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219B1 -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219B1
KR101433219B1 KR1020130068272A KR20130068272A KR101433219B1 KR 101433219 B1 KR101433219 B1 KR 101433219B1 KR 1020130068272 A KR1020130068272 A KR 1020130068272A KR 20130068272 A KR20130068272 A KR 20130068272A KR 101433219 B1 KR101433219 B1 KR 10143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onveying
drying
dried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대진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conveyors propelling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helves, sieves, or trays
    • F26B17/2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conveyors propelling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helves, sieves, or trays the materials to be dried being moved in a helical, spiral or circular path, e.g. vibrated heli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는 진동 모터, 이송엘리베이터 및 복수의 열풍 모듈을 포함한다. 진동 모터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송엘리베이터는 측면에 복수의 원통홀이 형성된 중앙원통부와,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진동 모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이 진동 모터의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열풍 모듈은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한다.
이를 통해,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이송엘리베이터에 의해 건조 대상물을 수직으로 형성된 나선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설치면적에 비해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이송엘리베이터 뿐만 아니라 복수의 열풍 모듈에서 열풍이 배출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 대상물의 건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Vibratory hot wind dryer}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수산물 및 가공제품과 같은 건조대상물을 진동을 통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나선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열풍을 통하여 건조할 수 있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포함된 농수산물을 오래 보관하거나 유통 중 변질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건조가 필수적이다. 또한, 우드펠릿(wood pellet) 등의 가공제품이나 파우더(powder) 형태의 제품 등은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는 건조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많은 양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건조를 한다.
따라서, 농수산물 또는 우드펠릿(wood pellet) 등의 가공제품과 같이 수분이 포함된 입자 형태의 매체(이하에서, 건조 대상물이라 한다)를 건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건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방식의 건조장치 중 하나인 터널방식의 건조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터널 안으로 이송시키면서 가스 열풍이나 히터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터널방식의 건조장치는 건조 대상물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완전한 건조를 위해서는 컨베이어벨트의 속도가 서행을 유지해야 하고, 이로 인해 건조처리속도가 느리고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건조되기 때문에 생산설비에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므로 공간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 다른 건조장치 중 하나인 드럼방식의 건조장치는 드럼을 회전시켜 건조 대상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드럼 내부로 투입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대상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드럼방식의 건조장치도 수평방향으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시키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건조 효율성이 떨어지고 긴 길이의 드럼을 가지기 때문에 생산설비에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므로 공간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결과적으로, 터널방식의 건조장치 및 드럼방식의 건조장치는 건조를 하기위한 건조 대상물의 이송거리가 길고,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거나 처리량의 한계 및 처리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건조 대상물이 놓여진 상태 그대로 이송되거나 가만히 놓아 둔 상태에서 건조 처리되기 때문에 건조 대상물 가진 습기가 제대로 빠져 나가지 못하므로서 건조시간을 오래 가져야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2870호(2012.08.22 공개) (명칭 : 스팀을 이용한 톱밥 건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축사바닥깔개용 펠렛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대상물이 진동을 통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나선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양방향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 측면에 복수의 원통홀이 형성된 중앙원통부와,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진동 모터의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는 복수의 열풍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풍 모듈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열풍을 저장하는 열풍 본체, 상기 열풍 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열풍 본체에 저장된 열풍을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배출하는 복수의 열풍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풍 모듈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 상부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이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풍 모듈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의 1/2 내지 2/3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통홀은 상기 중앙원통부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고, 상기 복수의 열풍 노즐은 상기 복수의 원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홀 및 열풍 모듈에서 배출하는 열풍의 온도는 3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진동 모터, 열풍 모듈을 감싸고, 단열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홀 및 열풍 모듈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단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단열 케이스 상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단열 케이스 하부 측면에 연통되어 상기 원통홀 및 열풍 모듈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및 열풍 모듈은 스테인레스강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따르면,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이송엘리베이터에 의해 건조 대상물을 수직으로 형성된 나선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설치면적에 비해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이송엘리베이터 뿐만 아니라 복수의 열풍 모듈에서 열풍이 배출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 대상물의 건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원통홀 및 열풍 노즐에서 열풍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건조 대상물은 수분이 포함된 입자 형태의 매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수분이 포함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나 씨앗, 우드펠릿(wood pellet), 식품류, 화학약품, 목재가공 부산물인 톱밥 등이 건조 대상물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입자 형태의 매체들이 건조 대상물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는 이송엘리베이터(10), 진동 모터(20), 적어도 하나의 열풍 모듈(30)을 포함한다.
이송엘리베이터(10)는 중앙원통부(12) 및 이송부(15)를 포함한다.
이송엘리베이터(10)는 열풍 공급장치(5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열풍 공급장치(50)는 열풍을 생산하는 장치로 보일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열풍 공급장치(50)는 관을 통해 중앙원통부(12) 하부 또는 측면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열풍 공급장치(50)에서 열풍을 생산하면, 생성된 열풍은 중앙원통부(12) 하부 또는 측면 하단과 연결된 관을 통해 중앙원통부(12) 내부로 이동한다. 열풍은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중앙원통부(12) 하부로 이동된 열풍은 중앙원통부(12) 상부로 이동한다.
중앙원통부(12)는 측면에 복수의 원통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중앙원통부(12) 내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던 열풍은 원통홀(13)을 통해 중앙원통부(1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원통홀(13)을 통해 배출된 열풍은 이송부(15)에서 이동 중인 건조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건조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원통홀(13)은 바닥면(도3의 14) 상부를 향해서 형성되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송부(15)는 중앙원통부(12) 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이송부(15)는 중앙원통부(12)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바닥면(도3의 14)과, 바닥면(도3의 14) 일단에 돌출 형성된 이송벽(도3의 16)으로 구성된다.
바닥면(도3의 14)은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 부분이다.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는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7)가 설치되어 있고, 투입부(17)를 통해 건조 대상물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다.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은 진동 모터(20)를 통해 전달된 진동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바닥면(도3의 14)은 중앙원통부(12)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은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원통부(12)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된 바닥면(도3의 14)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바닥면(도3의 14)의 하부까지 이송된 건조 대상물은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 설치된 배출부(18)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바닥면(도3의 14) 상부 일단에는 이송벽(도3의 16)이 돌출 형성된다. 돌출 형성된 이송벽(도3의 16)을 통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서 이송중인 건조 대상물이 이송될 때, 바닥면(도3의 14) 외부로 건조 대상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면(도3의 14)에 형성된 나선은 3 내지 8도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는데, 바닥면(도3의 14)의 나선이 3도 미만으로 형성되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대상물의 이송이 느려지게 되어 건조 효율성이 떨어지고, 바닥면(도3의 14)의 나선이 8도 초과하여 형성되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이 빠른 속도로 이송되어 충분히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복수의 원통홀(13)은 바닥면(도3의 14) 상부를 향해서 형성되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한다. 복수의 원통홀(13)은 중앙원통부(12) 하부를 기준으로 중앙원통부(12)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복수의 원통홀(13)에서 배출하는 열풍은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상승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송풍팬(blower pan)(45)에 의해 상승하기 때문이다. 즉, 복수의 원통홀(13)이 중앙원통부(12) 하부를 기준으로 중앙원통부(12)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어도, 상승되는 열풍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형성된 이송부(15)에서 이송되고 있는 건조 대상물에도 열풍이 전달되어 건조될 수 있다.
이송엘리베이터(10)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엘리베이터(1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강은 내식성이 강하고, 내열성이 뛰어난 SUS310S, SUS30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식성이 강하고, 내열성이 뛰어난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대표적으로 SS400(cabon steel)도 사용될 수 있다.
진동 모터(2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달리 말하면,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를 진동시켜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시킨다. 즉, 진동 모터(20)가 작동하여 진동함에 따라 이송엘리베이터(10)도 같이 진동하게 되고, 이송부(15)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이 이송부(15) 하부로 이송하게될 뿐만 아니라, 건조 대상물 자체가 진동하게 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된다.
진동 모터(20)는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15 내지 40도 기울어져 설치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모터(20)가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15 내지 40도의 기울어져 설치되는 이유는 이송엘리베이터(10)에 전달되는 진동에 방향성을 주기 위한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송엘리베이터(10)는 진동 모터(20)에서 전달받은 진동에 의해 이송부(15) 상부에서 하부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데 진동 모터(20)가 15 내지 40도 기울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건조 대상물이 방향성을 가지고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케이스(100)는 투입부(17)가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설치되고, 배출부(18)가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입부(17)를 통해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진동 모터(20)에서 전달받은 진동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로 이송하여 배출부(18)를 배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만일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7)가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 설치되고, 건조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부(18)가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면, 진동 모터(20)의 설치각을 조절하여 건조 대상물이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진동 모터(20)는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140 내지 165도 기울어져 설치되면 건조 대상물이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처럼, 진동 모터(20)는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설치각에 따라 이송엘리베이터(10)에 전달되는 진동에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다.
열풍 모듈(30)은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이송부(15)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한다.
열풍 모듈(30)은 열풍 본체(32)와 복수의 열풍 노즐(34)을 포함한다
열풍 본체(32)는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열풍을 저장한다. 달리 말하면, 열풍 본체(32)는 열풍 공급장치(50)와 연결될 수 있는데, 열풍 공급장치(50)에서 공급된 열풍을 저장하고, 열풍 본체(32)에 저장된 열풍은 열풍 본체(32)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열풍 노즐(34)을 통해 배출된다. 즉, 복수의 열풍 노즐(34)은 열풍 본체(32)에 저장된 열풍을 이송부(15)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배출하게 된다.
열풍 모듈(30)은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열풍 노즐(34)은 바닥면(도3의 14) 상부를 향해서 형성되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한다.
결과적으로, 건조 대상물은 앞서 언급했던 중앙원통부(12)의 원통홀(13)에서 배출되는 열풍 뿐만 아니라 열풍 모듈(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통해서 건조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복수의 열풍 모듈(30)은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 이격되어 이송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풍 모듈(30)이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측면에 이격되어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4개의 열풍 모듈(30)은 이송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측면에 이격되어 90도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방사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풍 모듈(30)이 2 개가 설치되면 열풍 모듈(30)은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측면에 이격되어 180도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열풍 모듈(30)이 3 개가 설치되면 열풍 모듈(30)은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측면에 이격되어 120도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열풍 모듈(30)이 방사형으로 설치되므로서 바닥면(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복수의 열풍 노즐(34)은 복수의 원통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원통홀 및 열풍 노즐에서 열풍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풍 모듈(30)은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를 기준으로 이송엘리베이터(10)의 1/2 내지 2/3의 위치에서 이송부(15), 즉, 바닥면(14) 상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60)에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열풍 모듈(30)은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복수의 열풍 노즐(34)은 복수의 원통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이송부(15)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60)에 열풍을 배출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복수의 원통홀(13)은 중앙원통부(12) 하부를 기준으로 중앙원통부(12)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는데, 복수의 열풍 노즐(34)이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원통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서, 이송부(15)에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60)은 원통홀(13) 뿐만 아니라 열풍 노즐(34)에서 배출되는 열풍, 즉 여러방향에서 배출되는 열풍으로 인해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열풍 모듈(30)이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를 기준으로 이송엘리베이터(10)의 1/2 내지 2/3의 위치에서 열풍을 제공하고 있어도, 열풍 모듈(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공기 보다 가벼울 뿐만 아니라, 후술할 송풍팬(45)에 의해 상승하기 때문에, 상승하는 열풍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형성된 이송부(15)에서 이송되고 있는 건조 대상물(60)에도 열풍이 전달되어 건조될 수 있다.
중앙원통부(12)의 원통홀(13)에서 배출되는 열풍과 열풍 노즐(34)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30 내지 400℃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열풍 온도는 건조 대상물의 종류 및 크기, 무게 등에 따라 30 내지 400℃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는 단열 케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 케이스(40)는 이송엘리베이터(10), 진동 모터(20), 복수의 열풍 모듈(30)을 감싼다. 달리 말하면, 단열 케이스(40)는 단열 재질로 구성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의 원통홀(13) 및 열풍 모듈(30)의 열풍 노즐(34)에서 배출하는 열풍이 단열 케이스(4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단열 케이스(40)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의 내부는 열풍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단열 케이스(40)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열 재질로 그라스 울(glass wool), 세라크 울(cerak wool), 미네랄 울(mineral wool)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단열 케이스(40)는 하부 측면에 송풍팬(45)이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45)은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로서, 단열 케이스(40) 하부 측면에 설치된 송풍팬(45)을 통해 생성된 바람은 단열 케이스(40) 내부에 발생된 열풍을 상승시킨다.
단열 케이스(40)는 일단은 단열 케이스(40) 상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단열 케이스(40) 하부 측면에 연통되어 원통홀(13) 및 열풍 모듈(3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로(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열풍은 송풍팬(45)에 의해 상승되기 때문에 이송엘리베이터(10)의 원통홀(13)과 열풍 모듈(30)의 열풍 노즐(34)에서 배출된 열풍은 상승하여 단열 케이스(40) 상부에 맞닿게 된다. 단열 케이스(40) 상부로 옮겨진 열풍은 단열 케이스 상부에 연통된 공기 순환로(42)로 흡입되게 되고 공기 순환로(42)에 흡입된 열풍은 공기 순환로(42) 내측에 설치된 공기 순환팬에 의하여 단열 케이스(40) 하부 측면에 연통된 공기 순환로(42)로 배출되게 된다. 단열 케이스(40) 하부 측면에 연통된 공기 순환로(42)로 배출된 열풍은 다시 상승하여 단열 케이스(40) 상부로 옮겨져 열풍은 단열 케이스(40) 내부에서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 관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진동장치(100)는 내부 전체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단열 케이스(40) 상부와 연통된 공기 순환로(42)의 일단에는 팬(fan)이 설치될 수 있는데, 팬이 작동하므로서 상승된 열풍을 하강, 즉 열풍을 와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60)이 건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가 작동을 시작하게 되면 진동 모터(20)가 진동하게 된다. 진동 모터(20)의 진동에 의해 하부가 진동 모터(20)와 맞닿아 연결된 이송엘리베이터(10)도 같이 진동하게 된다.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 설치된 진동 모터(20)는 15 내지 40도 기울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진동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이송엘리베이터(10)가 진동 모터(20)에 의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진동하고 있을 때,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설치된 투입부(17)를 통해 이송부(15), 즉, 이송부(15)의 바닥면(14) 상부에 건조 대상물(60)이 투입된다. 투입된 건조 대상물(60)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진동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게 된다. 이 때, 중앙원통부(12)에 형성된 복수의 원통홀(13)을 통해 열풍이 배출되고, 열풍은 이송엘리베이터(10)에서 이송 중인 건조 대상물(60)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건조시킨다.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는 이격되어 복수의 열풍 모듈(30)이 설치되어 있다. 열풍 모듈(30)은 측면에 돌출 형성된 열풍 노즐(34)을 통해 열풍을 배출하는데, 열풍 노즐(34)은 바닥면(14) 상부를 향해서 형성되어 바닥면(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60)에 열풍을 배출하여 건조 대상물(60)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건조시킨다.
결과적으로, 이송엘리베이터(10)에서 이송 중인 건조 대상물(60)은 중앙원통부(12)에 형성된 복수의 원통홀(13)에서 배출하는 열풍 뿐만 아니라, 열풍 모듈(30)에 포함된 복수의 열풍 노즐(34)에서 배출하는 열풍을 통해서도 건조되기 때문에 중앙원통부(12)에 형성된 복수의 원통홀(13)에서만 열풍이 배출되는 것 보다 더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흐른 후, 바닥부(14) 상부에서 이송 중인 건조 대상물(60)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진동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로 이송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부(18)를 통해 배출되어 건조가 끝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는 단열 케이스(40)를 통해 건조 대상물(60)이 배출부(18)로 배출될 때 까지 열풍에서 발생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단열 케이스(40)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 재질로 구성되고, 일단은 상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하부 측면에 연통된 관형의 공기 순환로(42)가 설치되어 이를 통해, 열풍이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 내부를 순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이송엘리베이터
12 : 중앙원통부
13 : 원통홀
14 : 바닥면
15 : 이송부
16 : 이송벽
17 : 투입부
18 : 배출부
20 : 진동 모터
30 : 열풍 모듈
32 : 열풍 본체
34 : 열풍 노즐
40 : 단열 케이스
42 : 공기 순환로
45 : 송풍팬
50 : 열풍 공급장치
60 : 건조 대상물
100 :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Claims (10)

  1.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
    측면에 복수의 원통홀이 형성된 중앙원통부와,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진동 모터의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는 복수의 열풍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모듈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열풍을 저장하는 열풍 본체;
    상기 열풍 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열풍 본체에 저장된 열풍을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배출하는 복수의 열풍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열풍 모듈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 상부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이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모듈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의 1/2 내지 2/3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통홀은 상기 중앙원통부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고,
    상기 복수의 열풍 노즐은 상기 복수의 원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홀 및 열풍 모듈에서 배출하는 열풍의 온도는 3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진동 모터, 열풍 모듈을 감싸고, 단열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홀 및 열풍 모듈에서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단열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단열 케이스 상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단열 케이스 하부 측면에 연통되어 상기 원통홀 및 열풍 모듈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및 열풍 모듈은 스테인레스강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KR1020130068272A 2013-06-14 2013-06-14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KR10143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272A KR101433219B1 (ko) 2013-06-14 2013-06-14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272A KR101433219B1 (ko) 2013-06-14 2013-06-14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219B1 true KR101433219B1 (ko) 2014-08-25

Family

ID=5175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272A KR101433219B1 (ko) 2013-06-14 2013-06-14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2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54B1 (ko) * 2020-03-30 2020-11-10 이연희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 육포 건조 장치
KR102418885B1 (ko) * 2021-12-09 2022-07-08 대한민국 조사료 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사료 건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681Y1 (ko) 2000-08-11 2001-02-15 김경순 곡물의 건조 및 볶음을 위한 진동 이송장치
KR200315013Y1 (ko) 2003-02-28 2003-06-02 섬머슴아영농조합법인 쌀 코팅 장치
JP2006122037A (ja) 2004-09-29 2006-05-18 Maruchu Setsubi Kogyo:Kk ガスボイル装置と乾燥装置、移送物殺菌装置、ガスボイル方法及び移送物殺菌方法
KR20100127332A (ko) * 2009-05-26 2010-12-06 (주)부전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681Y1 (ko) 2000-08-11 2001-02-15 김경순 곡물의 건조 및 볶음을 위한 진동 이송장치
KR200315013Y1 (ko) 2003-02-28 2003-06-02 섬머슴아영농조합법인 쌀 코팅 장치
JP2006122037A (ja) 2004-09-29 2006-05-18 Maruchu Setsubi Kogyo:Kk ガスボイル装置と乾燥装置、移送物殺菌装置、ガスボイル方法及び移送物殺菌方法
KR20100127332A (ko) * 2009-05-26 2010-12-06 (주)부전 농수산물 건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154B1 (ko) * 2020-03-30 2020-11-10 이연희 건조 효율성이 향상된 육포 건조 장치
KR102418885B1 (ko) * 2021-12-09 2022-07-08 대한민국 조사료 건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사료 건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621B1 (ko)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TWI683082B (zh) 被處理物之乾燥方法及橫型旋轉式乾燥機
JP2007085634A (ja) 穀類乾燥機
KR101834701B1 (ko) 연속식 열풍건조기
KR101433219B1 (ko)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CN106766814A (zh) 一种大米加工用烘干装置
CN204421551U (zh) 物料烘干机
KR20140145752A (ko)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
JP4480157B2 (ja) 穀物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RU2459166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и обработки зерна и кормов
CN101726160B (zh) 一种分散物料气流干燥装置
JP2009082764A (ja) 食品ゴミの乾燥方法及び装置
JP2009281671A (ja) 粉粒体の乾燥方法及び乾燥装置
CN204263401U (zh) 一种工程塑料加工烘料筒
KR101408198B1 (ko) 다단계 회전식 열풍건조기
KR101758795B1 (ko) 코크스용 석탄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JP2015144589A (ja) 乾燥米の製造方法、及び、米用乾燥機
KR20150089180A (ko) 곡물건조기의 배출장치
CN107131733A (zh) 一种空调注塑件生产用物料转运装置
JP2009077677A (ja) 茶葉冷却装置
CN204070344U (zh) 一种食品烘干设备
CN103245174B (zh) 导料板推进式干燥加热设备
CN207600061U (zh) 沸腾干燥装置
CN203704551U (zh) 鳞片石墨干燥设备
KR100211282B1 (ko) 입자매체용 건조 및 냉각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