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009A -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009A
KR20150075009A KR1020140055110A KR20140055110A KR20150075009A KR 20150075009 A KR20150075009 A KR 20150075009A KR 1020140055110 A KR1020140055110 A KR 1020140055110A KR 20140055110 A KR20140055110 A KR 20140055110A KR 20150075009 A KR20150075009 A KR 2015007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accharide
concentrate
extract
green tea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오
여경목
이응주
조용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디 filed Critical (주)에스.앤.디
Publication of KR2015007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단계와, 추출 및 여과 단계와, 농축 단계와, 주정처리 단계와, 주정분리 단계와, 건조 단계와, 이물질 제거 단계와,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척 단계에서는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과 녹차(Camellia sinensis)를 세척한다. 추출 및 여과 단계에서는 세척된 인진쑥과 녹차를 각각 추출하여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제조한다. 농축 단계에서는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을 제조한다. 주정처리 단계에서는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을 주정과 교반시킨다. 주정분리 단계에서는 주정처리 단계를 거친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로부터 주정을 분리시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분리한다. 건조 단계에서는 분리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건조시킨다. 이물질 제거 단계에서는 건조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혼합 단계에서는 이물질 제거 단계를 거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혼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위 내벽 부착을 억제하고, 위 염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improving gastric function using plant polysaccharide complex,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위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균 부착을 억제하고 위 염증을 예방할 수 있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장 내에는 산성도가 높아 세균이 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1983년 호주의 워렌(Warren)과 마샬(Marshall)은 위 내시경을 통한 생검조직을 검사한 결과 최초로 B형 위염환자의 위 점막을 덮고 있는 점액층에서 만곡성 세균을 발견하고, 상기 세균을 배양하여 캠필로박터 종(campylobacter genus)과 연관된 새로운 종임을 규명하였다(Lancet, 1983, 1, 1273-1275). 이후, 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는 위염 및 십이지장궤양의 원인균으로 밝혀졌으며(J. infect. Dis., 1990, 161, 626-633 ; Am. J. Med.,1991, 91, 566-572), 현재는 위궤양, 위암 및 위염 발병 인자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 pylori)는 위점막 상피 세포간 접합부에 서식하는 그램 음성의 간균으로서 최적 pH는 7.0 내지 7.4이며 온도는 30 내지 37℃의 미호기적 조건에서 생장한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 pylori)에 의한 감염은 식품 등과 함께 경구적으로 침입한 균이 위 점막에 부착함에 의해 시작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77202호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항균 조성물에 관한 일예이다. 이러한 종래의 항 헬리코박터균 조성물에 사용되는 감잎의 경우,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용매로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클로로포름은 과용시 사망할 위험성이 많은 물질로써, 경구 투여 소재로 활용시 불순물 제거 등 신중함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천연 추출물로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위 점막 부착을 방지하여 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경구투여용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7720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 질환과 관련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위 내벽 부착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과 녹차(Camellia sinensis)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와, 세척된 상기 인진쑥과 녹차를 각각 추출하여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및 여과 단계와,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을 제조하는 농축 단계와,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을 주정과 교반시키는 주정처리 단계와, 주정처리 단계를 거친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로부터 주정을 분리시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분리하는 주정분리 단계와, 분리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와, 이물질 제거 단계를 거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혼합시키는 혼합 단계를 포함한다.
추출 및 여과 단계에서는, 인진쑥을 90 내지 96℃에서 정제수로 7 내지 9시간 추출하여 제1 추출물을 제조하고, 녹차를 77 내지 83℃에서 정제수로 3 내지 5시간 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혼합 단계에서는 인삼(Panax ginseng C. A. Mey)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를 더 혼합시킬 수 있다.
제1 다당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다당체를 10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하며,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는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과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위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위 내벽 부착을 억제하고, 위 염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에 의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점막 부착 저해능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세척 단계(S100)와, 추출 및 여과 단계(S200)와, 농축 단계(S300)와, 주정처리 단계(S400)와, 주정분리 단계(S500)와, 건조 단계(S600)와, 이물질 제거 단계(S700)와, 혼합 단계(S800)를 포함한다.
세척 단계(S100)에서는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과 녹차(Camellia sinensis)를 세척한다. 세척되는 인진쑥과 녹차는 칭량저울로 계량하여 케이지에 넣은 상태로 추출탱크에 투입한 후, 정제수로 세척하고 말린다.
추출 및 여과 단계(S200)에서는 세척 단계(S100)를 거쳐 세척된 인진쑥과 녹차를 각각 따로 추출하여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제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추출 및 여과 단계(S200)에서는 세척 단계(S100)를 거친 인진쑥을 90 내지 96℃에서 정제수로 7 내지 9시간 추출하여 제1 추출물을 제조하고, 세척 단계(S100)를 거친 녹차를 77 내지 83℃에서 정제수로 3 내지 5시간 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제조한다. 추출 및 여과 단계(S200)는 시판의 일반적인 열수 추출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진쑥의 추출은 추출기에 투입되는 인진쑥의 10배수의 정제수를 추출기에 투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녹차의 추출은 추출기에 투입되는 녹차의 15배수의 정제수를 추출기에 투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농축 단계(S300)에서는 추출 및 여과 단계(S200)를 거쳐 제조된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각각 따로 농축하여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을 제조한다. 농축 단계(S300)는 시판의 일반적인 감압 농축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60℃, 700mmHg 설정 후 17 내지 21 브릭스(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농축이 과하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후술하는 주정처리 단계(S400)에서 교반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며, 농축이 적게 이루어질 경우 주정처리 단계(S400)에서 필요한 주정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주정의 양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후술하는 주정분리 단계(S500)에서 주정분리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1 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는 것이 후술하는 주정처리 단계(S400) 및 주정분리 단계(S500)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주정처리 단계(S400)에서는 농축 단계(S300)를 거쳐 제조된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을 각각 따로 주정과 교반시킨다. 주정처리 단계(S400)는 교반탱크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정처리 단계(S400)에서는 교반탱크에 주정을 먼저 투입하며, 제1 농축물의 교반과 제2 농축물의 교반은 서로 독립적인 교반탱크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순서를 정하여 독립적으로 실시한다.
주정분리 단계(S500)에서는 주정처리 단계(S400)를 거친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로부터 주정을 분리시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분리한다. 분리는 상분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 단계(S600)에서는 주정분리 단계(S500)를 거쳐 분리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건조시킨다. 건조 단계(S600)는 시판의 일반적인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건조 온도는 700mmHg 기준 동결 온도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 제거 단계(S700)에서는 건조 단계(S600를 거쳐 건조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물질 제거 단계(S700)에서는 건조 단계(S600)를 거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8,000GAUS 이상의 자석함을 통과시켜 금속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혼합 단계(S800)에서는 이물질 제거 단계(S700)를 거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혼합시킨다.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는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과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를 함유한다. 또한, 혼합 단계(S800)에서는 인삼(Panax ginseng C. A. Mey)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를 더 혼합시킬 수 있다. 인삼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는 진세노사이드 알비원(Ginsenoside Rb1)과 진세노사이드 알지원(Ginsenoside Rg1)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인진쑥으로부터 추출한 제1 다당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로부터 추출한 제2 다당체를 10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삼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체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다당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인삼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체 2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정제, 마이크로캡슐, 현탁액, 용액 및 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될 수 있다. 특히, 정제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500 mg 정제뿐만 아니라 600 mg의 비교적 대형의 정제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물과 함께 복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이질의 향과 맛을 마스킹하기에 용이하다. 이러한 경구용 정제를 제조할 경우에는 다당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결합제 270 내지 290 중량부, 붕해제 5 내지 10 중량부, 고결방지제 3 내지 7 중량부, 활택제 3 내지 7 중량부, 코팅제 3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무름이나 함습 등 정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때 500mg 용량의 정제 1정에는 인진쑥으로부터 유래된 지표성분(기능성분)인 프로토카테츄산과 녹차로부터 유래된 지표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가 각각 0.9 mg 이상, 0.019 mg 이상 포함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외에도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및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ECG)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표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인진쑥 100kg을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를 원료의 10배수를 투입한다. 약 93±3℃에서 8시간 추출하고 카트리지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다음, 여액을 약 65℃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70% 주정으로 분리한다. 분리 후 동결건조하여 7.7 kg의 인진쑥 다당체 분말(이하, MP)을 얻는다. (수율: 약 7.7%)
녹차 100kg을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를 원료의 15배수를 투입한다. 약80℃에서 4시간 추출하고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약 6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70% 주정으로 분리한다. 분리 후 동결건조하여 5.36 kg의 녹차 다당체 분말(이하, GT)을 얻는다. (수율:약 5.36 %)
인삼(수삼) 100kg을 세척한 다음, 습식분쇄기로 분쇄하여 추출탱크에 넣고 정제수를 원료의 20배수를 투입한다. 약 85℃에서 8시간 추출하고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한 다음, 여액을 약 6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70% 주정으로 분리한다. 분리 후 동결건조하여 2.0 kg의 인삼 다당체 분말(이하, GP)을 얻는다. (수율 약: 2.0%)
인진쑥 다당체 분말(MP)과, 녹차 다당체 분말(GT)을 각각 1.0kg, 1.0kg 정밀하게 칭량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식물성 다당 배합체(GTMP) 2.0kg을 제조한다.
인삼 다당체 분말(GP)과, 인진쑥 다당체 분말(MP)을 각각 0.2kg, 1.8kg 정밀하게 칭량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배합체(MPG-6) 2.0kg을 제조한다.
도 2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에 의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점막 부착 저해능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위암세포주(AGS cells, ATCC CRL 1739, a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epithelial cell line)이다. 균주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H.pylori, ATCC 43504)을 20 ml의 적정 배지에 넣고, 10 % CO2의 조건하의 인큐베이터(37 ℃ ,유지)에서 진탕(shaking)하며 이틀간 배양한 것이다. 시료는 인삼 다당체(GP), 녹차 다당체(GT), 인진쑥 다당체(MP), 식물성 다당 배합체(GTMP) 외에 인삼 다당체(GP)와 인진쑥 다당체(MP)의 배합체(MPG-6)를 모두 멸균수에 100 mg/ml 농도로 따뜻한 온도를 유지하며 녹여서 사용했다. 이 실험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생균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건강한 균주를 키웠는지 확인하기 위해, 요소(urea)를 넣은 페놀 레드(phenol red)염색으로 발색하여 나선균 모양을 지니는 건강한 균주인지 현미경으로 확인 후 실험하였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암세포주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먼저 반응시킨 다음 실험물질을 첨가한 결과 GP, MP, GT의 단독으로 처리한 시험구보다 GTMP, MPG-6 시험구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대한 응집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GTMP 시험구의 경우 1000μg/ml에서 15%로 다른 시험구보다 응집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과 실험물질들을 먼저 반응시킨 다음 위암세포주를 첨가하여 응집 효과를 시험한 결과 GT와 GTMP의 시료에서는 250 μg/ml에서도 40% 이상의 응집 효과를 나타내었다.
식물성 다당 배합체에 의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점막 부착 저해능 실험결과, 위암세포주에 균주(H.Pylori)를 선처리한 그룹에서는 10%~13%의 부착 저해능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균주와 실험물질을 반응시킨 후 위암세포주에 반응시켰을 때에는 GTMP 시료에서 40~55% 까지 높은 부착 저해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T의 시료구도 기존의 MPG-6보다 높은 부착 저해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균주 처리 순서에 관계없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대하여 강한 응집성을 나타내는 것은 GTMP 즉, 녹차와 인진쑥으로부터 유래된 식물성 다당 배합체이며, 이에 따라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위점막 부착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과 녹차(Camellia sinensis)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와,
    세척된 상기 인진쑥과 녹차를 각각 추출하여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추출 및 여과 단계와,
    상기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을 농축하여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을 제조하는 농축 단계와,
    상기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을 주정과 교반시키는 주정처리 단계와,
    상기 주정처리 단계를 거친 제1 농축물과 제2 농축물로부터 주정을 분리시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분리하는 주정분리 단계와,
    분리된 상기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상기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단계와,
    상기 이물질 제거 단계를 거친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를 혼합시키는 혼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및 여과 단계에서는,
    상기 인진쑥을 90 내지 96℃에서 정제수로 7 내지 9시간 추출하여 제1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녹차를 77 내지 83℃에서 정제수로 3 내지 5시간 추출하여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에서,
    인삼(Panax ginseng C. A. Mey)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체를 더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당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다당체를 10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하며, 제1 다당체와 제2 다당체는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과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포함하는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140055110A 2013-12-24 2014-05-08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50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377 2013-12-24
KR20130162377 2013-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009A true KR20150075009A (ko) 2015-07-02

Family

ID=5378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110A KR20150075009A (ko) 2013-12-24 2014-05-08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6372A (zh) * 2021-12-07 2022-04-12 兰州大学 一种中药组合物的多糖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6372A (zh) * 2021-12-07 2022-04-12 兰州大学 一种中药组合物的多糖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306372B (zh) * 2021-12-07 2023-10-31 兰州大学 一种中药组合物的多糖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6753B2 (ja) 緑茶多糖体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皮膚美白、保湿及びしわ改善用化粧料組成物
JP7120921B2 (ja) 植物からサポニンを得る方法
DK145505B (da)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et nitrogenholdigt polysaccharid
US11318397B2 (en) Nipa palm extract preparation method and nipa palm extract prepared by means of same
CN111471732A (zh) 一种新型富硒茶源ace抑制肽及其制备方法
CN105726591A (zh) 水酶法提取板蓝根有效成分的方法
JP7085262B2 (ja) トマチジンの製造法
KR20110048401A (ko) 신선초 녹즙 부산물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KR20150075009A (ko) 식물성 다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71209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чищенного инулина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KR20190027641A (ko) 천연 항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6379B1 (ko) 황촉규 추출물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촉규 추출물 및 상기 황촉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156615A1 (zh) 一种富含egc的非酯型茶多酚的制备方法
KR101687447B1 (ko) 천연물로부터 엽록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엽록소를 제거하는 방법
US20230123084A1 (en) Method for obtaining a botanical extract
KR101938348B1 (ko) 굼벵이로부터 지방산 오일 및 수용성 펩타이드를 분리하는 방법
KR101434471B1 (ko) 천연물 유래 당 배합체를 이용한 위염 및 암 예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O2005046358A1 (ja) オリーブまんでがん利用法および抗ピロリ菌活性を有する食品
KR20040103147A (ko) 곰보배추의 가공방법 및 가공품
RU276549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нулина из культивируемог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KR101408004B1 (ko) 인삼 부산물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KR20180134657A (ko) 미성숙 감으로부터 폴리페놀을 추출하는 방법
UA123294C2 (uk) Спосіб отримання сухого екстракту пеларгонії pelargonium sidoides та/або pelargonium reniforme
KR20100093378A (ko) 항균 활성을 갖는 망고스틴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030065660A (ko) 홍삼 농축액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