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4751A -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4751A
KR20010034751A KR1020007011117A KR20007011117A KR20010034751A KR 20010034751 A KR20010034751 A KR 20010034751A KR 1020007011117 A KR1020007011117 A KR 1020007011117A KR 20007011117 A KR20007011117 A KR 20007011117A KR 20010034751 A KR20010034751 A KR 20010034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gage compartment
dividing
trunk
stop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322B1 (ko
Inventor
아멘트에듀어트
질홀거
슐레히트베르너페.
에렌베르거마리나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1003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05Nets or elastic pockets tensioned against walls or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를 개시한다. 자동차 짐칸에 있어서, 운반물을 고정시키기 위해 짐칸 바닥에 안전망을 구비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짐칸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분할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특히, 노치백(notchback)을 구비한 승용차에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Storage facility for a motor vehicle and segmentation device}
자동차의 짐칸 바닥에 고정 고리를 구비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로서, 수하물을 짐칸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자동차는 단단히 고정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의 실시예를 보여줌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짐칸의 실시예로서 승용차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과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
도 3은 도 1 및 도 2와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기능을 구비한 분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과 유사하게, 도 3과 유사한 분할장치를 구비한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와 유사하게, 도 4와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트렁크 바닥용 롤 형태의 덮개로부터 제거된, 도 5에 따른 분할장치를 구비한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상기 덮개가 상기 트렁크 바닥을 덮도록 도출된 작동위치에 배치된, 도 6에 따른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1과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또다른 승용차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분할장치가 접힌 정지위치에 존재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상기 분할장치의 탄력적인 분할 구조물이 작동위치로 동작하는, 도 9에 따른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
도 11은 덮개가, 도출된 작동위치로 운반되는, 도 9 내지 10에 따른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또 다른 탄력적인 표면 구조물이 작동위치 바로 앞의 중간위치에 존재하는, 도 9 내지 도 11에 따른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의 실시예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
도 14는 상기 분할장치를 작동위치에서 도시하는, 도 13에 따른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따른 상기 분할장치를 작동위치에서 도시하는, 도 15에 따른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따른 상기 분할장치의 프레임의 정지면을 나타내는 횡단면의 확대도,
도 18은 도 17의 확대된 도면에 비하여, 도 17의 절개선 XVIII-XVIII을 따라 자른 도 17에 따른 정지면의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상기 분할장치가 작동위치로 방향 전환하는, 도 19에 따른 트렁크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1은 도 19 및 도 20에 따른 상기 분할장치의 프레임의 정지면을 나타내는 횡단면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자동차의 짐칸 및 그 분할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짐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짐칸은, 짐칸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분할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그에 상응하는 수용 하우징에 하나 이상의 탄력적인 또는 최소한 부분별로 외형이 단단한 분할 구조물을 구비함으로써 단순한 분할 구조물 또는 보다 많은 비용을 들여 제조된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분할장치의 하나 이상의 분할 구조물은 상기 짐칸을 차량 종방향에서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또는 차량 횡방향에서 서로 연결되는 공간으로 수직방향으로 분리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할장치는 하나 이상의 탄력적인 또는 최소한 부분별로 외형이 단단한 분할 구조물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할 구조물은 정지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작동위치에서 상기 짐칸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 구조물은 상기 짐칸의 하나 이상의 경계표면의 홈의 정지위치에서, 특히 짐칸 바닥에 접혀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분할 구조물을 정지위치에서 볼 수 없으며 공간을 절약하여 상기 짐칸에 넣을 수 있으므로, 짐을 싣고 내릴 때 상기 짐칸의 전체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특히, 승용차의 노치백(notchback)에 위치한 트렁크에 적합하다. 상기 분할 구조물은 자체의 하우징에, 또는 직접 상기 홈에 적합하게 위치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짐칸 바닥 옆에는 전후면을 포함한 상기 짐칸의 측면 및, 상기 짐칸의 덮개가 경계표면으로서 사용되는데, 상기 덮개는 노치백을 구비한 승용차에서 상기 차량 내부공간의 모자걸이 아래에 바로 인접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계표면의 홈은 하나 이상의 덮개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측정시 상기 홈의 개구부 치수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해당 경계표면용 덮개를 형성하는, 큰 표면 구조물의 부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양탄자 또는 측벽 덮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경계표면으로서 상기 짐칸의 하나의 측벽이 제공되고, 덮개로서 힌지(hinge) 장치 주위를 회전하여 방향 전환할 수 있으며 밀폐된 폐쇄위치에서 제어장치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하나의 개폐문이 제공된다. 제어장치에 의하여 간단히 분리가능한 고정연결구, 빗장, 접착 폐쇄장치, 누름 단추(push button) 또는 다르게 구성된 분리가능한 제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는 하나 이상의 탄력적인 또는 최소한 부분별로 외형이 단단하며 상기 짐칸에 차량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분할 구조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할 구조물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운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할 구조물은 특히, 공간 절약적인 정지위치와, 공간을 분할하는 작동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짐칸은 노치백(notchback) 또는 파스트백(fastback) 승용차의 트렁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할 구조물은 외형이 단단한 프레임을 구비하는데, 상기 프레임은 내벽에 인접한 정지위치와, 상기 짐칸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작동위치 사이에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짐칸의 내벽에 위치된다. 상기 분할장치는 노치백 승용차의 트렁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에 배치되고 작동위치에서는 아래로 방향 전환된다. 작동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트렁크 바닥과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 사이에서 상기 트렁크의 전체 높이 이상으로 신장됨으로써, 상기 트렁크의 분할이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프레임은 차량 횡방향에서 진행되는 회전축 주위를 회전하여 방향 전환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량 종방향에 위치된 회전축 주위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레임은 작동위치에서 최소한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 아래에 존재하는 공간을 차량 종방향에서 평행하게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 제어수단이 제공되는데, 상기 제어수단은 작동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을 해당 짐칸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어수단은 간단히 손으로 작동하는 제어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소자는 자동으로 제어위치에서 짐칸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에, 바람직하게는, 그에 상응하는 스프링 메모리에 의하여 맞물려 있거나 수동으로 각각의 폐쇄위치로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수단은 수동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수단이 상기 내벽에 인접하는 정지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내벽 영역에 위치하는 회전 후크, 제동 핸들 또는 빗장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 후크, 제동 핸들 또는 빗장은 각각 수동으로 분리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을 작동위치와 정지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상기 제어수단 및 안전수단을, 상기 짐칸 내벽에 상기 프레임을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힌지(hinge) 장치에 직접 일체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수동으로 분리가능한 제동 핸들 유닛에 적합한데, 상기 제동 핸들 유닛은 상기 프레임과 함께 상기 회전축 주위를 회전하여 동작하도록 핸들 휠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정지면이 제공되는데, 상기 정지면에는 보조적인 작동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보조적인 작동장치는 서로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덮개 또는 안전 블라인드를 지지하는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정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짐칸의 전체 높이 이상으로 신장하지 않고 단지 상기 짐칸 바닥만을 분할하는 또 다른 분할 유닛을 상기 정지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작동장치로서 차 안에서 휴대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물건을 수용하거나 운반하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의 작동위치에 횡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할 유닛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할 유닛은 하나의 분할봉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할봉은 베어링 서포트에 의하여 상기 정지면에 종방향으로 밀어 움직일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의 정지면에 오직 단 하나의 분할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분할봉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분할봉을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짐칸의 해당 분할된 공간을 각각 운반된 운반물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할봉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이 임의의 중간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봉에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가각 조절된 위치에서의 상기 분할봉은 상기 정지면 및 동시에 상기 프레임에서 제어된다. 상기 분할봉은 상기 프레임 높이의 일부 이상으로만, 동시에 상기 트렁크 높이의 일부 이상으로만 신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의 상기 정지면의 전체길이 이상으로 신장된 하나의 고정면이 제공되는데, 상기 고정면은 상기 베어링 서포트에 부착되고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정지면에 접혀서 제공되며 그의 종축 주위를 회전하여 동작되도록 정지되며, 상기 고정면은 적어도 부분별로 그의 종축에 편향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서포트는 상기 고정면의 방향전환시 상기 정지면과 상대적으로 제어되거나 분리가능하다. 특히, 하나 이상의 분할봉이 제공된다면, 상기 고정면의 방향전환에 의하여 모든 분할봉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거나 종방향 이동에서 분리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고정면은 중심위치에서 그립 소자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그립 소자에 의하여 상기 고정면이 수동으로 방향 전환될 수 있으며 동시에 선택에 따라 상기 베어링 서포트의 분리 또는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단일 핸들에 의하여 상기 고정면의 분리 또는 제어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분할봉의 분리 또는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봉은 폐쇄된 정지위치와 개방된 작동위치 사이에서 방향 전환되도록 상기 부착된 베어링 서포트에 위치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 이상의 분할봉이 정지위치에서 공간 절약적으로 상기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봉은 상기 프레임과 함께 정지위치에서 방향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노치백(notchback) 구조의 승용차 트렁크(1) 형태의 짐칸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트렁크 덮개(2)에 의하여 위쪽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상기 트렁크(1)를 차량 종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차 방향에서 볼 수 있는, 상기 트렁크(1)의 오른쪽 측벽에 상자같은 하우징(4)이 제공되는데, 상기 하우징(4)은 분할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며 제거 가능한 표면 구조물(5)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 구조물(5)은 탄력적으로 형성되며 블라인드의 종류에 따라 상기 하우징(4)에서 수직방향의 축에 의해 지지된 블라인드 축 위로 감아 올릴 수 있다. 상기 표면 구조물(5)은, 차량이 단단히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 후진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하우징(4)에 진입된 정지상태로 후진된다. 차량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트렁크(1)의 서로 맞은 편 측벽에 걸이식 후크(7) 형태의 두 개의 고정수단이 제공되는데, 상기 표면 구조물(5)의 선단부 말단에 있는 분리 스트립(6)을 상기 고정수단에 걸 수 있다.
상기 측벽에 위치한 분할장치의 상기 하우징(4)은 미닫이 문(3)에 의하여 폐쇄되며, 상기 분할장치는 상기 미닫이 문(3)을 차량 종방향으로 수동으로 밀기 위해 그립장치(8)를 제공한다. 상기 미닫이 문(3)은 차량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안내부를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서 상부 영역에서 활 형태로 굽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4)은 정지위치로 진입된 상기 표면 구조물(5)과 분리 스트립(6)을 포함하여 완전히 폐쇄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미닫이 문(3)을 밀어서 노출된다.
상기 트렁크(1)의 측벽 내의 상기 분할장치는 또한 다르게 구성된 분할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아코디언과 같이 움직이는 접이식 장치, 또는 견고하고 동시에 또는 서로 떨어져 밀 수 있는 분할 격자가 제공된다. 이외에도, 여러 실시예에서, 그에 상응하는 분할장치가 상기 트렁크(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분할장치의 분할 구조물은 작동위치와 정지위치 사이의 차량 종방향에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분할 구조물은 작동위치 및 정지위치에서 차량을 단단히 고정하면서 위치된다. 상기 분할 구조물은 상기 분할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트렁크(1) 영역에서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상기 분할장치는 상기 트렁크(1)의 측벽면(4a)에 배치되고 정지위치에서 미닫이 문(3)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분할장치는 카세트 하우징(9)를 구비하는데, 상기 카세트 하우징(9)은, 상기 측벽(4a)으로 기울어진 정지위치와, 상기 트렁크 바닥 위에 위치한 작동위치 사이의 차량 횡방향으로 향한, 수직 방향의 회전 평면에서 방향 전환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카세트 하우징(9)의 하부 측면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9)은,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서, 작동위치에서 도 2에 따라 상기 트렁크(1)의 바닥 위에서 제어된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9)은 블라인드 망(5a) 형태의 분할 구조물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할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상기 카세트 하우징(9) 내부에 감아서 배치된다. 상기 블라인드 망(5a)의 전면 분리 막대(6a)는 차량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트렁크(1) 바닥에 배치된 고정 고리(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고리(10) 형태의 고정수단 또는 다르게 형성된 고정소자는 상기 트렁크(1)의 다른 내벽면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할 구조물은 또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하우징(9)은 상기 측벽(4a)으로 기울어진 공간의 정지위치에서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미닫이 문(3)을 통한 폐쇄작동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할 실시예에서와 같이, 또 다른 분할 구조물 또는 작동 유닛이 상기 카세트 하우징(9)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장치는 망원경 형태로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할장치는 도 2에 따른 상기 카세트 하우징(9)과 유사하게, 상기 트렁크 바닥의 전체넓이 이상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분할장치가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특히, 상기 트렁크(1)의 서로 맞은 편 측벽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두 개의 카세트 하우징을 사용한 분할장치에 의하여 최소한 상기 트렁크 바닥의 전체넓이 이상을 덮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승용차 트렁크의 분할장치는 카세트 하우징(11)을 구비하는데,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은 경금속 선상 압출 구조물 또는 외형이 단단하고 경사진 치(齒)형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은 상기 트렁크 바닥에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그에 상응하는 돌출구가 바닥에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구는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에 인접하여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을 다른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트렁크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은 다수의 작동 유닛을 구비한다. 상부 영역에는 차량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표면 구조물(16)이 제공되는데, 상기 표면 구조물(16)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망과 같은 분리식 블라인드로서 형성된다. 상기 분리식 블라인드는, 동축으로 배치되었으나 서로 독립적으로 위치한 두 개의 블라인드 축 위에 제공된다. 상기 분리식 블라인드(16)의 전면 분리식 스트립은 상기 트렁크의 상부 벽 영역에서 차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1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은 필요할 경우에 상기 트렁크 바닥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을 상기 트렁크 내의, 상기 차량 내의, 또는 상기 차량 외부의 적합한 위치에 내려 놓을 수 있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은 두 개의 다른 분리 가능한 표면 구조물(15)을 구비하는데,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 망과 같은 분리식 블라인드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식 블라인드(15)에 대해, 한 측면에서 진행되는 분리 홈이 상기 카세트 하우징(11) 내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표면 구조물(15)은 거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표면 구조물(15) 대신에 단 하나의 표면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표면 구조물은 상기 트렁크 바닥의 전체넓이 이상 그리고, 거의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의 전체길이 이상으로 신장되어 있다.
상기 표면 구조물(15)은 전면 분리식 스트립에 의하여 상기 트렁크 바닥에 차량이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 고리(13)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은 상기 트렁크 바닥의 대략 반 길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을 상기 트렁크 바닥의 다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트렁크의 다른 공간 분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정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고정 고리(13)는 반드시 상기 트렁크 바닥의 뒷쪽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상기 고정 고리(13)는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의 위치부여 가능성에 따라, 그리고 상기 펼쳐질 공간에 따라 상기 표면 구조물(15)에 의하여 적절히 위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고리(13) 형태의 고정수단, 또는 다르게 형성된 고정소자는 상기 트렁크의 측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면 구조물(16)과 유사하게, 카세트 하우징(11) 내에 위치된 상기 표면 구조물(15) 아래에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의 전체길이 이상으로 신장된 또 다른 수용 공간이 제공되는데, 상기 수용 공간에는 둥글게 감긴 덮개(14)를 넣을 수 있다. 상기 덮개(14)는 분리 가능하게 공간에 배치되며, 필요할 경우에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으로부터 걷을 수 있다. 상기 덮개(14)는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트렁크 바닥의 덮개로서 사용되며 방수처리된 것이 유용하다. 상기 덮개(14)는 양쪽 말단에 각각 고정 스트립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고정 스트립에 의하여 상기 덮개(14)는 적합한 고정 상태의 상기 트렁크 바닥 위의, 차량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트렁크 바닥 위에 밀어 넣을 수 있는 고정수단의 배치에 따라, 상기 트렁크 바닥의 대략 전체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14)를 단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펼 수 있으며 적절히 상기 트렁크 바닥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덮개(14)는 상기 트렁크 바닥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14)의 고정 스트립은 전면 베어링 소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베어링 소자에 의하여 상기 고정 스트립이 블라인드 축의 종류에 따라,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의 공간 내부에 있는, 그에 해당하는 베어링 소자에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분리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덮개(14)를 완전히 걷기 위해서 상기 덮개(14)는 서로 맞은 편의 고정 스트립에 의하여 상기 카세트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분할장치는 카세트 하우징(17)을 구비하는데, 상기 카세트 하우징(17)은 위로 끌어낼 수 있고 상기 카세트 하우징(17)의 전체길이 이상으로 신장되는 표면 구조물(18)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 구조물(18)은 거의 상기 트렁크의 전체넓이 이상으로 신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망 형태로 형성된 상기 표면 구조물(18)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 선단부 말단에 의해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 영역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고정은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전체 카세트 하우징(17)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표면 구조물(18)은 상기 카세트 하우징(17) 내의 블라인드 축 위에 위치하며, 상기 블라인드 축은 후진 스프링에 의하여 부하를 받는다. 상기 후진 스프링은 단단하게 설치되므로, 또 다른 표면 구조물(19)와 같이 그에 상응하는 보조적인 작동 유닛 및 덮개(20) 등을 포함한 상기 표면 구조물(18)은 상기 카세트 하우징(17)의 자체 중량에 대항하여 정지위치로 감길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표면 구조물(18)이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에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상기 카세트 하우징(17)은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정지위치에서, 상기 표면 구조물(18)에 대한 후진 스프링 또는 블라인드 축의 강도에 의하여 상기 덮개 내벽(22)에 위치된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7)을 도 4의 작동위치로 운반하기 위해서, 수동으로 아래를 압박할 수 있고 상기 트렁크 바닥의 영역 내의, 그에 상응하는 고정수단에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면 구조물(18)용 후진 스프링 장치에는 그에 상응하는 활성 또는 비활성 제동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조적인 제동장치 설치시, 상기 후진 스프링의 힘은 더 약해질 수 있다. 상기 덮개 내벽(22)의 정지위치에서의 상기 카세트 하우징(17) 배치는 그에 상응하는 상기 제동장치의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카세트 하우징(17) 내부에 위치한, 거의 수평방향으로 끌어 낼 수 있는 표면 구조물(19)은 도 3에 설명된 표면 구조물(15)에 해당하므로, 여기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덮개(20)는 도 3의 덮개(14)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트렁크 바닥에 대해 방수 및 오염방지되는 덮개로서 사용된다. 상기 덮개(20)는 도 4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14)와 유사하게 회전하여 상기 카세트 하우징(17)의 공간(21)에 위치하므로, 상기 덮개(20)는 전면 고정 스트립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전체 덮개(20)는 상기 카세트 하우징(17)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렁크 바닥 위로 펼 수 있다. 여기서, 그에 상응하는 차량을 고정하는 고정수단(13)은 상기 트렁크 바닥의 전면 및 후면 영역에 제공된다.
상기 카세트 하우징(17)과 유사한 카세트 하우징은, 상기 표면 구조물(18)에 의하여 고정되지 않고, 바로 상기 상부 덮개 내벽(2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내벽(22)에의 상기 카세트 하우징(17) 배치는 전술한 카세트 하우징의 고정과 유사하게 상기 트렁크 바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카세트 하우징은 추가적인 작동소자의 배치 및 고정을 위한 수용 또는 고정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쇼핑백 또는 장바구니 또는 차량 자체의 대상이 아닌 다른 대상에 대한 간단한 고정 수용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그러한 카세트 하우징은 특히 그에 상응하는 외부 돌출구를 구비할 수 있고, 그에 상응하여 설명된 작동유닛 또는 대상을 위한 고정 유닛을 제공하는 미닫이면은 상기 외부 돌출구로 삽입되어 있으며 형태가 정연하거나 힘이 균일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특히, 상기 카세트 하우징이 선상 압출 구조물로 제조될 경우에,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도 8에 따른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전술된 도 1의 실시예에 해당된다. 또한, 도 8에 따른 분할장치는 외형이 단단한 구조물로서 형성된 표면 구조물(27)을 구비하는데, 도 1에 따른 장치와 유사하게, 상기 표면 구조물(27)을 상기 트렁크 바닥의 경계표면을 도시하는 측면 내벽(24)으로부터 끌어낼 수 있다. 상기 표면 구조물(27)은, 상기 측면 내벽(24)의 공동(空洞)(29)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는 블라인드 축 위에 펼 수 있다. 상기 측면 내벽(24)에 하나의 홈을 형성하는 상기 공동(29)은 개폐문(30) 형태의 덮개에 의하여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상기 개폐문(30)은 힌지(hinge) 장치(31)에 의하여 수직방향의 회전축 주위를 회전하여 동작하며 상기 측면 내벽(24)에 위치한다. 상기 도출된 작동위치에서 상기 분할 구조물(27)은 상기 트렁크 바닥을 가로질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트렁크 바닥을, 상기 전면 측면 내벽(26)에 의해 전면과 경계를 이루고 상기 분할 구조물(27)에 의해 후면과 경계를 이루는 전면의 한 영역과, 그에 상응하는 후면의 한 영역으로 분할한다. 상기 분할 구조물(27)은 경계표면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트렁크 바닥(23) 위의 작동위치에 위치하며, 차량을 고정시키는 걸이식 고정구(32)에 분리 스트립(28)이 고정되어 있는 작동위치에서 단단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단하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라인드 축에, 그에 상응하는 제어장치가 부착되거나 상기 분할 구조물(27)이 그것의 길이 내에서 상기 트렁크 바닥의 넓이에 맞춰야 하는데, 그럼으로써 상기 분할 구조물(27)을 걸린 상태에서 말단으로까지 완전히 끌어 낼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문(30)은 단순한 빗장(33, 34) 형태의 제어장치와 함께, 폐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문(30)을, 상기 개폐문(30)이 정지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분할 구조물(27)을 덮는 폐쇄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다른 형태의 제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여기서, 스프링 장치가 중요한데, 이러한 스프링 장치는 상기 개폐문(30) 위로 후진 팽창을 수행하며 이러한 후진 팽창을 상기 폐쇄 위치에서 유지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서, 도 8에 따른 상기 트렁크의 측면 내벽에 접혀진 상기 분할 구조물에 추가적으로, 상기 트렁크 바닥(23)에 접혀져 배치된 상기 분할장치에 대한 또 다른 분할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분할장치의 이러한 부분은 구조와 기능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도 3 내지 도 7에서 이미 상세히 전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따른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해당하는 표면 구조물(38, 40, 42)은 차량으로부터 빼낼 수 있는 분리된 카세트 하우징에 제공되기보다는 오히려 상기 트렁크 바닥(23) 내의 해당 홈에 직접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표면 구조물에 대한, 상기 홈에 해당하는 베어링들이 그것의 감겨진 정지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트렁크 바닥(23)에 일체화된 상기 분할장치는 공동(空洞)으로서 형성된 세 개의 홈을 구비하는데, 상기 홈은 각각 덮개 개폐문의 형태로 각각 덮개(35 내지 3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덮개 개폐문(36, 37)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덮개 개폐문(35)의 반 넓이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반 넓이는 상기 덮개 개폐문(36, 37)에 평행하게 연결되어 상기 덮개 개폐문(36, 37) 뒷쪽에 위치한다. 상기 해당 덮개 개폐문(35, 36, 37)을 연 후에, 각각의 표면 구조물(38, 40, 42)을 수동으로 각각의 작동위치로 끌어 낼 수 있으며 그에 해당하는 차량을 고정시키는 고정구(39, 41, 43)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표면 구조물의 각각의 홈에 함몰되어 있는 후면 말단은 마찬가지로, 그에 상응하는 블라인드 축에 고정되거나 상기 공동(空洞)의 고정구에 직접 고정됨으로써 각각의 공동(空洞)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는 각각 상기 표면 구조물(38, 40, 42)의 해당 분리 스트립을 위한 걸이식 후크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걸이식 후크(39, 41, 43)는 정지위치로 복귀되며, 각각의 분리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해서 작동위치로 방향 전환된다. 상기 걸이식 후크(39)는 경계표면으로서 사용되는, 상기 트렁크 바닥의 덮개, 다시 말해서, 상기 트렁크 바닥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걸이식 후크(41, 42)는 상기 트렁크 바닥(23)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덮개 개폐문(35 내지 3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간단히 열고 닫기 위해서 그립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립장치는 그에 상응하는 스프링 장치에 의하여, 또는 다른 방식으로 그것의 폐쇄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스프링 장치 대신에 빗장, 고정장치 또는, 형태가 정연하거나 힘이 균일한 또 다른 제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승용차 짐칸으로서 사용되는 트렁크에는 트렁크 바닥(24) 및 덮개 내벽(45)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덮개 내벽(45)은 차량 종방향에서 전면을 향해, 트렁크 덮개(46)에 대한 단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덮개 내벽(45)은 상기 차량 내부공간의 모자 걸이 아래에 존재한다. 상기 덮개 내벽(45)에는 분할장치(47)가 제공되는데, 상기 분할장치(47)는 외형이 단단하고 사각형의 폐쇄형 프레임(49)과, 상기 프레임(49)에 펼쳐진 표면 구조물에 의하여 망(50)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할장치는 분할 구조물(47)을 제공하는데, 상기 분할 구조물(47)은 작동위치(도 14 참조)에서, 차량 종방향에서의 상기 트렁크의 전면 공간 을 후면 공간으로 분리시킨다. 상기 프레임(49)은 힌지(hinge) 장치(48)에 의하여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45)에 회전하여 위치되며, 상기 회전 베어링이 수평방향의, 차량 횡방향에서의 회전축 주위에 제공된다. 상기 망(50)을 포함한 상기 프레임(49)은 정지위치(도 13 참조) 및 작동위치(도 14 참조)에서 두 개의 고정 빗장(51)과, 트렁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5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4에서, 상기 프레임(49)의 하부 세로방향의 캐리어 양측에 선형의, 외부로 밀어 낼 수 있는 미닫이 볼트(51)가 결합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그립소자에 의하여 각각 상기 프레임(49)을 분리하는 정지위치와, 상기 프레임(49)을 각각의 고정구(52)에 고정시키는 고정위치 사이에서 선상으로 밀어 낼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45)에는 트렁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5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49) 및 상기 분할 구조물(47)의 정지위치에서의 상기 미닫이 볼트(51)는 상기 고정구(52)에 맞물려 있다. 상기 미닫이 볼트(51)는 상기 작동위치에 대한 제어수단과 상기 분할 구조물(47)의 정지위치에 대한 안전수단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정지위치에 대해, 분리된 안전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분할 구조물(47)을 상기 덮개 내벽(45)에 고정시킨다.
도 15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할 구조물(53)이 구비되는데, 상기 분할 구조물(53)은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외형이 단단한 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외형이 단단한 프레임은 망 형태로 상기 프레임 내부에 펼쳐진 표면 구조물을 제공하며,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힌지(hinge) 장치(48) 주위를 회전하여 동작되도록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45)에 위치한다.
또한, 탄력적인 망 대신에, 다르게 형성된 탄력적인 또는 비탄력적인 표면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할 구조물(53)의 프레임의 하부 세로방향의 캐리어는 정지면(54)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정지면(54)에는 또다른 두 개의 분할유닛이 분할봉(55) 형태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분할봉(55)은 각각 베어링 서포트(56)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밀어 내어 상기 정지면(54)에 고정된다. 이 외에도, 상기 정지면(54)은 상기 정지면(54)의 전체길이 이상으로 신장된 측면 홈(57)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의 두 개의 연결 링크 스톤(60)이 상기 측면 홈(57)에 맞물려 있다. 상기 베어링 서포트(56)는 상기 측면 홈(57)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외에도,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 링크 스톤(60)이 그립소자에 의하여 적어도 약 90˚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에 위치한다(도 17 참조).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측면 홈(57)에 맞물려 있는 직사각형의 상기 연결 링크 스톤(60)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 링크 스톤(60)의 길이가 짧은 쪽은 상기 측면 홈(57)의 삽입구의 높이에, 상기 연결 링크 스톤(60)의 길이가 긴 쪽은 상기 측면 홈(57)의 높이에 맞춰져 있다. 약 9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 링크 스톤(60)을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측면 홈(57)에 삽입할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다시 한번 약 90˚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측면 홈(57)에 형태를 정연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링크 스톤(60)은 슬라이드 스톤을 형성하는데, 상기 슬라이드 스톤에 의하여 각각의 분할봉(55)이 상기 정지면(54)을 따라 밀어 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 링크 스톤(60)은 유동적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따른 작동위치에서의 상기 분할봉(55)은 차량 횡방향으로 진행되는 상기 정지면(54)으로부터 차량 종방향의 뒷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트렁크 바닥을 전부 세 개의 공간으로 분할한다. 상기 분할봉(55)은 중간단계없이 상기 정지면(54)의 상기 측면 홈(57)을 따라 밀어낼 수 있다. 상기 분할봉(55)을 원하는 위치에서 제어하기 위해서, 고정면(58)이 제공되는데, 상기 고정면(58)은 상기 정지면(54)의 해당 돌출구(62)에 일체화된다. 상기 고정면(58)은 상기 돌출구(62) 내부에서 그의 종축 주위를 일정한 각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면(58)은 원형의 횡단면이 아닌 적어도 부분적으로 둥글지 않으면서 편심적인 횡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면(58)은 소정의 길이로 상기 돌출구(62) 위로 외부를 향해 돌출하며 그에 상응하는,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의 홈(61) 안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면(58)은 대략 상기 측면 홈(57)의 길이 이상으로 신장된다. 상기 고정면(58)을 수동으로 방향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면(58)은 대략 차량 중앙높이의 그립 브릿지(59)를 제공하며, 상기 그립 브릿지(59)는 방사상으로 아래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면(58)의 방향 전환에 의하여, 상기 둥글지 않고 편심적인 형태로써 상기 베어링 서포트(56)를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면(58)이 회전위치에 따라 대략 상기 고정면(54)의 후면 윤곽 이상 또는 이하로 돌출되며, 동시에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의 홈(61) 높이로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분할봉(55)을 선상에서 밀어내기 위해서, 상기 두 개의 분할봉(55)은 각각 상기 정지면(54)에 인접하는 정지위치(도 15 참조)로 방향전환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각각의 분할봉(55)은 수직방향의 축 주위를 회전하면서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에 위치한다. 상기 분할봉(55)은 작동위치(도 16 및 도 18 참조)와 정지위치(도 15 참조)에서 고정장치에 의하여 보호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베어링 서포트(56) 영역의 각각의 분할봉(55)에는 편심적인 지지면(66)(도 16 참조)이 제공되는데, 상기 지지면(66)은 상기 베어링 서포트(56) 내부의 엽상 스프링(64)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동작 가능한 지지석(63, 65)에 의하여 보호된다. 상기 엽상 스프링(64)은 상기 선형으로 동작 가능한 지지석(63, 65)의 수용 홈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석(63, 65) 외부에서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의 해당 수용 홈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분할봉(55)의 상기 지지면(66)은 폐쇄된 정지위치(도 15 참조)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평한 설치표면이 제공되는데, 상기 설치표면은 상기 분할봉(55)의 각각의 정지위치에서 편평하게 상기 지지석(63, 65)의 지지표면(65)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면(66)의 편평한 지지표면(65)은, 도 18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약 90˚로 상기 지지석(65)으로 이전되며 동시에 상기 지지면(66)의 상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지지표면에 의하여 각각의 분할봉(55)은 작동위치와 폐쇄된 정지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따른 실시예에서, 분할 구조물(67)이 제공되는데, 상기 분할 구조물(67)은 외형이 단단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펼쳐진 표면 구조물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은 힌지(hinge) 장치(48) 영역에서 방향전환하여 동작되도록 상기 트렁크의 덮개 내벽(45)에 위치한다. 도 15 내지 도 18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의 하부 세로방향의 캐리어가 정지면(68)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하부 세로방향의 캐리어는 상기 트렁크의 전체넓이 이상으로,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전체넓이 이상으로 신장된다. 상기 정지면(68)에는 다변의 수용 홈(69)이 제공되는데, 상기 수용 홈(69)은 실질적으로, 좁은 삽입구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 홈(69)은 보조적인 작동 유닛들(71)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상기 작동 유닛들(71)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 유닛들(71)은 단 하나의 카세트 하우징을 구비하는데, 상기 카세트 하우징에는 상기 트렁크 바닥(44)용 덮개가 감겨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르게 형성되고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작동 유닛은 상기 수용 홈(69)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닛들(71)이 하나 이상의 정지 발(70)에 의하여 상기 수용 홈(69)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은 모든 작동 유닛들(71)에 대해서 공통적인 사실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러한 정지 발(70)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하된 정지 핀을 구비하는데, 상기 정지 핀은 소정의 길이로, 그에 상응하는 환원 스프링의 힘에 맞서서 상기 정지 발(70)의 하우징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닛들(71)을 하나 이상의 정지 발(70)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 홈(69)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도 21에 따른 상기 정지 발(70)은 상기 수용 홈(69)에 경사져 삽입되며, 상기 정지 발(70)의 상부 모서리가 상기 수용 홈(69)의 삽입구의 상부 가장자리를 통과할 때까지 아래로 압박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정지 발(70)을 포함한 상기 작동 유닛들(71)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방향 전환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정지 발(70)은 상기 삽입구의 상부 가장자리 뒤로 삽입되며 상기 수용 홈(69)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수용 홈(69)의 상부 단면에는 미도시된 경사가 제공되고, 상기 경사는 상기 정지 발(70)의 상부 단면을 고정시키는데, 이는 상기 지지핀이 상기 스프링 부하로 인하여 상기 정지 발(70)의 하우징을 위로 압박하기 때문이다. 상기 정지 발(70)과 상기 작동 유닛들(71)을 다시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전체 유닛은 아래로 압박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지지핀은 상기 하우징으로 밀려 삽입되게 된다. 이제 상기 정지 발(70)은 전면 및 하부로 방향전환될 수 있고 그후에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도시된 단일의 분할장치 대신에 다수의 분할장치가 트렁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모든 분할장치는 같은 방식으로 다목적 승용차 또는 다른 차량의 트렁크에 구비될 수 있다.

Claims (16)

  1. 짐칸(1)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분할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짐칸.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장치는 상기 짐칸(1) 내부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짐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장치는 하나 이상의 탄력적인 또는 최소한 부분별로 외형이 단단한 분할 구조물(27, 38)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할 구조물은 정지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작동위치에서 상기 짐칸(1)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 구조물(27, 38)은 상기 짐칸(1)의 하나 이상의 경계표면(23)의 홈의 정지위치에서, 특히 짐칸 바닥(23)에접혀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짐칸(특히, 노치백(notchback)을 구비한 승용차 트렁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표면(23)의 하나 이상의 홈은 하나 이상의 덮개(35 내지 37)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짐칸.
  5. 제4항에 있어서, 경계표면으로서 상기 짐칸(1)의 하나의 측벽(24)이 제공되고, 덮개(30)로서 힌지(hinge) 장치(31) 주위를 회전하여 방향 전환할 수 있으며 밀폐된 폐쇄위치에서 제어장치(33, 34)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하나의 개폐문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짐칸.
  6. 하나 이상의 탄력적인 또는 최소한 부분별로 외형이 단단하며 상기 짐칸(1)에 차량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분할 구조물(5, 5a, 15, 16, 18, 19)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구조물(47, 53, 67)은 외형이 단단한 프레임을 구비하는데, 상기 프레임은 내벽(45)에 인접한 정지위치와, 상기 짐칸(1)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작동위치 사이에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짐칸(1)의 내벽(45)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9)에 제어수단(51)이 제공되는데, 상기 제어수단(51)은 작동위치에서 상기 프레임(49)을 해당 짐칸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2)에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9)을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수단이 상기 내벽(45)에 인접하는 정지위치에서 상기 프레임(49)에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10. 제7항부터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3, 67)은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정지면(54, 68)이 제공되는데, 상기 정지면(54, 68)에는 보조적인 작동장치(55, 71)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작동장치로서 상기 프레임(53, 67)의 작동위치에 횡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할 유닛(5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유닛은 하나의 분할봉(55)을 구비하는데, 상기 분할봉(55)은 베어링 서포트(56)에 의하여 상기 정지면(54)에 종방향으로 밀어 움직일 수 있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봉(55)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58, 59)이 임의의 중간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봉(55)에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거의 상기 정지면(54)의 전체길이 이상으로 신장된 하나의 고정면(58)이 제공되는데, 상기 고정면(58)은 상기 베어링 서포트(56)에 부착되고 최소한 부분적으로 상기 정지면(54)에 접혀서 제공되며 그의 종축 주위를 회전하여 동작되도록 정지되며, 상기 고정면(58)은 적어도 부분별로 그의 종축에 편향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서포트(56)는 상기 고정면(58)의 방향전환시 상기 정지면(54)과 상대적으로 제어되거나 분리 가능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15. 제6항부터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봉(55)은 폐쇄된 정지위치와 개방된 작동위치 사이에서 방향 전환되도록 상기 부착된 베어링 서포트(56)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분할봉(55)은 고정장치(63, 64, 65, 66)에 의하여 작동위치 및/또는 폐쇄된 정지위치에서 안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짐칸의 분할장치.
KR10-2000-7011117A 1998-04-08 1999-03-11 자동차의 짐칸의 분할장치 KR100405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5733 1998-04-08
DE19815733.9 1998-04-08
DE19820726 1998-05-11
DE19820726.3 1998-05-11
DE19837685A DE19837685A1 (de) 1998-04-08 1998-08-19 Laderaum für ein Kraftfahrzeug und Segmentierungsvorrichtung
DE19837685.5 1998-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751A true KR20010034751A (ko) 2001-04-25
KR100405322B1 KR100405322B1 (ko) 2003-11-12

Family

ID=2604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117A KR100405322B1 (ko) 1998-04-08 1999-03-11 자동차의 짐칸의 분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05322B1 (ko)
DE (2) DE198376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169A (ko) 2022-01-26 2023-08-02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트럭 짐칸의 분리식 덮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581A (ja) * 2000-05-09 2001-11-13 Fuji Heavy Ind Ltd 車両用荷物保持装置
KR100490514B1 (ko) 2000-07-05 2005-05-17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자동차의 짐칸
DE20014050U1 (de) * 2000-08-16 2002-01-10 Johnson Controls GmbH, 51399 Burscheid System zur Unterbringung von Ladegut in einem Fahrzeug
DE10063728B4 (de) * 2000-12-14 2010-08-05 Bos Gmbh & Co. Kg Kofferraum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DE10134887B4 (de) * 2001-07-18 2006-01-19 Daimlerchrysler Ag Befestigungsvorrichtung zum Haltern und/oder Sichern von Gegenständen in einem Fahrzeugladeraum
DE10223684B4 (de) * 2002-05-23 2005-12-01 Bos Gmbh & Co. Kg Fahrzeugraum mit wenigstens einem, auf-und abwickelbaren, flexiblen Flächengebilde
DE10232448A1 (de) * 2002-07-17 2004-02-12 Butz-Ieper Automotive Gmbh Schutzvorrichtung für d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es
DE10233168B4 (de) * 2002-07-22 2008-08-07 Adam Opel Ag Stecksystem zur Ver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FR2873971B1 (fr) * 2004-08-09 2013-02-22 Wagon Automotive Sas Systeme de maintien modulable d'au moins un objet dans un coffre de vehicule, filet et vehicule correspondants
DE102004047152A1 (de) * 2004-09-29 2005-11-24 Audi Ag Vorrichtung zur Sicherung von Ladegut im Laderaum vo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DE102004056085B4 (de) * 2004-11-11 2010-09-16 Bos Gmbh & Co. Kg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Fahrzeugs
DE102004060747B4 (de) * 2004-12-15 2010-09-16 Webasto Ag Fahrzeug mit einer auf- und abrollbar gelagerten Laderaum-Abdeckung
DE102004064270B3 (de) * 2004-12-23 2017-12-28 Volkswagen Ag Laderaum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63418A1 (de) * 2004-12-23 2006-07-06 Volkswagen Ag Laderaum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14928B4 (de) * 2005-04-01 2008-12-04 Audi Ag Laderaumabdeckung zum Abdecken eines Laderaums eines Kraftfahrzeugs
DE102006010377A1 (de) * 2006-03-03 2007-09-06 Bos Gmbh & Co. Kg Haltevorrichtung für Ladegut
DE102007002310A1 (de) * 2007-01-16 2008-07-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fferraum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DE102007020924A1 (de) 2007-05-04 2008-1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Ladeboden
DE102009043766A1 (de) * 2009-09-30 2011-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Laderaumfunktionsvorrichtung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2010008212A1 (de) 2010-02-17 2010-09-16 Daimler Ag Unterteil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001130B4 (de) 2013-01-24 2023-11-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aufach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s zur Aufnahme von Gegenständen
FR3006263A1 (fr) * 2013-05-28 2014-12-05 Alex Clain Dispositif de chargement et de dechargement de courses dans un vehicule
DE102017004021A1 (de) 2017-04-26 2017-10-26 Daimler Ag Ladeboden für einen Laderaum eines Personenkraftwagens
DE102019204930A1 (de) * 2019-04-05 2020-10-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aderaumausstattungssystem für einen Laderaum eines Kraftfahrzeu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5169A (ko) 2022-01-26 2023-08-02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트럭 짐칸의 분리식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909474D1 (de) 2004-06-17
KR100405322B1 (ko) 2003-11-12
DE19837685A1 (de) 199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322B1 (ko) 자동차의 짐칸의 분할장치
US6616389B1 (en) Storage facility for a motor vehicle and segmentation device
US6623059B2 (en) Collapsible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cargo compartments
JP2006513089A (ja) 可動荷物支持アームを有する車両荷物管理装置
US6749241B1 (en) Vehicle cargo panel having retractable belt
US10513229B2 (en) Truck bed on-board storage system
US20100012672A1 (en) Case with deployable structure
KR101352743B1 (ko) 화물이동 차단막이 구비된 픽업차량용 슬라이딩 사물함
US5819996A (en) Trunk Organizer
US20040134946A1 (en) Vehicle seat cargo storage apparatus
JP2020093632A (ja)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KR100527925B1 (ko) 멀티형 러기지 플로어 박스
KR20140112859A (ko) 자동차의 물건 수납장치와 이를 이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
JPS6117694B2 (ko)
KR20060041406A (ko) 가변형 커버링 쉘프 구조
JP2002114103A (ja) 自動車用トノボード装置
JP2006142948A (ja) 自動車のトノボード装置
JP2000108788A (ja) パッケージトレイ
JP3469635B2 (ja) テーブルを備えたラゲージルームトレイ構造
KR0125006Y1 (ko) 자동차 도어부의 이동식 포켓
JPH0730411Y2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KR0135239Y1 (ko) 자동차의 트렁크 짐 고정장치
JP2000127857A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フロア
JP2003226193A (ja) 乗用車
KR200149566Y1 (ko) 자동차 트렁크용 접이식 간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