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232B1 -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 - Google Patents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9232B1 KR101429232B1 KR1020120082553A KR20120082553A KR101429232B1 KR 101429232 B1 KR101429232 B1 KR 101429232B1 KR 1020120082553 A KR1020120082553 A KR 1020120082553A KR 20120082553 A KR20120082553 A KR 20120082553A KR 101429232 B1 KR101429232 B1 KR 101429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n
- red
- roasted
- red bean
- beans
- Prior art date
Links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40000007098 Vigna angularis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5000006089 Phaseolus angulari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5000010711 Vigna angulari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40000001417 Vigna umbella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35000011453 Vigna umbell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29940069765 bean extrac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4000066764 Ailanthus triphy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MGJZITXUQXWAKY-UHFFFAOYSA-N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MGJZITXUQXWAK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3276 Apios tuberosa Nutrition 0.000 claims 1
- 244000170226 Voandzeia subterrane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3030 Voandzeia subterranea Nutrition 0.000 claims 1
- OHDRQQURAXLVGJ-HLVWOLMTSA-N azane;(2e)-3-ethyl-2-[(e)-(3-ethyl-6-sulfo-1,3-benzothiazol-2-ylidene)hydrazinylidene]-1,3-benzothiazole-6-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NH4+].[NH4+].S/1C2=CC(S([O-])(=O)=O)=CC=C2N(CC)C\1=N/N=C1/SC2=CC(S([O-])(=O)=O)=CC=C2N1CC OHDRQQURAXLVGJ-HLVWOLMTSA-N 0.000 claims 1
- 235000007924 ground bean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5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9 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group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1107116 Castanospermum austr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208 anthocya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10 anthocya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2877 anthocya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4636 anthocya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279 black be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00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PFTAWBLQPZVEMU-DZGCQCFKSA-N (+)-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C(O)C(O)=C1 PFTAWBLQPZVEMU-DZGCQCFKSA-N 0.000 description 2
- TUSDEZXZIZRFGC-UHFFFAOYSA-N 1-O-galloyl-3,6-(R)-HHDP-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2)COC(=O)C3=CC(O)=C(O)C(O)=C3C3=C(O)C(O)=C(O)C=C3C(=O)OC1C(O)C2OC(=O)C1=CC(O)=C(O)C(O)=C1 TUSDEZXZIZRF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45232 Canavalia ens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520 Canavalia ensifor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518 Canavalia gl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77995 Coix lacryma job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354 Coix lacryma job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8389 Fuscospora solandr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6395 Globul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44091 Globul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66501 Ormosia ormond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RBQNJMCXXYXIU-PPKXGCFTSA-N Penta-digallate-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PPKXGCFTSA-N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977 Vig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VEVZSMAEJFVWIL-UHFFFAOYSA-O cyanidin cation Chemical compound [O+]=1C2=CC(O)=CC(O)=C2C=C(O)C=1C1=CC=C(O)C(O)=C1 VEVZSMAEJFVWIL-UHFFFAOYSA-O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30013915 (+)-catech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19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FZJEEAOWLFHDH-UHFFFAOYSA-N (2R,2'R,3R,3'R,4R)-3,3',4',5,7-Pentahydroxyflavan(48)-3,3',4',5,7-pentahydroxyflavan Natural products C=12OC(C=3C=C(O)C(O)=CC=3)C(O)CC2=C(O)C=C(O)C=1C(C1=C(O)C=C(O)C=C1O1)C(O)C1C1=CC=C(O)C(O)=C1 XFZJEEAOWLFHD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IDXCONKKJTLDX-UHFFFAOYSA-N 3,5-dimethylcyclopentane-1,2-dione Chemical compound CC1CC(C)C(=O)C1=O MIDXCONKKJTL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VDDGKGOMKODPV-UHFFFAOYSA-N Benzyl alcohol Chemical class OCC1=CC=CC=C1 WVDDGKGOMKOD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57 Castane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37 Castane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8479 Cichorium intyb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42 Cichorium intyb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5678 Citrus unshiu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408 Eugenia caryophyl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QFRJNBWHJMXHO-RRKCRQDMSA-N IDUR Chemical compound C1[C@H](O)[C@@H](CO)O[C@H]1N1C(=O)NC(=O)C(I)=C1 XQFRJNBWHJMXHO-RRKCRQDMSA-N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833 Phaseo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88197 Pil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59 Potassium per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231 Rosmarinus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639 Syzygium aroma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LEVLJDDWXEYCO-UHFFFAOYSA-N Trolox Chemical compound O1C(C)(C(O)=O)CCC2=C1C(C)=C(C)C(O)=C2C GLEVLJDDWXEY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ZSNJWFQEVHDMF-UHFFFAOYSA-N Valine Natural products CC(C)C(N)C(O)=O KZSNJWFQEVHD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16 Vigna m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44 Zea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383 Zea mays subsp huehuetenang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18 agrono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86 aqueous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1 but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82 butylated hydroxyaniso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6 caram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ADRVNXBAWSRFAJ-UHFFFAOYSA-N catechin Natural products OC1Cc2cc(O)cc(O)c2OC1c3ccc(O)c(O)c3 ADRVNXBAWSRFA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87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1002 cianid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7 crude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38 cu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36 cyanid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260 defense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56 gastric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7 ir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69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973 maiz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7 nephr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0 nutr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4 o/w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SHAGKDGDHPEEY-UHFFFAOYSA-L potassium persulfate Chemical compound [K+].[K+].[O-]S(=O)(=O)OOS([O-])(=O)=O USHAGKDGDHPEE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94 potassium per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41 toxicology test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4 v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0 yellow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97 yellow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팥을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볶아서 분말화하여 얻은 볶음팥 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침출차에 비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볶음팥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고, 나아가 팥앙금, 팥양갱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으로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 흡연, 음주 등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체내에 축적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구성성분이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하여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1, 2, 3]. 활성산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 합성물질이 이용되어 왔으나 합성식품첨가제의 기피현상뿐만 아니라 과량을 섭취할 경우 신장, 폐, 간, 위장점막,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보다 안전한 대체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4, 5].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천연식품을 통해 노화억제, 면역증강 등의 효과를 얻어 젊고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천연식품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천연유래 생리활성물질의 효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6] 특히, 천연물질의 항산화, 항암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
팥(Adzuki bean,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로 중국, 한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의 온대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어 동양이 원산지인 것으로 추정되며[8],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전파되어 재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9]. 팥은 우리나라에서 콩 다음으로 중요한 두류작물로 콩에 비해 수량은 낮으나, 기후 및 토양에 적응성이 양호하여 작부체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생태형, 초형, 개화일수, 엽형 및 종피색 등에 의해 분류된다[8]. 콩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팥은 단백질과 지방질 함량이 낮고 탄수화물이 높은 두류로 구성성분의 대부분은 전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10], 팥은 100 g당 337 kcal의 열량을 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1]. 보통 밥밑용으로 이용되며, 팥죽이나 떡, 빵, 과자 등의 속재료 뿐만 아니라 앙금과 양갱, 빙과제조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12].
팥은 비타민 B1이 풍부하여 쌀에 혼반할 경우 쌀밥에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을 공급하여 주며, 각기병뿐만 아니라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있다[9]. 단백질의 대부분은 글리시닌이고 발린을 제외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며, 특히 쌀의 제한아미노산인 라이신 함량이 높아 혼식하면 아미노산 보족효과로 단백질의 질을 향상시켜 준다[13]. 팥에 함유된 사포닌은 섬유질과 함께 변통을 돕는 효과가 있고 독을 풀고 배변을 촉진하여 장을 깨끗이 해주며, 신장병, 각기병, 숙취 등에도 이용된다[14]. 팥의 색소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계의 시아니딘(cyanidin)으로 알려져 있으며[15], 이들 색소는 항산화[16] 및 항종양효과[17]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외에 팥 단백질에 대한 연구보고[18, 19, 20]가 많이 있으며, 팥 껍질의 색소에 관한 연구[15, 17], 팥의 수화속도에 대한 연구[21], 국산과 중국산 팥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12] 등이 있다.
최근 건강 음용차에 대한 대중의 관심증가로 녹차효능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다양한 식물체를 침출차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22, 23, 24]. 이에 종래 팥을 이용한 침출차에 대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9-1067611호에는 팥에 은 및 참숯을 넣어 끓여 낸 팥 추출차에 관해 제안되어 있으나, 팥 특유의 약간의 거부감을 주는 맛과 냄새를 없애므로 청량한 맛을 느낄 수는 있으나 팥이 함유한 항산화성분 함량이 적으며 항산화활성 효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493366호에는 팥을 효소분해시켜 얻은 액과 백미를 효소분해시켜 얻은 액을 혼합한 팥 음료용 조성물 및 팥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 제안되어 있으나, 제조 과정이 복잡하며 시간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상기 침출차의 제조에 있어서 볶음 처리는 식품의 화학적 성분조성, 물리적 성질, 그리고 색깔, 향기, 조직감과 같은 관능적 품질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 25, 26]. 예컨대 보리의 볶음 조건으로 보리차의 점도 및 맛과 냄새 등 관능적 특성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숭늉제조용 찐백미 및 미숙보리 곡립의 볶음조건에 따른 색도, 환원당 및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를 보고하였다[27, 28, 29]. 또한 옥수수의 볶음 과정 중 일반성분, 무기질, 아미노산함량 변화에 대하여 연구뿐만 아니라 밤의 볶음 과정 중 환원당, 지방산함량변화를 측정하고 이들 성분변화와 관능평가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30, 31].
그러나 위와 같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팥을 볶음 처리하여 팥을 함유한 식품의 화학적 성분조성, 물리적 성질, 그리고 색깔, 향기, 조직감과 같은 관능적 품질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에 대해 아직 보고된 바가 없으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소비수요에 대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1.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 526-533.
2. Halliwell B, Gutteridge JMC, Cross CE.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J. Lab Clin. Med. 119: 598-620.
3. Cao LH, Lee JK, Cho KH, Kang DG, Kwon TO, Kwon JW, Kim JS, Sohn EJ, Lee HS. 2006. Mechanism for the vascular relaxation induced by butanol extract of Agrimonai pilosa. Korean J. Pharmacogn. 37: 67-73.
4. Ode P. 1995. Herbal insights-a close look at active constituents of medicinal herbs. SJ. 121: 8-11.
5.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l 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6. Arai S. 1996. Studies on function foods in Japan-state of art. Biosci. Biotechnol. Biochem. 60: 9-15.
7. Chung HS, Kim KJ, Kwang SY. 2006.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n phycochemical properties of Job’s tears (Coix lachrymajobi L. var. mayeun) powder an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477-482.
8. Rho CW, Son SY, Hong ST, Lee KH, Ryu IM. 2003. Agronomic characters of Korean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Korean J. Plant Res. 16: 147-154.
9. Chang KY Han KS, Park JC. 1968. Studies on the selection in adzuki bean breeding. Ⅲ. Phenotypic and genotypic correlations among some characters in the population of adzuki bean varieties. Research Bulletin of Chinju Agricultural College 7: 39-44.
10. Koh KJ, Shin DB, Lee YC. 1997. Phsicochemical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in small red bean, mung 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54-859.
11. Hwang CS, Jeong DY, Kim YS, Na JM, Shin DH. 2005. Effects of enzyme treatmen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red bean percol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89-193.
12. Kim CG, Oh BH, Na JM, Sin DH. 200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and Chinese red bean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51-555.
14. Choi SY, Jeong YJ, Lee SJ, Chi OH, Chegal SA. 2002. Food and health for modern people. Dongmyungsa, Seoul, Korea. pp. 244-246.
15. Yoshida K, Sato Y, Okuno R, Kameda K, Isobe M, Kondo T. 1996. Structur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 from colored seed coats of Vigna, Phaseolus, and Glycine Lugum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0: 589-593.
16. Ariga T, Koshiyama I, Fukushima D. 1988.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rocyanidins B-1 and B-3 from azuki beans in aqueous systems. Agr. Biol. Chem. 52: 2717-2722.
17. Koide T, Hashimoto Y, Kamei H, Kojima T, Hasegawa M, Terabe K. 1997. Antitumor effect of anthocyanin fractions extracted from red soybeans and red beans in vitro and in vivo. Cancer Biother Radiopharm. 12: 277-80.
18. Kim HJ, Sohn KH, Park HK. 1990. Emulsion properties of small red bean protein isolates. Korean J. Food Cookery Sci. 6: 9-14.
19. Meng GT, Ma CY. 2001a. Flow property of globulin from red bean (Phaseolus angularis). Food Res. Int. 34: 401-407.
20. Meng GT, Ma CY. 2001b. Thermal properties of Phaseolus angularis (red bean) globulin. Food Chem. 73: 453-460.
21. Abu-Ghannam N. 1998. Modelling textural changes during the hydration process of red beans. J. Food Eng. 38: 341-352.
22. Lee GD, Yoon SR, Kim JO, Hur SS, Seo KI. 2004. Monitoring on the tea with steaming and drying process of germinated buckwh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12-217.
23. Yoo KM, Kim CE, Kim DI, Huh D, Hwang IK.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ngerine peel tea with Citrus unshiu cultivated in Cheju. Korean J. Food Cook. Sci. 21: 354-359.
24. Joo SJ, Choi KJ, Kim KS, Park SG, Kim TS, Oh MH, Lee SS, Ko JW. 2002. Characteristics of mixed tea prepared with several herb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9: 400-405.
25. Park JH, Han JS, Choi HK. 1999. Effect on quality of pan-fired green tea by 1st pan firing time. Korean J. Med. Crop Sci. 7: 101-106.
26. Hong MJ, Lee GD, Kim HK, Kwon JH. 1998. Change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13-418.
27. Yoon SK, Kim WJ. 1989.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quality and yields of barley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75-582.
28. Ha TY, Chun HS, Lee C, Kim YH, Han O. 1999.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eamed rice for Soong-Neung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71-175.
29. Lee YT, Seog HM, Kim SS, Kim KT, Hong HD. 1984.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mmature barley kernels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36-342.
30. Ayatse JO, Eku OU, Ifon ET. 1983. Chemic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roasting on the nutritive value of maize (Zea mays, Linn). Food Chem. 12: 135-147.
31. Kunsch U, Scharer H, Patrian B, Hoh E, Conedera M, Sasella A, Jermini M, Jelmini G. 2001. Effects of roasting on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different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varieties. J. Sci Food Agr. 81: 1106-1112.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팥을 일정한 온도와 시간동안 볶아서 유기용매로 추출한 볶음팥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볶음팥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볶음팥 티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리활성이 우수하며 소비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기능성 볶음팥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팥을 볶아서 얻은 볶음팥 분쇄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팥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볶음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볶음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팥을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볶아서 분말화하여 얻은 볶음팥 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침출차에 비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볶음팥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며, 기타 품질 및 상품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팥앙금, 팥양갱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으로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볶음팥 티백차의 제조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볶음팥 침출액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볶음팥 침출액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써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팥을 볶아서 얻은 볶음팥 분쇄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볶음팥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팥은 종피색에 따라 붉은팥, 검정팥, 회색팥, 노란팥으로 나눌 수 있는데, 종피색이 붉은색은 충주팥, 중부팥, 경원팥, 새길팥, 홍언팥 및 아라리팥으로 이루어지고, 검정색은 칠보팥 및 검구슬팥으로 이루어지고, 회색은 중원팥이고, 연녹색은 연금팥이며, 노란색은 금실팥이며, 그 밖에도 이팥류로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볶음팥 분쇄물은 150~250℃의 온도에서 1~20분 동안 볶아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온도가 250℃ 보다 높으면 단시간에 팥차를 만들 수 있으나 너무 검게 타 침출차를 제조하였을 때 탄맛이 강하고 쓴맛을 내어 팥 고유의 구수한 맛을 느낄 수 없어 기호도가 저하되며 반대로 150℃ 보다 낮으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80~200℃의 온도에서 10~16분 동안 볶아서 조분쇄한 것이 좋다. 또한 180~200℃에서 16분을 초과하여 볶을 경우 탄 냄새와 탄 맛이 강하여 차나 음료로서의 가치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볶음팥 분쇄물을 에탄올로 추출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볶음팥 분쇄물은 형태가 분말상이며, 분말두께가 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팥을 볶은 후 냉각하여 분쇄할때 너무 곱게 분쇄할 경우 티백에서 전분이 용출되어 침출차의 탁도가 높아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mm의 분말두께로 조분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볶음팥 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데, 이때 항산화성분으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볶음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티백은 기공을 가진 종이, 면포,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티백 포장시 물 100~500mL의 용량을 기준으로 볶음팥 2~20g의 용량을 포장하는 것이 좋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물 200~300mL의 용량을 기준으로 볶음팥 5~10g의 용량을 포장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볶음팥에 현미차를 1:1로 혼합하여 포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볶음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음료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볶음팥 추출물은 용해, 현탁 및 침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커피추출기를 이용하여 침출시킨 볶음팥 추출물에 현미차를 1:1로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팥을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볶아서 분말화하여 얻은 볶음팥을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성분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볶음팥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고, 우수한 생리 활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기타 품질 및 상품성이 우수하다. 나아가 팥앙금, 팥양갱 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으로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볶음팥 티백차의 제조
팥을 이용한 볶음차를 제조하기 위하여 가정용 커피로스터(N-905CR, 엔아이티, Bucheon, Korea)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팥 80g을 기기에 넣고 180℃에서 2~16분 동안 볶음처리하여 냉각시킨 후 커피밀(N-902M, 엔아이티)로 조분쇄하였다. 이때 16분을 초과하여 팥을 볶을 경우 탄 냄새와 탄 맛이 강하여 차나 음료 등의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16분까지 볶음을 실시하였다. 조분쇄된 볶음팥 일정량(5∼10g)을 티백에 포장하여 최종적으로 기능성이 강화된 볶음팥 티백차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상기 볶음팥 티백차의 항산화성분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볶음팥 티백차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볶음팥을 동결건조하여 분쇄된 시료 5g을 취하여 80% 에탄올 100mL을 첨가하여 50℃에서 24시간동안 진탕추출(SK-71 Shaker, JEIO Tech, Kimpo, Korea)을 2회 실시한 다음 여과하여 감압농축기(Eyela N-1000, Tokyo, Japan)로 40℃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여기에 80%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용해한 후 50mL로 정용하여 제조된 볶음팥차 에탄올 추출물을 -2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볶음팥차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가 추출물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 추출물 50μL에 2% Na2CO3 용액 1mL를 가한 후 3분간 방치하여 50% Folin-Ciocalteu reagent(Sigma-Aldrich, St. Louis, MO, USA) 50μL를 가하였다. 30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50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인 gallic acid(Sigma-Aldrich)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mg gallic acid equivalent(GAE)/g(dry basis)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추출물 250μL에 증류수 1mL와 5% NaNO₂75μL를 가한 다음, 5분 후 10% AlCl₃6H2O 150μL를 가하여 6분 방치하고 1 N NaOH 500μL를 가하였다. 11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510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catechin(Sigma-Aldrich)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mg catechin equivalent(CE)/g(dry basis)로 나타내었다. 총 탄닌 함량은 시료 용액 1mL에 95% ethanol 1mL과 증류수 1mL를 가하여 잘 흔들어 주고 5% Na2CO3 용액 1mL과 1 N Folin-ciocalteu reagent(Sigma-Aldrich) 0.5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60분간 발색시킨 다음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annic acid(Sigma-Aldrich)을 표준물질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mg tannic acid equivalent(TAE)/g(dry basis)로 나타내었다.
상기 볶음팥차 에탄올 추출물의 품종별 팥 볶음시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mg GAE/g) 변화를 측정한 결과 표 1과 같이 충주팥, 아라리, 칠보팥, 검구슬, 연금팥, 금실팥,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 원료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86, 4.45, 4.02, 5.44, 6.00, 5.59, 6.74, 6.93 및 6.24mg GAE/g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0분(각각 5.97, 7.57, 3.90, 5.44, 3.73, 7.06, 7.53, 9.01 및 8.56mg GAE/g)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6분에 각각 11.21, 9.17, 9.23, 9.09, 8.21, 10.70, 12.72, 9.60 및 10.59mg GAE/g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흰이팥 등 이팥류와 충주팥, 금실팥 등이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피색이 검은 칠보팥과 검구슬 또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시간 (분) |
볶음시간에 따른 팥 품종별 총 폴리페놀 함량(mg GAE/g) | ||||||||
충주팥 | 아라리 | 칠보팥 | 검구슬 | 연금팥 | 금실팥 | 절강성이팥 | 붉은이팥 | 흰이팥 | |
0 | 3.86 | 4.45 | 4.02 | 5.44 | 6.00 | 5.59 | 6.74 | 6.93 | 6.24 |
2 | 4.15 | 4.58 | 3.72 | 5.45 | 4.78 | 3.81 | 5.89 | 6.54 | 5.23 |
4 | 4.47 | 4.29 | 3.31 | 4.43 | 4.89 | 3.48 | 6.05 | 5.71 | 5.10 |
6 | 3.77 | 4.02 | 2.65 | 5.37 | 4.03 | 3.83 | 5.44 | 6.42 | 5.56 |
8 | 3.49 | 4.44 | 3.52 | 4.77 | 4.78 | 3.85 | 6.45 | 7.75 | 5.84 |
10 | 5.97 | 7.57 | 3.90 | 5.44 | 3.73 | 7.06 | 7.53 | 9.01 | 8.56 |
12 | 5.94 | 8.85 | 5.67 | 7.46 | 6.31 | 7.25 | 9.88 | 9.46 | 9.97 |
14 | 6.33 | 7.63 | 6.89 | 6.97 | 8.79 | 8.42 | 9.52 | 9.51 | 10.28 |
16 | 11.21 | 9.17 | 9.23 | 9.09 | 8.21 | 10.70 | 12.72 | 9.60 | 10.59 |
상기 볶음팥차 에탄올 추출물의 품종별 팥 볶음시간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CE/g) 변화를 측정한 결과 표 2와 같이 충주팥, 아라리, 칠보팥, 검구슬, 연금팥, 금실팥,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 원료곡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8, 1.53, 1.62, 1.91, 2.14, 1.46, 2.35, 3.06 및 3.43mg CE/g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10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금실팥 및 절강성이팥은 16분에 각각 2.15, 2.45, 2.27, 2.43 및 3.01mg CE/g, 연금,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4분에 각각 2.55, 2.88 및 3.26mg CE/g, 아라리는 10분에 2.52mg CE/g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흰이팥 등 이팥류와 종피색이 검은 칠보팥과 검구슬이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시간 (분) |
볶음시간에 따른 팥 품종별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CE/g) | ||||||||
충주팥 | 아라리 | 칠보팥 | 검구슬 | 연금팥 | 금실팥 | 절강성이팥 | 붉은이팥 | 흰이팥 | |
0 | 1.18 | 1.53 | 1.62 | 1.91 | 2.14 | 1.46 | 2.35 | 3.06 | 3.43 |
2 | 1.49 | 1.83 | 1.67 | 1.97 | 2.19 | 1.04 | 2.27 | 2.95 | 2.75 |
4 | 1.78 | 1.53 | 1.39 | 1.53 | 2.30 | 0.99 | 2.87 | 2.33 | 2.57 |
6 | 1.29 | 1.33 | 0.66 | 2.19 | 1.60 | 1.06 | 1.65 | 2.16 | 2.43 |
8 | 1.05 | 1.38 | 1.16 | 1.92 | 1.83 | 1.05 | 2.31 | 2.29 | 2.39 |
10 | 2.02 | 2.52 | 1.44 | 2.07 | 1.46 | 1.65 | 2.43 | 2.76 | 3.23 |
12 | 1.20 | 2.23 | 1.43 | 2.23 | 1.74 | 1.63 | 2.36 | 2.69 | 3.11 |
14 | 1.32 | 1.85 | 1.58 | 1.45 | 2.55 | 1.43 | 2.16 | 2.88 | 3.26 |
16 | 2.15 | 1.99 | 2.45 | 2.27 | 1.93 | 2.43 | 3.01 | 2.63 | 2.75 |
상기 볶음팥차 에탄올 추출물의 품종별 팥 볶음시간에 따른 총 탄닌 함량(mg TAE/g) 변화를 측정한 결과 표 3과 같이 충주팥, 아라리, 칠보팥, 검구슬, 연금팥, 금실팥,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 원료곡의 총 탄닌 함량은 각각 0.87, 1.06, 1.14, 1.59, 1.21, 1.41, 1.97, 2.50 및 2.40mg TAE/g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초기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10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금실팥 및 절강성이팥은 16분에 각각 2.44, 2.91, 2.52, 2.53 및 3.56mg TAE/g, 연금,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4분에 각각 2.59, 3.18 및 3.34mg TAE/g, 아라리는 12분에 2.52mg TAE/g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총 탄닌 함량은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흰이팥 등 이팥류와 종피색이 검은 칠보팥과 검구슬이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등 항산화성분 함량이 볶음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초기에 팥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들이 열에 의해 파괴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8~10분 이후 페놀성 화합물들이 증가하는 것은 마이얄반응과 카라멜반응 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폴리페놀 성분들이 생성되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볶음 시간 (분) |
볶음시간에 따른 팥 품종별 총 탄닌 함량(mg TAE/g) | ||||||||
충주팥 | 아라리 | 칠보팥 | 검구슬 | 연금팥 | 금실팥 | 절강성이팥 | 붉은이팥 | 흰이팥 | |
0 | 0.87 | 1.06 | 1.14 | 1.59 | 1.21 | 1.41 | 1.97 | 2.50 | 2.40 |
2 | 0.99 | 1.17 | 1.13 | 1.46 | 1.12 | 0.52 | 1.58 | 2.28 | 1.64 |
4 | 1.23 | 0.92 | 0.83 | 1.10 | 1.18 | 0.39 | 1.97 | 1.62 | 1.36 |
6 | 0.75 | 0.72 | 0.31 | 1.54 | 0.77 | 0.64 | 1.34 | 1.75 | 1.45 |
8 | 0.70 | 0.97 | 0.70 | 1.36 | 1.01 | 0.59 | 1.87 | 2.30 | 1.64 |
10 | 1.81 | 2.29 | 0.91 | 1.60 | 0.66 | 1.70 | 2.52 | 2.97 | 3.05 |
12 | 1.42 | 2.52 | 1.49 | 2.31 | 1.48 | 1.62 | 3.06 | 3.00 | 3.24 |
14 | 1.66 | 2.16 | 1.86 | 1.74 | 2.59 | 1.77 | 3.09 | 3.18 | 3.34 |
16 | 2.44 | 2.49 | 2.91 | 2.52 | 1.93 | 2.53 | 3.56 | 2.99 | 3.03 |
실험예
2 : 상기
볶음팥
티백차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검정
상기 볶음팥차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Aldrich) 및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igma-Aldrich) radical의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의 소거활성은 0.2mM DPPH용액(99.9% ethanol에 용해) 0.8mL에 시료 0.2mL를 첨가한 후 520nm에서 정확히 30분 후에 흡광도 감소치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의 소거활성은 ABTS 7.4mM과 potassium persulphate 2.6mM을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5nm에서 흡광도 값이 1.4-1.5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104 M-1cm-1)를 이용하여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용액 1mL에 추출액 50μL를 가하여 흡광도의 변화를 정확히 30분 후에 측정하였다. DPPH 및 ABTS radical의 소거활성은 mg TEAC(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g으로 표현하였다.
상기 볶음팥차 에탄올 추출물의 품종별 팥 볶음시간에 따른 DPPH radical 소거활성(mg TE/g)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표 4와 같이 충주팥, 아라리, 칠보팥, 검구슬, 연금팥, 금실팥,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 원료곡은 각각 2.96, 3.15, 4.87, 4.85, 3.72, 4.96, 4.66, 5.60 및 5.43mg TE/g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초기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10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금실팥 및 절강성이팥은 16분에 각각 6.62, 6.45, 6.00, 5.67 및 7.07mg TE/g, 연금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4분에 각각 6.13, 7.81 및 7.30mg TE/g, 아라리는 10분에 5.52mg TE/g으로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흰이팥 등 이팥류와 종피색이 검은 칠보팥과 검구슬, 노란색인 금실팥이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시간 (분) |
볶음시간에 따른 팥 품종별 DPPH radical 소거활성(mg TE/g) | ||||||||
충주팥 | 아라리 | 칠보팥 | 검구슬 | 연금팥 | 금실팥 | 절강성이팥 | 붉은이팥 | 흰이팥 | |
0 | 2.96 | 3.15 | 4.87 | 4.85 | 3.72 | 4.96 | 4.66 | 5.60 | 5.43 |
2 | 3.30 | 3.40 | 5.04 | 5.07 | 3.31 | 2.23 | 4.39 | 5.88 | 4.05 |
4 | 3.91 | 3.15 | 3.79 | 3.73 | 3.51 | 1.89 | 5.13 | 4.37 | 3.75 |
6 | 2.84 | 2.61 | 1.62 | 5.08 | 2.66 | 2.10 | 4.06 | 4.86 | 3.98 |
8 | 2.37 | 3.06 | 2.43 | 4.26 | 3.30 | 2.21 | 4.61 | 6.15 | 4.37 |
10 | 5.91 | 5.52 | 3.14 | 5.17 | 2.65 | 3.80 | 6.36 | 7.08 | 6.60 |
12 | 4.01 | 5.44 | 3.77 | 5.71 | 4.09 | 3.81 | 5.52 | 7.32 | 7.10 |
14 | 4.59 | 4.70 | 4.48 | 4.05 | 6.13 | 4.12 | 5.31 | 7.81 | 7.30 |
16 | 6.62 | 5.01 | 6.45 | 6.00 | 4.77 | 5.67 | 7.07 | 7.56 | 6.71 |
상기 볶음팥차 에탄올 추출물의 품종별 팥 볶음시간에 따른 ABTS radical 소거활성(mg TE/g)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표 5와 같이 충주팥, 아라리, 칠보팥, 검구슬, 연금팥, 금실팥,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 원료곡은 각각 8.28, 11.77, 11.36, 14.57, 9.78, 11.07, 10.74, 14.13 및 14.72mg TE/g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초기에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10분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금실팥 및 절강성이팥은 16분에 각각 16.74, 18.77, 16.70, 21.26 및 21.24mg TE/g, 연금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4분에 각각 16.60, 21.10 및 21.32mg TE/g, 아라리는 12분에 18.11mg TE/g으로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흰이팥 등 이팥류와 종피색이 검은 칠보팥과 검구슬, 노란색인 금실팥이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볶음 시간 (분) |
볶음시간에 따른 팥 품종별 ABTS radical 소거활성(mg TE/g) | ||||||||
충주팥 | 아라리 | 칠보팥 | 검구슬 | 연금팥 | 금실팥 | 절강성이팥 | 붉은이팥 | 흰이팥 | |
0 | 8.28 | 11.77 | 11.36 | 14.57 | 9.78 | 11.07 | 10.74 | 14.13 | 14.72 |
2 | 8.64 | 11.40 | 11.05 | 15.23 | 10.12 | 7.12 | 10.12 | 15.16 | 11.16 |
4 | 10.37 | 11.08 | 9.21 | 11.16 | 10.00 | 7.60 | 12.22 | 12.12 | 11.13 |
6 | 8.33 | 9.26 | 5.89 | 14.10 | 8.67 | 7.97 | 11.40 | 13.80 | 12.72 |
8 | 7.77 | 9.58 | 7.95 | 13.12 | 10.21 | 9.25 | 12.39 | 17.25 | 11.84 |
10 | 14.84 | 16.62 | 9.77 | 13.57 | 7.45 | 14.24 | 15.33 | 18.52 | 18.42 |
12 | 12.53 | 18.11 | 12.15 | 14.33 | 11.97 | 15.71 | 16.56 | 18.73 | 20.79 |
14 | 13.72 | 16.84 | 14.73 | 12.31 | 16.60 | 16.55 | 16.10 | 21.10 | 21.32 |
16 | 16.74 | 17.30 | 18.77 | 16.70 | 14.95 | 21.26 | 21.24 | 20.79 | 20.15 |
실험예
3 :
볶음팥
티백차
침출액의 색도 및 탁도 분석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볶음팥 티백차의 색도 및 탁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료 20g을 티백에 포장하여 끓인 증류수 500mL에 3분간 침출시킨 볶음팥 티백차 침출액을 분석하였다. 또한 붉은이팥과 절강성이팥 10g에 현미 10g을 혼합하여 티백을 만든 후 침출시켜 혼합차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침출액의 색도는 침출액을 색차계(CM-3500d,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명도를 나타내는 L값(lightness), 적색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a값(redness), 황색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b값(yellowness)으로 나타내었으며, 증류수와의 색차(△Eab)를 계산하였다. 색도측정에 있어 사용한 표준판의 색차값은 각각 98.9, -0.1 및 -0.36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UV-VIS Spectrophotometer(Multiskan Spectrum Microplate Photometers, 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를 이용하여 600nm에서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볶음팥 티백차 침출액의 품종별 팥 볶음시간에 따른 색도 및 탁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표 6과 같이 대조구로 사용한 현미차의 명도(L-value), 적색도(a-value), 황색도(b-value) 및 색차(△Eab)는 각각 38.46, -0.11, -0.52 및 60.43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팥 침출액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는 대체적으로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명도가 증가하는 것은 볶는 과정에서 전분이 호화되어 용출이 잘되지 않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고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가 증가하는 것은 볶은 과정에서 팥이 갈변되어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붉은이팥과 절강성이팥에 현미를 첨가한 침출액의 경우 명도는 증가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는 현미차의 경우 0.008로 낮은 값을 보였고 팥차의 경우 0.017~0.079로 현미차보다는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붉은이팥과 절강성이팥에 현미를 첨가한 침출액의 경우는 0.020~0.024로 현미차에 비해 높았으나 다른 품종의 팥차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 | 볶음시간(분) | 명도(L-value) | 적색도(a-value) | 황색도(b-value) | △Eab | 탁도 |
현미차 | 38.46 | -0.11 | -0.52 | 60.43 | 0.008 | |
충주팥 | 10 | 36.35 | 0.00 | 4.72 | 62.75 | 0.034 |
12 | 34.18 | 0.97 | 7.86 | 65.25 | 0.057 | |
14 | 33.37 | 1.48 | 9.31 | 66.25 | 0.074 | |
아라리 | 10 | 35.51 | 0.43 | 6.60 | 63.77 | 0.044 |
12 | 33.76 | 1.33 | 8.88 | 65.81 | 0.059 | |
14 | 34.39 | 0.99 | 8.58 | 65.13 | 0.053 | |
칠보팥 | 10 | 37.71 | 0.02 | 0.54 | 61.20 | 0.023 |
12 | 35.83 | 0.44 | 4.94 | 63.29 | 0.057 | |
14 | 33.51 | 1.57 | 8.72 | 66.04 | 0.075 | |
검구슬 | 10 | 36.05 | 0.43 | 4.04 | 63.00 | 0.046 |
12 | 34.03 | 1.35 | 7.73 | 65.38 | 0.058 | |
14 | 33.74 | 1.46 | 8.64 | 65.79 | 0.065 | |
연금팥 | 10 | 37.86 | 0.04 | 0.48 | 61.05 | 0.017 |
12 | 33.98 | 1.37 | 8.10 | 65.48 | 0.077 | |
14 | 33.10 | 1.80 | 9.12 | 66.51 | 0.079 | |
금실팥 | 10 | 35.09 | 0.68 | 7.24 | 64.26 | 0.048 |
12 | 34.65 | 0.91 | 7.77 | 64.77 | 0.048 | |
14 | 33.65 | 1.49 | 9.12 | 65.95 | 0.066 | |
절강성이팥 | 10 | 34.35 | 0.84 | 9.81 | 65.35 | 0.047 |
12 | 34.04 | 1.08 | 9.57 | 65.63 | 0.052 | |
14 | 35.05 | 0.47 | 8.68 | 64.48 | 0.040 | |
붉은이팥 | 10 | 33.76 | 1.22 | 9.87 | 65.95 | 0.059 |
12 | 33.05 | 1.76 | 10.30 | 66.73 | 0.068 | |
14 | 34.44 | 0.79 | 8.92 | 65.12 | 0.046 | |
흰이팥 | 10 | 34.53 | 0.95 | 8.82 | 65.03 | 0.047 |
12 | 33.53 | 1.58 | 9.63 | 66.15 | 0.063 | |
14 | 33.35 | 1.71 | 9.44 | 66.30 | 0.061 | |
붉은이팥 +현미차 |
12 | 36.26 | 0.03 | 5.98 | 62.96 | 0.024 |
14 | 36.49 | -0.13 | 5.51 | 62.68 | 0.020 | |
절강성이팥 +현미차 |
12 | 36.22 | -0.03 | 6.33 | 63.03 | 0.024 |
14 | 36.54 | -0.12 | 5.65 | 62.64 | 0.021 |
실험예
4 : 상기
볶음팥
티백차
침출액의 관능평가
상기 볶음팥 티백차에 대한 관능검사는 훈련된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현미차를 대조구로 7점 기호척도법을 이용하여 매우 좋다는 3점, 매우 나쁘다는 -3점으로 채점하여 색,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항목에 대해 현미차를 대조구로 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볶음팥 티백차 침출액의 품종별 팥 볶음시간에 따른 관능평가의 변화 결과 표 7과 같이 종피색이 붉은 계열인 충주팥과 아라이의 경우 볶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색과 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10분에서 0.52 및 0.86으로 높은 값을 얻었다. 종피색이 검은 계열인 칠보팥과 검구슬은 대체적으로 볶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색, 향, 맛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각각 14분과 12분에서 0.70 및 0.76으로 높은 값을 얻었다. 종피색이 녹색인 연금팥과 노란색인 금실팥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각각 12분과 10분에서 1.05로 높은 값을 얻었다. 이팥류의 전체적인 기호도는 절강성이팥의 경우 14분(0.30)에, 흰이팥은 10분(1.47)에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붉은이팥은 10분에 2.3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붉은이팥과 절강성이팥을 혼합하여 혼합차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12분에 각각 전체적인 기호도가 1.35 및 1.30으로 절강성이팥은 현미와 혼합할 경우 관능적 특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붉은이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품종 | 볶음시간(분) | 색 | 향 | 맛 | 전체적인 기호도 |
충주팥 | 10 | 0.90 | 0.43 | 0.38 | 0.52 |
12 | 0.90 | 0.38 | 0.00 | 0.19 | |
14 | 1.05 | 0.45 | 0.20 | 0.50 | |
아라리 | 10 | 1.38 | 0.67 | 0.52 | 0.86 |
12 | 1.10 | 0.29 | 0.19 | 0.52 | |
14 | 1.35 | 0.80 | 0.55 | 0.80 | |
칠보팥 | 10 | 0.11 | -0.26 | -0.32 | -0.32 |
12 | 0.45 | 0.50 | 0.20 | 0.15 | |
14 | 1.05 | 0.60 | 0.45 | 0.70 | |
검구슬 | 10 | 0.33 | 0.25 | 0.24 | 0.38 |
12 | 1.05 | 0.67 | 0.48 | 0.76 | |
14 | 1.10 | 0.30 | 0.65 | 0.65 | |
연금팥 | 10 | 0.11 | 0.16 | 0.11 | 0.11 |
12 | 1.70 | 1.10 | 0.80 | 1.05 | |
14 | 0.65 | 0.40 | 0.15 | 0.40 | |
금실팥 | 10 | 1.43 | 0.81 | 0.95 | 1.05 |
12 | 1.24 | 0.62 | 0.62 | 0.57 | |
14 | 0.80 | 0.35 | 0.30 | 0.65 | |
절강성이팥 | 10 | 1.29 | -0.10 | -0.05 | 0.14 |
12 | 1.10 | -0.10 | -0.48 | -0.19 | |
14 | 1.20 | 0.20 | 0.15 | 0.30 | |
붉은이팥 | 10 | 1.33 | 0.63 | 0.95 | 2.32 |
12 | 1.00 | -0.35 | -0.40 | -0.25 | |
14 | 1.40 | 0.15 | 0.20 | 0.75 | |
흰이팥 | 10 | 1.72 | 1.11 | 1.11 | 1.47 |
12 | 1.25 | 0.35 | 0.45 | 0.70 | |
14 | 0.80 | -0.20 | -0.45 | 0.10 | |
붉은이팥 +현미차 |
12 | 1.79 | 1.05 | 1.05 | 1.35 |
14 | 1.50 | 1.10 | 0.70 | 1.05 | |
절강성이팥 +현미차 |
12 | 1.50 | 1.05 | 0.90 | 1.30 |
14 | 1.10 | 0.90 | 0.65 | 0.90 |
실험예
5 : 상기
볶음팥
티백차
침출액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상기 볶음팥 티백차 일회분에 해당하는 침출액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표 8과 같이 나타났다. 대조구로 사용한 현미차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은 각각 6.23μg GAE/100mL, 3.30μg CE/100mL 및 3.66μg TAE/100mL으로 나타났으며, 10~14분간 볶은 팥을 침출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및 금실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14분에 각각 23.89, 15.01, 24.27 및 23.81μg GAE/100mL으로 나타났고 아라리,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0분에 각각 22.11, 21.71, 24.08 및 24.71μg GAE/100mL으로 나타났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금팥은 12분에 26.55μg GAE/100mL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및 금실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14분에 각각 8.73, 7.99, 13.27 및 10.32μg CE/100mL으로 나타났고 아라리,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0분에 각각 12.02, 12.54, 12.24 및 15.10μg CE/100mL으로 나타났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금팥은 12분에 14.32μg CE/100mL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탄닌 함량은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및 금실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14분에 각각 11.05, 10.48, 12.53 및 11.37μg TAE/100mL으로 나타났고 아라리,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0분에 각각 11.19, 14.60, 14.51 및 13.90μg TAE/100mL으로 나타났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금팥은 12분에 13.44μg TAE/100mL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 | 볶음시간 (분) |
총 폴리페놀 함량 (μg GAE/100mL)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μg CE/100mL) |
총 탄닌 함량 (μg TAE/100mL) |
현미 | 6.23 | 3.30 | 3.66 | |
충주팥 | 10 | 16.55 | 7.71 | 7.48 |
12 | 15.94 | 8.74 | 9.84 | |
14 | 23.89 | 8.73 | 11.05 | |
아라리 | 10 | 22.11 | 12.02 | 11.19 |
12 | 19.39 | 9.53 | 10.32 | |
14 | 17.97 | 9.13 | 9.64 | |
칠보팥 | 10 | 13.83 | 6.81 | 5.89 |
12 | 14.45 | 7.86 | 8.26 | |
14 | 15.01 | 7.99 | 10.48 | |
검구슬 | 10 | 15.38 | 9.74 | 10.13 |
12 | 21.16 | 10.68 | 12.15 | |
14 | 24.27 | 13.27 | 12.53 | |
연금팥 | 10 | 16.16 | 9.04 | 5.68 |
12 | 26.55 | 14.32 | 13.44 | |
14 | 15.57 | 9.95 | 10.89 | |
금실팥 | 10 | 17.51 | 8.93 | 11.23 |
12 | 17.09 | 9.27 | 10.74 | |
14 | 23.81 | 10.32 | 11.37 | |
절강성이팥 | 10 | 21.71 | 12.54 | 14.60 |
12 | 19.62 | 10.22 | 11.56 | |
14 | 13.95 | 8.68 | 8.97 | |
붉은이팥 | 10 | 24.08 | 12.24 | 14.51 |
12 | 21.62 | 12.09 | 10.36 | |
14 | 12.96 | 8.19 | 9.81 | |
흰이팥 | 10 | 24.71 | 15.10 | 13.90 |
12 | 19.28 | 14.57 | 13.39 | |
14 | 21.11 | 12.69 | 13.83 |
상기 볶음팥 티백차 침출액 중 10~14분간 볶은 팥을 침출하여 침출액의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도 2와 같이 나타났다. 대조구로 사용한 현미차의 DPPH 및 ABTS radical은 각각 44.21 및 22.66mg TE/100mL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및 금실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14분에 각각 477.13, 417.77, 612.75 및 510.97mg TE/100mL으로 나타났고 아라리,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0분에 각각 618.87, 597.12, 635.91 및 688.73mg TE/100mL으로 나타났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금팥은 12분에 728.25mg TE/100mL로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충주팥, 칠보팥, 검구슬 및 금실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14분에 각각 393.76, 353.84, 467.81 및 362.16mg TE/100mL으로 나타났고 아라리,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은 10분에 각각 439.44, 406.58, 451.67 및 460.77mg TE/100mL으로 나타났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금팥은 12분에 488.72mg TE/100mL로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침출액과 80%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이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추출을 실시한 시료의 분쇄정도(침출액은 조분쇄, 80% 에탄올 추출물은 핀밀분쇄)가 다르고 추출용매(침출액은 물 추출)가 달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붉은이팥과 절강성이팥에 현미를 혼합한 혼합차 침출액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변화의 경우 표 9와 같이 12분 볶은 붉은이팥과 절강성이팥에 현미를 혼합한 처리에서 총 폴리페놀은 각각 15.15 및 16.07μg GAE/100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26 및 6.85μg CE/100mL, 총 탄닌 함량은 각각 4.64 및 7.61μg TAE/100mL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241.04 및 207.48mg TE/100mL,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194.49 및 197.99mg TE/100mL의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처리명 | 볶음 시간 (분) |
총 폴리페놀 함량 (μg GAE/100mL)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μg CE/100mL) |
총 탄닌 함량 (μg TAE/100mL) |
Radical 소거활성 (mg TE/100mL) |
|
DPPH | ABTS | |||||
붉은이팥 +현미차 |
12 | 15.15 | 6.26 | 4.64 | 241.04 | 194.49 |
14 | 13.72 | 5.61 | 5.76 | 154.98 | 163.49 | |
절강성이팥 +현미차 |
12 | 16.07 | 6.85 | 7.61 | 207.48 | 197.99 |
14 | 14.97 | 6.42 | 6.82 | 189.34 | 178.31 |
따라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볶음팥 티백차는 팥을 일정온도 및 일정시간 동안 볶아서 분말화하여 얻은 볶음팥 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침출차에 비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볶음팥 음료의 제조가 가능하며, 기타 품질 및 상품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 팥을 150 ~ 250℃의 온도에서 1 ~ 20분 동안 볶아서 분쇄하여 얻은 볶음팥 분쇄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팥 추출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팥은 충주팥, 중부팥, 경원팥, 새길팥, 홍언팥, 아라리팥, 중원팥, 칠보팥, 검구슬팥, 연금팥, 금실팥, 절강성이팥, 붉은이팥 및 흰이팥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팥 추출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팥 추출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팥 분쇄물은 형태가 분말상이며, 분말두께가 0.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팥 추출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팥 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팥 추출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활성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으로 이루어진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팥 추출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활성은 DPPH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팥 추출물.
-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볶음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티백은 기공을 가진 종이, 면포,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볶음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음료.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팥 추출물은 용해, 현탁 및 침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음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2553A KR101429232B1 (ko) | 2012-07-27 | 2012-07-27 |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2553A KR101429232B1 (ko) | 2012-07-27 | 2012-07-27 |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5968A KR20140015968A (ko) | 2014-02-07 |
KR101429232B1 true KR101429232B1 (ko) | 2014-08-13 |
Family
ID=5026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2553A KR101429232B1 (ko) | 2012-07-27 | 2012-07-27 |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923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815A (ko) * | 2017-11-28 | 2019-06-05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디자인농부 |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는 팥차의 제조방법 |
KR20220048772A (ko) | 2020-10-13 | 2022-04-20 | (주)화인에프티 | 볶음팥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
KR20240040396A (ko) | 2022-09-21 | 2024-03-28 | 김길회 | 적소두를 이용한 커피 대용물 및 그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3992B1 (ko) * | 2017-10-30 | 2019-06-27 |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 단계별 로스팅 공정을 활용한 팥 추출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40058468A (ko) | 2022-10-26 | 2024-05-03 | 농업회사법인 열매선 주식회사 | 팥을 주재료로 하는 팥차와 그 제조방법 |
-
2012
- 2012-07-27 KR KR1020120082553A patent/KR101429232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무한노력, 볶은 곡식 속에 숨어 있는 비밀, 다음 블로그 빛누리(2010.11.07.) * |
무한노력, 볶은 곡식 속에 숨어 있는 비밀, 다음 블로그 빛누리(2010.11.07.)* |
오혜숙 외, 팥과 녹두의 이소플라빈 함량과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 한국조리과학회지, 제19권, 제3호, pp.263-270(2003.06.) * |
오혜숙 외, 팥과 녹두의 이소플라빈 함량과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 한국조리과학회지, 제19권, 제3호, pp.263-270(2003.06.)*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815A (ko) * | 2017-11-28 | 2019-06-05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디자인농부 |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는 팥차의 제조방법 |
KR102059080B1 (ko) * | 2017-11-28 | 2019-12-24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디자인농부 |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는 팥차의 제조방법 |
KR20220048772A (ko) | 2020-10-13 | 2022-04-20 | (주)화인에프티 | 볶음팥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
KR20240040396A (ko) | 2022-09-21 | 2024-03-28 | 김길회 | 적소두를 이용한 커피 대용물 및 그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5968A (ko) | 2014-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9232B1 (ko) |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팥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팥 티백 및 기능성 볶음팥 음료 | |
De-Heer | Formula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herb tea from Moringa oleifera, Hibiscus sabdariffa and Cymbopogon citratus | |
KR101817282B1 (ko) | 간기능 개선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새싹보리 혼합 음료의 제조방법 | |
KR101798441B1 (ko) | 기능성 맥아와 유색 현미를 이용한 유색 식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색 식혜 | |
AU1545599A (en) | Mixed fine powder for beverage containing young barley leaves, alfalfa and/or kale | |
KR102136531B1 (ko) | 메밀이 함유된 기능성 드립백 커피의 제조방법 | |
KR101484636B1 (ko) |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수수의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볶음수수 티백 및 기능성 볶음수수 음료 | |
KR102059080B1 (ko) |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는 팥차의 제조방법 | |
CN105053389A (zh) | 一种藿香薄荷茶及其制备方法 | |
KR102002080B1 (ko) | 감, 잡곡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 |
KR20120122755A (ko) | 기능성 식품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변 개선용 식품 조성물 | |
KR102346505B1 (ko) | 항산화 기능성을 갖는 생대추 혼합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09469B1 (ko) | 한방 소재가 포함된 조미 소금과 이를 활용한 조미 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403355B1 (ko) | 민들레 꽃 식혜의 제조방법 | |
KR101467269B1 (ko) | 개똥쑥잎을 이용한 차 음료 제조방법 | |
KR102087291B1 (ko) | 아로니아 두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42010B1 (ko) |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
KR101674403B1 (ko) | 패션프루츠 과육과 잎을 함유하는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
CN105028821A (zh) | 一种苦丁决明茶及其制备方法 | |
KR20160048362A (ko) |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와송과 꾸지뽕 혼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 |
KR101929630B1 (ko) | 팥을 포함하는 후레이크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92371B1 (ko) | 팥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83075B1 (ko) | 복령을 함유하는 기능성 차 음료의 제조방법 | |
Ubbor et al. | Produc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herbal tea from moringa Leaves and lemon peel powder | |
KR20120110944A (ko) | 혼합 마테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