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282B1 -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 - Google Patents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282B1
KR101431282B1 KR1020087031522A KR20087031522A KR101431282B1 KR 101431282 B1 KR101431282 B1 KR 101431282B1 KR 1020087031522 A KR1020087031522 A KR 1020087031522A KR 20087031522 A KR20087031522 A KR 20087031522A KR 101431282 B1 KR101431282 B1 KR 101431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hydrogen
acid
alkyl
se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361A (ko
Inventor
토마스 암만
스테판 괴최
베른트 테른
잔드라 벨츠
클라우스-위르겐 볼터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09002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in s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06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of peptides containing derivatised side chain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6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using protecting groups or activa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6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using protecting groups or activating agents
    • C07K1/061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using protecting groups or activating agents using protecting groups
    • C07K1/065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using protecting groups or activating agents using protecting groups for hydroxy functions, not being part of carboxy fun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008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6017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606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heteroatoms not provided for by C07K5/06086 - C07K5/06139, e.g. Ser, Met, Cys, Thr
    • C07K5/06069Ser-amino ac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아미노산 유도체로부터 출발하여 하기 화학식 I의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3단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89195127-pct00025
화학식 II
Figure 112008089195127-pct00026
상기 식에서,
R1은 알파 아미노산의 측쇄이고,
R2는 아미노 보호 기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5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상기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는 Ser, Thr 및 Cys을 위한 가역적인 보호기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펩타이드 화학에서의 다목적 도구가 된다.

Description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PSEUDO PROLINE DIPEPTIDE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신규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1
상기 화학식 I의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는 Ser, Thr 및 Cys을 위한 가역적인 보호기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펩타이드 화학에서의 일부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임이 판명되었다(문헌[JACS 1996, 118, 9218-9227] 참조). 펩타이드 서열 내에 ψPro가 존재하면, 분자간 응집의 근원으로 간주되는 β-시트 구조의 붕괴가 야기된다. Fmoc 고상 펩타이드 합성과 같은 펩타이드 어셈블리(assembly)에서의 증가된 용매화 및 커플링 역학은 특히, "어려운 서열(difficult sequence)"을 함유하는 펩타이드의 쇄 연장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짧고 기술적으로 실행가능하며, 임의의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단계 없이 생성물을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화학식 I의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의 합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기재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알파 아미노산의 측쇄이고,
R2는 아미노 보호 기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5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a) 하기 화학식 II의 아미노산 유도체를 세린 또는 트레오닌과 함께 전환시키고, 후속적으로, 생성된 다이펩타이드를 하기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으로서 결정화시키는 단계: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3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4
[상기 식에서,
R1, R2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단, R6, R7 및 R8이 모두 수소는 아니다],
(b) 산의 존재 하에, 상기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으로부터 유리산을 방출시키고, 추출에 의해 아민을 제거하는 단계, 및
(c) 산 촉매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IVa, IVb 및 IVc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하여 폐환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5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6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7
[상기 식에서,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단, R3 및 R4가 모두 수소는 아니고,
R9a 및 R9b는 독립적으로, C1-4-알킬이고,
R10은 C1-4-알킬, C1-4-알카노일 또는 아릴이고,
R11은 수소 또는 C1-3-알킬이다].
또한, 상기 세린 또는 트레오닌은 L-구조 또는 D-구조의 라세미체 또는 이의 이성질체의 다양한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L-구조가 사용된다.
"C1-4-알킬"이라는 용어는, 탄소수 1 내지 4의 분지형 또는 직쇄형 1가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또한, 이 용어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아 이소프로필, n-부틸, 2급-부틸 및 3급-부틸의 라디칼로서 예시될 수 있다.
"C3-7-사이클로알킬"이라는 용어는, 탄소수 3 내지 7의 사이클로알킬 기,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사이클로헵틸을 지칭한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임의로 할로겐, 하이드록시, CN, CF3, NO2, NH2, N(H, 알킬), N(알킬)2, 카복시, 아미노카본일, 알킬, 알콕시, 아릴 및/또는 아릴옥시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는 페닐 또는 나프틸 기, 바람직하게는 페닐 기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아릴기는 페닐기이다.
"알카노일"이라는 용어는, C1-4-알킬 카본일 기, 예를 들어 아세틸, n-프로파노일, 아이소프로파노일, n-부타노일, 2급-부타노일 및 3급-부타노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을 지칭한다.
R1에 사용되는 "아미노산의 측쇄"라는 용어는 특히,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글루탐산, 히스티딘, 라이신, 아르기닌, 아스파트산,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글라이신, 아미노아이소부티르산 및 프롤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파 아미노산의 측쇄를 지칭한다.
하이드록시 기를 수반하는 아미노산의 측쇄에서는, 하기 정의되는 바와 같은 하이드록시 보호 기로 상기 하이드록시 기가 임의로 보호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추가적인 아미노기를 수반하는 측쇄에서는, 하기 정의되는 아미노 보호 기로 상기 아미노 기가 임의로 보호된다.
R1은 바람직하게는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 페닐알라닌, 아시파라긴, 글루타민, 글루탐산, 라이신, 아스파트산,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의 측쇄를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린 및 트레오닌이다.
"아미노 보호 기"라는 용어는, 아미노 기의 반응성을 방해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치환기를 지칭한다. 적합한 아미노 보호 기는 문헌[Green T.,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Chapter 7, John Wiley and Sons, Inc., 1991, 309-385]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아미노 보호 기는 Fmoc, Cbz, Moz, Boc, Troc, Teoc 또는 Voc이다. 바람직한 아미노 보호 기는 Fmoc이다.
"하이드록시 보호 기"라는 용어는, 하이드록시 기의 반응성을 방해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치환기를 지칭한다. 적합한 하이드록시 보호기는 문헌[Green T.,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Chapter 1, John Wiley and Sons, Inc., 1991, 10-142]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하이드록시 보호 기는 3급-부틸, 벤질, TBDMS 또는 TBDPS이다. 바람직한 하이드록시 보호 기는 3급-부틸이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범위에 사용되는 약어의 의미는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Fmoc 9-플루오렌일메톡시카본일-
Boc 3급-부톡시카본일-
Cbz 카보벤질옥시
Z 벤질옥시카본일
tBU 3급-부틸
Moz p-메톡시벤질옥시카본일
Troc 2,2,2-트라이클로로에톡시카본일
Teoc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카본일
Voc 비닐옥시카본일
TBDMS 3급-부틸다이메틸실릴 에터
TBDPS 3급-부틸다이페닐실릴 에터
HBTU O-벤조트라이아졸 N,N,N',N'-테트라메틸-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OBt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HOSu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EDC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에틸-카보다이이미드(염산염)
DIC N,N'-다이아이소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
DCC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
단계 (a)
맨 처음 단계 (a)에서는, 하기 화학식 II의 아미노산 유도체를 세린 또는 트레오닌과 반응시키고, 생성된 다이펩타이드를 하기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으로서 결정화시킨다:
화학식 II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8
화학식 III
Figure 112008089195127-pct00009
상기 식에서, R1, R2, R5, R6, R7 및 R8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화학식 II의 아미노산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화합물이다. 바람직 한 R1 및 R2에 따른 화학식 II의 적합한 아미노산 유도체는 Fmoc-L-Ser(tBu)-OH 또는 Fmoc-L-Thr(tBu)-OH이다.
세린 또는 트레오닌과 커플링되기 전에, 화학식 II의 아미노산 유도체는 활성화제를 사용하여 편의상 활성화될 수 있다.
적합한 활성화제는 DIC/HOSu, DIC/펜타플루오로페놀, DIC/HOBt, DCC/HOSu, DCC/펜타플루오로페놀, DCC/HOBt, EDC(xHCl)/HOSu 및 HBTU/HOBt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커플링제는 DIC/HOSu이다. 화학식 I의 아미노산 유도체의 1당량에 대해, DIC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1.4 당량으로 사용되고, HOSu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1.8 당량으로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활성화 반응은 적합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톤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의 존재 하에, -5℃ 내지 25℃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이어서, 세린 또는 트레오닌, 바람직하게는 L-세린 또는 L-트레오닌과의 커플링은 10℃ 내지 30℃의 온도에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이들과 물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용매는 아세톤과 물의 혼합물이다.
세린 또는 트레오닌 대 화학식 II의 아미노산 유도체의 비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3.0 : 1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1이다. 상기 반응 혼합물의 pH는 편의상 7.5 내지 9.0의 값으로 설정된다.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의 형성은, 미리 형성된 다이펩타이드에 하기 화학식 V의 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수행된다.
Figure 112008089195127-pct00010
상기 식에서,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단, R6, R7 및 R8이 모두 수소는 아니다.
적합한 화학식 V의 아민은, 식에서 R6,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에틸 및 사이클로헥실로부터 선택되고, 단 R6, R7 및 R8이 모두 수소는 아닌 것이다. 사이클로헥실아민,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 및 트라이에틸아민이 바람직한 아민이고,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이 가장 바람직한 화학식 V의 아민이다. 상기 결정화는 통상적으로 적합한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저급 알코올(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또는 아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한 용매는 에탄올이다.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은 전술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이다.
바람직한 암모늄 염은 R1 및 R2가 전술한 바와 같고, R5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6이 수소이고, R7 및 R8이 사이클로헥실인 화학식 III의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염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다:
(a) R1은 O-tBu 보호된 L-세린 측쇄를 나타내고, R2는 Fmoc이고, R5는 H이고, R6은 수소이고, R7 및 R8은 사이클로헥실이다.
(b) R1은 O-tBu 보호된 L-세린 측쇄를 나타내고, R2는 Fmoc이고, R5는 메틸이고, R6은 수소이고, R7 및 R8은 사이클로헥실이다.
(c) R1은 O-tBu 보호된 L-트레오닌 측쇄를 나타내고, R2는 Fmoc이고, R5는 H이고, R6은 수소이고, R7 및 R8은 사이클로헥실이다.
(d) R1은 O-tBu 보호된 L-트레오닌 측쇄를 나타내고, R2는 Fmoc이고, R5는 메틸이고, R6은 수소이고, R7 및 R8은 사이클로헥실이다.
단계 (b)
후속적인 단계 (b)에서, 산의 존재 하에, 다이펩타이드의 유리산이 방출되고, 양성자화된 화학식 V의 아민이 추출에 의해 제거된다. 특히, 무기산의 존재 하에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의 유리산이 방출되어 유기 용매중에 흡수되고, 물 및/또는 무기 염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추출에 의해 상기 아민이 제거된다.
적합한 무기산은 황산 수용액 또는 HCl 수용액이고, 바람직하게는 황산 수용액이다.
상기 유리산을 흡수하기에 적합한 유기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3급-부틸 메틸 에터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3급-부틸 메틸 에터가 바람직한 용매로 밝혀졌다.
상기 아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상기 유리산을 함유하는 유기 상은 통상적으로 물 및/또는 무기 염(예컨대, 염화 나트륨)의 수용액으로 수회 세척된다.
단계 (c)
단계 (c)에서는, 상기 단계 (b)에서 수득된 다이펩타이드의 유리산의 폐환반응이 산 촉매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IVa, IVb 및 IVc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화학식 IVa
Figure 112008089195127-pct00011
화학식 IVb
Figure 112008089195127-pct00012
화학식 IVc
Figure 112008089195127-pct00013
상기 식에서,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단, R3 및 R4가 모두 수소는 아니고,
R9a 및 R9b는 독립적으로 C1-4-알킬이고,
R10은 C1-4-알킬, C1-4-알카노일 또는 아릴이고,
R11은 수소 또는 C1-3-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환반응이 화학식 IVa의 화합물 및 화학식 IVc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이 2,2-다이메톡시프로판, 2-메톡시프로펜 및 2-아세톡시프로펜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2,2-다이메톡시프로판이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이상적으로는, 화학식 IV의 화합물이 상기 단계 (b)에서 수득된 다이펩타이드에 대해 6.0 내지 16.0 당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당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산 촉매는 메탄 설폰산, (+) 캄포-10-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메탄 설폰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 촉매는 일반적으로 상기 단계 (b)에서 수득된 다이펩타이드에 대해 0.05 내지 0.30 당량,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20 당량의 양으로 적용된다.
상기 폐환반응은 유기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톨루엔의 존재 하에,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서 환류 온도에서 수행된다.
표적 생성물의 단리 및 후처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1
기계적 교반기, Pt-100 온도계, 환류 응축기, 적가 깔대기 및 질소 주입구가 구비된 이중 자켓형 1000 mL 유리 반응기에 25 g(64.9 mmol)의 Fmoc-L-Ser(tBu)-OH(1), 9.66 g(83.1 mmol)의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및 18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충전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0℃로 냉각시켰다. 2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10.49 g(83.1 mmol)의 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 용액을 15분 이내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에서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샘플링하였다. 감압 하에(약 220 mbar) 최대 50℃의 자켓 온도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35℃ 내지 40℃의 내부 온도에서 잔사를 250 mL의 아세톤으로 처리하고, 20℃로 냉각시키고, 13.5 mL의 물로 처리하였다. 1.0 mL의 1M HCl을 사용하여 pH를 2 내지 3으로 설정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샘플링하였다. 이어서, 현탁액을 -5℃ 내지 0℃로 냉각시키고,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반응기 및 필터를 50 mL의 차가운 아세톤(0℃)으로 세척하였다. 물 중의 13.57 g(127.8 mmol)의 L-세린 및 13.63 g(257 mmol)의 탄산 나트륨의 용액에 투명하고 무색의 여액을 20℃에서 60분 이내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샘플링하였다. 28 g의 HCl(37%)을 사용하여 pH를 2 내지 3으로 설정하고, 감압 하에(250 mbar 미만) 최대 50℃의 자켓 온도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35℃ 내지 40℃에서 125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처리하고, 생성된 투명한 2상 용액을 20℃로 냉각시켰다. 상기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총 25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총 225 mL의 NaCl 수용액(10 중량%)으로 3회 세척하였다. 생성된 유기 용액을 농축시키고, 감압 하에 최대 50℃의 자켓 온도에서 용매를 거의 완전히 제거하였다. 잔사를 250 mL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약 170 mbar) 최대 50℃의 자켓 온도에서 용매의 일부(75 mL)를 다시 제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62.5 mL의 에탄올로 처리하고, 20℃로 냉각시켰다. 118 mL의 에탄올 중의 11.83 g(63.9 mmol)의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의 약 20%(약 29.5 mL) 용액을 첨가하였다. 생성물이 침전하기 시작할 때, 혼합물을 시딩(seeding)하였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후속적으로 다이사이클로헥실 아민 용액의 나머지를 적어도 2시간 이내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적가 깔대기를 25 mL의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4시간 내에 내부 온도를 0℃까지 낮춘 다음, 상기 현탁액을 이 온도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흡인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117.5 mL의 차가운 에탄올(0℃)을 사용하여 세척하고, 진공 하에(50℃, 20 mbar) 건조하여 35.7 g의 (S,S)-2-[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염(3)((S)-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산으로부터 출발하여 82%의 수율, HPLC에 기초하여 96.8 중량%의 순도)을 무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순수한 (S,S)-2-[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염(3)의 외부 표준물을 사용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HPLC 조건은 하기와 같다: 컬럼 엑스브리지(Column XBridge) C18(물), 4.6×150 mm, 3.5 ㎛; UV 검출 206 nm; 구배용 용액: 물(A), pH 2.5의 20 mM KH2PO4-완충액(B), 아세토나이트릴(C); 유동 1.0 mL/분; 20℃.
구배:
Figure 112008089195127-pct00014
체류 시간:
(S,S)-2-[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염(3): 8.4분,
Fmoc-L-Ser(tBu)-OH(1): 11.6 분.
이러한 HPLC-방법으로 화합물 3의 유리산의 분석을 위한 값을 수득하였다. 이 값으로부터, 상응하는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염의 분석을 계산하였으며, 유리산 대 다이사이클로헥실 암모늄의 화학양론적 비는 1:1로 가정하였다.
도데칸을 내부 표준물로 사용한 GC 분석을 이용하여 다이사이클로헥실 아민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GC 조건: 실리카 융합된 칼럼, 100% 폴리다이메틸실록산, 1 ㎛, L = 15 m, ID = 0.25 mm; 운반 기체 수소, 압력 = 53 kPa, 선속도 = 73 cm/초, 분리 비 = 1:100.
온도 프로그램:
Figure 112008089195127-pct00015
체류 시간:
도데칸: 4.10 분,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 4.90 분.
실시예 2
기계적 교반기, Pt-100 온도계, 환류 응축기, 면 필터를 갖는 적가 깔대기 및 질소 주입구가 구비된 이중 자켓형 500 mL 유리 반응기에 25 g(37.0 mmol)의 (S,S)-2-[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염(3), 100 mL의 3급-부틸 메틸 에터, 및 44.3 mL의 물 중의 4.70 g의 황산(96%) 용액을 충전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실온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 상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총 76 mL의 염화 나트륨 수용액(0.5 중량%)으로 2회 세척하고, 38 mL의 물로 다시 세척하였다. 감압 하에(500 내지 100 mbar) 50℃의 자켓 온도에서 유기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거품성 잔사를 10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500 내지 100 mbar) 50℃의 자켓 온도에서 용매를 다시 완전히 제거하였다. 잔사를 450 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투명한 용액을 35.4 g(333 mmol)의 2,2-다이메톡시 프로판 및 0.65 g(6.7 mmol)의 메탄설폰산으로 처리하였다. 증류액을 73 g의 분자 체(0.4 nm)로 되돌리면서, 혼합물을 환류 하에 85℃의 자켓 온도에서 가열하였다. 16시간 후, 연황색 용액을 20℃로 냉각시키고, 샘플링하고, 혼합물을 0.828 g(8.14 mmol)의 트라이에틸아민으로 처리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350 내지 100 mbar) 50℃의 자켓 온도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잔사를 100 mL의 3급-부틸 메틸 에터로 처리하고, 감압 하에(350 내지 100 mbar) 50℃의 자켓 온도에서 다시 완전히 농축시켰다. 잔사를 175 mL의 3급-부틸 메틸 에터에 용해시키고, 20℃ 내지 25℃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을 87.5 mL의 물로 처리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들을 분리하고, 감압 하에(350 내지 100 mbar) 50℃의 자켓 온도에서 유기 상을 완전히 농축시켰다. 거품성 잔사를 100 mL의 3급-부틸 메틸 에터에 용해시키고, 감압 하에(350 내지 100 mbar) 50℃의 자켓 온도에서 완전히 농축시켰다. 총 200 mL의 3급-부틸 메틸 에터를 사용하여 이 단계를 2회 반복하였다. 20℃ 내지 25℃에서 잔사를 45.2 mL의 3급-부틸 메틸 에터에 용해시키고, 226 mL의 아이소프로판올로 처리하였다. 이 온도에서, 상기 용액을 175 mL의 펜탄으로 처리하고, 시딩하고, 이어서 적어도 15분 동안 계속 교반하고, 다시 200 mL의 펜탄을 사용하여 1시간 이내에 천천히 처리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4 내지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1 내지 2 시간 이내에 0℃로 냉각시키고, 이 온도에서 추가로 2시간 동안 다시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흡인으로 여과하고, 총 60 mL의 차가운 펜탄(0℃)을 두 분획으로 사용하여 필터 케이크를 세척하고, 감압 하에(50℃, 20 mbar) 건조하여 14.3 g의 (S,S)-3-[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2,2-다이메틸-옥사졸리딘-4-카복실산(4)((S,S)-2-[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염으로부터 출발하여 75%의 수율, HPLC에 기초하여 98.7 중량%의 순도)을 무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순수한 (S,S)-3-[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2,2-다이메틸-옥사졸리딘-4-카복실산(4)을 외부 표준물로 사용하여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HPLC 조건은 하기와 같다: 컬럼 엑스브리지 C18(물), 4.6× 150 mm, 3.5 ㎛; UV 검출 206 nm; 구배용 용액: 물(A), pH 2.5의 20 mM KH2PO4-완충액(B), 아세토나이트릴(C); 유동 1.0 mL/분; 20℃.
구배:
Figure 112008089195127-pct00016
체류 시간:
(S,S)-3-[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2,2-다이메틸-옥사졸리딘-4-카복실산(4): 7.3 분,
(S,S)-2-[3-3급-부톡시-2-(9H-플루오렌-9-일메톡시카본일아미노)-프로피온일-아미노]-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다이사이클로헥실-암모늄 염(3): 3.0 분,
Fmoc-L-Ser(tBu)-OH(1): 5.6 분.

Claims (18)

  1. (a) 하기 화학식 II의 아미노산 유도체를 세린 또는 트레오닌과 함께 전환시키고, 생성된 다이펩타이드를 하기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으로서 결정화시키는 단계:
    화학식 II
    Figure 112014006587892-pct00017
    화학식 III
    Figure 112014006587892-pct00018
    [상기 식에서,
    R1은 알파 아미노산의 측쇄이고,
    R2는 아미노 보호 기이고,
    R5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단, R6, R7 및 R8이 모두 수소는 아니다]
    (b) 산의 존재 하에, 상기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으로부터 유리산을 방출시키고 추출에 의해 아민을 제거하는 단계; 및
    (c) 산 촉매의 존재 하에, 하기 화학식 IVa, IVb 및 IVc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하여 폐환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화학식 IVa
    Figure 112014006587892-pct00019
    화학식 IVb
    Figure 112014006587892-pct00020
    화학식 IVc
    Figure 112014006587892-pct00021
    [상기 식에서,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단, R3 및 R4가 모두 수소는 아니고,
    R9a 및 R9b는 독립적으로 C1-4-알킬이고,
    R10은 C1-4-알킬, C1-4-알카노일 또는 아릴이고,
    R11은 수소 또는 C1-3-알킬이다]
    를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14006587892-pct00022
    [상기 식에서,
    R1, R2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및 C1-4-알킬로부터 선택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글루탐산, 히스티딘, 라이신, 아르기닌, 아스파트산,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글라이신, 아미노아이소부티르산 및 프롤린으로부터 선택된 측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R2가 Fmoc, Cbz, Moz, Boc, Troc, Teoc 및 Voc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학식 II의 아미노산 유도체가 세린 또는 트레오닌과의 커플링 전에 활성화제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활성화제가 DIC/HOSu, DIC/펜타플루오로페놀, DIC/HOBt, DCC/HOSu, DCC/펜타플루오로페놀, DCC/HOBt, EDC(xHCl)/HOSu 및 HBTU/HOBt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활성화제가 DIC/HOSu인,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세린 또는 트레오닌 대 화학식 I의 아미노산 유도체의 비가 1.5 내지 3.0 : 1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이펩타이드에 하기 화학식 V의 아민을 첨가함으로써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V
    Figure 112012044759028-pct00023
    상기 식에서,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C1-4-알킬 및 C3-7-사이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단, R6, R7 및 R8이 모두 수소는 아니다.
  9. 제 8 항에 있어서,
    R6,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에틸 및 사이클로헥실로부터 선택되고, 단, R6, R7 및 R8이 모두 수소는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결정화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으로부터 선택된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화학식 III의 암모늄 염의 유리산이 무기산의 존재 하에 방출되어 유기 용매 중에 흡수되고, 물 및/또는 무기 염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추출에 의해 아민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폐환반응이 2,2-다이메톡시프로판, 2-메톡시프로펜 또는 2-아세톡시프로펜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폐환반응이 2,2-다이메톡시프로판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폐환반응을 위한 산성 촉매가 메탄 설폰산, (+) 캄포-10-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및 피리디늄 p-톨루엔설포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 및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환반응이 유기 용매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087031522A 2006-06-28 2007-06-18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 KR101431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6238 2006-06-28
EP06116238.4 2006-06-28
PCT/EP2007/055988 WO2008000641A1 (en) 2006-06-28 2007-06-18 Pseudo proline dipept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361A KR20090021361A (ko) 2009-03-03
KR101431282B1 true KR101431282B1 (ko) 2014-08-20

Family

ID=3834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522A KR101431282B1 (ko) 2006-06-28 2007-06-18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612209B2 (ko)
EP (1) EP2038295B1 (ko)
JP (1) JP5292289B2 (ko)
KR (1) KR101431282B1 (ko)
CN (1) CN101472939B (ko)
AT (1) ATE497966T1 (ko)
AU (1) AU2007263805B2 (ko)
BR (1) BRPI0713065B1 (ko)
CA (1) CA2654914C (ko)
DE (1) DE602007012436D1 (ko)
IL (1) IL195657A (ko)
MX (1) MX2008015723A (ko)
TW (1) TWI383995B (ko)
WO (1) WO2008000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3815B2 (en) 2008-10-07 2012-04-10 Hoffman-La Roche Inc. Pseudoproline dipeptides
CN103159845B (zh) * 2013-03-26 2015-03-18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合成阿肽地尔的方法
CN107176970B (zh) * 2017-07-06 2019-11-19 中国医药集团总公司四川抗菌素工业研究所 一种树脂催化法合成伪脯氨酸杂环肽的方法
CN108395469A (zh) * 2018-02-01 2018-08-14 滨海吉尔多肽有限公司 一种假脯氨酸二肽的合成方法
CN109836476A (zh) * 2019-03-20 2019-06-04 吉尔生化(上海)有限公司 一种半胱氨酸假脯氨酸二肽的合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4334A1 (en) 1985-01-18 1986-07-31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Immunoregulatory peptid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1502A (ja) * 1985-01-18 1987-06-18 イミユーンテツク・フアーマシユーテイカルズ 免疫調節性ペプチド
DK0536671T3 (da) * 1991-10-07 1996-08-12 Hoechst Ag Carboxylsyreester-beskyttelsesgrupper, en fremgangsmåde til deres fremstilling, kobling til funktionelle grupper samt deres anvendel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6004334A1 (en) 1985-01-18 1986-07-31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Immunoregulatory peptid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m. Chem. Soc., Vol. 118, No. 39, pp. 9218-9227 (1996.10.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41412A (ja) 2009-11-26
US7612209B2 (en) 2009-11-03
BRPI0713065B1 (pt) 2015-07-21
US20080004451A1 (en) 2008-01-03
TWI383995B (zh) 2013-02-01
AU2007263805B2 (en) 2012-03-08
KR20090021361A (ko) 2009-03-03
WO2008000641A1 (en) 2008-01-03
EP2038295B1 (en) 2011-02-09
JP5292289B2 (ja) 2013-09-18
TW200808831A (en) 2008-02-16
IL195657A0 (en) 2011-08-01
CA2654914C (en) 2015-03-31
CN101472939A (zh) 2009-07-01
CN101472939B (zh) 2012-10-10
AU2007263805A1 (en) 2008-01-03
MX2008015723A (es) 2008-12-19
ATE497966T1 (de) 2011-02-15
IL195657A (en) 2014-02-27
CA2654914A1 (en) 2008-01-03
EP2038295A1 (en) 2009-03-25
DE602007012436D1 (de) 2011-03-24
BRPI0713065A2 (pt) 2012-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40467B2 (en) Peptide nucleic acid (PNA) monomers with an orthogonally protected ester moiety
KR101431282B1 (ko) 슈도 프롤린 다이펩타이드
EP2344516B1 (en) Pseudoproline dipeptides
EP3932899A1 (en) Method for producing peptide compound, protecting group-forming reagent, and fus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compound
CZ286877B6 (cs) Redukční aminace aminokyseliny nebo derivátu aminokyseliny alfa-ketokyselinou nebo derivátem alfa-ketokyseliny
EP3061753A1 (en)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non-natural amino acids
ES2359527T3 (es) Dipéptidos de la pseudoprolina.
RU236369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ериндопри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траметилурониевых солей в качестве реагентов реакции сочетания
EP4269423A1 (en) Method for producing peptide, reagent for forming protective group, and fused polycyclic compound
JPH09255666A (ja) ピペラジンアミド化合物及びピペラジンアミド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