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216B1 - 축과 레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축과 레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216B1
KR101431216B1 KR1020080075254A KR20080075254A KR101431216B1 KR 101431216 B1 KR101431216 B1 KR 101431216B1 KR 1020080075254 A KR1020080075254 A KR 1020080075254A KR 20080075254 A KR20080075254 A KR 20080075254A KR 101431216 B1 KR101431216 B1 KR 101431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eg
engaging
connecting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642A (ko
Inventor
석상식
황의만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2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과 레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축(50)의 일측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키이(52)가 형성되고, 축(50)의 타측 외면에는 체결홈(54)이 형성된다. 레버(56)에는 상기 축(50)이 삽입되는 축통공(62)이 구비된 연결부(6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60)와 일체로 동작되는 구동부(5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60)의 축통공(62)에는 상기 축(50)의 삽입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체결홈(54)에 걸어져 상기 축(50)이 상기 연결부(60)에 고정되게 하는 결합레그(6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레그(68)에는 상기 축(50)이 연결부(60)의 축통공(6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레그(68)의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결합안내면(70)의 시작점과 상기 결합레그(68)가 연결부(60)에 연결되는 기저부(68')사이가 상기 결합레그(68)의 길이방향 연장선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레그(68)에 축(50)에 의해 힘이 작용할 때, 응력이 분산되어 결합레그(68)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축, 레버, 연결, 체결

Description

축과 레버 연결장치{Shaft and lever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축과 레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의 구동에 의해 레버가 동작되도록 하는 축과 레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축과 레버 연결장치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구동력을 작용하는 축(10)은 대략 봉형상이다. 상기 축(1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키이(12)가 형성된다. 상기 축(10)에서 상기 키이(12)가 형성된 반대쪽 면에는 체결홈(14)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레버(16)는 상기 축(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16)의 선단에는 구동부(18)가 구비되어, 예를 들면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온오프를 위한 부분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16)의 타단에는 연결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중앙을 관통하여 축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축통공(22)에는 상기 축(10)의 키이(12)가 삽입되는 키이홈(24)이 형성된다.
상기 키이홈(24)이 형성된 반대쪽에 해당되는 축통공(22)의 내면을 관통하여서는 개구부(26)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26)에는 결합레그(2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레그(28)는 상기 축(10)이 상기 연결부(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레그(28)는 상기 개구부(26)의 내면에서 연결부(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연결부(2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레그(28) 또한 상기 연결부(20)에 일체로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레그(28)는 상기 개구부(26)의 내면에서 연결부(20)와 연결되는 기저부(28')에서부터 시작해서 결합안내면(30)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30)은 상기 결합레그(28)의 선단을 향해 갈수록 상기 축통공(22)의 중앙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그(28)의 선단이 상기 축(10)의 체결홈(14)에 안착되어 상기 축(10)이 연결부(2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결합레그(28)는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저부(28')에서부터 결합안내면(30)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10)을 상기 축통공(22)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축(10)의 선단이 결합안내면(30)에 닿는 순간부터 결합레그(28)에 힘이 작용하면서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결합안내면(30)은 상기 기저부(28')에서 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상기 축(10)의 삽입에 따른 응력이 상기 결합레그(28)에 작용하게 되면, 결합레그(28)의 기저부(28')를 따라, 즉, 도 1의 확대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선을 따라 파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단이 일어나는 것은 상기 축(10)의 삽입과정에서 축(10)의 중심과 축통공(22)의 중심이 정 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상기 결합레그(28)쪽으로 치우친 경우에 주로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결합레그(28)의 결합안내면(30)이 기저부(28')에서 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결합안내면(30)이 형성된 반대쪽 부분의 기저부(28')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응력집중에 의해 상기 결합레그(28)는 어느 정도 손상이 되었다가 상기 축(10)의 구동을 위한 힘이 작용할 때 상기 결합레그(28)를 손상시키는 방향 성분의 힘이 있게 되면 결국에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축과 레버의 결합을 위한 결합레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키이가 형성되고 외면 타측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축과,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통공이 구비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동작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레버와, 상기 연결부의 축통공에 구비되어 상기 축의 삽입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체결홈에 걸어져 상기 축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게 하는 결합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이 연결부의 축통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레그의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결합안내면의 시작점과 상기 결합레그가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저부사이가 상기 결합레그의 길이방향 연장선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그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개구부 내면에서 상기 축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데, 상기 결합레그의 선단은 축의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결합레그에 형성된 결합안내면은 결합레그의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축 통공의 중심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축과 레버 결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축과 레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레그를 축의 삽입에 의해 탄성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는 부분과 결합레그의 기저부를 서로 이격되게 형성하여 축의 삽입에 따른 응력을 결합레그의 탄성변형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축과 레버의 결합이 보다 오랜동안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축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축과 레버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축과 레버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이 우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축(50)은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조작시키는 부분으로, 사용자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50)이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56)의 구동 부(58)가 접점부(도시되지 않음)를 이동시켜 온오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축(50)은 대략 봉형상이다. 상기 축(5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게 키이(52)가 형성된다. 상기 축(50)에서 상기 키이(52)가 형성된 반대쪽 면에는 체결홈(54)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레버(56)는 상기 축(5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레버(56)의 선단에는 구동부(58)가 구비되어, 예를 들면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온오프를 위한 부분을 접점부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버(56)의 타단에는 연결부(6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60)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중앙을 관통하여 축통공(62)이 형성된다. 상기 축통공(62)에는 상기 축(50)의 키이(52)가 삽입되는 키이홈(64)이 형성된다.
상기 키이홈(64)이 형성된 반대쪽에 해당되는 축통공(62)의 내면을 관통하여서는 개구부(66)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66)에는 결합레그(6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레그(68)는 상기 축(50)이 상기 연결부(6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레그(68)는 상기 개구부(66)의 내면에서 연결부(60)에 일체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연결부(6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레그(68) 또한 상기 연결부(60)와 동일한 재질이고,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레그(68)는 상기 개구부(66)의 내면에서 연결부(60)와 연결되는 기저부(68')에서 시작해서 선단의 자유단부까지 길게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레그(68)는 상기 축(5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즉, 결합레그(68)의 선단이 상기 축(50)의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레그(68)에는 상기 축(50)이 축통공(62)에 삽입될 때, 결합레그(68)가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결합안내면(7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안내면(70)은 상기 결합레그(68)의 선단을 향해 갈수록 상기 축통공(62)의 중앙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그(68)의 선단이 상기 축(50)의 체결홈(54)에 안착되어 상기 축(50)이 연결부(6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결합레그(6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생각할 때, 상기 결합안내면(70)의 시작 위치는 상기 기저부(68')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축(50)이 축통공(6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저부(68')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결합안내면(70)에 축(50)이 안내되기 시작하면, 결합레그(68)가 탄성변형되기 시작하는데, 상기 기저부(68')와 결합안내면(70)의 시작 위치 사이의 결합레그(68)의 부분이 탄성변형되고, 상기 기저부(68')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축과 레버 결합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축(50)과 레버(56)의 조립과정부터 설명한다. 상기 축(50)은 상기 레버(56)의 연결부(60)에 형성된 축통공(62)에 삽입되는데, 먼저, 상기 키이홈(64)에 상기 축(50)의 키이(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50)을 상기 연결부(60)의 축통공(62) 입구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축(50)을 상기 축통공(62)의 내부로 삽입한다. 상기 축(5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축(50)의 선단 외면이 상기 결합안내면(7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결합레그(68)가 상기 개구부(66)를 통해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축(50)이 계속 축통공(62)의 내부로 삽입됨에 의해 체결홈(54)이 상기 결합레그(68)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결합레그(68)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도 2의 상태로 된다. 즉, 상기 결합레그(68)가 상기 체결홈(54)에 위치됨에 의해 상기 축(50)이 연결부(60)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축(50)이 상기 결합레그(68)에 의해 상기 연결부(60)에 연결되면, 상기 축(50)의 회전은 상기 구동부(58)의 회전을 만들어낸다. 여기서, 상기 레버(56)와 축(50)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레버(56)의 연결부(20)에 형성된 키이홈(24)에 상기 축(50)의 키이(52)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결합레그(68)가 상기 축(50)의 체결홈(54)에 안착되어 있어, 이들도 상기 축(50)과 레버(56)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축(50)이 상기 축통공(62)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축(50)에 의해 결합레그(68)가 탄성변형되도록 힘이 작용할 때, 상기 결합레그(68)는 상기 기저부(68')와 결합안내면(70)의 시작점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 축(50)에 의해 결합레그(68)에 작용하는 힘의 위치와 응력집중이 일어나는 기저부(68')의 위치가 달라 힘이 분산되어 작용되므로 결합레그(68)의 어느 일점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져 결합레그(68)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 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축과 레버연결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과 레버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축 52: 키이
54: 체결홈 56: 레버
58: 구동부 60: 연결부
62: 축통공 64: 키이홈
66: 개구부 68: 결합레그
70: 결합안내면

Claims (3)

  1. 외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키이가 형성되고 외면 타측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축과,
    상기 축이 삽입되는 축통공이 구비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동작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레버와,
    상기 연결부의 축통공에 구비되어 상기 축의 삽입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체결홈에 걸어져 상기 축이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게 하는 결합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축이 연결부의 축통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레그의 탄성변형을 유도하는 결합안내면의 시작점과 상기 결합레그가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저부사이가 상기 결합레그의 길이방향 연장선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과 레버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그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개구부 내면에서 상기 축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데, 상기 결합레그의 선단은 축의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과 레버연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그에 형성된 결합안내면은 결합레그의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축통공의 중심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과 레버연결장치.
KR1020080075254A 2008-07-31 2008-07-31 축과 레버 연결장치 KR101431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4A KR101431216B1 (ko) 2008-07-31 2008-07-31 축과 레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254A KR101431216B1 (ko) 2008-07-31 2008-07-31 축과 레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42A KR20100013642A (ko) 2010-02-10
KR101431216B1 true KR101431216B1 (ko) 2014-08-19

Family

ID=4208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254A KR101431216B1 (ko) 2008-07-31 2008-07-31 축과 레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2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974A (ja) * 1993-03-24 1994-10-07 Michiyuki Nedachi 操作ノブの取付構造
JPH09134647A (ja) * 1995-11-09 1997-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レバー
JPH10255593A (ja) * 1997-03-14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車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2000057906A (ja) 1998-07-31 2000-02-25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974A (ja) * 1993-03-24 1994-10-07 Michiyuki Nedachi 操作ノブの取付構造
JPH09134647A (ja) * 1995-11-09 1997-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レバー
JPH10255593A (ja) * 1997-03-14 199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車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JP2000057906A (ja) 1998-07-31 2000-02-25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642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454B2 (en) Fastener
US20080217488A1 (en) Device for Retaining at Least One Elongate Object
JP5374789B2 (ja) プラスチック製ブラインドリベット
JP2013542571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EA2002010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оеди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конца иглы для подкожных инъекций от оконечности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инъекций
US9724108B2 (en) Sleeve clamp
US7488134B2 (en) Coupling structure of shaft body and shaft joint
JP2004505661A (ja) 骨折における骨の断片の固定のための固定手段装置
WO2019123063A1 (en) Compliant pin with multiple engagement sections
KR101431216B1 (ko) 축과 레버 연결장치
US7216472B1 (en) Guiding shaft structure for chain connector
WO2009019999A1 (ja) 掘削工具
JP2006226471A (ja) クリップ
JP6581478B6 (ja) 線ばねの抜け止め具、レール締結装置
KR960706212A (ko) 전기 커넥터 및 고정 부재(Electrical Connector and Affixing Member)
JP4519046B2 (ja) 間接活線作業用締結補助具
KR200165836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구조물
JP5492645B2 (ja) トリガースイッチ
JP6479986B2 (ja) 取付ペグ
KR200372950Y1 (ko) 분할핀
KR20090007390U (ko) 마그네틱 기어 고정 슬리브
JP5840484B2 (ja) クリップ
WO2007007404A1 (ja) プランジャー位置設定用セットピン及び同セットピンを用いたテンショナ装置
JP5212645B2 (ja) ランプソケット
JP5973259B2 (ja) 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