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471B1 -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471B1
KR101434471B1 KR1020120118186A KR20120118186A KR101434471B1 KR 101434471 B1 KR101434471 B1 KR 101434471B1 KR 1020120118186 A KR1020120118186 A KR 1020120118186A KR 20120118186 A KR20120118186 A KR 20120118186A KR 101434471 B1 KR101434471 B1 KR 101434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omposition
glycoside
gastritis
sapo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264A (ko
Inventor
여경목
권상오
함기백
김은희
이응주
김동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디 filed Critical (주)에스.앤.디
Priority to KR102012011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4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진쑥, 인삼 및 녹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약초 추출물을 함유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로, 그 제조방법은 약초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약초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여과농축단계, 상기 여과농축단계를 통해 생성된 생성물을 여액과 침전물로 분리하고 결정화시키는 결정화단계 및 상기 결정화단계를 통해 분리된 결정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건조분말화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THE PREVENTING GASTRITIS AND CANCER COMPOS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AND THERO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부터 유발되는 위장 내에 과 면역반응 억제 및 암 예방에 효과적인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부터 위장 내에 과 면역반응 억제 및 암 예방에 효과적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는 만성 위염과 소화성 궤양 재발의 중요한 원인이 되며, 위암 및 위림프종과 관련이 있는 전염력이 있는 세균으로 위점막에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그 기전으로 직접적 기전 및 간접적 기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직접적 기전은 헬리코박터에서 분비되는 여러 세포독성인자가 주는 것, 헬리코박터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가 위점막 손상을 일으키는 것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부터 호중구를 끌어드릴 수 있는 화학주성인자가 점막 내로 흡수되어 혈액 내 호중구의 점막 침윤을 유도하는 것 등이다. 또한 간접적 기전은 위상피세포에서 화학주성인자의 분비가 증가하게 되어 염증세포가 침윤하는 것이며, 산소 라디칼의 증가로 인한 산화 적 스트레스의 증가, 산화성 DNA의 손상 증가, 상피세포 증식 및 세포사멸이 증가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만성위염에서 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으로 변환되며 여기에 여러 환경적 인자 및 유전적 인자가 더해지면 장형의 위암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부터 유발되는 위장 내에 과 면역반응 억제 및 암 예방에 효과적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약초 추출물은 인진쑥, 인삼 및 녹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초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약초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여과농축단계, 상기 여과농축단계를 통해 생성된 생성물을 여액과 침전물로 분리하고 결정화시키는 결정화단계 및 상기 결정화단계를 통해 분리된 결정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건조분말화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추출단계는 약초와 정제수를 1:10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결정화단계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00 내지 15000rpm에서 분리한 후, 분리된 여액을 90 내지 100%의 주정 액 속에 분산시켜 결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건조분말화단계는 분리된 결정을 동결건조한 후 핀밀로 분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여과농축단계와 상기 결정화단계 사이에는 여과농축된 생성물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가열하여 재용해시킨 후 냉각시키는 재용해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은 약초 추출물인 인진쑥, 인삼 또는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부터 유발되는 위장 내에 과 면역반응 억제 및 암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2 또는 3에 따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은 실시예 1에 따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은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술한 약초 추출물은 인진쑥, 인삼 및 녹차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약초 추출물은 약초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 열수추출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인진쑥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사철쑥이라고도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발암 곰팡이와 발암독물을 억제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지니며, 이담작용이 높아 담즙을 많이 나오게 하는 동시에 담즙 속의 덩어리와 콜산 및 빌리루빈을 밖으로 배출하여 간을 깨끗하게 하여 황달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전술한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인삼의 뿌리로서 가는 뿌리와 코르크 층을 제거한 것을 말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은 주요 성분으로 사포닌 배당체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및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녹차는 차나무의 잎을 원료로 사용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잎을 가열하여 산화효소를 파괴시켜 녹색을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켜 잎을 말려 제조한다. 또한, 녹차에는 카테킨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작용 및 항암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약초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약초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S101), 전술한 추출단계(S101)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여과농축단계(S103), 전술한 여과농축단계(S103)를 통해 생성된 생성물을 여액과 침전물로 분리하고 결정화시키는 결정화단계(S105) 및 전술한 결정화단계(S105)를 통해 분리된 결정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 화하는 건조분말화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여과농축단계(S103)와 전술한 결정화단계(S105) 사이에 재용해단계(S10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추출단계(S101)는 약초와 정제수를 1:10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여과농축단계(S103)는 전술한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1 내지 10㎛의 여과장치에 통과시켜 여과하여 농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결정화단계(S105)는 전술한 여과농축단계를 통해 생성된 생성물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00 내지 15000rpm에서 여액과 침전물로 분리한 후, 분리된 여액을 90 내지 100%의 주정 액 속에 분산시켜 결정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건조분말화단계(S107)는 전술한 결정화단계(S105)를 통해 결정화된 조성물을 동결건조한 후 핀밀(Pin mill)로 분쇄하고 분말 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재용해단계(S104)는 여과농축된 생성물과 정제수를 1:1 내지 2 중량부 비율로 투입하고 7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재용해시킨 후, 5 내지 2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로, 인삼 및 녹차 추출물을 제외한 인진쑥 추출물을 함유하여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전술한 재용해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인진쑥 100 중량부와 정제수 1500 중량부를 투입하고 95℃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5㎛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하여 농축한다. 농축된 추출물에 정제수 160 중량부를 투입하고 8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20℃이하의 온도로 급속히 냉각시켜 원심 분리기에 넣고 12000rpm에서 여액과 침전물로 분리시킨다. 분리된 여액을 95%의 주정 액 속에 투입하고 분산시켜 결정화하고 결정화된 조성물은 동결건조한 후 핀밀로 분쇄하고 분말 화하여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인삼 100 중량부와 정제수 1400 중량부를 투입하고 95℃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5㎛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하여 농축한다. 농축된 추출물은 원심분리기에 넣고 여액과 침전물로 분리시킨 후, 분리된 여액은 95%의 주정 액 속에 투입하고 분산시켜 결정화한다. 결정화된 조성물은 동결건조한 후 핀밀로 분쇄하고 분말 화하여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3>
녹차 100 중량부와 정제수 1500 중량부를 투입하고 8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5㎛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하여 농축한다. 농축된 추출물은 원심분리기에 넣고 6000rpm에서 여액과 침전물로 분리한 후, 분리된 여액을 95%의 주정 액 속에 투입하고 분산시켜 결정화하고 결정화된 조성물은 동결건조한 후 핀밀로 분쇄하고 분말 화하여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전술한 실시예 1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의 생장을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배양하는 Trypticase Soy agar(TSA) w/5% sheep blood plate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전술한 실시예 1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paper를 처리하여 그 생육 억제 circle를 확인하는 paper disk assay를 통해 48 시간 및 72시간 후의 변화를 관찰한 후,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각 농도별 3 반복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조성물의 농도는 1, 10 및 25mg/ml이다.)
<표1>
Figure 112012086527544-pat00001
전술한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25mg/ml의 농도에서 48시간 처리 후에는 1.62cm, 72시간 처리 후에는 2.05cm의 억제환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25mg/ml 농도에서 48시간 처리 후에는 1.44cm, 72시간 처리 후에는 1.96cm의 억제환이 관찰되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생장 억제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전술한 실시예 1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에 의한 염증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정상 위점막세포인 rat gastric mucosal cell(RGM-1) 세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은 정상 위점막세포에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로 한 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10 MOI로 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된 세포에서 RNA를 분리하여 염증관련 인자들을 발현시킨 후, 염증반응에 대표적인 효소인 COX-2 및 iNOS의 발현 여부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아래 그림 1에 나타내었다.
(단, 아래 그림 1에서는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GP, 실시예 2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MP,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GT로 표기하였으며, MPG6:((주)에스앤디)는 종래의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로 비교예로 사용되었다.)
<그림 1>
Figure 112012086527544-pat00002
전술한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 음성부분과 (+)양성부분의 발현을 비교하였을때,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로 한 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10 MOI로 8시간 동안 처리한 부분에서의 COX-2 및 iNOS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COX-2는 항상 일정하게 발현되는 COX-1과는 다르게 외부 자극이나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인자들에 의해 유도되어 점막이나 상처 부위에서 pain이나 fever 등을 유도할 수 있는 prostaglandin E2를 생성함으로써 염증을 매개하는 인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iNOS 또한 염증 반응시 유도되는 효소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초래한다. IL-8은 대표적인 염증성 싸이토카인으로 특히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에 의해 유도되어 염증 반응을 초래한다고 잘 알려져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로 한 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10 MOI로 8시간 동안 처리한 경우에, 그 발현이 증가된 염증 인자들이 vehicle control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낮은 정도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3>
전술한 실시예 1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의 Angiogenesis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RGM-1 세포에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을 0.1mg/ml씩 한 시간 동안 전처리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10 MOI로 8시간 동안 처리한 후, RNA를 분리하여 혈관신생 관련인자들의 발현을 살펴 그 결과를 그림 2에 나타내었다.
(단, 아래 그림 2에서는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GP, 실시예 2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MP,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을 GT로 표기하였으며, MPG6:((주)에스앤디)는 종래의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로 비교예로 사용되었다.)
<그림 2>
Figure 112012086527544-pat00003
전술한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은 Angiogenesis에 있어서 대표적인 인자로 알려져 있는 VEGF와 그 전사인자인 HIF-1α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암세포가 신생 혈관생성 작용을 통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 것을 차단하여 암세포의 성장 또는 다른 장기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암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은 약초 추출물인 인진쑥, 인삼 또는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부터 유발되는 위장 내 과면역반응 억제 및 암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S101 ; 추출단계
S103 ; 여과농축단계
S104 ; 재용해단계
S105 ; 결정화단계
S107 ; 건조분말화단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인진쑥, 인삼 및 녹차로 이루어진 약초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약초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를 통해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농축하는 여과농축단계;
    상기 여과농축단계를 통해 생성된 생성물을 여액과 침전물로 분리하고 결정화시키는 결정화단계; 및
    상기 결정화단계를 통해 분리된 결정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 화하는 건조분말화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정화단계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5000 내지 15000rpm에서 분리한 후, 분리된 여액을 90 내지 100%의 주정 액 속에 분산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농축단계와 상기 결정화단계 사이에는 생성물과 정제수를 1:1 내지 2 중량부 비율로 투입하고 7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재용해시킨 후, 5 내지 2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재용해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사포닌 배당체를 이용한 위염 및 위암 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추출단계는 약초와 정제수를 1:10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투입하고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사포닌 배당체를 이용한 위염 및 위암 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건조분말화단계는 분리된 결정을 동결건조한 후 핀밀로 분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유래 사포닌 배당체를 이용한 위염 및 위암 예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20118186A 2012-10-24 2012-10-24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43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186A KR101434471B1 (ko) 2012-10-24 2012-10-24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186A KR101434471B1 (ko) 2012-10-24 2012-10-24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64A KR20140052264A (ko) 2014-05-07
KR101434471B1 true KR101434471B1 (ko) 2014-08-27

Family

ID=5088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186A KR101434471B1 (ko) 2012-10-24 2012-10-24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7091A (zh) * 2016-09-08 2017-01-04 四川聚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有效治疗胃炎的丸剂药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228A (ko) * 1999-10-29 2001-05-15 채문식 인삼뿌리 추출물의 산성다당류 분획과 그 제조방법
KR100602841B1 (ko) * 2005-02-28 2006-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세포결합 저해활성을 갖는 녹차에서분리된 산성 다당체와 이를 함유하는 소화성 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70042405A (ko) * 2005-10-18 2007-04-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쑥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분획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228A (ko) * 1999-10-29 2001-05-15 채문식 인삼뿌리 추출물의 산성다당류 분획과 그 제조방법
KR100602841B1 (ko) * 2005-02-28 2006-07-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세포결합 저해활성을 갖는 녹차에서분리된 산성 다당체와 이를 함유하는 소화성 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70042405A (ko) * 2005-10-18 2007-04-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쑥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분획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7091A (zh) * 2016-09-08 2017-01-04 四川聚豪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有效治疗胃炎的丸剂药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64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1901B (zh) 一种高茶多酚速溶茶的制备方法
CN101792373B (zh) 一种高纯度白藜芦醇提取分离纯化工艺
CN101003775A (zh) 一种显齿蛇葡萄保健茶酒的生产方法及其产品
WO2020063894A1 (zh) 一种甜叶菊的工业化利用方法及其甜菊糖苷和绿原酸
CN102648935A (zh) 一种提取香椿总多酚的方法
CN111793102B (zh) 从芷江野生甜茶中分离三叶苷和根皮苷的方法
CN105726591A (zh) 水酶法提取板蓝根有效成分的方法
KR101434471B1 (ko)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NZ573614A (en) Processes for making caralluma extracts and uses
CN101318985A (zh) 一种熊果酸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CN113952367B (zh) 一种骨碎补提取物生产工艺
JPS61197523A (ja) 水分散性プロポリス含有製剤の製造法
JP2012153659A (ja) ホップ葉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87447B1 (ko) 천연물로부터 엽록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엽록소를 제거하는 방법
CN112457421A (zh) 二氢杨梅素和多糖的提取分离方法
KR20040067022A (ko)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KR20150075009A (ko)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60911A1 (en) Cosmetic product enriched with bioactive components of propolis with direct extraction from beeswax sprayed with propolis tinctur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101372458B1 (ko) 신강 감초로부터 유용성분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의 용도
Faraz et al. Enhancement in production of baicalein through transformation in Oroxylum indicum (L.) Vent by Rhizobium rhizogenes
US10137162B1 (en) Gastroprotective extracts of Sonchus oleraceus L.
KR101781169B1 (ko) 녹차다당체의 제조방법
KR20040103147A (ko) 곰보배추의 가공방법 및 가공품
RU235234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редства, обладающего гепатопротектив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RU276549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нулина из культивируемог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