쉽게 수득해서 핸들(250)에 부착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핸들(250)이 관통하는 안내부(120') 쪽에 배치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작업자와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일단에는 걸이(103)가 형성되고, 일단이 걸이(103)에 연결되는 로프(104)와, 로프(104)의 타단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허리 또는 어깨 등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벨트(10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걸이(103)가 배치되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일단은 안내부(120')와 대향하는 지점의 단부이다.
결국 벨트(105)를 착용한 작업자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에 고정된 로프(104)에 의해서 수면으로 몸이 기울어지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작업 중 중심을 잃고 수면을 향해 기울어지더라도 발판부(110)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130)와 더불어서 작업자의 쏠림을 후방에서 로프(104)가 당겨 방지하므로, 작업자는 작업 중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2(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작업자의 다른 활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걸이(103')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도록 해서, 작업자를 당기는 로프(104) 및 벨트(105)의 높이를 높이고 로프(104)의 길이는 짧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작업 과정 중에 이동범위가 제한되어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 내 위험지역으로의 접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보다 안전하고 안정된 작업을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는 수중구조물(S)의 안전진단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절차로 활용된다.
1) 제1단계
작업자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를 수중구조물(S)의 상면에 배치한다. 이때, 발판부(110)는 수중구조물(S)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안내부(120')는 수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하며, 지지부(130)는 수중구조물(S)의 측면에 접하도록 한다. 결국,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저면 부분은 수중구조물(S)의 상면 및 측면과 밀착되어서 안내부(120')만이 돌출된 수중구조물(S)과의 일체 구조를 이루게 된다.
2) 제2단계
작업자는 안내부(120')에 형성된 가이드 홀(123)에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핸들(250)이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가이드 홀(123)은 개폐부재(122)에 의해 측방으로 개방되므로, 안내부(120')의 가이드 홀(123)에 핸들(250)을 손쉽게 삽탈할 수 있다.
한편, 핸들(250)을 가이드 홀(123)에 삽입할 경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촬영장치(230)가 수중구조물(S)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해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가 수중구조물(S)의 측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발판부(110)를 디딘 상태에서 핸들(250)를 상하로 조정해서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조정한다. 결국,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의 촬영장치(230)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가 배치된 위치에서 수중구조물(S)의 종방향 측면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해당 측면 부분의 촬영이 모두 완료되면, 작업자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 및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 전,후의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를 서로 맞춰서, 지정된 위치에서 수중구조물(S)의 측면 촬영이 진행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활용모습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중구조물(S)에 직접 설치해서 수중구조물(S)에 대한 탐상을 진행시킬 수도 있고, 본 실시 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탐상보트(B)에 설치해서 수중구조물(S)에 대한 탐상을 진행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의 지지부(130')는 발판부(110)와 안내부(120) 사이에서 U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튜브형 탐상보트(B)의 가장자리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펜스(B1)에 맞물려 접하도록 된다.
결국,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는 지지부(130')에 의해서 탐상보트(B)의 펜스(B1)를 덮는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탐상보트(B)에 탑승한 작업자는 발판부(110)를 지지해서, 안내부(120)가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200)를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충분한 지지력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100')를 탐상보트(B)의 선미에 배치한 것으로 했지만,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선두 또는 선측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탐상보트(B)를 고무보트 형태로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펜스를 갖춘 보트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
101; 안착홈 102; 손잡이
103, 103'; 걸이 104; 로프 105; 벨트
110; 발판부 120, 120'; 안내부 121; 보조발판
122; 개폐부재 122a; 힌지 123; 가이드 홀
123a; 걸림턱 124; 잠금쇠 130; 지지부
131; 지지보 200;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
210; 프레임 본체 210a; 제1프레임
210b; 제2프레임 211; 고정홈 211a; 개구부
220, 220'; 바퀴 230; 촬영장치 231; 카메라
232; 배터리 240, 240'; 조명장치 250, 250'; 핸들
251; 고정쇠 252; 기본 연결막대 252'; 추가 연결막대
260, 260'; 플랜지 261; 제1본체 262; 제2본체
263; 연결축 264; 자성체 300; 콘솔박스

Claims (19)

  1.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와, 수면을 향해서 상기 발판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구성된 막대 형상의 핸들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한 안내부와, 상기 발판부와 안내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갖춘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를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핸들을 상기 가이드 홀에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구성된 촬영장치의 촬영방향이 수중구조물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를 잠수시키는 제2단계; 및
    작업자가 상기 발판부를 디딘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를 구동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를 측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촬영지점을 변경하되, 이동 전,후의 상기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를 서로 맞추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둘레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계 내지 제4단계 사이에서,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고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어 상기 핸들을 상기 가이드 홀에 고정하도록 된 플랜지를, 상기 걸림홈에 끼우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4.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
    수면을 향해서 상기 발판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구성된 막대 형상의 핸들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한 안내부; 및
    상기 발판부와 안내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수상구조물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상구조물의 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탐상보트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U' 형상을 이루며 상기 탐상보트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펜스를 덮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핸들의 삽탈을 위해 측방으로 개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8.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수면을 향해서 상기 발판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조발판과, 상기 보조발판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보조발판과 개폐부재를 탈부착시키는 잠금쇠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핸들이 관통하도록 상기 보조발판과 개폐부재 사이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둘레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고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어 상기 핸들을 상기 가이드 홀에 고정하도록, 상기 걸림홈을 감싸는 제1본체와 제2본체로 구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는 각 일단이 연결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타단에는 자성체가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상면에는 상기 플랜지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2.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3.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는 상기 안내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된 걸이와, 일단이 상기 걸이에 연결되는 로프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상기 로프의 타단에 연결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4. 막대 형상의 핸들이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촬영장치; 및 수중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구르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ㄷ' 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바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말단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바퀴의 배치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촬영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에 조명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에는 개구부를 갖는 고정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고정홈에 삽탈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프레임 본체에 연결되는 기본 연결막대와, 상기 기본 연결막대와 일렬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추가 연결막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둘레에 걸림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KR1020140027964A 2014-03-10 2014-03-10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KR10143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64A KR101434605B1 (ko) 2014-03-10 2014-03-10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64A KR101434605B1 (ko) 2014-03-10 2014-03-10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605B1 true KR101434605B1 (ko) 2014-08-26

Family

ID=5175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964A KR101434605B1 (ko) 2014-03-10 2014-03-10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059A (ko) * 2014-10-21 2016-05-02 한국도로공사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KR102251138B1 (ko) * 2021-02-09 2021-05-13 (주)광명기술단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KR102358672B1 (ko) * 2021-06-17 2022-02-08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수중구조물의 안전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용 수중측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23A (ko) * 2002-03-28 2003-10-08 박용환 이동식 차량하부 확인장치
KR101179930B1 (ko) 2012-04-04 2012-09-07 (주) 일신이앤씨 교량의 수중부 안전진단장치
KR101182207B1 (ko) 2012-03-20 2012-09-14 김원주 안전구조의 교량점검용 출입사다리
KR20130027819A (ko) *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223A (ko) * 2002-03-28 2003-10-08 박용환 이동식 차량하부 확인장치
KR20130027819A (ko) * 2011-09-08 2013-03-18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KR101182207B1 (ko) 2012-03-20 2012-09-14 김원주 안전구조의 교량점검용 출입사다리
KR101179930B1 (ko) 2012-04-04 2012-09-07 (주) 일신이앤씨 교량의 수중부 안전진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059A (ko) * 2014-10-21 2016-05-02 한국도로공사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KR101633067B1 (ko) 2014-10-21 2016-07-11 한국도로공사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KR102251138B1 (ko) * 2021-02-09 2021-05-13 (주)광명기술단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KR102358672B1 (ko) * 2021-06-17 2022-02-08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수중구조물의 안전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용 수중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524B2 (en) Autonomous underwater system for a 4D environmental monitoring
KR101534486B1 (ko) 하수관거 3d 원격탐사장비 시스템
KR101434605B1 (ko)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KR101750614B1 (ko)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US20070276552A1 (en) Underwater crawler vehicle having search and identification capabilities and methods of use
KR20110062248A (ko) 무선 조종을 이용한 선박 수중 청소 로봇
KR101854223B1 (ko) 무어링 라인 관리로봇
KR101467887B1 (ko) 복합형 수중 작업 로봇 및 작업 로봇의 전원 공급 방법
KR20200053045A (ko) 쌍동선 타입의 모듈형 수상 로봇
KR101226222B1 (ko) 수륙양용 이동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거 촬영방법
JPH11174192A (ja) 原子炉アニュラス部検査装置
KR101360273B1 (ko) 기준점 설정을 통한 해저지형 좌표의 위치변화 확인과 수심정보 감지 시스템
Shimono et al. Development of underwater inspection system for dam inspection: Results of field tests
KR102033515B1 (ko) 금속 벽면 주행 로봇
JP2016188877A (ja) 漏水検知装置および漏水検知方法
KR100943051B1 (ko) 해저 지형 및 굴곡변화에 따른 해저면 형상 확인 관측시스템
JP4917849B2 (ja) 水中点検システム
CN107891956A (zh) 履带式水下探测机器人
KR102251138B1 (ko)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KR20160136656A (ko) 선박용 선저 청소시스템 및 방법
KR101540312B1 (ko) 수중 청소로봇
KR101402297B1 (ko) 해양 구조물의 수중 촬영을 위한 챔버장치
JP4546746B2 (ja) 検査装置、検査装置の投入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H0774030B2 (ja) 水中構造物点検用ロボット
CN217585692U (zh) 一种适应水深变化的排水管道一体化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