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731B1 -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731B1
KR101428731B1 KR1020120064366A KR20120064366A KR101428731B1 KR 101428731 B1 KR101428731 B1 KR 101428731B1 KR 1020120064366 A KR1020120064366 A KR 1020120064366A KR 20120064366 A KR20120064366 A KR 20120064366A KR 101428731 B1 KR101428731 B1 KR 101428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collection
vehicle
information
image
household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170A (ko
Inventor
김기진
Original Assignee
(주) 오토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오토이노텍 filed Critical (주) 오토이노텍
Priority to KR102012006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731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부착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 투입에 필요한 자료 및 민원 발생시 증거 자료(동영상, 이미지)를 수집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수거노선, 수거시간, 수거회수 등 생활쓰레기의 수거, 운반을 체계화시켜, 현재 차량 위치에 의한 차량 주행속도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을 투입하기 위한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노선에 기반하여 생활쓰레기를 수거하고, 구비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과,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집되어 수신되는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위치에 의한 차량 주행속도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생활쓰레기 수거를 통합 관리하고, 생활쓰레기 수거 관련 민원의 증거자료를 보관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life garbag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쓰레기의 수거 및 처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부착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차량 투입에 필요한 자료 및 민원 발생시 증거 자료(영상)를 수집하여, 현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위치에 의한 차량 주행속도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을 투입하기 위한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 및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는 최근 인구증가, 도시화,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급격히 발생량이 증가되어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 발생량의 증가에 따른 관리대책으로는 발생원의 감축, 수거 및 운반의 체계화, 소각시설의 설치, 쓰레기의 자원화 등으로 대별할 수가 있으며, 이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실시 중인 규격봉투에 의한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 발생원의 감축을 위한 방안으로 마련된 것이다.
환경부 폐기물 정책과에서 통계를 낸 종량제 월별 추진실적을 살펴보면, 95년 1월 1일 쓰레기 종량제가 전국 실시되면서 일일 배출량이 3만5천1백16통으로 전년대비 34.4%이상 크게 줄었으며, 재활용품의 배출량은 월 33만4천 톤으로 39.8%의 기록적인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쓰레기 종량제를 시행하고 있음에도 생활쓰레기 수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첫째, 쓰레기 수거를 담당하는 용역회사와 행정 관청 사이가 오프라인 상태이므로 모든 정보 전달을 서류에 의존하였다. 이로써 관리 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으며, 또한 수거노선, 수거시간, 수거회수 등에 대한 신속 및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웠다.
둘째, 쓰레기가 일정 주기로 수거되므로 노상 방치로 인하여 악취 등의 공해요소가 발생되며, 곤충 기생에 의한 병균 발생의 우려가 높고, 쓰레기 배출량이 가변되는 지역에서는 쓰레기 수거에 따른 민원발생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이 일정 시간대에 집중 운용되므로 쓰레기 매립지 부근에서 교통체증이 유발됨에 따라, 지역별로 쓰레기 수거에 시간적 차이가 발생되며, 또한 현재 진행 상황과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처리 분량 파악이 어려워 쓰레기 수거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부착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 투입에 필요한 자료 및 민원 발생시 증거 자료(동영상, 이미지)를 수집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수거노선, 수거시간, 수거회수 등 생활쓰레기의 수거, 운반을 체계화시켜, 현재 차량 위치에 의한 차량 주행속도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을 투입하기 위한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집된 자료를 관리서버 측으로 송신할 때, 지정된 특정지역(쓰레기 수거지, 차고 등) 내에서 통신료가 저렴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에 따른 유지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특징은 차량의 주행노선에 기반하여 생활쓰레기를 수거하고, 구비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과,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집되어 수신되는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위치에 의한 차량 주행속도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생활쓰레기 수거를 통합 관리하고, 생활쓰레기 수거 관련 민원의 증거자료를 보관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은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송신하고, 영상 정보의 경우 지정된 특정지역 내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연동되는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 외부에 부착되어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와, GPS 위성으로부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와 속도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궤적을 연산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GPS 수신부에서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추출하여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쓰레기 수거에 관련된 지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단말기는 운전자가 외부에서 설정된 내용의 선택 및 변경, 관리서버에서 수신된 지시내용 확인, 관리서버로 위험 또는 응급상황 발생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집된 현재 위치 좌표와 속도신호 및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을 이용하여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 쓰레기 수거위치 및 수거시간에 따른 차량의 주행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정보 추출부와, 상기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 중 촬영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에 따른 주행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영상 추출부와, 상기 관리서버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연동되는 네트워크 망에서의 인증, 키 교환 및 데이터 암호화를 설정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연동부와, 상기 주행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주행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에서 연동된 네트워크 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주행정보 전송부와,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에서 추출된 주행영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에서 연동된 네트워크 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주행영상 전송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정보, 주행영상, 관리서버에서 수신되는 알람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정보, 영상정보,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이 지정된 특정지역에 진입하게 되면,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미리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제 1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는 GPS 수신기에 의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제 1 저장부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쓰레기 수거위치를 서로 비교하여 차량의 특정지역 내의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는 지정된 특정지역과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 간에 단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통한 상호간의 송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특정지역내의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차량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망을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영상 정보 송신을 위한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람정보는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의 색상 또는 음영 변화를 통한 깜빡임을 제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서버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현재 주행 위치 및 주행속도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신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의 주행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현재 주행 위치를 차량별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노선, 수거시간, 및 생활쓰레기 수거지역을 서로 매칭시키는 주행노선 매칭부와, 상기 주행노선 매칭부에서 매칭된 주행노선에 따른 현재 차량의 현재 주행위치 및 주행속도를 이용하여 생활쓰레기 수거지역별 수거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수거가능 시간 산출부와, 상기 주행노선 매칭부에서 매칭된 주행노선에 따른 현재 차량의 현재 주행위치와의 매칭을 통해 노선 이탈, 노선 변경, 쓰레기 미수거, 수거시간 지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의 미전송, 위험 또는 응급상황을 포함하는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송신하는 알람 출력부와, 상기 알람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알람정보 외에 쓰레기 수거에 관련하여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지시 내용을 송신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이 서로 연계를 통해 상호 보완함으로써,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수거노선, 수거시간, 수거회수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차량그룹 정보 관리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차량정보, 주행노선, 현재위치,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송신된 지시 정보 및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노선정보, 차량정보, 영상정보, 위치정보,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방법의 특징은 차량의 주행노선에 기반하여 생활쓰레기를 수거하고, 구비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집되어 수신되는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위치에 의한 차량 주행속도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생활쓰레기 수거를 통합 관리하고, 생활쓰레기 수거 관련 민원의 증거자료를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든 정보 전달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므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수거노선, 수거시간, 수거회수 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쓰레기 수거에 있어 신속 및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둘째, 쓰레기 배출량이 가변되는 지역에서도 그 수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이 서로 효율적인 연계를 통해 상호 보완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인 쓰레기 수거잡업이 가능하다.
셋째,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부착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생활쓰레기 수거에 따른 민원 발생시 증거 자료(동영상, 이미지)를 수집함에 따라, 쓰레기 수거에 따른 민원발생 시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넷째, 지정된 특정지역(쓰레기 수거지, 차고 등) 내에서 통신료가 저렴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집된 자료를 관리서버 측으로 일괄적으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에 따른 유지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도 1의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1의 제 1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정보, 주행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화면
도 4 는 도 1의 관리서버(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1의 제 2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지도(맵), 주행정보, 차량위치, 주행노선, 차량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화면
도 6 은 도 1의 제 2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영상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화면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노선에 기반하여 생활쓰레기를 수거하고, 구비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망(200)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과,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서 수집되어 수신되는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이용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수거노선, 수거시간, 수거회수 등 현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의 위치에 의한 차량 주행속도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생활쓰레기의 수거 및 운반을 체계화시켜, 생활쓰레기 수거를 통합 관리하고, 생활쓰레기 수거 관련 민원의 증거자료를 보관하는 관리서버(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망(200)은 이동통신망(WCDMA),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은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는 일정한 주기 또는 일정한 주행 간격마다 관리서버(300)로 송신하고, 상기 영상 정보는 데이터 량이 많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데 있어 전송 트래픽, 통신비용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정된 특정지역(쓰레기 수거지, 차고 등) 내에서 통신료가 저렴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네트워크 망(200)을 연계하여 일괄적으로 송신하여 전송 트래픽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처럼 전송 트래픽 제어를 통해 데이터 량이 많은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네트워크의 보호, 성능 유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패킷의 흐름 또는 그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도 1의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전방 카메라(110a) 및 후방 카메라(110b)와, GPS 수신부(120)와, 차량 단말기(1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 외부에 부착되어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110a) 및 후방 카메라(110b)와, GPS 위성으로부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의 현재 위치 좌표와 속도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궤적을 연산하는 GPS 수신부(120)와, 상기 전방 카메라(110a) 및 후방 카메라(110b), GPS 수신부(120)에서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추출하여 네트워크 망(200)을 이용하여 관리서버(300)로 송신하고,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쓰레기 수거에 관련된 지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 단말기(130)는 입력부(131)와, 주행정보 추출부(132)와, 주행영상 추출부(133)와, 네트워크 연동부(134)와, 주행정보 전송부(135)와, 주행영상 전송부(136)와, 제 1 표시부(137)와, 제 1 저장부(13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차량 단말기(130)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운전자가 외부에서 설정된 내용(주행노선, 영상촬영 등)의 선택 및 변경, 관리서버(300)에서 수신된 지시내용 확인, 관리서버(300)로 위험 또는 응급상황 발생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31)와, GPS 수신부(120)를 통해 수집된 현재 위치 좌표와 속도신호 및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을 이용하여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 쓰레기 수거위치 및 수거시간에 따른 차량의 주행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정보 추출부(132)와, 전방 카메라(110a) 및 후방 카메라(110b)에서 수집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 중 촬영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쓰레기 수거 전, 후의 영상 또는 이미지)에 따른 주행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영상 추출부(133)와, 관리서버(300)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연동되는 네트워크 망에서의 인증, 키 교환 및 데이터 암호화 등을 설정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연동부(134)와, 상기 주행정보 추출부(132)에서 추출된 주행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134)에서 연동된 네트워크 망(20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주행정보 전송부(135)와,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132)에서 추출된 주행영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134)에서 연동된 네트워크 망(200)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주행영상 전송부(136)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정보, 주행영상, 관리서버(300)에서 수신되는 알람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137)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의 주행정보, 영상정보,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13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133)는 영상 정보의 경우 데이터 량이 많아 지정된 특정지역(쓰레기 수거지, 차고 등) 내에서만 관리서버(300)로 일괄적으로 전송하여 전송 트래픽을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주행영상 추출부(133)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이 지정된 특정지역에 진입하게 되면, 전방 카메라(110a) 및 후방 카메라(110b)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미리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제 1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일괄적으로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지정된 특정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전방 카메라(110a) 및 후방 카메라(110b)를 제어하여 주변영상의 촬영을 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촬영만을 수행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 1 저장부(138)에 저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133)에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이 지정된 특정지역에 진입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은 GPS 수신기(120)에 의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제 1 저장부(138)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쓰레기 수거위치를 서로 비교하여 차량의 특정지역내의 진입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특정지역과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 간에 RFID 모듈과 같은 단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통한 상호간의 송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특정지역내의 진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134)는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133)를 통해 영상 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경우에, 네트워크의 보호, 성능 유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등)을 통한 가장 최적의 네트워크 망(200)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연동부(134)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차량 단말기(130)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망(와이브로)을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영상 정보 송신을 위한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한다.
또한, 상기 제 1 표시부(137)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맵) 상에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 쓰레기 수거위치 및 수거시간을 표시하는 주행정보 표시부(137a)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 중 촬영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쓰레기 수거 전, 후의 영상 또는 이미지)을 표시하는 주행영상 표시부(137b)와, 관리서버(300)에서 수신되는 알람정보, 즉 노선 이탈, 노선 변경, 쓰레기 미수거, 다른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노선에 미수거된 쓰레기 수거 지시, 수거시간 지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의 미전송, 위험 또는 응급상황 등을 표시하는 알람 표시부(137c)를 포함한다. 도 3 은 제 1 표시부(137)에서 표시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정보(137a), 주행영상(137b)을 표시하고 있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한편, 제 1 표시부(137)에서 표시되는 알람정보는 제 1 표시부(137)의 별도의 화면창에 알람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지만,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의 색상(음영)변화를 통한 깜빡임을 제공하여 노선 이탈, 또는 쓰레기 미수거 등의 발생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알림정보는 제 1 표시부(137)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음향을 통해 발생을 알릴 수도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저장부(138)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 쓰레기 수거위치 및 수거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주행정보 DB(138a)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 중 촬영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쓰레기 수거 전, 후의 영상 또는 이미지)을 저장하는 영상정보 DB(138b)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맵)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DB(138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저장부(138)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매체(예: CD-ROM, DVD), 디지털 저장매체(예: USB 메모리, 메모리 카드(SD, CF, MS, X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방 카메라(110a), 후방 카메라(110b), GPS 수신부(120) 및 차량 단말기(130)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고 있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은 상기 전방 카메라(110a) 및 후방 카메라(110b), GPS 수신부(120) 및 차량 단말기(130)가 모두 부착된 상태인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으로 통칭하여 설명하고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 관리서버(300)와의 송수신 및 통합관리를 위한 정보를 하거나 제공받기 위한 수단이 함께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는 도 1의 관리서버(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위치정보 수신부(310)와, 영상정보 수신부(320)와, 주행노선 매칭부(330)와, 수거가능 시간 산출부(340)와, 알람 출력부(350)와, 차량그룹 정보 관리부(360)와, 제 2 표시부(370)와, 제 2 저장부(38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관리서버(300)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현재 주행 위치 및 주행속도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310)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서 수신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쓰레기 수거 전, 후의 영상 또는 이미지)의 주행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부(320)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310)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현재 주행 위치를 차량별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노선, 수거시간, 및 생활쓰레기 수거지역을 서로 매칭시키는 주행노선 매칭부(330)와, 상기 주행노선 매칭부(300)에서 매칭된 주행노선에 따른 현재 차량의 현재 주행위치 및 주행속도를 이용하여 생활쓰레기 수거지역별 수거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수거가능 시간 산출부(340)와, 상기 주행노선 매칭부(300)에서 매칭된 주행노선에 따른 현재 차량의 현재 주행위치와의 매칭을 통해 노선 이탈, 노선 변경, 쓰레기 미수거, 수거시간 지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의 미전송, 위험 또는 응급상황 등에 따른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송신하는 알람 출력부(350)와, 상기 알람 출력부(350)에서 출력되는 알람정보 외에 쓰레기 수거에 관련하여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지시 내용 등을 송신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이 서로 효율적인 연계를 통해 상호 보완함으로써,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수거노선, 수거시간, 수거회수 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하는 차량그룹 정보 관리부(360)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차량정보, 주행노선, 현재위치,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 송신된 지시 정보 및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370)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노선정보, 차량정보, 영상정보, 위치정보,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38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표시부(370)는 통합 관리하는 생활쓰레기 수거지역의 전체 지도(맵)를 표시하는 지도(맵) 표시부(371)와, 상기 지도(맵) 표시부(371)에서 표시하는 지도(맵) 상에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 및 쓰레기 수거위치를 표시하는 주행정보 표시부(372)와, 상기 지도(맵) 표시부(371)에서 표시하는 지도(맵) 상에 위치정보 수신부(310)를 통해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현재 주행 위치를 표시하는 차량 위치 표시부(373)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주행노선 표시부(374)와, 영상정보 수신부(320)를 통해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서 수신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쓰레기 수거 전, 후의 영상 또는 이미지)의 주행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정보 표시부(375)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차량번호, 현재 주행 위치, 수거시간(출발시간, 도착예정시간 등)을 표시하는 주행정보 표시부(376)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100)에 송신한 지시정보, 즉 노선 이탈, 노선 변경, 쓰레기 미수거, 다른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노선에 미수거된 쓰레기 수거 지시, 수거시간 지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의 미전송, 위험 또는 응급상황 등에 따른 알람정보와, 쓰레기 수거에 관련하여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지시 내용 등을 표시하는 지시정보 표시부(37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표시부(370)는 구역별, 개별 노선별, 개별 차량별, 맵 전체 노선별, 텍스트 전체 노선별로 분류하여 제공된다. 상기 지시 내용의 일예로서, 다른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노선에 미수거된 쓰레기를 대신 수거하도록 가장 가까운 다른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내리는 지시 등을 말한다.
도 5 는 제 2 표시부(370)에서 표시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지도(맵)(371), 주행정보(372), 차량위치(373), 주행노선(374), 차량정보(376)를 표시하고 있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화면이고, 도 6 은 제 2 표시부(370)에서 표시되는 영상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화면이다.
또한, 상기 제 2 저장부(380)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 및 쓰레기 수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노선 정보 DB(381)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정보, 즉 차량번호, 운전자 및 조수자 정보, 행선지, 수거횟수 등을 저장하는 차량 정보 DB(382)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수신되는 주행 중 촬영된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쓰레기 수거 전, 후의 영상 또는 이미지)을 저장하는 영상정보 DB(383)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수신되는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DB(384)와, 통합 관리하는 생활쓰레기 수거지역의 전체 지도(맵)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DB(38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저장부(380)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매체(예: CD-ROM, DVD), 디지털 저장매체(예: USB 메모리, 메모리 카드(SD, CF, MS, X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차량의 주행노선에 기반하여 생활쓰레기를 수거하고, 구비된 GPS 및 카메라를 통해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수집하여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과,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집되어 수신되는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위치에 의한 차량 주행속도 및 진행 상태를 파악하여 생활쓰레기 수거를 통합 관리하고, 생활쓰레기 수거 관련 민원의 증거자료를 보관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관리서버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현재 주행 위치 및 주행속도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신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의 주행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현재 주행 위치를 차량별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노선, 수거시간, 및 생활쓰레기 수거지역을 서로 매칭시키는 주행노선 매칭부와,
    상기 주행노선 매칭부에서 매칭된 주행노선에 따른 현재 차량의 현재 주행위치 및 주행속도를 이용하여 생활쓰레기 수거지역별 수거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수거가능 시간 산출부와,
    상기 주행노선 매칭부에서 매칭된 주행노선에 따른 현재 차량의 현재 주행위치와의 매칭을 통해 노선 이탈, 노선 변경, 쓰레기 미수거, 수거시간 지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의 미전송, 위험 또는 응급상황을 포함하는 알람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송신하는 알람 출력부와,
    상기 알람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알람정보 외에 쓰레기 수거에 관련하여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지시 내용을 송신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이 서로 연계를 통해 상호 보완함으로써,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수거노선, 수거시간, 수거회수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차량그룹 정보 관리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차량정보, 주행노선, 현재위치,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송신된 지시 정보 및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노선정보, 차량정보, 영상정보, 위치정보,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은 상기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송신하고, 영상 정보의 경우 지정된 특정지역 내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연동되는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 외부에 부착되어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와,
    GPS 위성으로부터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현재 위치 좌표와 속도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궤적을 연산하는 GPS 수신부와,
    상기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GPS 수신부에서 수집된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을 추출하여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쓰레기 수거에 관련된 지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기는
    운전자가 외부에서 설정된 내용의 선택 및 변경, 관리서버에서 수신된 지시내용 확인, 관리서버로 위험 또는 응급상황 발생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집된 현재 위치 좌표와 속도신호 및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을 이용하여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 쓰레기 수거위치 및 수거시간에 따른 차량의 주행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정보 추출부와,
    상기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 중 촬영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에 따른 주행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주행영상 추출부와,
    상기 관리서버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연동되는 네트워크 망에서의 인증, 키 교환 및 데이터 암호화를 설정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연동부와,
    상기 주행정보 추출부에서 추출된 주행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에서 연동된 네트워크 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주행정보 전송부와,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에서 추출된 주행영상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에서 연동된 네트워크 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주행영상 전송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정보, 주행영상, 관리서버에서 수신되는 알람정보를 포함하는 지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정보, 영상정보, 지도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이 지정된 특정지역에 진입하게 되면,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를 구동시켜 자동으로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미리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제 1 저장부에서 추출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는 GPS 수신기에 의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제 1 저장부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쓰레기 수거위치를 서로 비교하여 차량의 특정지역 내의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영상 추출부는 지정된 특정지역과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 간에 단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통한 상호간의 송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특정지역내의 진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동부는 영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차량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망을 우선순위로 검출하여 영상 정보 송신을 위한 네트워크 공유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맵) 상에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 쓰레기 수거위치 및 수거시간을 표시하는 주행정보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 중 촬영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을 표시하는 주행영상 표시부와,
    관리서버에서 수신되는 알람정보, 즉 노선 이탈, 노선 변경, 쓰레기 미수거, 다른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노선에 미수거된 쓰레기 수거 지시, 수거시간 지연, 차량의 주행 정보 및 쓰레기 수거 영상의 미전송, 위험 또는 응급상황 등을 표시하는 알람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정보는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의 색상 또는 음영 변화를 통한 깜빡임을 제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부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 쓰레기 수거위치 및 수거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주행정보 DB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의 주행 중 촬영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정보 DB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맵)정보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부는
    통합 관리하는 생활쓰레기 수거지역의 전체 지도(맵)를 표시하는 지도 표시부와,
    상기 지도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지도상에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 및 쓰레기 수거위치를 표시하는 주행정보 표시부와,
    상기 지도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지도상에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현재 주행 위치를 표시하는 차량 위치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을 텍스트로 표시하는 주행노선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신되는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의 주행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정보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서 수신되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차량번호, 현재 주행 위치, 수거시간을 표시하는 주행정보 표시부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에 송신한 알람정보를 포함하는 지시정보를 표시하는 지시정보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부는 구역별, 개별 노선별, 개별 차량별, 맵 전체 노선별, 텍스트 전체 노선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부는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행 노선 및 쓰레기 수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노선 정보 DB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 정보, 즉 차량번호, 운전자 및 조수자 정보, 행선지, 수거횟수 등을 저장하는 차량 정보 DB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수신되는 주행 중 촬영된 주변 영상, 쓰레기 수거에 의한 쓰레기 수거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정보 DB와,
    생활쓰레기 수거 차량별로 수신되는 현재 주행 위치, 주행 속도를 저장하는 위치정보 DB와,
    통합 관리하는 생활쓰레기 수거지역의 전체 지도(맵)를 저장하는 지도정보 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16. 삭제
KR1020120064366A 2012-06-15 2012-06-15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KR101428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66A KR101428731B1 (ko) 2012-06-15 2012-06-15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366A KR101428731B1 (ko) 2012-06-15 2012-06-15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70A KR20130141170A (ko) 2013-12-26
KR101428731B1 true KR101428731B1 (ko) 2014-08-13

Family

ID=4998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366A KR101428731B1 (ko) 2012-06-15 2012-06-15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9871A (zh) * 2018-09-18 2019-02-01 浙江同美环境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城市生活垃圾信息化管理系统
KR102327271B1 (ko) * 2020-01-06 2021-11-17 주식회사 리코 블록체인 기반의 폐기물 통합관리 시스템
KR102175503B1 (ko) * 2020-04-28 2020-11-06 선경에코텍(주) 생활폐기물 통합관제시스템
CN112215147A (zh) * 2020-10-12 2021-01-12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垃圾投放位置的溯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580846B (zh) * 2022-09-26 2024-03-15 江苏银宝专用车有限公司 一种智能网联条件下垃圾清运系统及其构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81B1 (ko) * 2011-04-04 2011-09-20 (주)에코맥스 차량 탑재형 스마트 정보 판독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5804A (ko) * 2010-04-16 2011-10-24 이오순 인터넷 기반 수거물 통합 관리 시스템, 그를 이용한 수거차량 운용 방법 및 그의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804A (ko) * 2010-04-16 2011-10-24 이오순 인터넷 기반 수거물 통합 관리 시스템, 그를 이용한 수거차량 운용 방법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066081B1 (ko) * 2011-04-04 2011-09-20 (주)에코맥스 차량 탑재형 스마트 정보 판독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70A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h et al. Advances in smart roads for future smart cities
JP7040936B2 (ja) 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情報収集装置
CN106780790B (zh) 一种基于多元化全智能停车和收费管理系统的控制方法
KR101428731B1 (ko) 생활쓰레기 통합관리 시스템
US11380192B2 (en) Autonomous mobile object and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CN104221065B (zh) 利用照明网络进行交通管理的系统和方法
WO2015120455A1 (en) Security technologies for electrically-powered trash compactors and receptacles
CN104166390A (zh) 基于智慧城市的智能环卫处理系统
KR101931552B1 (ko) 도시통합운영센터에서의 IoT 기반 스마트 쓰레기 수거 최적화 경로 제공방법
CN104851295A (zh) 获取路况信息的方法和系统
JP4950818B2 (ja) 道路情報収集システム
CN109962970B (zh) 信息收集系统以及服务器装置
CN109961633A (zh) 信息收集系统以及服务器装置
CN104123815A (zh) 一种高速公路自启动应急救援快速处置系统
CN203909556U (zh) 出租车车载终端及出租车调度管理系统
CN105303628A (zh) 一种城市路边停车引导收费系统及方法
JP2020140391A (ja)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処理プログラム
CN115027847A (zh) 垃圾收运方法、装置及介质
Gade ICT based smart traffic management system “iSMART” for smart cities
JP2020086121A (ja) ゴミ収集事業で用いる塵芥処理車を用いた三次元地図作成のための道路状況の情報収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塵芥処理車
CN109448406A (zh) 一种交通同步指示系统及带有指示程序的车载提示终端
JP2019205129A (ja) 車両捜索システムおよび車両捜索方法
Christodoulou et al. Dynacargo routing subsystem and its algorithms for efficient urban waste collection
US11800065B2 (en) Mobile image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US20240015265A1 (en) Mobile Image Surveillance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