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138B1 -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 Google Patents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138B1
KR102251138B1 KR1020210018243A KR20210018243A KR102251138B1 KR 102251138 B1 KR102251138 B1 KR 102251138B1 KR 1020210018243 A KR1020210018243 A KR 1020210018243A KR 20210018243 A KR20210018243 A KR 20210018243A KR 102251138 B1 KR102251138 B1 KR 102251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underwater structure
grab
camera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근
Original Assignee
(주)광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광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21001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01C11/025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by scanning the 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촬영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진단 대상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명확히 촬영해서 수중구조물의 수중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기능을 부가해 촬영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고 무게추가 일측으로 편중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림 플랜지를 갖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 편중하게 위치하도록 림 플랜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바퀴; 상기 홀더에 고정된 어댑터에 하단이 연결되는 핸들용 쉐프트; 상기 어댑터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그랩과, 일단이 상기 그랩에 연결되는 제1서포트와,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긁도록 상기 제1서포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크래이프를 갖춘 보조도구;로 구성되므로, 수중구조물의 수중 표면을 작업자가 외부에서 손쉽게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촬영 중에도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덮은 각종 이물질을 작업자가 곧바로 제거하며 촬영 작업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MULTIFUNCTIONAL PHOTOGRAPHY MECHANISM FOR SAFETY INSPECTION OF WALL OF UNDERWATER STRCTURE}
본 발명은 다기능 촬영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진단 대상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명확히 촬영해서 수중구조물의 수중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기능을 부가해 촬영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에 관한 것이다.
교각, 제방, 침하방지블록, 취입보 등의 수중구조물은 철근과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되므로, 유력을 갖는 하천수 등의 지속적인 충격에 의해서 구조물의 외벽이 점차 마모 및 침식(이하 '훼손')되고, 이를 통해 수중구조물이 갖는 지지력과 강도가 저하되었다. 더욱이 수중구조물의 훼손은 수직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한 응력과 지지력 등을 약화시키므로, 훼손의 발생은 수중구조물의 붕괴를 가속시키는 원인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수중구조물의 수상 부위 또는 수중 부위의 이상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사해서 이상 여부를 진단하고, 이상 발생시 훼손 부분을 보수 및 보강했다.
수중구조물의 수상 부위는 작업자가 직접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눈으로 확인해서 훼손 부분을 파악하거나 초음파 장치 또는 라이다를 이용해서 이상 부분을 탐색했다. 수중 부위는 작업자가 직접 잠수해서 카메라로 촬영을 하거나, 등록특허 제10-1179930호(공고일자 2012년 09월 07일) 또는 공개특허 제10-2020-0084139호(공개일자 2020년 07월 10일)의 개시 기술과 같이 별도의 수중 촬영기구를 이용해 촬영했다.
그런데 수중구조물의 수중 부위는 해수 또는 하수와 직접적으로 접하면서 수중에 부유하는 각종 해초류와 기타 오염물에 의해 덮이게 되고, 시간이 흐를수록 눈으로는 수종구조물의 표면을 구분할 수 없어서 수중촬영만으로 수중구조물 표면의 훼손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해수 또는 하수가 오염될수록 수중구조물의 표면 가림은 심각해졌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중 촬영으로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진단하기 위해서 잠수부가 직접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청소한 이후에야 수중촬영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179930호(2012.09.07 공고)
선행기술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10-2020-0084139호(2020.07.10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수중구조물의 수중 표면을 작업자가 외부에서 손쉽게 촬영하고 수중구조물의 촬영 부위를 덮는 각종 이물질을 촬영 중에도 작업자가 곧바로 제거하며 촬영 작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고 무게추가 일측으로 편중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림 플랜지를 갖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 편중하게 위치하도록 림 플랜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바퀴;
상기 홀더에 고정된 어댑터에 하단이 연결되는 핸들용 쉐프트; 및
상기 어댑터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그랩과, 일단이 상기 그랩에 연결되는 제1서포트와,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긁도록 상기 제1서포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크래이프를 갖춘 보조도구;를 포함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수중구조물의 수중 표면을 작업자가 외부에서 손쉽게 촬영할 수 있음은 물론 촬영 중에도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덮은 각종 이물질을 작업자가 곧바로 제거하며 촬영 작업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보호를 위한 서브 롤러를 구성하므로 수중구조물의 표면에 접근해서 이동하는 카메라가 수중구조물의 훼손 부위와 충돌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중 촬영 중에도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의 도구를 탈착해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 작업 또는 기구 없이도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며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깔끔하게 촬영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의 일실시 예를 이용해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의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에 설치된 보조도구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다기능 촬영기구의 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보조도구가 설치된 다기능 촬영기구를 이용해 작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에 구성된 보조도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에 서브 바퀴가 추가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서브 바퀴가 설치된 다기능 촬영기구를 이용해 작업하는 모습을 도 8의 AA' 단면으로 개략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의 일실시 예를 이용해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의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100)는, 수중구조물(S)의 표면을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130); 카메라(130)가 장착되고 무게추(160, 160')가 일측으로 편중하게 설치되는 홀더(110a)와, 홀더(110a)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림 플랜지(110b)를 갖춘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타측으로 편중하게 위치하도록 림 플랜지(110b)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바퀴(120, 120'); 홀더(110a)에 고정된 어댑터(151)에 하단이 연결되는 핸들용 쉐프트(150); 어댑터(151)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그랩(171)과, 일단이 그랩(171)에 연결되는 제1서포트(172)와, 수중구조물(S)의 표면을 긁도록 제1서포트(172)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크래이프(173)를 갖춘 보조도구(170);를 포함한다. 또한, 수중구조물(S)의 촬영지점을 조명하는 조명장치(140, 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다기능 촬영기구(100)의 잠수시 물과 접촉하므로, 물에 의해 부식되거나 산화하지 않도록 합성수지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프레임(110)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130), 조명장치(140, 140') 또는 무게추(160, 160') 등이 병렬 배치될 수 있는 바아(Bar) 형상이고 수평하게 배치되는 홀더(110a)와, 홀더(110a)의 양단에 배치되어서 메인 바퀴(120, 12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림 플랜지(110b)로 구성된다.
메인 바퀴(120, 120')는 홀더(110a)의 양단에 위치한 림 플랜지(110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수중구조물(S)을 따라 구르도록 되며, 완충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합성수지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림 플랜지(110b)는 렌즈가 구성된 카메라 헤드(131)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홀더(110a)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메인 바퀴(120, 120')는 림 플랜지(110b)의 촬영방향 단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결국, 프레임(110)은 'ㄷ' 자형 형상을 이루고, 메인 바퀴(120, 120')는 프레임(110) 말단에 각각 배치되어서, 메인 바퀴(120, 1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중된 구조를 이룬다. 한편, 수중구조물(S)에 메인 바퀴(120, 120')가 접하면, 홀더(110a)에 고정된 카메라 헤드(131)는 림 플랜지(110b)과 메인 바퀴(120, 120')에 의해 수중구조물과 충분하게 이격되어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촬영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수중구조물의 외관을 촬영하는 수단으로서, 사진촬영용 및/또는 동영상촬영용 카메라 헤드(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메라 헤드(131)는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방수전용 케이스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카메라(130)는 전기장비의 일종인 카메라 헤드(1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메라 본체(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홀더(110a)를 기준으로 카메라 헤드(131)와 카메라 본체(132)를 서로 대향하게 배치해서, 홀더(110a)를 기준으로 수중구조물(S)을 향한 카메라(130)의 돌출 길이를 최소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카메라(130)를 홀더(110a)의 중심에 배치한다.
조명장치(140, 140')는 수중구조물 외면을 조명해서 카메라(130)의 촬영이미지가 명확히 보이도록 한다. 수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수중은 각종 부유물들로 인해 지상 또는 수상보다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조건을 갖는다. 따라서, 별도의 조명장치(140, 140')를 사용해서 탐상 지점을 조명하면 선명한 촬영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조명장치(140, 140')는 수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조명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으므로,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홀더(110a)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홈(111)을 형성시켜서, 조명장치(140, 140')가 고정홈(111)으로 삽탈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홈(111)은 일측에 개구부(111a)를 형성해서, 고정홈(111)으로 강제 삽입되는 조명장치(140, 140')의 외경에 맞춰 고정홈(111)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명장치(140, 140')가 충분히 삽입되면 홀더(110a)가 갖는 자체 탄성에 의해서 조여지도록 한다.
쉐프트(150)는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을 이루고, 하단이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상단이 수상으로 인출되어서, 작업자가 상기 상단을 쥐고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물리적으로 조작하며 촬영하도록 한다. 쉐프트(150)는 물에 의한 산화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을 방수처리하거나 합성수지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직접 들어 작업하는 작업자의 하중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쉐프트(150)의 경량화를 위한 중공 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촬영을 해야 하는 지점이 깊은 수심인 경우에는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그만큼 깊이 잠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쉐프트(150)는 프레임(110)에 직접 고정되는 기본 연결막대(152)와, 기본 연결막대(152)와 길이방향으로 일렬 연결되는 추가 연결막대(152')를 포함한다. 더불어서, 기본 연결막대(152)와 프레임(110) 간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어댑터(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기본 연결막대(152)와 추가 연결막대(152')가 나사연결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본 연결막대(152)의 상단에는 암나사산(152a)을 형성하고, 추가 연결막대(152')의 하단에는 숫나사산(152a')을 형성시킨다. 그러나 암나사산(152a)과 숫나사산(152a')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고, 체결방식은 나사연결 방식에 한정하지 않는다.
어댑터(151)는 프레임(110) 중 홀더(110a)의 측부와 맞물리는 맞물림홈(151a)을 갖추고서, 홀더(110a)와 조합되면 볼트 또는 핀 등을 매개로 체결된다. 일반적으로 어댑터(151)는 기본 연결막대(152)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추가 연결막대(152')는 기본 연결막대(152) 또는 다른 추가 연결막대(152')와 연결되면서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쉐프트(150)를 생성시키는 것으로서, 촬영 지점의 수심이 깊을수록 더 많은 추가 연결막대(152')를 연결해서, 작업자가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깊은 수심에 잠수시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무게추(160, 160')는 다기능 촬영기구(100)의 무게 중심 또는 특정 지점에 무게를 집중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기능 촬영기구(100)는 메인 바퀴(120, 120')를 매개로 통상적으로 테이퍼지게 경사진 수중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거나, 수직한 외면을 이루는 수중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이동한다. 그런데 다기능 촬영기구(100)가 경사진 외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수상에서 조작하는 작업자가 도 1과 같이 자신을 향해 쉐프트(150)를 당기게 되므로, 다기능 촬영기구(100)는 정지위치보다 낮은 방향을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무게추(160, 160')를 카메라 헤드(131)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면, 무게추(160, 160') 자체 중력에 의해서 당김이 저지되도록 함은 물론 수상구조물의 외면에 다기능 촬영기구(100)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기능 촬영기구(100)가 수직한 외면을 따라 이동할 경우에는 수상에서 쉐프트(150)를 조작하는 작업자의 연직 방향으로 다기능 촬영기구(100)가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서 수상구조물의 외면에 밀착된다.
결국, 다기능 촬영기구(100)의 현재 위치가 작업자의 수고 없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작업자의 노동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조도구(170)는 개선된 환경에서 수중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다기능 촬영기구(100)에 부가된 것으로, 본 실시의 보조도구(170)는 수중구조물(S)의 표면에 묻은 각종 이물질(S1)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도구(17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작업자는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이용해 수중구조물(S) 상에서 제어하므로, 다기능 촬영기구(100)가 촬영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기능 촬영기구(100)의 ON/OFF를 제어하는 콘솔박스(200)도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인근에 배치한다.
다기능 촬영기구(100)는 작업자의 수작업 조작을 통해서 위치 또는 잠수 깊이 등이 조절되고, 작업자가 제어하는 콘솔박스(200)에 의해서 탑재 장비들의 구동이 제어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기능 촬영기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중 촬영을 위한 카메라(130)가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조명장치(140, 140')가 보강될 수 있는데, 콘솔박스(200)는 카메라(130)와 조명장치(140, 140')의 ON/OFF와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콘솔박스(200)는 전원모듈과 제어모듈과 출력모듈과 기록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모듈은 카메라 본체(132)에 장착된 배터리 또는 콘솔박스(200)에 장착된 배터리의 전력 인가를 제어하거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된 전기를 변압 및 배전해서 다기능 촬영기구(100)에 인가한다.
상기 출력모듈은 다기능 촬영기구(100)의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해서 모니터를 통해 해당하는 촬영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는 작업자가 볼 수 있도록 콘솔박스(200)에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에 출력되는 촬영이미지는 다기능 촬영기구(100)가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촬영이미지일 수도 있고, 상기 기록모듈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촬영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기록모듈은 다기능 촬영기구(100)가 촬영하는 촬영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일반 비디오 또는 CD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상기 촬영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전원모듈, 출력모듈 및 기록모듈을 통합 제어하고, 작업자가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콘솔박스(200)의 함체에는 제어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가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콘솔박스(200)의 전원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제어신호와 더불어서 다기능 촬영기구(100)에 전송되고, 상기 전기에너지는 카메라 본체(132)의 배터리에 충전되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는 카메라(130)와 조명장치(140, 140')의 구동을 위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가 카메라(130)와 조명장치(140, 140')의 동작 제어를 위해 전송되도록 해당 전선이 배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콘솔박스(200)는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휴대와 운반이 손쉽도록, 상기 전원모듈과 출력모듈과 기록모듈과 제어모듈은 일체로 되어서 가방 형상의 함체에 내장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기능 촬영기구(100)와 더불어 콘솔박스(200)도 손쉽게 운반하며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에 설치된 보조도구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다기능 촬영기구의 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보조도구가 설치된 다기능 촬영기구를 이용해 작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100)의 보조도구(170)는 수중구조물(S)의 벽면 표면에 묻은 이물질(S1)을 강제로 끌어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어댑터(151)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그랩(171)과, 일단이 그랩(171)에 연결되는 제1서포트(172)와, 수중구조물(S)의 표면을 긁도록 제1서포트(172)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크래이프(173)를 갖춘다.
본 실시 예의 그랩(171)은 원통 형상의 어댑터(151)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므로, 작업자가 어댑터(151)를 조작해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제1서포트(172)는 일단이 그랩(171)에 연결되어서 그랩(171)으로부터 돌출된 조합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 예의 제1서포트(172)는 막대 형상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크래이프(173)는 제1서포트(172)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부 선단 또는 하부 선단이 수중구조물(S)의 표면과 접촉해 선접촉하는 패널 형태를 이룬다.
결국, 도 4의 (a)도면과 같이 보조도구(170)의 스크래이프(173)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이용해서 촬영하는 중에, 수중 촬영 구간인 수중구조물(S)의 일부분이 이물질(S1)에 의해 가려져 정확한 촬영을 할 수 없음이 확인되면, 도 4의 (b)도면 및 (c)도면 및 도 5와 같이 작업자는 보조도구(170)를 회전시켜서 스크래이프(173)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도 6과 같이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위아래로 조작하며 수중구조물(S)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S1)을 스크래이프(173)를 이용해 긁어 제거한다. 결국, 카메라(130)는 이물질(S1)이 제거된 수중구조물(S)의 깔끔한 표면을 촬영해서 정확한 촬영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물질(S1)의 제거를 위해 작업자는 스크래이프(173)가 수중구조물(S)의 벽면에 닿도록 쉐프트(150)를 당기거나 밀고,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참고로, 보조도구(170)가 작업을 위해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서, 그랩(171)을 관통해서 단부가 어댑터(151)에 꽂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AK)를 더 구성한다. 결국, 보조도구(170)를 사용하기 위해 고정부재(AK)를 분리하면 작업자는 그랩(171)을 어댑터(151)에서 회전시켜서 도 4의 (b)도면과 같이 보조도구(170)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고, 도 4의 (c)도면에 위치하면 작업자가 고정부재(AK)를 그랩(171)에 다시 박아 넣어서 보조도구(17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그랩(171)과 어댑터(151)에 각각 고정부재(AK)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홀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포트(172)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제1서포트(172)에 대향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AK)는 그랩(171)을 관통해서 어댑터(151)에 박아 넣을 수 있는 형태와 구조라면 모두 가능하며, 본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AK)는 볼트이고, 상기 홀은 너트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에 구성된 보조도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촬영기구에 서브 바퀴가 추가 구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서브 바퀴가 설치된 다기능 촬영기구를 이용해 작업하는 모습을 도 8의 AA' 단면으로 개략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보조도구(170a 내지 170d)는 도 7과 같이 그랩(171)의 일측에 스크래이프(173)가 구성되고, 타측에 서브 바퀴(175)가 구성된다. 서브 바퀴(175)는 카메라(130) 보호를 위해 카메라(13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이를 위해 서브 바퀴(175)는 제2서포트(174)를 매개로 그랩(171)에 연결된다. 결국, 작업자는 그랩(171)을 회전시켜서 제2서포트(174)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서브 바퀴(175)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전방에서 카메라(130)의 카메라 헤드(131)를 상방에서 덮어 보호한다.
서브 바퀴(175)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도 9와 같이 수중구조물(S)의 벽면은 유수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침식 또는 마모되면서 불규칙하게 굴곡진 표면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런데 메인 바퀴(120, 120')는 수중구조물(S)의 굴곡진 표면을 구르며 이동하므로 카메라 헤드(131)가 특정 지점에 충돌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카메라 헤드(131)의 설치 위치가 틀어지거나 심하면 파손까지 발생하였다. 따라서 서브 바퀴(175)를 카메라 헤드(131)의 상방에 배치해서, 다기능 촬영기구(100)가 수중구조물(S)의 벽면을 타고 이동하는 중에 굴곡부(S2)의 경사면이 카메라 헤드(131)가 아닌 서브 바퀴(175)와 맞닿도록 한다. 물론 서브 바퀴(175)는 상기 경사면을 타고 구르며 이동하므로, 작업자는 걸림 없이 다기능 촬영기구(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카메라 헤드(131)는 상기 경사면에 충돌없이 수중 촬영을 지속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a)도면 및 (b)도면과 같이 서브 바퀴(175)가 보강된 보조도구(170a, 170b)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 7의 (a)도면에 도시된 보조도구(170a)는 그랩(171)과 제2서포트(174)가 일체로 제작된 것이고, 도 7의 (b)도면에 도시된 보조도구(170b)는 그랩(171)과 제2서포트(174')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된 것이다.
또한, 도 7의 (c)도면의 보조도구(170c)는 제1서포트(172) 및 제2서포트(174")의 연결부(174a)가 그랩(171)에 탈착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스크래이퍼(173)와 서브 바퀴(175)를 그랩(17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도 7의 (d)도면의 보조도구(170d)와 같이 갈퀴(176)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갈퀴(176)가 스크래이퍼(173)를 대체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서브 바퀴(175)를 대체할 수도 있다. 갈퀴(176)는 보조도구(170)에 적용되는 일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의 도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그랩(171)은 연결부(174a)의 탈착을 위한 소켓을 구성한다. 상기 소켓은 연결부(174a)의 단부가 삽탈하여 고정되고, 볼팅 체결을 가능하게 해서 제1서포트(172) 또는 제2서포트(174")와 그랩(171)을 흔들림 없이 상호 견고하게 연결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다기능 촬영기구 110; 프레임 110a; 홀더
110b; 림 플랜지 111; 고정홈 111a; 개구부
120, 120'; 메인 바퀴 130; 카메라 131; 카메라 헤드
132; 카메라 본체 140, 140'; 조명장치 150, 150'; 쉐프트
151; 어댑터 152; 기본 연결막대 152'; 추가 연결막대
170; 보조도구 171; 그랩 172; 제1서포트
173; 스크래이프 174; 제2서포트 175; 서브 바퀴
200; 콘솔박스

Claims (5)

  1.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장착되고 무게추가 일측으로 편중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림 플랜지를 갖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측으로 편중하게 위치하도록 림 플랜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바퀴;
    상기 홀더에 고정된 어댑터에 하단이 연결되는 핸들용 쉐프트; 및
    상기 어댑터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그랩과, 일단이 상기 그랩에 연결되는 제1서포트와, 수중구조물의 표면을 긁도록 상기 제1서포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크래이프를 갖춘 보조도구;를 포함하고,
    상기 그랩이 어댑터에서 회전 동작 없이 제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부재가 상기 그랩에 인입출 가능하게 관통해서 단부가 어댑터에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가 그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서포트와, 상기 카메라 보호를 위해 카메라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2서포트의 타단에 연결되는 서브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KR1020210018243A 2021-02-09 2021-02-09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KR102251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43A KR102251138B1 (ko) 2021-02-09 2021-02-09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43A KR102251138B1 (ko) 2021-02-09 2021-02-09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138B1 true KR102251138B1 (ko) 2021-05-13

Family

ID=7591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243A KR102251138B1 (ko) 2021-02-09 2021-02-09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1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118A (ko) * 2005-12-19 2007-06-22 정석동 배관의 내부검사 및 청소용 로봇
KR101179930B1 (ko) 2012-04-04 2012-09-07 (주) 일신이앤씨 교량의 수중부 안전진단장치
KR101434605B1 (ko) * 2014-03-10 2014-08-26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KR101633067B1 (ko) * 2014-10-21 2016-07-11 한국도로공사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KR20200084139A (ko) 2019-01-02 2020-07-10 주식회사 청출어람 시야 확보된 수중 구조물에 대한 수중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118A (ko) * 2005-12-19 2007-06-22 정석동 배관의 내부검사 및 청소용 로봇
KR101179930B1 (ko) 2012-04-04 2012-09-07 (주) 일신이앤씨 교량의 수중부 안전진단장치
KR101434605B1 (ko) * 2014-03-10 2014-08-26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KR101633067B1 (ko) * 2014-10-21 2016-07-11 한국도로공사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KR20200084139A (ko) 2019-01-02 2020-07-10 주식회사 청출어람 시야 확보된 수중 구조물에 대한 수중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790B1 (ko) 수중 이동형 검사 및 청소장치
US119468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pipelines using a pipeline inspection robot
US20100307545A1 (en) Underwater cleaning robot and auxiliary cleaning work machine
CN109178240A (zh) 一种水下机械式清污装置
KR102251138B1 (ko)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용 다기능 촬영기구
KR101549378B1 (ko) 수중 청소로봇
KR20160052986A (ko) 수중 청소로봇
JPH11138259A (ja) 水中溶接装置
CN113386930A (zh) 一种应用于桥墩检修的水下机器人及其检修方法
KR101226222B1 (ko) 수륙양용 이동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거 촬영방법
KR101434605B1 (ko)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JP4535974B2 (ja) 天地補正機能を有する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画像処理装置を搭載する管路点検システム及び管路画像の処理方法。
KR20150053466A (ko) 수중 청소로봇
JP5575178B2 (ja) 管路内検査装置
JP3133667U7 (ko)
KR101666499B1 (ko) 하수관거의 퇴적물 모니터링 시스템
KR20150059281A (ko) 수중 청소로봇
KR102111126B1 (ko) 수중 슬러지 파쇄장치
JPH0774030B2 (ja) 水中構造物点検用ロボット
KR101540312B1 (ko) 수중 청소로봇
KR102190561B1 (ko) 로봇 홀더를 구비한 부단수 진단 로봇 투입 회수 장치
CN217204363U (zh) 一种市政工程用管网清淤机器人
CN216217133U (zh) 一种用于巡检船舶岸电系统的遥控车
JP5214947B2 (ja) 自走式管内検査ロボット
JP4616626B2 (ja) 炉底部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