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943A -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943A
KR20170111943A KR1020160038272A KR20160038272A KR20170111943A KR 20170111943 A KR20170111943 A KR 20170111943A KR 1020160038272 A KR1020160038272 A KR 1020160038272A KR 20160038272 A KR20160038272 A KR 20160038272A KR 20170111943 A KR20170111943 A KR 2017011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arrier
communication module
signal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달
Original Assignee
천영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달 filed Critical 천영달
Priority to KR102016003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943A/ko
Publication of KR2017011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캐리어(carrier)에 설치된 무선통신모듈과 센서 그리고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캐리어의 근접 여부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어 항공기 화물로 운송된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에서의 대기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고, 캐리어의 임의동작 또는 임의개방이 실시간으로 알려지거나 또는 차후에 알려질 수 있어 캐리어의 파손, 분실, 임의개방 여부가 즉각 파악됨으로써 이에 대한 후속조치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고 무선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어 동작 여부가 감지되며 감지된 동작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송신되는 동작 감지센서와, 상기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동작 감지센서의 작동과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신호의 송신이 제어되는 컨트롤러와,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사용자에게 휴대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신호와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된 상기 동작 감지센서의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탑재되되,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동 되고 상기 무선통신부의 무선신호 수신여부 또는 수신강도를 기초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근접 여부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하며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신호를 기초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탈취시도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PORTABLE TERMINAL INTERACTION TYPE MONITORING SYSTEM OF TRAVEL CARRIER AND MONITORING METHOD}
개시된 내용은 항공기로 운송되는 여행용 캐리어(carrier)를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에 설치된 컨베이어에서 쉽게 찾을 수 있고, 분실, 도난과 같은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를 탑승하는 여행자는 캐리어(carrier)를 휴대하게 되는데, 이 캐리어는 기내 반입이 가능한 사이즈일 경우 탑승석 상부에 마련된 수납칸 내에 수납되고, 기내반입이 불가한 사이즈일 경우 항공기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화물칸에 수용된 상태로 이용해 운송된다.
화물칸을 통해 운송된 캐리어는 항공기 도착 후 다른 승객의 캐리어와 함께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에 설치된 무한궤도 방식의 컨베이어벨트로 올려지고, 본인의 캐리어가 나오는지를 기다렸다가 확인하여 찾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화물칸을 통해 운송된 캐리어는 나오는 순서와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아 본인의 캐리어가 컨베이어에 올려질 때까지 대기선 밖에서 계속 지켜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동일한 디자인의 캐리어가 있을 수 있고, 불손한 의도를 갖는 타인에 의해서 캐리어가 탈취당하는 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출국 수속 전 또는 입국 수속 후 공항 시설 이용시 잠시 캐리어를 인근에 놓아두고 전화를 사용하거나 화장실을 이용하거나 또는 식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용자 모르게 타인에 의해 캐리어가 파손되거나 탈취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항공기 화물로 캐리어가 운송될 때 추가로 보안검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세관검사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캐리어가 임의로 개방될 수 있다. 캐리어의 개방 여부는 별도의 스티커와 같은 표식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보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이를 즉시 알아차리지 못할 경우 물품의 분실이나 파손 또는 추가 관세 부가 여부 등의 문제를 뒤늦게 알게 되어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5-0002795호(2015.07.15)
2. 한국 특허공개 제10-2016-0024888호(2016.03.07)
3. 한국 특허등록 제10-0817594호(2008.03.21)
캐리어와, 캐리어 사용자에게 휴대 되는 휴대단말기의 근접 여부가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임의 동작이나 개방이 실시간 또는 차후에 확인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항공기 화물로 운송된 캐리어를 쉽게 찾을 수 있음은 물론 충격에 의한 파손, 분실, 임의개방 여부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덮개가 구비되며 무선통신모듈, 동작 감지센서, 컨트롤러, 신호증폭기, 임의개방 감지센서가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 여행용 캐리어와, 상기 무선통신모듈, 동작 감지센서 및 임의개방 감지센서의 신호가 수신되는 무선통신부과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여행용 캐리어의 근접여부, 임의동작 여부, 임의개방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신호가 출력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여행용 캐리어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여행용 캐리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로 무선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여부나 수신강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근접 여부 또는 타인의 임의사용 여부가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로 알려주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캐리어(carrier)에 설치된 무선통신모듈과 센서 그리고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캐리어의 근접 여부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어 항공기 화물로 운송된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에서의 대기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캐리어의 임의동작 또는 임의개방이 실시간으로 알려지거나 또는 차후에 알려질 수 있어 캐리어의 파손, 분실, 임의개방 여부가 즉각 파악됨으로써 이에 대한 후속조치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1과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블럭 구성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은,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고 무선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어 동작 여부가 감지되며 감지된 동작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송신되는 동작 감지센서와, 상기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동작 감지센서의 작동과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신호의 송신이 제어되는 컨트롤러와,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사용자에게 휴대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신호와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된 상기 동작 감지센서의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탑재되되,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동 되고 상기 무선통신부의 무선신호 수신여부 또는 수신강도를 기초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근접 여부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하며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신호를 기초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탈취시도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부재와 그 연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여행용 캐리어(160)에는 무선통신모듈(110)이 설치되는데, 이 무선통신모듈(110)은 추후에 설명될 휴대단말기(210)의 무선통신부(220)와 무선통신 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무선통신모듈(110)이 무선통신부(220)와 통신 되는 목적은, 첫째로 여행용 캐리어(160)의 근접 여부에 대한 판단에 관련된다. 여행용 캐리어(160)가 항공기 화물칸에서 꺼내어지면 다수의 캐리어와 함께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에 설치된 무한궤도 방식의 컨베이어벨트 위에 올려진다. 이때 사용자는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가 무선통신부(220)로 수신되는지의 여부, 또는 무선통신모듈(110)과 무선통신부(220) 간의 페어링(pairring) 감도의 세기로 사용자와 여행용 캐리어(160) 사이의 근접 여부에 대한 알림신호를 휴대단말기(210)로부터 받게 된다.
그리고 둘째는 추후에 설명될 동작 감지센서(120)와 임의개방 감지센서(150)의 감지신호를 무선통신부(220)로 송신하는 것이다. 동작 감지센서(120)와 임의개방 감지센서(150)는 임의동작 및 임의개방이 감지될 뿐 이에 따른 신호의 송수신은 불가하다. 따라서 무선통신모듈(110)은 각각의 센서와 유, 무선 형태로 접속되어 센서들의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신호를 무선통신부(22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110)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근거리(short range)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인 블루투스(Bluetooth)인 것으로 하되, 이 외에도 다양한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무선통신모듈(110)에는 신호 증폭기(140)가 더 설치되는데, 전술한 신호 증폭기(140)는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의 송신 범위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신호 증폭기(140)는 무선통신모듈(110)에서 무선통신부(220)로의 무선신호 송신이 불가한 경우에 자동으로 작동되게 세팅되어 있어,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무선통신부(220)로의 신호 송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신호 증폭기(140)는 종래기술에 따른 증폭기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여행용 캐리어(160)는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16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설치되며 적어도 한 곳 이상에는 파지 손잡이가 구비된다. 또한 덮개(161)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전체 재질은 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수지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여행용 캐리어(160)는 수납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개시된 내용에서는 여행용 캐리어(160)가 항공기 화물칸을 통해서 운송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기내 반입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무선통신모듈(110)이 설치된 여행용 캐리어(160)에는 동작 감지센서(120)가 설치된다. 동작 감지센서(120)는 여행용 캐리어(160)의 동작 여부가 감지되는 역할을 하는데 감지된 동작신호는 무선통신모듈(110)로 송신된다.
즉, 사용자가 휴대중이던 여행용 캐리어(160)를 인근에 놓아두고 화장실 이용하거나, 전화기 사용하거나 또는 식당을 이용하는 경우 동작 감지센서(120)에 의해서 여행용 캐리어(160)의 이동, 쓰러짐, 충격 등 모든 동작이 감지된다.
감지된 신호는 무선통신모듈(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이에 대한 대응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감지센서(120)는 가속도센서(gravity sensor; G-sensor)인 것으로 하되, 이 외에도 임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동작 감지센서(120)가 설치된 여행용 캐리어(160)에는 컨트롤러(130)가 설치된다. 컨트롤러(130)는 무선통신모듈(110) 및 동작 감지센서(120)의 작동과, 동작 감지센서(120)에서 감지된 동작신호의 송신이 제어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130)는, 무선통신모듈(110)과 동작 감지센서(120)에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제공되는 배터리(131)와,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여행용 캐리어(160)의 근접 여부에 대한 무선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탑승모드와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여행용 캐리어(160)의 탈취시도에 대한 동작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안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모드 스위치(132)와,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신호와 무선통신모듈(110)로 수신된 동작 감지센서(120)의 동작신호가 무선통신부(220)로 송신되지 못할 경우 해당 데이터가 처리되는 제어모듈(133)이 포함된다.
전술한 배터리(131)는 교체 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131)가 사용된다. 교체 가능한 배터리(131)의 경우 다양한 크기의 건전지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충전 가능한 배터리(131)의 경우 USB 커넥터가 구비된 충전 포트, 또는 220V용 커넥터가 구비된 충전 포트 등 어떠한 것으로든 충전 가능하다.
그리고 모드 스위치(132)는 전원의 인가 여부가 제어됨과 동시에 탑승모드와 안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게 하여 이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탑승모드로 선택된 경우 무선통신모듈(110)에서는 무선통신부(220)로 무선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안전모드가 선택된 경우 무선통신모듈(110)에서는 동작 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된 동작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동작신호는 무선통신부(220)로 송신된다.
탑승모드에서는 여행용 캐리어(160)의 임의 동작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안전모드에서는 여행용 캐리어(160)의 근접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탑승모드 및 안전모드가 동시에 선택되어 여행용 캐리어(160)의 임의 동작과 근접 여부에 대한 판단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모듈(133)은 통신이 불가한 상황에서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무선통신부(220)로 송신되어야 할 무선신호가 처리된다. 이와 같은 제어모듈(133)은 무선통신부(220)로 송신되지 못한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신호와 동작 감지센서(120)의 동작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수신이 가능해질 때 해당 데이터의 재송신이 수행되는 메모리(133a)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간이 메모리(133a)에 함께 저장되게 하는 타이머(133b)와,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가 메모리(133a)에 함께 저장되게 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133c)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여행용 캐리어(160)와 사용자가 무선통신이 불가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거나 휴대단말기(210)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그것이다. 즉, 탑승모드에서 여행용 캐리어(160)가 사용자에게 근접되었으나 통신불가의 상태라면 해당 무선신호는 메모리(133a)에 그 시간과 장소와 함께 저장되었다가 추후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무선통신부(220)로 재송신된다. 또한 안전모드에서 여행용 캐리어(160)가 임의로 이동되었거나 충격이 가해졌으나 통신불가의 상태라면 마찬가지로 해당 무선신호는 메모리(133a)에 그 시간과 장소와 함께 저장되었다가 추후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무선통신부(220)로 송신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무선통신모듈(110), 동작 감지센서(120) 및 컨트롤러(130)와 추후에 설명될 임의개방 감지센서(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용 캐리어(160)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니터링 유닛(100)의 형태로 일체화되어 여행용 캐리어(16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유닛(100)의 형태로 일체화된 경우 캐리어 외에 서류가방, 배낭 등 다양한 가방에 설치 또는 수납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여행용 캐리어(160)의 사용자에게 휴대 된 휴대단말기(210)에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된다. 이러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은 여행용 캐리어(160)의 근접 여부 또는 타인에 의한 탈취 시도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 즉시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휴대단말기(210)는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것으로 하되, 이 외에도 스마트워치(smart watch), 태블릿피씨(tablet PC)와 같은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된 휴대단말기(210)에는 무선통신모듈(110)과 무선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부(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220)는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신호와 무선통신모듈(110)로 수신된 동작 감지센서(120)의 동작신호가 수신된다. 또한 무선통신부(220)는 무선통신모듈(110)과 무선통신 가능한 것으로, 무선통신모듈(11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페어링(pairring) 된다.
무선통신부(220)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과 연동 된다. 따라서 무선통신부(220)에는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신호와 무선통신모듈(110)로 수신된 동작 감지센서(120)의 동작신호가 수신되며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에 의해 후속조치가 실행된다.
즉, 무선통신모듈(110)에서 송신된 무선신호가 무선통신부(220)로 수신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무선통신부(220)와 무선통신모듈(110) 간 수신강도를 기초로 여행용 캐리어(160)의 근접신호가 파악되면, 무선통신부(220)와 연동 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에서 소정의 알림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알림신호는 알림음, 진동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이다.
또한 동작 감지센서(120)로부터 감지된 동작신호가 무선통신모듈(110)로 송신되고 이 신호가 무선통신부(220)로 수신되면 이를 기초로 여행용 캐리어(160)의 탈취 시도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알림신호는 마찬가지로 알림음, 진동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이다.
한편 전술한 여행용 캐리어(160)에는 임의개방 감지센서(150)가 더 설치된다. 임의개방 감지센서(150)는 여행용 캐리어(160)에 대한 덮개(161)의 임의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임의개방 감지센서(150)는 여행용 캐리어(160)와 덮개(161)의 측면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여행용 캐리어(160)와 덮개(161)의 인접 여부가 감지될 수 있는 근접센서이다. 또는 여행용 캐리어(160) 내에 설치되고 덮개(161)의 개방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량이 감지되는 조도센서일 수도 있다.
전술한 조도센서의 경우 구성부재와 함께 여행용 캐리어(160)에 내장될 수도 있고, 모니터링 유닛(100)의 형태로 일체화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근접센서의 경우 조도센서와 달리 여행용 캐리어(160)와 덮개(161)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구성부재와 함께 내장될 경우에는 무방하지만, 모니터링 유닛(100)의 형태로 일체화된 경우에는 모니터링 유닛(100)에서 분리된 형태로 여행용 캐리어(160)와 덮개(161)의 인접 부위에 설치되며 해당 감지신호가 모니터링 유닛(100)으로 무선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개방 감지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임의개방신호는 무선통신모듈(110)로 송신된다. 또한 무선통신모듈(110)에 수신된 임의개방신호는 무선통신부(220)로 송신되어 전술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에 의해 임의개방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전술한 임의개방신호가 무선통신부(220)로 송신되지 못할 경우 제어모듈(133)에 저장되었다가 메모리(133a)에 의해서 무선통신부(220)로 재송신된다.
이러한 임의개방 감지센서(150)는 배터리(131)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제공되고, 모드 스위치(132)가 탑승모드로 선택된 경우와 안전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모두 활성화된다.
이처럼 임의개방 감지센서(150)는 여행용 캐리어(160)가 임의로 개방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공기 화물로 운송되는 여행용 캐리어(160)가 보안검색 또는 세관조사시 임의로 개봉된 적이 있는지 알 수 있어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여행용 캐리어(160)가 사용자 인근에서 사용자 모르게 개봉될 시에 이를 즉시 알 수 있어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임의개방 감지센서(150)는 탑승모드와 안전모드에서 모두 실행됨에 따라 여행용 캐리어(160)가 임의로 개방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항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임의개방에 대한 무선신호가 무선통신부(220)로 실시간 수신되지 못해 메모리(133a)로 저장되었다가 재송신되는 경우 해당 무선신호가 발생 된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정보 또한 타이머(133b)와 GPS(133c)에 의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 따른 순서도가 도시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여행용 캐리어에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링 유닛(100)을 설치하는 단계(S101)와, 상기 여행용 캐리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S103)와, 상기 모니터링 유닛(100)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로 무선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단계(S105)와, 상기 모니터링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여부나 수신강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근접 여부 또는 타인의 임의사용 여부가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로 알려주는 단계(S107)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의 단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각각의 구성부재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다.
먼저, 여행용 캐리어(160)에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링 유닛(100)을 설치하는 단계(S101)에 대해 설명한다.
여행에 사용되는 여행용 캐리어(160)에 무선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모니터링 유닛(100)을 설치한다. 모니터링 유닛(100)은 그 구성부재가 여행용 캐리어(160)에 작동 가능하게 내장된 내장형일 수도 있고, 사용중인 캐리어 또는 가방에 탈부착 가능한 일체형일 수도 있다. 내장형인 경우 여행용 캐리어(16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체형일 경우 여행용 캐리어(160) 외에 서류가방이나 배낭 등 각종 가방에 수용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유닛(100)에는 무선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모듈(110)과, 여행용 캐리어(160)가 타인에 의해 임의로 사용될 경우 그 동작이 감지되는 동작 감지센서(120)와, 무선통신모듈(110) 및 동작 감지센서(120)가 제어되는 컨트롤러(130)가 포함된다.
무선통신모듈(110)은 추후에 설명될 휴대단말기(210)의 무선통신부(220)와 무선통신 된다. 이는 여행용 캐리어(160)가 사용자에게 근접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기 위한 것이다. 즉, 무선통신모듈(110)의 무선신호가 무선통신부(220)로 수신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무선통신모듈(110)과 무선통신부(220)가 페어링 되는 감도의 세기를 근거로 여행용 캐리어(160)의 근접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는 모니터링 유닛(100)이 사용 중일 때 항시 발생 된다.
그리고 동작 감지센서(120)는 여행용 캐리어(160)의 이동, 쓰러짐, 충격이 감지되며 감지된 동작신호는 컨트롤러(130)로 송신된다. 동작 감지센서(120)로는 여행용 캐리어(160)의 동작이 감지될 수 있는 가속도센서(gravity sensor; G-sensor)가 사용된다. 송신된 동작신호는 무선통신 가능한 상황에서는 무선통신모듈(110)에 의해 휴대단말기(210)로 실시간 전송된다. 또한 무선통신 불가한 상황에서는 컨트롤러(130) 내에 저장되었다가 추후에 사용자에게 재전송된다. 그리고 동작 감지센서(120)에서의 동작감지는 모니터링 유닛(100)이 사용 중일 때 상시 이루어진다.
무선통신모듈(110)의 사용과 동작 감지센서(120)의 사용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모드 선택은 모니터링 유닛(100)에 구비된 스위치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행용 캐리어(160)가 비행기 화물로 운송될 시에는 무선통신모듈(110)이 활성화되고 사용자 인근에서 사용될 때에는 동작 감지센서(120)가 활성화된다. 이 외에도 모니터링 유닛(100)에는 여행용 캐리어(160)의 덮개(161)가 임의로 회동 되는지가 감지되는 임의개방 감지센서(150) 등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여행용 캐리어(160) 사용자의 휴대단말기(210)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S103)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여행용 캐리어(16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휴대단말기(210)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을 다운로드 받는다.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은 모니터링 유닛(100)이 설치된 캐리어 구매시 또는 모니터링 유닛(100) 구매시 제공된 시리얼 넘버를 이용해 제조사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 또는 유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다운로드 받은 후 휴대단말기(210) 내에서 즉시 실행되지 않으며, 모니터링 유닛(100)으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대기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다운로드 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은 휴대단말기(210)의 무선통신부(220)와 연동 된다.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은 모니터링 유닛(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소정의 알림신호가 출력된다. 알림신호는 알림음, 진동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여행용 캐리어(160)가 근접되었거나 타인에 의한 임의사용이 감지되면 알림음, 진동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그 사실이 사용자에게 인지된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유닛(100)으로부터 휴대단말기(210)로 무선신호가 송신되면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이 활성화되는 단계(S105)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니터링 유닛(100)의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최초로 무선신호가 송신되면 휴대단말기(210)에 다운로드 되어 대기상태인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이 로딩되면서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서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은 모니터링 유닛(100)과 무선통신이 가능해진다.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는 무선통신 가능한 상황에서만 무선통신부(220)로 수신이 가능하다. 무선통신모듈(110)과 무선통신부(220)는 블루투스 모듈에 의해 상호 무선통신 되며 일정 거리 이내에서만 페어링 된다. 이때 무선통신 거리를 확장시키기 모니터링 유닛(100)에 별도의 신호 증폭기(140)가 더 실치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유닛(100)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여부나 수신 강도를 근거로 하여 여행용 캐리어(160)의 근접 여부 또는 타인의 임의사용 여부가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로 알려주는 단계(S107)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여행용 캐리어(160)의 근접 여부가 감지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행용 캐리어(160)가 공항의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에 설치된 컨베이어 위에 놓여져 이동되다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210)와 근접되면 여행용 캐리어(160)에 구비된 모니터링 유닛(100)의 무선통신모듈(110)과 휴대단말기(210)의 무선통신부(220)가 상호 패어링 된다.
양측이 접속되면 무선통신모듈(110)로부터 소정의 무선신호가 송신되고, 이를 수신받은 무선통신모듈(110)은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을 통해 알림신호로 사용자에게 즉시 이 사실을 알려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베이어에서 본인의 여행용 캐리어(160)를 손쉽게 찾을 수 있어 대기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타인의 여행용 캐리어(160)와 본인의 여행용 캐리어(160)가 바뀌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여행용 캐리어(160)가 타인에 의해 임의사용되는지의 여부가 감지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여행용 캐리어(160)는 사용자와 인접된 거리에 위치되며 모니터링 유닛(100)의 무선통신모듈(110)과 사용자에게 휴대 된 휴대단말기(210)의 무선통신부(220)는 상호 패어링 된 상태이다.
사용자 인근에 위치된 여행용 캐리어(160)가 타인에 의해 임의로 사용되면 동작 감지센서(120)에 의해 그 동작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 감지된 신호는 즉시 모니터링 유닛(100)으로 송신되고 이를 수신받은 무선통신모듈(110)은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20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준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여행용 캐리어(160)가 타인에게 도난당하거나 쓰러지거나 충격을 받아 파손되는 것이 즉각 파악될 수 있어 신속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다. 만약 모니터링 유닛(100)의 무선통신모듈(110)과 휴대단말기(210)의 무선통신부(220)가 상호 패어링 된 상태가 아니거나 신호 송수신 상태가 불량하다면 해당 신호는 모니터링 유닛(100)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황에서 재송신된다. 재송신된 신호에는 여행용 캐리어(160)의 동작신호가 발생 된 시간과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후속조치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니터링 유닛(100)에는 시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타이머(133b)와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GPS(133c)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의하면 캐리어 사용자에게 휴대 된 휴대단말기에 근접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캐리어를 찾기 위한 수하물 찾는 곳(baggage claim)에서의 대기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캐리어의 임의 동작이나 개방이 실시간 또는 차후에 확인될 수 있게 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파손, 분실, 임의개방 여부가 파악될 수 있어 이에 적잘한 후속조치가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모니터링 유닛
110 : 무선통신모듈
120 : 동작 감지센서
130 : 컨트롤러
131 : 배터리
132 : 모드 스위치
133 : 제어모듈
133a : 메모리
133b : 타이머
133c : GPS
140 : 신호 증폭기
150 : 임의개방 감지센서
160 : 여행용 캐리어
161 : 덮개
200 :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
210 : 휴대단말기
220 : 무선통신부

Claims (11)

  1.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고 무선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어 동작 여부가 감지되며 감지된 동작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송신되는 동작 감지센서;
    상기 여행용 캐리어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동작 감지센서의 작동과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신호의 송신이 제어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사용자에게 휴대 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신호와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된 상기 동작 감지센서의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에 탑재되되, 상기 무선통신부와 연동 되고 상기 무선통신부의 무선신호 수신 여부 또는 수신강도를 기초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근접 여부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하며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신호를 기초로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탈취시도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동작 감지센서에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제공되는 배터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근접 여부에 대한 무선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탑승모드와 상기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탈취시도에 대한 동작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안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는 모드 스위치;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신호와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수신된 상기 동작 감지센서의 동작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로 송신되지 못할 경우 해당 데이터가 처리되는 제어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통신부로 송신되지 못한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무선신호와 상기 동작 감지센서의 동작신호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수신이 가능해질 때 해당 데이터의 재송신이 수행되는 메모리;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간이 상기 메모리에 함께 저장되게 하는 타이머; 및
    상기 데이터가 저장된 장소가 상기 메모리에 함께 저장되게 하는 GPS;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센서는 가속도센서(gravity sensor; G-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여행용 캐리어에는 상기 여행용 캐리어 덮개의 임의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임의개방 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 동작 감지센서, 컨트롤러 및 임의개방 감지센서는 여행용 캐리어에 내장되거나, 모니터링 유닛의 형태로 일체화되어 여행용 캐리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임의개방 감지센서는 상기 여행용 캐리어와 상기 덮개의 측면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여행용 캐리어와 상기 덮개의 인접 여부가 감지되는 근접센서이거나, 또는 상기 여행용 캐리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개방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량이 감지되는 조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임의개방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임의개방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송신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수신된 상기 임의개방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부로 송신되어 상기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임의개방에 대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되, 임의개방신호가 상기 무선통신부로 송신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모듈에 저장되었다가 상기 무선통신부로 재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임의개방 감지센서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전원이 제공되고, 상기 모드 스위치가 탑승모드로 선택된 경우와 안전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알림신호는 알림음, 진동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11. 여행용 캐리어에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링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S101);
    상기 여행용 캐리어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S103);
    상기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로 무선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단계(S105); 및
    상기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의 수신 여부나 수신강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여행용 캐리어의 근접 여부 또는 타인의 임의사용 여부가 감지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로 알려주는 단계(S107);가 포함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038272A 2016-03-30 2016-03-30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11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272A KR20170111943A (ko) 2016-03-30 2016-03-30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272A KR20170111943A (ko) 2016-03-30 2016-03-30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730A Division KR20180021759A (ko) 2018-02-14 2018-02-14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943A true KR20170111943A (ko) 2017-10-12

Family

ID=6014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272A KR20170111943A (ko) 2016-03-30 2016-03-30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9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81Y1 (ko) 2018-07-09 2019-01-21 신상민 여행용 캐리어
KR102228760B1 (ko) * 2020-02-26 2021-03-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KR20220164647A (ko) 2021-06-05 2022-12-13 정지성 태양광 충전 블랙박스 헬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81Y1 (ko) 2018-07-09 2019-01-21 신상민 여행용 캐리어
KR102228760B1 (ko) * 2020-02-26 2021-03-16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가방 도난방지 시스템
KR20220164647A (ko) 2021-06-05 2022-12-13 정지성 태양광 충전 블랙박스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83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products via unmanned aerial vehicles
US10974695B2 (en) Notification system
US108253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finding and anti-theft protecting an object of interest
US20190066032A1 (en) Robotic Vehicle Item Delivery Security System
US20170232930A1 (en) System for remotely opening a land-vehicle door
US10395455B2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land vehicle door wherein hand-held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of the system communicate via inductive coupling
US20150279131A1 (en) Key fob and smartdevice gestures for vehicle functions
US201303211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irplane container tracking
KR20170111943A (ko)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JP5956355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3269023A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
WO2013130727A1 (en) An air-cushioned bag with electro-mechanical devices fof safely and securely transporting objects
KR20180021759A (ko) 휴대단말기 연동형 여행용 캐리어 모니터링 시스템
JP2015098679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WO2017029162A1 (en) Vehicle based system for managing personal items
CN109429171A (zh) 物体探测
JP6673873B2 (ja) 忘れ物防止装置
JP5263585B2 (ja) 物品保管設備
JP5956527B2 (ja) 外出時の携帯端末装置の置き忘れ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JP5257662B2 (ja) 物品保管設備
JP2007286906A (ja) 車両における忘れ物防止システム
KR20200099520A (ko) 여행 가방 탐색 시스템, 태그
JP2016091273A (ja) 物品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0693153B (zh) 智能行李箱、智能行李系统及具有读取功能的供电模块
JP7152102B2 (ja) 配送監視装置、配送管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