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05B1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 Google Patents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4605B1 KR101434605B1 KR1020140027964A KR20140027964A KR101434605B1 KR 101434605 B1 KR101434605 B1 KR 101434605B1 KR 1020140027964 A KR1020140027964 A KR 1020140027964A KR 20140027964 A KR20140027964 A KR 20140027964A KR 101434605 B1 KR101434605 B1 KR 101434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 handle
- safety diagnostic
- underwater structure
- diagnosis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2059 diagnostic ima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013 aquamarine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means of a grating deformed by the obje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5—Measuring arrang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기구들을 활용해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핸들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작업자의 활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에 대한 작업자의 다른 활용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활용모습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101; 안착홈 102; 손잡이
103, 103'; 걸이 104; 로프 105; 벨트
110; 발판부 120, 120'; 안내부 121; 보조발판
122; 개폐부재 122a; 힌지 123; 가이드 홀
123a; 걸림턱 124; 잠금쇠 130; 지지부
131; 지지보 200;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
210; 프레임 본체 210a; 제1프레임
210b; 제2프레임 211; 고정홈 211a; 개구부
220, 220'; 바퀴 230; 촬영장치 231; 카메라
232; 배터리 240, 240'; 조명장치 250, 250'; 핸들
251; 고정쇠 252; 기본 연결막대 252'; 추가 연결막대
260, 260'; 플랜지 261; 제1본체 262; 제2본체
263; 연결축 264; 자성체 300; 콘솔박스
Claims (19)
-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와, 수면을 향해서 상기 발판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구성된 막대 형상의 핸들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한 안내부와, 상기 발판부와 안내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갖춘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를 배치하는 제1단계;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핸들을 상기 가이드 홀에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구성된 촬영장치의 촬영방향이 수중구조물의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를 잠수시키는 제2단계; 및
작업자가 상기 발판부를 디딘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를 구동시키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를 측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의 촬영지점을 변경하되, 이동 전,후의 상기 핸들지지용 안전진단기구의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를 서로 맞추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둘레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계 내지 제4단계 사이에서,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고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어 상기 핸들을 상기 가이드 홀에 고정하도록 된 플랜지를, 상기 걸림홈에 끼우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 작업자가 디디는 발판부;
수면을 향해서 상기 발판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영상촬영용 안전진단기구에 구성된 막대 형상의 핸들이 관통하는 가이드 홀을 구비한 안내부; 및
상기 발판부와 안내부 사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수상구조물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상구조물의 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탐상보트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부는 'U' 형상을 이루며 상기 탐상보트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펜스를 덮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핸들의 삽탈을 위해 측방으로 개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수면을 향해서 상기 발판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조발판과, 상기 보조발판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보조발판과 개폐부재를 탈부착시키는 잠금쇠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핸들이 관통하도록 상기 보조발판과 개폐부재 사이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둘레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고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어 상기 핸들을 상기 가이드 홀에 고정하도록, 상기 걸림홈을 감싸는 제1본체와 제2본체로 구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는 각 일단이 연결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타단에는 자성체가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상면에는 상기 플랜지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는 상기 안내부와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된 걸이와, 일단이 상기 걸이에 연결되는 로프와,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상기 로프의 타단에 연결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막대 형상의 핸들이 연결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촬영장치; 및 수중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구르도록,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ㄷ' 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바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말단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바퀴의 배치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촬영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삭제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에 조명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에는 개구부를 갖는 고정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고정홈에 삽탈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프레임 본체에 연결되는 기본 연결막대와, 상기 기본 연결막대와 일렬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추가 연결막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둘레에 걸림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7964A KR101434605B1 (ko) | 2014-03-10 | 2014-03-10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7964A KR101434605B1 (ko) | 2014-03-10 | 2014-03-10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4605B1 true KR101434605B1 (ko) | 2014-08-26 |
Family
ID=5175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7964A KR101434605B1 (ko) | 2014-03-10 | 2014-03-10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460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059A (ko) * | 2014-10-21 | 2016-05-02 | 한국도로공사 |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
KR102251138B1 (ko) * | 2021-02-09 | 2021-05-13 | (주)광명기술단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
KR102358672B1 (ko) * | 2021-06-17 | 2022-02-08 |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 수중구조물의 안전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용 수중측정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8223A (ko) * | 2002-03-28 | 2003-10-08 | 박용환 | 이동식 차량하부 확인장치 |
KR101179930B1 (ko) | 2012-04-04 | 2012-09-07 | (주) 일신이앤씨 | 교량의 수중부 안전진단장치 |
KR101182207B1 (ko) | 2012-03-20 | 2012-09-14 | 김원주 | 안전구조의 교량점검용 출입사다리 |
KR20130027819A (ko) * | 2011-09-08 | 2013-03-18 |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
-
2014
- 2014-03-10 KR KR1020140027964A patent/KR1014346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8223A (ko) * | 2002-03-28 | 2003-10-08 | 박용환 | 이동식 차량하부 확인장치 |
KR20130027819A (ko) * | 2011-09-08 | 2013-03-18 |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
KR101182207B1 (ko) | 2012-03-20 | 2012-09-14 | 김원주 | 안전구조의 교량점검용 출입사다리 |
KR101179930B1 (ko) | 2012-04-04 | 2012-09-07 | (주) 일신이앤씨 | 교량의 수중부 안전진단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7059A (ko) * | 2014-10-21 | 2016-05-02 | 한국도로공사 |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
KR101633067B1 (ko) | 2014-10-21 | 2016-07-11 | 한국도로공사 |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
KR102251138B1 (ko) * | 2021-02-09 | 2021-05-13 | (주)광명기술단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
KR102358672B1 (ko) * | 2021-06-17 | 2022-02-08 |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 수중구조물의 안전점검을 위한 안전진단용 수중측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18524B2 (en) | Autonomous underwater system for a 4D environmental monitoring | |
KR101434605B1 (ko)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 |
KR101750614B1 (ko) |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 |
US20070276552A1 (en) | Underwater crawler vehicle having search and identification capabilities and methods of use | |
US20070261629A1 (en) | Romotely Controlled Apparatus for Recovering Liquid in Sunken Ship and Method Performed by the Same | |
KR20110062248A (ko) | 무선 조종을 이용한 선박 수중 청소 로봇 | |
KR20180094608A (ko) | 수상선 기반의 수중로봇 시스템 | |
KR101854223B1 (ko) | 무어링 라인 관리로봇 | |
JPH11174192A (ja) | 原子炉アニュラス部検査装置 | |
JP2016188877A (ja) | 漏水検知装置および漏水検知方法 | |
Shimono et al. | Development of underwater inspection system for dam inspection: Results of field tests | |
KR101859569B1 (ko) | 해저지형과 지리정보에 대한 데이터 수집시스템 | |
KR20120049677A (ko) | 수륙양용 이동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거 촬영방법 | |
KR101531492B1 (ko) | 수중 청소로봇 | |
KR102033515B1 (ko) | 금속 벽면 주행 로봇 | |
CN107891956A (zh) | 履带式水下探测机器人 | |
KR101540312B1 (ko) | 수중 청소로봇 | |
KR20160136656A (ko) | 선박용 선저 청소시스템 및 방법 | |
KR100943051B1 (ko) | 해저 지형 및 굴곡변화에 따른 해저면 형상 확인 관측시스템 | |
KR102251138B1 (ko)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 |
KR101402297B1 (ko) | 해양 구조물의 수중 촬영을 위한 챔버장치 | |
KR20150053410A (ko) | 수중 청소로봇 | |
JP4917849B2 (ja) | 水中点検システム | |
KR102190561B1 (ko) | 로봇 홀더를 구비한 부단수 진단 로봇 투입 회수 장치 | |
JP4546746B2 (ja) | 検査装置、検査装置の投入装置および検査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