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381Y1 - 여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여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81Y1
KR200488381Y1 KR2020180003146U KR20180003146U KR200488381Y1 KR 200488381 Y1 KR200488381 Y1 KR 200488381Y1 KR 2020180003146 U KR2020180003146 U KR 2020180003146U KR 20180003146 U KR20180003146 U KR 20180003146U KR 200488381 Y1 KR200488381 Y1 KR 200488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door
rear surface
pres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민
Original Assignee
신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민 filed Critical 신상민
Priority to KR2020180003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outsid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사용시 접을 수 있어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덜 차지하도록 하고, 전면에 구비된 도어를 열은 후 캐리어 내에 수화물을 넣고 뺄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면서도 일정 수준의 보안성을 확보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행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행용 캐리어{TRAVEL CARRIER}
본 고안은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사용시 접을 수 있어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덜 차지하도록 하고, 전면에 구비된 도어를 열은 후 캐리어 내에 수화물을 넣고 뺄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면서도 일정 수준의 보안성을 확보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행기간이 길어지고 여행지에서 많은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 이에 따라 여행용 캐리어도 대용량의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또한, 가족여행과 같이 다수의 인원이 여행을 가는 경우 식구 별로 다수의 캐리어가 필요하여 한 가정에서도 여러 개의 캐리어를 구매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는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분해가 불가능하여 미사용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는 지퍼를 이용하여 좌우로 벌려지는 2개의 바디로 이루어져, 캐리어 내에 수화물을 추가로 넣고 빼기 위해서는 무거워진 캐리어의 지퍼를 개방한 후 한쪽 바디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무겁고 힘이 들 뿐만 아니라 캐리어 내에 수납된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되어 민망한 문제가 있다. 특히, 공항에서 수화물 중량 제한 초과시 캐리어 내에 수화물을 추가로 넣거나 빼는 과정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는 좌우로 벌려지는 2개의 바디가 지퍼로 결합되며, 외부에서 볼 때 지퍼로 이루어진 부분이 많고 지퍼의 슬라이더가 노출되어 보안성이 약한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17-0111943 국내공개특허 10-2015-0117488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미사용으로 인해 보관시 필요한 공간을 덜 차지하도록 하고, 캐리어 내에 수화물을 추가로 넣고 빼는 과정을 수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과정에서 캐리어 내에 수납된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면에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하게 도어가 구비되고 후면이 개방되는 제1 바디; 후면, 상기 후면의 좌우 측에 연결되는 좌우 측면, 상기 후면의 상하 측에 연결되는 상하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좌측면, 상기 상면과 상기 우측면, 상기 하면과 상기 좌측면, 상기 하면과 상기 우측면의 서로 대응하는 변에 각각 지퍼가 설치되어, 상기 지퍼를 잠그면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이 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바디의 좌우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좌우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돌기; 및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의 관통공에 각각 끼워지는 복수의 고정핀; 을 포함하는 여행용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의 도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이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는 도어의 후면에 구비되는 보관주머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관주머니는 망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바디는 내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내측으로 접힌 제2 바디가 겹쳐질 수 있고, 본 고안의 여행용 캐리어는 서로 포개진 제1 및 제2 바디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의 여행용 캐리어는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내측으로 접힌 제2 바디가 포개어지되, 상기 탄성밴드에 의해 상기 제2 바디의 둘레가 감싸지도록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핀은 관통공에 끼워지는 일자형의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에서 U자형으로 구부려지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타단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미사용시 제1 바디와 제2 바디로 손쉽게 분해한 다음 제2 바디의 좌우 측면과 상하 면을 내측으로 접은 후 제1 바디 안쪽에 포개지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리어로 다시 사용시 간단한 과정을 통해 외부에서 임의로 열 수 없는 형태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전면에 구비된 도어를 통해 캐리어 내의 수화물을 추가로 넣고 빼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 이러한 과정에서 캐리어 내에 수납된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창이 언락(unlock)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제1 바디의 도어가 언락되어 열리고 제2 바디는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바디의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접혀 박스형으로 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고정부재의 결합구조로서 제1 및 제2 바디를 결합한 후 A와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및 제2 바디와 탄성밴드를 함께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바디의 보관주머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바디의 또 다른 변형 예로서 탄성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안쪽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와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표시된 제1 바디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제2 바디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제2 바디의 손잡이가 형성되는 방향을 상측으로 바퀴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X방향은 캐리어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을 Y방향은 캐리어의 폭 방향(전후 방향)을 Z방향은 캐리어의 높이 방향(상하 방향)을 정의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창이 언락(unlock)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제1 바디의 도어가 언락되어 열리고 제2 바디는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제2 바디의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접혀 박스형으로 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고정부재의 결합구조로서 제1 및 제2 바디를 결합한 후 A와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행용 캐리어(1)는 제1 바디(100), 제2 바디(200) 및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는, 몸체(110)의 전면에 캐리어(1)의 전면을 개방하여 수화물을 빼고 넣을 수 있는 구멍(111)이 형성되고, 이 구멍(111)에 도어(120)가 설치되며, 후면은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10)와 도어(120) 사이에는 시건장치가 설치되어 도어(120)의 락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시건장치는, 도어(120)의 테두리와 몸체(110)의 구멍(111)의 테두리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지퍼(135c, 135d)와, 이 지퍼(135c, 135d)를 열고 닫기 위한 2개의 슬라이더(135a)와, 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2개의 슬라이더(135a)를 락킹(locking)하는 자물쇠(13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짐을 넣고 빼기 위해 도어(120)을 열어야 할 때에는 자물쇠(135b)로부터 2개의 슬라이더(135a)를 언락킹(unlocking)한 후 각각의 슬라이더(135a)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지퍼(135c, 135d)를 열면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시건장치는 도어(120)의 잠금 및 잠금 해제와 도어(120)의 열고 닫음이 가능하면 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시건장치가 특정한 구조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캐리어(1)는 한 통인 구조라서 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구멍(111)을 통해서만 소지품을 넣고 뺄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중요하거나 자주 사용하는 물품이 제2 바디(200)의 뒤쪽 깊이 위치하면 꺼내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도어(120)의 후면에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중요한 물품들을 인출이 용이한 위치에 넣어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주머니(122, 1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2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121)이 형성되고, 이 구멍(121)에 창(131, 132)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창(131, 132)은 개방하지 않고도 캐리어(1) 내부의 내용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필요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어(120)와 창(131, 132) 사이에는 각각 시건장치가 설치되어 창(131, 132)의 락(lock)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창(131, 132)은 그 구조가 대동소이하므로 이하 위쪽에 설치된 창(131)을 기준으로 본 실시 예의 시건장치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아래쪽에 설치된 창(132)의 설명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시건장치는, 창(131)의 테두리와 도어(120)의 구멍(121)의 테두리에 서로 대응하게 설치되는 지퍼(133c, 133d)와, 이 지퍼(133c, 133d)를 열고 닫기 위한 2개의 슬라이더(133a)와, 도어(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2개의 슬라이더(133a)를 락킹(locking)하는 자물쇠(13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창(131)을 열어야 할 때에는 자물쇠(133b)로부터 2개의 슬라이더(133a)를 언락킹(unlocking)한 후 각각의 슬라이더(133a)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지퍼(133c, 133d)를 열면 된다. 도면부호 134c, 134d는 아래쪽 창(132)의 지퍼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34a는 아래쪽 창(132)의 2개의 슬라이더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34b는 아래쪽 창(132)의 자물쇠를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시건장치는 창(131, 132)의 잠금 및 잠금 해제와 창(131, 132)의 열고 닫음이 가능하면 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시건장치가 특정한 구조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보관주머니(122, 123)가 각각의 창(131, 132)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이에 창(131, 132)을 개방하는 것만으로 보관주머니(122, 123)에 수납된 물건을 꺼내거나 보관주머니(122, 123)에 물건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22a 및 123a는 보관주머니(122, 123)의 절개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보관주머니(122, 123)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보관주머니(122', 123')는 단단한 재질이 아니라 망사와 같은 소재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후면(210), 후면(210)의 좌우 측에 X방향으로 각각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좌우 측면(221, 222) 및 후면(210)의 상하 측에 Z방향으로 각각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하 면(224, 223)을 포함한다. 이때, 상면(224)은 바깥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리어 손잡이(260)가 구비될 수 있고, 하면(223)은 바깥 면에 바퀴(27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200)의 상면(224)과 좌측면(221), 상면(224)과 우측면(222), 하면(223)과 좌측면(221), 하면(223)과 우측면(222)의 서로 대응하는 변에 지퍼(251, 252, 253, 254)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지퍼(251, 252, 253, 254)의 슬라이더(251a, 252a, 253a, 254a)는 잠금을 시작하는 지점이 후면(210)의 4 모서리부의 안쪽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에, 각 모서리에 위치한 지퍼(251, 252, 253, 254)의 슬라이더(251a, 252a, 253a, 254a)를 당겨 지퍼(251, 252, 253, 254)의 톱니를 각각 잠그면, 제2 바디(200)의 후면(210)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221, 222)과 상하 면(224, 223)이 Y방향으로 향하도록 안쪽으로 90도 정도로 접혀 제2 바디(200)가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 대비 지퍼(251, 252, 253, 254)로 이루어진 부분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지퍼(251, 252, 253, 254)의 슬라이더(251a, 252a, 253a, 254a)는 캐리어로 사용시 제1 바디(100)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퍼들(251, 252, 253, 254)을 모두 열고, 제2 바디(200)의 좌우 측면(221, 222), 상하 면(224, 223) 및 바퀴(270)를 모두 후면(210)을 향하도록 접어 제2 바디(200)를 납작한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여행용 캐리어는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와 같이 수납공간이 2개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수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수납된 짐이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2 바디(200)는 내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231, 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231, 232)은 제2 바디(200)의 내부 수납공간에 수납된 수화물이 흐트러지는 것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후면(210)에 Z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X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격벽(231, 232)의 설치 개수는 캐리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본 도면에서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를(200)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제2 바디(200)의 좌우 측면(221, 222)에 Z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241)과 제1 바디(100)에 이 복수의 결합공(241)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돌기(141) 및 복수의 고정핀(150)을 포함한다.
결합돌기(141)는 결합공(241)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1 바디(100)의 좌우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결합공(241)에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241)는 각각 관통공(141a)을 가진다.
이 관통공(141a)은 고정핀(150)이 끼워진 후 캐리어(1)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캐리어(1)가 유동되어 이로 인해 관통공(141a)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빠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150)은 결합돌기(141)가 결합공(241)에 끼움 결합된 후 결합돌기(141)의 관통공(141a)에 끼워져 결합돌기(141)가 결합공(24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핀(150)은 관통공(141a)에 끼워지는 일자형의 제1 지지부(151)와, 제1 지지부(151)의 일단에서 U자형으로 구부려지는 부분인 제2 지지부(152)와 제2 지지부(152)의 일단에서 제1 지지부(151)의 타단 부근까지 연장되는 제3 지지부(153)를 포함한다.
제3 지지부(153)는 관통공(141a)에 제1 지지부(151)가 결합된 후 제1 지지부(151)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고, 제2 지지부(152)는 제1 지지부(151)를 기준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1 지지부(151)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이 마련되도록 하여 고정핀(150)이 관통공(141a)에 끼워진 후에 이 틈이 결합돌기(141)가 위치하는 부분이 됨으로써, 고정핀(150)을 결합돌기(141)의 관통공(141a)에 끼우기는 용이하지만 관통공(141a)에 끼워진 고정핀(150)이 분리되는 것은 어렵게 만드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핀(150)의 위치는 캐리어(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밖에서는 고정핀(150)을 임의로 해제할 수 없어 캐리어(1)의 보안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정핀(150)은 제1 지지부(151)와 제2 지지부(152)를 연결하는 부근에 손잡이줄(154)이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줄(154)은 사용자가 이를 잡아 당길 때 고정핀(150)이 관통공(141a)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여행용 캐리어(1)는, 캐리어(1)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120)를 열고 고정핀(150)을 결합돌기(141)의 관통공(141a)으로부터 모두 뽑은 후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로 간편하게 분리한다. 다음으로, 제2 바디(200)를 납작하게 접은 후 제1 바디(100)와 겹쳐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의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컴팩트(compact)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1)로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2 바디(200)에 구비된 지퍼들(251, 252, 253, 254)을 모두 잠궈 제2 바디(200)의 좌우 측면(221, 222) 및 상하 면(224, 223)이 Y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제2 바디(200)를 박스형으로 만든다. 다음으로, 제1 바디(100)에 결합하여 고정부재로 결합된 상태를 고정시킴으로써 짐의 수납이 가능한 캐리어(1) 형태로 다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는 지퍼를 이용하여 좌우로 벌려지는 2개의 바디로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캐리어 내에 수화물을 추가로 넣고 빼기 위해서는 무거워진 캐리어의 지퍼를 개방한 후 한쪽 바디를 들어올려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무겁고 힘이 들 뿐만 아니라, 캐리어 내에 수납된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민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여행용 캐리어(1)는, 제1 바디(100)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120)를 통해 캐리어(1) 내에 소지품을 넣고 빼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여행용 캐리어와 같이 무거워진 캐리어의 지퍼를 개방한 후 한쪽 바디를 들어올릴 필요가 전혀 없고, 더불어 캐리어 내에 수납된 소지품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제1 및 제2 바디와 탄성밴드를 함께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여행용 캐리어(1)는 복수의 고정밴드(310, 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밴드(310, 320)는 여행용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신축성 있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제1 바디(100)의 내측에 좌우 측면(221, 222), 상하 면(224, 223) 및 바퀴(270)가 내측으로 접혀 납작해진 제2 바디(200)를 겹쳐지도록 한 후, 서로 포개진 제1 및 제2 바디(100, 200)의 둘레를 이 고정밴드(310, 320)로 감싸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예기치 않게 서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밴드(310, 320)는 캐리어의 크기 및 부피에 따라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필요시 길이가변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1 바디의 또 다른 변형 예로서 탄성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여행용 캐리어는 복수의 탄성밴드(410, 420, 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밴드(410, 420, 430)는 제1 바디(200)의 몸체(110)의 내측에 Z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각 탄성밴드(410, 420, 430)의 양단은 제1 바디(100)의 몸체(110)의 좌우 테두리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밴드(410, 420)는 제2 바디(200)의 내부에 수납된 수화물을 눌러 수화물이 제2 바디(200)의 내부 공간에서 움직이며 수납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안쪽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탄성밴드(410, 420, 430)는 경우에 따라 여행용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때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예기치 않게 서로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제1 바디(100)의 내측에 좌우 측면(221, 222), 상하 면(224, 223) 및 바퀴(270)가 내측으로 접혀 납작해진 제2 바디(200)를 Z방향의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끼워지도록 하되, 탄성밴드(410, 420, 430)를 늘려 제2 바디(200)의 둘레가 탄성밴드(410, 420, 430)에 위해 감싸지도록 하면 탄성밴드(410, 420, 430)가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분리를 방지하는 고정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와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고정부재는 매미고리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미고리는 제1 바디(100)의 몸체(110)의 내측 면에 Z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아데(170)와, 제2 바디(200)의 좌우 측면(221, 222)의 내측 면에 Z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매미(160)를 포함하며, 이때 아데(170)와 매미(160)는 Y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아데(170)는 제1 바디(100)의 몸체(110)에 밀착되는 제1 고정부(171)와, 제1 고정부(171)에서 제2 바디(200)의 좌우 측면(221, 222)을 향해 연장되며 U자형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걸림부(173)를 포함하고, 제1 고정부(17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172)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제1 바디(100)의 몸체(110)의 내측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매미(160)는 제2 바디(200)의 좌우 측면(221, 222)에 각각 밀착되는 제2 고정부(161)와, 제2 고정부(161)에 핀(163)을 이용하여 X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부(162)와, 작동부(162)를 락 또는 언락하기 위한 버튼(164)과, 작동부(162)에 설치되어 버튼(164)의 동작에 따라 아데(170)의 걸림부(173)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고리부(165)를 포함한다.
이에, 매미(160)의 작동부(162)가 언락된 상태에서 매미(160)의 고리부(165)가 아데(170)의 걸림부(173)에 걸리도록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를 맞춰서 끼운 후, 매미(160)의 작동부(162)를 락 상태로 하면 아데(170)에 매미(160)가 고정되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매미(160)의 버튼(164)을 눌러 작동부(162)를 언락한 후 고리부(165)를 아데(170)의 걸림부(173)로부터 걸림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제1 바디(100)의 몸체(110)를 잡아당겨 제2 바디(200)로부터 제1 바디(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캐리어
100: 제1 바디
110: 몸체
111: 구멍
120: 도어
131, 132: 창
133a, 134a: 슬라이더
133b, 134b: 자물쇠
133c, 133d, 134c, 134d: 지퍼
135a: 슬라이더
135b: 자물쇠
135c, 135d: 지퍼
141: 결합돌기
141a: 관통공
150: 고정핀
151, 152, 153: 제1 내지 제3 지지부
154: 손잡이줄
122, 122', 123, 123': 보관주머니
200: 제2 바디
210: 후면
221, 222: 좌우 측면
224, 223: 상하 면
231, 232: 격벽
241: 결합공
251, 252, 253, 254: 지퍼
260: 손잡이
270: 바퀴
310, 320: 고정밴드
410, 420, 430: 탄성밴드

Claims (6)

  1. 전면에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하게 도어가 구비되고 후면이 개방되는 제1 바디;
    후면, 상기 후면의 좌우 측에 연결되는 좌우 측면, 상기 후면의 상하 측에 연결되는 상하 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상기 좌측면, 상기 상면과 상기 우측면, 상기 하면과 상기 좌측면, 상기 하면과 상기 우측면의 서로 대응하는 변에 각각 지퍼가 설치되어, 상기 지퍼를 잠그면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이 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결합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박스형이 된 제2 바디는 좌우 측면의 단부와 상하 면의 단부가 상기 제1 바디의 안쪽 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의 전단에 위치하는 각 지퍼의 슬라이드가 상기 제1 바디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바디의 좌우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좌우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돌기; 및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의 관통공에 각각 끼워지는 복수의 고정핀;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도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창이 잠금 및 잠금 해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바디는 내부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더 포함하는 여행용 캐리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가 도어의 후면에 구비되는 보관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캐리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좌우 측면 및 상하 면이 내측으로 접힌 제2 바디가 겹쳐지고, 서로 포개진 제1 및 제2 바디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용 캐리어.
KR2020180003146U 2018-07-09 2018-07-09 여행용 캐리어 KR200488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46U KR200488381Y1 (ko) 2018-07-09 2018-07-09 여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46U KR200488381Y1 (ko) 2018-07-09 2018-07-09 여행용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81Y1 true KR200488381Y1 (ko) 2019-01-21

Family

ID=6526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46U KR200488381Y1 (ko) 2018-07-09 2018-07-09 여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077A (ko) 2019-10-14 2021-04-22 서병조 여행용 캐리어
KR102249251B1 (ko) * 2021-02-26 2021-05-07 유태환 배낭
EP4027826A4 (en) * 2019-09-09 2023-09-27 Rollink Smart Products Ltd. FOLDABLE SUITCA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61B1 (ko) * 2011-04-21 2013-03-19 캐롤라인코리아무역(주) 절첩 가능한 여행용 가방
KR20150117488A (ko) 2014-04-10 2015-10-20 조원상 편리한 개폐 수단들이 갖추어진 캐리어
KR101609477B1 (ko) * 2014-11-19 2016-04-05 이화정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KR101720092B1 (ko) * 2017-01-04 2017-03-27 주식회사 트레졀콜렉션 부피 조절이 가능한 여행용 가방
KR20170111943A (ko) 2016-03-30 2017-10-12 천영달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61B1 (ko) * 2011-04-21 2013-03-19 캐롤라인코리아무역(주) 절첩 가능한 여행용 가방
KR20150117488A (ko) 2014-04-10 2015-10-20 조원상 편리한 개폐 수단들이 갖추어진 캐리어
KR101609477B1 (ko) * 2014-11-19 2016-04-05 이화정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여행용 가방
KR20170111943A (ko) 2016-03-30 2017-10-12 천영달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20092B1 (ko) * 2017-01-04 2017-03-27 주식회사 트레졀콜렉션 부피 조절이 가능한 여행용 가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7826A4 (en) * 2019-09-09 2023-09-27 Rollink Smart Products Ltd. FOLDABLE SUITCASE
KR20210044077A (ko) 2019-10-14 2021-04-22 서병조 여행용 캐리어
KR102249251B1 (ko) * 2021-02-26 2021-05-07 유태환 배낭
WO2022181932A1 (ko) * 2021-02-26 2022-09-01 유 싸이몬 에스 배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381Y1 (ko) 여행용 캐리어
US6575493B1 (en) Collapsible trolley
US5427453A (en) Dual opening carrying bag
US7806453B2 (en) Stowable cover with storage feature for vehicle cargo area and method
EP2926679B1 (en) Luggage with interlocking zipper pull tabs
US5303805A (en) Luggage bag with collapsible inner frame and wheels
US7849984B2 (en) Collapsible bag mounting structure and collapsible bag associated therewith
CN103318091B (zh) 平底板货物管理系统
US20080083592A1 (en) Versatile and reconfigurable luggage
US20100101908A1 (en) Traveling bag
US20080258437A1 (en) Removable Cargo Liners for a Stroll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30062233A1 (en) Cargo organizer
CN204105119U (zh) 可折叠箱
US20080128231A1 (en) Dividable luggage
US5704528A (en) Multi-purpose valise
US9771095B2 (en) Stroller with a secondary attachment
JP2018531117A6 (ja) 外部コンパートメントを有する手荷物用品
KR101245161B1 (ko) 절첩 가능한 여행용 가방
US11975890B2 (en) Airplane tray cover multi-compartment holder system and method
CN1847069A (zh) 购物车
KR19990042178U (ko) 개량절첩식손수레
KR200484933Y1 (ko) 확장 공간부 사이에 수납부를 갖는 여행용 가방
US11383919B2 (en) Transport case for a folding bicycle
US20230346093A1 (en) Extendable and retractable luggage
JPH07205816A (ja) 携行折り畳み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