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890B1 -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890B1
KR101430890B1 KR1020137010057A KR20137010057A KR101430890B1 KR 101430890 B1 KR101430890 B1 KR 101430890B1 KR 1020137010057 A KR1020137010057 A KR 1020137010057A KR 20137010057 A KR20137010057 A KR 20137010057A KR 101430890 B1 KR101430890 B1 KR 101430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meth
protective film
film
acryl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358A (ko
Inventor
요우이치로우 스기노
츠요시 지바
츠토무 하니
나오키 도모구치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2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32B2307/7145Rot proof, resistant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 그러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가 박리되기 어려운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 그러한 편광판을 사용한 고품위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다.

Description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그 편광판을 적어도 1 장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는, 그 화상 형성 방식으로부터 액정 패널 표면을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에 편광판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부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은 내습열성이 충분하지 않아,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편광판을 고온 또는 고습하에서 사용하면, 편광도나 색상 등의 편광판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은 경사 방향의 입사광에 대해 위상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위상차는,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현저하게 시야각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있다.
내열성과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알려져 있고,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사용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참조). 그러나,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필름화한 경우에 필름 표면 부근에 취약층이 발생하기 쉽다. 이 취약층의 존재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자와 접착한 경우에 접착성을 충분히 발현할 수 없어,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가 박리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56714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5805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1)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 (2) 그러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가 박리되기 어려운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 (3) 그러한 편광판을 사용한 고품위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포층의 두께가 0.005㎛ ∼ 3㎛ 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와 (메타)아크릴계 수지 (B) 가 동일한 종류의 수지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이, 용융 압출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포층이,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용제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도공액을 도포하여 얻어지는 도포층이다.
본 발명의 별도의 국면에 의하면 편광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방의 면측으로서 도포층을 갖는 면측에 편광자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포층과 편광자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도포층과 접착제층 사이에 접착 용이층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반대의 면측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외층의 적어도 일방으로서 점착제층을 추가로 갖는다.
본 발명의 별도의 국면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적어도 1 장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종래의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에서는, 필름화한 경우에 필름 표면 부근에 취약층이 발생하기 쉬워, 편광자와의 접착성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그 (메타)아크릴계 수지와 동종 또는 이종의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고, 편광자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가 박리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편광판을 사용한 고품위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자 보호 필름]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을 포함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와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는, 상이한 종류의 수지이어도 되고, 동일한 종류의 수지이어도 된다. 수지끼리의 상용성 면이나,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와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는 동일한 종류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B) 는 각각, 1 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B) 로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1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 (유리 전이 온도) 가 115℃ 이상인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함으로써,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편광판에 편입시킨 경우에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기 쉽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B) 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아크릴산 C1 -6 알킬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아크릴산 C1 -6 알킬계 수지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B) 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온사 제조의 아크리펫 VH 나 아크리펫 VRL20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0296호에 기재된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 Tg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B) 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4534호 등에 기재된 글루타르산 무수물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 중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A)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A) 의 함유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본래 갖는 고내열성, 고투명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을 우려가 있고, 99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 중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B)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7 중량% 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B) 의 함유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메타)아크릴계 수지가 본래 갖는 고내열성, 고투명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을 우려가 있고, 99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 중이나,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 중에는 각각, 임의의 적절한 그 밖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일반적인 배합제, 예를 들어 안정제, 활제, 가공 보조제, 가소제, 내충격 보조제, 위상차 저감제, 광택 제거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광학 특성으로서, 정면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의 크기가 문제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중에는, 위상차 저감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 중이나,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 중에, 위상차 저감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저감제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공중합체 등 스티렌 함유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위상차 저감제의 첨가량으로는, 편광자 보호 필름 중의 (메타)아크릴계 수지 (A), (B) 의 총량에 대해, 3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이다. 이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한 경우, 가시광선을 산란시키거나 투명성을 해치기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의 특성이 결핍될 우려가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의 두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 ∼ 1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80㎛ 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05㎛ ∼ 3㎛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2㎛ 이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두께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 2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1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140㎛ 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가 20㎛ 이상이면, 적당한 강도, 강성을 가져, 라미네이트나 인쇄 등의 2 차 가공시에 취급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빼낼 때의 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도 제어가 용이하여, 안정적이면서 또한 용이하게 필름 제조를 실시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두께가 200㎛ 이하이면, 필름 권취가 용이해지는 것 외에, 라인 속도, 생산성, 그리고 컨트롤성이 용이해진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은, 종연신 및/또는 횡연신에 의해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종연신 및/또는 횡연신에 의해 연신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여, 생산성이나 리워크성이 향상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연신은, 종연신만에 의한 연신 (자유단 1 축 연신) 이어도 되고, 횡연신만에 의한 연신 (고정단 1 축 연신) 이어도 되는데, 종연신 배율이 1.1 ∼ 3.0 배, 횡연신 배율이 1.1 ∼ 3.0 배인, 축차 연신 또는 동시 2 축 연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연신만에 의한 연신 (자유단 1 축 연신) 이나 횡연신만에 의한 연신 (고정단 1 축 연신) 에서는, 연신 방향으로만 필름 강도가 높아지고, 연신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는 강도가 높아지지 않아, 필름 전체적으로 충분한 필름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종연신 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2.5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2.0 배이다. 상기 횡연신 배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2.5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 2.5 배이다. 종연신 배율, 횡연신 배율이 1.1 배 미만인 경우, 연신 배율이 지나치게 낮아, 연신의 효과가 거의 없을 우려가 있다. 종연신 배율, 횡연신 배율이 3.0 배를 초과하면, 필름 단면의 평활성의 문제에 의해 연신 중단이 발생하기 쉽다.
상기 연신 온도는, 연신시키는 필름의 Tg ∼ (Tg + 30℃) 가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 온도가 Tg 보다 낮으면 필름이 파단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연신 온도가 (Tg + 30℃) 를 초과하면, 필름이 용융되기 시작하여 통지 (通紙) 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은, 용융 압출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은, 압출시의 필름 표면 부근과 필름 내부의 온도차에서 기인하여 필름 표면 부근에 취약층이 형성되기 쉬우므로,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 발현되기 때문이다.
상기 용융 압출에 의해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는 T 다이에 연결한 압출기에 원료가 되는 수지 조성물을 공급하고, 용융 혼련 후, 압출, 수랭시켜 빼내어,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압출기의 스크루 타입은 단축 또는 2 축이어도 되고, 가소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용융 압출의 온도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원료가 되는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 (℃) 로 한 경우, (Tg + 80)℃ ∼ (Tg + 180)℃ 가 바람직하고, (Tg + 100)℃ ∼ (Tg + 1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수지의 유동성이 없어, 성형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압출 성형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수지 점도가 낮아져, 성형물의 두께 불균일 등의 생산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용제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도공액을 도포하여 얻어지는 도포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n-아밀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알코올, 디이소부틸케톤, 메틸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락트산에틸, 락트산부틸, 벤조산에틸, 아세토아세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옥소란, 디옥산, 메틸셀로솔브, 메틸카르비톨 등의 에테르류,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에스테르류, 테트라히드로푸란, 푸르푸랄 등의 푸란류, 빙초산 등의 산류,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디클로라이드, 테트라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 탄화수소류, 니트로메탄, 니트로에탄, 피리딘, 디메틸포름아미드, 니트로벤젠 등의 질소 화합물,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폰산류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포 후의 건조를 고려하면, 휘발되기 쉬운 용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비점이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은, 상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용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포층에 상기 용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는, 예를 들어 자연 건조나 강제 건조에 의해 용제가 휘발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상기 도포의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바 방식, 닥터 블레이드 방식, 침지 방식 등의 코팅 방식으로 도공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 자연스럽게 또는 강제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제의 사용량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B) 의 종류에 따라, 그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용해시킬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양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도공액의 도포량은, 형성되는 도포층의 두께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양이면, 임의의 적절한 도포량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을 가지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의 일방의 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예를 들어 임의의 적절한 다른 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두께 80㎛ 에 있어서의 YI 가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두께 80㎛ 에 있어서의 YI 가 1.3 을 초과하면, 우수한 광학적 투명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YI 는 예를 들어 고속 적분구식 분광 투과율 측정기 (상품명 DOT-3C :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를 이용하여,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색의 3 자극값 (X, Y, Z) 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YI = [(1.28X - 1.06Z)/Y] × 100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두께 80㎛ 에 있어서의 b 값 (헌터의 표색계에 준한 색상의 척도) 이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b 값이 1.5 이상인 경우, 필름의 착색에 의해 우수한 광학적 투명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b 값은 예를 들어 편광자 보호 필름 샘플을 가로세로 3㎝ 로 재단하고, 고속 적분구식 분광 투과율 측정기 (상품명 DOT-3C :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를 이용하여 색상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색상을 헌터의 표색계에 준하여 b 값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면내 위상차 Δnd 가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상기 면내 위상차 Δnd 가 3.0㎚ 를 초과하면, 우수한 광학적 특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가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가 5.0㎚ 를 초과하면, 우수한 광학적 특성이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투습도가 바람직하게는 100g/㎡·24h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g/㎡·24hr 이하이다. 상기 투습도가 100g/㎡·24hr 를 초과하면, 내습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도 갖는다. 인장 강도는, MD 방향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65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N/㎟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N/㎟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N/㎟ 이상이고, TD 방향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45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N/㎟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N/㎟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N/㎟ 이상이다. 인장 신장은, MD 방향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고, TD 방향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이상이다. 인장 강도 혹은 인장 신장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가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광학적 투명성을 나타내는 헤이즈가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헤이즈가 5% 이하이면, 필름에 양호한 클리어감을 시각적으로 부여할 수 있고, 또한 1.5% 이하로 하면, 창 등의 채광 부재로서 사용하였을 때에도 시인성과 채광성이 모두 얻어지기 때문에, 또한 표시 장치의 전면판으로서 사용하였을 때에도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공업적 이용 가치가 높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 보호의 용도 이외에도, 예를 들어 창이나 카포트 지붕재 등의 건축용 채광 부재, 창 등의 차량용 채광 부재, 온실 등의 농업용 채광 부재, 조명 부재, 전면 (前面) 필터 등의 디스플레이 부재 등에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종래부터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피복되었던 가전의 케이싱, 차량 내장 부재, 내장용 건축 재료, 벽지, 화장판, 현관문, 창틀, 주춧돌 등에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방의 면측으로서 도포층을 갖는 면측에 편광자를 갖는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31) 의 일방의 면이, 접착제층 (32) 및 접착 용이층 (33) 을 통해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34) 의 상기 도포층을 갖는 면측에 접착되어 이루어지고, 편광자 (31) 의 다른 일방의 면이, 접착제층 (35) 을 통해 편광자 보호 필름 (36) 에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 (36) 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어도 되고, 별도의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어도 된다. 편광자 보호 필름 (36) 은,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투명성,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80㎛ 이다.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물질 (대표적으로는 요오드, 이색성 염료) 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 ∼ 4000 이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어 수지를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유연 (流延) 성막하는 유연법, 캐스트법, 압출법) 으로 성형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편광판이 사용되는 LCD 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5 ∼ 80㎛ 이다.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는, 목적, 사용 재료 및 조건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제조 공정에 제공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건조 공정을 제외한 각 처리 공정에 있어서는, 각각의 공정에 사용되는 용액을 포함하는 욕 중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킴으로써 처리를 실시한다.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의 각 처리의 차례, 횟수 및 실시의 유무는, 목적, 사용 재료 및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 가지의 처리를 하나의 공정에서 동시에 실시해도 되고, 특정한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연신 처리는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 처리 전에 실시해도 되고, 팽윤 처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와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가교 처리를 연신 처리 전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세 처리는 모든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특정한 처리 후에만 실시해도 된다.
팽윤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물로 채운 처리욕 (팽윤욕)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이 처리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함과 함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불균일 등의 불균일성을 방지할 수 있다. 팽윤욕에는, 글리세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이 적절히 첨가될 수 있다. 팽윤욕의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20 ∼ 60℃ 정도이고, 팽윤욕에 대한 침지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0.1 ∼ 10 분 정도이다.
염색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욕 (염색욕)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염색욕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적당량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이색성 물질은,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대표적으로는 0.1 ∼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염색욕의 용액은 요오드화물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 효율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보조제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2 ∼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요오드화바륨,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주석, 요오드화티탄을 들 수 있다. 염색욕의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20 ∼ 70℃ 정도이고, 염색욕에 대한 침지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 ∼ 20 분 정도이다.
가교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염색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처리욕 (가교욕)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된다. 가교제로는,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가 채용될 수 있다. 가교제의 구체예로는, 붕산,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가교욕의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적당량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가교제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대표적으로는 1 ∼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가교제의 농도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가교제의 농도가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신시에 필름에 발생하는 연신력이 커져, 얻어지는 편광판이 수축되는 경우가 있다. 가교욕의 용액은, 요오드화물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내에 균일한 특성이 얻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보조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5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8 중량% 이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는, 염색 공정의 경우와 동일하다. 가교욕의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20 ∼ 70℃ 정도, 바람직하게는 40 ∼ 60℃ 이다. 가교욕에 대한 침지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 초 ∼ 15 분 정도, 바람직하게는 5 초 ∼ 10 분이다.
연신 공정은, 상기와 같이 어느 단계에서 실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 처리 전에 실시해도 되고, 팽윤 처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와 동시에 실시해도 되고, 가교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누적 연신 배율은, 5 배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5 ∼ 7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6.5 배이다. 누적 연신 배율이 5 배 미만인 경우에는, 고편광도의 편광판을 얻기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누적 연신 배율이 7 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 (편광자) 이 파단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연신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 연신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처리욕 (연신욕) 중에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한다. 연신욕의 용액으로는, 물 또는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등의 용매 중에, 각종 금속염, 요오드, 붕소 또는 아연의 화합물을 첨가한 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세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각종 처리가 실시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처리욕 (수세욕)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수세 공정에 의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불필요한 잔존물을 씻어낼 수 있다. 수세욕은, 순수이어도 되고, 요오드화물 (예를 들어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의 수용액이어도 된다. 요오드화물 수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 이다. 요오드화물 수용액에는,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의 보조제를 첨가해도 된다. 수세욕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40℃ 이다. 침지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 초 ∼ 1 분이다. 수세 공정은 1 회만 실시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복수 회 실시해도 된다. 복수 회 실시하는 경우, 각 처리에 사용되는 수세욕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종류나 농도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세 공정은, 폴리머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수용액 (0.1 ∼ 10 질량%, 10 ∼ 60℃) 에 1 초 ∼ 1 분 침지시키는 공정과, 순수로 헹구는 공정을 포함한다.
건조 공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건조 방법 (예를 들어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 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건조의 경우, 건조 온도는 대표적으로 20 ∼ 80℃ 이고, 건조 시간은 대표적으로 1 ∼ 10 분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편광자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도포층을 갖는 면측과 편광자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형성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가교제를 함유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 ; 그 유도체 ; 추가로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 폴리비닐알코올을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화, 인산에스테르화 등을 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는, (무수)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타)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류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메타)알릴술폰산(소다), 술폰산소다(모노알킬말레이트), 디술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술폰산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접착성 면에서는, 평균 중합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 3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3000 이고, 평균 비누화도가 바람직하게는 85 ∼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100 몰% 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서, 편광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디케텐을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시켜 얻어진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트산 등의 용매 중에 분산시켜 두고, 이것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 등의 용매에 미리 용해시켜 두고, 이것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에 디케텐 가스 또는 액상 디케텐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0.1 몰%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0.1 몰% 미만에서는 접착제층의 내수성이 불충분하여 부적당하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4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몰% 이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가 40 몰% 를 초과하면 가교제와의 반응점이 적어져, 내수성의 향상 효과가 작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도는 NMR 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상기 가교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적어도 2 개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알킬렌기와 아미노기를 2 개 갖는 알킬렌디아민류 (그 중에서도 헥사메틸렌디아민이 바람직하다)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케톡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의 이소시아네이트류 ;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의 에폭시류 ;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류 ;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인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류 ; 메틸올우레아, 메틸올멜라민, 알킬화 메틸올우레아, 알킬 화 메틸올화 멜라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 또한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니켈 등의 2 가 금속, 또는 3 가 금속의 염 및 그 산화물 ;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는, 멜라민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올멜라민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 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25 중량부이다. 한편,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를 30 중량부를 초과하고 46 중량부 이하인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특히,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교제의 사용량을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를 30 중량부를 초과하고 46 중량부 이하인 범위에서 배합함으로써, 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에는,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각종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편광자가 형성된 측으로서, 그 편광자 보호 필름의 도포층에는, 접착성 향상을 위해 접착 용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접착 용이 처리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압 UV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의 편광자가 형성된 측으로서, 그 편광자 보호 필름의 도포층과 상기 접착제층 사이에는, 접착성 향상을 위해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용이층으로는, 예를 들어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층을 들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층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의 알콕시실란올류, 아미노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메르캅토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카르복시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에폭시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비닐형 불포화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할로겐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를 들 수 있고, 아미노계 실란올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실란올을 효율적으로 반응시키기 위한 티탄계 촉매나 주석계 촉매를 첨가함으로써, 접착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에 다른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나아가서는 테르펜 수지, 페놀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수지, 자일렌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층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도공, 건조시켜 형성된다. 실리콘층의 두께는, 건조 후에 바람직하게는 1 ∼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80㎚ 이다. 도공시,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을 용제로 희석해도 된다. 희석 용제는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희석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 이다.
상기 접착제층의 형성은, 상기 접착제를 편광자 보호 필름의 어느 것의 측 또는 양측, 편광자의 어느 것의 측 또는 양측에 도포함으로써 실시한다.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부착한 후에는 건조 공정을 실시하여, 도포 건조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이것을 부착할 수도 있다.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의 부착은, 롤 라미네이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가열 건조 온도, 건조 시간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 ∼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5㎛ 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최외층의 적어도 일방으로서 점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편광판을 점착형 편광판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서, 편광자 보호 필름의 편광자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측에, 다른 광학 필름이나 액정 셀 등의 타부재와 접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이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탄소수가 4 ∼ 12 인 아크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 추가하여, 흡습에 의한 발포 현상이나 박리 현상의 방지, 열팽창차 등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나 액정 셀의 휨 방지, 나아가서는 고품질이고 내구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성 등의 면에서, 흡습률이 낮고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특히 점착성 부여 수지나, 유리 섬유, 유리 비드, 금속 분말,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나 안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미립자를 함유하여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 등이어도 된다.
상기 점착제층의 부설은, 적절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 예로는, 예를 들어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적절한 용제의 단독물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용매에 베이스 폴리머 또는 그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 10 ∼ 40 중량% 정도의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고, 그것을 유연 방식이나 도공 방식 등의 적절한전개 방식으로 편광판 상 또는 광학 필름 상에 직접 부설하는 방식, 혹은 상기에 준하여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것을 편광자 보호 필름면에 이착 (移着) 시키는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은, 상이한 조성 또는 종류 등인 것의 중첩층으로서 편광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양면에 형성하는 경우에, 편광판의 표리에 있어서 상이한 조성이나 종류나 두께 등의 점착제층으로 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4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30㎛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25㎛ 이다. 1㎛ 보다 얇으면 내구성이 나빠지고, 또한 40㎛ 보다 두꺼워지면 발포 등에 의한 리프팅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 외관이 불량해진다.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상기 점착제층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층간에 앵커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앵커층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류에서 선택되는 앵커층이 사용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포함한 폴리머류가 사용된다.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포함한 폴리머는, 분자 중의 아미노기가, 점착제 중의 카르복실기나, 도전성 폴리머 중의 극성기와 반응 혹은 이온성 상호 작용 등의 상호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양호한 밀착성이 확보된다.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폴리머류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알릴아민, 폴리비닐아민, 폴리비닐피리딘, 폴리비닐피롤리딘, 전술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공중합 모노머로 나타낸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함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앵커층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 대전 방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대전 방지성 부여를 위한 대전 방지제로는, 이온성 계면 활성제계,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퀴녹살린 등의 도전 폴리머계,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등의 금속 산화물계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광학 특성, 외관, 대전 방지 효과, 및 대전 방지 효과의 열시, 가습시에서의 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도전성 폴리머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의 수용성 도전성 폴리머, 혹은 수분산성 도전성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는, 대전 방지층의 형성 재료로서 수용성 도전성 폴리머나 수분산성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한 경우, 도포 공정시에 유기 용제에 의한 광학 필름 기재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편광판을 형성하는 편광자나 편광자 보호 필름 등, 또한 점착제층 등의 각 층에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놀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하는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자외선 흡수능을 갖게 한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 셀의 시인측, 백라이트측의 어느 편측에 형성해도 되고, 양측에 형성해도 되며,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 표시 장치]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적어도 1 장 포함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편광판을 필요로 하는 모든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적용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는, 일렉트로루미네선스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 Field Emission Display) 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에서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등에도 적용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액정 셀 (10) 과, 액정 셀 (10) 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위상차 필름 (20, 20') 과, 위상차 필름 (20, 20') 의 외측에 배치된 편광판 (30, 30') 과, 도광판 (40) 과, 광원 (50) 과, 리플렉터 (60) 를 구비한다. 편광판 (30, 30') 은, 그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액정 셀 (10) 은, 1 쌍의 유리 기판 (11, 11') 과, 그 기판 사이에 배치된 표시 매체로서의 액정층 (12) 을 갖는다. 일방의 기판 (11) 에는, 액정의 전기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대표적으로는 TFT) 와, 이 스위칭 소자에 게이트 신호를 부여하는 주사선 및 소스 신호를 부여하는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다 (모두 도시 생략). 타방의 유리 기판 (11') 에는, 컬러 필터를 구성하는 컬러층과 차광층 (블랙 매트릭스층) 이 형성되어 있다 (모두 도시 생략). 기판 (11, 11') 의 간격 (셀 갭) 은, 스페이서 (13) 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편광판 (30, 30') 의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편광판이 채용된다.
예를 들어 TN 방식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전압 무인가시에는 액정층 (12) 의 액정 분자가, 편광축을 90 도 어긋나게 하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편광판에 의해 일 방향의 광만이 투과된 입사광이, 액정 분자에 의해 90 도 비틀어진다. 상기와 같이, 편광판은 그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타방의 편광판에 도달한 광 (편광) 이, 당해 편광판을 투과한다. 따라서, 전압 무인가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백색 표시를 실시한다 (노멀리 화이트 방식). 한편,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 (100) 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층 (12) 내의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화한다. 그 결과, 타방의 편광판에 도달한 광 (편광) 이, 당해 편광판을 투과할 수 없어, 흑색 표시가 된다. 이와 같은 표시의 전환을, 액티브 소자를 이용하여 화소마다 실시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실시예 중의 부 (部) 및 퍼센트는 중량 기준이다.
<질량 평균 분자량>
쇼와 전공 (주) 제조의 Shodex GPC system-21H 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하였다.
<Tg (유리 전이 온도, TG 로 칭하는 경우도 있다)>
중합체를 일단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시키고, 과잉의 헥산 혹은 톨루엔에 투입하여 재침전을 실시하고, 여과하여 꺼낸 침전물을 감압 건조 (80℃/1mmHg (1.33hPa), 3 시간 이상) 시킴으로써 휘발 성분을 제거하고, 얻어진 수지에 대해 DSC 장치 (리가쿠 (주) 제조, DSC823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탈알코올 반응률 (락톤고리화율)>
탈알코올 반응률을,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조성으로부터 모든 수산기가 메탄올로서 탈알코올되었을 때에 일어나는 중량 감소량을 기준으로 하여, 다이나믹 TG 측정에 있어서 중량 감소가 시작되기 전의 150℃ 부터 중합체의 분해가 시작되기 전의 300℃ 까지의 탈알코올 반응에 의한 중량 감소로부터 구하였다.
즉, 락톤고리 구조를 가진 중합체의 다이나믹 TG 측정에 있어서 150℃ 부터 300℃ 까지의 사이의 중량 감소율을 측정하여, 얻어진 실측 중량 감소율을 (X) 로 한다. 한편, 당해 중합체의 조성으로부터, 그 중합체 조성에 포함되는 모든 수산기가 락톤고리의 형성에 관여하기 때문에 알코올이 되어 탈알코올된다고 가정하였을 때의 이론 중량 감소율 (즉, 그 조성상에 있어서 100% 탈알코올 반응이 일어났다고 가정하여 산출한 중량 감소율) 을 (Y) 로 한다. 또한, 이론 중량 감소율 (Y) 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체 중의 탈알코올 반응에 관여하는 구조 (수산기) 를 갖는 원료 단량체의 몰비, 즉 당해 중합체 조성에 있어서의 상기 원료 단량체의 함유율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들 값 (X, Y) 을 탈알코올 계산식 :
1 - (실측 중량 감소율 (X)/이론 중량 감소율 (Y))
에 대입하여 그 값을 구하고, % 로 표기하면, 탈알코올 반응률 (락톤고리화율) 이 얻어진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JIS-K6874 에 기초하여 시험 온도 240℃, 하중 10㎏으로 측정하였다.
<리워크 시험>
점착제형 편광판을 액정 셀의 유리판에 부착하여, 시험 샘플로 하였다. 하나의 각으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1㎜/sec 의 속도로 90 도 방향으로 박리하고, 박리 위치를 확인하였다. 판정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 : 편광판은 파괴되지 않고, 점착제와 유리판의 계면에서 박리
× :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계면에서 박리
[제조예 1 : 편광자의 제조]
두께 8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5 중량% (중량비 : 요오드/요오드화칼륨 = 1/10) 의 요오드 수용액 중에서 염색하였다. 이어서, 3 중량% 의 붕산 및 2 중량%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시키고, 추가로 4 중량% 의 붕산 및 3 중량% 의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5.5 배까지 연신한 후, 5 중량% 의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침지시켰다. 그 후, 40℃ 의 오븐으로 3 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두께 30㎛ 의 편광자를 얻었다.
[제조예 2 :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제조]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30L 반응 가마에, 8000g 의 메타크릴산메틸 (MMA), 2000g 의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MHMA), 10000g 의 톨루엔을 넣고, 이것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105℃ 까지 승온시켜, 환류시킨 시점에서, 개시제로서 10.0g 의 터셔리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아토피나 요시토미 제조, 상품명 : 루파졸 570) 를 첨가함과 동시에, 20.0g 의 개시제와 100g 의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4 시간에 걸쳐 적하하면서, 환류하 (약 105 ∼ 110℃) 에서 용액 중합을 실시하고, 다시 4 시간에 걸쳐 숙성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10g 의 인산스테아릴/인산디스테아릴 혼합물 (사카이 화학 제조, 상품명 : Phoslex A-18) 을 첨가하고, 환류하 (약 90 ∼ 110℃) 에서 5 시간, 고리화 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고리화 축합 반응으로 얻어진 중합체 용액을, 배럴 온도 260℃, 회전수 100rpm, 감압도 13.3 ∼ 400hPa (10 ∼ 300mmHg), 리어 벤트수 1 개, 포어 벤트수 4 개의 벤트 타입 스크루 2 축 압출기 (Φ = 29.75㎜, L/D = 30) 에, 수지량 환산으로 2.0㎏/시간의 처리 속도로 도입하고, 그 압출기 내에서 고리화 축합 반응과 탈휘를 실시하여, 압출함으로써, 투명한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펠릿의 락톤고리화율은 97.0%, 질량 평균 분자량은 147700,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11.0g/10 분, Tg (유리 전이 온도) 는 130℃ 이었다.
[제조예 3 :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수용액의 조제]
아세토아세틸기 변성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100 중량부 (아세틸화도 13%) 에 대해 메틸올멜라민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농도 0.5 중량% 가 되도록 조정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편광자 보호 필름)
압출기에,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공급하고, 250℃ 에서 용융 혼련 후, T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냉각 롤로 수랭시켜 빼내어, 두께 100㎛ 의 필름을 얻었다. 이 후, 축차 2 축 압출기로, 종연신 1.8 배 (가열 온도 140℃), 이어서 횡연신 2.4 배 (가열 온도 140℃) 하여, 두께 30㎛ 의 2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또한,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메틸이소부틸케톤 (MIBK)/메틸에틸케톤 (MEK) = 7/3 의 혼합 용제에 용해시켜,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도공액 중의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농도는 3 중량% 이었다. 다음으로, 조제한 도공액을, 상기에서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의 일방의 면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실온에서 바람에 건조시켰다. 도포에 의해 형성된 도포층의 두께는 1㎛ 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1A) 을 얻었다.
(접착 용이층의 형성)
실란 커플링제 (토오레·다우코닝·실리콘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APZ-6661) 100 부에 대해 이소프로필알코올을 66.7 부 첨가함으로써 조제한 용액을, 와이어 바 #5 로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1A) 의 일방의 면에 도포하고, 90℃ 에서 2 분 건조시켰다. 증발 후의 접착 용이층의 두께는 50㎚ 이었다.
(편광판의 제조)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편면에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1A) 의 접착 용이층면이 접하고, 다른 일방의 면에는 비누화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후지 사진 필름사 제조, 상품명 : T-40UZ) 가 접하도록, 제조예 3 에서 조제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수용액을 사용하여 부착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수용액을, 각각 편광자 보호 필름 (1A) 의 접착 용이층 면측,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측에 도포하고, 70℃ 에서 10 분간 건조시켜 편광판 (1B) 을 얻었다.
(점착제층의 형성)
베이스 폴리머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 : 아크릴산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 100 : 5 : 0.1 (중량비) 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200 만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 (고형분 30%) 을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계 다관능성 화합물인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콜로네이트 L 을 폴리머 고형분 100 부에 대해 4 부, 및 첨가제 (KBM403, 신에츠 실리콘 제조) 를 0.5 부, 점도 조정을 위한 용제 (아세트산에틸) 를 첨가하여, 점착제 용액 (고형분 12%) 을 조제하였다. 당해 점착제 용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25㎛ 가 되도록, 이형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 : 다이어 포일 MRF38, 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제조) 상에 도포한 후, 열풍 순환식 오븐으로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편광판 앵커층)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의 폴리에틸렌이민 부가물 (닛폰 촉매사 제조, 상품명 폴리먼트 NK380) 을 메틸이소부틸케톤으로 50 배로 희석하였다. 이것을 상기 편광판 (1B) 의 편면에 와이어 바 #5 를 사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50㎚ 가 되도록 도포 건조시켰다.
(점착제형 편광판의 제조)
상기 편광판 (1B) 의 편면에 형성한 앵커층에,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한 이형 필름을 부착하여, 점착제형 편광판 (1C) 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의 평가)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을 리워크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의 결과는 ○ 이고, 편광판 (1B) 은 파괴되지 않고, 점착제와 유리판의 계면에서 박리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편광자 보호 필름에 도포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C1A), 편광판 (C1B), 점착제형 편광판 (C1C) 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의 평가)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을 리워크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의 결과는 × 이고, 편광자 보호 필름 (C1A) 과 편광자의 계면에서 박리가 일어났다. 박리면을 분석한 결과, 양면으로부터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성분이 검출되고, 편광자 보호 필름 (C1A) 의 표면 부근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 있는 것으로 추찰되었다.
[실시예 2]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30L 반응 가마에, 8000g 의 메타크릴산메틸 (MMA), 10000g 의 톨루엔을 넣고, 이것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105℃ 까지 승온시켜, 환류시킨 시점에서, 개시제로서 10.0g 의 터셔리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아토피나 요시토미 제조, 상품명 : 루파졸 570) 를 첨가함과 동시에, 20.0g 의 개시제와 100g 의 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4 시간에 걸쳐 적하하면서, 환류하 (약 105 ∼ 110℃) 에서 용액 중합을 실시하고, 다시 4 시간에 걸쳐 숙성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을, 배럴 온도 260℃, 회전수 100rpm, 감압도 13.3 ∼ 400hPa (10 ∼ 300mmHg), 리어 벤트수 1 개, 포어 벤트수 4 개의 벤트 타입 스크루 2 축 압출기 (Φ = 29.75㎜, L/D = 30) 에, 수지량 환산으로 2.0㎏/시간의 처리 속도로 도입하여, 압출함으로써, 투명한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펠릿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18.0g/10 분, Tg (유리 전이 온도) 는 110℃ 이었다.
실시예 1 에 있어서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 대신에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2A), 편광판 (2B), 점착제형 편광판 (2C) 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의 평가)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접착성을 리워크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의 결과는 ○ 이고, 편광판 (2B) 은 파괴되지 않고, 점착제와 유리판의 계면에서 박리할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판은, 각종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등) 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액정 셀
11, 11' 유리 기판
12 액정층
13 스페이서
20, 20' 위상차 필름
30, 30' 편광판
31 편광자
32 접착제층
33 접착 용이층
34 편광자 보호 필름
35 접착제층
36 편광자 보호 필름
40 도광판
50 광원
60 리플렉터
100 액정 표시 장치

Claims (10)

  1.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함유하는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함유하는 도포층을 갖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방의 면측으로서 도포층을 갖는 면측에 편광자를 갖는,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의 두께가 0.005㎛ ∼ 3㎛ 인, 편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와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B) 가 동일한 종류의 수지인,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A) 를 함유하는 필름이, 용융 압출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인,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이,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 (B) 를 용제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도공액을 도포하여 얻어지는 도포층인, 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과 상기 편광자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는, 편광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층과 상기 접착제층 사이에 접착 용이층을 갖는, 편광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과 반대의 면측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갖는, 편광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최외층의 적어도 일방으로서 점착제층을 추가로 갖는, 편광판.
  10. 제 1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적어도 1 장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37010057A 2006-09-01 2007-07-1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430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37422A JP5268083B2 (ja) 2006-09-01 2006-09-01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JP-P-2006-237422 2006-09-01
PCT/JP2007/064223 WO2008026396A1 (en) 2006-09-01 2007-07-19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900A Division KR20120006081A (ko) 2006-09-01 2007-07-1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358A KR20130062358A (ko) 2013-06-12
KR101430890B1 true KR101430890B1 (ko) 2014-08-18

Family

ID=391356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057A KR101430890B1 (ko) 2006-09-01 2007-07-1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097004071A KR20090046885A (ko) 2006-09-01 2007-07-1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117030900A KR20120006081A (ko) 2006-09-01 2007-07-1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071A KR20090046885A (ko) 2006-09-01 2007-07-1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117030900A KR20120006081A (ko) 2006-09-01 2007-07-19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75931B2 (ko)
JP (1) JP5268083B2 (ko)
KR (3) KR101430890B1 (ko)
CN (2) CN101512399A (ko)
TW (1) TWI398677B (ko)
WO (1) WO2008026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16083C (en) 2004-08-17 2013-03-12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Integrated reconfigurable wall system
JP5267922B2 (ja) * 2008-08-22 2013-08-2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314489B1 (ko) * 2010-02-26 2013-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JP2011185958A (ja) * 2010-03-04 2011-09-22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5932234B2 (ja) * 2011-04-05 2016-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156976B2 (en) * 2011-08-23 2015-10-13 Rohm And Haas Company Multi-stage polymer composition and films and polarizer plates made therefrom
JP6312974B2 (ja) * 2012-03-30 2018-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素子、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35422B2 (ja) * 2012-06-29 2018-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CN103091768A (zh) * 2013-02-07 2013-05-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静电导光板及其制作方法
JP6293422B2 (ja) * 2013-05-01 2018-03-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97402B1 (ko) * 2013-09-30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97404B1 (ko) * 2013-09-30 2017-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6342791B2 (ja) 2013-12-27 2018-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US9840841B2 (en) 2014-02-20 2017-12-12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Method of configuring walls
JP2016066047A (ja) * 2014-03-25 2016-04-2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パネル
KR20160001513A (ko)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표시 장치
JP2016118782A (ja) 2014-12-17 2016-06-3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 Ltd.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CN105717572B (zh) * 2014-12-22 2020-05-12 住友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偏振板及包含它的层叠体
CA2978206C (en) * 2015-03-16 2024-05-14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Glass panel reconfigurable wall panels
CA2997014A1 (en) 2016-06-10 2017-12-14 Patrick Harris Glass substrates with touchscreen technology
WO2018009936A2 (en) 2016-07-08 2018-01-11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Low-voltage smart glass
JP6727064B2 (ja) * 2016-08-01 2020-07-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830A (ja) * 2000-09-21 2002-04-05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光学フィルム素材
JP2004168882A (ja) * 2002-11-20 2004-06-17 Toray Ind Inc 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89623A (ja) * 2003-12-26 2005-07-14 Kaneka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323A (ja) 1996-03-05 1997-09-16 Mitsubishi Rayon Co Ltd 耐熱性樹脂の製造方法
JP4953494B2 (ja) * 1998-12-09 2012-06-13 株式会社日本触媒 透明性耐熱樹脂成形材料、そ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JP4688116B2 (ja) 1999-04-15 2011-05-2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TWI225499B (en) * 1999-04-15 2004-12-21 Konishiroku Photo Ind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JP2002258051A (ja) 2001-03-05 2002-09-11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942436B2 (ja) * 2001-07-19 2007-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を用いた光学フイ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4226799A (ja) * 2003-01-24 2004-08-1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用材料
JP4340128B2 (ja) 2003-11-13 2009-10-07 株式会社日本触媒 ラクトン環含有重合体の製造方法
JP4825409B2 (ja) * 2004-08-31 2011-11-30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用面状熱可塑性樹脂成形体、これを用いる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126585A (ja) * 2004-10-29 2006-05-18 Fuji Photo Film Co Ltd 粘着剤付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TWI529428B (zh) * 2004-11-09 2016-04-11 Zeon Corp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830A (ja) * 2000-09-21 2002-04-05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光学フィルム素材
JP2004168882A (ja) * 2002-11-20 2004-06-17 Toray Ind Inc 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89623A (ja) * 2003-12-26 2005-07-14 Kaneka Corp 偏光子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2399A (zh) 2009-08-19
US8475931B2 (en) 2013-07-02
TWI398677B (zh) 2013-06-11
US20100002298A1 (en) 2010-01-07
JP2008058768A (ja) 2008-03-13
TW200815805A (en) 2008-04-01
JP5268083B2 (ja) 2013-08-21
CN104597532A (zh) 2015-05-06
KR20090046885A (ko) 2009-05-11
WO2008026396A1 (en) 2008-03-06
KR20120006081A (ko) 2012-01-17
KR20130062358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8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4849665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51312B2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470336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251082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075813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02796A (ko)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090091826A1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4570043B2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859038B2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133377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068105B2 (ja) 非晶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非晶性樹脂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