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382B1 - 에어 리크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리크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382B1
KR101432382B1 KR1020120141060A KR20120141060A KR101432382B1 KR 101432382 B1 KR101432382 B1 KR 101432382B1 KR 1020120141060 A KR1020120141060 A KR 1020120141060A KR 20120141060 A KR20120141060 A KR 20120141060A KR 101432382 B1 KR101432382 B1 KR 101432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resin
jig
spa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183A (ko
Inventor
성기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3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리크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는 지그의 일면에 수용공간 및 변형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패킹용 수지를 결합하고, 상기 지그와의 사이에 밀폐된 측정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조립제품의 누름에 의한 상기 패킹용 수지의 변형시 변형공간에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측정공간의 체적변동을 최소화하여 측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리크 측정장치{AIR LEAK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에어 리크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를 포함하는 통상의 조립제품은 부품의 조립 후 그 조립상태(틈새 또는 크랙 등)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측정방법 중 하나인 에어 리크(Air Leak) 측정방법은 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 본체(Base)에 스핀들모터를 조립한 후 밀폐된 환경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누설 여부를 통해 조립상태를 검사하고 있다.
즉 상기 스핀들모터가 조립된 본체를 지그(Jig)의 상부에 올려놓고, 상기 본체를 지그에 밀착시켜 밀폐된 측정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측정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에어 리크를 측정하고 있으며, 상기 측정공간의 밀폐환경조성을 위하여 상기 지그와 본체 사이에 통상 패킹용 수지를 개재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에어 리크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측정장치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서 상세히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에어 리크 테스트(Air Leak Test)를 행하는 장치로써, 진공통로가 형성된 폐색 플레이트, 상기 진공통로에 접속되는 진공기구 및 검출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폐색 플레이트로 기재된 지그(Jig)의 상부에 워크 캡슐(Work capsule)로 기재된 본체(Base)를 밀착시켜 폐색한 후 진공통로에 접속되는 진공기구를 통해 상기 워크 캡슐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함으로써, 검출기를 통해 공기의 방출 여부를 검출하여 조립상태를 검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의 에어 리크 측정장치는 지그에 본체를 올려놓고 상기 본체를 눌러 밀착함으로써, 밀폐환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러한 밀폐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패킹용 수지를 적용할 경우 상기 패킹용 수지의 변형으로 인한 측정공간의 체적변동으로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즉 상기 패킹용 수지는 가압시 웨이브(Wave)형태의 밀림현상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이 지그와 본체 사이에서 발생할 경우 측정공간의 체적변동으로 측정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측정품질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용 수지는 지그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통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이를 본드(Bond) 또는 테이프(Tape)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수명이 다한 패킹용 수지를 교체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 있다.
JP 2000-121482 A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조립제품의 에어 리크 측정에 있어서, 지그와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측정공간의 체적변동으로 인해 정밀한 측정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은, 측정공간의 체적변동 최소화를 통해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에어 리크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는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지그;
상기 지그의 일면에 구비된 패킹용 수지;
상기 지그의 일면에 형성되어 패킹용 수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형성된 변형공간;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의 측면을 외향 경사지게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킹용 수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킹용 수지는 공기통로 및 수납부가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킹용 수지는 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에 패킹용 수지의 변형시 이를 채울 수 있는 변형공간이 수용공간 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그와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측정공간의 체적변동이 최소화되어 정밀한 에어 리크 측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측정품질의 향상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패킹용 수지를 수용 결합함으로써, 종래의 본드 또는 테이프를 통한 고정으로 인해 발생하던 교체의 불편함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패킹용 수지가 판 또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공됨으로써,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립제품의 에어 리크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띠 형상의 패킹용 수지의 경우 변형량이 극히 적어 체적변동을 더욱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모성인 패킹용 수지를 제조하는데 따른 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는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구멍(Air Hole)이 형성되고, 일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 변형공간이 형성된 지그(Jig) 및 상기 지그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패킹용 수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를 포함하는 조립제품의 본체(Base)를 패킹용 수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패킹용 수지를 지그를 향해 눌러 가압함으로써, 상기 지그와 본체 사이에 밀폐된 측정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공간에 공기구멍을 통해 통상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누설 여부를 통해 조립상태(틈새 또는 크랙)를 검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 의한 가압시 그 형상이 변형되는 패킹용 수지는 측정공간 대신 변형공간을 채우게 되어 상기 측정공간의 체적변동이 최소화되며, 이에 따라 정확한 에어 리크 측정이 용이하게 측정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조립제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에 스핀들모터가 조립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기준으로 설명하게 되나, 이는 일례로써, 에어 리크 측정 대상을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2에서 보듯이, 상기 지그(100)는 직사각형태의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공기구멍(101)이 형성됨으로써, 본체(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정공간(2b)을 외부와 연통시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지그(100)는 본체(2)에 조립된 스핀들모터(2a)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상부를 홈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수납부(110)를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수납부(110)의 형상은 상기 본체(2)에 조립되는 부품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그(100)는 상부 테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가공함으로써, 수용공간(102)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수용공간(102)의 좌,우 측면을 5°각도(±1°)로 경사(Taper)지게 가공하여 변형공간(10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102)에 구비되는 패킹용 수지(120)는 우레탄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02)의 형상인 띠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띠 형상이란 굴절 없는 완전한 사각형상이거나, 각 모서리 등이 굴절형성된 사각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3에서 보듯이, 상기 패킹용 수지(120)는 지그(100)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02)에 결합하여 구비토록 하게 되며, 스핀들모터(2a)가 조립된 본체(2)를 상기 스핀들모터(2a)가 측정공간(2b)에 위치하도록 패킹용 수지(120)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본체(2)를 지그(100)를 향해 눌러 밀착시킴으로써, 측정공간(2b)을 밀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2)는 작업자가 손으로 눌러 패킹용 수지(120)에 밀착시키거나 가압유닛(130)을 이용하여 상기 패킹용 수지(1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130)은 밀착부(131)와 설치부(132)로 구성되어 지그(10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균등한 압력으로 본체(2)를 눌러 가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설치부(132)를 이용하여 통상의 프레스장치 등에 설치할 경우 본체(2)를 패킹용 수지(120)에 자동방식으로 밀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본체(2)의 가압시 패킹용 수지(120)는 하부방향으로 변형되면서 변형공간(103)을 채우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본체(2)와 지그(100) 사이에 형성되는 측정공간(2b)의 체적변동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1)는 조립상태(틈새 또는 크랙)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5에서 보듯이, 상기 지그(200)는 직사각형태의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공기구멍(201)이 형성됨으로써, 본체(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정공간(2b)을 외부와 연통시켜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지그(200)는 상부를 전체적으로 홈 가공함으로써, 판 형상으로 수용공간(202)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수용공간(202)의 측면을 5°각도(±1°)로 경사(Taper)지게 가공하여 변형공간(20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202)에 구비되는 패킹용 수지(220)는 우레탄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02)의 형상인 판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판 형상이란 굴절 없는 완전한 사각형상이거나, 각 모서리 등이 굴절형성된 사각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패킹용 수지(220)는 본체(2)에 조립된 스핀들모터(2a)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그리고 지그(200)에 형성된 공기구멍(20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상기 공기구멍(201)과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통로(221)가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모터(2a)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납부(210)를 형성하여 제공하게 되며, 이때의 상기 수납부(210)의 형상은 상기 본체(2)에 조립되는 부품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 내지 6에서 보듯이, 상기 패킹용 수지(220)는 지그(200)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공간(202)에 결합하여 구비토록 하게 되며, 스핀들모터(2a)가 조립된 본체(2)를 상기 스핀들모터(2a)가 측정공간(2b)에 위치하도록 패킹용 수지(220)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본체(2)를 지그(200)를 향해 눌러 밀착시킴으로써, 측정공간(2b)을 밀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2)는 작업자가 손으로 눌러 패킹용 수지(220)에 밀착시키거나 가압유닛(130)을 이용하여 상기 패킹용 수지(2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130)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이러한 본체(2)의 가압시 패킹용 수지(220)는 하부방향으로 변형되면서 변형공간(203)을 채우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본체(2)와 지그(200) 사이에 형성되는 측정공간(2b)의 체적변동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1)는 조립상태(틈새 또는 크랙)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리크 측정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에어 리크 측정장치 2 - 본체
2a - 스핀들모터 2b - 측정공간
100,200 - 지그 101,201 - 공기구멍
102,202 - 수용공간 110,210 - 수납부
120,220 - 패킹용 수지 130 - 가압유닛
131 - 밀착부 132 - 설치부
221 - 공기통로

Claims (6)

  1. 스핀들모터가 조립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본체;
    상기 스핀들모터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정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지그(JIG);
    상기 지그의 일면에 구비되어 본체와 밀착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 패킹용 수지;
    상기 지그의 일면에 형성되어 패킹용 수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형성되어 본체에 의한 패킹용 수지의 가압시 형상이 변형된 패킹용 수지가 채워지는 변형공간(Space);
    을 포함하는 에어 리크 측정장치.
  2. 스핀들모터가 조립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본체;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정공간에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된 지그(JIG);
    상기 지그의 일면에 구비되어 본체와 밀착되며, 상기 공기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모터가 수납되는 수납부가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킹용 수지;
    상기 지그의 일면에 형성되어 패킹용 수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형성되어 본체에 의한 패킹용 수지의 가압시 형상이 변형된 패킹용 수지가 채워지는 변형공간(Space);
    을 포함하는 에어 리크 측정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변형공간은 수용공간의 측면을 외향 경사지게 가공하여 형성된 에어 리크 측정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킹용 수지는 우레탄(Urethane)으로 형성된 에어 리크 측정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상부에 배치되어 본체를 지그를 향해 눌러 가압하는 가압유닛;
    을 더 포함하는 에어 리크 측정장치.
  6. 삭제
KR1020120141060A 2012-12-06 2012-12-06 에어 리크 측정장치 KR101432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060A KR101432382B1 (ko) 2012-12-06 2012-12-06 에어 리크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060A KR101432382B1 (ko) 2012-12-06 2012-12-06 에어 리크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183A KR20140073183A (ko) 2014-06-16
KR101432382B1 true KR101432382B1 (ko) 2014-08-20

Family

ID=5112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060A KR101432382B1 (ko) 2012-12-06 2012-12-06 에어 리크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3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4152A (ja) * 2003-05-28 2004-12-16 Ryobi Ltd リークテスタ用治具
JP2011179970A (ja) 2010-03-01 2011-09-15 Ts:Kk 板状成形・接合体の漏れ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4152A (ja) * 2003-05-28 2004-12-16 Ryobi Ltd リークテスタ用治具
JP2011179970A (ja) 2010-03-01 2011-09-15 Ts:Kk 板状成形・接合体の漏れ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183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7501B (zh) 用于将眼科镜片包装的覆盖膜和眼科镜片包装的基部热结合在一起的方法
KR101235532B1 (ko) 압착 장치
JP4832107B2 (ja) 実装方法
US9080851B2 (en) Size inspection device
CN212228324U (zh) 一种气测治具的密闭性检测结构
JP5867447B2 (ja) フィルム外装電池の検査装置およびフィルム外装電池の検査方法、検査装置、ならびにフィルム外装電池の検査用チャンバ
TW201330427A (zh) 插座及電子元件測試裝置
KR101504596B1 (ko) 누설 테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설 테스트 방법
KR101432382B1 (ko) 에어 리크 측정장치
JP2018204959A (ja) 破袋強度検査装置
JP5612872B2 (ja) 板状成形・接合体の漏れ検査装置
JP4753681B2 (ja) 防水秤
JP5907541B2 (ja) シール構造及び該シール構造を備える電子機器
KR101031254B1 (ko) 기밀성 검사 장치
US20210172827A1 (en) Apparatus for analyzing battery case
KR20130028429A (ko) 디스펜싱 헤드유닛
JP6252780B2 (ja) シール材取付治具
KR101402994B1 (ko) 진공 리크 검사장치
US20050204827A1 (en) Pressure gauge
JP4347069B2 (ja) 気密性検査装置
JP2021183872A (ja) 部品のシーリング構造及びシーリング方法
WO2015093061A1 (ja) 液体用紙容器の超音波シール装置
CN112112199A (zh) 一种用于钢板表面应变测试桥路保护的装置及安装方法
CN217344324U (zh) 装配生产线
CN211401669U (zh) 一种防爆阀的测试载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