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667B1 -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 Google Patents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667B1
KR101431667B1 KR1020070082956A KR20070082956A KR101431667B1 KR 101431667 B1 KR101431667 B1 KR 101431667B1 KR 1020070082956 A KR1020070082956 A KR 1020070082956A KR 20070082956 A KR20070082956 A KR 20070082956A KR 101431667 B1 KR101431667 B1 KR 10143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mpartment
contact surface
rim
compartm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483A (ko
Inventor
하르트무트 볼케
올라프 뷔쉬겐즈
안드레아스 괴벨스
볼프강 지?러
베르너 페. 슐레히트
위르겐 살레브스키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to KR102007008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6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1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extensible externally of the vehicle body, e.g. to create an open luggage compartment of increased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후측 선반(rear shelf)(1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적재를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차량(1)의 짐칸(10)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으로, 상기 보관용 구획칸(2, 201-205)은 테두리(20), 접촉면(21), 및 상기 접촉면(21)을 테두리(20)에 연결시키고, 실질적으로 비탄성적인 적어도 하나의 측벽(22, 24, 25, 26, 61)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22, 24, 25, 26, 61)은 변형가능하여 상기 보관용 구획칸(2, 201-205)의 높이가 가변적이다. 또한, 차량 안의 보관용 구획칸을 장착하기 위한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Storage compartment for inserting into a loading space}
본 발명은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관 용기는 후측 선반(rear shelf)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적재를 위하여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loading and/or unloading position)에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보관용 구획칸을 장착하기 위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짐칸에 크기가 작거나 손상되기 쉬운 물건을 잘 보이도록 그리고 안전하게 넣어둘 수 있는 보관용 구획칸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크기가 큰 차종의 리무진의 짐칸의 깊이는 깊기 때문에 모든 물건에 대해서 균등하게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크기가 작고 그리고/또는 손상되기 쉬운 물건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용 구획칸은 짐칸의 사용가치를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보관용 구획칸은 예를 들면 보관 위치에서 밀 수 있게 후측 선반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고, 로딩 또는 언로딩을 위하여 로딩 또는 언로딩 위치로 빼낼 수 있다. 보관용 구획칸은 대개 가끔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이따금씩 사용하는 보관용 구획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측 선반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고 로딩을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테두리,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을 테두리에 연결시키고, 실질적으로 비탄성적인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이 변형가능하여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높이가 가변적인,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높이 및 크기는 변형가능한 측벽에 의하여 사용용도에 따라서 조정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용 구획칸의 높이는 최소한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차량의 짐칸에서 단지 조금 튀어나오는 바, 즉, 짐칸의 사용면적은 보관용 구획칸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혀 줄어들지 않거나 조금만 줄어든다. 상기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는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개구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짐칸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럼으로써 상기 보관용 구획칸을 간단하게 로딩하고 그리고/또는 언로딩 (loaing and/or unloding)하는 것이 가능게 된다. 반면, 보관위치는 짐칸으로의 입구가 상기 보관용 구획칸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도록 또는 조금만 차단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후측 선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와 측벽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밀 수 있게 짐칸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빼낼 수 있는 서랍이다. 그 장착(mounting)은 예를 들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에 배치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보적인, 차량 측의 직선 트랙과 함께 작동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짐칸에서 회전가능하거나 방향 전환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수직인 회전축을 사용하여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상기 접촉면 및/또는 테두리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서로 맞은편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측벽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다리꼴, 또는 기타 형태의 접촉면도 가능하다. 밀 수 있는 보관용 구획칸에서, 가이드 레일과 이에 알맞는 직선 트랙으로써 간단한 이동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테두리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평행한 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구조일 경우, 원형의 테두리와 원형의 접촉면이 구비된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짐칸의 크기 및/또는 구조에 따라서 짐칸의 개구부의 전체 폭에 걸쳐 뻗어질 수 있다. 반면,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단지 짐칸의 폭의 일부 만큼만 차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특히 스프링과 같은 복원수단에 의해서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접촉면을 테두리의 방향으 로 가압한다. 물건의 고유중량에 의해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복원수단의 복원력에 대해 반대로 탄성을 가져서 상기 측면이 변형되고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크기가 확대된다. 반면, 넣어진 물건이 없을 경우, 상기 접촉면은 복원력으로 인해 테두리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크기는 최소가 된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그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에서 상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물건을 상기 보관용 구획칸 안에 넣을 수 있다. 물건의 고유 중량에 따라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크기가 확대되어지므로 물건이 짐칸의 개구부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으며,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보관위치로 다시 밀어질 수 있다. 넣어진 물건의 무게가 보관용 구획칸의 크기를 확대할 만큼 충분하지 않을 경우, 다시 말해, 물건이 아직 보관용 구획칸 밖으로 튀어나올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으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 밀릴 때 그리고/또는 넣어진 물건에 의한 로딩으로 인하여 기본적으로 최대 크기로 확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은 접이식이고 그리고/또는 신축적이다. 상기 접이식 측벽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주름으로 형성되고 아코디언 원리(accordian principle)에 따라서 접혀질 수 있고 펴질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원수단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들은 측벽을 따라 구비되는데, 예를 들면 꿰맨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은 구획이 나누어진 주름을 구비하지 않고 느슨하게 접혀질 수 있다. 신축적인 측벽은 매우 유연한(flexible) 재질로 일체로 또 는 여러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은 로드(rod)에 의해서 상기 테두리에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제1의 비사용 위치와 제2 사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로드에 의해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을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적어도 두 개의 크기로 고정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권취회전축과 상기 권취회전축의 둘레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블라인드 트랙을 구비한 블라인드일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권취 장치(winding machine)의 복원 스프링이 복원수단으로서 상기 접촉면 위에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적어도 두 개의, 서로의 맞은 편에 위치하고 동기된 블라인드를 구비한다. 상기 동기화는 예를 들어 블라인드의 동일한 구조에서 단순한 벨트 드라이브에 의해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를 대칭적으로 전환된 회전 구조로 배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 동기화를 위해서 해당하는 회전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맞은 편에 위치한 블라인드의 상기 블라인드 트랙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한 접촉면은 상기 블라인드 트랙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서로 인접한 블라인드가 원뿔 형 톱니바퀴에 의해서 동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형태의 접촉면과 직사각형 형태의 테두리를 가진 보관용 구획칸의 4개의 측면 모두에 블라인드가 배 치되고, 상기 블라인드는 원뿔형 톱니바퀴에 의해서 서로 동기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두 개의 서로 인접한 블라인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의 블라인드 트랙은 인접한 단부에서 상보적인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블라인드 트랙을 풀면 크기가 확대되는 보관용 구획칸의 모서리들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서 잠겨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는 지퍼(zipper)로 형성된다. 이때 지퍼는 서로 걸리는 후크(hook)나 상응하는 노치들(notch)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퍼는, 액체가 스며들지 않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재는 예를 들면 똑딱단추, 벨크로(Velcro)등 일 수 있다. 결합을 분리시키면 상기 블라인드 트랙은 상기 보관용 구획칸이 축소되도록 각각의 권취회전축 주위로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은 제1의 비사용 위치와 제2 사용 위치에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인접한 블라인드 트랙들은 고정된 결합부재에 의해서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때는 서로 결합되고 상기 비사용 위치로 이동할 때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고정된 결합부재는 지퍼에서 예를 들면, 테두리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된 지퍼 슬라이드(zipper slide)이다. 상기 분리 이후에는 상기 블라인드 트랙은 각각 권취회전축 주위로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라인드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잠겨질 수 있다. 상기 잠금은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권취회전축의 하나의 잠금 부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잠금 부분에서 테두리에 연결된 잠 금쇠(locking)가 잘 걸려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권취회전축의 잠금쇠가 회전 가능하다. 상기 권취회전축은, 이때 복원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블라인드 트랙의 감기는 방향으로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 및/또는 물건에 의해 가해진 힘으로 인하여 상기 블라인드 트랙의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 부분과 상기 잠금쇠는 래치트 구동장치(ratchet driving gear)로서 함께 작동한다. 이때,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가해진 힘, 즉, 블라인드 트랙의 확대에 의해서, 잠금해제(unlocking) 없이 확대될 수 있다. 반면에 블라인드의 감김은, 즉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축소는 잠금해제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과 상기 접촉면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일체의 구조로써 최적으로 간주되는 해결방법들은 눈에 띄는 바느질 없이 단순한 제조에 의해서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또는 상기 접촉면은 적어도 하나의 삽입판을 이용하여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측벽 및/또는 접촉면은 예를 들면 천(cloth)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은 매우 유연하므로 쉽게 변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권취회전축 주위로 말거나 아코디언 원리에 따라 접을 수 있다. 측벽이 높은 유연성을 가지더라도, 사용 위치에서 보관용 구획칸의 높은 고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목재나 합성수지로 형성된 삽입 바닥과 같은 삽입판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보강을 위하여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판은 접혀질 수 있다. 측벽을 위한 삽입판은 예를 들면 접촉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필요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서 펼칠 수 있어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이 보강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판은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판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보관용 구획칸의 보강을 위하여 상기 접촉면에 평행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측벽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 전환은 예를 들면 스프링 힘과 같은 힘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적어도 보관위치에서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의 움직임에 반하여 잠겨질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체 일부의 하부 그리고/또는 또다른 반대요소(counter element)에 잠금을 위하여 붙어있는 레버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레버의 방향전환으로 인해 상기 잠금장치는 풀릴 수 있다. 상기 레버의 방향 전환은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물쇠로 차단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는 푸쉬-푸쉬 연결부(push-push connection)를 통하여 하나의 브래킷(bracket) 및/또는 가이드레일에 배치될 수 있고, 특히 밀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푸쉬-푸쉬 연결부는 테두리 및/또는 작동 단추와 같은 작동요소를 가볍게 누름으로써 풀리는 열림 시스템 및/또는 잠금장치 시스템을 말한다. 보관위치에 있는 보관용 구획칸을 가볍게 누름으로써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의 방향에 반대로 잠금장치는 풀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잠금(locking)은 이미 보관위치에 놓인 보관용 구획칸을 누름으로써 풀릴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이 아니라 작동요소만 눌러질 수도 있다. 여 기에 요구되는 기계원리는 볼펜 구조와 유사하다. 풀린 보관용 구획칸은 자동으로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위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을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브래킷을 구비하는 모듈에 의해서 달성되는데, 상기 브래킷에는 테두리가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보관용 구획칸이 상기 브래킷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는 푸쉬-푸쉬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브래킷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는 밀 수 있게 상기 브래킷에 배치된다. 상기 테두리에는 원하는 보관용 구획칸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모듈은 차량 안에, 예를 들면 후측 선반 하부에 고정될 수 있고 차량은 여기에 맞는 보관용 구획칸을 삽입함으로써 일정한 옵션 장치 및/또는 모델 라인에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건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가끔 사용하는 보관용 구획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과 특징은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동일한 구성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도 1과 2는 후측 선반(12)의 하면에 고정된보관용 구획칸(2)과 적재면(loading surface)(10)을 구비한 차량(1)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개략적인 도면이 다. 도시된 보관용 구획칸(2)은 상기 차량(1)에 고정된 브래킷(3)의 맞은 편에 있고, 이하 보관위치로 기재되는 도 1에 도시된 제1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제2 위치, 즉, 로딩 및 언로딩 위치 간에 밀 수 있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테두리(20)와 접촉면(21)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면(21)은 상기 테두리(20)와 도 2에 나타난 두 개의 측벽(22)에 의해서 연결된다. 도 1과 2에서 보이듯이, 보관용 구획칸의 높이는 가변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기서 상기 측벽들(22)은 상기 접촉면이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A)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비사용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사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2)이 도 1에 도시된 보관위치로부터 도 2에 도시된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접촉면(21)은 도 2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 보관용 구획칸이 이동할 때 상기 접촉면(21)도 우선 도 1에 도시된 비사용 위치에 머물러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물건이 넣어지면 비로소 상기 접촉면(21)이 도 2에 도시된 사용 위치로 움직인다. 보관용 구획칸이 브래킷(3) 쪽으로 도 1에 도시된 보관위치로 다시 이동할 때에도 물건이 넣어진 보관용 구획칸은 도 2에 도시된 높이를 유지한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2)은 실질적으로 상기 짐칸(10)의 개구부의 폭에 걸쳐 뻗어질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보관용 구획칸이 나란히 배치되거나 또는 더 적은 사이즈의 보관용 구획칸이 구비된다.
도 3은 브래킷(3)과 테두리(20)를 구비하는 보관용 구획칸을 위한 모듈을 개 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테두리(20)에는, 상기 브래킷(3)에 배치된 직선 트랙(31)과 함께 작동하는 가이드 레일(23)이 배치된다. 상기 테두리(2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3)과 푸쉬-푸쉬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3)의 방향으로 상기 테두리(20)를 가볍게 누르면 상기 테두리(20)는 상기 브래킷 맞은 편에서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된다. 상기 테두리(20)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의 배치는 예를 들면 스프링의 힘이나 유사한 요소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모듈에는 원하는 서랍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모듈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변형가능한 측벽을 구비하는 보관용 구획칸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도시된 모듈에는 다른 보관용 구획칸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에 의해서 다양한 옵션 장치 또는 차량 모델에 대한 우수한 적합성이 부분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 구획칸이 도시되지 않은 장착장치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고 그리고/또는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장치도 모듈적으로(modular)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보관용 구획칸들이 동일하게 형성된 장착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20), 접촉면(21), 및 변형가능한 4개의 측벽(24)를 구비하는 보관용 구획칸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4개의 측벽(24)은 하나의 천(material web)으로 일체로 제조된다. 상기 측벽들(24)은 구획된 주름(240)을 따라서 아코디언 원리 또는 벨로우즈(bellows) 원리에 따라서 접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측벽(24)이 스프링(4)으 로 보강된다. 상기 스프링(4)은 상기 접촉면(21)을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B)에 대한 반대방향인 상기 테두리(20)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한다. 보관용 구획칸(201)에 넣을 수 있는 물건(도시되지 않음)의 고유 중량에 따라서 상기 측벽들(24)은 스프링(4)의 스프링 힘에 반하여 펼쳐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접촉면(21)은 화살표 방향(B)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관용 구획칸(201)의 보관공간이 확대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관용 구획칸(201)은 접혀진 비사용 위치에서 알맞은 요소에 의해서 잠겨지고 사용자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잠금해제 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보관용 구획칸(201)은 상기 브래킷(3)의 맞은 편에서 밀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만곡된(round) 접촉면을 구비하고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 주위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용 구획칸(202)을 도시한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202)은 밀 수 있게 상기 브래킷(3)에 배치된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202)은 상기 테두리(20)와 상기 접촉면(21)을 구비한다. 상기 테두리(20)와 상기 접촉면(21)은 4개의 변형가능한 측벽(25)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기 4개의 측벽(25)은 하나의 천(material web)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로드(5)가 보이도록 두 개의 측벽(25)이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다. 상기 접촉면(21)과 상기 테두리(20) 사이의 연결은 상기 로드(5)를 통해서 보강된다. 상기 접촉면(21)은 방향(B)을 따라서 비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로드(5)에 의해서 상기 접촉면(21)은 비사용 위치와 사용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드(5)는 측벽의 선택과 무관하다. 이로써 로 드(5)는, 예를 들면 도 4에 따른 아코디언 원리에 따라 접혀지는 측벽을 구비한 실시예에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보관용 구획칸(203)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203)은 도시된 실시예서도 마찬가지로 밀 수 있게 브래킷(3)에 배치된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테두리(20)와 상기 접촉면(21)은 신축적인 측벽(2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도 6에서, 신축적인 측벽(26)을 구비한 상기 보관용 구획칸(203)은 접촉면(21)의 사용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접촉면(21)의 움직임에 의해서 도시된 방향(B)의 반대로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신축적인 측벽(26)은 일체 또는 여러 부분으로 형성가능하다.
도 7은 테두리(20)가 부분적으로 절단된, 밀 수 있게 브래킷(3)에 배치된 보관용 구획칸(204)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테두리(20)에는 두 개의 서로 맞은 편에 위치한 블라인드 트랙(6)의 권취회전축(60)이 배치된다. 상기 권취회전축(60)에서는 각각 블라인드 트랙(61)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권취회전축(60)을 접촉면(21)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배치 구조에 의하면, 두 블라인드(6)에 대해서 단부가 두 권취회전축(60)에 고정된 공동의 블라인드 트랙(61)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면(21)은 넣은 물건이 고정되지 않은 측면에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자리(210)를 구비한다. 각각의 권취회전축(60)의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이 풀리면서 상기 접촉면(21)은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B)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상기 보관용 구획칸(204)의 보관공간은 확대된다.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이 상기 권취회전축(60)에 감기면서 상기 접촉면(21)은 방향(B)의 반대로 움직이고 상기 보관용 구획칸(204)은 축소된다.
도 8과 9는 도 7에 도시된 보관용 구획칸(204)의 또다른 실시예인, 접촉면(21)의 가장자리가 없는 보관용 구획칸(204')과 보관용 구획칸(204'')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보관용 구획칸(204')은 맞은 편에 위치한 블라인드(6) 외에 또하나의 유연한(flexible) 측벽(7)을 구비하는데, 상기 측벽(7)은 사용자가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후크(70)를 사용하여 테두리(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20)는 도면에서 휘어진 라운드 바(round bar)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운드 바에는 예를 들면 권취회전축(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운드 바는 적당한 덮개에 의해서 덮힐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보관용 구획칸(204')은 도 3에 도시된 모듈에 삽입가능하다.
도 9는 두 개의 블라인드와, 삽입판(8)의 방향전환에 의해 형성되는 제3 측벽을 구비하는 보관용 구획칸(204'')을 구비한다. 상기 삽입판(8)에는 예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클립들(clips)이 배치되는데, 상기 클립들에 의하여 상기 삽입판(8)이 테두리(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판(8)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테두리(20)에서 튀어나오지 않으며, 이에 따라 보관용 구획칸(204'')의 높이는 삽입판(8)의 방향 전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보관용 구획칸(204'')은 도 3의 모듈에 삽입가능하다.
도 8과 9에 따른 실시예서 블라인드 트랙(61)은 하나의 천(material web)으 로 제조되고, 이에 의하여 접촉면(21)도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면 목재나 합성수지로 형성된 삽입바닥에 의해서 상기 접촉면(21)이 보강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보관용 구획칸(204)의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여기서 두 블라인드(6) 중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블라인드(6)의 상기 권취회전축들(60)은 각각 하나의 톱니바퀴(62)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벨트(63)에 의해서 동기된다. 동일한 회전방향을 가진 권취회전축(60)을 구비한 두 블라인드(6)의 평행한 구조에 의해서 벨트(63)를 통한 간단한 동기화가 가능하다. 상기 권취회전축(60)은 또한 잠금부분(64)을 구비한다. 토크를 저지하는, 상기 테두리(20)의 개구부(200)에 배치된 똑딱단추는 상기 잠금부분(64)에 걸리고(interlock) 이로써 상기 권취회전축(60)의 회전을 차단한다. 사용자가 상기 똑딱단추(65)를 작동함으로써, 토크를 저지하는 상기 똑딱단추(65)와 테두리(20)의 연결은 잠금해제된다. 이로써 상기 권취회전축(60)은 그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어 잘 알려진 권취 자동장치와 같은 복원 스프링을 통해서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은 상기 잠금장치의 풀림 후에 상기 권취회전축(60)에 감긴다. 복원 스프링보다 중력이 더 큰 물건을 상기 보관용 구획칸(204)에 넣으면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은 상기 권취회전축(60)으로부터 풀어지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부분은 래치트 구동장치로서 형성되고,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의 풀림은 상기 똑딱단추(65)를 통한 잠금해제 없이 중력에 의해서 가능하다. 반면,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이 상기 권취회전축(60)에 감기는 것은 풀림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도 11은 밀 수 있게 브래킷(3)에 배치된 보관용 구획칸(205)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205)에서 접촉면(21)과 테두리(20)는, 상기 보관용 구획칸(205)의 4개의 측면에 배치된 4개의 블라인드(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블라인드(6)의 권취회전축(60)은 이때 상기 테두리(20) 안에 배치된다.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은 서로 인접한 단부(610)에서 지퍼(zipper)에 의해서 서로 연결가능하다. 이로써 닫혀진 보관용 구획칸이 제공된다.
도 12와 13은 도 11에 따른 상기 보관용 구획칸(205)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상세도이다. 도 12는 두 개의 인접한 블라인드(6)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2의 상세도에 대한 평면도이다. 상기 블라인드(6)의 서로 인접한 권취회전축(60)은 원뿔형 톱니바퀴(62')를 통해서 서로 동기된다. 상기 권취회전축(60)은 홀더(600)에 배치된다. 서로 인접한 블라인드 트랙(61)의 상기 단부(610)에는 지퍼의 상보적인 측부(예를 들어, 상보적인 후크들(91)로 이루어진 측부)이 배치된다. 지퍼 슬라이드(92)는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테두리(20), 예를 들어 상기 홀더(600)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지퍼 슬라이드(92)가 고정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지퍼의 상보적인 후크들(91)은 접촉면(21)이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B)을 따라 움직일 때 즉, 블라인드 트랙(61)이 풀릴 때,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의 단부(610)에서 서로 맞물리게 된다.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의 단부들(610)은 서로 분리되고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은 각각 자신의 권취회전축(60)에 감길 수 있다.
상기 도시된 후크들(91)을 구비한 지퍼 대신 서로 걸리게 되는 노치들(notch)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퍼는 코팅되어 상기 보관용 구획칸이 상기 지퍼에 의해서 방수 상태로 잠겨질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트랙(61)과 상기 접촉면(21)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이러한 실시예의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은 이때 각각 접촉면(21)의 가장자리에 인접한다.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의 고정되지 않은 가장자리들(610)은 상보적인 후크들(91)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도 11 내지 13에 따른 상기 접촉면(21)은 상기 보관용 구획칸(205)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삽입 바닥에 의해서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두리(20)와 상기 접촉면(21)은 각각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보관용 구획칸이 밀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도 15 내지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용 구획칸(206)을 구비한 차량(1)의 후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와 16은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7과 18은 상기 후미의 사시도이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가이드 레일(23)을 통해서 밀 수 있게 상기 차량(1)에 배치되며,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은 도 15에 도시된 보관위치와 도 16, 17, 및 1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 사이에서 밀 수 있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에서 측벽들과 테두리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의 높이는 도 6에 따른 측벽의 신축적인 형태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의 측벽은 예를 들면 접이식 측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상기 차량(1)의 후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은 잠금장치(9)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장치(9)에 의해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도 15에 도시된 보관위치에서 도 16 내지 18에 따른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의 움직임의 반대로 잠겨질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상기 차량(1)을 도시하는데,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은 부분적으로 절단되어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9)를 더 잘 알아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시된 잠금장치(9)는 레버(90)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90)는 상기 레버(90)가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의 상부 가장자리(260)를 넘지 않는 도 18에 도시된 풀림 위치로부터 방향 전환에 의하여 상기 레버(90)가 상기 상부 가장자리(260)에서 튀어나오는 잠금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90)는,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이 도 15의 보관위치에 있을 경우 자신의 잠금 위치에서 차체(13)의 해당하는 요소들 후측에서 걸리고,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보관위치로부터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로의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의 이동이 차단된다.
도 19와 20은 상기 잠금장치(9)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상기 레버(90)는 도 19에 따른 도면에서 풀림 위치에 있고, 도 20에 따른 도면에서는 도 19의 풀림 위치로 90도 이동된 잠금 위치에 위치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전환 각도도 가능한데, 이때 상기 레버는 풀림 위치에서는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의 상기 가장자리(260)를 넘지 않고 잠금 위치에서는 상기 상부 가장자리(260)에서 튀어나오 며, 이에 따라 상기 레버(90)는 상응하는 반대요소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9)는 자물쇠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자물쇠 안에서의 삽입된 열쇠의 회전은 상기 레버(90)의 회전으로 변환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장치(9)는 예를 들면 작동 단추와 같은 잠금장치(9)를 누름으로써 상기 레버(9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에도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을 전자적으로 그리고/또는 기계적으로 방지하는 자물쇠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위치에 놓인 보관용 구획칸을 구비한 차량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딩 및 언로딩 위치에 놓인 본 발명에 따른 보관용 구획칸을 구비한 차량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보관용 구획칸용 모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측벽을 구비한 보관용 구획칸의 한 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측벽을 구비한 보관용 구획칸의 또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식 측벽을 구비한 보관용 구획칸의 일 실시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서로 맞은 편에 위치한 블라인드를 구비한 보관용 구획칸의 일 실시예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이고,
도 9는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이고,
도 10은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상세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블라인드를 구비한 보관용 구획칸의 실시예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실시예의 상세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상세도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패널(panel)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5는 보관위치에 놓인 보관용 구획칸을 구비한 차량 후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차량 후미의 측면도로, 상기 보관용 구획칸은 로딩 및/또는 언로딩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며,
도 17은 도 16에 따른 차량 후미의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7에 따른, 부분적으로 절단된 사시도이며,
도 19는 풀림 위치(unlocking position)에 위치한, 도 15에 따른 보관용 구획칸을 위한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0은 잠금 위치(locking position)에 위치한, 도 20에 따른 잠금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Claims (19)

  1. 후측 선반(rear shelf)(12)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적재를 위해서 로딩 위치(loading position)와 언로딩 위치(unloading position)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가능하며 차량(1)의 짐칸(10)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으로,
    상기 보관용 구획칸(2, 201-205)은 테두리(20), 접촉면(21), 및 상기 접촉면(21)을 테두리(20)에 연결시키고, 비탄성적인 적어도 하나의 측벽(22, 24, 25, 26, 61)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22, 24, 25, 26, 61)은 변형가능하여 상기 보관용 구획칸(2, 201-205)의 높이가 가변적이며,
    상기 접촉면(21) 및 상기 테두리(20)는 직사각형이고, 또한 서로 맞은 편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측벽(22, 24, 25, 26, 61)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측벽은, 적어도 하나의 권취회전축(60)과 상기 권취회전축(60) 주위로 감기고 풀릴 수 있는 블라인드 트랙(61)을 구비하는 블라인드(6)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20)는 밀 수 있게 차량(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 구획칸(2,201-205)에는, 상기 접촉면(21)을 테두리(20)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복원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4, 25, 26)은 접이식이거나 신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1)은 로드(rod)(5)에 의하여 상기 테두리(20)에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제1의 비사용 위치와 제2 사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1)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보관용 구획칸(204, 204', 204'', 205)은, 서로 맞은 편에 위치하고 동기화된 적어도 두 개의 블라인드(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9. 제8항에 있어서, 두 개의 서로 인접한 블라인드(6)는 원뿔형 톱니바퀴
    (62')에 의하여 동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0.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은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블라인드(6)를 구비하며, 상기 블라인드들(6)의 블라인드 트랙(61)은 서로 인접한 단부(610)에 지퍼(zipper)의 상보적인 측부(complementary sid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21)은 제1의 비사용 위치와 제2 사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은 고정된 결합수단(92)에 의해서 이동 중에 사용 위치 로 서로 결합되고 이동 중에 비사용 위치로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트랙(61)은 적어도 하나의 권취위치(winding position)에서 잠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접촉면(21)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접촉면(21)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판(8)에 의하여 보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8)은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촉면(21)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은, 보관위치로부터 로딩 위치 또는 언로딩 위치로의 이동에 반하여 상기 보관용 구획칸(206)을 잠글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장치(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20)는, 푸쉬-푸쉬 연결부(push-push connection)를 거쳐서 브래킷(3) 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3)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19. 삭제
KR1020070082956A 2007-08-17 2007-08-17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KR10143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956A KR101431667B1 (ko) 2007-08-17 2007-08-17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956A KR101431667B1 (ko) 2007-08-17 2007-08-17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83A KR20090018483A (ko) 2009-02-20
KR101431667B1 true KR101431667B1 (ko) 2014-08-20

Family

ID=4068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956A KR101431667B1 (ko) 2007-08-17 2007-08-17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6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2983A1 (de) * 2003-07-21 2005-02-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Verstauen von Gegenständen in einem Kofferraum eines Kraftfahrzeugs
JP2006232047A (ja) * 2005-02-24 2006-09-0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2983A1 (de) * 2003-07-21 2005-02-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m Verstauen von Gegenständen in einem Kofferraum eines Kraftfahrzeugs
JP2006232047A (ja) * 2005-02-24 2006-09-0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83A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177B2 (en) Storage container for use in a boot
US6609744B2 (en) Collapsi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US7762602B2 (en) Device for storing objects in a motor vehicle
US20060180623A1 (en) Rear vehicle storage system
CN207670304U (zh) 货物区、车辆、内饰板和可平移后置物板
US8192118B2 (en) Stowable storage net
EP1848299A1 (en) Case
US7934761B2 (en) Storage compartment with a supporting frame, and receiving device for a supporting frame
KR20010034751A (ko)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
JP3540330B2 (ja) 自動車の荷物室床のためのカバー
US20020179663A1 (en) Retractable cargo area compartmentalizing device
CA2419945C (en) Cargo organizer with flip-up walls
KR101431667B1 (ko) 짐칸에 삽입되는 보관용 구획칸
KR200488381Y1 (ko) 여행용 캐리어
US6779956B2 (en) Folding cargo containment apparatus for an automobile
US20180118119A1 (en) Net Pocket Apparatus for Vehicle
JP2009161034A (ja) 車両用トノボード装置
JP5319089B2 (ja) トランクルーム内で使用するための一時保管容器
JP2017226409A (ja) 折畳み可能な車両用荷物保持部
JP2009196482A (ja) 車両用トノボード装置
JP2009196483A (ja) 車両用トノボード装置
WO2004052686A1 (en) Multi tray cargo system
JP4213018B2 (ja) 荷物係止装置
JP2005212500A (ja) トランクスペース用の仕切具
EP4219274A1 (en) Tailgate device with folding feature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